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983Y1 -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983Y1
KR0133983Y1 KR2019930029628U KR930029628U KR0133983Y1 KR 0133983 Y1 KR0133983 Y1 KR 0133983Y1 KR 2019930029628 U KR2019930029628 U KR 2019930029628U KR 930029628 U KR930029628 U KR 930029628U KR 0133983 Y1 KR0133983 Y1 KR 0133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low
cylinder head
head cov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280U (ko
Inventor
이희석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9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983Y1/ko
Publication of KR9500192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2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9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2013/0038Layout of crankcase breath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실린더 헤드 상에 형성된 가스 배출공과, 실린더 헤드 커버 내에 형성된 것으로 조립시 상기 가스 배출공과, 연결되어 크랭크 케이스 내의 블로바이가스를 P.C.V 밸브 또는 브리더 호스를 통해 흡기 계통으로 보내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며, 캠축 등의 유동부품에 의해 비산된 오일이 흡기계통쪽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제1도는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순환도.
제2도는 종래의 실린더 헤드 커버에 설치된는 블로바이가스 환원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서 선 Ⅰ-Ⅰ를 따라 취한 실린더 헤드 커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C.V밸브 20 : 실린더 헤드 커버
30 : 실린더 헤드 28 : 배출통로
32 : 가스 배출공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 헤드 커버에 블로바이 가스(blow-by gas)배출 통로를 형성하여 가스를 곧바로 P.C.V밸브와 브리더 호스로 배출함으로써 캠축등의 유동부품에 의해 비산된 오일이 분출(blow-ou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가솔린엔진에서는 연소된 배기가스나 혼합기의 일부가 크랭크 케이스 내로 유입되는데, 이것을 블로바이가스라 부른다.
블로바이가스는 부분산화를 받은 혼합가스와 연소가스로 구성되며, 엔진에서 배출되는 탄화수소 가스의 약 ¼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강산성 이므로 엔진 내부의 구성품을 부식시키며, 엔진오일이 변색되거나 변질되어 변질되어 슬러지(sludge)가 생기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거에는 크랭크 케이스에 브리더 호스(breather hose)를 설치하여 블로바이 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 하였으나, 블로바이 가스에 혼합된 탄화수소 가스로 인해 환경이 오염되므로 이를 다시 혼합계통에 공급하여 연소실내에서 재 연소 시키고 있다.
이러한 재연소장치가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이다.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위해 이와같이 통상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를 제 1도에 도시하였으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는 P.C.V밸브(positive crankcase ventilstion valve)(10)와 브리더호스(12)를 이용하여 크랭크 케이스(14)내의 블로바이 가스를 흡입계통으로 다시 공급한다.
이때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크랭크 케이스(14)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A)방향을 따라 블로바이 가스가 유출되어 P.C.V밸브(10)를 통해 실린더(16)내로 공급되며, 급가속이나고 부하일 경우에는 P.C.V밸브(10)의 개도가 작아져 크랭크 케이스(14)내의 블로바이 가스는 브리더호스(12)를 통해 기화기(18)를 거쳐 실린더(16)내로 공급된다.
제2도에는 이러한 종래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가 장착된 엔진의 실린더 헤드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의 P.C.V밸브(10)는 실린더 헤드 커버(20)상에 부착되며, 실린더 헤드 커버(20)내에는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18)가 설치되어 있다.
P.C.V밸브(10)의 일단은 시일부재(22)를 통해 실린더헤드 커버(20)상의 장착구멍에 삽입되며 타단에는 호스(24)가 끼워져 있다.
크랭크 케이스(제1도의 14)내에서 올라온 블로바이 가스는 실린더헤드(제3도)와 배플 플레이트(18)사이에 모아진후 배플 플레이트(18)에 형성된 관통공(26)을 통해 배플 플레이트(18)와 실린더 헤드 커버(20)사이로 보내져 P.C.V밸브(10) 또는 브리더 호스(제1도의 12)(제1도의 16)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종래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는 크랭크 케이스에서 올라온 블로바이 가스와 함께 실린더 헤드상에 설치된 캠축등의 유동 부품에 의해 비산된 오일이 환원 장치를 통해 분출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실린더 헤드 커버에는 배플 플레이트의 설치에 따른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부의 부피가 크며 그에 따른 제조비용이 상승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실린더 헤드 커버상에 배출통로를 설치하여 캠축 등에 의한 오일의 분출을 방지할 수 있고, 배플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음으써 실린더 헤드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P.C.V밸브와 브리더 호스를 통해 크랭크 케이스 내의 블로바이 가스를 흡기계통으로 다시 보내 재연소시키는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상에 형성된 가스 배출공과, 실린더 헤드 커버의 내부에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가스 배출공과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크랭크 케이스 내의 블로바이 가스를 상기 P.C.V 밸브와 브리더 호스로 보내는 배출통로(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를 제공한다.
다음에는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린더 헤드 커버(20)의 내면에는 직사각형 모양의 배출통로(28)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로(28)는 실린더 헤드 커버(20)의 내면 상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실린더 헤드(30)에 형성된 블로바이 가스 배출공(32)과 연결된다. 또한, 배출통로(28)의 일면은 실린더 헤드 커버(20)의 측면이 되며 P.C.V밸브(10)의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와 마찬가지로 P.C.V밸브(10)가 결합되어 있다.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린더 헤드 커버의 높이는 종래의 실린더 헤드 커버에 비해 비교적 낮다.
왜냐하면, 본 고안의 실린더 헤드 커버(20)내에는 종래와 같은 배플 플레이트(26)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의 높이가 감소된다.
상기 실린더 헤드커버(20)에 형성된 배출통로(28)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가스 배출공(32)이 실린더 헤드(30)상에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 실린더 헤드 커버(20)의 배출통로(28)는 실린더 헤드(30)에 형성된 가스 배출공(32)과 일체로 연결되어 블로바이 가스의 통로를 제공한다.
제4도는 제3도에서 선Ⅰ-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 본 고안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가 설치된 실린더 헤드 커버(20)의 단면을 나타낸다.
크랭크 케이스에서 올라온 블로바이 가스는 실린더 헤드 커버(20)에 형성된 배출통로(28)를 지나 곧바로 P.C.V밸브(10)를 통과한 후 브리더 호스(제2도의 24)를 통해 흡기계통에 공급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의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에 의하면 캠축 등의 유동부품에 의해 비산된 오일 분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스로틀 계통의 침적이나 연소실에 카본(carbon)이 침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플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엔진 헤드부의 높이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제조비용의 감소가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캠 샤프트를 갖는 엔진의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2개의 오버헤드 캠축(DOHC)을 갖는 엔진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를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

  1. 크랭크 케이스내의 블로바이가스를 흡기계통으로 다시 공급하여 재연소시키는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가스 배출공과, 실린더 헤드 커버의 내부에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가스 배출공과 연결되어 크랭크 케이스내의 블로바이가스를 흡기계통에 공급하는 배출통로(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는 실린더 헤드상에 형성된 상기 가스 배출공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의 직사각형 단면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2019930029628U 1993-12-24 1993-12-24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0133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628U KR0133983Y1 (ko) 1993-12-24 1993-12-24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628U KR0133983Y1 (ko) 1993-12-24 1993-12-24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280U KR950019280U (ko) 1995-07-24
KR0133983Y1 true KR0133983Y1 (ko) 1999-03-20

Family

ID=1937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628U KR0133983Y1 (ko) 1993-12-24 1993-12-24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9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280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1234A (en) Blow-by gas passag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WO1985003553A1 (en) Crankcase emissions device
CA2472431C (en) Four-stroke engine system
BR9510100A (pt) Motor de combustão interna
EP1482136B1 (en) Breather device for an engine
KR0133983Y1 (ko) 자동차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200160391Y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100409579B1 (ko) 디젤엔진의 블로바이가스 재순환장치
KR100261448B1 (ko) 자동차 엔진의 오일 분리 장치
KR100240502B1 (ko) 자동차 엔진의 오일 분리 장치
KR100286892B1 (ko) 자동차의 에어컨 컴프레셔 브라켓 구조
KR200162566Y1 (ko) 실린더 헤드의 누유 방지장치
KR200159793Y1 (ko) 블로바이 가스중의 오일 제거 장치
KR19990026567U (ko) 차량용 엔진의 배플 플레이트
KR0137002Y1 (ko) 자동차 엔진의 피스톤 링 회전방지구조
KR0139655Y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여과장치
EP0801706A1 (en) Dynamic gas sea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893437A (ja) 内燃機関のロッカカバー装置
KR200181702Y1 (ko) 블로바이 가스의 과다흡입 방지장치
KR0113237Y1 (ko) 자동차용 블로우 바이 가스 환원 장치
KR19990040279U (ko) 엔진의 블로바이 가스 제어장치
KR20000045755A (ko) 자동차 엔진용 실린더헤드 커버 구조
KR19980055322A (ko) 자동차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
KR19980054592U (ko) 엔진의 오일 에어레이션 저감 구조
KR19980045901U (ko) 자동차 엔진의 블로우바이 가스 재 순환 연결 호스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