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757Y1 -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757Y1
KR200366757Y1 KR20-2004-0023507U KR20040023507U KR200366757Y1 KR 200366757 Y1 KR200366757 Y1 KR 200366757Y1 KR 20040023507 U KR20040023507 U KR 20040023507U KR 200366757 Y1 KR200366757 Y1 KR 200366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vehicle
driver
password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미자
Original Assignee
하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미자 filed Critical 하미자
Priority to KR20-2004-0023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7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운전자가 자동차의 시동을 걸기 전에 우선적으로 예약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시동을 걸었을 때에만 자동차를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전석 전면 일축에 형성된 비밀번호 컨트롤박스를 통해 정해진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경보기가 OFF 되고, 운전자는 시동을 걸고 정상적으로 운전을 할 수 있지만, 잘못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경보기가 ON 되어 경고음이 발생하는데 이를 무시하고 시동을 거는 경우 운전석 시트에 전원이 공급되어 시트의 고압회로에서 고압이 발생되므로 시동을 건 자의 인체에 충격을 주게 되고, 이 경우 운전자는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하므로 자동차을 도난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는 자동차를 절취하려는 자가 경보음를 무시하고 물리적으로 자동차유리를 파손하든지 강제로 자동차 도어를 오픈시켜서 자동차를 주행시키는 경우 경보음이 소멸하여 자동차의 도난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강제로 자동차 도어를 오픈시켜 주행할 경우에도 계속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키조작 스위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자동차시스템 분야에 초보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손쉽게 키조작 스위치 자체의 접속을 해제하여 경보음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절도범이 도어를 강제로 오픈하여 주행하더라도 상기 키조작 스위치의 접속자체의 해제를 통해 경보음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데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경보음에 의한 도난방지 장치는 소음으로 인한 주변사람들에 피해를 주는 결점이 있고 특히 야간에 경보음이 울리는 경우에는 그야말로 소음피해 범위가 더욱 확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 자동차 도난방지장치의 목적은 비밀번호 컨트롤 박스에 비밀번호를 맞게 입력하는 경우 자동차시동을 걸고 정상적으로 운전할 수 있으나,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하여 자동차에 시동을 거는 경우 운전석 시트에서 발생하는 고압에 의해 운전자에 충격을 주어 정상적으로 운전을 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Encryp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burglary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잘못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경보기가 ON 상태가 되고 경고음이 발생되는데, 운전자가 이 경고음을 무시하고 시동을 걸면 운전석시트의 고압회로에 전류가 흘러 운전석시트에 고압이 발생되어, 운전자에게 고압의 전기충격을 주게 되므로 정상적으로 운전을 행할 수 없게 하는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 도난방지 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차 차체에 외부 물체가 접촉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접촉식 도난방지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이러한 도난방지 장치는 자동차를 훔치려는 자가 상기 경보를 무시하고 물리적으로 자동차유리를 파손하든지 강제로 자동차 도어를 오픈 시켜서 자동차를 주행시키는 경우 경보음이 소멸하므로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강제로 자동차 도어를 오픈시켜 주행할 경우에도 경보음이 계속 발생하는 키스위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미합중국 특허 050319호 (1987.05.14;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 1은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자동차용 도난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내부에서 입력되거나 원격제어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사용자를 특정 하는 디지털 액세스코드에 의해 단지 하나의 키스위치만으로 자동차을 작동 또는 해제, 자동차제어 및 액세스 제어하므로, 자동차의 작동을 허가 받지 아니한 사용자가 시동을 걸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경보음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 문헌 1은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오픈 되어 주행하고 있어도 자동차 시스템 분야에 초보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도난방지의 키스위치 자체의 접속을 해제하여 경보음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절도범은 자동차의 상기 키스위치를 해제하여 자동차를 절취할 것이므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경보음에 의한 도난방지 장치는 소음으로 인한 주변사람들에 피해를 주는 결점이 있고 특히 야간에 경보음이 울리는 경우에는 그야말로 소음피해 범위가 더욱 확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밀번호 컨트롤 박스에 비밀번호를 맞게 입력하는 경우 자동차시동을 걸고 정상적으로 운전할 수 있으나,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하여 자동차에 시동을 거는 경우 운전석 시트에서 발생하는 고압에 의해 운전자에 충격을 주어 정상적으로 운전을 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경보음에 의한 도난방지 장치의 결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자동차 키박스의 전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에 키를 꽂아 돌리면 ACC부터 카라디오(2)가 작동하고, 자동차키를 ON다음 START까지 돌리면 자동차의 시동이 걸린 다음 자동적으로 ON으로 돌아가는 키박스(1)와,
자동차키가 ACC상태에서 켜지는 카라디오(2)와 비밀번호 컨트롤박스(3)가 ON되고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 신호를 주는 센서(4)와,
상기 센서(4)가 신호를 발생시키면 운전자가 임의적으로 정해놓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운전석 전면 일측에 부착되어 비밀번호 컨트롤박스(3)와,
상기 비밀번호 컨트롤박스(3)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비밀번호가 맞는 경우 OFF 되어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고, 비밀번호가 틀리는 경우 ON 되어 경고음이 발생하는 경보기(5)와,
상기 경보기(5)에서 경고음이 발생함에도, 운전자가 시동을 거는 경우 운전석시트에 전원이 공급되어 고압이 발생케 하는 운전석시트의 고압회로(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장치를 도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자동차 키박스에 대한 전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고안, 자동차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운전하려는 자가 운전석에 앉아 자동차키를 끼우고 키박스(1)의 ACC까지 돌리면 카라디오(2)가 ON 상태가 되고, 이에 비밀번호 컨트롤 박스(3)가 ON 상태가 되고 이를 센서(4)가 감지하여 자동차주인이 사전에 설정한 신호음을 발생케 한다.
운전자가 상기 신호음을 듣고 정해진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컨트롤 박스(3)에 입력한다. 이에 정해진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는 경보기(5)가 OFF 상태가 되어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고, 운전자가 시동을 거는 경우 정상적인 운전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반면 운전자가 비밀번호 컨트롤 박스(3)에 잘못된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경보기(5)가 ON 상태가 되고, 경고음이 발생한다. 이에 운전자가 이 경고음을 무시하고 시동을 거는 경우 운전석시트의 고압회로(6)에 전류가 흘러 운전석에 고압이 발생하므로 운전자는 신체적 충격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운전을 할 수 없을 것이므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여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본 고안,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가 비밀번호 컨트롤 박스(3)에 잘못된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경보기(5)가 ON 상태가 되고, 경고음이 발생한다. 이에 운전자가 이 경고음을 무시하고 시동을 거는 경우 운전석시트의 고압회로(6)에 전류가 흘러 운전석에 고압이 발생하므로 운전자는 신체적 충격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운전을 할 수 없게 되어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코자 함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에 키를 꽂아 돌리면 ACC부터 카라디오(2)가 작동하고, 자동차키를 ON다음 START까지 돌리면 자동차에 시동이 걸리고 자동적으로 ON으로 돌아가는 키박스(1)와,
    자동차키가 ACC상태에서 켜지는 카라디오(2)와 비밀번호 컨트롤박스(3)가 ON되고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 신호를 주는 센서(4)와,
    상기 센서(4)가 신호를 발생시키면 운전자가 임의적으로 정해놓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운전석 전면일측에 부착된 비밀번호 컨트롤박스(3)와,
    상기 비밀번호 컨트롤박스(3)에서 사전에 정해진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OFF 되어 경고음을 발생하지 않고, 비밀번호가 틀리는 경우 ON 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5)와,
    상기 경보기(5)에서 경고음이 발생후 운전자가 시동을 거는 경우 운전석시트의 내부 도선에 전원이 공급되어 고압이 발생케 하는 운전석시트의 고압회로(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KR20-2004-0023507U 2004-08-17 2004-08-17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KR200366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507U KR200366757Y1 (ko) 2004-08-17 2004-08-17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507U KR200366757Y1 (ko) 2004-08-17 2004-08-17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861A Division KR20060016433A (ko) 2004-08-17 2004-08-17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757Y1 true KR200366757Y1 (ko) 2004-11-06

Family

ID=4944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507U KR200366757Y1 (ko) 2004-08-17 2004-08-17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7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6649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US5061915A (en) Anti-theft device for motorized vehicles
JP3001514B2 (ja) 車両安全装置
KR200366757Y1 (ko)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JPH0555341B2 (ko)
JP2004210000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20060016433A (ko)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499692B1 (ko) 리모콘을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US20020175565A1 (en) Automotive anti-theft device
KR100190403B1 (ko) 산소센서 및 진동센서의 원리를 응용한 도난경보 시스템
KR20110017630A (ko)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KR200154895Y1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JP2008007030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0198092B1 (ko)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KR100462743B1 (ko) 자동차용 오디오 도난방지 시스템
KR100412826B1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KR200424512Y1 (ko) 차량 도난방지 장치
JP2745796B2 (ja) 車両用盗難警報装置
KR100217598B1 (ko)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KR100405475B1 (ko) 자동차용 시동 장치
KR100440128B1 (ko) 차량의 도난 방지 제어장치
KR100475981B1 (ko)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KR100435326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200254321Y1 (ko)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200269432Y1 (ko) 차량 도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