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647Y1 - 소세지 훈증기 - Google Patents

소세지 훈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647Y1
KR0132647Y1 KR2019950018752U KR19950018752U KR0132647Y1 KR 0132647 Y1 KR0132647 Y1 KR 0132647Y1 KR 2019950018752 U KR2019950018752 U KR 2019950018752U KR 19950018752 U KR19950018752 U KR 19950018752U KR 0132647 Y1 KR0132647 Y1 KR 0132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usage
heating heater
container
outer cylinder
fum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8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884U (ko
Inventor
김진곤
Original Assignee
김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곤 filed Critical 김진곤
Priority to KR2019950018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647Y1/ko
Publication of KR970003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8Control devices to avoid overheating, i.e. "dry" boiling, or to detect boiling of the water
    • A47J27/21083Control devices to avoid overheating, i.e. "dry" boiling, or to detect boiling of the water with variable operating parameters, e.g. temperature or boiling peri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23L13/65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소세지 훈증기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소세지를 훈증시켜 주는 기기의 전체적인 간단화 및 슬림화를 기하여 그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기대(11)의 내부로 구비되며 그 내부로는 물이 채워진 제1용기(51)내의 제1가열히터(H1)와, 이 제1용기(51)의 내부 일단에 위치되며 그 내부로는 연소물질이 채워진 제2용기(52)내의 제2가열히터(H2)를 선택적으로 가열시켜 상기 기대(11)의 상면에 얹혀지게 설치된 외통(20)내에 위치된 소세지에 선택적으로 증기 및 연기를 쪼여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소세지에 간편하게 증기 및 연기를 쪼여줄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가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소세지 훈증기
제 1도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 걸림판의 저면도.
제 4도는 본 고안 걸림판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요부확대도.
제 5도는 본 고안 훈증부의 요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부 11 : 기대
20 : 외통 30 : 개폐부
31 : 상판 32 :뚜껑
40 : 걸림판 41 : 걸림고리
50 : 훈증부 51 : 제1용기
52 : 제2용기
본 고안은 소세지에 증기를 쬐어 주거나, 또는 연기를 쬐어 주어 그 성분을 흡수시키도록 된 훈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세지는, 양념을 한 고기를 곱게 다진 후 기타의 첨가물과 함께 일정 크기로 성형시킨 것을 통칭한다.
이러한 소세지의 제조시 그 맛과 향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써, 선택적으로 증기를 쬐어 주거나 또는 연기를 쪼여 주어 그 성분을 흡수토록 하고 있다.
종래, 소세지에 증기를 쪼여주거나 또는 연기를 쪼여 주는 일반적인 방법은, 그 작업이 서로 분리되어 실시되고 있다.
즉, 소세지에 증기를 쬐어 주고자할때에는 증기를 발생토록 된 기기를 이용하고, 또 연기를 쬐어 주는 것에 의해 그 성분을 흡수토록 할 때에는 연기를 발생토록 된 기기를 이용해 그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각각의 기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각각의 기기가 분리되어 있어 설치 공간의 확대 및 각각의 기기를 별도로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매우 비능률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세지에 증기 및 연기를 쬐어 주는 작업을 선택적으로 실시토록 함과 아울러, 또 그 작업을 동시에 수행 할 수 있도록 된 소세지 훈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기의 설치 공간의 최소화 및 그 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소세지 훈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지면에 세워지며 속이 빈 단면을 갖는 기대(11)의 내부로 기구물들을 감싸지게 보호토록 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기대(11)의 상부로 설치되어 속이 빈 내부로 선택적으로 채워지는 증기 및 연기의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외통(20)과: 상기 외통(20)의 상부로 설치되는 상판(31)의 내부로 통공(31a)을 뚫어지게 하고, 이 상판(31)의 상면에 얹혀진 뚜껑(32)을 선택적으로 열려지게 하거나 닫혀지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외통(20)의 내부를 개방하거나 폐쇄되게 한 개폐부(30)와: 상기 통공(31a)의 주연부에 얹혀지며, 그 저면측으로 다수의 걸림고리(41)가 설치된 걸림판(40)과: 상기 기대(11)의 내부로 구비되며, 그 내부로는 물이 채워진 제1용기(51)내의 제1가열히터(H1)가 전원을 인가받는 것에 의해 상기 외통(20)으로 증기를 공급토록 하고, 이 제1용기(51)의 내부 일단에 위치되며 그 내부로는 연소물질이 채워진 제2용기(52)내의 제2가열히터(H2)가 전원을 인가받은 것에 의해 상기 외통(20)으로 연기를 공급토록 하는 훈증부(50)와: 상기 기대(11)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열히터(H1)와 상기 제2가열히터(H2)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주도록 된 제어부(60)로 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기기가 지면에 견고히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속이 빈 기대(11)의 내부로는 상기 제1용기(51)와 제1가열히터(H1) 및 상기 제2용기(52)와 제2가열히터(H2)가 설치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제어부(60)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 기대(11)는 부식을 방지하고, 특히 시각적인 미감이 좋은 스테인레스재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외통(20)는 기대(11)의 상부로 얹쳐지게 설치되는 데, 그 내부로 증기 및 연기가 채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견고한 밀봉상태를 유지토록 설치된다.
이 외통(20)은 그 내부로 증기 및 연기의 공급시 외부에서 그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로 성형하며, 기밀 유지를 위해 상부와 하부의 결합면에는 패킹(P)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30)는 상기 외통(2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되게 하는 것이다. 즉, 첨부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외통(20)의 상부에는 대략 그 중앙에 통공(31a)이 뚫어진 상판(31)이 설치되어 있는 데, 이 상판(31)의 상면에는 뚜껑(32)이 설치된 것에 의해 상기 통공(31a)을 막혀지게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32)을 선택적으로 열려지게 하면 상기 통공(31a)을 통해 상기 외통(2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된다. 그리고, 열려진 상기 뚜껑(32)을 상기 상판(31)에 얹쳐지게하면 상기 통공(31a)이 막혀지는 것에 의해 폐쇄된다. 이렇게 상기 외통(2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걸림판(40)에 걸려진 소세지에 선택적으로 증기를 쬐거나, 또는 연기를 쬐도록 하는 것인데, 그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 상기 상판(31)과 상기 기대(11)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지지살(33)을 설치하여 상기 상판(31)의 하중이 지나치게 상기 외통(20)으로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도록 함이 좋다.
상기 걸림판(40)은, 다수의 소세지를 걸려지게 하여 증기 및 연기에 의해 훈증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구조부이다. 즉, 첨부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그 저면에는 소세지가 길이 방향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된 다수의 걸림고리(41)들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걸림고리(41)들에 소세지의 일단부를 걸려지게 하여 늘어뜨린후, 상기 통공(31a)의 상면에 얹쳐지게 하면 그 외주연 일단이 상기 통공(31a)의 상면측에 얹쳐지면서 소세지가 상기 외통(20)내로 위치하는데, 이 소세지에 연기 및 증기를 쬐여주는 것은 후술한다. 첨부도면 제4도는 상기 걸림고리(41)들에 소세지가 걸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판(40)과 걸림고리(41)들은 전술한 바와같이 부식을 방지하고, 위생에 안전을 기하기 위해 스테인레스재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걸림판(40)의 상면에는 손잡이(42)를 설치하여 운반 및 이동에 편리함을 기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훈증부(50)는 상기 기대(11)내부로 설치된 제1용기(51)에 채워진 물을 가열시킬 때 발생하는 증기 및 이 제1용기(51)내에 설치된 제2용기(52)내의 연소물질을 태울 때 발생하는 연기를 선택적으로 소세지에 쪼여주도록 하는 구조부이다.
즉, 상기 제1용기(51)내에는 그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토록 된 상기 제1가열히터(H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1가열히터(H1)로 전원을 인가하면 물이 소정 온도로 끊는 것에 의해 상기 외통(20)의 내부로 장입된 소세지에 증기를 쪼여주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1용기(51)상에 다수의 고정편(55)들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제2용기(52)의 내부에도 제2가열히터(H2)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제2용기(52)에는 참나무와 같이 고유의 향을 갖고 있는 연소물질이 잘게 부숴진 형태로 채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가열히터(H2)로 전원을 인가하면 연소물질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연기가 소세지에 함유되면서 고유의 향을 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가열히터(H1) 및 제2가열히터(H2)로의 전원의 인가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각각 별개로 이루어 지거나 또는 동시에 공급하는 방법등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용기(51)에 첨부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배수스위치(51a)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 배수스위치(51a)는 기기의 사용 후, 또는 불사용시 상기 제1용기(51)에 담겨진 물을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용기(51)로의 물 공급은 상기 통공(31a)을 통해 이루어 진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기대(11)의 전면에 다수 설치된 조작스위치(61)들을 이용해 상기 제1가열히터(H1) 및 제2가열히터(H2)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단속토록 하는 구조부이다.
즉, 소세지에 증기만을 쪼여 주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조작스위치(61)를 조작하여 상기 제1가열히터(H1)로만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또 소세지에 연기를 쪼여주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조작스위치(61)를 이용해 상기 제2가열히터(H2)로만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그리고, 소세지에 증기 및 연기를 동시에 쪼여 주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1가열히터(H1) 및 제2가열히터(H2)로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조작스위치(61)를 조작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60)에 타이머(T)를 구비하고, 이 타이머(T)의 셋팅 설정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만 상기 제1가열히터(H1)와 제2가열히터(H2)로 전원이 공급되게 한 후, 이를 자동적으로 차단토록 함이 효과적이다.
이는 적정한 상태로의 증기 및 연기를 소세지에 쪼여줌과 아울러, 기기의 과열 및 사용되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타이머(T)에 설정된 셋팅 시간에 경과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종료를 알려주도록 된 알람경보수단을 설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파악할 수 있도록 경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부(60)에 온도제어수단(70)을 설치하여 상기 제1가열히터(H1)에 의해 증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소세지에 함유된 단백질 및 기타 육질이 타지않는 범위내에서 익히기에 가장 적절한 온도는 실험적 결과에 의하면 약 65℃정도가 가장 적당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가열히터(H1)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의 열이 소정의 설정된 온도(약 65℃)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소세지를 훈증시켜 주는 또 제1가열히터와 제2가열히터를 이용하여 소세지에 선택적으로 증기 및 연기를 쪼여주므로써, 소비자가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지면에 세워지며 속이 빈 단면을 갖는 기대(11)의 내부로 기구물들을 감싸지게 보호토록 하는 베이스(10)와: 상기 기재(11)의 상부로 설치되어 속이 빈 그 내부로 선택적으로 채워지는 증기 및 연기의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외통(20)과: 상기 외통(20)의 상부로 설치되며 대략 그 중앙에 통공(31a)이 뚫어진 상판(31)의 상면에 얹쳐지게 설치된 뚜껑(32)을 선택적으로 열려지게 하거나 닫혀지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외통(20)의 내부를 개방하거나 폐쇄시켜 주는 개폐부(30)와; 상기 통공(31a)의 상부측에 얹쳐지는 것에 의해 막혀지게 하고, 그 저면측으로는 소세지가 길이 방향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고리(41)가 설치된 걸림판(40)과: 상기 기대(11)의 내부로 구비되며, 그 내부로는 물이 채워지는 제1용기(51)내의 제1가열히터(H1)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외통(20)으로 증기를 공급토록 하고, 이 제1용기(51)의 내부 일단에 위치되며 그 내부로는 연소물질이 채워진 제2용기(52)내의 제2가열히터(H2)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외통(20)으로 연기를 공급토록 하는 훈증부(50)와: 상기 기대(11)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열히터(H1)와 상기 제2가열히터(H2)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단속토록 된 제어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훈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51)에는 그 내부로 채워진 물을 외부로 배출토록된 배수스위치(51a)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훈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에는 상기 제1가열히터(H1)와 제2가열히터(H2)로 공급되는 전원을 소정의 셋팅된 설정시간동안만 공급토록 하는 타이머(T)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훈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에는 상기 제1가열히터(H1)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의 온도가 소정의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제어토록 된 온도제어수단(7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훈증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에는 상기 타이머(T)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단속되었을 때 경보를 발하도록 된 알람경보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훈증기.
KR2019950018752U 1995-07-26 1995-07-26 소세지 훈증기 KR0132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752U KR0132647Y1 (ko) 1995-07-26 1995-07-26 소세지 훈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752U KR0132647Y1 (ko) 1995-07-26 1995-07-26 소세지 훈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884U KR970003884U (ko) 1997-02-19
KR0132647Y1 true KR0132647Y1 (ko) 1998-12-01

Family

ID=1941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8752U KR0132647Y1 (ko) 1995-07-26 1995-07-26 소세지 훈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6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884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453B1 (ko) 전자렌지
CN108013743A (zh) 烹饪器具
KR0132647Y1 (ko) 소세지 훈증기
JP4976937B2 (ja) 加熱調理器
US4979439A (en) Rotisserie
JP2018027528A (ja) 洗米装置
KR200235640Y1 (ko) 세라믹 옹기를 이용한 약탕기
KR200416297Y1 (ko) 직화식 조리용기
CN104379036B (zh) 用于火锅和蒸汽烹饪的设备
US1694378A (en) Cooking vessel
KR0128707Y1 (ko) 3중 구조의 내부용기와 상,하부히터를 구비한 전기밥솥
KR200303135Y1 (ko) 소나무통 음식 조리기구
KR0129673Y1 (ko) 세탁물 삶는 장치
CN211199816U (zh) 一种烘干器
KR100433315B1 (ko) 조리기
JPH035623A (ja) 包装された食品を急速に加熱または調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397106Y1 (ko) 족욕기
RU207720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пч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N218074510U (zh) 一种快速加热的蒸包炉
KR102398383B1 (ko) 해산물 찜 장치
KR20000017722A (ko) 전기 통구이장치
KR101844456B1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CN206675397U (zh) 电饭锅
KR200165198Y1 (ko) 찜기
JP3656588B2 (ja) 電気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