KR0138860Y1 -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860Y1
KR0138860Y1 KR2019930025019U KR930025019U KR0138860Y1 KR 0138860 Y1 KR0138860 Y1 KR 0138860Y1 KR 2019930025019 U KR2019930025019 U KR 2019930025019U KR 930025019 U KR930025019 U KR 930025019U KR 0138860 Y1 KR0138860 Y1 KR 0138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gnition key
electrical switch
electric switch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5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982U (ko
Inventor
권영해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5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860Y1/ko
Publication of KR9500139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주행하고 난 다음에 주차를 시키고 이그니션 키를 키 실린더에 삽입해 둔채 밖으로 나와 도어를 록킹하게 되면 경고부저가 올림과 함께 도어글라스가 자동으로 하강하게 하여 운전자가 하강된 글라스를 통해 도어를 열고 삽입된 이그니션 키를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이그니션 키 용이 확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이그니션 키를 키 실린더에 삽입하면 입력접점과 출력접점이 통전되는 전기스위치 1이 배터리의 전원과 연결되고, 이 전기스위치 1은 파킹브레이크시 통전되는 전기스위치 2와 연결되며 도어 인사이드 핸들과 연결된 전기스위치 3이 상기 전기스위치 2와 연결되며 상기 전기스위치 3과 연결되는 글라스 하강정지용 전기스위치 4가 다이오드를 거쳐 도어글라스용 파워모터와 연결되어 글라스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기스위치 3과 연결된 경고용 부저가 경고음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경고음을 듣고 도어록킹을 해제하여 이그니션 키를 빼낼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전체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에서 이그니션 키를 삽입시에 전기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에서 도어 인사이드 핸들과 연결되는 전기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스위치1 20 : 전기스위치2
30 : 전기스위치3 40 : 전기스위치4
60 : 이그니션 키 78 : 경고용 부저
본 고안은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주행하고 난 다음에 주차를 시키고 이그니션 키를 키 실린더에 삽입해 둔채 밖으로 나와 도어를 록킹하게 되면 경고부저가 울림과 함께 도어글라스가 자동으로 하강하게 하여 운전자가 하강된 글라스를 통해 도어를 열고 삽입된 이그니션 키를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이그니션 키 용이 확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주차시키고 난 다음에 이그니션 키를 키 실린더에 삽입해 둔 채 이런 사실을 잊어버리고 도어 세프티 노브를 누르고 밖으로 나와 도어를 록킹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사실은 본인 뿐만 아니라 주위에서 가끔 볼 수 있는데, 이때 운전자는 스페어 키를 가지고 있으면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스페어 키가 다른 장소에 있으면 이를 찾으러 가야 하고, 아니면 도어록킹을 해제하려고 노끈이나 길다란 꼬챙이를 만들어 웨더스트립과 트림 사이를 통해 쑤셔 넣어 도어록킹을 해제하려고 여러가지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꼬챙이 같은 도구를 사용한다하더라도 도난방지를 목적으로 도어가 제작되는 추세에 따라 최근의 자동차는 숙련된 정비사도 상기 도구로 록킹된 도어를 해제하기가 불가능하며, 오히려 도어 부위에 손상만을 입히게 될 뿐이다. 이와같이 도어록킹의 해제를 위하여 시도하는 여러가지 행동 때문에 금전적 손해와 함께 시간적 손실을 입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를 삽입해 둔채 도어록킹을 하고 밖으로 나온다하더라도 도어록킹과 동시에 경고용 부저와 함께 도어글라스가 하강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고 오픈된 도어글라스를 통해 도어록킹을 해제하고 도어를 열고 들어가 삽입된 이그니션 키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그니션 키를 키 실린더에 삽입하면 입력접점과 출력접점이 통전되는 전기스위치1이 배터리의 전원과 연결되고, 이 전기스위치1은 파킹브레이크시 통전되는 전기스위치2와 연결되며 도어 인사이드 핸들과 연결된 전기스위치3이 상기 전기스위치2와 연결되며 상기 전기스위치3과 연결되는 글라스 하강정지용 전기스위치4가 다이오드를 거쳐 도어글라스용 파워모터와 연결되어 글라스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기스위치3과 연결된 경고용 부저가 경고음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경고음을 듣고 도어록킹을 해제하여 이그니션 키를 빼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전체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에서 이그니션 키를 삽입시에 전기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에서 도어 인사이드 핸들과 연결되는 전기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부호 10은 이그니션 키(60)의 키 실린더에 설치되는 전기스위치 1이다. 이 전기스위치1(10)은 하우징(12)내에 푸시로드(14)와 리턴스프링(16)이 형성되고 입력접점(18)과 출력접점(19)이 형성되어 입력접점(18)은 퓨즈(62)를 통해 배터리(64)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기스위치1(10)은 이그니션 키(60)를 키 실린더에 삽입하면 푸시로드(14)가 눌려져 접점(18,19)를 통전시키고 이그니션 키(60)를 빼면 접점(18,19)이 떨어져 단전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전기스위치1(10)은 파킹브레이크 전기스위치2(20)와 연결되어 파킹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파킹시에 통전되는 전기스위치2(20)가 도어 인사이드 핸들(66)과 연결되는 전기스위치3(30)과 연결된다. 이 전기스위치3(30)은 도어 인사이드 핸들(66)에 연결된 케이블(68)이 하우징(32)내에 형성되는 푸시로드(34)와 연결되고 리턴스프링(36), 입력접점(38), 출력접점(39)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기스위치3(30)의 통전과 단전형태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66)을 당김에 따라 케이블(68)과 연결되어 작동되는데, 한 번 잡아당기면 전원이 ON되고 다시 잡아당기면 OFF되는 스위치 구조로 예를 들어, 벽부착용 선풍기의 스위치, 형광등의 줄스위치와 같이 ON/OFF를 반복해서 작동하는 스위치이다.
상기한 전기스위치3(30)은 통전되어 있는 도어 하강정지 전기스위치4(40)와 연결되며, 이 전기스위치4(40)가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70)와 파워모터 우회전 와이어링(74)를 통해 정역회전이 가능한 도어 레귤레이터작동용 파워모터(72)와 연결구성되며, 상기 전기스위치3(30)이 통전됨에 따라 작동되는 경고용 부저(78)에 연결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6은 파워모터 좌회전 와이어링, 80은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60)를 키 실린더에 삽입해 둔채 이를 잊어버리고 파킹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차량을 파킹시키고 난 다음 세이프티 록 노브를 눌러 도어를 록킹상태로 하고 도어 인사이드 핸들(66)을 당겨 도어를 오픈시켜 밖으로 나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위로 당긴 상태로 하여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는 완전한 록킹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본 고안의 각 스위치의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이그니션 키(60)가 키 실린더에 삽입되어 있으면 통전되는 전기스위치1(10)이 파킹브레이크 레버의 작동에 의해 ON되는 전기스위치2(20)와 통전되고 이 전기스위치2(20)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66)과 연결된 전기스위치3(30)과 통전되어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고용 부저(78)가 경고음을 발생함과 동시에 전기스위치3(30)과 통전되어 있는 전기스위치4(40)가 다이오드(70)와 파워모터 우회전 와이어링(74)과 연결된 파워모터(72)를 우회전 작동하여 이 파워모터 축과 연동되는 도어 글라스용 레귤레이터를 작동시켜 글라스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글라스가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글라스가 전기스위치4(40)를 눌러 전기를 단전시키게 되고 전기스위치4(40)의 단전에 따라 이와 연결된 파워모터(72)는 작동을 멈추게 되어 글라스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저(78)의 경고음이 발생하게 되어 운전자는 이그니션 키(60)가 키 실린더에 삽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어서 운전자가 열려진 글라스를 통해 세이프티 록 노브를 해제하고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겨 도어를 오픈시키고 차내로 들어가 이그니션 키(60)를 빼낸 다음 다시 도어를 닫고 키로써 도어를 록킹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그니션 키(60)를 빼내면 전기스위치1(10)은 리턴스프링(16)의 반발력에 의해 푸시로드(14)가 전진하여 통전되었던 전기는 단전되는 것이며, 전기스위치2(20)도 당겼던 파킹브레이크 레버를 해제시킴에 따라 전기가 단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기스위치1, 2, 3(10,20,30)의 OFF 상태에서는 배터리(64)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파워모터(72)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글라스는 하강되지 않고 또한 경고용 부저(78)도 울리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전기스위치1, 2, 3(10,20,30)중에 어느 하나가 OFF 상태이어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에 의하여 이그니션 키를 키 실린더에 삽입해 둔 채 이를 모르고 밖으로 나와 도어를 록킹한다하더라도 경고용 부저가 울리고 이와 함께 도어 글라스가 하강하여 운전자는 상기와 같은 사실을 인지하여서 이그니션 키를 아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이그니션 키(60)를 키 실린더에 삽입하면 입력접점(18)과 출력접점(19)이 통전되는 전기스위치1(10)이 퓨즈(62)를 통해 배터리(64)의 전원과 연결되고, 이 전기스위치1(10)은 파킹브레이크시 통전되는 전기스위치2(20)와 연결되며 도어 인사이드 핸들과 연결된 전기스위치3(30)이 상기 전기스위치2(20)와 연결되고 상기 전기스위치3(30)과 연결되는 글라스 하강정지용 전기스위치4(40)가 다이오드(70)와 우회전 와이어링(74)을 거쳐 도어 글라스용 파워모터(72)와 연결되어 이와 연결된 레귤레이터가 작동하여 글라스를 하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스위치3(30)이 통전됨에 따라 경고용 부저(78)가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
KR2019930025019U 1993-11-25 1993-11-25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 KR0138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019U KR0138860Y1 (ko) 1993-11-25 1993-11-25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019U KR0138860Y1 (ko) 1993-11-25 1993-11-25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82U KR950013982U (ko) 1995-06-16
KR0138860Y1 true KR0138860Y1 (ko) 1999-04-01

Family

ID=1936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5019U KR0138860Y1 (ko) 1993-11-25 1993-11-25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8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82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6002A (en) Alarm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0138860Y1 (ko) 자동차용 이그니션 키의 용이 확보장치
KR100256174B1 (ko) 자동차의 보안 및 안전 시스템
JPS5863550A (ja) 自動車の盗難防止装置
GB2222204A (en) Vehicle bonnet/hood locking device
CA1177134A (en) Electronic signalling device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lock of a motor vehicle
KR0126075Y1 (ko)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가속페달 고정장치
KR200173184Y1 (ko) 자동차 윈도우 및 도어록 해제장치
WO1996003297A1 (en) Vehicle anti-theft brake lock
KR100475744B1 (ko) 2점 커넥터 구조의 회로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 또는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
KR0135955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안전잠금장치
JP2003104172A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KR100427412B1 (ko) 자동차의 점화스위치 잠금장치
KR100475981B1 (ko)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KR200148902Y1 (ko) 차량의 도난방지장치
KR200158648Y1 (ko) 자동차의 도난경보장치
KR0116846Y1 (ko) 자동차용 안전잠금기구의 경고장치
KR0177482B1 (ko)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차량도난 방지장치
KR200156243Y1 (ko) 시동키 오프시 도어잠금 해제장치
KR200344200Y1 (ko) 자동차 시동스위치
KR100207913B1 (ko) 자동차 전장시스템의 자동제어장치
JPH0237642Y2 (ko)
KR100284951B1 (ko) 차량의 트렁크 리드 개방장치
KR0183577B1 (ko) 제동 장치에 의한 차량 도난 방지 방치
KR100228256B1 (ko) 자동차 도어 윈도우 풀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