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810B1 - 승용차의 사이드 실 - Google Patents

승용차의 사이드 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810B1
KR0138810B1 KR1019950031135A KR19950031135A KR0138810B1 KR 0138810 B1 KR0138810 B1 KR 0138810B1 KR 1019950031135 A KR1019950031135 A KR 1019950031135A KR 19950031135 A KR19950031135 A KR 19950031135A KR 0138810 B1 KR0138810 B1 KR 013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eal
panel
fixed
inner panel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364A (ko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3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810B1/ko
Publication of KR97001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의 사이드 실에 관한 것으로서, 강성을 증대함과 동시에 충격력을 감쇠하여 충격흡수가 양호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 및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의 상단부에 플렌지를 각각 형성하고 상호 용접 고정하며,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의 하단부 및 플로워 패널(3)에 형성된 플렌지를 상호 용접 고정함과 동시에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에 형성된 플렌지를 플로워 패널(3)에 용접 고정하여 사이드 실 본체(10)의 단면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의 상단부와 수직부에 보강부재(11)를 용접 고정하며,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의 외측부에 탄성부재(12)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승용차의 사이드 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차체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A-A선 단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중 탄성부재의 사시도.
제 4도는 종래의 제 1도의 A-A선 대응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2:사이드 실 인너 패널,
3:플로워패널,10:사이드 실 본체,
11:보강부재,12:탄성부재,
13:중공부,14:리브
본 발명은 승용차의 사이드 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용차의 사이드 실은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과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의 상단부에 플렌지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용접 고정함과 동시에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과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의 하단부에도 플렌지를 형성하여 플로워 패널(3)과 함께 용접 고정하고, 상기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의 상하부에 보강부재(4)를 용접 고정하며,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의 외측부 하단은 호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은 도어에 설치된 웨더 스트립의 밀착부(5)를 형성하고,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의 수직부 하단에는 와이어링 하니스 설치홈(6)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측면충돌시의 충격흡수는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 및 인너 패널(2)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에 고정된 보강부재(4)에서 수행하는 것이나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이 직접 충격력을 받고,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의 외측 하단이 호상으로 형성되고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의 수직부에 와이어링 하니스 설치홈(6)이 형성되어 있기 대문에 그 부분의 강성이 취약하므로 충격흡수가 양호하지 못하여서 탑승자의 골반상해치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강성을 증대함과 동시에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에 가하여지는 충격력을 감쇠하여 충격흡수를 양호하게 한 승용차의 사이드 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 및 사이드 실 인너 패널의 상단부에 플렌지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고정하며,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의 하단부 및 플로워 패널에 형성된 플렌지를 상호 고정함과 동시에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형성된 플렌지를 플로워 패널에 고정하여 사이드 실 본체의 단면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사이드 실 인너 패널의 상단 수평부와 수직부에 보강부재를 고정하며, 사이드 실 인너 패널의 외측부에 탄성부재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 1도 내지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 및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의 상단부에 플렌지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용접 고정하며,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의 하단부 및 플로워 패널(3)에 형성된 플렌지를 상호 용접 고정함과 동시에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에 형성된 플렌지를 플로워 패널(3)에 용접 고정하여 사이드 실 본체(10)의 단면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의 상단부와 수직부에 보강부재(11)를 용접 고정하며,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의 외측부에 탄성부재(12)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탄성부재(12)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그 양단이 밀페된 중공부(13)를 형성함과 동시에 리브(14)를 설치하고, 체결공(15)을 통하여 볼트(16)와 그로멧(17)으로서 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고정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8은 그로멧(17)지지 브래킷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승용차의 측면충돌시에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에 고정된 탄성부재((12)에 의하여 그 충격력이 1차 감쇠된 후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 사이드 실 인너 패널(2) 및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에 고정된 보강부재(11)가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12)에서 충격력이 1차 감쇠될 때 탄성부재(12)에는 그 양단이 밀폐된 중공공(13)가 형성됨과 동시에 중공부(13)에 리브(14)가 설치되어 있어 충격감쇠가 양호하고, 사이드 실 본체(10)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이드 실 인너 패널(2)에는 보강부재(11)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강성이 증대되어 충격흡수가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2)는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1)에 볼트(16)로서 고정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접착 등 다른 방법으로 고정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측면충돌시에 탄성부재에서 그 충격력을 1차 감쇠한 다음 사이드 실본체에서 나머지 충격력을 흡수하므로서 탑승자의 골반 상해치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 및 사이드 실 인너패널의 상단부에 플렌지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고정하며,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의 하단부 및 플로워 패널에 형성된 플렌지를 상호 고정함과 동시에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형성된 플렌지를 플로워 패널에 고정하여 사이드 실 본체의 단면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사이드 실 인너 패널의상단 수평부와 수직부에 보강부재를 고정하며, 사이드 실 인너 패널의 외측부에 탄성부재를 고정하여서 된 승용차의 사이드 실.
  2. 제 1항에 있어서, 탄성부재에 중공부를 형성한 승용차의 사이드 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중공부를 밀폐형성하고 중공부에 리브를 설치한 승용차의 사이드 실.
KR1019950031135A 1995-09-21 1995-09-21 승용차의 사이드 실 KR013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135A KR0138810B1 (ko) 1995-09-21 1995-09-21 승용차의 사이드 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135A KR0138810B1 (ko) 1995-09-21 1995-09-21 승용차의 사이드 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364A KR970015364A (ko) 1997-04-28
KR0138810B1 true KR0138810B1 (ko) 1998-06-01

Family

ID=1942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135A KR0138810B1 (ko) 1995-09-21 1995-09-21 승용차의 사이드 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3067A (zh) * 2019-12-05 2020-04-14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汽车的上边梁加强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364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810B1 (ko) 승용차의 사이드 실
KR0176040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충격 흡수 구조
KR100267904B1 (ko) 스트래치 바디형 자동차의 센터필러구조
KR200182571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보강장치
KR100231579B1 (ko) 자동차의 도어 사이드 프로텍터
KR0128314Y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충격 흡수구조
KR100223684B1 (ko) 자동차 도어의 트림 프로텍트 체결구조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100203189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KR0139596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 구조
KR840000399Y1 (ko) 캐브 오우버형 차의 차체 구조
KR100262052B1 (ko)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 고정구조
KR0142461B1 (ko) 자동차용 루프 사이드 레일 어셈블리 구조
KR0160035B1 (ko) 자동차의 측면도아 충격흡수구조
KR100323097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벨트부 보강 구조물
KR100237862B1 (ko) 자동차의 도어벨트부 패딩구조
KR100278202B1 (ko) 차량용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
KR200252717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연결구조
KR980008674A (ko)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 바
KR970041232A (ko) 자동차용 실사이드 충격흡수대
JP2001138845A (ja) 自動車内の衝撃吸収構造
KR19980045237U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KR19980021913U (ko) 도어의 측방 충격 흡수용 보강브래킷
KR19980033469U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코어내장형 사이드 에어댐퍼구조
KR980007233U (ko) 차량용 사이드 도어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