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511B1 -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511B1
KR0138511B1 KR1019900702285A KR900702285A KR0138511B1 KR 0138511 B1 KR0138511 B1 KR 0138511B1 KR 1019900702285 A KR1019900702285 A KR 1019900702285A KR 900702285 A KR900702285 A KR 900702285A KR 0138511 B1 KR0138511 B1 KR 0138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wheel
arm
base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205A (ko
Inventor
티. 엔크 알란
알. 플로터 제프리
Original Assignee
알란 제이. 밀러
리베이-오웬즈-포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란 제이. 밀러, 리베이-오웬즈-포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알란 제이. 밀러
Publication of KR91070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in a continuous way, e.g. roll forming, or press-roll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25/0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during their manufacture
    • C03B2225/02Means for positioning, aligning or orientating the sheets during their travel, e.g. sto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hain Conveyer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Executing Machine-Instructions (AREA)
  • Earth Drill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라인의 횡단방향으로 연장된 레일(71)상에 운반되도록 채용된 수축가능한 휘일(68)상에 장착된 이동 캐리지(37)내에 병합된 가압 굴곡장치에 관한 것이고 이에 의해 생산라인내의 작동 위치 안팎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기구(66)는 상승된 이송 위치와 하강된 작동 위치사이에서 캐리지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한다. 센터링 및 레벨링기구(67)는 캐리지가 작동위치내로 이동될 때 인접한 가열 및 탬퍼링부(21, 23)와 관련된 컨베이어 로울(26)과 가압부재(41, 42)의 적당한 정렬을 보장하기 위하여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센터링 및 레벨링 장치를 장착하고 유리 가열로와 템퍼링부 사이에 배치된 굽힘 가공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른 일부 절결된 부분 단면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을 따른 확대 평면도
제4도는 상승된 이송 위치에 있는 캐리지를 도시하는 이동식 가압 굽힘 가공장치의 캐리지 기부의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와 유사하나, 하강된 작업위치에 있는 캐리지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6-6을 따른 일부 절결된 확대 부분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의 선 7-7을 따른 일부 절결된 확대 측면도
제8도는 제3도와 유사하나, 본 발명의 캐리지 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9-9을 따른 일부 절결된 확대 전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 10-10을 따른 일부 절결된 부분 단면 단부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 11-11을 따른 수직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 12-12를 따른 평면도
제13도는 제3도 및 제8도와 유사하나, 본 발명의 캐리지 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 14-14를 따른 일부 절결된 확대 전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캐리지 휠 및 래치 기구의 일부 절결된 확대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선 16-16을 따른 수직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선 17-17을 따른 수직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리판(glass sheet)을 가압 굽힘 가공하기 위한 장치, 특히, 유니트가 가압 굽힘 가공 라인 내의 작업 위치로 이동될 때 유니트를 센터링(centering) 및 레베링(leveling)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이동식 가압 굽힘 가공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배경]
만곡된 또는 굽힘 가공된 유리판은 자동차 등을 위한 유리 덮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유리 덮개의 모양, 즉, 크기, 형상 및 곡률은 유니트가 설치될 개구 및 자동차의 전체 설계에 의해 결정된다. 자동차는 여러 가지 다양한 설계 및 바디스타일로 제조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다양한 스타일로 유리 덮개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유리 덮개를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양호한 방법에서는, 유리 평판이 연화 온도(softening temperature)까지 가열된다. 연화된 유리는 보상형 성형면들(complemental shaping surfaces0사이에서 소정 곡률로 가압되며, 그 후 만곡된 또는 굽힘 가공된 유리판은 열처리(즉, 유리판 내의 소정 응력 패턴을 얻기 위해 템퍼링, 강화 처리(heat strengthened), 또는 어닐링)된다. 가열 구역, 굽힘 가공 구역 및 굽힘 가공 후 유리판에 잔류하는 열이 최종 열처리(즉, 템퍼링)작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열처리 구역을 연속적으로 포함하는 수평 경로를 따라 컨베이어에 의해 대체로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동안, 이들 작업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상술된 보상형 성형면은 지지 플랜튼 상에 각각 장착된 대향 가압 부재 상에 형성된다. 가압 부재 및 각 플래튼은 사이에 유리판을 수납하도록 유리판의 수평 이동 경로 상하에 하나씩 통상 위치되며, 소정 형상으로 유리판을 가압하도록 서로를 향하여 및 서로로부터 이격되게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유압 실린더는 수평 경로 밖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으로부터 가열된 유리판을 결합하여 상승시켜 하부 플래튼 및 가압 부재를 상방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보통 사용되며, 대향 또는 상부 가압 부재의 성형면에 대해 하부 플래튼 및 가압 부재를 가압한다. 그 후 하부 플래튼은 인접한 열처리부 내로 및 그를 통해 진행하도록 컨베이어 시스템 상에 굽힘 가공된 유리판을 놓기 위해 하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자동차 조립 공장의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다양한 형상의 유리 덮개들이 필요하다. 특히, 조립 공장들이 부품 재고를 없애거나 또는 최소화하여 여러 부품을 자주 그리고 계속적으로 공급받는 데 의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한 부품의 제조로부터 다른 부품의 제조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종래에는 여러 가지 굽힘 가공된 유리 덮개 부품은 별도의 생산 라인에서 제조되었다.
물론, 각각의 다른 부품은 소정 형상을 특별히 얻도록 된 대향 가압 부재들 상의 보상형(complemental0 성형면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처음에는, 이는 생산 라인 상의 가압장치의 상부 및 하부 플래튼과 관련 가압 부재를 교환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연이어 제조되는 부품의 곡률(curvature)의 깊이가 크게 다르면, 하부 플래튼을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 액츄에이터 또는 실린더를 다른 행정 길이를 갖는 유압 액츄에이터 또는 시린더로 교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가압 부재가 가압 장치 내에서 교환될 때마다, 적절히 작동하도록 가압 부재를 레벨링하고 정렬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전체 프로세스는 시간을 많이 소요하며 생산 라인을 정지시켜 생산 시간의 큰 손실을 야기한다.
한 부품의 생산으로부터 다른 부품의 생산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줄이기 위해, 전체 가압 장치가 생산 라인으로부터 제거되어 적절한 성형 부재를 갖는 같은 장치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소위 이동식 가압 굽힘 가공 장치 내에 가압 또는 성형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최소의 구동 및 제어 부재만 분리하여, 하나의 가압 장치를 다른 가압 장치로 대체하고, 구동 및 제어 부재를 다시 연결하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따라서, 교환 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이에 따라 생산손실도 감소된다.
성형부재가 생산 라인으로부터 분리되어 가압 굽힘 가공 장치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상술된 방법은 매우 잘 기능하며 종래 기술이 가압 굽힘 가공 기술에 비해 크게 개선된 것이나, 어떤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성형 부재가 가압 굽힘 가공 장치 내에 설치되고 생산 라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적절히 작업하도록 조절될 수 있을지라도, 기구가 생산 라인에 대해 적절히 정렬되고 레벨링되도록 설치되면서 가압 굽힘 가공장치는 정확히 위치되어야 한다. 이는 교환 시간을 길게 만드는 과도한 시간 및 노동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문제점들은 생산 라인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에 의해 운반되는 휠 상에 가압 굽힘 가공 캐리지 장치를 장착하여 가압 굽힘 가공 캐리지 장치가 생산 라인 내의 위치로 및 위치로부터 운행될(rolled)수 있도록 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작업위치로 및 작업위치로부터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캐리지 장치를 약간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캐리지가 작업 위치로 하강될 때 캐리지의 적절한 횡방향 정렬로 보장하는 센터링 장치가 제공된다. 인접한 가열부 및 열처리부와 컨베이어 롤 및 가압 부재의 적절한 종방향 정렬을 보장하기 위한 레벨링 지지부가 또한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다양한 만곡된 형상으로 유리판을 가압 굽힘 가공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유리 덮개 부품 생산으로부터 다른 유리 덮개 부품 생산으로 전환하기 위해 생산 라인에서 용이하게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는 개선된 이동식 가압 굽힘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생산 라인에 장치를 설치시 가압부재를 센터링 및 레벨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가압 굽힘 가공장치를 제공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라인 상에서 생산 중단을 최소화하면서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에 따라, 가열부, 가압 굽힘 가공부 및 열처리부를 순서대로 포함하며 상기 가압 굽힘 가공부는 상기 순서 내의 작업 위치로 및 작업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유니트로 이동하는 이동식 캐리지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및 하부 굽힘 가공 부재와 관련 컨베이어 롤을 포함하는 형태의 유리판 굽힘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캐리지는 기부 프레임과, 이격된 캐리지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상기 기부에 부착된 휠과, 상기 레일 상에 상기 캐리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휠이 신장된 상승 이송 위치와 상기 휠이 수축된 하강 작업 위치 사이에 상기 기부 및 캐리지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휠이 수축된 상기 작업 위치에서 소정 높이로 상기 캐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가열부 및 열처리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 소정 위치에 상기 캐리지를 위치시켜 상기 소정 위치에 상기 캐리지를 로킹하기 위해 상기 기부에 의해 운반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가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 1도에서는, 가열부(21)과, 굽힘 가공부(22)와, 열처리부(23)을 순서대로 포함하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유리판 굽힘 가공 및 열처리 장치(20)이 도시되어 있다. 굽힘 가공 및 열처리 될 개개의 유리판(S)는 롤러 컨베이어 시스템(24)상의 장치를 통해 지지되고 이송된다. 특히 롤러 컨베이어는 가열부 또는 가열로(21)을 통해 유리판을 운반하기 위한 롤(25)를 포함하는 제 1부분과, 굽힘 가공부(22)내로 및 그를 통해 유리판을 운반하기 위한 롤(26)을 포함하는 제 2부분과, 열처리부(23)을 통해 굽힘 가공된 유리판을 운반하기 위한 롤(27)을 포함하는 제 3부분을 포함한다. 상부면이 유리판(S)가 운반되는 일반적으로 수평 정렬된 일련의 지지체를 한정하도록 롤(25, 26, 27)이 장착되고 구동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롤(26)은 굽힘 가공부(22)의 일체형 부품이며, 굽힘 가공 및 열처리 라인내의 작업 위치 내로 및 그로부터 유리판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가열부(21)은 임의의 종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30), 하부벽(31), 대향 측벽(32) 및 단부벽(33)에 의해 한정되는 가열 챔버(29)을 갖는 터널형 로(28)을 구비할 수도 있다. 챔버(29)는 상부 및 측벽에 위치되어 이동하는 유리판을 소정 패턴으로 가열하도록 적절히 제어되는 가스 연소식 버너 또는 전기 저항 요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종래 방법으로 가열될 수 있다. 유리판(S)는 가열부의 입구 단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단부벽(33)의 개구(34)를 통하여 연장되는 롤러 컨베이어(24)의 롤(25)상에서, 로를 통해 운반된다.
유리판(S)가 챔버(29)를 통해 이송되면서, 단부벽(33)의 개구(34)를 통해 배출될 때, 유리판은 대체로 유리의 연화온도(softening point of lass)로 가열되고,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리판(S)에 소정 곡률을 주는 한 쌍의 가압 부재 사이의 굽힘 가공부(22)로 및 그 내부로 이동하도록 제 2의 열의 롤(26)상에 수납된다.
유리판은 굽힘 가공된 후, 열처리부(23)을 통해 이동하도록 가압 굽힘 가공부 롤(26)으로부터 롤(27)을 지나는 컨베이어(24)를 따라 진행한다. 열처리부가 템퍼링부인 것으로 도시된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 가공된 유리판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유리판의 대향면을 향하여 및 그에 대해 공기 등과 같은 냉각 유체의 대향 스트림을 향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치된 다수의 튜브(237, 238)를 갖는 상부 및 하부 블라스트 헤드(35, 36)사이를 통과한다. 물론, 굽힘 가공된 유리판이 적층된 차유리창으로 사용되도록 어닐링 될 경우에는, 블라스 헤드는 사용되지 않고 유리판은 적절히 제어된 환경에서 소정 패턴에 따라 서서히 냉각될 수 있도록 된다.
가압 굽힘 가공장치에 대해 검토하기로 한다. 제 1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굽힘 가공부(22)는 인접한 가열부 및 템퍼링부로부터 독립되어 가압 굽힘 가공 장치를 운반하는 이동식 캐리지(37)을 포함하여 유리판을 굽힘 가공하기 위한 자체 내장형(self-contained) 유니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캐리지는, 강성의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종방향 비임(39) 및 횡방향 비임(40)에 의해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 연결된 직립 모서리 기둥들(38)을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골격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 2도 및 제 3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프레임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튜브형 부재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가압 굽힘 가공부 롤(26)은 종래의 방법(도시되지 않음)으로 캐리지 상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굽힘 가공될 유리판을 곡률로 성형된 대향 보상형 성형면(opposed complemental shaping surfaces)을 갖는 상부 철형(male) 가압 부재(41) 및 하부 요형(female) 가압 부재(42)는 서로를 향하여 및 서로로부터 이격되게 상대적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캐리지의 골격 프레임 내에 장착된다.
철형 가압 부재(41)은 플래튼 프레임(46)상에 수반되는 기부 판(45)에 커넥팅 로드(44)에 의해 부착된 연속 성형 요소(4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래튼 프레임은 유리판이 요형과 철형 가압 부재 사이에서 다양한 곡률도(degree of curvature)로 굽힘 가공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플래튼 프레임(46)은 캐리지 프레임 내에서 나사 잭 로드(47)의 하단부에 수반된다.
로드(47)은 캐리지(37)의 상부에 비임(39, 40)에 의해 구성된 프레임 상에서 수반되는 나사 잭 기부(49)의 회전 가능 칼라(48)내에 나사 결합 가능하게 수납된다. 프레임 상부에 또한 수반되는 모터 구동 유니트(50)은 로드(47)을 신장 및 수축시키도록 칼라(48)을 함께 회전시켜 그에 대응하여 플래튼 프레임(46) 및 성형요소(43)을 하강 및 상승시키도록 된 구동축(51)을 포함한다. 플래튼 프레임(46)은 이하에 상세히 기술된 요형 가압 부재(42)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프레임이 캐리지(37)내의 정확한 수직 경로를 따라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하는 것은 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플래튼 프레임(46)의 각 모서리에 롤러 안정 가이드 수단(52)이 제공된다. 제 2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수단은 모서리에서 플래튼 프레임(46)에 부착된 외향으로 연장된 브래킷(53)을 포함한다. 각 브래킷(53)은 관련된 모서리 기둥(38)의 인접 벽에 부착된 트랙 판(55)를 운행하도록 결합된 이격된 한 쌍의 롤러(54)를 수반한다. 따라서 플래튼 프레임(46)은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으나, 횡방향 이동에 대해 견고히 고정된다. 즉, 플래튼 프레임은 수직 경로를 따른 이동에만 한정된다.
하부 또는 요형 가압 부재(42)는 가압 굽힘 가공부 롤(26) 아래에 통상 위치되며, 롤러부터 유리판(S)을 상승시켜 상부 철형 가압 부재(41)에 대해 유리판을 가압하여 그 후 롤상에 굽힘 가공된 유리판을 놓기 위해 수직 왕복 운동하도록 장착된다. 롤러부터 유리판을 상승시키도록 롤(26)들 사이에서 상방으로 통과될 수 있게하기 위해서는, 굽힘 가공될 유리판(S) 모양의 성형 레일 또는 굽히 가공될 유리판의 모양과 같은 링형 구조로 연속하여 구성된 요형 가압 부재(42)는 롤들 중 인접한 롤들 사이에서 통과되도록 충분히 이격된 다수의 세그먼트(56)으로 형성된다. 개별 세그먼트(56)은 커넥팅 로드(58)에 의해 기부 부재(57)에 이격되어 부착된다. 또한, 기부 부재는 이동식 캐리지의 프레임 내에서 수직 왕복 운동하도록 플래튼 프레임을 한정하기 위한 안정 가이드 수단(52, 제 2도)를 각 모서리에 갖는 하부 플래튼 프레임(59)에 의해 운반된다.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 왕복 멈치 수단(60)은 상부 및 하부 가압 부재(43,56)에 대해 들어오는 유리판(S)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롤(26)중 인접 롤들 사이에 프레임(59)상에 종래 방식으로 제공된다.
비임(39, 40)에 의해 한정된 기부 프레임(62)사이에 장착된 유압 작동식 실린더(61)은 링 세그먼트(56)이 컨베이어 롤(26)의 아래에 있는 위치와 링 세그먼트가 컨베이어 롤러부터 가열된 유리판(S)를 상승시켜 소정의 곡률로 정확하게 유리판을 굽힘 가공하도록 철형 가압 부재(41)에 대해 링 세그먼트(56)과 요소(43)의 보상형 성형면 사이의 유리판을가압하도록 된 상승 위치 사이에서 하부 또는 요형 가압부재(42)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플래튼 프레임(59)에 말단부가 부착된 피스톤로드(63)을 포함한다. 굽힘 가공 완료 후, 플래튼 프레임(59)는 컨베이어 롤(26)아래로 링 세그먼트(56)을 후퇴시키도록 하강되어 템퍼링부(23)으로 이송하기 위해 컨베이어 롤 상에 굽힘 가공된 유리판을 올려 놓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전체 굽힘 가공 장치는 이동식 캐리지(37) 내에 장착되어, 한 부품의 생산으로부터 다른 부품의 생산으로 전환시 생산 시간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니트로서 제거되어 교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식 캐리지의 기부 프레임(62)는 생산 라인 내에서 작업 위치로 및 작업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캐리지 및 관련 가압 굽힘 가공 장치를 운행하여 이동시키고 롤 및 가압 부재가 가열부(21)로부터 평판을 수납받아 굽힘 가공된 유리판을 템퍼링부(23)내로 진행시키기 위해 적절히 방향 잡히도록 캐리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 3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립 모서리기둥(38)에 각각 부착된 종방향 및 횡방향 비임(39, 40)을 포함하는 기부 프레임(62)는 비임(39)들 사이에 연장된 이격된 내부 횡방향 비임(64), 및 비임(64)들 사이에 연장되어 이동식 캐리지(37)용 이송 기구(66)과 센터링 및 로킹 기구(67)을 장착하기 위한 플랫폼을 한정하는 이격된 크로스 비임(65)을 또한 포함한다.
이송 기구는 캐리지의 횡방향 이동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상승된 이송 위치와 하강된 작업위치 사이의 수직 이동을 위해서 제공된다. 따라서, 기부 프레임(62)의 각 하부 모서리에 인접하여, 브래킷(70)에 의해 종방향 비임들(40, 64)사이 및 하나의 비임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 이격된 로커 아암(69)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홈을 갖는 휠(68)을 포함하는 승강(lift) 휠 조립체가 제공된다. 휠의 홈을 갖는 외주는 장치의 바닥(72)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부착된 대응 성형된 평행 레일에 수납되어 올라타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레일은 거꾸로 된 앵글 부재의 형태일 수도 있다.
휠(68)을 이송하는 아암(69)는 캐리지를 승강시키기 위해 브래킷(70)에서 피봇하도록 되어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한 작동기구는 제 4도, 제 5도 및 제 6도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의 양 측면에 대향되고 정렬된 승강 휠 조립체 사이에 연장된 긴 작동 바아(73)을 포함한다. 특히 승강 바아는 각 단부에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축 방향으로 정렬된 홈을 갖는 롤러(75)(제 6도)를 갖는 한 쌍의 이격된 판 부재(74)를 포함하며 상기 홈을 갖는 롤러는, 크로스부재(77)상에서 로커 아암(69)에서 걸쳐 수반되는 대응하는 짧은 레일부(76)을 따라 운행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 바아의 각 단부위에 위치된 회전 잭(78)은 비임(40, 64)에 의해 수반되는 판(79)상에 장착된다. 각 로터리 잭의 스핀들(80)은 판 부재(74)에 걸쳐있는 판(81)에 하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 4도 및 제 5도에 명백한바와 같이, 스핀들이 로터리 잭의 작동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될 때, 작동바아(73)의 관련 단부는 상응하여 하강 또는 상승되어, 로커 아암(69)가 하향 또는 상향 회전하여 캐리지(37)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킬 것이다.
4개의 회전 잭(78)은 캐리지를 수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기부 프레임(62) 상에 운반되는 단일 구동 유니트(82)에 의해 일체로 작동된다. 따라서, 역회전 가능모터(8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 유니트의 기어 감속 유니트(83)은 캐리지의 양 측면에서 각각 기어 박스(88, 89)에 연결된 캐리지의 인접 단부에서 회전 잭(78)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축(90, 91)은 캐리지의 인접 단부에서 회전 잭(78)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축(90, 91)의 연장축(92, 93)은 캐리지의 말단부에서 회전 잭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적절한 방향으로 모터를 작동함으로써 네 개의 회전 잭은 스핀들(80)을 신축하도록 일체로 작동되어, 그에 의해 각각 제 4도 및 제 5도의 상승 및 하강 위치 사이에서 캐리지를 이동시킬 것이다.
생산 라인 내의 작업 위치에서 캐리지를 정확히 측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용이하게 하게 위해서 및 그 위치에 캐리지를 로킹하기 위해서, 상술된 센터링 및 로킹기구(67)이 캐리지 아래에 제공된다. 제 7도에 가장 잘 도시된 상기 기구는, 장치의 바닥(72)상의 기부 판구조(95)에 부착된 직립 멈치 판(94)을 포함한다. 리브 또는 필렛(96)이 보강을 위해 멈치 판 뒤에 제공된다. 비임(64)에 부착된 앵글 부재(97)은 내부에 하방 개방요홈(99)을 갖는 새들 판(98)을 수반한다. 앵글 부재(97) 및 새들 판(98)에는 보강 웨브(100, 101)이 각각 제공된다. 양 측면의 새들 판(98)에 하나씩, 사이에 연장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한 축(103)을 갖는 이격된 한 쌍의 필로우 블록(102)가 기부 판 구조물(95) 사에 장착된다. 제 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37)이 하강된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축은 새들의 요홈(99)내에 수납되도록 된다.
제 4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동식 캐리지가 작업 위치로부터 이동될 때 레일(71)을 따라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되며, 작업 위치 내로 이동하도록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캐리지가 위치 내로 운행하면서 축(103)과 요홈(99)가 정렬하는 것을 돕기 위해, 멈치 판(94)와 협동하는 위치에, 멈치 판과 결합하기 위한 탄성 헤드(105)를 갖는 범퍼(104) 및 근접(proximity) 스위치(106)이 새들 판(98)에 부착된다. 근접 스위치는 구동 유니트(82)의 모터(84)를 작동시켜 이동식 캐리지를 하강시키도록 휠(68)을 수축시키기 위해 라인(107')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전달되는, 멈치 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서 신호를 발생하도록 작동 가능한 감지 헤드(107)을 포함한다. 범퍼(104)의 탄성 헤드가 멈치 판과 결합하기 때문에 요홈(99)는 축(103)위에 대략적으로 센터링될 것이다. 요홈 및 축이 약간 잘못 정렬될 수도 있으므로, 새들 판(98)의 하단부는 슬롯을 향해 상향 및 내향으로 굽혀져 슬롯의 양 측면 상의 라운드진(rounded)엣지가 형성된다. 따라서, 슬롯이 회전가능한 축위에 완전히 센터링되지 않는다면, 캐리지가 하강될 때 라운드진 엣지는 축을 슬롯내로 안내하며, 캐리지를 이동시켜 캐리지가 작업 위치로 이동될 때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센터링될 것이다.
가압 굽힘 가공 장치가 적절히 기능하기 위해, 이동식 캐리지가 작업 위치로 이동될 때마다, 인접한 가열 및 템퍼링부에 대해 적절한 높이에 있고 적절히 레벨링 되는 것이 필요하다. 굽힘 기공부가 교환될 때마다 시간이 소요되는 높이의 수동 교환이 필요한 것을 피하기 위해, 각 이동식 캐리지가 생산 라인 내의 작업 위치로 이동될 때 동일한 기준 높이로 셋팅되도록 이송 기구(66)에 독립된 캐리지용 레벨링 지지체 시스템이 제공된다. 특히, 상향 부하 베어링 면(109)를 갖는 페데스탈(108)이 캐리지의 각 모서리 구역 아래의 바닥(72) 상에 제공된다. 기부 프레임(62)의 내부 비임(64)에 부착된 장착 브래킷(110)은 캐리지가 작업 위치에 있을 때 각 페데스탈 위에 하나씩 위치되도록 된 지지 블록(111)을 수반한다. 적절한 두께의 심 판 또는 판(112)는 필요시 각 지지 블록의 하부에 부착되어 캐리지가 제 4도에 도시된작업 위치로 하강될 때 심 판은 페데스탈의 표면(109)상에 놓여, 이동식 캐리지 상의 롤(26) 및 가압 부재(41, 42)는 적절한 높이로 레벨링될 것이다. 이송 및 굽힘 가공 부재는 캐리지 상의 고정 기준 평면에 대해 세팅된다. 따라서, 일단 캐리지가 적절한 심 판(112)로 세팅되고 레벨링되면, 매번 이동식 캐리지가 제 위치로 운행되어 페데스탈로 하강되어 기구를 센터링 및 로킹할 때마다 기구는 적당한 높이 및 정렬 상태로 복귀될 것이다.
제 8도 내지 제 12도에서는, 이동식 캐리지의 기부 및 이송 기구에 대해 약간 다른 구조를 사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점에서는, 그 구조는 상술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 8도 및 제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는 이동식 캐리지(37)의 변형된 기부 프레임(114)에 부착된 이송 기구(113)을 포함한다. 특히, 프레임(114)는 서로 연결된 기부 모서리 기둥(38), 종방향 비임(39), 횡방향 비임(64) 및 크로스 비임(65)을 포함한다. 생산 라인 내에서 작업 위치로 및 그로부터 이동식 캐리지를 승강시켜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 기구(113)은 각 모서리에 하나씩 기부 프레임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개별 승강 유니트(115)를 포함한다. 잭 구동부(116)은 그 측면의 승강 유니트를 작동하도록 프레임의 양 측면에 제공된다.
예시를 위해, 제 9도 및 제 11도에서 승강 유니트(115)는 하강 또는 작업 위치에서는 실선으로, 상승 또는 이송 위치에서는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각 유니트는, 기부 프레임의 크로스 비임(122)에 부착된 브래킷(121)에 핀(120)에 의해 한 단부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이격된 아암(119) 사이의 액슬(11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레일(71) 상에 탑재하도록 홈을 갖는 외주를 갖는 휠(117)을 포함한다. 이격된 아암은 이격 부재(12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휠(117)을 수반하는 아암(119)는 핀(120)에 대해 피봇하도록 되고, 그에 의해 잭 기구(124)에 의해 휠을 신축시킨다. 잭 기구는 기부 프레임에 부착되고 잭 기동부(116)에 의해 종방향 축에 대해 양 방향으로 종래 방법으로 회전하도록 된 회전 스핀들(126)은 갖는 잭 기부(125)를 포함한다. 스핀들은 롤러 조립체(128)을 수반하는 각 측면의 스핀들 상의 칼라(127)에 나사 결합 수납되어 관통한다. 각 롤러 조립체는, 외주 표면이 기부 프레임에 부착된 베어링 판(132)을 운행 결합하도록 되면서, 사이에 연장된 액슬(131)상에 장착된 한 쌍의 제 1롤러(130)를 갖는 한 쌍의 이격된 단부판(129)를 포함한다. 제 2롤러(133)은 액슬(134)에 의해 각 롤러 조립체의 이격된 단부판들 사이에 또한 장착된다.
제 11도 및 제 12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핀들(126)은 아암(119) 사이에 부착된 앵글 브래킷(137)의 수평 레그(136)내에 형성된 개방 측면을 갖는 긴 슬롯(135)를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보강판(138)이 슬롯의 양측면 상의 수평 레그 아래에 제공되며, 레그의 상부 면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휠(117)을 신축하기 위해 롤러(133)이 이동되는 마모 판(139)를 삽입하기 위한 요홈이 있다. 잭 기부(125)의 양 측면에서 가이드 판(140)은 롤러 조립체가 수직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정하는 베어링 판(132)(제 9도)의 측면 에지와 중첩된다.
잭 기구(124)를 작동시키기 위한 잭 구동 유니트(116)이 기부 프레임(114)의 각 에지에 제공된다. 별도의 구동 유니트가 각 에지에서 두 개의 잭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네 개의 모든 기구는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당한 축에 의해 단일 구동 유니트로부터 동력을 받을 수도 있다. 잭 구동부(116)은 장착 브래킷(143)에 의해 기부 프레임(114)에 부착된 모터(141) 및 관련 기어 감속 유니트(142)를 포함한다. 감속 유니트에 의해 구동되는 축(144)는 잭 기부(125)에 연장되어 두 개의 잭 기구(124)의 스핀들(126)을 일체로 회전시킨다. 스핀들이 칼라(127) 내에서 회전될 때, 롤러 조립체(128)은 스핀들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롤러(130)이 베어링판(13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때, 롤러(133)는 마모 판(139)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제9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유니트를 조정함으로써 승강 유니트(115)는 실선으로 도시된 수축된 위치와 가상선으로 도시된 신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어, 하강된 작업 위치와 상승된 이송위치 사이에서 이동식 캐리지를 대응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센터링 및 로킹 기구(67)과 페델스탈(108)과 지지 블록(111)을 포함하는 레벨링 기구는 상술된 실시예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기능한다.
제13도 내지 제17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캐리지용 기부 및 이송 기구의 또 다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 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식 캐리지(37)용 기부는 레벨링 스탠드뿐만 아니라 센터링 및 로킹기구(67)이 기부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된 변형된 구조의 기부 프레임(145)를 포함한다. 이동식 캐리지를 승강시키기 위해 각 모서리에, 이동식 캐리지를 작업 위치로 및 그로부터 이동시키도록 연장된 위치에서 로크되어 그 후 유압 잭 수단에 의해 작업 위치로 캐리지가 하강될 수 있도록 래치가 해제되는 휠을 갖는, 개별 유압 잭 수단을 포함하는 변형된 이송 기구(146)이 제공된다.
따라서, 기부 프레임(145)는 횡방향 비임(148)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단부가 모서리 기둥(38) 연결된 종방향 비임(147)로 구성된다. 크로스 비임(149)는 횡방향 비임들 사이에서 그를 따라 이격되어 연장되며, 중심 크로스 비임은 유압 작동 실린더(61)를 장착하기 위한 기부 판(150)을 수반한다. 센터링 및 로킹 기구(67)은 모서리 기둥(38)중 하나로부터 연장된 아암(151)에 부착되어 작업 위치로 이동식 캐리지의 이동시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굽힘 가공부(22)를 따라 위치된다.
변형된 이송 기구(146)은 기부 프레임(145)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여 레일(71)을 수요하기 위한 홈을 갖는 또는 V형 외주 림(155)를 가지며 분기된 아암(154)에 의해 수반되는 액슬(153)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휠(152)를 포함한다. 아암은 기부 프레임에 부착된 브래킷(157)상에 피봇 핀(156)에 의해 피봇 및 스윙식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휠은 제 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이 레일(71) 상에 있으며 이동식 캐리지(37)이 상승된 이송 위치에 있는 신장된 위치와 캐리지와 하강된 작업 위치에 있는 수축된 위치(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피봇 핀(156)에 대해 스윙될 수 있다.
제 14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서리에 하나씩 제공되고 프레임에 수반된 적절히 제어되는 유압 실린더(158)에 의해 이동식 캐리지는 작업위치와 이송 위치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된다. 신장 가능 피스톤 로드(159)는 실린더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말단부에 패드(160)을 수반한다. 작업 위치에서 캐리지 아래 위치된 기부(161)은 피스톤 로드가 신장될 때 패드(160)에 의해 결합되도록 위치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한 상방으로 향한 일련의 롤러(162)를 포함한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는 하강되어 센터링 및 로킹 기구(67)와 결합될 때 센터링 및 로킹 기구의 축(103)위에 리세스(99)를 자유롭게 센터링 하도록 패드(160)상에 지지되면서 로울러 상에서 필요한 만큼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식 캐리지가 상승된 이송 위치에 있으면서 롤러(162)로부터 패드(160)을 분리하도록 피스톤 로드(159)를 수축되게할 수 있기 위해서는, 휠 지지부에는 신장된 위치에서 휠을 해제 가능하게 래칭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아암(154)는 핀(156)에 대해 피봇하여 휠(152)는 제 14도의 신장된 이송위치와 새들 판(98)의 요홈(99)이 센터링 및 로킹 기구(67)의 축(103)을 결합하는 수축된 작업 위치(도시 안됨)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캐리지가 작업 위치로 하강될 때 적절히 레벨링된 높이를 갖도록 레벨링 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이를 위해 지지 블록(163)이 프레임이 각 모서리에 비임(147) 아래에 제공된다. 지지 블록은 기부(161)상의 하나 이상의 심(165)에 의해 적절한 높이로 된 표면(164)상에 결합되어 놓이도록 된다.
특히 휠용 래치 기구는 후방에 분기된 아암(167)을 갖는 래치 핑거(166)을 포함한다. 래치 핑거는 아암(167)을 통해 연장된 핀(169)에 의해 브래킷(157)상의 장착 신장부(168)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터드 볼트(173)에 의해 장착 신장부(168)에 부착된 편위 판(172)의 하부면을 결합하는 스프링 가압된 신장 가능한 플런저(171)을 갖는 래치 핑거 편위 장치(170)이 각 아암(167)내에 부착된다. 따라서, 편위 장치는 아암(154)을 향해 피봇 핀(169)에 대해 하방으로 래치 핑거(166)을 압박한다.
한 단부가 아암(154)에 다른 단부가 브래킷(157)에 부착된 인장 스프링(174)는 제 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위치 쪽으로 아암(154) 및 휠(152)을 편위시킨다. 따라서, 이동식 캐리지가 실린더(158)에 의해 상승될 때, 휠은 신장될 것이며, 역으로 신장된 위치에서 래칭되지 않는 한 실린더에 의해 캐리지가 하강될 때 캐리지의 무게에 의해 수축될 것이다. 이동식 캐리지의 이송을 위한 신장된 위치에 휠을 선택적으로 로킹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아암(154)는 그 상단부에 사이에 채널(176)을 한정하며 전방을 향한 벽(177)을 갖는 이격된 연장부(175)가 형성된다. 래치 핑거(166)는 연장부(175)들 사이의 채널(176)내로 연장되도록 된 돌기부(178) 및 벽(177) 후방에 결합되도록 된 돌출부의 양측면 상의 단부벽(179)가 유사하게 형성된다. 스프링 가압된 플런저(171)의 편위 작용에 의해, 휠이 완전히 신장된 위치에 있을 때 래치 핑거는 벽(177) 후방의 단부 벽(179)를 위치시키도록 하방으로 압박될 것이다. 따라서 피스톤(159)가 수축되면, 아암(154)는 벽(179)가 벽(177)과 결합될 때까지 상방으로 피봇하여, 핑거는 아암을 래칭하고, 신장된 이송 위치에서 휠(152)을 래칭할 것이다.
이동식 캐리지를 작업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해, 캐리지를 약간 상승시켜 휠(152)로부터 중량을 이동시키도록 피스톤 로드(159)가 제 14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신장된다. 피스톤 로드가 수축될 때 아암(154)는 상방으로 피봇되어 캐리지가 하강될 수 있도록 그 후 래치 핑거(166)은 제 14도의 가상선 위치까지 상방으로 피봇될 것이다.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유압 래치 해제 기구(180)이 각 래치 핑거 아래에 제공된다. 특히 기구는 채널(175)내의 요홈(183)의 기부 내의 구멍(182)내로 나사 삽입된 소형 유압 실린더(18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린더로부터 연장된 피스톤 로드(184) 및 구멍(18)는 적절히 제어된 유압 유체의 소오스(도시 안됨)와 통로(185) 및 커플링(186)에 의해 유체 연결된다. 따라서 유압 유체는 통로를 통해 소정 압력으로 실린더에 유입되며, 피스톤 로드는 제 14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래치 핑거(166)을 피봇시키도록 신장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가압 유체의 공급이 중단될 때, 스프링 가압된 플런저(171)은 래치 핑거를 하방으로 압박하여 피스톤 로드(184)를 수축시킬 것이다.
래치 핑거 및 주 승강 실린더(158)의 기능을 조정하기 위해, 각 래치 핑거의 전방 단부에서 직립 작동 아암(187)이 제공된다. 근접 스위치(188)은 브래킷(157)의 장착 신장부(168)에 부착된 제 2아암(189)상에 고정위치에 장착된다. 따라서 래치 핑거가 해제 기구(180)에 의해 해제 위치로 상향 피봇될 때, 작동 아암은 근접 스위치를 향해 유사하게 스위되어 인접 스위치를 작동시킬 것이고, 주실린더(158)에 대해 제어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신호를 제공하여 래치가 해제 위치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8)

  1. 가열부, 굽힘가공부, 및 열처리부를 순서대로 포함하며 상기 굽힘가공부는 상기 순서 내의 작업 위치로 및 작업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유니트로서 이동하는 이동식 캐리지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및 하부 굽힘 가공부재와 관련 컨베이어 롤을 포함하는 형태의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캐리지는 기부 프레임과, 이격된 캐리지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상기 기부에 부착된 휠과, 상기 레일 상에 상기 캐리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휠이 신장된 상승 이송 위치와 상기 휠이 수축된 하강 직업 위치 사이에 상기 기부 및 캐리지를 수직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휠이 수축된 상기 직업 위치에서 소정 높이로 상기 캐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가열부 미 열처리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 소정 위치에 상기 캐리지를 위치시켜 상기 소정 위치에 상기 캐리지를 로킹하기 위해 상기 기부에 수반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휠이 장착된 아암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각 아암을 부착하는 피봇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휠은 상기 신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아암 상의 상기 피봇 수단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휠이 장착된 아암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각 아암을 부착하는 피봇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휠은 상기 신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아암 상의 상기 피봇 수단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이 수축된 상기 캐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캐리지가 상기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레임 아래에 위치된 다수의 페데스탈 수단과, 상기 페데스탈 수단과 결합하여 그 위에 놓여 상기 캐리지가 상기 소정 높이에 있도록 된 상기 프레임 상의 대응 지지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위치 설정 및 로킹 수단은 고정 멈치 부재와, 상기 캐리지가 상기 작업 위치로 진행될 때 상기 멈치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상기 캐리지 상의 범퍼와, 고정 정렬 부재와, 상기 캐리지가 하강될 때 상기 소정 횡방향 정렬 위치로 상기 캐리지를 정확히 이동시켜 상기 소정 위치에 상기 캐리지를 로킹하기 위해 상기 고정 정렬 부재와 협력하도록 된 상기 기부 상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평면 사각형이며, 상기 기부의 각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휠과, 상기 피봇 수단에 대해 상기 아암을 피봇하기 위해 상기 아암에 작동 연결된 상기 각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기부에 부착된 잭 수단과, 상기 휠을 신축시키기 위해 상기 잭 수단을 역전 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휠의 쌍들은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정렬된 아암의 자유단 사이에 연장된 작동 바아와, 상기 바아에 대해 스핀들 베어링을 갖는 상기 바아의 각 단부의 상기 잭 수단과, 상기 아암과 운행하도록 결합된 상기 작동 바아의 롤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잭 수단을 역전 가능하게 구동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잭 수단의 전부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단일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잭 수단은 로터리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이 회전될 때 상기 스핀들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스핀들 상에 나사 장착된 칼라와, 상기 칼라에 부착된 롤러 조립체와, 상기 스핀들이 신장되는 긴 슬롯을 포함하는 상기 아암 상의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 조립체는 상기 스핀들의 양 측면 상에 상기 브래킷에 대해 롤러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가공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고정 멈치 부재와, 상기 캐리지가 상기 작업 위치로 진행될 때 상기 멈치 부재와 결합되기 위한 상기 캐리지 상의 범퍼와, 상기 잭 수단을 구동하는 상기 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캐리지를 하강시키기 위해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멈치 부재에 의해 작동되도록 위치된 상기 캐리지 상의 근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프레임의 각 단부에 횡방향으로 정렬된 휠을 위한 잭 수단의 쌍을 구동하도록 작동 가능한 구동 유니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상기 기부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평면 사각형이며, 상기 기부의 각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휠과, 각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기부에 부착되고 하단부에 패드를 갖는 하향 신축 가능한 축을 각각 포함하는 잭 수단과, 상기 캐리지가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잭 수단 아래에 위치된 기부와, 상기 잭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상기 캐리지의 측방향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패드와 결합하도록 된 상기 기부 상의 롤러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휠의 신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 자유로이 피봇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캐리지가 상기 작업 위치로 하강될 때 가해진 부하에 대응하여 상기 휠이 수축될 수 있으면서 신장된 위치를 향해 상기 암 및 휠을 편위시키는 스프링 수단과, 신장된 이송 위치에 상기 아암 및 휠을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한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상기 기부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휠 및 아암이 상기 스프링 수단에 의해 신장될 때 로킹 위치로 이동하도록 된 래치 핑거와, 상기 로킹 위치를 향해 상기 래치 핑거를 통상 편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핑거와 결합하도록 위치된 왕복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상기 각 휠에 대한 래치 해제 기구와, 상기 로킹 위치로부터 상기 편위 수단에 대해 상기 핑거를 피봇시키도록 상기 플러저를 선택적으로 신장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피봇 이동하기 위해 상기 래치 핑거 상에 장착된 작동 아암과, 상기 래치 핑거가 상기 플런저에 의해 로킹 위치로부터 피봇될 때 상기 작동 아암에 의해 작동되도록 위치된 근접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 스위치는 래치 핑거의 해제 위치를 표시하는 대응 잭 수단에 전달되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휠이 수축된 상기 캐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기부 프레임 아래에 위치된 다수의 페데스탈 수단과, 상기 페데스탈 수단과 결합하여 그 위에 놓임으로써 상기 캐리지가 상기 소정 높이에 있게 하기 위한 상기 프레임 상의 대응 지지 블록과, 상기 캐리지가 작업 위치로 진행될 때 상기 멈치 부재와 결합하는 상기 캐리지 상의 범퍼와, 고정 정렬 부재와, 상기 캐리지가 하강될 때 상기 소정 횡방향 정렬 위치로 상기 캐리지를 정확히 이동시켜 상기 소정 위치에 상기 캐리지를 로킹하기 위해 상기 고정 정렬 부재와 협력하도록 된 상기 기부 프레임 상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정렬 부재는 상기 캐리지 레일의 횡방향으로 신장되는 원통형 축을 포함하며, 상기 기부 프레임 상의 협력수단은 상기 캐리지가 작업 위치로 하강될 때 상기 원통형 축의 횡방향으로 신장되는 새들 판 및 상기 원통형 축을 수납하도록 된 상기 새들 판 내의 대응 성형된 개방 단부로된 요홈을 포함하며, 상기 새들 판은 상기 캐리지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원통형 축과 상기 요홈의 잘못된 정렬을 수정하도록 상기 요홈의 양 측면 상에 라운드진엣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굽힘 가공장치.
KR1019900702285A 1989-02-17 1990-02-14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 KR0138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2120 1989-02-17
US07/312,120 US4872898A (en) 1989-02-17 1989-02-17 Centering and leveling of mobile press bending apparatus
PCT/US1990/000840 WO1990009354A1 (en) 1989-02-17 1990-02-14 Centering and levelling of mobile press ben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205A KR910700205A (ko) 1991-03-14
KR0138511B1 true KR0138511B1 (ko) 1998-04-27

Family

ID=23209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285A KR0138511B1 (ko) 1989-02-17 1990-02-14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4872898A (ko)
EP (1) EP0424478B1 (ko)
JP (1) JP2828504B2 (ko)
KR (1) KR0138511B1 (ko)
CN (1) CN1022234C (ko)
AT (1) ATE110356T1 (ko)
AU (1) AU625158B2 (ko)
BR (1) BR9005245A (ko)
CA (1) CA2001650C (ko)
CZ (1) CZ285315B6 (ko)
DD (1) DD292646A5 (ko)
DE (1) DE69011805T2 (ko)
ES (1) ES2017387A6 (ko)
FI (1) FI89791C (ko)
HU (1) HUT72902A (ko)
MX (1) MX164165B (ko)
PL (1) PL164831B1 (ko)
TR (1) TR24344A (ko)
WO (1) WO1990009354A1 (ko)
YU (1) YU46945B (ko)
ZA (1) ZA8982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398B1 (ko) * 2004-09-21 2006-07-19 미래산업 주식회사 유리성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7102A (en) * 1989-03-14 1990-01-30 Libbey-Owens-Ford Co. Glass sheet press bending mold
US5143535A (en) * 1991-07-19 1992-09-01 Libbey-Owens-Ford C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US5498275A (en) * 1993-10-18 1996-03-12 Glasstech, Inc. Glass sheet bending apparatus
GB9407610D0 (en) * 1994-04-15 1994-06-08 Pilkington Glass Ltd Bending and tempering glass sheets
US5743931A (en) * 1995-08-14 1998-04-28 Libbey-Owens-Ford Co. Glass sheet conveying and bending apparatus
US6543255B2 (en) 2001-06-19 2003-04-08 Glasstech, Inc. Press bending station and method for job switching
US6513348B2 (en) 2001-06-19 2003-02-04 Glasstech, Inc. Quench station and method for quenching formed glass sheets
US6578383B2 (en) 2001-06-19 2003-06-17 Glasste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oll bending heated glass sheets
CN101736468B (zh) * 2010-01-18 2013-05-01 南通纺织职业技术学院 节能、低污染纱线柔软加工方法
US20110247367A1 (en) * 2010-04-08 2011-10-13 Glasstech, Inc. Press bending station and method for bending heated glass sheets
US9963945B2 (en) * 2015-04-03 2018-05-08 Creo, Llc Hydraulic pump spacing device and system
PL3303233T3 (pl) * 2015-05-27 2019-09-30 Pilkington Group Limited Sposób i urządzenie do kształtowania arkuszy szkła
TW201720766A (zh) * 2015-11-02 2017-06-16 玻璃技術股份有限公司 玻璃片材塑模設備及方法
CA3003403C (en) * 2015-11-02 2020-08-11 Glasstech, Inc. Glass sheet forming system
US9745147B2 (en) 2015-11-02 2017-08-29 Glasstech, Inc. Glass sheet forming system
DE102016124876A1 (de) 2016-12-19 2018-06-21 Cl Schutzrechtsverwaltungs Gmbh Anlage zur additiven Herstellung dreidimensionaler Objekte
CN110542377B (zh) * 2019-09-17 2021-05-28 青岛迈朗格金属加工配送有限公司 用于重卡零配件生产的检测测量快速找正装置
FR3106827B1 (fr) * 2020-01-31 2022-02-04 Saint Gobain Procédé et dispositif de bombage d’une feuille de verre par pressage contre une forme de bombage
CA3080552A1 (en) * 2020-05-01 2021-11-01 Richard K. Young Polished rod elevators, and related methods of use
FR3111888B1 (fr) 2020-06-26 2022-07-22 Saint Gobain Forme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comprenant un circuit de chauffage et un circuit de refroidissement
FR3129937B1 (fr) 2021-12-03 2023-11-24 Saint Gobain Système pour la collecte d’une feuille de verre, procédé de mise en forme d’une feuille de verre au moyen d’un tel système de collec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4996A (en) * 1974-05-02 1976-01-27 Ppg Industries, Inc. Conveyor rolls on conveyor roll systems for roll forming apparatus
US3951634A (en) * 1974-06-20 1976-04-20 Libbey-Owens-Ford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ending and tempering thin glass sheets
US4111676A (en) * 1977-06-27 1978-09-05 Ppg Industries, Inc. Adaptation of glass shaping means for tempering flat glass
US4421225A (en) * 1981-09-08 1983-12-20 Libbey-Owens-Ford Company Material handl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398B1 (ko) * 2004-09-21 2006-07-19 미래산업 주식회사 유리성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85315B6 (cs) 1999-07-14
FI89791C (fi) 1993-11-25
ATE110356T1 (de) 1994-09-15
CN1022234C (zh) 1993-09-29
EP0424478A1 (en) 1991-05-02
PL164831B1 (pl) 1994-10-31
CN1045382A (zh) 1990-09-19
YU30390A (en) 1991-10-31
FI89791B (fi) 1993-08-13
US4872898A (en) 1989-10-10
AU625158B2 (en) 1992-07-02
DD292646A5 (de) 1991-08-08
BR9005245A (pt) 1991-08-06
CA2001650C (en) 1999-12-21
CA2001650A1 (en) 1990-08-17
KR910700205A (ko) 1991-03-14
FI904994A0 (fi) 1990-10-11
MX164165B (es) 1992-07-21
EP0424478A4 (en) 1991-07-03
AU5156990A (en) 1990-09-05
JP2828504B2 (ja) 1998-11-25
WO1990009354A1 (en) 1990-08-23
ZA898267B (en) 1990-08-29
TR24344A (tr) 1991-09-01
YU46945B (sh) 1994-06-24
EP0424478B1 (en) 1994-08-24
ES2017387A6 (es) 1991-01-16
DE69011805T2 (de) 1995-04-13
CZ75090A3 (en) 1997-03-12
DE69011805D1 (de) 1994-09-29
HUT72902A (en) 1996-06-28
JPH03504119A (ja) 1991-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511B1 (ko) 판유리 굽힘 가공 장치
US48835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and conveying glass sheets
EP0315381B1 (en) Transfer device for transfer presses
KR100427926B1 (ko) 유리시트이송및절곡장치
KR900006112B1 (ko) 열연화성 박판 물질의 성형 방법 및 장치
US5292356A (en) Support mechanism for a glass sheet press bending mold
KR20130056237A (ko) 가열된 판유리를 절곡시키기 위한 가압 절곡 스테이션
FI58623C (fi) Anordning foer boejning av vaermeuppmjukade glasskivor
JPH0531507B2 (ko)
FI82025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boeja en glasskiva.
KR930009323B1 (ko) 유리판 만곡방법 및 장치
US49733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JP3486719B2 (ja) 板ばねのキャンバー成形機における可変型装置
US4571253A (en) Press bending apparatus
RU2031864C1 (ru) Прессогиб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бки стеклянного листа
JPH07187693A (ja) 曲げ強化ガラス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