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981B1 -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981B1
KR100475981B1 KR10-2002-0011314A KR20020011314A KR100475981B1 KR 100475981 B1 KR100475981 B1 KR 100475981B1 KR 20020011314 A KR20020011314 A KR 20020011314A KR 100475981 B1 KR100475981 B1 KR 10047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lectronic control
theft
column co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455A (ko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98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by limiting or cutting the electrical supply to the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시동과 전장품 구동 및 도난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2,3) 고정용 나사(4)에 칼럼 커버 분해시 이를 감지하여 전자제어 유니트(9)로 하여금 비상 릴레이(8)를 작동시켜 키스위치(5)측으로 공급되는 밧데리(6) 전압을 차단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경보음 발생부(13) 및 경보등 구동부(14)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감지스위치(1)를 부가 설치하여, 해당 자동차의 키를 갖고 있지 않은 불특정인이 차량의 도어를 강제로 열고 칼럼 커버를 분해한 후 하네스의 조작을 통해 자동차에 시동을 걸려하더라도 시동이 걸려지지 않음은 물론 경보등과 경보음이 작동되므로 자동차를 도난으로 부터 완벽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THEFT PREVENTION APPARATUS AND DEVICE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불특정인이 자동차의 도어를 개방하고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칼럼 커버의 개방을 시도하면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 및 경고등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스타트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아예 차단시켜 자동차의 시동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토록 하는 방식을 통해 자동차를 도난으로 부터 완벽히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키스위치는 스티어링 칼럼 커버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오프단자(OFF), 악세서리단자(ACC), 온단자(ON) 및 스타트단자(START) 등 4단계로 작동된다.
즉, 전원 및 악세서리의 작동이 가능한 악세서리단자(ACC)와, 파워 윈도우 작동이 가능한 온단자(ON) 및 차량 출발 또는 엔진 시동을 위한 스타트단자(START)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자동차 키스위치 칼럼 구조는 차량 절도범이 키스위치 없이도 간단한 수동 공구로 칼럼커버를 분해하기만 하면 키스위치 내측에 부착된 전장 하네스에 있는 단자들의 연결을 통해 용이하게 차량 엔진에 시동을 걸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최근 고급 차량의 도난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키를 소유한 자동차의 운전자 이외에는 그 어느 누구도 정차상태에서 차량 절도가 용이치 않는 구조로 변경하여 별도의 장치 부착없이도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스위치를 감쌓고 있는 스티어링 칼럼 커버를 상호 결합시켜 주는 나사에 감지스위치를 설치하여 만약 키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로 도어가 열려진 후 특정인에 의해 칼럼 커버가 분해되어지면 경보음 및 경고등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스타트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아예 차단되도록 하고, 차후 원상복귀시에는 오디오를 통해 정상적인 패스워드를 입력시키고 감지스위치가 온상태를 유지할시 시스템의 각부에 정상적으로 전원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자동차의 키를 갖고 있지 않은 불특정인이 차량의 도어를 강제로 열고 칼럼 커버를 분해한 후 하네스의 조작을 통해 자동차에 시동을 걸려하더라도 시동이 걸려지지 않음은 물론 경보등과 경보음이 작동되므로 자동차를 도난으로 부터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수개의 나사(4)에 의해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티어링 칼럼 커버(2,3)내에 설치되어 운전자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키스위치(5)와; 도어의 개폐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도어상태 검출부(7)와; 상기 키스위치(5) 및 도어상태 검출부(7)의 상태에 부응하여 각종 전장품의 구동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제어 유니트(9)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9)의 출력에 부응하여 밧데리(6)의 출력전압을 스타트 모터(11)와 오디오(12) 등과 같은 전장품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전장품 구동부(10)와;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9)의 제어를 받아 자동차의 도난 위험성을 소리로써 알려주는 경보음 발생부(13)와;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9)의 제어를 받아 자동차의 도난 위험성을 불빛으로 알려주는 경보등 구동부(14)를 구비한 자동차의 시동과 전장품 구동 및 도난 방지장치에 있어서,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2,3) 고정용 나사(4)에 칼럼 커버 분해시 이를 감지하여 전자제어 유니트(9)로 하여금 비상 릴레이(8)를 작동시켜 키스위치(5)측으로 공급되는 밧데리(6) 전압을 차단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경보음 발생부(13) 및 경보등 구동부(14)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감지스위치(1)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3의 (a)(b)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자동차내 각종 시스템의 대지중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9)에서 도어상태 검출부(7)의 출력신호를 계속 입력받아 키를 이용한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키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로 도어가 개방되면 스티어링 칼럼 커버(2,3)의 개방 시도로 인해 감지스위치(1)가 "오프"되는지를 계속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감지스위치(1)가 "오프"되면 경보음 발생부(13)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비상 릴레이(8)를 "오프"시켜 키스위치(5)측으로 공급되는 밧데리 전압을 차단시킨 후, 경보등 구동부(14)를 통해 경보등을 점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도난 방지 서브루틴과;
상기와 같은 도난 방지 서브루틴을 통해 도난을 방지한 상태에서 시스템이 대기중 운전자 등에 의해 오디오(12)를 통해 정상적인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운전자 등이 도난 시도를 인식하고 사후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스티어링 칼럼 커버(2,3)가 정상적으로 조립함으로 인해 감지스위치(1)가 "온"상태인지를 계속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감지스위치(1)가 "온"상태이면 비상 릴레이(8)를 "온"시켜 정상적으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시스템 복귀 서브루틴에 의해 그 작동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기존의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스티어링 칼럼 커버(2,3) 고정용 나사(4)에 결합되어 감지스위치(1)를 부가 설치하여 만약 스티어링 칼럼 커버(2,3)가 불특정인에 의해 분해될시 전자제어 유니트(9)에서 이를 감지하여 비상 릴레이(8)를 작동(즉, 오프)시켜 키스위치(5)측으로 공급되는 밧데리(6)의 전압을 차단토록 함과 동시에 경보음 발생부(13)와 경보등 구동부(14)를 통해 자동차의 도난 위험성을 소리 및 불빛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경보등은 인스트루먼트 판넬내에 설치하는 것이 좋고 경보음이 발생되는 스피거나 알람발생기 등은 운전석 주변중 어느곳에 설치하여도 무관하다.
한편, 본 발명 장치의 구동 프로그램은 도난 방지 서브루틴과 시스템 복귀 서브루틴으로 구별된다.
이때, 도난 방지 서브루틴은 통상 소정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차 전장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실시하는 전자제어 유니트(9)에서는 통상시(즉, 자동차내 각종 시스템의 대지중) 도어상태 검출부(7)의 출력신호를 계속 입력받아 키를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도어가 개방되지 않고 각종 도구 등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검출하게 된다.
그 결과 불특정인에 의해 도어가 강제로 개방되면(즉, 키를 사용한 개방이 아니면) 스티어링 칼럼 커버(2,3)의 개방 시도로 인해 통상시 "온"상태를 유지하는 스티어링 칼럼 커버(2,3) 고정용 나사(4)에 결합되어 있는 감지스위치(1)가 "오프"되는지를 계속 검출하게 된다.
이와같이 검출한 결과 차량 절도범과 같은 불특정인에 의해 나사(4)가 풀리여 상기 감지스위치(1)가 "오프"되면 전자제어 유니트(9)에서는 이를 즉시 인식하고 경보음 발생부(13)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비상 릴레이(8)를 "오프"시켜 키스위치(5)측으로 공급되는 밧데리(6)의 전압이 차단시킨 후, 경보등 구동부(14)를 통해 경보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즉, 차량 절도범과 같은 불특정인이 도어를 강제로 열고 차량내로 들어와 각종 공구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칼럼 커버(2,3)를 분해하고 키스위치(5)의 하네스 조작을 이용하여 엔진에 시동을 걸기 위해 나사(4)를 풀게되면 감지스위치(1)가 이를 감지하여 전자제어 유니트(9)로 전달하게 되므로,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9)에서 이를 즉시 인식하고 경보음과 경보등을 구동시키므로써 자동차가 도난 위기에 있음을 차주등이 즉시 알 수 있음은 물론 절도자 역시 경보음에 놀라 절도를 포기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9)에서는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 키스위치(5)와 밧데리(6)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 릴레이(8)를 "오프"시켜 주므로써 키스위치(5)의 단자들에는 아무 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절도범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엔진에 전혀 시동을 걸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자동차를 도난으로 부터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도난 방지 서브루틴의 수행으로 인해 도난을 방지한 상태에서 자동차내 각종 전장품의 정상적인 구동(즉, 원상 복귀)을 위해서는 시스템 복귀 서브루틴을 수행 시켜야 하는데, 그 첫번째로는 통상시 밧데리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재차 공급될 때와 같이 시스템이 대기중 운전자 등이 오디오(12)를 통해 정해진 패스워드를 입력시켜 주어야만 한다.
이와같이 운전자 등이 오디오(12)를 통해 정상적인 패스워드를 입력시키게 되면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9)에서는 절도범이 일시적으로 패스워드만을 입력시킨 것이 아니고 운전자 등이 도난 시도를 인식하고 사후 처리를 완료한 후 스티어링 칼럼 커버(2,3)를 정상적으로 조립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스티어링 칼럼 커버(2,3) 고정용 나사(4)에 의해 온/오프 되는 감지스위치(1)의 상태가 "온"상태인지를 계속 검출하게 된다.
그 결과 결과 감지스위치(1)가 "온"상태이면 운전자 등에 의해 정확히 모든 수습이 완료되고 스티어린 칼럼 커버(2,3)의 조립까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인지하고 키스위치(5)와 밧데리(6) 사이에 설치되어 잇는 상기 비상 릴레이(8)를 "온"시켜 주므로써, 스타트 모터(11)등이 정상적으로 밧데리(6) 전압이 공급되어 시스템이 덩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해당 자동차의 키를 가지고 있지 않은 불특정인이 해당 차량의 도어를 각종 도구를 이용하여 강제로 열고 스티어링 칼럼 커버를 분해한 후 마치 키스위치가 작동되는 것 처럼 전장 하네스들의 조작을 통해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을 걸려하더라도 시동 자체가 아예 걸려지지 않음은 물론 경보등과 경보음이 작동되므로 절도범을 손쉽게 검거 내지 도주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차의 도난 자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3의 (a)(b)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감지스위치 2,3 : 스티어링 칼럼 커버
4 : 나사 5 : 키스위치
6 : 밧데리 7 : 도어상태 검출부
8 : 비상 릴레이 9 : 전자제어 유니트
10 : 전장품 구동부 11 : 스타트 모터
12 : 오디오 13 : 경보음 발생부
14 : 경보등 구동부

Claims (2)

  1. 수개의 나사(4)에 의해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티어링 칼럼 커버(2,3)내에 설치되어 운전자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키스위치(5)와; 도어의 개폐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도어상태 검출부(7)와; 상기 키스위치(5) 및 도어상태 검출부(7)의 상태에 부응하여 각종 전장품의 구동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제어 유니트(9)와;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9)의 출력에 부응하여 밧데리(6)의 출력전압을 스타트 모터(11)와 오디오(12) 등과 같은 전장품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전장품 구동부(10)와;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9)의 제어를 받아 자동차의 도난 위험성을 소리로써 알려주는 경보음 발생부(13)와;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9)의 제어를 받아 자동차의 도난 위험성을 불빛으로 알려주는 경보등 구동부(14)를 구비한 자동차의 시동과 전장품 구동 및 도난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2,3) 고정용 나사(4)에 칼럼 커버 분해시 이를 감지하여 전자제어 유니트(9)로 하여금 비상 릴레이(8)를 작동시켜 키스위치(5)측으로 공급되는 밧데리(6) 전압을 차단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경보음 발생부(13) 및 경보등 구동부(14)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감지스위치(1)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2. 삭제
KR10-2002-0011314A 2002-03-04 2002-03-04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KR10047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314A KR100475981B1 (ko) 2002-03-04 2002-03-04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314A KR100475981B1 (ko) 2002-03-04 2002-03-04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55A KR20030072455A (ko) 2003-09-15
KR100475981B1 true KR100475981B1 (ko) 2005-03-10

Family

ID=3222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314A KR100475981B1 (ko) 2002-03-04 2002-03-04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9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262A (ko) * 1992-11-25 1994-06-20 이범창 차량의 도난방지장치
KR950006168U (ko) * 1993-08-30 1995-03-20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KR19980074151A (ko) * 1997-03-21 1998-11-05 김영귀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262A (ko) * 1992-11-25 1994-06-20 이범창 차량의 도난방지장치
KR950006168U (ko) * 1993-08-30 1995-03-20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KR19980074151A (ko) * 1997-03-21 1998-11-05 김영귀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55A (ko) 200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8963A (en) Automotive anti-theft system
KR100475981B1 (ko)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US4473815A (en) Battery control and alarm system for vehicles
JP4447581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20020196133A1 (en) Anti-vehicle theft and anti-hijacking unit combined
JP2000344054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0126075Y1 (ko)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가속페달 고정장치
KR100501363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100190403B1 (ko) 산소센서 및 진동센서의 원리를 응용한 도난경보 시스템
JP3170978B2 (ja) 車輌盗難防止装置
EP037950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curity device or alarm
JPH08305984A (ja) 車両用盗難警報装置
KR0177482B1 (ko)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차량도난 방지장치
KR100435326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200388796Y1 (ko) 시프트잠김장치가 구비된 자동차도난방지장치
KR100496685B1 (ko) 시프트록장치가 구비된 차량도난방지장치
KR200366757Y1 (ko)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KR100217598B1 (ko)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KR20030018931A (ko)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KR100217573B1 (ko) 도난 방지장치
KR100312868B1 (ko) 자동차용 선 루프의 자동 닫힘 방법
JP2745796B2 (ja) 車両用盗難警報装置
KR19980041501U (ko) 차량의 도난방지장치
KR19980032929U (ko) 차량의 도난방지회로
KR970039973A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