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954B1 - 전자투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투표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954B1
KR0133954B1 KR1019930001759A KR930001759A KR0133954B1 KR 0133954 B1 KR0133954 B1 KR 0133954B1 KR 1019930001759 A KR1019930001759 A KR 1019930001759A KR 930001759 A KR930001759 A KR 930001759A KR 0133954 B1 KR0133954 B1 KR 0133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ting
candidate
voter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724A (ko
Inventor
다까요시 미야가와
Original Assignee
다까요시 미야가와
가부시기가이샤 세이지 고오호오 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요시 미야가와, 가부시기가이샤 세이지 고오호오 센터 filed Critical 다까요시 미야가와
Publication of KR94000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선거단말장치는 기억장치(13), 좌표입력장치(3,5,10)와 이것과 연동하는 표시장치(6)를 구비한다. 투표를 하고자 할 경우, 선거단말장치는 표시장치(6)에 입후보자의 성명 또는 정당명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일람표시하고, 투표자에 대하여 선택조작을 촉구한다. 좌표입력장치(3,5,10)를 이용하여 투표자가 입후보자를 선택하면 선거단말장치는 선택된 입후보자의 속성을 표시하고, 투표자에 대하여 최종적인 의사의 확정조작을 촉구한다. 투표자가 확인조작을 하면 기억장치(13,29)에 등록되어 있던 득표 데이터를 갱신한다.

Description

전자투표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거단말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거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제어프로그램의 구조 및 데이타 버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입후보자 버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투표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제6a도 및 6b도는 제5도의 선택기능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
제7도는 제5도의 인식기능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
제8도는 영역 데이타 버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9도~제14도는 제1도의 선거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
제15a도 및 제15b도는 화면페이지 출력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
제16도는 화면페이지 출력 버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투표자의 적격성을 판단하는 접수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18도는 선거용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선거에서의 투표에 사용되는 컴퓨터 단말장치 및 선거의 투표와 투표를 집계하기 위한 전자투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통령선거 및 각종 의원선거 등에서, 유권자는 투표소에 가서 투표용지에 입후보자의 성명을 기입하고서 투표함에 넣는다. 그후 수작업에 의해서 개표작업이 행해지고, 투표결과가 집계되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거투표에서는, 투표행위나 집계작업등에 있어서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투표나 집계작업을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었고, 또한 투표집계에 있어서 종종 에러가 발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투표행위나 집계작업등에 사용가능한 컴퓨터 단말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거용 컴퓨터 단말장치는 기억장치, 좌표입력장치 및 상기 좌표입력장치와 연동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선거단말장치는 하기한 ①~③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① 상기 표시장치에 입후보자의 성명 및/또는 정당명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일람표시(一覽表示)하고, 투표자가 선택조작을 하도록 촉구하는 수단.
② 투표자가 상기 좌표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후보자 및/또는 정당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입후보자 및/또는 정당의 속성(屬性)을 표시하여 속성이 표시된 입후보자 및/또는 정당에 투표할 것인지 아닌지의 최종의사에 대한 확인작업을 촉구하는 수단.
③ 투표자가 확인작업을 행하면, 상기 기억장치에 득표수가 등록처리되거나 유선 또는 무선수단에 의하여 상기 기억장치와 접속된 다른 장치에 의하여 득표수가 등록처리되도록 하는 수단.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선거단말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제1도에 있어서, 표시/입력장치(2)는 케이싱(1)의 상표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입력장치(2)는 LCD(액정표시) 및 상기 LCD상에 겹쳐지며 좌표를 입력하도록 고안된 투명한 태블릿으로 형성된다. 상기 표시/입력장치(2)는 동일 좌표상에 데이타를 표시하는 작업과 입력하는 작업을 모두 허용한다. 태블릿상의 좌표위치를 지시하기 위해 펜(3)(스타일러스:stylus)이 제공된다. 상기 펜(3)은 상기 태블릿과 상기 펜(3)의 접촉을 검지하기 위해 스위치를 갖는다. 상기 스위치에 의하여 얻어진 검지결과는 코드(4)를 통하여 표시/입력장치(2)의 내부회로에 입력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선거단말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표시/입력장치(2)는 상기 투명 태블릿(5)이 LCD(6)상에 겹쳐지도록 고안된다. 상기 투명태블릿(5)은 서로 직교하는 X, Y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투명 전극들이 유리판상에 매트리스 형태로 배열되도록 고안된다. 상기 투명태블릿(5)은 태블릿 제어기(10)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펜(3)에 의하여 지시된 X, Y좌표를 검출한다. 상기 LCD(6)는 LCD 제어기(11)에 의하여 제어되어 이미지를 표시한다.
CPU(1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도록 고안된다. RAM(13)은 판독/기록 작업의 메모리 용량이며 CPU(12)의 동작 프로그램 및 데이타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추가로, 상기 RAM(13)은 LCD(6)상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에 관한 정보(예를들면, 표시정보 및 위치정보), 상기 펜(3) 궤적에 관한 정보(필기에 의하여 입력된 패턴), 등과같은 정보들을 저장한다. ROM(14)은 판독전용 메모리로서 상기 단말장치의 파워스위치를 켠후 이용되는 진단 프로그램, 상기 시스템을 띄우기 위해 이용되는 부트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VRAM(15)은 LCD(6)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규정하는 화상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비트맵 메모리이다.
상기 태블릿 제어기(10)는 X방향으로 연장된 전극에 펄스전압을 순타적으로 인가하여 Y방향으로 연장된 전극에서 전압을 체크한다. 상기 펜(3)이 상기 투명태블릿(5)상의 일 지점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지시된 지점을 통과하는 X방향 전극에 인가된 상기 펄스전압은 정전유도에 의하여 상기 지점을 통과하는 Y방향 전극에도 인가된다. 상기 펜(3)내의 상기 스위치가 ON상태에 있을 때, 상기 태블릿 제어기(10)는 상기 펜(3)에 의하여 지시된 위치의 X, Y좌표 데이타로서 상기 펄스전압이 인가된 X방향 전극과 상기 펄스전압이 검출된 Y방향 전극 사이에 교점 좌표를 결정하여 구해진 X, Y좌표 데이타를 상기 RAM(13)에 전송한다.
상기 LCD 제어기(11)는 VRAM(15)에서 LCD(6)로의 화상 데이타 전송, CPU(12)에서 VRAM(15)으로의 화상 데이타 전송 등을 제어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6)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수단을 포함하며, 외부단말제어장치 또는 주컴퓨터와 데이타를 교환하도록 제공된다.
화일기억장치(17)는 예를들면,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되며, 문자인식, 입후보자에 관한 정보 등의 사서데이타를 저장하도록 고안된다. 또한, 상기 화일기억장치(17)는 투표자가 입력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 카드(19)는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8)와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카드(19)는 상기 단말장치를 선거용 단말기로서 작용시키기 위한 선거용 응용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상기 선거용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시스템이 작동될때, CPU(12)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18)를 통하여 상기 RAM(13)내에 저장된다.
음성출력장치(33)는 상기 단말장치의 조작순서, 입후보자의 성명, 입후보자에 대한 정보 등을 음성으로 스피커 또는 헤드폰 스피커를 통하여 투표자에게 알린다.
제3도는 RAM(13)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RAM(13)은 메모리카드로부터 전송된 선기용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선거용 응용프로그램은 처리제어부(20), 입력제어부(21), 적격성 체크부(22), 인식처리부(23), 검색부(24), 화면페이지 출력제어부(25), 및 통신제어부(2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RAM(13)은 위치 데이타버퍼(29), 사서 데이타 버퍼(28), 영역 데이타버퍼(29), 인식결과 버퍼(30), 입후보자 버퍼(31) 및 화면페이지 출력버퍼(32)로서 각각 기능하는 영역을 구비한다.
처리제어부(20)는 상기 선거용 응용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입력제어부(21)에는 펜(3)에 의하여 지시된 태블릿(5)상의 위치의 좌표데이타가 태블릿 제어기(10)를 통하여 제공된다.
적격성 체크부(22)는 투표자의 적격성을 체크한다. 예를들면, 상기 적격성 체크부(22)는 투표할 권리가 없는 사람이 투표하려고 하거나 동일 투표자가 여러번 투표하려고 하는 경우, 이것을 체크한다. 부적격한 투표자를 검지한 경우, 상기 적격성 체크부(22)는 CPU(12)에 그 투표자의 투표행위를 무효화 할 것을 지시한다.
인식처리부(23)는 수서문자(handwritten character:투표자가 펜으로 직접 기재한 문자)인식이 지시되면, 입력제어부(21)에서 입력된 좌표데이타 계열에서 투표자가 기재한 문자(본 실시예에서는 숫자)를 인식한다.
검색부(24)는 입력제어부(21)로부터 제공된 좌표데이타 또는 인식처리부(23)에 의하여 인식된 문자에 의거하여 입후보자 버퍼(31)에 기억되어 있는 입후보자에 관한 데이타를 검색한다.
화면페이지 출력제어부(25)는 표시제어부(25a) 및 음성제어부(25b)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제어부(25a)는 하기의 세 가지 기능을 갖는다: ① 상기 화면페이지 출력버퍼(32)내에 저장된 표시데이타를 LCD제어기(11)를 통하여 LCD(6)로 전송한다; ② 입력제어부(21)로부터 제공된 좌표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펜(3)의 궤적(투표자가 필기하는 문자 또는 선 등)을 즉시 LCD(6) 상에 표시한다; 및 ③ 수행될 작업을 지시하는 명령 또는 아이콘(icon)이 LCD(6)에 표시되도록 한다. 음성제어부(25b)는 상기 화면페이지 출력버퍼(32)내에 저장된 음성 출력데이타를 음성출력장치(33)에 제공한다.
통신제어부(26)는 통신 인터페이스(16)를 제어하여 외부 단말제어장치 등과의 데이타 전송을 제어한다. 위치 데이타버퍼(27)는 상기 입력제어부(21)로부터 제공된 좌표데이타를 저장한다. 사서 데이타버퍼(28)는 인식처리부(23)에서 수행될 문자인식 처리에 이용되는 사서 데이타를 저장한다. 상기 사서 데이타는 상기 화일 기억장치(17)에 저장되어 상기 시스템이 작동될 때 상기 기억장치(17)로부터 상기 사서 데이타퍼(28)로 전송된다.
영역 데이타 버퍼(29)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6)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패턴(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의 표시범위를 나타내는 X, Y좌표 데이타를 저장한다. 제9도에 도시된 화면(화면페이지1)의 『선택투표』 영역(40a)에 있어서, 좌측상단의 좌표는 (X01,Y01)이고, 우측하단 좌표는 (X02,Y02)이다. 따라서, 태블릿(5)에 의하여 검출된 좌표가 좌표(X01,Y01)와 좌표(X02,Y02) 사이에 있으면, 선택투표』 영역(40a)이 펜(3)에 의하여 지시된 것을 판별할 수 있다. 인식결과 버퍼(30)는 인식처리부(23)가 인식한 문자 데이타를 저장한다.
입후보자 버퍼(31)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거단말장치에 의하여 관리되는 각 입후보자(a~n)에 대한 입후보자 버퍼(310a~310n)를 구비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입후보자 버퍼(310a~310n)는 입후보자 번호영역 좌표 데이타(311), 입후보자 등록번호(312), 입후보자 성명데이타(313), 연령 데이타(314), 정당명 데이타(315) 및 입후보자 사진 이미지 데이타(316)를 저장하며, 또한 득표수 카운터 버퍼(317)를 구비한다.
입후보자 번호영역 좌표 데이타(311)는, 제10도(하기에 설명됨)의 화면에 해당하는 입후보자 등록번호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아이콘)을 나타내는 X, Y좌표 데이타이다.
입후보자 등록번호(312)는 각 입후보자에게 할당된 식별번호이다. 정당명 데이타(315)는 각 입후자가 소속되어 있는 정당명을 나타낸다. 입후보자 사진 이미지 데이타(316)는 각 입후자 사진의 이미지 데이타이다.
득표수 카운터 버퍼(317)는 카운터기능을 갖는다. 해당 입후보자가 투표될 때마다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은 1씩 증가된다.
제9도~제14도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장치를 이용한 투표방법이 하기에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투표자가 단말기를 조작하면, 제9도에 도시된 화면이 LCD(6)에 표시된다. 투표자는 『선택투표』또는『수서투표(手書投票)』중 어느 하나를 펜(3)으로 선택한다.
『선택투표』는 LCD(6)에 표시된 복수개의 번호중에서 투표자가 투표하고 싶은 입후보자의 입후보자 번호를 선택하는 투표방법이다. 『수서투표』는 투표자가 투표하고 싶은 입후보자의 입후보자 번호를 태블릿(5)상에 필기하는 투표방법이다.
투표자가 『선택투표』를 선택한 경우, 제10도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투표자는 투표하고 싶은 입후보자의 입후보자 번호를 펜(3)으로 선택한다. 이와같이 하면, 제11도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표시된 입후보자에게 투표하기를 원하면, 투표자는 『예』를 선택한다. 상기의 조작으로 『선택투표』의 처리가 완료되고, 제9도에 도시된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그러나 투표자가 『아니오』를 선택하면 제10도에 도시된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한편, 제9도에 도시된 화면에서, 투표자가 『수서투표』를 선택한 경우, 제12도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표자는 펜(3)을 사용하여 자기가 투표하고 싶은 입후보자의 입후보자 번호를 표시된 기입란에 기입한다. 기입이 끝나면 투표자는 『기입종료』를 지시한다. 이렇게 하면 제14도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표시된 입후보자에게 투표하기를 원하면, 투표자는 『예』를 선택한다. 상기의 조작으로 『수서투표』의 처리가 완료되고, 제9도의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그러나 투표자가 제13도에 도시된 화면에서『기입취소』, 제14도에 도시된 화면에서 『아니오』를 선택하면, 재기입을 위하여 제12도에 도시된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제9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된 화면(표시)을 구별하기 위하여, 이하 화면 페이지를 각각 화면페이지 1 내지 화면페이지 5라 한다.
상술한 투표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선거단말장치의 작동을 제4도~제7도의 플로차트 및 제9도~제14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거단말장치에 전원이 투입되면, 처음에는 시스템이 초기화된다. 이어서 상기 선거단말장치내의 각 부분의 작동을 체크하는 테스트가 실행된다. 정상작동이 확인되면, 메모리 카드(19)에 저장되어 있는 선거용 응용프로그램이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8)를 통하여 RAM(13)에 전송된다.
계속해서, 상기 RAM(13)에 전송된 선거용 응용프로그램이 시작되면 제5도의 플로차트가 스타트된다. 상기 표시제어부(25a)는 화면페이지 출력버퍼(32)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화면(화면페이지 1, 제9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타를 LCD 제어기(11)를 통하여 LCD(6)에 제공함으로써, LCD(6)에 화면 페이지 1(제9도)이 표시된다(스텝 A1). 이후, 상기 선거단말장치는 투표자가 데이타를 입력하도록 기다린다.
투표자가 선거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투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단말장치를 조작한다.
투표자가 선거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투표하기 전에, 이 투표자가 「정당한 유권자 인가 아닌가」 또는 「복수회 투표를 하고 있지는 않은가」에 대하여 체크할 필요가 있다. 투표자의 적격성은 상기한 제1도의 적격성 체크부(22)에 의하여 판단된다.
예를들면, 적격성의 판단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우선, 각 유권자에게 고유한 ID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ID번호를 미리 선거단말장치에 등록하여 둔다. 투표자는 투표에 앞서 ID번호를 선거단말장치에 입력한다. 적격성 체크부(22)는 입력된 ID번호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ID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또한 상기 적격성 체크부(22)는 이 ID번호를 가진 투표자가 이미 투표를 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입력된 ID번호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ID번호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고, 이 ID번호를 가진 투표자가 아직 투표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투표자는 적격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상기 적격성 체크부(22)가 「투표자가 부적격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적격성 체크부(22)는 입후보자 리스트의 일람표시를 금지하고, 또 그 투표자에 의한 단말조작을 무효로 하는 명령을 CPU(12)에 출력한다. 상기 CPU(12)는 버저 또는 음성출력장치(33)를 통하여 부적격한 투표자의 존재를 입회인 등에게 알릴 수 있다.
정당한 투표자로 인정된 투표자가 초기화면에 표시된 가이던스(guidance)를 따라 펜(3)으로 『선택투표』영역(40a) 또는 『수서투표』영역(40b)을 지시하면, 태블릿(5)은 상응하는 좌표를 검출한다(스텝 A2).
입력제어부(21)는 초기화면(제9도)에서 검출된 좌표가 속하는 영역을 체크한다(스텝 A3).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동작은 영역 데이타 버퍼(29)에 등록되어 있는 화면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페이지 1~화면페이지 5의 아이콘내의 영역데이타 버퍼(29)내에는 각 아이콘의 표시범위를 나타내는 영역 데이타(아이콘의 좌측 상단의 좌표와 우측하단의 좌표), 영역의 속성, 처리용도 등의 영역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입력제어부(21)는 검출된 좌표와 영역 데이타를 비교하여, 그 아이콘이 지시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예를들면, 투표자가 화면페이지 1(제9도)의 『선택투표』 영역(40a)을 펜(3)으로 지시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입력제어부(21)는 검출된 좌표 데이타(x,y)를 영역 데이타 버퍼(29)에 저장된 화면페이지 1용의 영역 데이타와 비교하여, (X01 x X02, Y01 yYO2)을 검출함으로써,『선택투표』영역(40a)이 지시된 것을 판별한다.
이어서, 스텝 A4에서, 검출된 좌표가 수서문자 인식영역내에 위치하는지 아닌지가 체크된다. 이 수서문자 인식영역은 제12도에 도시된 화면페이지 4의 영역(45)에 해당한다.
화면 페이지 1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수서문자 인식영역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흐름은 스텝 A5로 이행된다. 이 스텝 A5에서, 인식처리의 초기화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체크된다. 상기 초기화 플래그는 수서문자의 인식처리가 시작될때 스텝 A10(하기에 설명됨)에서 세트된다. 상기 초기화 플래그는 보통, 인식이 완료되면 OFF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흐름은 스텝A5에서 스텝 A8로 점프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상기 초기화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 스텝 A6에서 강제적으로 인식처리를 실행하여, 마치 인식이 실행된 것처럼 처리한다. 그후, 상기 초기화 플래그는 스텝 A7에서 OFF되며, 흐름은 스텝 A8로 진행한다.
스텝 A8의 선택기능처리는 제6a도, 제6b도, 제9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제6a도의 스텝B1에서는, 펜(3)내의 스위치(이하 펜스위치라 한다)가 ON상태에 있는지 아닌지가 체크되며, 스텝 B1에 YES가 표시되면 흐름은 스텝 B2로 진행하며, OFF상태라면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간다.
스텝 B2에서는 표시화면이 화면페이지 1인지 아닌지가 체크된다. 스텝 B2에 YES가 표시되므로, 흐름은 스텝 B3로 이행된다.
스텝 B3에서는, 스텝 A3에서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선택투표』영역(40a) 또는 『수서투표』영역(40b)중 어느 하나가 펜(3)에 의하여 지시되었는지가 체크된다. 예를들면, 『선택투표』영역(40a)이 지시된 것이 검출되면 흐름은 스텝 B5로 진행된다. 스텝 B5에서는, 표시제어부(25a)가 화면페이지 출력 버퍼(32)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페이지 2(제10도)용의 표시 데이타를 LCD(6)에 제공하여, LCD(6)에 화면페이지 2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후,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가며, 다음의 입력을 기다린다. 스텝 B3에서 『수서투표』 영역(40b)이 지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흐름은 스텝 B4로 이행된다. 이 스텝 B4에서는 표시제어부(25a)는 화면페이지 출력 버퍼(32)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페이지 4(제12도)용의 표시 데이타를 LCD(6)에 제공하여, LCD(6)에 화면페이지 4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후,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간다.
스텝 B5에서, 화면페이지 2(제10도)가 LCD(6)에 표시되면, 투표자는 투표하고 싶은 입후보자의 입후보자 번호를 펜(3)으로 지시한다. 입후보자 번호 영역은 「수서문자인식영역」이 아니므로, 흐름은 스텝 A4에서 스텝 A5로 진행한다. 이러한 경우, 초기화 플래그가 OFF가 되므로, 흐름은 스텝 A5에서 스텝 B8로 점프한다.
스텝 B6에서, 표시화면이, 화면페이지 2인 것이 검출되면, 흐름은 스텝 B7로 이행된다. 스텝 B7에서는, 스텝 A3의 영역체크 결과에 의거하여 입후보자 번호가 표시된 영역이 지시되었는지 아닌지가 체크된다. 스텝 B7에서 YES가 표시되면 흐름은 스텝 B8로 이행된다. 스텝 B8에서 NO가 표시되면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간다. 이때, 에러 메시지가 표시될 수도 있다.
스텝 B8에서는, 지시된 좌표에 해당하는 입후보자의 번호가 검출된 좌표 데이타에 의거하여 구체화된다. 즉, 검출된 좌표 데이타를 이용하여 영역 데이타 버퍼(29)의 화면페이지 2용의 영역 데이타를 검색하여 지시된 입후보자 등록번호를 얻는다. 검출된 좌표 데이타에 해당하는 입후보자 등록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스텝 B9에서 이것이 검출되며, 처리는 스텝 A2로 되돌아 간다. 이때 에러 메시지가 표시될 수도 있다.
스텝 B8에서 입후보자 등록번호를 획득하면, 입후보자 검색처리부(24)는 그 번호를 이용하여 입후보자 버퍼(31)를 검색하고, 그 번호에 해당하는 입후보자의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B10).
표시제어부(25a)는 스텝 B10에서 취득한 입후보자 정보(성명, 연령, 정당명, 사진의 이미지 데이타 등)를 토대로 한 입후보자 정보화면(43)과 팝업(pop-up)화면(42)을 겹쳐서 표시한다(제11도). 그후, 처리는 스텝 A2로 되돌아가며, 다음의 입력을 기다린다.
투표자는 입후보자 정보화면(43)에 표시된 입후보자가 투표하고 싶은 입후보자인 것이 확인되면, 『예』 영역(44a)을 펜(3)으로 지시한다. 흐름은 스텝 A2~스텝 A5, 스텝 B1, 스텝 B2, 스텝 B6 및 스텝 B12를 통하여 스텝 B13으로 진행한다, 스텝 B13에서는, 스텝 A3의 영역체크에 의거하여 『예』영역(44a)이 지시된 것이 검출되면, 흐름은 스텝 B14로 이행된다. 스텝 B14에서는, 입후보자 검색처리부(24)가 투표된 입후보자에 대응하는 카운터 버퍼(318a~318n)의 득표값에 1을 가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투표가 실행될 때마다 입후보자에 해당하는 득표수가 갱신된다. 이상으로, 투표처리가 완료된다. 초기화면(화면페이지 1)을 표시하도록 제어가 실행되고(스텝 B27),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 가서 다음 투표자가 데이타를 입력할 때까지 기다린다.
그러나, 입후보자 정보화면(43)에 나타난 입후보자가 투표하려고 한 입후보자가 아닌 것을 확인한 경우, 투표자는 『아니오』 영역(44b)을 펜(3)으로 지시한다. 흐름은 스텝 A2~스텝 A5, 스텝 B1, 스텝 B2, 스텝 B6, 스텝 B12 및 스텝 B13을 통하여 스텝 B15로 진행된다. 스텝 B15에서, 화면페이지 2(제10도)를 표시하여 입후보자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 간다.
한편, 초기화면(화면페이지 1, 제9도)상에서, 투표자가 펜(3)으로 『수서투표』영역(40b)을 지시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흐름은 스텝 A2~스텝 A5, (스텝 A6, 스텝 A7) 및 스텝 B1~스텝 B3를 통하여 스텝 B4로 진행한다. 스탭 B4에 있어서, 표시제어부(25a)는 화면페이지 출력 버퍼(32)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페이지 4(제12도)용의 표시 데이타를 LCD(6)에 전송하여, LCD(6)에 화면페이지 4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후,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 간다.
투표자는 펜(3)을 이용하여 제12도의 입후보자 번호기입 영역(45)에 투표하고 싶은 입후보자의 입후보자 등록번호를 기입한다. 이 동작은 스텝 A2에서 검출되며, 흐름은 스텝 A3 및 스텝 A4를 통하여 스텝 A9로 진행한다. 스텝 A9에서, 초기화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체크된다. 이 초기화 플래그는 투표자가 입후보자 번호기입 영역(45)에 문자를 쓰기 시작한 시점에서 세트되며, 기입한 문자의 인식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리세트되는 플래그이다. 초기화 플래그는 처음에는 세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텝 A10에서 문자인식을 위한 초기화 처리가 실행되며, 스텝 A11에서 초기화 플래그가 세트된다.
그후, 1문자의 기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투표자가 문자를 기입하는 동안, 스텝 A2, 스텝 A3, 스텝 A4, 스텝 A9 및 스텝 A12의 루틴이 반복 실행되며, 입력제어부(21)는 펜의 궤적을 나타내는 좌표 데이타를 위치 데이타 버퍼(27)에 저장한다. 상기 기간동안, 펜(3)의 궤적은 표시제어부(25a)에 의해서 즉시 표시된다.
스텝 A12에서 1문자의 기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인식처리부(23)는 위치 데이타 버퍼(27)에 축적된 좌표 데이타와 사서 데이타 버퍼(28)에 기억된 사서 데이타를 참조하여 기입된 문자(숫자)를 인식한다(스텝 A13). 문자 인식기술 자체는 기존의 인식기술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문자인식이 완료되면, 초기화 플래그는 OFF된다.
스텝 A13에서 문자인식이 실행된 후, 흐름은 스텝 A14로 진행되어 인식기능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인식기능처리의 내용은 제7도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스텝 C1에서 인식결과가 얻어졌는지 아닌지가 체크된다. 스텝 C2에서 LCD(6)상에 표시된 화면이 화면페이지 4(제12도)인지 아닌지가 체크된다. 스텝 C1이나 스텝 C2 중 어느 것에도 해당되지 않으면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 간다.
표시화면이 화면페이지 4이고 문자인식결과가 나타나면, 스텝 C3에서 입력위치 {입후보자 번호기입 영역(45)의 2개의 기입란중 어디에 있는지}가 체크된다. 이 체크는 위치 데이타 버퍼(27)를 참조하여 인식처리부(23)에 의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인식결과는 스텝 C3에서 얻은 위치에 표시된다(스텝 C4). 또한, 인식처리부(23)는 인식결과를 인식결과 버퍼(30)에 저장한다(스텝 C5).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투표자는 남아있는 기입란에도 문자를 기입한다. 제13도는 인식된 문자 『1』이 좌측 기입란에 표시되고, 인식처리전의 수서문자 『0』이 우측 기입란에 기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2개 문자의 인식과 표시가 완료되면, 투표자는 입후보자 번호기입 영역(45)에 표시된 문자를 체크하고 펜(3)으로 『기입종료』영역(46b) 또는 『기입취소』영역(46a)을 지시한다.
이 동작은 스텝 A2에서 검출되며, 흐름은 스텝 A3~스텝 A5, 스텝 B1~스텝 B3, 스텝 B12 및 스텝 B16을 통하여 스텝 B17로 진행한다. 스텝 B17에서 『기입종료』영역(46b)과 『기입취소』영역(46a)중 어느 하나가 지시되었는지가 체크된다.
『기입종료』영역(46b)이 지시된 경우, 흐름은 스텝 B18로 진행한다. 스텝 B18~스텝 B20에서는, 스텝 B8~스텝 B10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선택된 입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얻기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단, 검색부(24)가 문자 인식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입후보자 등록번호에 의거하여 입후보자 버퍼(31)를 검색하는 점이 스텝 B8~스탭 B10의 처리와 다르다.
입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면, 표시제어부(25a)는 화면페이지 출력 버퍼(32)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페이지 5(제14도)용의 표시 데이타를 LCD(6)에 전송하여, 스텝 B21에서 LCD(6)에 화면페이지 5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후,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 간다.
한편, 스텝 B17에서 『입력취소』영역(46a)이 지시된 것이 판단되면, 흐름은 스텝 B22로 진행한다. 스텝 B22에서는, 인식결과 및 위치 데이타가 클리어되어, 수서문자를 다시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된다. 그후,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 간다.
스텝 B21에서, LCD(6)에 화면페이지 5(제14도)가 표시되면, 투표자는 입후보자 정보화면(43)에 표시된 입후보자가 투표하고 싶은 입후보자인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표시된 입후보자가 투표하고 싶은 입후보자인 경우, 투표자는 『예』영역(44a)을 펜(3)으로 지시한다. 흐름은 스텝 A2~스텝 A5, 스텝 B1, 스텝 B2, 스텝 B6, 스텝 B12, 스텝 B16 및 스텝 B23을 통하여 스텝 B24로 진행한다. 스텝 B24에서, 스텝 A3의 영역체크에 의거하여 『예』영역(44a)이 지시된 것을 검출되면, 흐름은 스텝 B25로 이행된다. 스 텝 B25에서, 검색처리부(24)는 투표된 입후보자에 해당하는 카운터 버퍼(318a~318n)의 득표값에 1을 가산한다. 이상으로 투표처리가 완료된다. 초기화면(화면페이지 1)이 표시되도록 제어가 실행되고(스텝 B28), 흐름은 스텝 A2로 되돌아가서 다음 투표자가 데이타를 입력할 때까지 기다린다.
한편, 입후보자 정보화면(43)에 표시된 입후보자가 투표하려고 한 입후보자가 아닌 경우, 투표자는 『아니오』영역(44b)을 펜(3)으로 지시한다. 그러면, 흐름은 스텝 A2~스텝 A5, 스텝 B1, 스텝 B2, 스텝 B6, 스텝 B12, 스텝 B16 및 스텝 B23을 통하여 스텝 B26으로 진행한다. 스텝 B26에서, 화면페이지 4(제12도)를 표시하여 입후보자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스텝 A2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선거단말장치를 이용한 투표동작이 실행된다.
표시제어부(25a) 및 음성제어부(25b)의 제어동작이 제15a도, 제15b도 및 제16도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제15a도, 제15b도의 스텝 D1, 스텝 D5, 스텝 D9, 스텝 D14 및 스텝 D19는 제5A도, 제5b도에 도시된 표시화면의 페이지 번호를 판정하는 스텝 B2B, 스텝 B6, 스텝 B12, 스텝 B16, 스텝 B23과 대응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던스 데이타, 텍스트 데이타 및 음성 가이던스 데이타가 각 화면페이지에 대응하여 화면페이지 출력버퍼(32)에 저장된다. 또한 제16도에서는 가이던스 데이타, 덱스트 데이타, 이미지 데이타 등의 LCD(6)상의 표시 어드레스 정보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예를들면, 스텝 D1에서 현재의 표시화면이 화면페이지 1이라고 판단된 경우, 표시제어부(25a)는 LCD(6)에 화면페이지 출력 버퍼(32)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페이지 1용의 가이던스 데이타 『어느쪽인가를 선택하여 구비된 펜으로 지시하여 주십시요.』를 표시하도록 한다(스텝 D2). 또한, 표시제어부(25a)는 텍스트 데이타 『선택투표』 및 『수서투표』를 LCD(6)에 표시하도록 한다(스텝 D3). 상기 작동으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 데이타가 표시된다.
한편, 음성제어부(25b)는 화면페이지 출력 버퍼(32)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가이던스 데이타 『어느쪽인가를 선택하여 구비된 펜으로 지시하여 주십시요』를 판독하고, 음성출력장치(33)를 제어하여 음성으로 데이타를 출력한다(스텝 D4).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스텝 D5에서도 화면페이지 2에 대응하여 가이던스 데이타 및 텍스트 데이타의 표시 및 음성 가이던스 데이타의 음성출력을 실행한다(스텝 D6~스텝 D8). 이러한 경우, 예를들면, 입후보자의 성명이 등록번호와 함께 음성으로 출력되면, 유권자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스텝 D9에서는 화면페이지 3에 대응하여 음성 가이던스 데이타가 음성출력을 하는 동안, 가이던스 데이타, 텍스트 데이타 및 이미지 데이타가 표시된다(스텝 D10~스텝 D13).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스텝 D14에서는 화면페이지 4에 대응하여 음성 가이던스 데이타가 음성출력을 하는 동안, 가이던스 데이타, 기입란 데이타, 텍스트 데이타 및 이미지 데이타의 표시가 표시된다(스텝 D15~스텝 D18).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스텝 D19에서도 화면페이지 5에 대응하여 음성 가이던스 데이타가 음성출력을 하는 동안 가이던스 데이타, 텍스트 데이타, 이미지 데이타가 표시된다(스텝 D20~스텝 D23).
또한, 제5a도 및 5b도의 스텝 B13, 스텝 B24에서 『예』영역(44a)이 지시된 것이 검출된 후, 투표처리가 완료된 것이 문자, 음성, 애니매이션(animation)으로 표시되면(화면페이지 6), 스텝 B14, 스텝 B25에서 카운터처리(B14, B25)가 실행될 수 있으며, 그후 화면페이지 1이 표시될 수 있다. 스텝 D24~스텝 D27에서는 화면페이지 6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같이 표시제어부(25a)와 음성제어부(25b)를 조합함으로써 우수한 조작성을 갖는 선거단말장치를 유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선거단말장치는 유권자의 적격성을 판단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그러나,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권자의 적격성을 판단하는 기구로서 접수단말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제17도에 있어서, 접수단말장치(60)에는 유권자 등록화일(61), 바코드 판독기(bar code reader)(62) 및 표시장치(63)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유권자 등록화일(61)에는 상기 접수 단말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투표소에서 투표하게 되는 각 유권자에 대한 유권자 정보(예를들면, 유권자 번호, 주소, 성명, 생년월일등)가 등록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표일 전에 각 유권자에게 투표소 접수용 엽서(65)를 우편으로 보내거나 또는 배포한다. 이 엽서(65)에 유권자를 식별하는 정보(예를들면, 유권자 번호)를 바코드 형식으로 부가한다. 바코드 판독기(62)는 상기 접수용 엽서(65)의 바코드를 판독하고, 그 판독정보를 접수단말장치(60)에 출력한다. 만일, 어떤 이유로예를들면, 바코드가 더러워지거나 투표자가 접수용 엽서(65)를 분실하는 등의 이유로 바코드 판독기(62)가 바코드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 키보드 또는 태블릿과 같은 기타 입력장치에 의해 접수단말장치(60)에 식별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접수단말장치(60)는 바코드 판독기(62) 또는 키보드, 태블릿과 같은 기타 입력장치에서 얻어진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유권자 등록화일(61)을 검색하고, 해당된 유권자 정보를 표시장치(63)로 출력한다. 투표소의 계원은 표시장치(63)에 표시된 유권자 정보로부터 이 사람이 이 투표소에서 투표할 권리를 가진 사람인가를 확인하는 확인조작을 한다. 접수단말장치(60)는 상기 확인조작에 대응하여 유권자 등록화일(61)에서 해당 유권자 화일에 접수완료 플래그를 세트한다. 이러한 조작으로 상기 접수단말장치(60)는 유권자를 체크하여 동일 유권자에 의한 부정투표(이중투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수 단말장치(60)는 정당한 투표자가 선거단말장치(64)를 사용하여 투표하도록 허가한다.
상기 선거단말장치(64)와 접수단말장치(60)는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여, 접수단말장치(60)가 투표자의 적격성을 확인하면 선거단말장치(64)에 신호를 보내어 자동적으로 선거단말장치(64)가 작동되도록 한다. 또, 바코드가 부착된 접수용 엽서(65) 대신에, ID카드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1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선거단말장치로 구성된 투표·집계시스템을 도시한다. 각 투표소마다 1대 또는 복수대의 선거단말장치(57~59)가 설치된다. 각각의 선거단말장치(57~59)의 득표수 카운터 버퍼(318a~318n)에 축척된 각 입후보자의 득표 데이타는 통신 인터페이스(16)를 통하여 단말제어장치(52)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된다. 단말제어장치(52)는 예를들면, 특정 지역단위로 설치된다. 상기 단말제어장치(52)는 각 선거단말장치(57~59)에 축적된 득표 데이타를 수신하여 입후보자별로 득표 데이타를 집계한다. 또한, 단말제어장치(52)에 의하여 집계된 득표 데이타는 주컴퓨터(5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된다. 주컴퓨터(50)는 단말제어장치(52,53) 또는 선거단말장치(51)로부터 전송된 득표 데이타를 집계한다.
또한, 예를들면, 각 선거단말장치(57~59)에 단말제어기능이 추가될 수 있으며, 제18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선거단말장치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서로 득표 데이타를 전송함으로써 득표 데이타를 집계할 수 있다. 또한, 단말제어장치(53)에 투표처리기능이 추가될 수 있으며, 단말제어장치(53)를 주컴퓨터(50)와 직접 연결하여 데이타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입후보자의 사진 이미지 데이타 대신에 입후보자를 나타내는 심벌기호(예를들면, 동물·식물의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0도에서, 입후보자의 등록번호를 표시하는 대신에 입후보자의 성명을 직접 표시하여도 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제12도에서, 입후보자의 등록번호를 수서입력하는 대신에 입후보자의 성명을 직접 수서입력하여도 된다. 또한 선거의 종류에 따라 입후보자 성명 대신에 정당명등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해 그 발명에 있어서 최상의 방법이라고 고려되는 바대로 제작 및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의 요지 및 범위내에서 변형, 조합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된다.

Claims (22)

  1. 기억장치를 내장하며, 좌표입력장치와 이것과 연동하는 표시장치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선거단말장치로 이루어진 전자투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거단말장치는 하기의 ①~③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① 상기 표시장치에 입후보자에 대한 정보리스트를 표시하여 투표자가 선택조작하도록 촉구하는 수단;과
    ② 상기 투표자가 상기 좌표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후보자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입후보자정보의 속성을 표시하여 속성이 표시된 입후보자 정보에 투표할 것인가 아닌가의 최종판정에 대한 확인작업을 촉구하는 수단; 및
    ③ 투표자가 확인작업을 하면, 득표수를 등록처리하기 위한 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거단말장치는 투표자가 작업을 수행하도록 촉구하는 상기 수단에 연결되며, 투표자로서의 적격성을 체크하는 수단; 및 상기 체크수단으로부터의 체크결과가 투표자가 적격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하면 확인작업을 수행하도록 투표자를 촉구하는 상기 수단의 기능을 억지시키는 수단으로 더 이루어진 전자투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입후보자 정보에 대하여 표시된 상기 속성은 선택된 입후보자 정보에 해당하는 입후보자의 사진인 전자투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입후보자 정보에 대하여 표시된 상기 속성은 상기 선택된 입후보자 정보에 해당하는 입후보자를 나타내는 기호인 전자투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입후보자 정보에 대하여 표시된 상기 속성은 입후보자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 선택된 입후보자 정보에 해당하는 입후보자의 성명, 입후보자가 소속된 정당명 및 입후보자의 연령을 포함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거단말장치는 등록된 투표수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갖는 복수의 동일한 선거단말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선거단말장치를 관리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선거단말장치와 주컴퓨터 사이에 연결되는 터미널 제어장치로 더 구성되며, 상기 터미널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선거단말장치에 의하여 각각 등록된 투표수 데이타를 수신하여 집계처리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제어장치에 의하여 집계처리된 상기 투표수 데이타가 주컴퓨터에 전송되는 전자투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거단말장치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동일한 선거단말장치로 구성되고 각각은 상기 등록된 투표수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선거단말장치는 상기 선거단말장치들의 마스터 장치로서 제공되고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선거단말장치에 의하여 각각 등록된 투표수 데이타를 수신하여 집계처리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전송기능을 가지며, 집계처리된 상기 투표수 데이타를 주컴퓨터로 전송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후보자 정보는 입후보자의 성명을 더 포함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후보자 정보는 입후보자가 소속된 정당을 더 포함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후보자 정보는 입후보자가 소속된 정당을 포함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수가 기억장치내에 등록되는 전자투표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수가 상기 기억장치에 연결된 주컴퓨터내에 등록되는 전자투표 시스템.
  15. 투표자가 투표권을 갖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이 투표자가 투표권을 갖는다고 판정하면 투표를 허용하도록 하는 투표허용수단;과
    상기 투표허용수단이 투표를 허용하면 입후보자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표시수단;과
    상기 제1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입후보자들 중 한 사람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1지시수단;과
    상기 제1지시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입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표시수단;과
    상기 제2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입후보자에 관하여 투표행위를 확정하도록 하는 제2지시수단; 및
    상기 제2지시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투표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전자투표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수단은 상기 제1지시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입후보자에 대하여 적어도 성명, 소속된 정당명, 연령, 이미지화된 얼굴 사진을 표시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수단, 제1지시수단, 제2표시수단 및 제2지시수단은 태블릿과 디스플레이가 일체로 형성된 장치를 갖는 펜 입력/표시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펜 입력/표시장치는 상기 태블릿상의 위치를 지시하는 수단, 지시된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18. 투표자가 투표권을 갖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이 투표자가 투표권을 갖는다고 판정하면 투표를 허용하는 투표허용수단;과
    상기 투표허용수단이 투표를 허용하면 입후보자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표시수단;과
    상기 인식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입후보자들 중 한 사람을 선택하는 제1지시수단;과
    상기 제1지시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입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표시수단;과
    상기 제2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입후보자에 대하여 투표행위를 확정하는 제2지시수단; 및
    상기 제2지시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투표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전자투표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수단은 상기 제1지시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입후보자에 대하여 적어도 입후보자의 성명, 소속정당명, 연령 및 이미지화된 얼굴사진을 표시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20. 전송기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선거단말 제어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거단말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주컴퓨터로 구성되는 투표집계 시스템으로, 상기 투표집계 시스템은, 투표자가 투표권을 갖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이 투표자가 투표권을 갖는다고 판정하면 투표를 허용하는 투표허용수단;과
    상기 투표허용수단이 투표를 허용하면 입후보자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표시수단;과
    상기 제1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입후보자들 중 한 사람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1지시수단;과
    상기 제1지시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입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표시수단;과
    상기 제2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입후보자에 대하여 투표행위를 확정하기 위한 제2지시수단; 및
    상기 제2지시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투표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거단말 제어장치는 상기 제2지시수단으로부터 제공된 투표정보들을 집계처리하여 상기 집계처리된 투표정보를 상기 주컴퓨터로 전송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21. 전송기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투표단말 제어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표단말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주컴퓨터로 구성되는 투표집계 시스템으로, 상기 투표집계 시스템은, 투표자가 투표권을 갖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이 투표자가 투표권을 갖는다고 판정하면 투표를 허용하는 투표허용수단;과
    상기 투표허용수단이 투표를 허용하면 입후보자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표시수단;과
    상기 인식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입후보자들 중 한 사람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1지시수단;과
    상기 제1지시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입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표시수단;과
    제2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입후보자에 대하여 투표행위를 확정하도록 하는 제2지시수단; 및
    상기 제2지시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투표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거단말 제어장치는 상기 제2지시수단으로부터 제공된 투표정보들을 집계처리하여 상기 집계처리된 투표정보를 상기 주컴퓨터로 전송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22. 복수의 펜 입력/표시장치와 연결되며 전송기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선거단말 제어장치 및 회선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거단말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주컴퓨터로 구성되는 투표집계 시스템으로, 상기 각각의 펜 입력/표시 장치는 태블릿과 디스 플레이가 일체로 성형된 장치를 가지며 상기 태블릿상에 기재된 문자를 인식하는 수단, 상기 태블릿위에 위치를 지시하는 수단, 상기 지시된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투표집계 시스템은,
    투표자가 투표권을 갖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펜 입력/표시장치로부터의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이 투표자가 투표권을 갖는다고 판정하면 투표를 허용하는 투표허용수단;과
    상기 투표허용수단이 투표를 허용하면 정당명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인식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인식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정당명 중 하나를 상기 위치지시수단에 의하여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정당에 대하여 투표행위를 확정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거단말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펜 입력/표시장치로부터 제공된 투표정보들을 집계처리하여 상기 집계처리된 정보를 상기 주컴퓨터로 전송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KR1019930001759A 1992-07-06 1993-02-09 전자투표 시스템 KR0133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868692A JP2747171B2 (ja) 1992-07-06 1992-07-06 選挙端末装置及び投票確定方法
JP92-178686 1992-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724A KR940002724A (ko) 1994-02-19
KR0133954B1 true KR0133954B1 (ko) 1998-05-15

Family

ID=1605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759A KR0133954B1 (ko) 1992-07-06 1993-02-09 전자투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77099A (ko)
EP (1) EP0577921B1 (ko)
JP (1) JP2747171B2 (ko)
KR (1) KR0133954B1 (ko)
DE (1) DE69318893T2 (ko)
HK (1) HK1011833A1 (ko)
TW (1) TW2193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8572B2 (en) 2005-03-02 2007-10-09 Yong-Hi Kim System for electronically voting, counting, and examining ballo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2044A1 (en) * 1994-07-08 1996-01-25 Votation Corporation Remote recording computer voting system
US5583329A (en) * 1994-08-01 1996-12-10 Election Products, Inc. Direct recording electronic voting machine and voting process
US5875432A (en) * 1994-08-05 1999-02-23 Sehr; Richard Peter Computerized voting information system having predefined content and voting templates
US5585612A (en) * 1995-03-20 1996-12-17 Harp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oting
US6092051A (en) * 1995-05-19 2000-07-18 Nec Research Institute, Inc. Secure receipt-free electronic voting
GR970100455A (el) * 1997-11-21 1999-07-30 Συσκευη ψηφοφοριας με χρηση οθονης επαφης, πολυμεσων και ηλεκτρονικων υπολογιστων
WO2000013082A1 (en) * 1998-09-02 2000-03-09 Diversified Dynamics, Inc. Direct vote recording system
FR2785696A1 (fr) * 1998-11-09 2000-05-12 Thierry Hazan Procede et systeme d'election, en mode ouvert
AU6394200A (en) * 1999-12-21 2001-07-03 Gregory R. Chumbley Direct recording electronic voting device
US7422150B2 (en) * 2000-11-20 2008-09-09 Avante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WO2002070998A2 (en) 2000-11-20 2002-09-12 Amerasia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7461787B2 (en) * 2000-11-20 2008-12-09 Avante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U2002247330A1 (en) * 2001-03-09 2002-09-24 Athan Gibbs Vot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certification, validation and verification thereof
US6865543B2 (en) 2001-03-09 2005-03-08 Truvote, Inc. Vote certification, validation and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152792B2 (en) * 2001-04-09 2006-12-26 Gaston Charles A Vo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personal computers
US20020161628A1 (en) * 2001-04-26 2002-10-31 C. Lane Poor Voter feedback and receipt system
US7306148B1 (en) 2001-07-26 2007-12-11 Populex Corp. Advanced voting system and method
US7284700B1 (en) 2003-06-19 2007-10-23 Populex Corp. Advanced voting system and method
US7828215B2 (en) 2001-10-01 2010-11-09 Avante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Reader for an optically readable ballot
US7635087B1 (en) 2001-10-01 2009-12-22 Avante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Method for processing a machine readable ballot and ballot therefor
US7077313B2 (en) 2001-10-01 2006-07-18 Avante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Electronic voting method for optically scanned ballot
US20030078834A1 (en) * 2001-10-24 2003-04-24 Mcclure Neil Equal time ballot rotation
WO2003073383A1 (fr) * 2002-02-27 2003-09-04 Hitachi,Ltd. Dispositif pour voter
US6951303B2 (en) 2002-04-01 2005-10-04 Petersen Steven D Combination electronic and paper ballot voting system
US20030195798A1 (en) * 2002-04-11 2003-10-16 John Goci Voter interface for electronic voting system
AU2003230892A1 (en) * 2002-04-11 2003-10-27 Barden Technologies, Inc. Voter interface for electronic voting system
US20050035199A1 (en) * 2002-04-11 2005-02-17 John Goci Voter interface for electronic vot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US7216807B2 (en) * 2002-06-12 2007-05-15 Hart Intercivic, Inc. Automated processing of by-mail ballots
US7044375B2 (en) * 2002-07-22 2006-05-16 Anthony Scott Web based voting tracking and reporting system
US7100828B2 (en) * 2002-07-26 2006-09-05 Automark Technical Systems, Llc Voting system utilizing hand and machine markable ballots
US7163147B2 (en) * 2002-07-26 2007-01-16 Automark Technical Systems, Llc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dual print heads
US7222787B2 (en) * 2002-07-26 2007-05-29 Automark Technical Systems, Llc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single print head
US7314171B2 (en) * 2002-07-26 2008-01-01 Automark Technical Systems, Llc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having ballot alignment compensation
US7080779B2 (en) * 2002-07-26 2006-07-25 Automark Technical Systems, Llc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US7344071B2 (en) * 2002-07-26 2008-03-18 Automark Technical Systems Llc Voting system and apparatus using voter selection card
US7753273B2 (en) * 2002-07-26 2010-07-13 Es&S Automark, Llc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multiple key switch voter interface
KR100478707B1 (ko) * 2002-11-06 2005-03-25 주식회사 아이티탱크 온-오프라인 통합형 전자 투표 및 개표 시스템과 그 방법
US7314172B2 (en) * 2003-01-17 2008-01-01 Automark Technical Systems, Llc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having periodic ballot alignment compensation
US7134606B2 (en) * 2003-12-24 2006-11-14 Kt International, Inc. Identifier for use with digital paper
US20050139666A1 (en) * 2003-12-24 2005-06-30 Henwell Chou Verifiable voting input system
WO2006021594A1 (es) * 2004-07-27 2006-03-02 Scytl Secure Electronic Voting, S.A. Métodos de gestión y protección de procesos electorales, asociados a un terminal de votación electrónica y módulo operativo utilizado
GB2426617B (en) * 2005-05-26 2009-02-11 Iml Ltd Voting system
US7387244B2 (en) 2005-05-27 2008-06-17 Election Systems & Software, Inc. Electronic voting system and method with voter verifiable real-time audit log
US20070106552A1 (en) * 2005-11-09 2007-05-10 Matos Jeffrey A Government systems in which individuals vote directly and in which representatives are partially or completely replaced
EP2106604A4 (en) * 2007-01-04 2011-08-31 Victor Piorun IMPROVED OPTIONAL DEVICE AND SYSTEM
US7883014B2 (en) * 2007-03-26 2011-02-08 Robert Kevin Runbeck Acceptance tray for an election ballot printing system
GB2454031A (en) * 2007-10-24 2009-04-29 Plastic Logic Ltd Electronic document display
US8066184B2 (en) 2008-04-30 2011-11-29 Avante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Optically readable marking sheet and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8261985B2 (en) * 2009-04-07 2012-09-11 Avante Corporation Limited Manual recount process using digitally imaged ballots
CA2671269A1 (en) * 2009-07-08 2011-01-08 Ky M. Vu An anti-rigging voting system and its software design
US8261986B2 (en) 2009-10-21 2012-09-11 Kevin Kwong-Tai Chung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an optically readable markable sheet and markable sheet therefor
US20110170924A1 (en) * 2009-12-11 2011-07-14 International Lottery and Totalizator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Populating and Printing Paper Ballots
US9082245B2 (en) 2012-12-28 2015-07-14 Vecsys, LLC Electronic voter card and method for electronic voting
US20200027297A1 (en) * 2018-07-23 2020-01-23 Dominion Voting Systems, Inc. Voting techniques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US10445966B1 (en) 2018-07-27 2019-10-15 Hart Intercivic, Inc.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f voter selections for cast vote record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9453A (en) * 1972-07-07 1973-12-18 Thornber F Co Electronic voting machine
US4010353A (en) * 1974-09-11 1977-03-01 Avm Corporation Electronic voting machine with cathode ray tube display
US4015106A (en) * 1975-05-20 1977-03-29 Evm Limited Electronic voting machine
US4093849A (en) * 1976-04-28 1978-06-06 J. T. Baker Chemical Co. Automatic blood analyzing system
US4168469A (en) * 1977-10-04 1979-09-18 Ncr Corporation Digital data communication adapter
US4373134A (en) * 1981-05-06 1983-02-08 Grace Phillip F Magnetic card vote casting system
JPS57199083A (en) * 1981-06-02 1982-12-06 Nihon Senkiyo Center Kk Balloting apparatus
US4736307A (en) * 1982-04-21 1988-04-05 Neuroscience, Inc. Microcomputer-based system for the on-line analysis and topographic display of human brain electrical activity
JPS59194263A (ja) * 1983-04-19 1984-11-05 Daicel Chem Ind Ltd 自動食券販売装置
JPH0776932B2 (ja) * 1984-12-07 1995-08-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タ伝送方式
JPS61193286A (ja) * 1985-02-21 1986-08-27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動投票装置
US4791570A (en) * 1985-05-02 1988-12-13 Eaton-Kenway, Inc. Guide wir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4902948A (en) * 1985-05-02 1990-02-20 Eaton-Kenway, Inc. Guide wir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4838275A (en) * 1985-11-29 1989-06-13 Lee Arnold St J Home medical surveillance system
FR2593951B1 (fr) * 1986-02-03 1989-01-06 Bertin & Cie Procede et systeme de controle a distance d'au moins un poste de perfusion
US4751648A (en) * 1986-03-31 1988-06-14 Halliburton Company Local area network data transfer system
US4747060A (en) * 1986-03-31 1988-05-24 Halliburton Company Data acquisition module and method
US4972496A (en) * 1986-07-25 1990-11-20 Grid Systems Corporation Handwritten keyboardless entry computer system
JPS63204355A (ja) * 1987-02-18 1988-08-24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タ転送制御回路
JPS63245784A (ja) * 1987-04-01 1988-10-12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カ−ド認証端末装置
NL8701167A (nl) * 1987-05-15 1988-12-01 Nedap Nv Electronische stemmachine met bijzondere hulpmiddelen t.b.v. het gebruik door slechtzienden en blinden.
JPH0273483A (ja) * 1988-09-09 1990-03-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オンライン手書き文字入力装置
US5133076A (en) * 1989-06-12 1992-07-21 Grid Systems Corporation Hand held computer
NL8902398A (nl) * 1989-09-27 1991-04-16 Nedap Nv Gebruikersvriendelijk keuze-apparaat.
DE4000133A1 (de) * 1990-01-04 1991-07-11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Datenerfassungs- und auswertesystem
US5063600A (en) * 1990-05-14 1991-11-05 Norwood Donald D Hybri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andwriting and text
FI86486C (fi) * 1990-08-27 1992-08-25 Tecnomen Oy Foerfarande foer att arrangera teleroestningen pao ett saekert saett.
US5218528A (en) * 1990-11-06 1993-06-08 Advanced Technological Systems, Inc. Automated voting system
US5189288A (en) * 1991-01-14 1993-02-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vo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8572B2 (en) 2005-03-02 2007-10-09 Yong-Hi Kim System for electronically voting, counting, and examining ballo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77921A3 (ko) 1994-08-31
EP0577921A2 (en) 1994-01-12
EP0577921B1 (en) 1998-06-03
JP2747171B2 (ja) 1998-05-06
JPH0628382A (ja) 1994-02-04
TW219396B (ko) 1994-01-21
US5377099A (en) 1994-12-27
DE69318893D1 (de) 1998-07-09
HK1011833A1 (en) 1999-07-16
KR940002724A (ko) 1994-02-19
DE69318893T2 (de) 199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954B1 (ko) 전자투표 시스템
US5497318A (en) Election terminal apparatus
US6942142B2 (en) Voting ballot, voting machine, and associated methods
GB2145547A (en) Electronic memo device
US5732152A (en) Handwritten character entry method and device having two display areas
US5644339A (en) Electronic information apparatus
JP2922140B2 (ja) 窓口管理システムおよび窓口管理方法
JP3566340B2 (ja) 選挙端末装置
RU2165645C2 (ru) Электронный терминал для голосования
JP2885657B2 (ja) 選挙端末装置及び複数同日選挙方法
JP3531973B2 (ja) 選挙投票装置
JP3524958B2 (ja) 電子投票システム
JPH0635935A (ja) 選挙端末装置
JPH0785186A (ja) 財務会計処理システム
JPH0689295A (ja) 選挙端末装置
JPH07282150A (ja) 電子投票装置
JPH033273B2 (ko)
JPH0757021A (ja) 選挙端末装置
JPH02132576A (ja) 手書文字認識表示装置における文字訂正方式
JPH0757022A (ja) 選挙端末装置
JPH07295710A (ja) データ入力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35934A (ja) 選挙端末装置
JP2003242546A (ja) 自書式電子投票方法
JP2000048094A (ja) 投票箱付き選挙端末装置
JPH0863280A (ja) 手書き文字登録装置及び手書き文字登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