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032B1 -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camera having red-eye reducing function) - Google Patents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camera having red-eye reducing function)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032B1
KR0138032B1 KR1019940018546A KR19940018546A KR0138032B1 KR 0138032 B1 KR0138032 B1 KR 0138032B1 KR 1019940018546 A KR1019940018546 A KR 1019940018546A KR 19940018546 A KR19940018546 A KR 19940018546A KR 0138032 B1 KR0138032 B1 KR 013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focus
light projection
shooting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909A (ko
Inventor
에쯔로 후루쯔
Original Assignee
미타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5000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6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both the intensity of the flash source and the distance of the flash source from the object, e.g.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number" of the flash bulb and the focusing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cus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광촬영시에 미리 피사체에 대해 광을 투사하여 소위 레드아이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카메라는, 촬영모드가 이동체의 촬영에 적합한 신속한 촬영응답을 요하는 모드, 예를 들면 서보AF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섬광촬영시에도 레드아이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광투사를 시초에 금지시켜 신속한 촬영응답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초점조절카메라의 개요를 도시한 개략도
제 2도는 제 1도의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표시한 순서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초점조절카메라의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표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촬영렌즈(10) ... 위상식 AF유닛
(13) ... 수광센서(15) ... 초점조절모터
(16) ... 초점조절모터의 구동회로
(19) ... 마이크로컴퓨터(25) ... 섬광장치
(28) ... 구동회로 (29) ... 레드아이경감장치
(30) ... 확산판(31) ... 반사차양
(32) ... 백열등(35) ... 모드스위치
본 발명은, 일단 초점일치(초점맞춤)상태로 된 후에는 초점조절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원샷 AF(one-shot autofocus)모드 등의 정지체의 촬영에 적합한 촬영모드 및 초점일치 상태로 된 후에도 초점상태의 검출을 반복해서 행하여 초점상태에 따라 초점조절부의 동작을 허가하는 서보AF모드 혹은 초점검출결과와 피사체의 이동예측에 따라서 초점조절을 행하는 이동체예측AF모드 등의 이동체의 촬영에 적합한 촬영모드를 가지고, 섬광에 의한 촬영시에 있어서의 레드아이경감가능을 구비한 자동초점조절카메라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점상태를 검출해서 자동적으로 초점위치를 조절하는 자동초점조절(AF)기능을 가진 카메라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런 종류의 카메라는, 일단 초점일치상태로 된 후에는 AF기능을 정지(또는 초점조절 동작을 금지)하는 원샷AF모드와, 초점일치상태로 된 후에도 초점검출을 반복해서 행하여 초점상태에 따라 AF기능을 작동시키는 (또는 초점조절동작을 수행하는) 서보 AF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의 원샷AF모드는, 초점일치후의 초점조절동작을 금지하는 상태에서 초점일치후의 리프레이밍(re-framing)이 간단히 행해질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풍경사진이나 기념 사진등의 정지피사체의 촬영에 유효하며, 후자의 서보AF모드는, 초점일치후에도 초점 조절동작을 지속하는 상태에서 초점위치가 변동해도 항상 초점일치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므로, 예를 들면 운동사진이나 레이스사진 등의 이동피사체의 촬영에 유효하다.
또, 마이크로컴퓨터의 처리능력이 향상된 현재에서는, 피사체의 이동을 예측해서 셔터구동시에 렌즈계의 초점이 일치되도록 초점조절을 행하는 이동체예측AF도 고안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각종 AF모드를 구비하고, 또 섬광장치를 내장한 AF카메라가 주류로 되고 있고, 섬광촬영시에는 노광직전에 인물(피사체)에 대해서 조명광을 비추어 레드아이현상을 경감하는 방법도 고안되고 있다. 여기에서 레드아이현상이란, 저휘도상태하에서 섬광을 이용해서 인물의 촬영을 행하면, 안구의 동공이 열려있기 때문에 안구밑에서부터 적색광이 반사되어, 마치 토끼의 눈처럼 눈이 빨갛게 보이는 현상이다.
그라나, 상기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AF카메라에 있어서, 섬광촬영시의 레드아이 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노광직전에 수초간의 조명동작이 필요하게 되어, 상기 조명동작은 셔터버튼을 누른 때부터 실제로 촬영되는 시간(릴리즈타임지체)이 이상하게 길어져, 선택되어 있는 AF모드에 따라서는 셔터찬스를 잃어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챤스가 중요한 모드에 있어서는 레드아이경감보다도 셔터챤스를 최우선으로 한 촬영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초점조절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양상에 의하면, 모드설정수단에 의해 서보AF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레드아이경감수단의 동작을 금지하거나, 또는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이동체예측AF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레드아이경감수단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한 카메라에 있어서, 셔터챤스가 중요한 모드시에는, 통상 섬광촬영에 앞서서 레드아이경감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레드아이경감동작을 금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은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초점조절카메라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 1도에 있어서, (1)은 필름면과 AF계에 피사체의 상을 투영하는 촬영렌즈, (2)는 노광량조절용의 조리개, (3)은 노광순간이외에는 파인더쪽으로 피사체의 상을 투영하기 위한 반투과성의 메인 미러(main mirror), (4)는 초점면, (5)는 5각 프리즘, (6)은 전압 렌즈, (7)은 노광량조절용의 포컬플레인셔터, (8)은 필름, (9)는 AF계에 피사체상을 인도하는 서브미러이다. (10)은, 필드렌즈(11), 이 필드렌즈(11)를 개재해서 입사된 피사체상을 분할하기 위한 세퍼레이터렌즈 및 상기 분할된 피사체상을 수광하기 위한 라인센서 등의 수광센서(13)로 구성된 위상식 AF유닛이다.
(14)는 수광센서(13)의 구동회로, (15)는 촬영렌즈(1)의 초점조절을 행하기 위한 초점조절모터, (16)은 초점조절모터(15)의 구동회로, (17)은 촬영렌즈(1)의 구동량을 검출하는 구동량검출기, (18)은 상기 구동량검출기(17)의 구동회로이다. (19)는 RAM, ROM 등의 메모리를 내장한 마이크로컴퓨터, (20)은 AF용의 상신호를 수광센서(13)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19)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내장 A/D변환기, (21)은 후술하는 AE센서로부터의 출력을 마이크로컴퓨터(19)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내장 A/D변환기, (22)는 측광용의 AE센서, (23)은 섬광장치로부터 방출된 섬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섬광량검출센서이다. (25)는 반사차양(26)과 크세논관(27)을 가지고 있고, 섬광제어회로(24)에 의해서 제어되는 섬광장치이다. (29)는 확산판(30), 반사차양(31) 및 백열등(32)을 가지고 있는 레드아이경감장치이다. 상기 백열등(32)은 구동회로(28)에 의해서 구동된다.
(33)은 AF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위치(SW1)로, 릴리즈버튼의 제 1스트로크에 의해 온상태로 절환되고, (34)는, 릴리즈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위치(SW2)로, 릴리즈버튼의 제 2스트로크에 의해 온상태로 절환된다. (35)는 AF모드를 지시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로, 원샷AF모드에 대해서는 오프(OFF)상태이지만, 서보AF모드에 대해서는 온(ON)상태이다. (36)은 마이크로컴퓨터(19)에 내장된 타이머카운터이다.
이하, 이와같이 구성된 카메라의 마이크로컴퓨터(19)의 동작에 대해서 제 2도의 순서도에 따라 설명한다.
스텝#100: 내장된 RAM내의 각종 내용의 클리어 및 I/O회로(입출력회로)의 초기화를 행한다.
스텝#101: 마이크로컴퓨터는 AF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위치SW1의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스위치SW1이 오프상태이면 스텝#100으로 분기하고, 온상태이면 스텝#102로 분기한다.
스텝#102: 구동회로(14)는 개재해서 수광센서(13)를 구동하여 촬영렌즈(1), 필드렌즈(11) 및 세퍼레이터렌즈(12)를 통해서 입사하는 피사체의 상을 소정조건을 만족시킬 때까지 축적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소정조건이란, 수광센서(13)에 축적된 상신호의 레벨이 일정치를 초과하였거나, 또는 축적시간이 일정시간을 초과한 것과 같은 조건이 일반적이다.
스텝#103: 상기 수광센서(13)로부터 출력된 애널로그상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내장 A/D변환기(20)를 통해서 마이크로 컴퓨터(19)내부에 도입하여, RAM의 소정번지에 상신호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스텝#104: 상기 상신호데이터를 이용해서 초점검출연산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세퍼레이터렌즈(12)에 의해 분할된 2개의 피사체상을 각각 A상 및 B상으로 한때, 양쪽 상신호를 상호 역방향으로 시프트시키면서 양쪽 상신호간의 상관을 계산한 후, 상관량이 극치를 취하는 시프트수를 얻음으로써 초점이탈량을 검출한다.
스텝#105: 상기 초점이탈량이 초점심도이내이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렌즈계가 초점일치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스텝#108로 이행하고, 역으로 초점이탈량이 초점심도를 넘은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는 렌즈계가 초점이탈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스텝#106으로 이행한다.
먼저, 초점이탈량이 초점심도를 넘은 경우, 즉 렌즈계가 초점이탈상태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106: 상기 스텝#104에서의 초점검출연산처리에서 산출된 초점이탈량을 촬영렌즈(1)의 초점이탈감도, 즉 디포커스(defocus)감도를 이용해서 해당 촬영렌즈(1)의 구동량으로 변환한다.
스텝#107: 구동회로(16)를 개재해서 초점조절용 모터(15)를 구동하여, 촬영렌즈(1)를 설정된 양만큼 구동한다. 그후, 마이크로컴퓨터는 스텝#101로 귀환하여, 스위치SW1이 온상태이면 포커스검출처리를 재차 수행한다.
그 후, 상기 스텝#105에 있어서 초점이탈량이 초점심도이내, 즉 렌즈계가 초점일치 상태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텝#105에서부터 스텝#108로 분기한다.
스텝#108: 측광용 AE센서(22)로부터 출력된 애널로그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내장 A/D 변환기(21)를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19)내부에 도입하여, RAM의 소정번지에 측광치로서 기억한다.
스텝#109: 마이크로컴퓨터는 스위치SW1의 상태를 확인하여, 스위치SW1이 오프상태이면 스텝#100으로 분기하여 처음부터 처리를 반복해서 행하고, 스위치SW1이 온상태이면 스텝#110으로 분기한다.
스텝#110: 마이크로컴퓨터는 릴리즈개시용의 스위치SW2의 상태를 확인하여, 스위치SW2가 오프상태이면 스텝#111로 분기하고, 온상태이면 스텝#112로 분기한다.
여기에서는 스위치SW2가 오프상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마이크로컴퓨터가 스텝#111로 이행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111: 마이크로컴퓨터는 모드스위치(35)의 상태를 확인하여 모드스위치(35)가 오프상태 즉 원샷AF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마이크로컴퓨터는 스텝#109로 진행하여 릴리즈개시대기로 된다. 한편, 모드스위치(35)가 온상태, 즉 서보AF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마이크로컴퓨터는 스텝#101로 진행하여 스위치SW1이 온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 초점검출 및 초점조절처리를 속행한다.
그후, 릴리즈개시용의 스위치SW2가 온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110으로부터 스텝#112로 분기한다.
스텝#112: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스텝#111과 마찬가지로 모드스위치(35)의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모드스위치(35)가 오프상태, 즉 원샷AF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마이크로컴퓨터는 스텝#113으로 이행하고, 모드스위치(35)가 온상태, 즉 서보AF모드가 설정 되어 있으면 마이크로컴퓨터는 스텝#117로 이행한다.
여기에서는, 원샷AF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스텝#113: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스텝#108의 측광처리에서 기억한 측광치를 소정치와 비교한다. 측광치가 소정치보다 낮으면, 즉 저휘도이면 스텝#114로 이행하고, 측광치가 소정치보다 높으면(즉 고휘도이면) 스텝#117로 분기한다.
스텝#114: 마이크로컴퓨터는 구동회로(28)를 개재해서 백열등(32)을 점등시켜, 도시하지 않은 피사체를 조명해서 레드아이경감동작을 개시한다.
스텝#115: 피사체의 동공의 크기를 적게 해서 레드아이경감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타이머카운터(36)에 의해 일정시간을 계수하고, 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백열등(32)을 소등시키기 위하여 스텝#116으로 이행한다.
스텝#116: 구동회로(28)를 개재해서 백열등(32)을 소등시켜 레드아이경감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스텝#116의 동작이 종료한 경우, 또는 스텝#112에 있어서 서보AF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113에 있어서 고휘도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117로 이행 또는 분기한다.
스텝#117: 메인미러(3)와 서브미러(9)를 구동시켜서 촬영렌즈(1)를 통해서 피사체상이 필름(8)의 표면에 도달하도록 함과 동시에, 셔터(7)를 개방상태로 해서 필름(8)에의 노광을 개시한다.
스텝#118: 상기 스텝#108의 측광처리에서 기억한 측광치가 소정치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측광치가 소정치보다 낮으면, 즉 저휘도이면 스텝#119로 분기하고, 소정치보다 높으면 스텝#122로 분기한다.
여기에서는, 저휘도인 것으로 가정하여, 스텝#119로 분기한다.
스텝#119: 마이크로컴퓨터는 제어회로(24)를 개재해서 섬광장치(25)의 크세논관(27)의 발광을 개시한다.
스텝#120: 마이크로컴퓨터(19)는 섬광장치(25)로부터 방출되어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섬광을 검출하는 광량검출센서(23)의 정보를 섬광제어회로(24)를 개재해서 얻는다.
스텝#121: 상기에서 얻어진 섬광량에 대한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섬광량이 소정치의 섬광량에 달했는 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소정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크세논관(27)의 발광을 정지시킨다.
스텝#122: 상기 스텝#117에서 셔터의 개방후부터 소정시간(셔터속도에 대응하며, 섬광발광시의 동기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됨)이 경과하기 전까지 셔터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킨다.
스텝#123: 셔터(7)를 폐쇄하여 필름(8)에의 노광을 완료시키고, 또 메인미러(3)와 서브미러(9)를 구동시켜 촬영렌즈(1)를 개재한 피사체상이 파인더와 AF 유닛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제 1실시예에 의하면, 피사체의 휘도가 섬광장치의 작동을 필요로 하는 저휘도이더라도, 서보AF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레드아이경감기능의 동작을 금지하고 있으므로, 특히 셔터챤스가 중요한 서보AF모드에 있어서, 카메라가 셔터챤스를 잃어버리는 일이 없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초점조절카메라의 동작을 표시한 순서도이다. 또, 이 카메라의 구성은, 모드스위치(35)가 오프상태이면 통상 AF(원샷AF)모드가 설정되고, 모드스위치(35)가 온상태이면 (이동체) 예측AF모드가 설정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200: 내장된 RAM내의 각종 내용의 클리어 및 I/O회로의 초기화를 행한다. 특히, 예측AF모드플래그를 클리어해서 통상 AF모드로 설정한다.
스텝#201: 마이크로컴퓨터는 AF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위치SW1의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스위치SW1이 오프상태이면 스텝#200으로 분기하고, 온상태이면 스텝#202로 분기한다.
스텝#202: 구동회로(14)를 개재해서 수광센서(13)을 구동하여 촬영렌즈(1), 필드렌즈(11) 및 세퍼레이터렌즈(12)를 통해서 입사하는 피사체의 상을 소정조건을 만족시킬 때까지 축적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소정조건이란, 수광센서(13)에 축적된 상신호의 레벨이 일정치를 초과하였거나, 또는 축적시간이 일정시간을 초과한 것과같은 조건이 일반적이다.
스텝#203: 상기 수광센서(13)로 부터 출력된 애널로그상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내장 A/D변환기(20)를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19)내부에 도입하여, RAM의 소정번지에 상신호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스텝#204: 상기 상신호데이터를 이용해서 초점검출연산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세퍼레이터렌즈(12)에 의해 분할된 2개의 피사체상을 각각 A상 및 B상으로 한 때, 양쪽 상신호를 상호 역방향으로 시프트시키면서 양쪽 상신호간의 상관을 계산한 후, 상관량이 극치를 취하는 시프트수를 얻음으로써 초점이탈량을 검출한다.
스텝#205: 상기 초점이탈량이 초점심도이내이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렌즈계가 초점일치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스텝#210로 이행하고, 역으로 초점이탈량이 초점심도를 넘은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는 렌즈계가 초점이탈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스텝#206으로 이행한다.
먼저, 초점이탈량이 초점심도를 넘은 경우, 즉 렌즈계가 초점이탈상태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206: 상기 스텝#204에서의 초점검출연산처리에서 산출된 초점이탈량을 촬영렌즈(1)의 디포커스감도를 이용해서 해당 촬영렌즈(1)의 구동량으로 변환한다.
스텝#207: 초점검출이 2회이상 반복되어, 전회의 초점검출 결과가 초점이탈상태를 나타낸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는, 전회의 초점검출결과(디포커스량)와 금회(최후)의 초점검출결과(디포커스량)에 의거해서 피사체가 최후의 초점검출과 셔터의 다음 구동간의 소정시간동안 이동하더라도 렌즈계가 초점일치상태를 유지하도록 렌즈의 구동보정량을 산출하고, AF모드를 예측AF모드로 절환한다(또는 예측AF모드플래글 1로 설정한다). 예를 AF자체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공보 제5, 005, 03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208: 구동회로(16)를 개재해서 초점조절용 모터(15)를 구동하여, 촬영렌즈(1)를 설정된 양만큼 구동한다.
스텝#209: 마이크로컴퓨터는 AF모드가 통상의 AF모드 또는 예측 AF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지를 조사하여, 만약 예측AF 모드플래그가 1이면, AF모드가 예측모드인 것이므로, 스텝#210으로 분기한다. 또 통상AF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201로 귀환하여, 스위치 SW1이 온상태이면 초점검출처리를 재차 수행한다.
그후, 상기 스텝#205에 있어서 초점이탈량이 초점심도이내, 즉, 렌즈계가 초점일치 상태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209에서 예측 AF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210으로 분기한다.
스텝#210: 측광용 AE센서(22)로부터 출력된 애널로그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내장 A/D변환기(21)를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19)내부에 도입하여, RAM의 소정번지에 측광치로서 기억한다.
스텝#211: 마이크로컴퓨터는 스위치SW1의 상태를 확인하여, 스위치SW1이 오프상태이면 스텝#200으로 분기하여 처음부터 처리를 반복해서 행하고, 스위치SW2가 온상태이면 스텝#212로 분기한다.
스텝#212: 마이크로컴퓨터는 릴리즈개시용의 스위치SW2의 상태를 확인하여, 스위치SW2가 오프상태이면 스텝#213으로 분기하고, 온상태이면 스텝#214로 분기한다.
여기에서는, 스위치SW2가 오프상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아미크로컴퓨터가 스텝#213으로 이행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213: 마이크로컴퓨터는 예측 AF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여, 통상 AF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211로 분기하여 릴리지개시대기로 되고, 예측 AF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201로 분기하여 스위치SW1이 온상태이면 초점검출 및 초점조절처리를 수행한다.
구후, 릴리즈개시용의 스위치SW2가 온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212로부터 스텝#214로 분기한다.
스텝#214: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스텝#213과 마찬가지로 예측AF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여, 통상 AF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215로 분기하고, 예측AF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219로 분기한다.
여기에서는, 통상 AF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스텝#215: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스텝#210의 측광처리에서 기억한 측광치를 소정치와 비교한다. 측광치가 소정치보다 낮으면, 즉 저휘도이면 스텝#216으로 분기하고, 측광치가 소정치보다 높으면(즉 고휘도이면) 스텝#219로 분기한다.
스텝#216: 마이크로컴퓨터는 구동회로(28)를 개재해서 백열등(32)을 점등시켜, 도시하지 않은 피사체를 조명해서 레드아이경감동작을 개시한다.
스텝#217: 피사체의 동공의 크기를 적게 해서 레드아이경감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타이머카운터(36)에 의해 일정시간을 계수하고, 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백열등(32)을 소등시키기 위하여 스텝#218로 이행한다.
스텝#218: 구동회로(28)를 개재해서 백열등(32)을 소등시켜 레드아이경감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스텝#219의 동작이 종료한 경우, 또는 스텝#214에 있어서 예측AF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215에 있어서 고휘도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219로 이행 또는 분기한다.
스텝#219: 메인미러(3)와 서브미러(9)를 구동시켜서 촬영렌즈(1)를 통해서 피사체상이 필름(8)의 표면에 도달하도록 함과 동시에, 셔터(7)를 개방상태로 해서 필름(8)에의 노광을 개시한다.
스텝#220: 상기 스텝#210의 측광처리에서 기억한 측광치가 소정치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측광치가 소정치보다 낮으면, 즉 저휘도이면 스텝#221로 분기하고, 소정치보다 높으면 스텝#224로 분기한다.
여기에서는, 저휘도인 것으로 가정하여, 스텝#221로 분기한다.
스텝#221: 마이크로컴퓨터는 제어회로(24)를 개재해서 섬광장치(25)의 크세논관(27)의 발광을 개시한다.
스텝#222: 마이크로컴퓨터(19)는 섬광장치(25)로부터 방출되어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섬광을 검출하는 광량검출센서(23)의 정보를 섬광제어회로(24)를 개재해서 얻는다.
스텝#223: 상기에서 얻어진 섬광량에 대한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섬광량이 소정치의 섬광량에 달했는 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소정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크세논관(27)의 발광을 정지시킨다.
스텝#224: 상기 스텝#219에서 셔터의 개방후부터 소정시간(셔터속도에 대응함)이 경과하기 전까지 셔터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킨다.
스텝#225: 셔터(7)를 폐쇄하여 필름(8)에의 노광을 완료시키고, 또 메인미러(3)와 서브미러(9)를 구동시켜 촬영렌즈(1)를 개재한 피사체상이 파인더와 AF유닛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제 2실시예에 의하면, 피사체의 휘도가 섬광장치의 작동을 필요로 하는 저휘도이더라도, 예측AF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레드아이경감기능의 동작을 금지하고 있으므로, 특히 셔터챤스가 중요한 예측AF모드에 있어서, 카메라가 셔터챤스를 잃어버리는 일이 없었다.
제 2도의 순서도는, AF모드의 판정을 스텝#107후에 수행하여 원샷모드에 대해서는 스텝#101로, 서보모드에 대해서는 스텝#108로 분기하도록 변형해도 된다.

Claims (8)

  1. 이동체의 촬영에 적합한 제 1촬영모드와 정지체의 촬영에 적합한 제 2 촬영모드를 가지고, 섬광촬영시 촬영개시전에 피사체를 향해서 광투사를 수행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섬광촬영시 촬영개시전에 상기 광투사를 수행하는 광투사제어회로와,
    카메라가 상기 제 1촬영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광투사제어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광투사동작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촬영모드는 자동초점조절모드로서의 서보모드이고, 상기 제 2촬영모드는 원샷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샷모드에서의 초점조절은, 피사체에 대해서 초점일치상태로 된 후에는 초점조절을 금지하는 방식으로 수행하고, 서보모드에서의 초점조절은, 초점일치 상태로 된 후에도 초점이탈상태가 나타나면 초점조절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촬영모드는 자동초점조절모드로서의 예측자동초점조절모드이고, 상기 제 2촬영모드는 통상자동초점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자동초점조절모드는 전회에 검출된 초점상태와 금회에 검출된 초점상태에 의거해서 렌즈구동량을 얻는 모드이고, 상기 통상자동초점조절모드는 매 시각에 검출된 초점검출결과에 의거해서 렌즈구동량을 얻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개시전의 광투사는, 섬광촬영시에 레드아이현상을 경감하기 위한 광투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촬영모드는 이동체에 대한 초점조절에 적합한 초점조절모드이고, 상기 제 2촬영모드는 정지체에 대한 초점조절에 적합한 초점조절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8. 일단 초점일치상태로 된 후에도 초점이탈상태가 나타나면 피사체에 대한 초점조절을 반복해서 행하는 서보모드와, 일단 초점일치상태로 된 후에는 점조절을 금지하는 원샷모드를 지닌 초점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섬광촬영시 촬영개시전에 레드아이 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광투사를 행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섬광촬영시 촬영개시전에 상기 광투사를 수행하는 광투사제어회로와,
    상기 서보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광투사제어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광투사동작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KR1019940018546A 1993-07-30 1994-07-29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camera having red-eye reducing function) KR0138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06837 1993-07-30
JP5206837A JPH0743603A (ja) 1993-07-30 1993-07-30 自動焦点調節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09A KR950003909A (ko) 1995-02-17
KR0138032B1 true KR0138032B1 (ko) 1998-05-15

Family

ID=1652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546A KR0138032B1 (ko) 1993-07-30 1994-07-29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camera having red-eye reducing function)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21983A (ko)
EP (1) EP0636923B1 (ko)
JP (1) JPH0743603A (ko)
KR (1) KR0138032B1 (ko)
CN (1) CN1064458C (ko)
DE (1) DE6942894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0006B2 (en) * 1997-10-09 2009-12-08 Fotonation Ireland Limited Detecting red eye filter and apparatus using meta-data
US7042505B1 (en) 1997-10-09 2006-05-09 Fotonation Ireland Ltd. Red-eye filter method and apparatus
US7738015B2 (en) 1997-10-09 2010-06-15 Fotonation Vision Limited Red-eye filter method and apparatus
JPH11242505A (ja) 1998-02-25 1999-09-07 Canon Inc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を搭載した装置
US7289664B2 (en) * 2002-01-17 2007-10-30 Fujifilm Corporation Method of detecting and correcting the red eye
US7920723B2 (en) * 2005-11-18 2011-04-05 Tessera Technologies Ireland Limited Two stage detection for photographic eye artifacts
US7574016B2 (en) 2003-06-26 2009-08-11 Fotonation Vision Limited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US7616233B2 (en) * 2003-06-26 2009-11-10 Fotonation Vision Limited Perfecting of digital image capture parameters within acquisition devices using face detection
US7689009B2 (en) * 2005-11-18 2010-03-30 Fotonation Vision Ltd. Two stage detection for photographic eye artifacts
US8254674B2 (en) 2004-10-28 2012-08-28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Analyzing partial face regions for red-eye detection in acquired digital images
US7792970B2 (en) * 2005-06-17 2010-09-07 Fotonation Vision Limited Method for establishing a paired connection between media devices
US8520093B2 (en) * 2003-08-05 2013-08-27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Face tracker and partial face tracker for red-eye filter method and apparatus
US9412007B2 (en) * 2003-08-05 2016-08-09 Fotonation Limited Partial face detector red-eye filter method and apparatus
US20110102643A1 (en) * 2004-02-04 2011-05-05 Tessera Technologies Ireland Limited Partial Face Detector Red-Eye Filter Method and Apparatus
US7599577B2 (en) * 2005-11-18 2009-10-06 Fotonation Vis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of correcting hybrid flash artifacts in digital images
US7965875B2 (en) * 2006-06-12 2011-06-21 Tessera Technologies Ireland Limited Advances in extending the AAM techniques from grayscale to color images
US8869344B2 (en) 2006-12-12 2014-10-28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off-centre dirt bin inlet
US9301666B2 (en) 2006-12-12 2016-04-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055067B2 (en) * 2007-01-18 2011-11-08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Color segmentation
US11751733B2 (en) 2007-08-29 2023-09-1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1472067B (zh) * 2007-12-28 2010-08-25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修正红眼方法
WO2010102394A1 (en) 2009-03-11 2010-09-16 G.B.D. Corp. Hand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irt chamber
CA2967272C (en) 2009-03-13 2018-01-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vacuum cleaner
JP5973708B2 (ja) * 2011-10-21 2016-08-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内視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2135A (ja) * 1987-01-12 1988-07-15 Canon Inc ストロボ装置
JP2788930B2 (ja) * 1987-06-03 1998-08-20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の撮影モード切換装置
JPH01134410A (ja) * 1987-11-20 1989-05-26 Canon Inc 自動焦点調節装置
US5260737A (en) * 1988-08-26 1993-11-09 Canon Kabushiki Kaisha Flash photographing system
US5231445A (en) * 1990-07-09 1993-07-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tabilizing device for camera
JP3025063B2 (ja) * 1991-07-12 2000-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JPH0527307A (ja) * 1991-07-24 1993-02-05 Canon Inc 赤目緩和装置付カメラ
JPH0527306A (ja) * 1991-07-24 1993-02-05 Canon Inc 赤目緩和装置付カメラ
JP3188742B2 (ja) * 1992-01-31 2001-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6923A1 (en) 1995-02-01
DE69428946D1 (de) 2001-12-13
CN1100814A (zh) 1995-03-29
EP0636923B1 (en) 2001-11-07
CN1064458C (zh) 2001-04-11
KR950003909A (ko) 1995-02-17
JPH0743603A (ja) 1995-02-14
DE69428946T2 (de) 2002-06-06
US5721983A (en) 1998-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032B1 (ko) 레드아이경감기능을 구비한 카메라(camera having red-eye reducing function)
JPH04257830A (ja) カメラの閃光調光制御装置
JPH0854558A (ja) 自動焦点カメラ
JP3139067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3780051B2 (ja) カメラの自動焦点調節装置
JP2000081647A (ja) カメラ
JP2006330568A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3947418B2 (ja) カメラ
JP4313868B2 (ja) 自動焦点調節カメラ
JP2006106201A (ja) カメラ
JPH0651188A (ja) 自動焦点カメラおよび撮影方法
JP4810768B2 (ja) カメラ
JP2864551B2 (ja) 自動焦点カメラ
US20030002868A1 (en) Camera for taking a picture in a good focus condition
JPH0262510A (ja) 電動ズームレンズ付きカメラ
JP2000089290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H0659314A (ja) カメラおよび撮影方法
JP2604913B2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2001350171A (ja) カメラ
JP2770465B2 (ja) 自動焦点カメラ
JP3831422B2 (ja) 調光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H08286240A (ja) 撮影装置
JP2004070099A (ja) 焦点検出装置及びカメラ
JPH0915490A (ja) 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カメラ
JP2974462B2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