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894Y1 -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 - Google Patents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894Y1
KR0135894Y1 KR2019950015428U KR19950015428U KR0135894Y1 KR 0135894 Y1 KR0135894 Y1 KR 0135894Y1 KR 2019950015428 U KR2019950015428 U KR 2019950015428U KR 19950015428 U KR19950015428 U KR 19950015428U KR 0135894 Y1 KR0135894 Y1 KR 0135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ipo
feed
input
fif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5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818U (ko
Inventor
이형석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50015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894Y1/ko
Publication of KR970002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8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8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06F12/0646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 G06F12/0684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with feedback, e.g. presence or absence of unit detected by addressing, overflo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5/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5/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for changing the speed of data flow, i.e. speed regularising or timing, e.g. delay lines, FIFO buffers; over- or underrun control therefor
    • G06F5/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for changing the speed of data flow, i.e. speed regularising or timing, e.g. delay lines, FIFO buffers; over- or underrun control therefor having a sequence of storage locations, the intermediate ones not being accessible for either enqueue or dequeue operations, e.g. using a shift register
    • G06F5/0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for changing the speed of data flow, i.e. speed regularising or timing, e.g. delay lines, FIFO buffers; over- or underrun control therefor having a sequence of storage locations, the intermediate ones not being accessible for either enqueue or dequeue operations, e.g. using a shift register in which the data is recirc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입선출(FIFO)형식의 메모리에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켜, 재 전송 요구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시스템 속도를 향상시키는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FIFO)에 관한 것으로, 한 번 출력한 데이터는 다시 쓸수 없다는 파이포 개념으로 인해 재 전송 요구에 대한 데이터 전송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던 종래 문제점을, 파이포에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켜, 데이터 출력시 이 출력 데이터를 다시 피드-백 시켜 재 저장 하므로써, 재 전송요구시 신속하게 대처하여 그만큼 전체 시스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
제1a도는 종래 다수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1b도는 종래 백-업용 파이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피드-백 파이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스템 버스 2 : 상위파트
3 : 하위파트 5 : 버스 인터페이스
10 : 파이포 11 : 제어부
본 고안은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FIFO)에 관한 것으로,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 FIFO)형식의 메모리에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켜, 재 전송 요구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시스템 속도를 향상시키는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FIFO)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전산 시스템에서 하위파트(part)의 데이터를 파이포를 통해 버스로 전송할 때, 데이터의 에러로 인해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는 쪽인 상위파트 측에서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재 전송을 요구하게 되는데, 기존에는 이 재 전송 요구에 대처하는 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다시 재 전송 요구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하위파트 측에서 억세스 한 다음 전송한다.
즉, 상위파트에서 재 전송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 전송 주기를 거쳐서 파이포에 로드된 뒤, 버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하위파트에서 다시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파이포 안에 유효한 데이터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재 억세스하고 이를 다시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이 그만큼 시스템의 속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되는 종래 방식 중 버퍼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버스(1) 상에 연결되는 보드로써, 중앙처리장치나 메모리 등이 주를 이루는 상위파트(2)와; 파이포와 같은 보드 레벨에 있는 부분으로 메모리나 통신 포트, 상용 인터페이스 및 칩 등이 주를 이루는 하위파트(3)와; 상기 하위파트(3)에서 상위파트(2)로 데이터를 전송할 시, 거치는 버퍼(4) 및; 상기 버퍼(4)와 시스템 버스(1) 간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버스 인터페이스(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산 시스템의 하위 파트(3)에서 어떠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시, 버퍼(4)와, 버스 인터페이스(5)를 통해 시스템 버스(1)로 입력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32비트로 된 데이터 프레임을 4번 정도 블록전송 할 경우에는 1바이트의 버퍼 소자를 16개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는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일예로 파이포를 사용하되 백-업용 파이포를 하나더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제1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버스(1) 상에 연결되는 보드로써, 중앙처리장치나 메모리 등이 주를 이루는 상위파트(2)와; 파이포와 같은 보드 레벨에 있는 부분으로 메모리나 통신 포트, 상용 인터페이스 및 칩 등이 주를 이루는 하위파트(3)와; 하나의 버퍼 역할을 하는 기본적인 파이포(4-1)와; 상기 파이포(4-1)에 실질적인 데이터가 로드될 때 이와 동시에 동일한 데이터가 로드되어 이를 저장하는 백-업용 파이포(4-2)와; 상기 파이포(4-1)와 시스템 버스(1)간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버스 인터페이스(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산 시스템의 하위파트(3)에서 데이터가 출력되면, 이 데이터는 파이포(4-1)와, 백-업용 파이포(4-2)에 동일하게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 중 파이포(4-1)에 저장된 데이터는 다시 버스 인터페이스(5)를 거쳐 시스템 버스(1)를 타고 상위파트(2)에 입력된다.
이때 만약 상위파트(2)에서 입력받은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구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다시 하위파트(3)에 재 전송요구를 보내는데, 이 재 전송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그 전에 백-업 시켜 놓았던 백-업용 파이포(4-2)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시킨다.
이렇게 되면, 다시 그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데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재 전송 요구에 대한 억세스 소모 시간을 줄이는 장점은 있으나, 동일한 데이터에 한하여 재 전송 요구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면 그 횟수 만큼에 해당하는 백-업용 파이포(4-2)를 사용해야 하므로 비 경제적이며, 설계면적 또한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이포에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키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별도 설치하여 재 전송 요구에 신속하게 대처토록 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즉, 전산 시스템의 하위파트에서 상위파트로 데이터 전송시 주로 사용되는 파이포에 있어서, 파이포의 입/출력 인에이블 단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파이포에서는 데이터를 출력할 시, 상기 제어부의 입/출력 인에이블 단자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의 피드-백 데이터를 재 저장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와 같은 구성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피드-백 방식의 파이포 구성 블록도를 보면 이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버스(1) 상에 연결되는 보드로써, 중앙처리장치나 메모리 등이 주를 이루는 상위파트(2)와; 파이포와 같은 보드 레벨에 있는 부분으로 메모리나 통신 포트, 상용 인터페이스 및 칩등이 주를 이루는 하위파트(3)와; 파이포(10)와; 상기 파이포(10)의 입/출력 인에이블 단자(I/E,O/E)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제어하는 제어부(11)와; 상기 파이포(10)와 시스템 버스(1) 간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버스 인터페이스(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산 시스템의 하위파트(3)에서 어떠한 데이터가 출력되면, 이는 파이포(10)와, 시스템 버스(1)를 통해 상위파트(2)로 전송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1)에서는 상기 데이터가 출력될 무렵 출력 인에이블 단자(O/E)를 인에이블 시키면서 입력 인에이블 단자(I/E) 또한 인에이블 시켜, 상기 출력 데이터가 피드-백 되어 다시 파이포(10)에 재 저장되도록 한다.
이는 만약의 경우, 상위파트(2)에서 데이터 수신을 제대로하지 못했을 때, 재 전송 요구 신호를 출력하면, 이에 대하여 파이포(10)에 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신속하게 출력하기 위함이다.
즉, 제어부(11)에서는 맨 처음 하위파트(3)에서 데이터가 입력될때는 입력 인에이블 단자(I/E)는 인에이블 시키고, 출력 인에이블 단자(O/E)는 디스에이블 시켜 입력만 받도록 한다.
그런다음 파이포(10)에 있는 내용을 출력할시, 출력 인에이블 단자(O/E)를 인에이블 시켜 데이터를 상위파트(2) 측으로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입력 인에이블 단자(I/E)를 인에이블 시켜 상기 출력되는 데이터를 피드-백 시켜 다시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출력 데이터를 다시 피드-백 시키면,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같이 재 전송 요구신호가 입력된다 하더라도 파이포(10) 내부에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그 만큼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스템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피드-백 되어 입력된 데이터를 다시 보내달라는 재 전송 요구가 없을 시에는 파이포(1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내용을 제거시켜 다음 하위파트(3)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받아들이도록 한다.
참고로 제어부의 구성은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소자(EPLD)를 사용하거나, 팔(PAL) 등을 사용하여 구현하고, 파이포(10)의 용량은 최소한 전송 데이터 용량의 재 전송 횟수의 값과 같은 용량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 번 출력한 데이터는 다시 쓸수 없다는 파이포 개념에서 벗어나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켜, 동일한 데이터를 재 저장 하므로서, 재 전송요구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전체 시스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전산시스템의 하위파트(3)에서 상위파트(2)로 데이터 전송시 사용되는 선입선출 소자인 파이포에 있어서, 상기 파이포에는 입/출력 인에이블 단자(I/E,O/E)를 제어하는 제어부(11)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파이포(10)의 입출력 인에이블 단자(I/E,O/E) 사이에는 피드백경로가 마련되어 상기 하위파트(3)에서 데이터가 출력되면, 상기 파이포(10)에 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
KR2019950015428U 1995-06-29 1995-06-29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 KR0135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428U KR0135894Y1 (ko) 1995-06-29 1995-06-29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428U KR0135894Y1 (ko) 1995-06-29 1995-06-29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818U KR970002818U (ko) 1997-01-24
KR0135894Y1 true KR0135894Y1 (ko) 1999-03-30

Family

ID=1941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5428U KR0135894Y1 (ko) 1995-06-29 1995-06-29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8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818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8488A1 (en) Bus interface and processing system
KR930016888A (ko) 컴퓨터 시스템 및 시스템 메모리 액세스 제어방법
US4800523A (en) Device interface controller having device specific and device common instructions separately stored
KR0135894Y1 (ko) 피드-백 방식을 적용시킨 파이포
US5842044A (en) Input buffer device for a printer using an FIFO and data input method
JPS61165170A (ja) バス制御方式
KR970002412B1 (ko) 디엠에이(dma)가 가능한 통신코프러세서 보드
KR200200469Y1 (ko) 직접 메모리 접근회로부 및 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KR0126597Y1 (ko) 고속 시스템버스용 데이타 전송장치
KR930006234B1 (ko) 이중화된 프로세서에서의 데이타 전송장치
KR920005619Y1 (ko) 뱅킹시스템에서 현금자동지급기의 루프콘트롤러
KR910008419B1 (ko) 공통 메모리 억쎄스방식
KR0136520B1 (ko) 분산 제어 시스템
KR910003497A (ko) 내부 버스라인 수를 줄인 데이타 처리장치
JPS6341269B2 (ko)
JPH05120207A (ja) デ−タ転送方式
JP3277016B2 (ja) データ送受信装置
KR960008563Y1 (ko) 병렬버스의 제어장치
JP2000010758A (ja) Fifoコントローラ
JPH0222756A (ja) Dma転送データ幅変換装置
KR19980083459A (ko) 데이터버스 사이즈 조정 장치
JPH0836544A (ja) データ転送方式
JPS58154030A (ja) Dma制御方式
JPH104410A (ja) 通信制御システム
JPS61107593A (ja) 磁気バブルメモ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