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432Y1 - 차량 도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432Y1
KR200269432Y1 KR2020010036012U KR20010036012U KR200269432Y1 KR 200269432 Y1 KR200269432 Y1 KR 200269432Y1 KR 2020010036012 U KR2020010036012 U KR 2020010036012U KR 20010036012 U KR20010036012 U KR 20010036012U KR 200269432 Y1 KR200269432 Y1 KR 200269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ft
signal
unit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여한
Original Assignee
이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여한 filed Critical 이여한
Priority to KR2020010036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432Y1/ko

Link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비사용시 차량 배터리로부터 차량 내부의 시동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시동장치를 포함한 각종 전원 조작을 수행치 못하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고, 차량의 우회 시동의 시도여부를 감지하여 경보하고,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도난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키조작에 의해 도난방지 기능설정 및 시동신호, 도어 개폐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도난방지 기능설정신호를 인가받아 시동장치부로 인가되는 전원의 투입을 차단시키며, 도난신호의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도난신호 발생시 각종 경고수단을 통해 도난상황을 타인에게 통보하기 위한 도난방지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사용자가 도난방지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시동장치부 및 각종 전기기구로의 전원투입을 차단하여 도난행위를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함과 더불어, 각종 전기기구를 통한 누전 및 방전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수명 연장 및 방전 방지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도난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BURGLARY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차량 비사용시 차량 배터리로부터 차량 내부의 시동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시동장치를 포함한 각종 전원 조작을 수행치 못하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 도난 방지장치 또는 도난 경보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도난을 방지하거나 경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종 감지신호 예컨대, 도어 열림 및 차량 충격감지 등의 신호를 인가받아 도난 상황의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경보한다.
또한, 최근에 시판되는 차량 도난방지장치 및 경보장치는 자동시동 및 도어 개폐, 트렁크 개폐, 각종 차량 내의 전자 제품에 대한 스위칭 제어 등 부가적인 기능이 포함된 장치가 개발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도난 방지장치 또는 도난 경보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차량 도난자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해체 및 철거가 가능하므로 도어 개폐후 신속한 해체가 진행되면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 도난 방지장치 또는 도난 경보장치는 외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우회 시동이 가능하므로 차량 도난 위험에는 여전히 노출된 상태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 비사용시 차량 배터리로부터 차량 내부의 시동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시동장치를 포함한 각종 전원 조작을 수행치 못하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고, 차량의 우회 시동의 시도여부를 감지하여 경보하고,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도난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리모콘, 110:키조작부,
120:발진부, 130:송신부,
200:도난방지제어회로, 210:보호케이스,
212:나사, 214:도난신호감지부,
216:수신부, 218:경광등,
220:경광등구동부, 222:경고음발생부,
224:경고음발생구동부, 230:시동장치부,
232:트랜지스터, 234:릴레이스위치,
240: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조작에 의해 도난방지 기능설정 및 시동신호, 도어 개폐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도난방지 기능설정신호를 인가받아 시동장치부로 인가되는 전원의 투입을 차단시키며, 도난신호의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도난신호 발생시 각종 경고수단을 통해 도난상황을 타인에게 통보하기 위한 도난방지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난방지 제어수단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도난방지 기능설정신호 및 시동신호, 도어 개폐신호를 전송받는 수신부와; 도어 강제 개폐여부 및 도난방지 제어수단의 보호케이스 해체여부, 시동장치로의 외부 전원투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난신호 감지부와; 상기 시동장치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리모콘에 의해 도난방지기능이 설정되면 턴 오프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도난신호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될 때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도난상황을 음향 및 시각적으로 타인에게 통보하기 위한 경고음발생부 및 경광등과; 상기 경고음발생부 및 경광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구동부와; 상기 시동장치부로 외부 전원 투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수신부를 매개하여 사용자의 각종 기능설정신호를 인가받아 차량 시동, 도어 개폐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더불어, 도난방지 설정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칭부를 턴 오프시키고, 상기 도난신호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도난상황을 타인에게 통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난방지 제어회로의 보호케이스 해체여부에 대한 감지는 그 보호케이스의 체결나사 하단 또는 그 보호케이스의 하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된 접촉 센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장치는 그 도난 방지 제어회로(200)를 차량의 엔진실 내부에 설치하고, 도난 방지 제어회로(200)의 외부에는 보호 케이스(210)에 의해 봉함된다.
또한, 상기 보호 케이스(210)의 하면 또는 그 보호 케이스(210)를 엔진실의 벽면 소정부에 체결시키기 위한 나사(212)의 하면에는 접촉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도난신호 감지부(214)가 밀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상기 보호 케이스(210)를 개방하려는 시도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도난신호 감지부(214)에 의해 도난신호가 발생되므로, 상기 도난 방지제어회로(200)를 도난자가 무력화시킬 수 없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장치는 크게 각종 도난방지 기능선택을 위한 리모콘(100)과, 그 리모콘(100)으로부터 전송된 도난방지 기능선택 신호에 따라 도난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도난방지 제어회로(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모콘(100)은 키조작부, 발진부, 송신부로 이루어지는 바, 참조부호 110은 각종 도난방지 기능 및 도어 개폐 및 시동개시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키조작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20은 상기 키조작부(110)의 선택에 의해 특정 코드신호를 발진하기 위한 발진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30은 상기 발진부(120)에 의해 발진된 코드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도난방지 제어회로(200)는 크게 수신부 및 도난신호 감지부, 경광등 구동부, 경고음 발생부, 시동장치부 및 스위칭부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참조부호 214는 도 1에서 기설명된 도난신호 감지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16은 상기 송신부(130)로부터 전송된 코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18은 차량의 프론트윈도우(도시는 생략) 또는 리어윈도우(도시는 생략) 소정부에 구비되어 도난상황 발생시 시각적으로 도난상황을 외부인에게 통보하기 위한 경광등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220은 도난상황 발생시 상기 경광등(218)을 구동시키기 위한 경광등구동부를 나타낸다.
한편, 참조부호 222는 차량의 클락션(도시 생략) 또는 스피커(도시 생략)와 연계되어 도난상황 발생시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고음발생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24는 상기 경고음 발생부(222)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고음발생구동부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230은 상기 리모콘(100) 및 차량 키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면 시동을 발생시키는 시동장치부를 나타내는 바, 상기 시동장치부(230)는 차량에서 일반적인 시동 관련 장치인 시동모터(도시는 생략), 스로틀 밸브 등을 포함한 장치이다.
한편, 참조부호 232는 상기 시동장치부(230)의 전단에 구성되며 시동조작신호 또는 도난방지신호 등의 입력에 따른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도통됨으로써 스위칭 개시동작을 실행하는 트랜지스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34는 상기 트랜지스터(232)의 도통에 의해 자화되어 스위칭되는 릴레이스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40은 상기 도난방지 제어회로의 전체적인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나타내는 바,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도난신호 감지부(214)로부터 도난신호가 인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경광등(218) 및 경고음발생부(222)를 구동시켜 도난상황을 경고한다.
또,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리모콘(100)을 통해 도난방지 기능 선택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트랜지스터(232)의 베이스단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릴레이스위치(234)를 턴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시동장치부(230)로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을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시동 장치부(300)의 접지단에는 그 접지선을 통한 통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바이패스 라인을 형성하고, 그 바이패스 라인의 타단을 제어부(240)로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시동장치부(230)에서 외부 전원의 투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도난자가 상기 시동장치부(230)의 중간 전선을 단선하여 외부 전원을 이용해 상기 시동장치부(230)의 시동을 시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은 단지 리모콘(100)에 의해 도난방지기능이 설정되거나, 시동키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차량의 소정부에 구비된 각종 키조작부(도시는 생략)를 통해 리모콘(100)과 동일한 기능을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차량 도난 방지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은 다양하겠지만, 본 고안과 직접 관련되는 시동과 도난신호 발생 여부판단 및 그 경고에 대한 제어기능을 위주로 기술함을 미리 밝힌다.
본 고안에서 제시된 리모콘(10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차량의 도난방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모콘(100)에 형성된 키조작부(110)를 조작하여 도난방지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선택신호가 상기 수신부(216)를 매개하여 제어부(240)로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트랜지스터(232)에 턴 오프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릴레이스위치(234)를 턴 오프시킴으로 인해 상기 시동장치부(23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만약, 차량 도난자가 차량을 도난하기 위한 시도, 예컨대 차량의 도어 강제개방 또는 도난방지 제어회로의 보호 케이스(210) 해체, 외부 전원으로 인한 차량의 시동 시도의 경우에는 상기 도난신호 감지부(214) 및 시동장치부(230)의 통전상태의 확인에 의해 그 감지신호가 발생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시동장치부(230)의 외부 전원 투입여부에 대한 감지는 상시 시동장치부(230)와 제어부(240)를 바이패스 라인으로 접속시킴으로 인해, 상기 제어부(240)의 턴 오프신호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어부(240)는 시동장치부(230)로의 전원투입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전원 투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도어 강제 개방 등의 일반적인 도난 감지(충격센서, 도어열림 감지를 위한 접촉센서 등)에 대한 구성은 주지 공용한 구성이므로 생략함을 미리 밝힌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40)에서 상기 도난신호 감지부(214) 또는 각종 센서에 의한 도난감지신호, 시동장치부(230)의 외부 전원인가 상황발생 등에 대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경광등 구동부(220) 및 경고음 발생 구동부(224)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경광등(218) 및 경고음 발생부(222)를 통해 도난상황을 통보한다.
이때, 차량 도난자가 상기 경광등(218) 및 경고음 발생부(222)를 무력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호케이스(210)를 해체하려 하여도 그 해체를 위한 시도를 상기도난신호 감지부(214)를 통해 도난신호로 간주하고 경고음 및 경광등이 동작하게 되므로 차량 도난이 불가능하다.
또한, 배터리(B+)로부터 투입되는 전원의 차단은 상기 시동장치부(230) 및 각종 부가 전기기구(예컨대, 라디오, 각종 라이트 등)로 인가되는 전원만이 차단되므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216) 및 제어부(240), 상기 경광등 구동부(220), 경고음 발생 구동부(224) 등 도난장치와 연관된 구성으로는 스탠바이 전압(SBV)을 이용하여 상시 구동 대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장치는 사용자가 도난방지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시동장치부 및 각종 전기기구로의 전원투입을 차단하여 도난행위를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함과 더불어, 각종 전기기구를 통한 누전 및 방전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수명 연장 및 방전 방지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키조작에 의해 도난방지 기능설정 및 시동신호, 도어 개폐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도난방지 기능설정신호를 인가받아 시동장치부로 인가되는 전원의 투입을 차단시키며, 도난신호의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도난신호 발생시 각종 경고수단을 통해 도난상황을 타인에게 통보하기 위한 도난방지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제어수단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도난방지 기능설정신호 및 시동신호, 도어 개폐신호를 전송받는 수신부와;
    도어 강제 개폐여부 및 도난방지 제어수단의 보호케이스 해체여부, 시동장치로의 외부 전원투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난신호 감지부와;
    상기 시동장치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리모콘에 의해 도난방지기능이 설정되면 턴 오프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도난신호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될 때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도난상황을 음향 및 시각적으로 타인에게 통보하기 위한 경고음발생부 및 경광등과;
    상기 경고음발생부 및 경광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구동부와;
    상기 시동장치부로 외부 전원 투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수신부를 매개하여 사용자의 각종 기능설정신호를 인가받아 차량 시동,도어 개폐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더불어, 도난방지 설정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칭부를 턴 오프시키고, 상기 도난신호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도난상황을 타인에게 통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제어회로의 보호케이스 해체여부에 대한 감지는 그 보호케이스의 체결나사 하단 또는 그 보호케이스의 하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된 접촉 센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2020010036012U 2001-11-22 2001-11-22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200269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012U KR200269432Y1 (ko) 2001-11-22 2001-11-22 차량 도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012U KR200269432Y1 (ko) 2001-11-22 2001-11-22 차량 도난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432Y1 true KR200269432Y1 (ko) 2002-03-23

Family

ID=7311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012U KR200269432Y1 (ko) 2001-11-22 2001-11-22 차량 도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4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6649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CN101817335A (zh) 一种汽车防盗系统及防盗控制方法
EP1538037B1 (en) Vehicle security device including prewarn indicator and related method
KR200254321Y1 (ko)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200269432Y1 (ko) 차량 도난 방지장치
CA2452296C (en) Vehicle security device having pre-war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KR100499692B1 (ko) 리모콘을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KR100422537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100243884B1 (ko)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KR100229462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JP2745796B2 (ja) 車両用盗難警報装置
KR100217598B1 (ko)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KR100186645B1 (ko) 카 오디오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KR900003580B1 (ko)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KR100289925B1 (ko) 자동차도난방지장치
KR200366757Y1 (ko)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KR19980039407A (ko) 적외선 감지에 의한 도난방지 장치
KR0124382Y1 (ko)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
KR100211040B1 (ko) 차량의 도난방지 시동경보장치
KR0177482B1 (ko)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차량도난 방지장치
KR20030018931A (ko)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KR200280045Y1 (ko) 휴대폰에 의한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200424512Y1 (ko) 차량 도난방지 장치
KR100186646B1 (ko) 카 오디오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방법
KR200394843Y1 (ko) 차량 도난 경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