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791B1 - Dc바이어싱장치 - Google Patents

Dc바이어싱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791B1
KR0136791B1 KR1019890009607A KR890009607A KR0136791B1 KR 0136791 B1 KR0136791 B1 KR 0136791B1 KR 1019890009607 A KR1019890009607 A KR 1019890009607A KR 890009607 A KR890009607 A KR 890009607A KR 0136791 B1 KR0136791 B1 KR 0136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impedance
device under
line
shu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085A (ko
Inventor
요이찌 구보야마
고이찌 야나가와
Original Assignee
디.크레이그 노들런드
휴렛트-팩카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크레이그 노들런드, 휴렛트-팩카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디.크레이그 노들런드
Publication of KR900002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11Measuring indu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내용 없슴

Description

D.C. 바이어싱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D.C. 바이어스 인가 장치를 도시한 전기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D.C. 바이어스 전류원의 최종단을 도시한 전기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회로도.
제7도는 종래의 측정 방법을 도시한 전기 회로도.
제8도는 제7도 내에 도시한 종래의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종래의 실시예의 문제점들을 설명하기 위한 케이블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1, 51, 71 : 임피던스 측정 장치 2, 42, 52, 72, 86 : 피측정 디바이스
3A, 3B, 43A, 43B, 53A, 53B : D.C. 바이어스 전원
4A, 4B, 6A, 6B, 6C, 6D, 54A, 54B, 88A, 88B, 93 : 동축 케이블
5, 7, 8, 55, 57, 58 : 도선 11 : A.C. 전원
12 : 전압계 13 : 전류계
15 : 0 전위 검출 증폭기 16 : 고정구
16H, 16L : 접촉부 31A, 31B : 파워-MOSFET
32A, 32B : 제어 전압 입력 단자 45, 57A, 57B, 57C, 57D : 가드선
46A, 46B, 46C, 46D, 56A, 56B, 56C, 56D : D.C. 차단 캐패시터
48a, 48b : 단자 60 : 보호 회로
63 : 제어 전원 74 : 인덕터
76 : 병렬 공진 회로 81 : 인덕턴스 측정 유니트
82 : D.C. 바이어스 전원 유니트 83 : 전원
84 : 측정 단자 85 : 프로버
91 : 실드선 93a : 코어 와이어
93b : 케이싱
본 발명은 임피던스 측정시의 D.C. 바이어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덕턴스 측정시에 D.C.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덕터는 자성 코어(magnetic core)의 포화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D.C.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좌우되는 상이한 인덕턴스를 갖는다. 따라서, 인덕턴스가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 상태와 유사한 조건하에서 측정될 때, 통상적인 인턱턴스 계기와 함께 D.C. 바이어스 전원이 사용된다. 이러한 측정시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은 A.C. 측정 신호가 피측정 디바이스(device under test)와 병렬로 접속된 D.C. 바이어스 전원을 통해 바람직하지 못하게 흐르기 때문에, 임피던스 측정시에 오차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D.C. 바이어스가 걸려 있는 상태에서 인덕턴스를 측정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종래의 실시예들 중에 한 실예는 제7(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측정 디바이스에 비해 상당히 큰 인덕턴스를 갖고 있는 인덕터(74)를 디바이스 전원과 피측정 디바이스 사이에 접속하는 것이다. 임피던스 측정 장치(71)은 ,단자(Hc 및 Lc)로부터 피측정 디바이스(72)에 A.C. 전류를 인가하고, 단자(HP및 HL)에서 A.C. 전압을 측정하며, 전압의 백터율을 얻음으로써 피측정 디바이스 값을 결정하는 통상적인 측정 계기이다. 여기서, 단자(Hc)로부터의 전류(iac)는 단자(Hd)에서 피측정 디바이스(72)로 흐르는 전류(id)와 바이어스 전원으로 흐르는 전류(id)로 분기된다. 이때, 분기비는 주로 피측정 디바이스(72) 대 인더터(74)의 임피던스비에 의해 결정된다. 전류(ie)는 캐피시터(C) 및 전원(E)를 통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단지(Lc)로 흐른다. 전류(id+ie)가 피측정 디바이스(72)로 흐른다는 가정하에 프로세싱이 측정 계기 내에서 수행되므로, 오차는 측정된 값에서 발생된다. 이 오차를 감소키기 위해, (ie)를 감소시켜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인덕터(74)의 인덕턴스를 피측정 디바이스에 대해 매우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100Hz의 측정 주파수에서 피측정 디바이스의 진(true) 임피던스가 1K
Figure kpo00001
c p 1 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0 -12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1 2
Figure kpo00006
0 -7 -4 DC c ac d 1 b b 1 1 b1 b2 2 1 2 G 2 G
Figure kpo00007
b1 b2 b2 G d d2
Figure kpo00008
1 2
Figure kpo00009
G
Figure kpo00010
2 1 -3 G 2 1 1 2 DC ac d b d b b1 b2 b2 b d b1 b2 d d d d d L DC 1 d c c1 c2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0
c2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0
c1 c d c d d d d

Claims (4)

  1.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피측정 디바이스에 D.C.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D.C.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D.C. 바이어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 디바이스의 한 단자와 접점 사이에 접속된 최소한 1개의 임피던스 유니트, 및 상기 접점과 상기 피측정 디바이스의 다른 단자 사이에 접속된 최소한 1개의 임피던스 유니트를 갖추고 있고;
    상기 임피던스 유니트의 최소한 1개의 유니트가 D.C. 바이어스 전원이며;
    상기 접점이 가드선 및 실드선 등의 피측정 디바이스 이외를 흐르는 A.C. 측정 전류의 임피던스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접속선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바이어싱 장치.
  2.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피측정 D.C. 디바이스에 D.C.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D.C. 바이어싱 장치에 있어서,
    제1 왕복선의 제1 단부에 접속된 제1 임피던스 유니트, 및 제2 왕복선의 제1 단부에 접속된 제2 임피던스 유니트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1 임피던스 유니트 및 상기 제2 임피던스 유니트 중 최소한 1개의 유니트가 D.C. 바이어스 전원이며;
    상기 제1 왕복선 중 한 선의 제2 단부가 상기 피측정 D.C. 디바이스의 한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왕복선 중 한 선의 제2 단부가 상기 피측정 디바이스의 다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왕복선의 다른 선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왕복선의 다른 선의 제2 단부가 서로 접속되고, 또한 가드선, 실드선 및 이와 유사한 선 등의 상기 피측정 디바이스 이외를 흐르는 A.C. 측정 전류에 의한 임피던스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접속선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바이어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 왕복선 및 상기 제2 왕복선이 동축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바이어싱 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 디바이스 이외를 흐르는 A.C. 측정 전류에 의한 임피던스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접속선이 4단자쌍 접속 방법으로 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바이어싱 장치.
KR1019890009607A 1988-07-06 1989-07-06 Dc바이어싱장치 KR0136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67910 1988-07-06
JP63167910A JP2945015B2 (ja) 1988-07-06 1988-07-06 直流バイアス印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085A KR900002085A (ko) 1990-02-28
KR0136791B1 true KR0136791B1 (ko) 1998-05-15

Family

ID=1585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607A KR0136791B1 (ko) 1988-07-06 1989-07-06 Dc바이어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14012A (ko)
JP (1) JP2945015B2 (ko)
KR (1) KR0136791B1 (ko)
GB (1) GB22207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373A (en) * 1990-02-21 1993-06-01 Hewlett-Packard Company Circuit element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parameter of a DUT including a compensation network having an admittance characteristic
US5321363A (en) * 1991-09-26 1994-06-14 Hewlett-Packard Company Two-terminal circuit element measuring apparatus for performing contact checks
JP3110827B2 (ja) * 1991-10-31 2000-11-20 アジレント・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メータ
US5666286A (en) * 1995-10-10 1997-09-09 Nordson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number of inductive loads in parallel
US7091412B2 (en) 2002-03-04 2006-08-15 Nanoset, Llc Magnetically shielded assembly
US7119547B2 (en) * 2004-02-10 2006-10-10 Advantest Corporation Testing apparatus
GB2527572A (en) * 2014-06-26 2015-12-30 Voltech Instr Ltd DC Bias unit
JP6422424B2 (ja) * 2015-11-11 2018-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デバイスの寄生容量測定システムにおける共振装置、半導体デバイスの寄生容量測定システム、および半導体デバイスの寄生容量の測定方法
JP6625422B2 (ja) * 2015-12-14 2019-12-25 日置電機株式会社 測定装置
JP7223825B2 (ja) * 2016-06-14 2023-02-16 株式会社Fuji 電気的特性取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8765A (en) * 1964-01-06 1968-04-16 Ibm Device for the direct measurement of capacitance
US3519923A (en) * 1968-04-16 1970-07-07 United Aircraft Corp Capacitive transducer system independent of stray capacitance
JPS5875073A (ja) * 1981-10-29 1983-05-06 Yokogawa Hewlett Packard Ltd 直流特性測定システム
JPS61110064A (ja) * 1984-11-02 1986-05-28 Yokogawa Hewlett Packard Ltd 回路定数測定器
JPS61142471A (ja) * 1984-12-17 1986-06-30 Yokogawa Hewlett Packard Ltd インピ−ダンス測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14012A (en) 1991-05-07
GB2220756A (en) 1990-01-17
JP2945015B2 (ja) 1999-09-06
KR900002085A (ko) 1990-02-28
GB8915357D0 (en) 1989-08-23
JPH0217458A (ja) 1990-01-22
GB2220756B (en) 199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4532B2 (ja) 電気機械の導体上の地絡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5933012A (en) Device for sensing of electric discharges in a test object
KR0136791B1 (ko) Dc바이어싱장치
ES8704019A1 (es) Un metodo y un aparato para vigilar la produccion de un suceso y para detectar y obtener informacion sobre el suceso al ocurrir este.
JP3126414B2 (ja) 電線敷設装置の破断電線検出器
JP3479061B2 (ja) 電流検出用抵抗器の実装構造および方法
JP4248627B2 (ja) 地絡検査装置
ATE272847T1 (de) Ein gerät zur überwachung teilweiser entladungen in einem gerät mit elektrischer hochspannung oder in einer hochspannungsanlage
JPH09297168A (ja) 超伝導線材の交流損失の測定法および測定装置
JPH0462482A (ja) 電流検出器
JPH0480529B2 (ko)
JPH0712940Y2 (ja) Ic試験装置
CN217561668U (zh) 高压开关触头测试系统
JP4089129B2 (ja) 絶縁診断ブリッジ回路
JP3273075B2 (ja) 低電流測定用治具
Minkner et al. A new flexible fiber optic current-measuring-system for AC-and DC-current in high voltage systems
Kheirmand et al.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partial discharge in high voltage power cable joints
SU10138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обмоточных стержней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шин
SU1718157A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направлени поиска места короткого замыкани на лини х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JPS59212999A (ja) 測定装置
JPH023182Y2 (ko)
JPH01158369A (ja) 電力ケーブルの直流成分測定方法
SU1206734A1 (ru) Образцова мера магнитной индукции
JPH06160496A (ja) 遮断器用試験装置
JPH01267469A (ja) 電力ケーブルの絶縁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