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24B1 - 형광체 - Google Patents

형광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24B1
KR0133524B1 KR1019890019527A KR890019527A KR0133524B1 KR 0133524 B1 KR0133524 B1 KR 0133524B1 KR 1019890019527 A KR1019890019527 A KR 1019890019527A KR 890019527 A KR890019527 A KR 890019527A KR 0133524 B1 KR0133524 B1 KR 0133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yttrium
phosphors
gadolinium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930A (ko
Inventor
히데아끼 가네다
유우지 다까쯔까
다까시 하세
Original Assignee
아라이 기꾸지
가세이 오프토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라이 기꾸지, 가세이 오프토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라이 기꾸지
Publication of KR90000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 C09K11/7777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 C09K11/7777Phosphates
    • C09K11/7778Phosphates with alkalin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83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one of which being europium
    • C09K11/7795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83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one of which being europium
    • C09K11/7795Phosphates
    • C09K11/7796Phosphates with alkaline earth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광체
제1도는 본 발명의 형광체 (Yo.9Tbo.1)3PO7(실시예1)의 발광 스펙트럼 도이고,
제2도 내지 제5도는 각각 본 발명의 Y3PO7을 형광체 모체로 하고 유로퓸, 사마륨, 툴륨 또는 디스프로슘을 부활제로 한 형광체 (각각 실시예 4, 5, 6, 7)의 발광 스펙트럼 도이다.
본 발명은 신규의 형광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특정의 부활제를 사용함에 따라 각색의 고휘도의 발광이 얻어지는 3가 금속인산염의 형광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희토류를 부활제로 하는 3가금속 인산염계 형광체로서는 (Ln1-xLn'x)PO4(단 Ln은 이트륨, 가돌리늄, 또는 란탄, Ln'는 유로퓸, 테르븀, 사마륨, 디스프로슘,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이테르븀, 홀로뮴 및 에르븀)
[R.C. Roop, J.Electrochem. Soc. 115, 8, 841(1968)], (Ln, Ce,) PO4(단 Ln은 이트륨, 가돌리늄 또는 란탄)[R.C. Roop, J.Electrochem. Soc. 115, 5, 531(1968)], (La, Ce, Tb) PO4[J.C. Bourcet et al., Rare Eaeth Research Conf. 441(1971)], (La1-x Gdx)P3O9: Ce, Tb[H.S. Kiliaan et al., J.Solid State Chem, 74, 1, 39(1988)]가 알려져 있다.
이들 공지형광체 가운데 LnPO4계는 희토류 오르소 인산염이고 모나자이트 구조(Ln' : 예컨대 란탄, 가돌리늄) 또는 제노타임구조(Ln' : 예컨대 이트륨)를 갖는 결정 모체이고, Ln'P3O9계는 희토류 메타 인산염이다.
상기 공지의 각 희토류 부활 형광체는 자외선, 전자선, X선, 진공자외선 등의 여러 가지 여기하에서 각각의 부활 희토류에 응한 발광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었고 그 일부는 이미 특정의 용도에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실용성의 점에서 이 형광체보다 더욱 발광 휘도가 높은 것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희토류 인산염계 형광체보다도 더욱 고휘도의 발광을 나타내는 신규 인산염의 형광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등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희토류 원소를 부활하는데 적합한 희토류 인산염계 모체의 탐색을 행하여 왔다.
그 결과 종래 공지의 사실인 LnPO4(Ln : 상술) 희토류 오르소인산염 또는 LnP3O9(Ln:상술) 희토류 메타 인산염 모체와는 다른 Ln3PO7희토류 인산염을 모체로 하고, 이 모체에 적당량의 희토류를 부활한 경우에는, 자외선, 전사선, X선, 진공자외선 등의 여기하에서 고휘도의 발광을 나타내고, 특히 자외선 및 진공자외선 여기하에서 고휘도로 각 부활희토류에 응한 발광을 나타내는 형광체를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성식
(Ln1-xLn'x)3PO7
(단 Ln은 이트륨, 란탄, 가돌리늄, 및 루테튬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Ln'은 테르븀, 세륨, 유로퓸, 프라세오디뮴, 사마륨, 디스프로슘, 에르븀, 툴륨 및 홀로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X는 0.0001
Figure kpo00001
X
Figure kpo00002
0.5를 만족시키는 수이다.)로 표시되는 3가 금속 인산염의 형광체이다.
또한 상술의 희토류 부활 오르소 인산염 형광체나 메타인산염 형광체는, 예컨대 부활제를 테르븀(Tb)만으로 한 경우, 자외선(예컨대 254㎚) 여기하에서는 효율좋은 발광을 나타내는 것은 어려웠다.
그래서 세륨(Ce)을 공부활하고 효율을 올릴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형광체는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LnPO4: Ce, Tb 예컨대 특히 LaPO4: Ce, Tb 형광체에 비하여 Tb단독으로도 동등 이상의 발광을 나타내는 신규 형광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조성식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형광체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먼저 형광체 원료로서는
(가) 산화이트륨(Y2O3), 산화란탄(La2O3), 산화가돌리늄(Gd2O3), 및 산화류테륨 (Lu2O3)으로 된 제1의 화합물군, 및 고온에서 용이하게 Y2O3, La2O3, Lu2O3로 변할 수 있는 이트륨 화합물, 란탄화합물, 가돌리늄 화합물, 루테튬 화합물로 된 제2의 화합물군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의 적어도 1종,
(나) 산화테르븀(Tb4O7), 산화세륨(CeO2), 산화유로퓸(Eu2O3), 산화프라세오디뮴(Pr6O11), 산화사마륨(Sm2O3), 산화디스프로슘(DY2O3), 산화에르븀(Er2O3), 산화툴륨(Tm2O3), 및 산화홀로뮴(Ho2O3)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화합물군, 및 고온에서 용이하게 Tb4O7, CeO2, Eu2O3, Pr6O11, Sm2O3, DY2O3, Er2O3, Tm2O3, Ho2O3로 변화할 수 있는 테르븀화합물, 세륨화합물, 유로퓸화합물, 프라세오디뮴화합물, 사마륨화합물, 디스프로슘화합물, 에르븀화합물, 툴륨화합물, 홀로뮴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제2의 화합물군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의 적어도 1종,
(다) 제1인산 암모늄((NH4)H2PO4) 및 제2인산 암모늄((NH4)2HPO4)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화합물군 및 고온에서 용이하게 인산원으로 될 수 있는 제2의 화합물군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하든가, 혹은
(가) 이트륨, 란탄, 가돌리늄, 루테늄의 적어도 1종과, 테르븀, 세륨, 유로퓸, 프라세오디뮴, 사마륨, 디스프로슘, 에르븀, 툴륨, 홀로뮴의 적어도 1종과의 실침산화물(失沈酸化物),
(나) 제1인산 암모늄((NH4)H2PO4) 및 제2인산 암모늄((NH4)2HPO4)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화합물군 및 고온에서 용이하게 인산원으로 될 수 있는 제2의 화합물군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한다.
(다) 필요에 따라 마그네슘을 함유시킬 때는, 예컨대 염화마그네슘(MgCℓ2·6H2O), 수산화마그네슘[Mg(OH)2], 질산마그네슘[Mg(NO3)2·6H2O] 및 탄산마그네슘(MgCO3)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화합물군 및 고온에서 용이하게 MgO로 변화할 수 있는 Mg 화합물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한다.
또 상기 원료, 따라서 얻어지는 형광체에는 휘도 또는 실구수명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안티몬, 주석, 납, 아연;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1가금속 ; 칼슘, 바륨, 스트론튬 등의 2가금속 ; 비스무스, 규소, 하프늄, 지르코늄, 인듐등이 10∼1000PPM 정도의 미량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각 형광체 원료를, 예컨대
(Ln1-xLn'x)3PO7
(식중 Ln, Ln'는 상기와 같고, X도 상기와 같이 0.0001
Figure kpo00003
X
Figure kpo00004
0.5를 만족시키는 수이다.)
또, 마그네슘을 함유케 하는 경우는, 조성식이
(Ln1-Ln'x)3PO7·aMg3(PO4)2
(식중 Ln, Ln'는 상기와 같고, a는 0
Figure kpo00005
a
Figure kpo00006
1을 만족시키는 수이다.)
인 혼합 조성식을 만족시키도록 각각 소요량을 저울에 달아 충분히 혼합한다.
혼합은 보울밀, 믹서밀, 유발 등을 사용하여 건식으로 행하여도 좋고, 물 등을 매체로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하여 습식으로 행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형광체 원료 혼합물을 알루미나 도가니, 석영 도가니 등의 내열성 용기에 충전하여, 소성을 행한다.
소성은 공기중, 알곤가스 분위기, 질소가스 분위기 등의 중성 분위기 중, 혹은 소량의 수소가스를 포함하여 질소가스 분위기, 탄소가스 분위기 등의 환원성 분위기중에서 약 500℃ 내지 1700℃의 온도에서 1회 혹은 2회 행한다.
2회 소성을 행하는 경우에는 1회째의 소성 종료후에 형광체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린 후 필요에 따라 이 혼합물을 풀고 이어서 재차 소성을 행한다.
소성에 있어서는 테르븀 등 희토류 부활제의 원자가를 확실히 3가로 하기 위해서 적어도 최종회의 소성 (소성이 1회의 경우에는 1회째의 소성)은 중성 분위기 혹은 환원성 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시간은 내열성 용기에 충전되는 형광체 원료 혼합물의 중량 등에 의하여도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소성온도 범위에 있어서는 2∼5시간이 적당하다
또한 소성할 때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융제로서 알칼리 금속원소의 화합물, 붕소화합물 등을 사용하면 보다 저온, 단시간의 소성이 가능해지고 발광 특성의 개량이 된다.
소성 후 얻어진 소성물을 분쇄, 세정, 건조, 체질하여 분류하는 등 형광체 제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각 조작에 의하여 처리함에 따라, 본 발명의 형광체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형광체는 자외선, 전자선, X선 진공자외선 등의 여기하에 고휘도의 청∼적색 발광을 나타내므로, 형광램프, 음극선관, X선상 변환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형광체는 자외선 및 진공자외선 여기하에서 종래 공지의 세륨 및 테르븀 부활 LaPO4계 형광체 보다도 고휘도의 발광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컨대 3∼4파장 고연색성 램프의 녹색성분으로 하여도 유용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형광체는 휘도의 점에서 Ln은 Y가 가장 바람직하고, 이어서 Gd, La, Lu의 순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형광체의 모체는 Y혹은 Y를 주요부로 하고 나머지와 Gd, La, Lu의 적어도 1개의 고용체로 구성하는 것이 추천 장려된다.
이와 같은 경위의 Y의 몰비는 0.7∼1몰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머지의 0.3몰 이하는 Gd, La, Lu의 순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광체를 고연색 형광램프의 형광막에 사용하는 각종 발색 형광체로서 사용한 경우 하기의 제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1) 청색발광형광체에 대하여는 400 내지 460㎚, 바람직한 것은 450㎚ 부근에, 녹색발광형광체에 대하여는 510 내지 560㎚ 바람직하게는 540㎚ 부근에, 적색발광형광체에 대하여는 600 내지 640㎚ 바람직한 것은 610㎚ 부근에, 각각 주발광 파장을 갖고 있을 것, 더욱이 청녹색발광형광체에 있어서는 460 내지 490㎚ 바람직한 것은 480㎚ 부근에 주발광파장을 가질 것
2) 발광휘도가 높을 것
3) 발광휘도가 경시적으로 저하되어 가는 것, 즉 열화가 적을 것.
또 본 발명의 형광체는 이것을 특정의 수종의 색에 적용하고 다음에 드는 종래의 형광체와 병용하여 고연색 램프의 형광막에 사용할 수도 있다.
종래의 청색발광형광체로서는 2가의 유로퓸으로 부활된 바륨·마그네슘 알루민산염 형광체 (이하 BAM : Eu2+형광체라 약칭한다) 및 알칼리 토류 할로인산염 형광체가 사용되고 있다.
녹색발광형광체로서, 세륨·테르븀으로 부활된 인산란탄형광체 및 마그네슘 알루민산염 형광체가 사용되고 있다.
적색발광형광체로서 3가의 유로퓸으로 부활된 산화이트륨형광체가 사용되고 있다.
청녹색발광형광체로서는 2가의 유로퓸으로 부활된 알칼리 토류알루민산염 형광체, 알칼리 토류 할로인산염계 형광체, 알칼리 토류할로붕인산염계 형광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대휘도의 측정은 얻어진 형광체에 있어서 파장 253.7㎚의 자외선의 아래서 분체휘도를 측정하는 것에 따라 행하였다.
(실시예 1∼3)
Y 또는 Gd 원과 Tb원으로서 Y 또는 Gd, Tb의 공침 산화물, 인산원으로 (NH4)2HPO4를 화학 양론적으로 소정의 혼합조성식이 되도록 저울로 달아, 융제로서 염화암모늄을 10중량% 첨가하고, 이것을 충분히 혼합한 후에 이 혼합분말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어서, 공기중에서 500℃로 2시간 가소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소성물을 분쇄하고, 재차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어 환원성 분위기 중에서 1400℃로 2시간 소성하고, 소정의 처리를 가하는 것으로 제1표의 실시예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광체를 제조하였다.
동시에 비교를 위해서 LaPO4: Ce, Tb 형광체도 똑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얻어진 형광체에 대하여, 상대휘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제1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LaPO4: Ce, Tb 형광체에 비교하여 총합적으로 특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 제1도에 (Yo.9Tbo.1)3PO7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냈다.
(실시예 4∼8)
Y원과 Eu, Sm, Tm, Dy 또는 Pr원으로서 Y와 Eu, Sm, Tm, Dy, Pr의 공침 산화물, 인산원으로서 (NH4)2HPO4를 화학 양론적으로 소정의 혼합 조성식이 되도록 저울로 달고, 이하 상기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제1표의 실시예 4∼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광체를 제조하고, 특성 측성을 행하였다.
제2도∼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각 희토류 특유의 밝은 발광이 얻어진다.
(실시예 9∼11)
Mg원으로서 MgCℓ2·6H2O을 화학 양론적으로 소정의 혼합조성식이 되도록 저울로 달아, 이것을 가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하여 제1표의 실시예 9∼11에 나타내는 형광체를 제조하고, 그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 제1도에 표시한 것과 거의 동일한 양호한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냈다.
Figure kpo00007
본 발명의 3가 금속 인산염의 형광체는, 신규의 LnPO형 형광체이고, 종래의 형광체에 비하여 현저하게 고휘도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조성식 (Ln-xLn'x)3PO7(단 Ln은 이트륨이거나, 가돌리늄, 란타눔, 루테슘중 적어도 1종과 이트륨의 고용체(solid solution)로서 이트륨의 몰비가 0.7∼1이고 가돌리늄, 란타눔 또는 루테슘의 몰비가 0.3미만인 것, X는 0.0001
    Figure kpo00008
    X
    Figure kpo00009
    0.5를 만족시키는 수)로 표시되는 3가 금속염의 형광체.
  2. 제1항에 있어서 X가 0.005
    Figure kpo00010
    X
    Figure kpo00011
    0.3를 만족시키는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체.
  3. 조성식 (Ln1-Ln'x)3PO7·aMg3(PO4)2(단 Ln은 이트륨이거나, 가돌리늄, 란타눔, 루테슘중 적어도 1종과 이트륨의 고용체로서 이트륨의 몰비가 0.7∼1이고 가돌리늄, 란타눔 또는 루테슘의 몰비가 0.3미만인 것, X는 0.0001
    Figure kpo00012
    X
    Figure kpo00013
    0.5를 만족시키는 수) a는 0
    Figure kpo00014
    a
    Figure kpo00015
    1을 만족시키는 수)로 표시되는 3가 금속염 형광체.
KR1019890019527A 1988-12-28 1989-12-26 형광체 KR0133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29083 1988-12-28
JP88-329083 1988-12-28
JP32908388 198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930A KR900009930A (ko) 1990-07-06
KR0133524B1 true KR0133524B1 (ko) 1998-04-20

Family

ID=1821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527A KR0133524B1 (ko) 1988-12-28 1989-12-26 형광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376339B1 (ko)
KR (1) KR0133524B1 (ko)
DE (1) DE68919200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62B1 (ko) * 2001-11-30 2004-02-25 한국화학연구원 가돌륨포스페이트계 녹색 형광체의 조성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0223B1 (fr) * 1997-10-24 2002-06-14 Rhodia Chimie Sa Utilisation comme luminophore dans un systeme a plasma ou a rayonnement x, d'un phosphate de lanthane comprenant du thulium
DE10009916A1 (de) * 2000-03-01 2001-09-13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Plasmabildschirm mit blauem Leuchtstoff
DE10061720A1 (de) * 2000-12-12 2002-06-13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Plasmabildschirm mit Leuchtstoffschicht
JP3804804B2 (ja) * 2004-04-08 2006-08-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希土類元素りん酸塩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62B1 (ko) * 2001-11-30 2004-02-25 한국화학연구원 가돌륨포스페이트계 녹색 형광체의 조성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9200T2 (de) 1995-05-24
KR900009930A (ko) 1990-07-06
EP0376339B1 (en) 1994-11-02
DE68919200D1 (de) 1994-12-08
EP0376339A1 (en) 199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215B2 (ja) テルビウムをドープしたリン酸塩緑色発光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5156764A (en) Phosphor
KR20000016606A (ko) 알루미네이트 형광체, 그것의 제조 방법 및 진공 자외선-여기발광 소자
US3758486A (en) Rare earth niobate composition
EP0082570B1 (en) Luminescent screen
US3577350A (en) Europium and manganese activated sodium or potassium aluminate phosphors
EP0057499B1 (en) Phosphor,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 fluorescent screen having the phosphor
KR0133524B1 (ko) 형광체
JP3826210B2 (ja) 希土類複合酸化物蛍光体
JP2851006B2 (ja) 蛍光体
JP2000017257A (ja) 蛍光体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スクリーン
JP2001131544A (ja) 耐熱・耐水性・高輝度・長残光性黄緑発光色蓄光体及びその製造法
JPS5940176B2 (ja) 螢光体
EP0021536B1 (en) Luminescent silicate, luminescent screens and lamps comprising such a luminescent silicate
RU2217467C2 (ru) Стабильный фотолюминофор с длительным послесвечением
JPS598381B2 (ja) 高演色性螢光ランプ
JP2536752B2 (ja) 螢光体
US3487025A (en) Rare earth tellurate phosphors
US3513105A (en) Luminescent materials
KR19990007107A (ko) 희토류붕산염 형광체
JP4219518B2 (ja) ユーロピウム付活複合酸化物蛍光体
JPH1121552A (ja) 蓄光性蛍光体
KR840000652B1 (ko) 형광체 조성물
KR950011234B1 (ko) 녹색 발광형광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950011232B1 (ko) 녹색 발광형광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