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399B1 - 수평 배출구 - Google Patents

수평 배출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399B1
KR0138399B1 KR1019950004121A KR19950004121A KR0138399B1 KR 0138399 B1 KR0138399 B1 KR 0138399B1 KR 1019950004121 A KR1019950004121 A KR 1019950004121A KR 19950004121 A KR19950004121 A KR 19950004121A KR 0138399 B1 KR0138399 B1 KR 0138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over
pipe
guid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929A (ko
Inventor
세쯔오 가또
Original Assignee
세쯔오 가또
가부시끼가이샤 아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쯔오 가또, 가부시끼가이샤 아루텍 filed Critical 세쯔오 가또
Publication of KR95003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04D13/0431Drainage outlets, e.g. gullies with horizontal evacuation over the border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8Floor drains for indoor use specially adapted for sh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의 홈에 장착가능한 팬을 갖는 배출구 주몸체와 상기 팬을 덮는 수평 덮개를 갖는 배출구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팬은 빗물의 흐름 방향으로 팬의 하단부에서 팬과 연결되는 파이프형 몸체를 갖는다. 상기 파이프형 몸체는 배출 파이프와 연결되기 위해 수평으로 연장되며 팬과 연결되기 위한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는 빗물의 흐름방향으로 덮개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덮개의 외원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안내 융기부를 갖는 상면을 갖는다. 각각의 안내 융기부는 상단부가 파이프형 몸체로부터 벗어나도록 경사진다. 인접한 안내 융기부 사이에는 빗물을 팬내로 안내하기 위해 안내 간극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수평 배출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배축구의 수직 길이방향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배출구에 사용된 배출구의 주몸체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III-III을 따른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IV-IV을 따른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배출구에 사용된 배출구 몸체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Ⅵ-Ⅵ을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선 VII-VII을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수평 배출구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수평 배출구의 수직 길이방향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 X-X을 따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수평 배출구2:주몸체
3:팬5:플랜지
11:수평 덮개12:수직 덮개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수평 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는 건물이나 아파트의 바닥의 베란다나 천정에서의 배수관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출구는 빗물을 상부로부터 유입하여 하부로 방출시키는 이른바 수직형 배출구이다.
그러나 상기 수직형 배출구는 예컨데 그 바로 아래에 방(room)이 있는 베란다에 설치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경우에 빗물을 수평으로 유입하여 수평으로 방출하는 이른바 수평 배출구가 사용된다.
제8도 내지 제10도는 종래의 수평 배출구로서 배출구의 주몸체(b)와 배출구 베이싱(c)과 배출구 덮개(d)를 포함하고 있다.
주몸체(b)는 거의 수평 팬(pan)(e)과 상기 수평 팬(e)에 연결된 수직 플랜지(f)를 포함하며, 측면에서 투시하였을 때 L형상을 취한다.
팬(e)이 예를 들어 베란다와 같은 바닥상에 위치되므로써, 플랜지(f)는 볼트(h)에 의해 벽(i)에 고정되므로, 주몸체(b)는 마루(g)와 벽(i)에 의해 형성된 코너에 부착된다.
상기 플랜지(f)는, 벽(i)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그 팁단부에 나선형성된 배출 파이프(1)와 나사결합하기 위해 내측 나선(k)을 갖는 수평 배출 보어(j)를 갖는다.
상기 파이프(1)는 벽(i)의 외측으로 직각굴곡되어 하향으로 연장된다.
배출 케이싱(c)은 설치시 팬(e)에 위치되는 수평부재(m)와, 플랜지(f)상에 접촉되는 수직부재(n)와, 상기 수평 및 수직 부재(m, n)의 대향의 측단부에서 이들의 위에 장착되며 측면이 직각삼각형인 측판(o)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및 수평부재(m, n)는, 빗물이 케이싱(c)으로부터 주몸체(b)로 흐르게 하는 대형 개구(p)를 형성한다.
각각의 측판(o)은 빗물을 외측으로부터 케이싱(c)으로 안내하기 위해 직각 삼각형의 대각선측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부재(m, n)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안내슬롯(q)을 갖는다.
배출구 덮개(d)는 평탄하며 케이싱(c)의 대각선측을 따라 그 위에 장착된다.
상기 덮개(d)는 빗물을 외부로부터 케이싱(c)으로 안내하기 위해 케이싱(c)의 대각선측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안내슬롯(r)을 갖는다.
바닥(g)에 수집되는 빗물은 슬롯(r, q)을 통하여 케이싱내를 통과하여 개구(p)와, 보어(j)와 파이프(1)를 통하여 배출 도관(도시않음)으로 방출된다.
상술한 종래의 수평 배출구의 단점은 하기와 같다.
i) 빗물은 평탄한 측판(o)과 덮개(d)상에 단순히 절결된 안내슬롯(q, r)에 의해 각각 안내되기 때문에, 대량으로 수집된 빗물은 측부로 넘치게 되어 배출구(a)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ii) 측판(o)과 덮개(d)가 평탄하기 때문에, 낙엽 등이 이들에 고착되어 안내 슬롯(q, r)을 차단하므로 빗물이 배출구(a)로 양호하게 안내되는 것을 방해한다.
작은 나무가지들이 안내슬롯(q, r)에 고착될 수 있으므로 안내슬롯(q, r)영역을 협소하게 하여 배출구(a)로의 빗물이 양호한 유입을 방해한다.
iii) 측면이 직각 으로 국곡되고 바닥(g)과 벽(i)에서 돌출된 배출 케이싱(c) 때문에 사람들이 넘어질 수 있다.
iv) 배출 파이프(1)와 수직 플랜지(f)사이에서의 나사결합부(k)로 인하여 빗물이 누설될 수 있다.
v) 배출구 주몸체(b)와 배출 케이싱(c)과 배출 덮개(d)와 같은 부품들이 많이 소요되므로 제조 및 설치가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빗물이 다량일지라도 이들을 신속하게 유입시키고 낙엽이나 나무가지 등에 의한 막힘이 제거되고, 넘어질 염려가 없으며 배출구로부터 빗물이 누설되지 않고 부품수가 감소될 수 있는 수평 배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간단한 요약]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수평 배출구는 바닥내의 홈에 장착가능한 팬을 갖는 주몸체와, 상기 팬을 덮는 수평 덮개를 갖는 덮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팬은 빗물의 흐름방향으로 팬의 하단부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파이프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형 몸체는 배출 파이프와의 연결을 위해 수평으로 연장되고 팬과의 연결을 위한 배출 구멍을 가지며, 상기 수평 덮개는 빗물의 흐름 방향으로 수평 덮개의 외원주로부터 수평덮개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안내 융기부를 갖는 상부면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안내 융기부는 융기부의 상단부가 상기 파이프형 몸체로부터 벗어나도록 경사지며, 빗물을 팬내로 안내하는 안내 간극이 인접한 안내 융기부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수평 배출구는 바닥의 홈에 장착가능한 팬과 빗물의 흐름 방향으로 팬의 하단부에 설치된 수직 플랜지를 가지며 벽에 장착가능한 배출구 주몸체와, 상기 팬을 덮는 수평 덮개와, 상기 수평 덮개의 하단부에 위치된 수직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플랜지에 대해 이격된 상태로 장착가능한 배출구 덮개 수단들을 포함하며, 상기 팬은 팬의 하단부에서 일체로 형성된 파이프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형 몸체는 배출 파이프와 연결되기 위해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팬과 연결되기 위한 배출 구멍을 가지며, 상기 수평 덮개는 빗물의 흐름방향으로 수평 덮개의 외원주로부터 수평덮개의 측부 중심을 향하며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 1 안내 융기부를 구비한 상부면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제 1 안내 융기부는 제 1 융기부의 상단부가 파이프형 몸체로부터 벗어나도록 경사지며, 상기 제 1 안내 융기부 사이에는 빗물을 팬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 1 안내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덮개는 빗물의 흐름 방향으로 수직 덮개의 외원주로부터 수직 덮개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 2 안내 융기부를 구비한 전방면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제 2 안내 융기부는 제 2 융기부의 상단부가 제 2 융기부의 베이스 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경사지며, 상기 제 2 안내 융기부 사이에는 빗물을 수직 플랜지와 수직 덮개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팬내로 안내하기 위한 제 2 안내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이프형 몸체는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팬으로부터 벗어난 직경 감소부를 가지며, 배출 파이프는 파이프의 직경 감소부에 끼워져서 고착된다.
제 1 특징에 따르면, 빗물은 수평 덮개상에서 안내 융기부에 의해 안내될 동안 수평 덮개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수집되어 안내 융기부의 경사면에 의해 안내 간극내로 강제로 유입된 후 팬내로 이송되어 배출구멍을 통하여 배출 파이프를 통과하게 된다.
제 2 특징에 따르면, 바닥을 흐르는 빗물은 수평 덮개상에서 제 1 안내 융기부에 의해 안내될 동안 배출구 덮개 수단의 수평 덮개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수집되어 제 1 안내 융기부의 경사측에 의해 제 1 안내 간극내로 강제로 도입된 후 팬내로 이송된다.
벽을 따라 흘러내려오는 빗물은 수직 덮개상에서 제 2 안내 융기부에 의해 안내될 동안 배출구 덮개 수단의 수직 덮개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수집되어 제 2 안내 융기부의 경사측부에 의해 제 2 안내 간극내로 강제로 도입된 후 수직 플랜지의 수직 덮개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팬내로 이송된다.
수평 덮개 및 수직 덮개로부터 팬내로 유입된 빗물은 배출 구멍을 통하여 배출 파이프를 통과하게 된다.
빗물이 배출구 덮개 수단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수집되고 안내 간극을 통하여 배출구 주몸체로 이송되기 때문에, 빗물은 양호하게 배출된다.
낙엽이나 나무가지들이 안내 융기부에 걸렸을 때라도 안내 간극이 막히거나 좁아지지 않기 때문에 빗물의 배출에는 아무런 문제점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배출구가 바닥이나 벽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이 걸려서 넘어지지 않는다.
또한 배출구 주몸체와 배출구 덮개 수단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감소하게 되어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게 된다.
파이프형 몸체는 계단으로 형성되어 팬으로부터 벗어난 직경 감소부를 갖고 배출 파이프가 파이프형 몸체와의 직경 감소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므로 연결부로부터는 빗물이 누설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인식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up stream)와 하부(down stream)라는 용어는 빗물의 흐름 방향(D)을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제1도 내지 제7도에는 수평 배출구(1)가 배출구 주몸체(2)와 배출구 덮개 수단(10)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몸체(2)는 거의 수평의 팬(3)과 수직의 플랜지(5)를 포함하며, 측면에서 투시하였을 때 거의 L형태를 취한다.
상기 팬(3)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아치형이며, 팬(3)이 수직 플랜지(5)와 연결되는 하부에서는 수직 엣지(4)를 갖는다.
상기 팬(3)은, 하부로 연장되어 수직 플랜지(5)와 일체로 연결된 수평 플랜지(6)를 그 외원주에 구비한다.
제1도 및 제 2도를 측부에서 투시 하였을 때, 팬(3)은 그 상단부가 가장 좁으며 그 하단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깊어지게 된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3)은 그 측부 중심에서 가장 깊어지며 그 대향의 측부 엣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지고 있다.
수평의 짧은 파이프형 몸체(7)는 플랜지(5)와 일체로 접속되어 플랜지(5)와 연결되며, 팬(3)의 엣지(4)는 하부로 돌출된다.
파이프형 몸체(7)에는 빗물의 흐름 방향(D)으로 분기되고 수평을 향하는 배출 보어(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이프형 몸체(7)의 내부 바닥은 빗물의 흐름 방향(D)으로 하강한다.
상기 보어(8)의 최하부는 팬(3)과의 연결을 위하여 파이프형 몸체(7)의 상단부에서 팬(3)의 가장 깊은 부분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파이프형 몸체(7)는, 염화비닐등의 수지나 금속과 같은 재질로 제조된 배출 파이프(9)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직경이 감소된 하부를 제공하기 위해 그 외원주가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덮개 수단(10)은 평탄한 수평 덮개(11)와, 아치형 상단부를 가지며 그 하단부가 상기 수평 덮개(11)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평탄한 수직 덮개(12)를 포함하므로 덮개 수단(10)은 측부에서 투지하였을 때 거의 L형태를 취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덮개(11)는 그 상단부가 아치형이며, 덮개(11)의 외원주에서 그 외측 단부가 하향인 덮개(11)의 측부 중심에서 융기부(13)의 내측 단부를 갖는 덮개(11)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덮개(11)의 아치형 외원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이격된 안내 융기부(13)를 구비한 상부면을 가지며, 상기 안내 융기부(13)는 덮개(11)의 측부 중심상에서 흐르는 빗물의 흐름 방향(D)으로 하강된다.
각각의 안내 융기부(13)는 그 상단부나 말단부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단부나 베이스 단부보다 파이프형 몸체(7)로부터 보다 멀리 벗어나도록 경사 형성된다.
안내 간극(14)들은 빗물을 덮개(11)를 통하여 통과시키도록 인접한 안내 융기부(13)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덮개(12)는 덮개(12)의 외원주에서 그 외측 단부가 하향인 덮개(12)의 측부 중심에서 융기부(15)의 내단부를 갖는 덮개(12)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덮개(12)의 아치형 원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이격된 안내 융기부(15)를 구비한 전방면을 포함하며, 상기 융기부(15)는 덮개(12)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하강한다.
각각의 안내 융기부(15)는 그 상단부나 말단부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베이스 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경사 형성된다.
안내 간극(16)들은 빗물을 덮개(12)를 통하여 통과시키도록 인접한 안내 융기부(15)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도면부호 17은 접착제(19)에 의해 바닥(18)에 부착된 방수시트이며, 도면부호 19는 접착제에 의해 벽(20)에 부착된 방수시트이고, 도면부호 21은 플랜지(5, 6)에 부착된 강화 시트이다.
상기 강화 시트(21)에는, 안내 간극(14)의 외원주 엣지를 따라 설치되고 수직 덮개(12)상에서 안내 간극(16)의 외원주 엣지를 따라 설치된 내측 내원주 엣지를 갖는 개구(22)가 형성된다.
수평 배출구(1)가 정위치에 세트되면, 강화 시트(21)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극(23)은 플랜지(5)와 덮개(12)사이에 형성된다.
도면부호 24는 수직 플랜지(5)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카운터싱크 헤드 스크류를 위한 카운터싱크 또는 구멍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25는 주몸체(2)를 벽(20)에 고정하기 위해 대응의 구멍이나 카운터 싱크(24)내에 삽입되는 카운터싱크 헤드 스크류이며, 도면부호 26은 수평덮개(1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둥근머리 나사를 위한 슬롯이며, 도면부호 27은 수직 덮개(12)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둥근머리 나사를 위한 슬롯이며, 도면부호 28은 둥근머리 나사를 대응의 슬롯(26)과 관통결합시키므로써 수평 플랜지(6)상에 수평 덮개(11)를 고정하기 위해 각각 수직으로향하도록 설치된 팬(3)상의 태핑 시트이며, 도면부호 29는 둥근머리 나사를 대응의 슬롯(27)과 관통 결합시키므로써 수직 플랜지(5)상에 수직 덮개(12)를 고정하기 위해 각각 수평으로 설치된 수직 플랜지(5)상의 태핑 시트이며, 도면부호 30은 주몸체(2)를 수납하기 위해 벽(20)에 인접한 바닥(18)상의 리세스이며, 도면부호 31은 배출 파이프(9)를 관통시키기 위한 벽(20)의 수평 중공부이다.
수평 배출구(1)가 바닥(18)상에 설치될 때, 예를 들어 파이프형 몸체(7)는 수평의 중공부(31)를 통하여 벽(20)내로 삽입되며, 팬(3)은 리세스(30)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배출 파이프(9)는 파이프형 몸체(7)의 직경감소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며, 카운터싱크 헤드 스크류(25)는 수직 플랜지(5)의 구멍(24)내에 나사 결합되어 주몸체(2)를 벽(20)에 고정시키며, 리세스(30)와 중공부(31)에는 몰탈이 채워진다.
그리고, 강화 시트(21)는 그 개구(22)와 수평 플랜지 및 수직 플랜지(6, 5)를 정렬시키기 위해 위치된 후 개구(22)를 형성하는 내원주 엣지에서 접착제에 의해 플랜지(5, 6)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시트(21)는 접착제에 의해 그 외원주 엣지에서 바닥(18)과 벽(20)에 부착된다.
접착제에 의해 바닥(18)과 벽(20)에 부착된 방수 시트는 접착제에 의해 시트(21)에 부착된다.
이 경우, 시트(17, 19)는 시트(21)의 개구(22)와 정렬되는 개구와 일체로 형성되기 위해 미리 절단된다.
주몸체(2)가 정위치에 세트된 후, 배출구 덮개 수단(10)은 수직 플랜지(5)와 접촉하는 수직 덮개(12)와 팬(3)을 덮는 수평 덮개(11)를 갖는 주몸체(2)상에 위치된다.
나사는 수평 및 수직 덮개(11, 12)상의 슬롯(26, 27)내에 삽입되며, 수평 덮개(11)의 상면이 바닥(18)의 상면보다 약간 낮아지는 주몸체(12)상의 위치에 배출 덮개 수단(10)을 설치하기 위해 태핑 시트(28, 29)내에 결합된다.
바닥(18)의 방수 시트(17)위를 흐르는 빗물은 수평 덮개(11)의 안내 융기부(13)에 의해 덮개(11)의 측부 중심을 향하며 안내될 동안 수집된다.
이것은 안내 융기부(13)의 경사측에 의해 안내 간극(14)내로 강제로 도입되어 팬(13)내로 이송된다.
벽(20)위의 방수 시트(19)를 따라 흐르는 빗물은 덮개(12)상의 안내 융기부(15)에 의해 안내될 동안 덮개(12)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수집된다.
이것은 안내 융기부(15)의 경사측에 의해 안내 간극(16)내로 강제로 도입되어 간극(23)을 통하여 팬(3)내로 이송된다.
팬(3)내로 도입된 빗물은 배출 구멍(8)을 통하여 배출 파이프(9)로 이송되어 배출 도관(도시않음)으로 방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빗물은 안내 융기부(13)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구 덮개 수단(10)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수집된다.
이것은 안내 융기부(13, 15)의 경사측에 의해 안내 간극(14,16)내로 강제로 도입된다.
따라서, 빗물은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배출구 주몸체(2)내로 도입된다.
빗물이 다량일 때도 바닥(18)상에 수지되지 않으며 배출 작업이 매우 만족스럽게 실행된다.
안내 간극(14, 16)이 인접한 안내 융기부(13, 15)사이에 제공되어 상부와 측부로부터 빗물을 수납하기 때문에, 안내 간극(14, 16)은 낙엽이나 작은 나무가지에 의해 차단되거나 좁아지지 않는다. 그 결과 빗물은 언제나 양호하게 배출된다.
또한, 배출구 주몸체(2) 또는 배출구 덮개 수단(10)이 바닥(18)과 벽(2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배출구에 사람이 걸려 넘어질 위험이 없으므로 안전이 보장된다.
또한 배출 파이프(9)가 파이프형 몸체(7)의 의 직경 감소부에 끼워져서 고정되기 때문에, 배출 구멍(8)을 통하여 배출 파이프내로 흐르는 빗물은 배출 파이프(9)에서 누설되지 않는다.
필요한 부품은 배출구 주몸체(2)와 배출 덮개 수단(10)으로서 이들은 종래 장치에 비해 부품수가 적으므로 제조 및 설치가 단순하게 된다.
방수 시트(17, 19)의 아래에는 주몸체(12)의 수평 및 수직 플랜지(6, 5)를 외측에서 감싸는 강화시트(21)가 부착된다.
따라서, 빗물은 방수 시트(17)와 바닥 사이 또한 방수시트(19)와 벽(20)사이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방수 시트(17, 19)의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의 일탈없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주몸체와 배출구 덮개 수단이 측면에서 투시하였을 때 L형상을 취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수직 플랜지와 수직 덮개가 없는 평탄한 배출구 덮개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하기의 청구범위 제 1 항 및 제 2 항에 따른 수평 배출구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I)빗물이 다량인 경우에도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배출된다.
(II)배출 덮개에 낙엽이나 작은 나무가지가 부착되었을 경우라도, 안내 간극이 차단되거나 좁아지지 않으므로 빗물은 언제나 양호하게 배출될 수 있다.
(III)배출구 주몸체 및 배출구 덮개 수단이 바닥면과 벽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배출구에 걸려 넘어질 위험이 없다.
(IV)부품수가 감소되므로 제조와 설치가 간단하다.
청구범위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상술의 정정이외에도, 청구범위 제3항은 팬의 파이프형 몸체와 배출파이프와의 연결부로부터 빗물이 누설되지 않는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바닥의 홈에 장착가능한 팬을 갖는 배출구 주몸체와, 상기 팬을 덮는 수평 덮개를 갖는 배출구 덮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팬은 팬의 하단부에서 빗물의 흐름 방향으로 팬과 일체로 연결되는 파이프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형 몸체는 팬과 연결되기 위한 배출 구멍을 가지며 배출 파이프와 연결되기 위해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평 덮개는 빗물의 흐름 방향으로 수평 덮개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수평 덮개의 외원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안내 융기부를 구비한 상면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안내 융기부는 융기부의 상단부가 파이프형 몸체로부터 벗어나도록 경사지며, 인접한 안내 융기부 사이에는 빗물을 팬내로 안내하는 안내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출구,
  2. 바닥의 홈에 장착가능한 팬과 상기 팬의 하단부에서 빗물의 흐름방향으로 벽에 장착가능한 수직 플랜지를 갖는 배출구 주몸체과, 상기 팬을 덮는 수평 덮개와 상기 수평 덮개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직 플랜지와 이격되어 장착가능한 수직 덮개를 갖는 배출구 덮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팬은 팬의 하단부에서 팬과 일체로 연결되는 파이프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형 몸체는 팬과 연결되기 위한 배출 구멍을 가지며 배출 파이프와 연결되기 위해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평 덮개는 빗물의 흐름 방향으로 수평 덮개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수평 덮개의 외원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 1 안내 융기부를 갖는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제 1 안내 융기부는 파이프형 몸체로부터 벗어나도록 경사지며, 상기 인접한 제 1 안내 융기부 사이에는 빗물을 팬내로 안내하는 제 1 안내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덮개는 빗물의 흐름 방향으로 수직 덮개의 측부 중심을 향하여 수직 덮개의 외원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 2 안내 융기부를 갖는 전방면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제 2 안내 융기부는 제 2 융기부의 상단부가 제 2 융기부의 베이스 단부보다 높아지도록 경사지며, 상기 인접한 제 2 안내 융기부 사이에는 빗물을 수직 플랜지와 수직 덮개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팬내로 안내하는 제 2 안내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출구.
  3.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형 몸체는 그 외원주가 경사 형성되어 팬으로부터 벗어난 직경 감소부를 가지며, 배출구 파이프는 파이프형 몸체의 직경 감소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배출구.
  4. 제2항에 있어서, 파이프형 몸체는 그 외원주가 경사 형성되어 팬으로부터 벗어난 직경 감소부를 가지며, 배출구 파이프는 파이프형 몸체의 직경 감소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출구.
KR1019950004121A 1994-03-04 1995-02-28 수평 배출구 KR0138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34607A JP2670237B2 (ja) 1994-03-04 1994-03-04 横型ドレーン
JP94-34607 1994-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929A KR950032929A (ko) 1995-12-22
KR0138399B1 true KR0138399B1 (ko) 1998-07-01

Family

ID=1241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121A KR0138399B1 (ko) 1994-03-04 1995-02-28 수평 배출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71407A (ko)
JP (1) JP2670237B2 (ko)
KR (1) KR0138399B1 (ko)
GB (1) GB22870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9488C2 (de) * 1998-03-06 2002-08-08 Wolfgang Vahlbrauk Flachdach-Wasserablauf und Flachdach mit einem Flachdach-Wasserablauf
DE19836930C2 (de) * 1998-08-14 2002-06-27 Wolfgang Vahlbrauk Vorrichtung zur Ableitung von Wasser von einer im wesentlichen ebenen Fläche
ATE312245T1 (de) * 2000-03-24 2005-12-15 Unidrain As Ein ablauf und eine gebäudestruktur mit einem ablauf
DE10104530A1 (de) * 2001-01-31 2002-08-14 Sita Bauelemente Vorrichtung zur Entwässerung von Flachdächern mit einem Randabschluss
US7690857B2 (en) * 2005-07-14 2010-04-06 Key William B Storm drain relief channel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JP4682292B2 (ja) * 2005-09-14 2011-05-11 純一郎 萬 排水蓋
US7937899B2 (en) * 2007-12-18 2011-05-10 Earls Bobby J Water drain
DE102013001234A1 (de) * 2013-01-25 2014-07-31 Dallmer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einen in der Nähe einer Wand angeordneten Bodenablauf
CN104863245B (zh) * 2015-05-22 2016-11-09 林国强 一种建筑不降板同层排水地漏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7887A (en) * 1937-03-08 1938-05-17 Holland Henry Self-cleaning drainage intake
US3884809A (en) * 1973-06-28 1975-05-20 Duane D Logsdon Scupper drain structure
US4454039A (en) * 1982-07-19 1984-06-12 Mccoy Archibald H R Frame and cover members for constructing apertures in road surfaces
EP0549535A1 (fr) * 1991-12-23 1993-06-30 Jean-Pierre Schaller Dispositif pour assurer l'écoulement de l'eau de surface d'une da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87042B (en) 1997-03-26
JPH07247584A (ja) 1995-09-26
GB9504335D0 (en) 1995-04-19
GB2287042A (en) 1995-09-06
JP2670237B2 (ja) 1997-10-29
KR950032929A (ko) 1995-12-22
US5571407A (en) 1996-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399B1 (ko) 수평 배출구
AU2019100457A4 (en) An Overflow Device Comprising or Including a Rainhead
EP0452371B1 (en) A guttering system
US5117597A (en) Roof vent pipe collection device
JPH0477771B2 (ko)
JP2006316532A (ja) 雨樋集水ます
KR890000951Y1 (ko) 배수 배관용 집수 죠인트
JPH0428333Y2 (ko)
JP7249460B2 (ja) 配管構造および建築物
JP2000282634A (ja) バルコニーの排水構造
JP2788617B2 (ja) 排水構造
JPH08189151A (ja) 排水用ストレーナ
JP4317514B2 (ja) 中継用ドレインにおける雨水飛散防止装置
JPH08232414A (ja) 付属構築物の樋排水構造
KR100265162B1 (ko) 배수관조립체
JP2024033128A (ja) 雨水排水システム及び屋根上構造
JP2022155591A (ja) 配管構造および建築物
JPH0424020Y2 (ko)
JP2006169816A (ja) 排水管路の構造
JP2022151530A (ja) 配管構造および建築物
JP2540186Y2 (ja) 外階段の段板
KR0131878Y1 (ko) 배수관의 시공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배수전
JPS6243066Y2 (ko)
JP3044695B2 (ja) 施工中の高層建築物の止水工法
JPH04219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