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237A - 가열된 판유리를 절곡시키기 위한 가압 절곡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가열된 판유리를 절곡시키기 위한 가압 절곡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237A
KR20130056237A KR1020127028988A KR20127028988A KR20130056237A KR 20130056237 A KR20130056237 A KR 20130056237A KR 1020127028988 A KR1020127028988 A KR 1020127028988A KR 20127028988 A KR20127028988 A KR 20127028988A KR 20130056237 A KR20130056237 A KR 20130056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elongated
rollers
pa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딘 엠. 니츠케
데이비드 비. 니츠케
테리 에이. 베넷
로저 이. 험멜
Original Assignee
글래스텍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래스텍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글래스텍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5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3Drive means, clutches, gearing or drive speed contro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3Drive means, clutches, gearing or drive speed control means
    • C03B35/164Drive means, clutches, gearing or drive speed control means electric or electronicsystems therefor, e.g. for automatic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5Supports or couplings for roller ends, e.g. trunions, gudge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8Construction of the conveyor rollers ; Materials, coatings or coverings thereof
    • C03B35/187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both flat and bent sheets or ribbons, i.e. rollers of adjustable curv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8Construction of the conveyor rollers ; Materials, coatings or coverings thereof
    • C03B35/189Disc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가열된 판유리를 위한 가압 절곡 스테이션(12)은, 상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예비성형된 가열 판유리의 상방으로 형성된 부분을 지지 및 이송하기 위해, 하부 지지 구조체(38) 및 수평 롤러(41)를 가진 중앙 컨베이어 조립체(40r) 및 휠(44)을 가진 측방향 외측 휠 컨베이어 조립체(40w) 및/또는 경사 롤러(43)를 가진 측방향 외측 경사 롤러 컨베이어 조립체(40r)를 구비한 컨베이어(36)를 포함한다. 각각의 컨베이어 조립체는, 하부 지지체의 구동 메커니즘(48)에 대한 탈착 연결부(46)를 구비하여, 각 컨베이어 조립체의 롤러(41 또는 43) 또는 휠(44)의 회전 구동을 제공한다. 액추에이터(62)는 컨베이어(36)에 의해 수용된 예비성형된 가열 판유리를 상승시키는 상대적 수직 이동을 제공하여, 하부 가압 링(52)과 상부 가압 주형(58) 사이에서 판유리의 가압 절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열된 판유리를 절곡시키기 위한 가압 절곡 스테이션{PRESS BENDING STATION FOR BENDING HEATED GLASS SHEETS}
본 발명은 가열 판유리 가압 절곡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전체 개시내용이 여기에 참조로서 통합된 미국 특허 제6,543,255호(Bennett et al.)에는, 일 구현예에 있어서 가열로에서 판유리를 최초로 예비 절곡한 후 가압 절곡 스테이션으로 이송하여 판유리의 가압 절곡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하부 휠 베드는 휠 조립체를 장착하는 하부 지지체를 구비하며, 이러한 휠 조립체는, 가열로로부터 각각의 예비 절곡된 판유리를 가압 절곡을 위한 가압 절곡 스테이션 내로 이송한다. 휠 조립체는, 각각의 휠 조립체의 휠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 하부 지지체의 구동 메커니즘에 대해 탈착 가능한 연결부를 구비한다. 액추에이터는, 하부 가압 링과 상부 가압 주형 사이에 가압 절곡을 제공하기 위해, 휠 베드에 의해 수용된 가열된 판유리를 들어올리는 상대적 수직 이동을 제공한다. 휠 조립체들의 연결 및 탈착은 하나의 생산 작업에서 다음 생산 작업으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된 판유리를 가압 절곡시키기 위한 개선된 가압 절곡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수행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압 절곡 스테이션은, 상방으로 오목하게 예비성형된 가열 판유리를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복수의 세장형 지지체가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연속 구동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세장형 지지체 중 적어도 일부와 서로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잭(jack)은, 측방향으로 가장 외측의 세장형 지지체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된 세장형 지지체들보다 더 높이 위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측방향으로 가장 외측의 세장형 지지체의 높이를 조정 가능하게 위치시킨다. 컨베이어는,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컨베이어 조립체들 및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측방향으로 이격된 컨베이어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조립체들의 하부 베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컨베이어 조립체는, 연속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관련 세장형 지지체 상에 장착되기 위한 탈착 가능 구동 연결부를 포함한다. 예비성형된 판유리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그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컨베이어의 측방향 중앙 위치에 있는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들은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각각은 둥근 원통형 외부면을 가지고 측방향으로 연장된 축방향 길이가 둥근 외부면의 직경의 적어도 두 배인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를 포함한다.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들은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들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조립체의 서로 반대측 상에서 그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위치되어, 수평 롤러들 상부의 예비성형된 판유리의 상방으로 형성된 부분들을 지지 및 이송한다. 절곡 스테이션의 하부 가압 링은, 예비성형된 판유리 아래에서 컨베이어 조립체들의 하부 베드 내에 하부 위치를 가지고, 예비성형된 판유리를 상승시키도록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예비성형된 판유리가 하부 가압 링에 의해 절곡 스테이션에 구비된 상부 주형으로 이동되어, 판유리의 가압 절곡 시 이와 함께 협력한다.
컨베이어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각각의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는 컨베이어의 측방향 중앙에 위치된다.
컨베이어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이송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들에서, 한 쌍의 컨베이어 조립체는, 컨베이어의 측방향 중앙의 서로 반대측 축방향 측면 상에서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들과 함께 위치된다.
일 구성에 있어서, 판유리 절곡 스테이션은,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의 서로 반대측 측면 상에서 그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위치되며 휠을 구비한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를 포함하며, 각각의 휠은 둥근 외부면 및 직경보다 더 작은 축방향 길이를 가지며, 수평 롤러들 상부의 높이에서 이송된 판유리의 상방으로 성형된 부분들을 지지 및 이송하도록 각 휠의 둥근 외부면은 축방향 길이를 따라 만곡(curved) 형상을 가진다.
대안적인 구성에 있어서, 판유리 가압 절곡 스테이션은,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들의 서로 반대측 측면 상에 그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위치되고 컨베이어의 측방향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 롤러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를 포함하며, 각각의 경사진 롤러는, 수평 롤러들 상부의 높이에서 이송된 판유리의 상방으로 성형된 부분들을 지지 및 이송하도록, 직경보다 더 큰 축방향 길이를 가진 둥근 원통형 외부면을 가진다. 세장형 경사 롤러들을 구비한 컨베이어 조립체는 각각 회전 구동을 제공하기 위한 베어링/구동 커플링을 구비한다.
개시된 바와 같이, 판유리 가압 절곡 스테이션의 대안적인 구성은 다음의 두 가지를 다 포함한다: 수평 롤러들 상부의 높이에서 이송된 판유리의 상방으로 성형된 부분들을 지지 및 이송하도록,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들의 서로 반대측 측면 상에 그로부터 측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되고, 각각 둥근 외부면 및 직경보다 더 작은 축방향 길이를 구비하는 휠을 포함하며, 이 때 각각의 휠의 둥근 외부면은 축방향 길이를 따라 만곡 형상을 가지는 것인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 및 수평 롤러들 상부의 높이에서 이송된 판유리의 상방으로 성형된 부분들을 지지 및 이송하도록,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들의 서로 반대측 측면 상에 그로부터 측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되고, 컨베이어의 측방향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 롤러들을 포함하며, 이 때 각각의 경사 롤러는 직경보다 더 큰 축방향 길이를 가진 둥근 원통형 외부면을 가지는 것인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
각각의 롤러는, 서로 반대측 축방향 단부들을 가지고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로 만들어진 둥근 슬리브를 포함하며, 하나의 세장형 지지체 상에서 둥근 슬리브의 축방향 일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및 하나의 세장형 지지체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슬리브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연속 구동 부재들 중 하나를 구비하는 또 다른 세장형 지지체 상에서 둥근 슬리브의 다른 하나의 축방향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회전 구동하는 베어링/구동 커플링을 포함한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구현예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이 쉽게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방으로 오목하게 예비성형된 가열 판유리를 가압 절곡하기 위한 가압 절곡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판유리 가공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시스템의 노의 출구단에 인접하게 도 1의 2-2선 방향을 따라 취한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가압 절곡을 위해 노를 빠져나오기 전에 롤 성형을 위해 가결 및 예비성형된 판유리가 각각 이송되도록 하는 수평 롤 및 경사 롤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3-3선 방향을 따라 취한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최초 예비성형된 판유리를 가압 절곡하기 위해, 실선과 가상선으로 표시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하부 링 주형과 상부 가압 주형 및 컨베이어를 구비한 시스템의 가압 절곡 스테이션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3의 4-4선 방향을 따라 취하여 가압 절곡 스테이션의 구성을 더욱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예비성형된 가열 판유리를 가압 절곡 스테이션 내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조립체의 하부 베드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가압 절곡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과 동일한 방향으로 취한 가압 절곡 스테이션의 입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선 방향을 따라 취한 측면도로서 가압 절곡 스테이션의 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9는 도 8의 9-9선 방향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로서, 컨베이어의 휠 컨베이어 조립체의 구성 및 컨베이어의 관련된 세장형 지지체 또는 레일에 대한 클램핑 부착을 보여준다.
도 10은 도 9의 10-10선 방향을 따라 취한 휠 컨베이어 조립체의 단면도로서, 그 구성 및 하부 구동 부재가 연속식 구동 벨트를 통해, 판유리가 이송되게 하는 조립체의 상부 휠을 구동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도 11은 각각의 컨베이어 조립체의 하부 구동 부재가 관련 구동 메커니즘의 연속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관련된 연속 구동 벨트를 통해 상부 휠을 구동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2는 도 3과 유사하게 이송 방향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입면도로서, 가압 스테이션 컨베이어의 중앙 수평 롤러의 또 다른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13은 가압 스테이션의 하부 가압 링의 부분 상면도로서, 중앙 수평 롤러들의 서로 반대측 측면 상의 경사 롤러들 및 휠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의 또 다른 구성을 보여준다.
도 14는 도 13의 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 중 도 1을 참조하면, 판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시스템(10)은 전체적으로 “10”으로 표시되고,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가압 절곡 스테이션(12)을 포함한다. 시스템(10)은, 가압 절곡 스테이션(12)으로부터 이송방향(C)을 따라 바로 상류에 롤 절곡 스테이션(16)을 구비한 노(14)를 포함한다. 이송방향(C)을 따라 가압 절곡 스테이션(12)으로부터 하류에, 시스템(10)은 롤 스테이션(16) 및 가압 스테이션(12)에 의해 절곡된 성형된 판유리를 급속 냉각하기 위한 급냉(quench) 스테이션(18)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며, 이는 차후에 더 충분히 설명된다. 급냉 스테이션 대신, 시스템은 성형 절곡된 판 유리를 어닐링하기 위해 유리를 서서히 냉각하기 위한 어닐링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노(14)는 입구단(20) 및 출구단(22)을 구비하며, 입구단으로부터 출구단까지 노를 통해 이송 방향을 따라 판유리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26)를 구비한 가열 챔버(24, 도 2)를 포함한다. 상부에서 판유리가 가열되는 컨베이어(26)는, 절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온으로부터 충분히 높은 온도까지 가열되는 동안 판유리가 이송되는 종래의 가스 난로(hearth) 또는 롤 컨베이어일 수 있다.
노의 출구단(22)은, 수평 연장 컨베이어 롤들(28)을 구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롤 절곡 스테이션(16)을 포함하며, 이러한 롤들은 가열 챔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회전 구동되며 이송방향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열된 판유리를 지지 및 이송한다. 롤 절곡 스테이션(16)은 또한 절곡 롤들(32)로 이루어진 한 쌍의 세트(30)를 포함하고, 이 때 절곡 롤 세트들(30)은 이송방향을 따라 가열 챔버(24) 내에서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각각의 절곡 롤 세트(30)는 구동 메커니즘(34)에 의해 지지 및 회전 구동되며, 여기서 절곡 롤들은 도 2에 참조 번호 ”32a, 32b, 32c 및 32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방향을 따라 점차 경사가 증가한다. 절곡 롤(32)을 이용하여 이송방향을 따라 각각의 가열된 판유리(G)를 이송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로 오목한 형상을 가진 가열 판유리를 절곡 또는 예비성형한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가압 절곡 스테이션(12)은, 롤 절곡 스테이션(16)으로부터 롤 절곡된 판유리를 수용하기 위해, 출구단(22) 하류에서 노(14)의 외부에 위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압 절곡 스테이션(12)은, 가압 절곡될 가열 판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컨베이어(36)를 포함한다. 컨베이어(36)는, 하부 지지 구조체(38) 및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40r, 40w)의 베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컨베이어 조립체(40r)는, 컨베이어의 중앙 위치에 측방향으로 위치된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들(41)을 포함한다. 한 쌍의 하우징(42)은, 롤러(41r)의 인접 단부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들을 포함하는 상부단을 구비한다. 베어링 중 하나는, 롤러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베어링/커플링을 포함한다. 각각의 컨베이어 조립체(40w)는 가압 절곡 스테이션 내에서 예비성형된 판유리의 상방으로 성형된 부분을 지지 및 이송하기 위한 휠(44)을 포함하는 상부단을 구비한 하우징(42)을 포함한다. 각각의 하우징(42)은, 지지 구조체(38)에 컨베이어 조립체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탈착 가능 연결부(46)를 포함하는 하부단을 구비한다. 각각의 롤러(41)의 일 단부를 지지 및 회전 구동하는 하나의 하우징(42)은 또한, 지지 구조체(38)에 대한 관련 컨베이어 조립체의 탈착 가능 연결부를 구비한다. 차후에 도 9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더 충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동 메커니즘(48, 도 10)은, 커플링 또는 휠(44)을 가진 베어링을 구비한 각각의 롤러(41)의 일 단부를 회전 구동한다. 따라서 차후에 더 충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지 구조체(38)에 대한 관련 하우징의 연결 시 롤러(41) 또는 휠(44)이 회전 구동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하부 마운트는, 도 1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컨베이어 조립체는 위치되지 않음), 링 형상의 컨베이어 조립체(40r, 40w)의 수평 롤러(41) 및 휠(44)의 상측 끝 하부에서 컨베이어(36) 내부에 수용되며 상방으로 오목한 만곡 형상(54)을 가진 하부 가압 링(52)을 지지한다. 도 3에 더욱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스테이션(12)의 상부 마운트(56)는, 하부 가압 링(52)의 상방을 향해 만곡된 형상(54)에 상보적인 하부를 향해 만곡된 성형면(60)을 가진 상부 가압 주형(58)을 지지한다.
도 3 및 도 4에서 전체적으로 “62”로 나타낸 액추에이터는, 가열된 판유리를 휠 베드 상부로 이동시키고 하부 가압 링과 상부 가압 주형 사이로 가압 맞물림되게 하여 판유리를 가압 절곡시키기 위해, 컨베이어(36)와 하부 가압 링(52) 사이, 그리고 하부 가압 링과 상부 가압 주형((58) 사이의 상대적 수직 운동을 제공한다.
따라서 컨베이어(36)는 이송방향에 수직인 만곡 형상을 가지고, 이 방향을 따라서 컨베이어 조립체의 베드는 가열된 판유리를 수용하며, 이러한 만곡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롤 절곡 스테이션(16)에서 제공된 예비성형된 만곡 형상에 대응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컨베이어(36)의 지지 구조체(38)는,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컨베이어의 만곡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송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이한 높이를 가진 복수의 세장형 지지체 또는 레일(64)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압 절곡 스테이션(12)은, 하부 가압 링(52) 및 상부 가압 주형(58)의 성형면(60)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는 이송방향(C)을 따라 직선 형상이 제공되거나 또는 이송방향을 따라서, 그리고 이에 수직으로 절곡을 제공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향으로 긴 만곡 형상이 제공된다. 상부 가압 주형(58)은, 가압 절곡 후에 절곡된 판유리를 지지하도록 진공원(66)으로부터의 진공이 제공된 성형면(60)을 가진다. 상부 가압 주형(58)의 상향 이동되면, 급냉 스테이션(18)의 셔틀(68)이 액추에이터(70)에 의해 이동되어, 급냉 링(72)을 상부 가압 주형(58) 하부 좌측을 향해 이동시킨다. 그 후 상부 가압 주형의 성형면(60)에 가압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진공원(66)에 의해 제공된 진공의 중단이 수반되어, 급냉 링(72) 상에 판유리를 이형시킬 수 있으며, 그러면 셔틀 액추에이터(70)는 도시된 위치로 우측을 향해 다시 셔틀(68)을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급냉 링(72) 및 그 위의 성형된 판유리는 각각 상방 및 하방을 향해 급냉 가스를 공급하는 하부 및 상부 급냉 헤드(74, 76) 사이에 위치되며, 급냉 가스는 판유리를 급속 냉각하여 강인화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킨다.
도시된 가압 스테이션이 급냉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한편, 가압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차량용으로 라미네이트된 윈드쉴드 제조 시 어닐링하는 경우와 같이 어떠한 급냉 스테이션 없이도 기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압 절곡 스테이션(12)은, 컨베이어 조립체(40r, 40w)가 장착되는 레일(64)을 지지하기 위해 잭(jack)으로 기능하는 나사산 조절 장치(78)를 구비한다. 잭의 나사산 조절은 컨베이어(36)에 요구되는 만곡 형상을 제공한다. 더욱이, 나사산 조절 장치 유형의 잭(78)은, 하부 지지 구조체(38)의 하부 베이스(80) 상에서 레일(64)을 지지한다.
계속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압 절곡 스테이션(12)은, 전체적으로 “82”로 나타내며 수평 빔들(86)에 의해 연결된 수직 기둥들(84)을 구비한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도 3과 관련하여 전술된 수직방향 액추에이터(62)는, 하부 가압 링(52)을 컨베이어(36)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부 수직 작동장치(88)를 포함하며, 상부 가압 주형(58)을 프레임워크(84) 및 하부 가압 링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부 수직 작동장치(90)를 또한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부 수직 작동장치(88)는 전기모터(92)를 포함하며, 전기모터의 출력은, 하부 빔(86) 상에 장착되고 하부 가압 링의 마운트(50, 도 3)에 연결된 볼 스크류(96)를 작동시키는 벨트(94)를 구동하여, 도 3에 도시되고 전술된 하부 가압 링(52)의 수직 이동을 제공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부 수직 작동장치(90)는 전기모터 구동부(98)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동부의 출력은, 상부 가압 주형(58)이 장착된 상부 마운트(56)의 사각 프레임(104)을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102)를 구동하는 벨트(100)를 구동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볼 스크류(102)는 상부 빔(86)에 장착되고, 하향 연장되어 상부 가압 주형 마운트 프레임(104)의 코너 상의 슬라이드 연결부(106)를 지지한다. 이러한 슬라이드 연결부(106)는 수직 기둥(84) 상의 슬라이드 가이드(108)에 연결됨에 따라, 볼 스크류 구동은 상부 가압 주형 프레임 마운트(104)의 안내된 수직 이동을 제공한다. 대각선으로 반대측 코너들의 슬라이드 연결부들(106)은 열적으로 안정적인 중심(110)에서 교차하는 정렬된 축들을 중심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가열 및 냉각 시 이러한 중심의 주위에서 상부 가압 주형(58)이 팽창 및 수축하여, 절곡 발생 시 중심이 되는 형상의 위치에 정확성을 보장한다. 상부 가압 주형 프레임 마운트(104)의 벨트 구동 대신, 상부 주형의 수직 이동을 제공하기 위해 가압 스테이션의 네 개의 코너에서 네 개의 서보 모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 절곡 스테이션(12)은, 공기 부양식 지지체에 의해 유리 가공 시스템 내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업 현장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위치 내로의 이동 중 급냉 스테이션을 안내하기 위해 롤러 가이드 레일이 사용될 수 있다. 위치 조정을 제공하기 위해 홀 내에 수용된 공기 구동식 핀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부 가압 주형의 열적 중심에서 둥근 홀 내에 수용된 중심 핀, 및 중심 핀의 서로 반대측 상의 한 쌍의 슬롯 형상 홀을 이용하여, 중심 핀 주위의 적절한 각(angular) 정렬을 보장하면서 열팽창이 가능하다.
또한, 간헐적으로 다른 작업들과 함께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일부 생산 작업의 경우, 각각의 작업에 대한 전용 가압 절곡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작업 변경을 위해 가압 절곡 스테이션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컨베이어(36)의 구동 메커니즘(48)은, 각각의 레일(64) 상에 연속 구동 부재(1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8에 더욱 잘 도시되어 있다. 적절한 전기모터 구동부는 구동 부재(112)를 모두 구동하는 출력부(114)를 구비하며, 각 구동 부재의 장력은 전체를 “116”으로 나타낸 장력 조절장치에 의해 조절된다. 구동 부재(112)는 하부 지지 레일(64)의 반대측 단부들로 연장되며, 차후에 더 충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휠 조립체(40)를 회전 구동하는 상부 구동 구간(reach)(118)을 가진다.
도 9 내지 도 11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롤러 컨베이어 조립체(40r)의 하나의 하우징(42) 및 각 휠 컨베이어 조립체(40w)의 하우징(42)은,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 구간(118)와의 맞물림에 의해 관련 레일(64)의 연속 구동 부재(11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하부 구동 부재(122)를 구비한다. 각각의 컨베이어 조립체(40r, 40w)의 구동 벨트(1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구동 부재(122) 주위 및 관련 휠(44)의 상부 구동 기어(126) 위로, 또는 도 13 및 도 14와 관련하여 차후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수평 또는 경사진 관련 롤러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구동 부재(112)의 구동 구간(118)에 의해 제공된 추동력을 통해 휠 또는 롤러의 회전 구동을 제공한다. 각 하우징의 스프링 편향된 장력 조절장치(128)는 구동 벨트(124)의 적절한 장력을 제공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 부재(122)는, 구동 부재(112)의 구동 구간(118)에 의해 구동되는 제1 구동 기어(130) 및 구동 벨트(124)를 구동하는 제2 구동 기어(132)를 구비한다. 하부 구동 부재(122)는 하우징(120)의 하부단에서 샤프트(1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상부 구동 기어(126) 및 휠(44)은 하우징의 상부단에서 샤프트(13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휠(44)은, 판유리의 예비성형된 만곡 형상과 관계 없이 판유리와 일반적으로 점접촉하기 위해, 축방향 길이를 따라 대략 만곡 형상의 환형 외부면(45)을 가진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컨베이어 조립체 하우징(42)은, 레일의 후크(137b)에 고정된 후크(137a)가 구비된 하부단을 가진다. 각각의 컨베이어 하우징은 또한 관련 레일(64)에 대한 클램핑을 제공하는 클램프(138)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우징의 각각의 측면은 클램프 부재(142)의 후크 고정된 단부와 접촉하는 측면 돌출부(140)를 포함하며, 클램프 부재의 타 단부는 관련 레일(64)의 상부 측면에 접촉한다. 클램프(138)는 또한, 레일(64)에 하우징(42)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하우징(42)의 돌출부(146) 내에 나사 결합되어 클램프(142)와 접촉하는 볼트(144)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시, 레일(64)과 관련된 구동 부재(111)의 구동 구간(118)은 레일 플랜지(148) 하부에서 하부 구동 부재(122)와 맞물려, 관련 롤러(41) 또는 관련 휠(41)의 구동 연결을 제공한다. 구동 부재(112)의 하부 복귀 구간(119)은 레일(64)의 하부 플랜지(150)를 따라 이동한다. 클램프(138)의 클램핑을 해제하고 컨베이어 조립체를 분리함에 따라 구동 메커니즘으로부터 탈착된다.
컨베이어 조립체 하우징(42)의 탈착 가능한 구동 연결은 또한, 하나의 생산 작업으로부터 다른 생산 작업으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컨베이어 조립체(40r 또는 40w)가 위치되지 않은 경우 컨베이어(36) 내의 제1 링 형상의 보이드 내에 수용된 제1 하부 가압 링을 이용하여 공정이 시작된다. 이러한 제1 하부 가압 링이 제거되고, 불필요한 컨베이어 조립체(40r 또는 40w)를 제거하고 제1 링 형상의 보이드를 채우는 데 필요한 컨베이어 조립체를 부착함으로써(이 경우 제2 링 형상의 보이드와 겹치지 않음) 제공된 제2 링 형상의 보이드 내에 또 다른 하부 가압 링이 설치된다. 레일(64)에 휠 조립체를 부착하고 그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클램프(138)의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부 경우에 전술된 작업 전환에서는 곡률 범위가 동일한 경우 상이한 링 형상들에 대해 동일한 상부 가압 주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전에 사용된 가압 주형을 제거하고, 이송 방향에 수직으로 그리고/또는 곡률 방향을 따라 상이한 곡률을 가지는 제2 상부 가압 주형을 설치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롤러(41)를 구비한 중앙 컨베이어 조립체(40r)를 제공함으로써, 변형 가능한 가열된 판유리에 면적 당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키는 대략 선 접촉으로 각각의 이송된 판유리(G)를 지지한다. 컨베이어 조립체(40w)의 휠(44)은, 측방향으로 중앙의 롤러 컨베이어 조립체(40r)의 서로 반대측 측방향 측면 상에서 컨베이어의 측방향 외측 위치에 예비성형된 판유리(G)의 상방으로 상승된 부분을 지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컨베이어 조립체(40r)는 이격된 레일들(64)에 지지되는 서로 반대측의 축방향 단부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하나 이상의 레일들의 위치는 어떠한 지지도 없이 롤러의 길이에 걸쳐 있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면, 컨베이어 지지 또는 구동에 중간 레일(들)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들에서 레일을 제공함으로써, 필요한 경우에 다른 작업들을 위한 컨베이어 롤러 또는 휠 지지체를 제공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더욱 다용도의 기계가 제공된다. 더욱이, 롤러 컨베이어 조립체(40r)를 이용하면, 관련 롤러(41)의 일 단부의 레일(64)만이 회전 지지 및 구동을 제공하는 베어링/커플링을 구비하는 한편, 나머지 단부의 레일은 회전 지지 만을 제공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이러한 레일에 구동 부재가 필요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일에 지지뿐만 아니라 회전 구동이 필요한 다른 생산 작업에 이용될 수 있는 더욱 다용도의 구성을 제공하기 이해 구동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술된 구현예는 컨베이어의 측방향 중앙(158)에 위치된 롤 컨베이어 조립체(40r)의 롤(41)을 구비하는 한편, 컨베이어 측방향 중앙의 서로 반대측에 위치된 둘 이상의 수평 롤러(41)를 구비하고, 이러한 롤러들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각각은 단부 중 하나에서 구동되고 다른 단부에서 회전 지지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롤러들(41)은 컨베이어의 각각의 측방향 측부 상의 측방향 외측 휠들(44) 사이에서 유리를 중앙에서 지지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컨베이어(36’)의 또 다른 구현예는, 중앙의 수평 롤러들(41)의 서로 반대측 측방향 측부 상에 위치하며 수평 롤러들에 대해 상승되어 예비성형된 판유리(G)의 상방으로 성형된 위치들에서 분배 지지를 제공하는 경사 롤러들(43)을 구비한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 조립체(40r)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사 롤러들(43)은 수평 롤러(41)와 마찬가지로 둥근 외부면을 가지며, 직경보다 더 큰 축방향 길이를 가지고, 서로 반대측 단부들에서 지지되는데, 이 때 일 단부는 수평 롤러(41)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을 제공한다. 이처럼 롤 단부들이 서로 인접한 구성에 의하면, 인접 롤러들의 인접한 단부는 동일한 종방향 레일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또는 경사 롤러의 나머지 단부를 지지하는 또 다른 레일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러한 구성은 또한, 적절한 위치에 휠들(44)을 가지는 휠 컨베이어 조립체를 구비하여, 롤러가 장착되지 않는 가압 링(52) 내의 더 작은 보이드들을 채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12의 구현예의 수평 롤러와 비슷한 각각의 수평 롤러(41) 및 각각의 경사 롤러(43)는, 베어링(160)에 지지된 일 단부 및 베어링/커플링(162)에 지지 및 회전 구동되는 다른 단부를 가진다.
수평 롤러(41) 및 경사 롤러(43) 각각은 서로 반대측의 축방향 단부들을 가진 둥근 슬리브를 구비하며,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로 만들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롤러의 일 단부는 컨베이어 하우징(42) 중 하나의 베어링/커플링에 의해 지지 및 회전 구동되고, 다른 단부는 회전 구동 없이 적합한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들은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다양한 대안적인 양태 및 방법이 존재함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8)

  1. 상방으로 오목하게 예비성형된 가열 판유리를 이송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및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서로 측방향으로 이격되며, 적어도 일부는 연속 구동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세장형 지지체, 및 측방향으로 가장 외측의 세장형 지지체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된 세장형 지지체들보다 더 높이 위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측방향으로 가장 외측의 세장형 지지체의 높이를 조정 가능하게 위치시키는 잭(jack)을 포함하고,
    이 때 컨베이어는,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컨베이어 조립체들 및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측방향으로 이격된 컨베이어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조립체들의 하부 베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컨베이어 조립체는, 연속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관련 세장형 지지체 상에 장착되기 위한 탈착 가능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며,
    예비성형된 판유리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그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컨베이어의 측방향 중앙 위치에 위치하고,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각각은 둥근 원통형 외부면을 가지고 측방향으로 연장된 축방향 길이가 둥근 외부면의 직경의 적어도 두 배인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들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조립체의 서로 반대측 상에서 그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위치되어, 수평 롤러들 상부의 예비성형된 판유리의 상방으로 형성된 부분들을 지지 및 이송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
    예비성형된 판유리 아래에서 컨베이어 조립체들의 하부 베드 내에서, 예비성형된 판유리를 상승시키도록 상방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가압 링; 및
    예비성형된 판유리가 하부 가압 링에 의해 이동되어, 판유리의 가압 절곡 시 함께 협력하는 상부 주형을 포함하는, 판유리 가압 절곡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는 컨베이어의 측방향 중앙에 위치되는 것인 판유리 가압 절곡 스테이션.
  3. 제1항에 있어서,
    이송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들에서, 한 쌍의 컨베이어 조립체는, 컨베이어의 측방향 중앙의 서로 반대측 축방향 측면 상에서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들과 함께 위치되는 것인 판유리 가압 절곡 스테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의 서로 반대측 측면 상에서 그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위치되며 휠을 구비한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를 포함하며, 각각의 휠은 둥근 외부면 및 직경보다 더 작은 축방향 길이를 가지며, 수평 롤러들 상부의 높이에서 이송된 판유리의 상방으로 성형된 부분들을 지지 및 이송하도록 각 휠의 둥근 외부면은 축방향 길이를 따라 만곡(curved) 형상을 가지는 것인 판유리 가압 절곡 스테이션.
  5. 제1항에 있어서,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들의 서로 반대측 측면 상에 그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위치되고 컨베이어의 측방향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 롤러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경사진 롤러는, 수평 롤러들 상부의 높이에서 이송된 판유리의 상방으로 성형된 부분들을 지지 및 이송하도록, 직경보다 더 큰 축방향 길이를 가진 둥근 원통형 외부면을 가지는 것인 판유리 가압 절곡 스테이션.
  6. 제5항에 있어서,
    경사 롤러들을 구비한 컨베이어 조립체는 회전 구동을 제공하기 위한 베어링/구동 커플링을 구비하는 것인 판유리 가압 절곡 스테이션.
  7. 제1항에 있어서,
    수평 롤러들 상부의 높이에서 이송된 판유리의 상방으로 성형된 부분들을 지지 및 이송하도록,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들의 서로 반대측 측면 상에 그로부터 측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되고, 각각 둥근 외부면 및 직경보다 더 작은 축방향 길이를 구비하는 휠을 포함하며, 이 때 각각의 휠의 둥근 외부면은 축방향 길이를 따라 만곡 형상을 가지는 것인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 및
    수평 롤러들 상부의 높이에서 이송된 판유리의 상방으로 성형된 부분들을 지지 및 이송하도록, 수평 연장 세장형 롤러들의 서로 반대측 측면 상에 그로부터 측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되고, 컨베이어의 측방향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 롤러들을 포함하며, 이 때 각각의 경사 롤러는 직경보다 더 큰 축방향 길이를 가진 둥근 원통형 외부면을 가지는 것인 복수의 컨베이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판유리 가압 절곡 스테이션.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세장형 롤러는, 서로 반대측 축방향 단부들을 가지고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로 만들어진 둥근 슬리브를 포함하며, 하나의 세장형 지지체 상에서 둥근 슬리브의 축방향 일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및 하나의 세장형 지지체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슬리브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연속 구동 부재들 중 하나를 구비하는 또 다른 세장형 지지체 상에서 둥근 슬리브의 다른 하나의 축방향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구동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인 판유리 가압 절곡 스테이션.
KR1020127028988A 2010-04-08 2011-04-05 가열된 판유리를 절곡시키기 위한 가압 절곡 스테이션 KR20130056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56,521 2010-04-08
US12/756,521 US20110247367A1 (en) 2010-04-08 2010-04-08 Press bending station and method for bending heated glass sheets
PCT/US2011/031201 WO2011127024A1 (en) 2010-04-08 2011-04-05 Press bending station for bending heated glass she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37A true KR20130056237A (ko) 2013-05-29

Family

ID=4475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988A KR20130056237A (ko) 2010-04-08 2011-04-05 가열된 판유리를 절곡시키기 위한 가압 절곡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247367A1 (ko)
EP (1) EP2556035A1 (ko)
JP (1) JP5763743B2 (ko)
KR (1) KR20130056237A (ko)
CN (1) CN103118997A (ko)
BR (1) BR112012025361A2 (ko)
CA (1) CA2795509A1 (ko)
MX (1) MX2012011615A (ko)
RU (1) RU2012144772A (ko)
WO (1) WO2011127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3479B2 (en) * 2005-05-13 2013-06-04 Glasstech, Inc. Glass sheet bending method
US8881551B2 (en) 2011-10-17 2014-11-11 Glasstech, Inc. Method for positioning glass sheets for forming
JP5899976B2 (ja) 2012-02-03 2016-04-0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及び曲げ成形方法
US8776996B2 (en) * 2012-08-30 2014-07-15 Glasstech, Inc. Inclined roller conveying assembly for hot formed glass sheets
US9452948B2 (en) * 2014-02-06 2016-09-27 Glasstech, Inc. Three stage forming station and method for forming a hot glass sheet with transverse curvature
US9896369B2 (en) * 2014-11-24 2018-02-20 Glasstech, Inc. Glass sheet forming and annealing providing edge stress control
TW201720766A (zh) * 2015-11-02 2017-06-16 玻璃技術股份有限公司 玻璃片材塑模設備及方法
TWI753864B (zh) * 2015-11-02 2022-02-01 美商玻璃技術股份有限公司 用於玻璃片材成形系統之塑模往返器定位系統
CN108083620A (zh) * 2018-02-24 2018-05-29 哈尔滨奥瑞德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3d热弯机的单伺服成型工位结构
PL236771B1 (pl) 2018-08-08 2021-02-22 Pilkington Automotive Poland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Prasa do gięcia szkła
CN109695660B (zh) * 2019-01-03 2021-08-06 江苏摩臣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盖板加工减震平台
CN114735928B (zh) * 2022-04-01 2023-09-05 昆山云璟玻璃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热弯成型设备
CN115677187B (zh) * 2022-08-24 2023-11-24 江苏碧海安全玻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玻璃成型辅助设备及成型工艺
CN117023954A (zh) * 2023-08-14 2023-11-10 安徽东大钢化玻璃有限公司 一种适用于u型钢化玻璃加工的生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3395A (en) * 1977-11-10 1982-08-10 Holcroft & Co. Roller hearth furnace
IT1209156B (it) * 1979-12-07 1989-07-10 Siv Soc Italiana Vetro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curvare e temperare lastre di vetro particolarmente di spessore sottile.
FR2549464B1 (fr) * 1983-07-20 1985-09-20 Saint Gobain Vitrage Installation a courbure facilement modifiable pour le bombage et la trempe de feuilles de verre
US4670036A (en) * 1986-06-04 1987-06-02 Libbey-Owens-Ford Co. Conveying, supporting and shaping glass sheets
US4872898A (en) * 1989-02-17 1989-10-10 Libbey-Owens-Ford Co. Centering and leveling of mobile press bending apparatus
US5004492A (en) * 1989-08-29 1991-04-02 Libbey-Owens-Ford Co. Glass sheet conveying and bending apparatus
FI86054C (fi) * 1990-07-05 1992-07-10 Tamglass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oejning av glasskiva.
GB9407610D0 (en) * 1994-04-15 1994-06-08 Pilkington Glass Ltd Bending and tempering glass sheets
US6729160B1 (en) * 1997-11-20 2004-05-04 Glasste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heated glass sheets
JP2001335129A (ja) * 2000-05-26 2001-12-04 Murata Mach Ltd コンベア装置
US6543255B2 (en) * 2001-06-19 2003-04-08 Glasstech, Inc. Press bending station and method for job switching
JP2005015326A (ja) * 2003-06-04 2005-01-20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及び曲げ成形方法並びに湾曲ローラ
US7162893B2 (en) * 2005-05-13 2007-01-16 Glasstech, Inc. Glass sheet bending station and method for glass sheet b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2011615A (es) 2013-04-09
JP2013538168A (ja) 2013-10-10
CN103118997A (zh) 2013-05-22
JP5763743B2 (ja) 2015-08-12
EP2556035A1 (en) 2013-02-13
RU2012144772A (ru) 2014-05-20
US20110247367A1 (en) 2011-10-13
BR112012025361A2 (pt) 2019-09-24
WO2011127024A1 (en) 2011-10-13
CA2795509A1 (en)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6237A (ko) 가열된 판유리를 절곡시키기 위한 가압 절곡 스테이션
JP4206039B2 (ja) ガラスシートプレス曲げステーションおよびガラスシートプレス曲げ作業切換え方法
KR100427926B1 (ko) 유리시트이송및절곡장치
KR100825699B1 (ko) 유리판의 굽힘성형방법 및 장치
CN1022313C (zh) 传送和加工成型玻璃板的方法和设备
US10377657B2 (en) Station and system for press forming glass sheets
KR20090098687A (ko) 유리판의 굽힘 성형 방법 및 굽힘 성형 장치
EP1550639A1 (en) Method for bending a glass sheet and apparatus therefor
KR20150135344A (ko) 유리 시트 지지 구조체
JPH06501912A (ja) 板ガラスを曲げ加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186542B1 (ko) 크로스 곡률을 갖는 글래스 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KR950002329B1 (ko) 유리시트의 벤딩(bending)방법 및 장치
KR100355917B1 (ko) 유리판굽힘방법
US200201892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nd quenching glass sheets
US201301861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glass she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