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630A -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630A
KR20110017630A KR1020090075195A KR20090075195A KR20110017630A KR 20110017630 A KR20110017630 A KR 20110017630A KR 1020090075195 A KR1020090075195 A KR 1020090075195A KR 20090075195 A KR20090075195 A KR 20090075195A KR 20110017630 A KR20110017630 A KR 20110017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ft
unit
vehicle
switch
fuel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인
채용웅
권태황
Original Assignee
이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인 filed Critical 이명인
Priority to KR1020090075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7630A/ko
Publication of KR2011001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fuel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3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using the door logic and door and engine unlock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 승용물의 도난방지 방법에 있어서, 각종 신호를 수신받고 이를 기초로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컴 형태의 제어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각종 모드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컨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부와; 감지선을 통해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승용물의 연료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릴레이부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리모컨의 도난방지 모드를 선택 시, 감지부의 감지선이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변화를 감지하면 릴레이부가 동작하면서 연료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연료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승용물 운행을 불가능하게 하는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리모컨을 통해 도난방지 모드의 선택 여부를 용이하게 선택하면서, 도난방지 모드 작동 중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변화감지를 통한 승용물의 도난신호가 감지되면, 연료펌프의 전원차단을 통한 연료공급을 중단하여, 침입자의 승용물 운행을 차단하고 승용물 도난을 방지한다.
오토바이, 자동차, 승용물, 연료펌프, 마이컴, 릴레이, 수신기

Description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 automobile security system using fuel supply cutoff method }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 승용물의 도난방지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리모컨을 통한 무선제어방식으로 도난방지 모드를 선택 또는 해제하고, 도난방지 모드 작동 중 승용물의 도난 시도를 감지하면 연료펌프의 전원을 차단하여 승용물의 운행을 불가능하게 해 도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 승용물의 보급률 증가 및 고급화 경향에 따라 승용물을 도난발생비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 때문에 승용물의 도난방지에 대한 관심은 점차 더해지고 있는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통상적인 도난방지 방법은 에탁스(ETACS; Electronic Timing and Alarm Control System)를 설치하여 도난방지(Arming)상태를 작동시켜 자동차 도어의 감지 등을 통해 도난의 징후 현상이 나타나면 사이렌(Siren)이나 클랙슨 등을 작동하여 경고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에탁스는 도어 잠금장치나 와이퍼 구동장치, 등화장치, 트렁크 개폐장치, 파워 윈도우 구동장치, 디포거 구동장치, 스타트 인히비트 장치 등의 각종 자동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으로서, 현재까지 출시된 에탁스에 의한 도난방지시스템은 차량 키가 없는 상태에서 무단침입(Keyless Entry)에 의한 도난방지신호의 전달이 있는 경우 또는, 도어나 후드, 트렁크 등이 강제로 열리는 등의 방식으로 자동차의 도난 징후가 발생하는 상황에 한해서 각종 경고음만을 발생시켜 도난에 대한 경고를 나타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도난방지시스템은 자동차의 도난징후를 나타내는 도어나 후드, 트렁크 등의 열림이 아닌 창문을 깨고 자동차 내로 침입하는 경우에는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복사된 차량 키나 배선 등의 조작에 의해 쉽게 시동이 걸려 운행 가능하게 됨으로써, 자동차 도난에 대한 대비가 완벽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이는 자동차에만 적용 가능할 뿐, 도어가 없는 오토바이에는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오토바이의 도난시도에는 아무런 대처방법이 없어, 오토바이의 도난률은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리모컨을 통한 무선제어방식을 통해 승용물의 도어 작동 및 도난방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도난방지 모드 작동 중 승용물의 도난 시도 시에는 엔진으로 연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승용물의 운행을 완전히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승용물의 도난을 원천적으로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 승용물의 도난방지 방법에 있어서, 각종 신호를 수신받고 이를 기초로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컴 형태의 제어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각종 모드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컨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부와; 감지선을 통해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변화를 감지하여 전달하는 감지부와; 승용물의 연료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릴레이부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리모컨의 도난방지 모드를 선택 시, 감지부의 감지선이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변화를 감지하면 릴레이부가 동작하면서 연료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연료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승용물 운행을 불가능하게 하는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와 수신기부와 릴레이부는 하나의 보드에 형성하며, 그 외에도 자동차에 적용 시에는 수신기부로부터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부가 도어락의 작동을 선택하는 도어락 스위치와 트렁크와 클랙슨 및 램프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트렁크스위치, 클랙슨스위치, 램프스위치를 함께 구성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인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은 리모컨을 통해 도난방지 모드의 선택 여부를 용이하게 선택하면서, 도난방지 모드 작동 중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변화를 통한 승용물의 도난신호가 감지되면, 연료펌프의 전원차단을 통한 연료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외부 침입자에 의해 승용물이 운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승용물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제어부와 수신기부와 릴레이부는 하나의 보드에 형성하여 소형, 경량화, 박형화해 부피를 최대한 줄이고 회로를 간소화함으로써, 설치 및 수리나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하며, 자동차에 적용할 때에는 도어락 스위치, 트렁크스위치, 클랙슨스위치, 램프스위치 등을 연동하여 형성해 리모컨을 이용하여 각 부분을 용이하게 작동시키면서, 승용물 도난 시도 시 클랙슨과 램프 등을 통한 경보를 함께 출력하여 승용물 도난방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 승용물의 도난방지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리모컨을 통한 무선제어방식으로 도난방지 모드를 선택 또는 해제하고, 도난방지 모드 작동 중 승용물의 도난 시도를 감지하면 연료펌프의 전원을 차단하여 승용물의 운행을 불가능하게 해 도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 승용물의 도난방지 방법에 있어서, 각종 신호를 수신받고 이를 기초로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컴 형태의 제어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각종 모드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컨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부와; 감지선을 통해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승용물의 연료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릴레이부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리모컨의 도난방지 모드를 선택 시, 감지부의 감지선이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변화를 감지하면 릴레이부가 동작하면서 연료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연료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승용물 운행을 불가능하게 하는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리모컨을 통해 도난방지 모드의 선택 여부를 용이하게 선택하면서, 도난방지 모드 작동 중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변화감지를 통한 승용물의 도난신호가 감지되면, 연료펌프의 전원차단을 통한 연료공급을 중단하여, 외부 침입자에 의해 승용물이 운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승용물 도난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와 수신기부와 릴레이부는 하나의 보드에 형성하여 소형, 경량화, 박형화해 부피를 최대한 줄이고 회로를 간소화함으로써, 설치 및 수리나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하며, 그 외에도 자동차에 적용 시 수신기부로부터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부가 도어락의 작동을 선택하는 도어락 스위치와 트렁크와 클랙슨 및 램프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트렁크스위치, 클랙슨스위치, 램프스위치 등을 함께 연동하여 구성함으로써, 리모컨을 이용하여 각 부분을 용이하게 작동시키면서, 자동차 도난 시도 시 클랙슨과 램프 등을 통한 경보를 함께 출력하여 자동차 도난방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인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을 각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컨(50) 및, 이 제어신호를 작동하는 제어부(10)와 수신기부(20)와 감지부(30)와 릴레이부(40)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은 오토바이와 자동차 등에 동일하게 적용해 사용 가능한데, 이들 각 구성요소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리모컨(5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종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상적인 장치로서, 도난방지 모드를 작동 또는 해제하는 입력버튼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누르면 송신부가 이의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용물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컨(50)의 제어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제어부(10)와 수신기부(20)와 감지부(30)와 릴레이부(40)를 형성하는데, 먼저, 릴레이부(40)는 승용물의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선에 전기스위치 역할의 릴레이를 연결한 것으로서, 릴레이부(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연료펌프로의 전원공급을 원활히 하다가, 릴레이부(40)가 작동하게 되면 연료펌프로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스위칭하도록 한다.
그리고 무선 수신기형태의 수신기부(20)가 상기 리모컨(50)에서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승용물의 시동 시도 시, IG1 혹은 IG2의 아이지(IG)단자에 전원이 인가되는 변화 여부를 감지하여 전달하는 감지선이 연결된 감지부(30)를 형성하며, 이렇게 수신기부(20)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와 감지부(30)의 감지선을 통해 전달되는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여부 신호는 함께 마이컴 형태의 제어부(10)로 전달되는데, 상기 제어부(10)는 수신기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 및 감지부(30)의 감지 여부에 따라 연결된 릴레이부(40)의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는 빠른 명령어를 가지고, 저가격에 대량생산 가능하며, 작고 가벼우며, 비교 및 연산기능이 가능하고, 내부메모리와 EEPROM 등이 내장되어 원칩기능을 가지는 AVR 계열 또는 PIC계열 등의 마이크로 제어 장치(microcontroller unit: MCU)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10)에 컴파일된 프로그램에 의해 각 제어신호 및 감지부(30)의 신호에 따라 연결될 릴레이부(40)와 도어락스위치(50)의 출력을 제어하면서 이들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의 동작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가 오토바이 또는 자동차 등 승용물의 사용을 완료하여 주차하면, 리모컨(50)을 작동시켜 도난방지 모드 작동을 선택함으로써, 리모컨(50)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수신기부(20)는 제어부(10)로 이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0)는 만약 시동이 켜진 상태라면 상태변화가 없다가, 시동이 완전히 꺼진 상태라면 도난방지 모드로 작동되어 제어부(10)가 감지부(30)의 감지선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기다리게 된다.
상기 도난방지 모드로 작동 중, 외부인이 복사키를 키 박스에 꽂거나 배선을 조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동을 켜기 위한 조작을 하게 되면, 이렇게 시동을 켜기 위한 조작을 통해 IG1 혹은 IG2 단자인 아이지(IG)단자에 전원이 인가되고, 감지선이 이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부(30)가 아이지(IG)단자 전원 인가를 제어부(10)에 알리며, 이러한 승용물 도난 시도를 전달받은 제어부(10)는 릴레이부(40)를 동작시킴으로써, 릴레이부(40)의 릴레이가 연료펌프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스위칭하고, 차단된 연료펌프는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외부인이 아무리 시동을 걸어 승용물의 도난을 시도하려 해도, 연료펌프의 차단으로 인해 엔진으로 연료가 잠시 공급되어 시동이 수초간 걸린 후 꺼짐으로써, 승용물 고장증상을 유발하여서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 승용물의 도난을 원천적으로 막는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인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은 도난방지 모드의 작동 중에는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여부를 감지하는 승용물의 도난신호를 감지부(30)를 통해 제어부(10)가 감지하면 릴레이부(40)를 작동시켜 연료펌프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승용물이 운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승용물의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리모컨(50)을 이용하여 각 작동상태를 원격으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해, 이를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에 범용적으로 적용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오토바이와는 달리 더욱 많은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의 경우에는 도어를 잠그거나 여는 도어락스위치(60)와 트렁크를 여는 트렁크스위치(90)와 클랙슨을 작동시키는 클랙슨스위치(80) 및 전조등 등의 램프를 작동시키는 램프스위치(90)를 더 구성하며, 그 작동 역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설명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그 기능을 더욱 추가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상기 리모컨(50)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데, 자동차의 장시간 주차 시에는 작동 1과 같이 도어록스위치(60)를 작동시켜 도어을 잠그는 동시에 도난방지 모드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해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거나, 주차 중 작동 2와 같이 트렁크스위치(70)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해 트렁크만을 열어 사용하며, 또한, 작동 1의 상태를 가지는 주차 중 단시간 내에 자동차을 사용하거나 미리 시동을 걸어놓을 때에는 작동 3과 같이 도난방지 모드만을 해제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해 자동차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주차된 자동차의 사용 시에는 작동 4와 같이 도어록스위치(60)를 작동시켜 도어를 여는 동시에 도난방지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해 자동차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리모컨(50)을 통해 상황에 맞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락스위치(60)는 도어락의 동작을 통해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보통 한 쌍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를 도어락 모터용 H-BRIGE 회로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5P릴레이 2조를 이용한 제어보다 소형화와 릴레이 접점 노후화로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락을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작동시키면서 자동차의 도어를 열거나 잠글 수 있게 하며, 상기 도어락스위치(60)는 제어부(10)에 연결되어, 제어부(10)를 통해 도어락스위치(5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락스위치(60) 외에도 자동차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트렁크스위치(70)와 클랙슨의 작동을 스위칭하는 클랙슨스위치(80)와 전조등 등 램프의 작동을 스위칭하는 램프스위치(90)를 스위칭 회로로 더 구성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연결함으로써, 트렁크나 클랙슨 및 램프의 작동 여부를 리모컨(50)으로 함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도어락스위치(60)와 트렁크스위치(70)와 클랙슨스위치(80)와 램프스위치(90) 역시 제어부(10)와 수신기부(20)와 감지부(30)와 릴레이부(40)와 함께 하나의 보드에 형성함으로써, 그 구성을 소형, 경량화, 박형화해 부피를 최대한 줄이고 회로를 간소화하여, 설치 및 수리나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자동차에 적용하는 본 발명인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의 동작을 도4 또는 도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가 자동차의 사용을 완료하여 주차하면, 리모컨(50)을 작동시켜 작동 1의 상태인 도어록 잠김 및 도난방지 모드 작동을 선택함으로써, 리모컨(50)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수신기부(20)는 제어부(10)로 이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0)는 만약 시동이 켜진 상태라면 단순히 도어락스위치(60)만을 작동시켜 도어를 잠가 자당차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잠시 자리를 비울 수 있도록 하고, 혹은 시동이 완전히 꺼진 상태라면 도어락스위치(60)를 작동시켜 도어를 잠그는 동시에 도난방지 모드로 작동되어 제어부(10)가 감지부(30)의 감지선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기다리게 된다.
상기 도난방지 모드로 작동 중, 외부인이 자동차 내부로 침입하여 자동차의 도난시도를 하게 되면, 리모컨(50)을 통한 도어락스위치(60)의 열림 없이 도난 시도 시, 아무런 경보가 없어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의 존재를 인지하기 어렵지만, 자동차 내부로 침입한 외부인이 복사키를 키 박스에 꽂거나 배선을 조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동을 켜기 위한 조작을 하게 되면, 이렇게 시동을 켜기 위한 조작을 통해 아이지(IG)단자에 전원이 인가되고, 감지선이 이를 감지하여 감지부(30)가 아이지(IG)단자의 전원 인가를 제어부(10)에 알리며, 이러한 자동차 도난 시도를 전달받은 제어부(10)는 릴레이부(40)를 동작시킴으로써, 릴레이부(40)의 릴레이가 연료펌프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스위칭하고, 차단된 연료펌프는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자동차 내부로 침입한 외부인이 아무리 시동을 걸어 자동차의 도난을 시도하려 해도, 연료펌프의 차단으로 인해 엔진으로 연료가 잠시 공급되어 시동이 수초간 걸린 후 꺼짐으로써, 자동차의 도난을 원천적으로 막으며, 상기 감지부(30)를 통한 자동차 도난 시도를 감지 시, 자동차 고장증세를 유발하여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을 통해 자동차의 도난을 완벽하게 방지하면서 주차된 상태의 자동차를 사용 시에는, 리모컨(50)으로 작동 2의 상태를 선택하여 트렁크만을 열어 사용하거나, 작동 3의 상태를 선택하여 도난방지 모드만 해제된 상태에서 미리 시동을 걸어둠으로써, 자동차를 바로 운행가능하도록 준비하거나 겨울철 엔진을 공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는 작동 4의 상태를 선택해 도어를 열고 사용자가 직접 차량 키로 시동을 걸어 운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렇게 도난방지 모드를 해제하면 감지부(30)의 감지선이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를 감지하더라도 제어부(10)는 아무 동작도 취하지 않아 릴레이부(40)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해 연료펌프로 전원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에 적용되는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은 일반적인 가솔린, 디젤, 엘피아이(LPI: Liquefied Petroleum Injection)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는 연료펌프를 차단하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사용 가능하지만, 기화기를 사용하는 기체공급방식의 엘피지(LPG liquefied petroleum gas) 자동차의 경우에는 연료펌프가 없기 때문에 인젝션 또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에 릴레이부(40)를 연결하여 릴레이부(40)의 동작에 의해 인젝션 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차단되면서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것을 막는 동일한 방식을 이용해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복합적으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인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인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의 순서도.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의 블록도.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의 순서도.
도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0: 수신기부 30: 감지부
40: 릴레이부 50: 리모컨 60: 도어락스위치
70: 트렁크스위치 80: 클랙슨스위치 90: 램프스위치

Claims (4)

  1.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 승용물의 도난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컨(50)과;
    상기 리모컨(5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부(20)와;
    아이지(IG)단자의 전원인가 여부를 감지하여 전달하는 감지선이 연결된 감지부(30)와;
    연료펌프의 전원공급선에 릴레이가 연결된 릴레이부(40)와;
    수신기부(20)와 감지부(3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받아 릴레이부(40)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0)로 구성되어;
    리모컨(50)을 이용해 도난방지 모드 작동 중 아이지(IG)단자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감지부(30)가 감지해 제어부(10)에 전달하면, 제어부(10)가 릴레이부(40)를 작동시켜 연료펌프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승용물의 운행불가를 통한 도난방지를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은,
    도어락을 잠금 또는 열림 상태로 작동시키는 도어락스위치(60)와, 트렁크를 개방하는 트렁크스위치(70)와, 클랙슨의 작동을 스위칭하는 클랙슨스위치(80)와, 램프의 작동을 스위칭하는 램프스위치(90)를 더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50)은,
    도어록스위치(60)를 작동시켜 도어을 잠그는 동시에 도난방지 모드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
    트렁크스위치(70)를 작동시켜 트렁크를 개방하는 제어신호;
    도난방지 모드만을 해제하는 제어신호;
    도어록스위치(60)를 작동시켜 도어를 여는 동시에 도난방지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상황에 맞는 동작을 리모컨(50)으로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은,
    제어부(10)와 수신기부(20)와 감지부(30)와 릴레이부(40)와 도어락스위치(60)와 트렁크스위치(70)와 클랙슨스위치(80)와 램프스위치(90)를 하나의 보드에 형성함으로써,
    부피를 줄이고 회로를 간소화하여, 설치 및 수리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KR1020090075195A 2009-08-14 2009-08-14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KR20110017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195A KR20110017630A (ko) 2009-08-14 2009-08-14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195A KR20110017630A (ko) 2009-08-14 2009-08-14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630A true KR20110017630A (ko) 2011-02-22

Family

ID=4377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195A KR20110017630A (ko) 2009-08-14 2009-08-14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76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321A1 (ko) * 2014-01-10 2015-07-16 윤차랑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WO2016178516A1 (ko) * 2015-05-06 2016-11-10 윤차랑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321A1 (ko) * 2014-01-10 2015-07-16 윤차랑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KR101540279B1 (ko) * 2014-01-10 2015-07-31 윤차랑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CN105899427A (zh) * 2014-01-10 2016-08-24 尹次郎 摩托车防盗装置
WO2016178516A1 (ko) * 2015-05-06 2016-11-10 윤차랑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KR20160131174A (ko) * 2015-05-06 2016-11-16 윤차랑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9129B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a vehicle
US8712601B2 (en) Vehicle control system
CN101817335A (zh) 一种汽车防盗系统及防盗控制方法
KR20110017630A (ko) 연료펌프 차단방식을 이용한 승용물 도난방지시스템
JP3885022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2000071940A (ja) 車両用盗難警報装置
KR100256174B1 (ko) 자동차의 보안 및 안전 시스템
KR100229462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CN103029679B (zh) 一种隐性的汽车防盗装置
KR200424512Y1 (ko) 차량 도난방지 장치
KR100412826B1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JP2008168833A (ja) 装着後の車輌盗難防止器により車輌のその他の設備を操作制御する方法と装置
KR100210351B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원격시동장치
KR200388796Y1 (ko) 시프트잠김장치가 구비된 자동차도난방지장치
KR100496685B1 (ko) 시프트록장치가 구비된 차량도난방지장치
KR100440128B1 (ko) 차량의 도난 방지 제어장치
JPS63255155A (ja) 自動車の盗難防止装置
KR0136442B1 (ko) 차량의 도난방지장치
KR200146416Y1 (ko) 리모컨에 의해 시동이 예약된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
KR200366757Y1 (ko)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JP2004345493A (ja)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
KR200288914Y1 (ko) 자동차용 도난방지장치
KR100428117B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JPH07167030A (ja) 自動車における加熱部材制御用装置
JPH10141187A (ja) マニュアル車用エンジン遠隔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