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82Y1 -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382Y1
KR0124382Y1 KR2019960006500U KR19960006500U KR0124382Y1 KR 0124382 Y1 KR0124382 Y1 KR 0124382Y1 KR 2019960006500 U KR2019960006500 U KR 2019960006500U KR 19960006500 U KR19960006500 U KR 19960006500U KR 0124382 Y1 KR0124382 Y1 KR 0124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ft
vehicle
unit
alar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6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394U (ko
Inventor
성우명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06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382Y1/ko
Publication of KR970054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3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도어 손잡이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도어 외부손잡이에 물체가 접촉하면 그 사실을 광량의 변화로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광감지부(10)와; 상기 감지신호와 소정의 내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12); 상기 비교신호에 따라 배터리전원의 인가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부(14); 상기 스위칭부(14)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전원이 인가되면 차량 자체에서 도난경보를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15); 상기 스위칭부(14)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전원이 인가되면 도난경보를 알리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도난방지 송신부(16) 및; 상기 도난방지 송신부(16)로부터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검출하여 경보음이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개인 휴대용 도난방지 수신기(1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타인이 주-정차중인 차량의 도어를 열기 위해 광센서가 장착된 도어의 외부 손잡이를 잡으면 그 사실을 광량의 변화로 감지하여 운전자가 개인 휴대하고 있는 개인 휴대용 도난방지 수신기에서 도난경보를 발생시키므로써 차량의 도난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theft of vehicles)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에 대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감지부 11-1 : 발광부
11-2 : 수광부 12 : 비교부
14 : 스위칭부 15 : 경보부
16 : 도난방지 송신부 18 : 개인 휴대용 도난방지 수신기
BAT : 배터리 ANT : 안테나
본 고안은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인이 주-정차중인 차량의 도어를 열기위해 차량 도어의 외부손잡이를 잡으면, 도난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전문 털이범들이 고가품인 차량을 탈취하거나 차량 내부 부품들이나 귀중품 등을 탈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도난방지 장치가 다수 종류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는, 통상 운전자가 아닌 타인이 차량에 가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차량 자체에서 경보음을 울리거나 도난방지 송신기가 송출한 무선신호를 차량 소유자가 소유하고 있는 도난방지 수신기에서 수신하여 도난을 경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 도난경보 장치는 각각의 도난방지 장치가 작동하지 못하기만 하면 얼마든지 차량의 내부로 침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선을 절단시킨 상태에서 차량의 도어를 열고 차량 내부로 들어가면 차량 도난방지 장치는 아무런 작동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 록 장치를 강제로 해제시키거나 도난방지 장치를 훼손시킨 경우 등에도 결국 차량의 내부로 침입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열어야 하고,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반드시 도어의 외부 손잡이를 잡고 개방작동시켜야만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타인이 주-정차중인 차량의 도어를 열기위해 도어의 외부 손잡이를 잡으면 도난경보를 발생하도록 하므로써, 타인이 차량의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게 한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 손잡이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도어 외부손잡이에 물체가 접촉하면 그 사실을 광량의 번화로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광감지부와; 상기 감지신호와 소정의 내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신호에 따라 배터리전원의 인가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부;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전원이 인가되면 차량 자체에서 도난경보를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전원이 인가되면 도난경보를 알리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도난방지 송신부 및; 상기 도난방지 송신부로부터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검출하여 경보음이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개인 휴대용 도난방지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광감지부는 광원으로서 광신호를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광신호를 받아들인 후 이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수광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차량 외부 손잡이 안쪽에 설치하고 상기 수광부는 발광부와 반대편인 차량 본체에 설치하여 차량의 도어를 열기 위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손이나 물체를 접근시키면 상기 발광부의 광신호가 차단되어 상기 수광부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광신호의 차단으로 사람의 손이나 기타 다른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경보부(15)는 운전자가 상기 도난방지 송신부(16)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처해 있을 수도 있으므로 도난경보를 차량 자체의 경보음으로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는 차량의 잠금장치를 어떠한 방법으로 열었던지 간에 차량 내부로 침입하기 위해서는 차량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열어야 하는바, 이때 차량 외부 손잡이에 설치된 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개인 휴대용 도난방지 수신기에서 도난경보음이나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므로써 차량의 도난을 미연에 방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을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본 고안의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는 차량의 도어 손잡이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도어 외부손잡이에 물체가 접촉하면 그 사실을 광량의 변화로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광감지부(10)와 ; 상기 감지신호와 소정의 내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12); 상기 비교신호에 따라 배터리전원의 인가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부(14); 상기 스위칭부(14)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전원이 인가되면 차량 자체에서 도난경보를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15); 상기 스위칭부(14)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전원이 인가되면 도난경보를 알리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도난방지 송신부(16) 및; 상기 도난방지 송신부(16)로부터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검출하여 경보음이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개인 휴대용 도난방지 수신기(1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광감지부(10)는 광원으로서 광신호를 발생시키는 발광부(11-1)와 상기 발광부(11-1)로부터 광신호를 받아들인 후 이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수광부(11-2)로 구성된다.
하나의 실시예를 들면, 상기 광감지부(10)에서 상기 발광부(11-1)는 배터리전원(BAT)에 의해 온되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현되고, 상기 수광부(11-2)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의 광량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배터리전원(BAT)을 인가받는 포토 트랜지스터(TR)로 구현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LED)는 차량의 외부 손잡이 안쪽에 위치하고 사람의 손이 들어 갈수 있을 만큼의 공간을 두고 포토 트랜지스터(TR)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의 반대편인 차량 본체에 위치하여, 정상 상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빛에 의해 포토 다이오드(TR)가 온되고 있다가 도어를 열기 위해 손잡이를 잡으면 발광 다이오드(LED)의 빛이 차단되어 포토 트랜지스터(TR)가 오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14)는 상기 비교부(12)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온되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오프되는 릴레이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경보부(15)는 차량 자체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상기 도난방지 송신부(16)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처해 있을 수도 있으므로 도난경보를 차량 자체의 경보음으로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인 휴대용 도난방지 수신기(18)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가 개인 휴대하므로써 도난경보를 알려주는 별도 부품이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제1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단 차량 소유자가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를 작동시키면, 광감지부(10)의 발광 다이오드(LED)는 배터리전압(BAT)을 인가받아 계속 빛을 발하게 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로부터의 빛에 의해 포토 트랜지스터(TR)가 온되므로써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TR)의 출력은 로우가 된다. 즉, 상기 광감지부(10)의 출력은 로우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비교부(12)의 내부 기준전압(VR)은 상기 광감지부(10)로부터의 감지신호 중 로우신호 전압보다는 크고 하이신호 전압보다는 작도록 설계한다.
이에, 상기 광감지부(10)에서 출력되어 비교부(12)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로우신호) 전압(VIN)이 상기 비교부(12)의 내부 기준전압(VR)보다 낮으므로 상기 비교기(12)의 출력신호인 비교신호(VO)는 로우가 되고 이에 따라 스위칭부(14)가 오프되게 된다.
스위칭부(14)가 오프되면 상기 경보부(15)에 배터리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경보부(15)는 작동을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도난방지 송신부(16)에도 배터리전원(BAT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도난방지 송신부(16)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휴대하는 개인 휴대용 도난방지 수신기(18)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므로 차량 소유주는 차량에 이상이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만약,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가 켜진 상태에서 차량의 도어를 열기 위해 도어의 외부 손잡이를 잡게되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의 빛이 차단되어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TR)는 오프되므로 광감지부(10)의 출력은 하이가 된다.
따라서, 상기 광감지부(10)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비교부(12)로 입력되는 감지신호(하이신호) 전압(VIN)이 내부 기준전압(VR)보다 크므로 상기 비교부(12)의 출력신호인 비교신호(VO)는 하이가 된다.
상기 비교부(14)로부터의 비교신호가 하이이므로 상기 경보부(15)에 배터리전원이 인가되어 경보부(15)에서 도난경보를 알리는 경보음을 울릴 뿐만 아니라, 상기 스위칭부(14)는 온되어 도난방지 송신부(16)에도 배터리전원(BAT)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도난방지 송신부(16)에도 도난을 경고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도난방지 송신부(16)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개인 휴대용 도난방지 수신기(18)가 수신하여 진동이나 경보음을 울리므로써, 운전자에게 도난을 경고해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는, 차량의 잠금장치를 어떠한 방법으로 열었던지 간에 차량 내부로 침입하기 위해서는 차량 도어의 외부 손잡이를 잡고 열어야 하는바, 이때 차량 외부 손잡이에 설치된 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도난방지 수신기에서 도난경보음이나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므로써 타인이 차량의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도어 손잡이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도어 외부손잡이에 물체가 접촉하면 그 사실을 광량의 변화로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광감지부(10)와; 상기 감지신호와 소정의 내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12); 상기 비교신호에 따라 배터리전원의 인가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부(14); 상기 스위칭부(14)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전원이 인가되면 차량 자체에서 도난경보를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15); 상기 스위칭부(14)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전원이 인가되면 도난경보를 알리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도난방지 송신부(16) 및; 상기 도난방지 송신부(16)로부터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검출하여 경보음이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개인 휴대용 도난방지 수신기(18)로 구성되어 있는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지부(10)는 차량의 외부 손잡이 이쪽에 위치한 발광부(11-1)와 사람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두고 상기 발광부(11-1)와 반대편인 차량의 본체에 위치한 수광부(1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15)는 차량 자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칭부(14)의 동작에 따라 차량 자체에서의 경보음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
KR2019960006500U 1996-03-29 1996-03-29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 KR0124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500U KR0124382Y1 (ko) 1996-03-29 1996-03-29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500U KR0124382Y1 (ko) 1996-03-29 1996-03-29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394U KR970054394U (ko) 1997-10-13
KR0124382Y1 true KR0124382Y1 (ko) 1998-10-15

Family

ID=1945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6500U KR0124382Y1 (ko) 1996-03-29 1996-03-29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3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39B1 (ko) * 2010-02-11 2011-07-13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모의 폭발물용 rf송수신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394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8741A (en) Portable anti-theft alarm and locking device for vehicles
US5977654A (en) Anti-theft System for disabling a vehicle engine that includes a multi-contact switch for disconnecting the battery and loading the vehicle electrical system
US5469135A (en) Vehicle security device and alarm
US6040763A (en) Vehicle theft prevention device with a low powered receiver
US4996514A (en) Car theft proofing system
EP1538037B1 (en) Vehicle security device including prewarn indicator and related method
GB2246390A (en) Car alarm
US4985693A (en) Car theft proofing system
KR0124382Y1 (ko) 차량의 도난방지 장치
CA2452296C (en) Vehicle security device having pre-war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KR100243884B1 (ko)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JP2004322748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US20050194198A1 (en) Theft-proof device for car
KR100207127B1 (ko) 차량 도난방지장치
KR200154895Y1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KR100372450B1 (ko) 차량 조명 시스템
KR0140608Y1 (ko) 자동차의 도난 경보장치
KR100422537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100398217B1 (ko)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162193Y1 (ko) 도난차량 알림장치
KR100289925B1 (ko) 자동차도난방지장치
KR19980039407A (ko) 적외선 감지에 의한 도난방지 장치
KR19980061313U (ko) 차량용 원격제어 시동장치
JP2004156237A (ja) キーシリンダ用保護キャップ及びキーシリンダ保護システム
KR100186673B1 (ko) 차량의 도난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