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501B1 -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 Google Patents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501B1
KR0132501B1 KR1019940002936A KR19940002936A KR0132501B1 KR 0132501 B1 KR0132501 B1 KR 0132501B1 KR 1019940002936 A KR1019940002936 A KR 1019940002936A KR 19940002936 A KR19940002936 A KR 19940002936A KR 0132501 B1 KR0132501 B1 KR 0132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luminance signal
unit
signal
tw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243A (ko
Inventor
전용진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4000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501B1/ko
Publication of KR950026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187Structure or manufacture of the surface of the head in physical contact with, or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cording medium; Pole pieces; Gap features
    • G11B5/1871Shaping or contouring of the transducing or guiding surface
    • G11B5/1872Shaping or contouring of the transducing or guiding surface for improving the form of the electrical signal transduced, e.g. compensation of "contour effec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187Structure or manufacture of the surface of the head in physical contact with, or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cording medium; Pole pieces; Gap features
    • G11B5/23Gap feat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헤드를 2개의 헤드가 헤드 갭이 2H가 되도록 하고, 서로 단차가 없이 결합되도록 트윈헤드로 구성하고, 이 트윈헤드에 의해 재생된 신호를 휘도신호만을 분리해내는 휘도신호분리부와,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분리하는 고역분리부와,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강조하는 고역강조부를 통해 윤곽 및 선명도를 좌우하는 고역성분을 강조하여 신호처리함으로써 재생 휘도신호의 선명도 윤곽보정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제1도는 종래의 구성도
제2도 (a)-(c)는 제1도 각부의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윈헤드의 구성도
제5도 (a)-(f)는 제3도 각부의 파형도
제6도 (a)-(c)는 재생화질의 윤곽 및 해상도 결정요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초단증폭부 20 : 휘도신호분리부
30 : 고역분리부 3,31,51 : 다이오드 스위칭부
40 : 고역강조부 2,41 : 2H딜레이부
42 : AGC 및 증폭부 50 : 휘도신호 검파 및 분리부
60 : 클립부 HPF1,HPF2 : 하이패스필터
LPF1 : 로우패스필터 BPF1 : 밴드패스필터
ADD-ADD4 : 가산기 SUB1 : 감산기
본 발명은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VCR 재생화질의 해상도 및 화질윤곽보정상태가 향상되도록 한 트윈 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VCR의 화질보상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재생시의 FM RF(신호처리과정을 아직 거치지 않은 테이프에서 재생된 전기적 신호)신호는 프리 앰프 및 밴드 패스 필터로 된 초단 증폭부(1)에서 증폭되어 밴드패스필터를 통해 필요한 휘도신호의 대역이 추출된다. 이 신호는 2H(1H는 1수평주사기간임)딜레이부(2)를 통해 FM신호의 레벨에 상응하는 비만큼 딜레이되어(제2도 (b)에서 a는 원신호, b는 2H딜레이된 신호) 각각 상기 초단증폭부(1)의 출력신호와 가산기(ADD1) 및 감산기(SUB1)에서 각각 가산 및 감산된다. 그리고 상기 감산기(SUB1)의 출력은 다이오드 스위칭부(3)를 통해 제2도 (b)의 c와 같이 일정 레벨의 스위칭 파형으로 되며, 이 신호는 상기 가산기(ADD1)를 통한 신호와 가산기(ADD2)에서 가산되어 제2도 (c)의 b(a는 원신호)와 같이 출력되어 최종 복조된 신호를 얻게 된다.
즉, 제1도의 신호처리과정에서 제2도(a)의 a부분(비데오신호가 블랙에서 화이트로 변하는 부분)이 그레이 레벨로 되므로 이 그레이 레벨의 신호와 상기 다이오드 스위칭부(3)를 거쳐 원신호의 그레이 레벨에 상응하는 신호대역이 화이트 피크를 갖는 역감조 신호형태로 변환된 신호가 상기 가산기(ADD2)에서 가산되어 신호를 재생하게 되므로 최종 복조된 신호는 윤곽보정된 신호가 되게 된다(제2도(c)의 b).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일반 정상 테이프상의 재생신호의 보정은 가능하나 열화된 테이프의 경우는 화면상의 에지부분등이 직선성을 갖지 못하고 지터값이 올라가게 되므로 윤곽보정 및 재생신호의 충실도가 잘못 구현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자막 및 작은 화상의 경우는 원신호에 대해 잘못 재생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 애지머스를 가지며 2H의 헤드갭간 거리를 갖는 2개의 헤드를 결합시켜 이로써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고 이 재생신호의 FM RF레벨을 위상보정 및 증폭시킴으로써 FM복조된 휘도신호의 윤곽 및 선명도가 향상되도록 한 트윈 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동일 애지머스를 가지며 헤드갭간 거리가 2H인 트윈헤드와, 상기 트윈헤드가 재생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로 된 초단증폭부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에서 휘도신호만을 얻어내는 휘도신호분리부, 상기 휘도신호분리부의 출력에서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얻는 고역분리부와, 상기 고역분리부의 출력을 강조하여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강조하는 고역강조부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에서 FM RF신호를 검출하는 다이오드 스위칭부와, 상기 다이오드 스위칭부의 출력을 하이패스필터링하는 하이패스필터와, 상기 고역강조부의 출력과 상기 하이패스필터의 출력이 가산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의 출력을 클립하여 과증폭을 방지하는 클립부로 구성되는 트윈헤드에 위한 화질보상장치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2개의 헤드가 1조로 된 트윈헤드(CH1A), (CH1B)와, 상기 트윈헤드(CH1A), (CH1B)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AMP1),(AMP2)로 된 초단증폭부(10)와, 상기 증폭기(AMP1)의 출력에서 휘도신호만을 얻어내는 휘도신호분리부(20)와, 상기 휘도신호분리부(20)의 출력에서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얻는 고역분리부(30)와, 상기 고역분리부(30)의 출력을 강조하여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강조하는 고역강조부(40)와, 상기 증폭기(AMP2)의 출력신호에서 상기 고역분리부(30)와는 다른 전위값으로 휘도신호를 검파하여 분리하는 휘도신호 검파 및 분리부(50)와, 상기 고역강조부(40)의 출력(Y1)과 상기 휘도신호 검파 및 분리부(50)의 출력(Y2)이 가산되는 가산기(ADD4)와, 재생휘도신호의 과증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산기(ADD4)의 출력을 화이트/다크(White/Dark) 클립하는 클립부(60)와, 상기 증폭기(AMP2)의 출력인 초단 RF신호를 1.5㎒의 차단주파수로 로우패스필터링하여 다운 컨버팅된 컬러신호(C)만을 추출하는 로우패스필터(LPF1)와, 도시하지 않은 마이컴으로 부터의 헤드 스위칭 펄스에 의해 상기 클립부(60)를 통한 휘도신호와 제2의 휘도신호 재생계(200)로 부터의 휘도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SW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의 휘도신호재생계(200)는 상기 휘도신호 재생계와 동일구성이며, 이는 2헤드 VCR시스템을 예로 들은 것임을 의미하며, 제3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은 휘도신호재생계(100), (200)이다. 그리고 상기 휘도신호분리부(20)는 차단주파수가 1㎒인 하이패스필터(HPF1)로 구성되며, 상기 고역분리부(30)는 FM레코딩시의 고주파 변조대역만을 재현하기 위해 상기 하이패스필터(HPF1)의 출력에서 4.3㎒대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밴드패스필터(BPF1)와, 상기 하이패스필터(HPF1)의 출력중 저주파 휘도신호의 레벨을 상쇄시키는 다이오드 스위칭부(31)와, 상기 밴드패스필터(BPF1)의 출력과 다이오드 스위칭부(31)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ADD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역강조부(40)는 상기 가산기(ADD3)의 출력을 2H딜레이시키는 2H딜레이부(41)와, 상기 2H딜레이부(41)의 출력을 자동이득제어(Automatic Gain Control) 및 증폭하는 AGC 및 증폭부(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휘도신호 검파 및 분리부(50)는 상기 제2증폭기(AMP2)의 출력신호에서 FM RF 신호를 검출하는 다이오드 스위칭부(51)와, 상기 다이오드 스위칭부(51)의출력을 하이패스필터링하는 하이패스필터(HPF2)로 구성된다. 상기 다이오드스위칭부(31), (51)는 각각 2개의 다이오드(D1,D2), (D3, D4)가 반대극성으로 병렬 접속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트윈헤드(CH1A), (CH1B)는 제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동일 애지머스를 갖는 헤드를 사용하며, 헤드 갭간 거리를 2H로 하고, 단차없이 결합시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상기 트윈헤드(CH1A), (CH1B)에 의해 재생된 RF재생신호는 증폭기(AMP1),(AMP2)를 통해 증폭되며, 상기 증폭기(AMP1)의 출력신호는 차단주파수가 1㎒인 하이패스필터(HPF1)를 통해 제5도(a)와 같은 파형으로 휘도신호가 분리된다. 이 신호는 밴드패스필터(BPF1)를 통해 FM레코딩시의 고주파 변조대역만이 추출되며(제5도(b)의 a1), 동시에 다이오드 스위칭부(31)를 통해 저주파 휘도신호의 레벨이 상쇄되어 출력된다.(제5도(b)의 a2).
그리고 상기 밴드패스필터(BPF1)와 다이오드 스위칭부(31)의 출력은 가산기(ADD3)에서 가산되며, 이 가산신호는 제5도 (c)와 같다. 한편, 일반적으로 실제 재생화질의 윤곽 및 선명도를 좌우하는 것은 FM RF신호의 고역이므로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도신호의 레벨이 급변하는 부분(제6도 (b)의 a1)이 화상의 윤곽부분이 되고 구형파의 충실도 자체는 전 신호대역의 주파수 특성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제6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FM정현파의 위상변환부위는 재생화질의 해상도를 좌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6도 (b)는 (a)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FM 기록전류파형의 0레벨을 기준하여 T/2(T : 제6도(b)의 FM정현파형의 1 주기)가 되는 β의 값에 따라 복조시 화이트 레벨이 좌우되게 되고, 레벨변환부위의 위상이 제6도 (b)의 b처럼 0레벨에서 변환포인트를 갖지 못하면 제6도 (c)의 a2,a1처럼 흑반전 및 윤곽흐림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FM RF신호의 주파수 변환부위의 위상을 보정하기 위해서 헤드(CH1B)의 출력은 다이오드 스위칭부(51)를 통해 제5도(d)의 사선부분의 FM신호만을 검출하고 (제5도(e)), 이 검출된 신호가 하이패스필터(HPF2)를 통해 휘도신호(Y2)의 형태를 갖게 된다.
한편, 제5도 (d)의 a부분의 주파수 변환부위의 신호는 다이오드 스위칭부(51)에서 검출되지 않는 부분이되어 (f)의 파형처럼 위상변환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가산기(ADD3)의 출력신호는 헤드 갭간의 거리차를 보정하기 위해 2H딜레이부(41)를 통해 지연되며, 이 지연된 FM신호느 라인상관효과에 의해 상기 하이패스필터(HPF2)를 통해 형성된 휘도신호(Y2)와 거의 차이가 없게 된다. 그리고 제5도(e)의 a부분의 보정은 고역강조부(40)를 통한 고역강조 및 가산기(ADD4)를 통한 믹싱단계를 거쳐 즉, 제5도 (b)의 a1+ a2+ 제5도 (e)의 파형이 믹싱되어 Y1+Y2 의 형태가 된다(제5도(f)). 따라서, 위상변환의 소지가 있는 주파수 변환부위는 상기의 과정을 통해 보정되고, 보정된 FM 주파수의 위상은 FM복조시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산기(ADD4)의 출력은 클립부(60)를 통해 과증폭이 방지된 후 스위치(SW1)로 입력되어 마이컴으로 부터의 스위칭 펄스에 의해 제 2의 휘도신호 재생계(200)로 부터의 휘도신호와 교대로 스위칭되어출력되며, 이 출력된 신호는 후단의 재생 이퀄라이저(EQ)단을 거져 도시하지 않은 휘도신호 복조회로로 입력되어 복조된다. 또한, 상기 증폭기(AMP2)의 출력이 1.5㎒의 차단주파수를 갖는 로우패스필터(LPF1)를 통해 컬러신호(C)가 얻어져 도시하지 않은 각각의 컬러신호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휘도신호 복조회로를 거쳐 출력된 휘도신호와 합성되어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의 충실도를 기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으며, 하이파이 및 디지탈 오디오신호처리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갭이 2H이고 단차없이 결합된 트윈헤드를 이용하여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고, 각각의 화도신호분리부, 고역분리부, 고역강조부를 통하여 재생신호에서 휘도신호를 분리하여 분리된 휘도신호를 고역보상처리함으로써 휘도신호의 윤곽보정 및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6)

  1. 2개의 헤드가 일조로 된 트윈헤드(CH1A), (CH1B)와, 상기 트윈헤드(CH1A), (CH1B)가 재생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제 2 증폭기(AMP1), (AMP2)로 된 초단증폭부(10)와, 상기 제 1증폭기(AMP1)의 출력신호에서 휘도신호만을 추출하는 휘도신호분리부(20)와, 상기 휘도신호분리부(20)의 출력에서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얻는 고역분리부(30)와, 상기 고역분리부(30)의 출력을 강조하여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강조하는 고역강조부(40)와, 상기 제 2 증폭기(AMP2)의 출력신호에서 상기 고역분리부(30)와는 다른 전위값으로 휘도신호를 검파하여 분리하는 휘도신호 검파 및 분리부(50)와, 상기 휘도신호 검파 및 분리부(50)의 출력을 하이패스필터링하는 하이패스필터(HPF2)와, 상기 고역강조부(40)의 출력(Y1)과 상기 휘도신호 검파 분리부(50)의 출력(Y2)이 가산되는 가산기(ADD4)와, 상기 가산기(ADD4)의 출력을 클립하여 과증폭을 방지하는 클립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윈헤드(CH1A), (CH1B)는 동일 애지머스를 가지며 헤드갭간 거리가 2H이며 단차없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역분리부(30)는 상기 하이패스필터(HPF1)의 출력에서 FM레코딩시의 고주파 변조대역만을 재현하는 밴드패스필터(BPF1)와, 상기 하이패스필터(HPF1)의 출력에서 저주파 휘도신호의 레벨을 상쇄시키는 다이오드 스위칭부(31)와, 상기 밴드패스필터(BPF1)와 다이오드 스위칭부(31)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ADD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역강조부(40)는 상기 가산기(ADD3)의 출력을 2H 딜레이시키는 2H딜레이부(41)와, 상기 2H딜레이부(41)의 출력을 자동이득제어 및 증폭하는 AGC 및 증폭부(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휘도신호 검파 및 분리부(50)는 상기 제 2 증폭기(AMP2)의 출력신호에서 FM RF신호를 검출하는 다이오드 스위칭부(51)와, 상기 다이오드 스위칭부(51)의 출력을하이패스필터링하는 하이패스필터(HPF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스위칭부(31),(51)는 각각 2개의 다이오드(D1,D2),(D3,D4)가 반대극성으로 병렬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KR1019940002936A 1994-02-18 1994-02-18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KR0132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2936A KR0132501B1 (ko) 1994-02-18 1994-02-18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2936A KR0132501B1 (ko) 1994-02-18 1994-02-18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243A KR950026243A (ko) 1995-09-18
KR0132501B1 true KR0132501B1 (ko) 1998-04-16

Family

ID=1937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2936A KR0132501B1 (ko) 1994-02-18 1994-02-18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5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243A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6878B1 (ko) 개선된 디테일 엠파시스회로를 갖는 자기기록장치
US4855812A (en) Picture synthesizing apparatus with gain control system
KR0132501B1 (ko) 트윈헤드에 의한 화질보상장치
EP0073468A1 (en) Dropout compensation system
KR100230258B1 (ko) 필터의 지연시간 및 흑백 반전을 개선한 비디오 기록매체 복사장치
JPH0427287A (ja) ドロップアウト補償回路
US4931857A (en) Voltage controlled comb filter
JP3274807B2 (ja) 記録再生装置
JPH0526868Y2 (ko)
JP2564987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2987897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KR100216881B1 (ko) 선택적인 라인 노이즈캔슬러를 구비한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
JPH09200699A (ja) Fm信号処理回路
JPH0226335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8418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192973A (ja) ホワイト/ダーククリップ補正装置
JPS62219262A (ja) 反転ノイズ発生防止回路
JPH04372771A (ja) エンファシス補正回路
JPH049257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74494A (ja) Fm信号再生回路
KR20000022866A (ko) 신호 처리회로
JPS60218989A (ja) サ−チノイズ抑圧回路
JPH049258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0253421A (ja) 磁気再生装置
JPS59122292A (ja) 直流補正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