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371B1 -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 Google Patents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371B1
KR0131371B1 KR1019940019979A KR19940019979A KR0131371B1 KR 0131371 B1 KR0131371 B1 KR 0131371B1 KR 1019940019979 A KR1019940019979 A KR 1019940019979A KR 19940019979 A KR19940019979 A KR 19940019979A KR 0131371 B1 KR0131371 B1 KR 0131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conveyor belt
strands
shaft
thread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404A (ko
Inventor
요시히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요시히로 다나카
유우겐 가이샤 스즈끼 와아파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6173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313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요시히로 다나카, 유우겐 가이샤 스즈끼 와아파아 filed Critical 요시히로 다나카
Publication of KR950014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3/00Warping machines
    • D02H3/04Sample warp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3/00Details of machines of the preceding groups
    • D02H13/02Stop motions
    • D02H13/04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slackness, or excessive tension of threads, with detectors for individual threads or small groups of threads
    • D02H13/08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slackness, or excessive tension of threads, with detectors for individual threads or small groups of threads electric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3/00Details of machines of the preceding groups
    • D02H13/22Tensioning devices
    • D02H13/26Tensioning devices for threads in warp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arping, Beaming, Or Lea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에 있어서, 정경동체 상의 실의 하층으로부터 순서적으로 잘 정렬감기 정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경길이(감기회수가 많은 경우, 예컨데 4회 감기 이상)가 긴 경우에도 직기빔으로의 감아빼기가 용이한 정렬감기를 가능하게 한다.
정경동체에 최초의 사열을 다 감은 후, 다음의 사열을 감기 시작하는 실이 최초의 열의 실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감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정렬감기 정경을 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및 고정식 크릴의 측면적 개략 단면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및 되감기기의 정면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고정식 크릴 및 되감기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의 측면도.
제5도는 실이완 방지장치(가이드 수단은 생략하였음)의 적시 측면 설명도.
제6도는 제5도의 요부의 정면도.
제7도는 도사로드와 슬리트판과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8도는 스토퍼판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적시 설명도.
제9도는 실 선별가이드의 적시 설명도.
제10도는 본 발명에서의 가이드 수단의 이동기구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
제11도는 본 발명에서의 가이드 수단의 이동기구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
제12도는 본 발명에서의 구동계에서의 각 기어의 맞물림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
제13도는 본 발명에서의 구동계에서의 스프로켓 체인의 감김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가 생략된 측면 설명도.
제14도는 가이드 수단에서의 실의 가이드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
제15도는 가이드 수단을 통해서 실을 콘베이어 벨트상에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
제16도는 프로그램 설정기의 판면을 나타내는 도면.
제17도는 콘트롤러의 판면을 나타내는 도면.
제18도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기기의 관련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9도는 가이드 수단의 이송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0도는 본 발명에서의 두줄감기 정지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21도는 본 발명에서의 사침잡음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22도는 본 발명에서의 총 가닥수 카운터 카운드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23도는 본 발명에서의 총 가닥수 완료 정지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24도는 본 발명에서의 콘베이어 벨트 좌이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25도는 본 발명에서의 콘베이어 벨트 우이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26도는 본 발명에서의 운전·정지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27도는 본 발명에서의 실 셀렉트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28도는 본 발명에서의 실 누름 솔레노이드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29도는 본 발명에서의 회수감기 카운트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30도는 본 발명에서의 인버터 변속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31도는 본 발명에서의 AC 서보제어회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32도는 본 발명에서의 가이드수단 제어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33도는 본 발명에서의 상부 구동계의 전자클러치 제어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34도는 본 발명에서의 상부 구동계의 전자클러치 제어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35도는 본 발명 장치의 시간적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챠트.
제36도는 가이드수단 이송의 시간적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챠트.
제3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렬감기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제38도는 종래장치에 의한 정경길이이 짧은 경우의 감기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제39도는 종래장치에 의한 정경길이이 긴 경우의 감기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공축 2 : 가동축(加動軸)
3 : 피동축 4 : 풀리
5,7,9,10 : 작은 기어 6 : 도사(導絲)로드
6' : 도사부 8 : 연동축
11 : 원호부 12 : 직선부
3,14 : 동체틀 15 : 롤러
16 : 드럼스포크 17 : 콘베이어 벨트
18 : 주기어 19 : 유성기어
20 : 동체내 나선축 21 : 구동자
22 : 실 24 : 가이드 플레이트
25 : 장력 조정기 26 : 드로퍼
27 : 실 선별가이드 27a : 선단부
28 : 슬리트판 29 : 로터리 솔레노이드
30,31 : 가이드로드 32 : 실 탈거장치
33,38 : 사침잡음 상부바 34 : 사침잡음 하부바
35 : 커트사침 상부바 37 : 커트사침 하부바
39 : 실 고정구 40 : 스켈리턴
41,42,44 : 롤러 43 : 지그재그 고무
45 : 직기 빔 46 : 주전동기
47 : 주 변속 풀리 48 : 종변속 풀리
49 : 카운터 풀리 50 : 브레이크 작동 피니온
51 : 콘베이어 벨트용 모터 52 : 시프트레버
53 : 피동기어 54 : 스프로켓차
55 : 체인 56 : 체인 휠
57,58 : V벨트 59 : 도사커버
60 : 실이완 방지장치 61 : 장착구
62 : 회전 원반체 63 : 실 누름 절결부
64 : 복귀 스프링 수단 65 : 스토퍼
66 : 로터리 솔레노이드 67a,67b,67c : 센서 또는 광전
A,B,C, 68 : 커버 장착홈 69 : 이동장치 전환레버
70 : 고정 로크레버 72 : 정경사 속도미터
74 : 사침잡음 바 조정레버 75 : 고정핸들
78 : 프로그램 설정기 79 : 콘트롤러
80 : 실 긴장장치 81,82,83,84 : 릴레이
85 : 표시램프 86 :조작 스위치
87 : 상측 리미트 스위치 88 : 하측 리미트 스위치
90 : 정경길이 설정기 92 : 다이얼
94,96 : 스위치 99 : 풀리
100 : 장착부재 102 : 가이드 기초부
104 : 실 유도 오목부 106 : 실 가이드 경사면
108 : 기초 저면판 110 : 측판
112 : 슬라이드 베이스 114 : 가이드홈
116 : 슬라이드 유니트 118 : 가이드 레일
120 : 래크 122 : 클러치 축
124 : 클러치 기어 126 : 전자 클러치
128 : 웜휠 129 : 스프로켓 휠
130 : 웜 131 : 웜핀
132 : 버어링 136 : 스프로켓 체인
138 : 아이들 휠 140 : 블록체
142 : 연결핀 144 : 받침부재
146 : 끼움구멍 148 : 스프링
150 : 쿠션부재 158 : 센터기어
160 : 구동기어 162 : 감속기
164 : 서보모터 166 : 전동축
168 : 전동기어 170 : 스프로켓 휠
W : 샘플 정경기 A : 정경동체
B : 고정식 크릴 C : 되감기기
D : 브레이크 드럼 G : 가이드수단
M1,M2 : 상부 구동계 N1,N2 : 하부 구동계
S : 스토퍼판 T : 지지체
Y : 기초대 r : 오목부
본 발명은, 정경길이에 관계없이 긴 샘플 및 작은 로드의 제품정경을 가능하게 하는 정렬 감기를 할 수 있는 전자제어 심플 정경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로서는, 예를 들면 특개소 62-62942 호에 개시된 구조 즉, 중공축(1)의 양단 중심에 가동축(2)과 피동축(3)을 돌출시키고, 가동축(加動軸)(2)에는 풀리(4)에 고정된 작은기어(5)를, 다른 일단의 피동축(3)에는 도사로드(6)를 고정한 작은기어(7)를 각각 헐겁게 장착하고, 상기 작은기어(5),(7)를 중공축(1) 내의 연동축(8) 양단의 작은기어(9),(10)의 맞물림에 의해서 연동시켜, 그 중공축은 가동축(2)측에서 한편을 지지하도록 하며, 피동축(3)측의 중공축에는 원호부(11)와 직선부(12)를 번갈아 교대시킨 같은 형의 바깥 둘레를 가지는 동체틀 (13),(14)의 원호부(11)에 양단의 롤러(15)에 걸쳐지고, 드럼스포크(16) 면 위를 미그러져서 이동되는 콘베이어 벨트(17)를 부설한 드럼 스포크(16)를 건너 질러서 형성시킨 정경동체(A)를 헐겁게 장착하며, 상기 콘베이어 벨트(17)는 동체 밖으로부터 적절히 구동되는 주기어(18)와의 맞물림에 의해서 일제히 회전되는 유성기어(19)의 동체내 나선축(20)과 나사맞춤시킨 구동자(21)에 의해서 일제히 같은 양의 미세이동을 시키고, 도사로드(6)의 앞끝단을 내측으로 굽혀서 도사부(導絲部)(6')로서 정경동체(A)의 앞단 원주상으로 향하게 하는 구성을 가지며, 정경동체(A)에 감겨지는 실(22)을 사침잡음 바 및 커트 사침바의 상하로 선별함으로써 사침 및 커트사침을 만드는 사침잡음 수단과, 정경동체(A)에 감겨지는 실(22)의 총 가닥수를 카운트하는 총가닥수 카운터의 업 신호를 온/오프 시키는 총가닥수 카운터 카운트수단과, 정경동체(A)에 감기는 실의 총 가닥수가 설정치에 달하면 정경기 본체를 정지시키는 총가닥수 완료 정지수단, 콘베이어 벨트를 좌로 이동시키는 콘베이어 벨트 좌측이동 수단과, 콘베이어 벨트를 우로 이동시키는 콘베이어 벨트 우측이동 수단과, 주전동기(46)의 회전을 도사로드(6)에 전달시키는 운전·정지수단과, 실 선별가이드(27) 및 실 탈거장치(32)를 제어하는 실 셀렉트 수단과, 실 이완방지(실 누름)장치(60)의 솔레노이드를 온/오프 시키는 실 누름 솔레노이드 수단과, 실(22)이 정경동체(A)에 감긴 회수를 카운트 표시시키는 회수감기 카운트 수단을 구비하며, 실 종류 0∼n의 선택, 실가닥수의 설정, 반복수의 설정, 감기회수의 설정 및 콘베이어 벨트의 이송량을 설정하므로써, 소망하는 옷본 정경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의 구조(부호는 뒤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다)가 알려져 있다(특공소 64-8736호). 이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는 분원 출원인에 의해서 개발된 것이나, 전자제어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옷본 정경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에 있어서는, 주 전동기로서 통상적인 범용 모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중의 회전수의 가감속을 할 수가 없고, 실 교환시에 있어서의 잡기 오류, 미스체인지의 발생을 피할 수가 없으며, 또 실끊어짐도 발생하기 쉽다는 난점이 있고, 또한, 완충 기동정지, 죠깅 운전 등을 행할 수가 없으며, 운전 능률의 점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존재하고 있었다. 또, 정경밀도 설정방법은 주전동기에 접속되는 변속기의 변속비를 정경밀도 설정다이얼로 변경시켜서 콘베이어 벨트의 이동속도를 결정하고, 또한 공회전시도 콘베이어 벨트가 동작하는 기구이기 때문에 정경동체상에서 규칙적인 모습이 되지 못하고, 감을 때에 미묘하게 장력과 정경길이가 변화되고 있었다.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불합리를 해소하기 위하여, 인버터 모터 및 AC서보모터를 사용한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도 이미 개발하고 제안하고 있다(특공소 64-10609 호 및 특공소 64-10610 호).
또, 실 교환공정을 생략하고, 실 교환시의 시간적 손실을 전무하게 하며, 또한 여러개의 실을 동시에 정경동체에 감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정경 작업 시간의 단축을 가능하게 한 여러개의 동시 정경 가능한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도 이미 개발하여 제안하고 있다(특공평 4-57776 호).
상기한 현재 사용중인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에 있어서는, 도사로드(6)로 필요회수(정경가닥수×정경길이)를 정경동체(A)에서 일정한 위치에 실(22)을 감는 것과 동기해서, 정경동체(A)상의 콘베 이어 벨트(17)를 정경 진행방향으로 이동시켜, 정경폭을 결정하고 있다.
도사로드(6)의 1회전당 콘베이어 벨트(17)의 이송량은, (정경폭/정경가닥수)×(정경길이/정경동체 한 둘레길이)가 된다. 따라서, 정경길이가 짧은 것(예로서, 정경동체 한 둘레분)인 경우, 도사로드(6)의 1회전당 콘베이어 이송량은, 정경하는 실(22)의 직경(굵기)보다 큰 이송량이 되므로, 제3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경동체(A)상에 아주 깨끗하게 정렬한다. 그러므로, 정경 종료 후, 정경한 실을 시트형상으로 직기(織機)빔에 감을 시에는, 원활하게 감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정경길이가 긴 것(예로서, 정경동체 9 둘레분)이면, 도사로드(6)의 1회전당 콘베이어 이송량은, 정경하는 실(22)의 직경(굵기)보다 월등하게 작은 이송량이 되어 하는 수 없이 실은 전에 감겨진 실(22)위에 감기게 된다. 그 정경동체(A)상에 감긴 모습은, 제39도와 같이, 실(22)의 자유에 맡겨져서 감긴 모습이 되므로, 정경 종료 후, 정경한 실을 시트형상으로 정경 순과는 반대로 9-8-7-6-5-4-3-2-1로 직기 빔에 감을 때, 실(22)이 나오지 않는 상태가 되어버린다.
다시 말하면, 1회 감은 것(정경동체 둘레길이)이라면, 콘베이어 벨트(17)는 도사로드(6)의 1회전당, 정경밀도(세로실 피치)분 만큼 이동한다. 그러나, 9회 감은 것(정경동체 둘레길이×9회)의 정경길이이라면, 콘베이어 벨트는 도사로드 1회전당 [정경밀도(종사피치)÷ 9] 거리분 밖에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제39도와 같이 실(22)은 랜덤하게 겹쳐 쌓여진다.
이와 같이, 직물밀도, 실의 굵기 및 정경길이의 조건에 의하여, 또 현실의 문제로서, 정경동체 상의 실 층이 4∼5층 겹쳐 쌍여 지면, 직기 빔으로의 감기가 불가능하게 된다는 불합리가 생기고 있었다.
그래서, 정경동체 상의 실의 하층으로부터 순서로, 1-2-3-4-5-6-7-8-9(9회 감김)로 순서적으로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이며, 정경동체에 최초의 실의 열을 감기를 완료한 후, 다음 실의 열을 감기 시작한 실의 최초의 열(列)의 실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감으므로써, 정경동체상의 실의 하층으로부터 순서적으로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정경길이(감기 회수가 많은 경우, 예로서 4회 감기 이상)가 긴 경우에도 직기 빔으로 감는 것이 용이한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에 있어서는, 중공충(1)의 양단 중심에 가동축(2)과 피동축(3)을 돌출시키고, 가동축(2)에는 풀리(4)에 고정된 작은 기어(5)를, 다른 일단의 피동축(3)에는 도사로드(6)를 고정한 작은 기어(7)를 각각 헐겁게 장착하고, 상기 작은기어(5),(7)를 중공축(1)내의 연동축(8) 양단의 작은기어(9),(10)의 맞물림에 의해서 연동시켜, 그 중공축은 가동축(2)측에서 한편을 지지하도록 하며, 피동축(3)측의 중공축에는 원호부(11)와 직선부(12)를 번갈아 교대시킨 같은 형의 바깥둘레를 가지는 동체틀(13),(14)의 원호부(11)에 양단의 롤러(15)에 걸쳐지고, 드럼스포크(16)면 위를 미끄러져서 이동되는 콘베이어 벨트(17)를 부설한 드럼스포크(16)를 건너질러서 형성시킨 정경동체(胴)(A)를 헐겁게 장착하며, 상기 콘베이어 벨트(17)는 동체 밖으로부터 적절히 구동되는 주기어(18)와의 맞물림에 의해서 일제히 회전되는 유성기어(19)의 동체내 나선축(20)과 나사맞춤시킨 구동자(21)에 의해서 일제히 각각 같은 양의 미세이동을 시키고, 도사로드(6)의 선단을 내측으로 굽혀서 도사부(6')로서 정경동체(A)의 전단 원주상으로 향하게 하는 구성을 가지며, 정경동체(A)에 감겨지는 실을 사침잡음바 및 커트 사침바의 상하로 선별함으로써 사침 및 커트사침을 만드는 사침잡음 수단과, 정경동체(A)에 감겨지는 실의 총 가닥수를 카운트하는 총가닥수 카운터의 업 신호를 온/오프 시키는 총가닥수 카운터 카운트수단과, 정경동체(A)에 감기는 실의 총 가닥수가 설정치에 달하면 정경기 본체를 정지시키는 총가닥수 완료 정지수단과, 콘베이어 벨트를 좌로 이동시키는 콘베이어 벨트 좌측이동 수단과, 콘베이어 벨트를 우로 이동시키는 콘베이어 벨트 우측이동 수단과, 주전동기(46)의 회전을 도사로드(6)에 전달시키는 운전·정지수단과, 실 선별가이드(27) 및 실 탈거장치(32)를 제어하는 실 셀렉트 수단과, 실 이완방지(실 누름)장치(60)의 솔레노이드를 온/오프 시키는 실 누름 솔레노이드 수단과, 실이 정경동체(A)에 감긴 회수를 카운트 표시시키는 회수감기 카운트 수단을 구비하며, 실 종류 0∼n의 선택, 실가닥수의 설정, 반복수의 설정, 감기 회수의 설정 및 콘베이어 벨트의 이송량을 설정하므로써 소망하는 옷본 정경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에 있어서, 그 도사로드(6)측의 그 드럼 스포크(16)의 끝부에 상기 도사부(6')로부터의 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G)을 그 드럼 스포크(16)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도사로드(6)의 1회전 마다 그 가이드수단(G)을 그 실 굵기의 2배∼절반의 거리(P)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 도사로드(6)의 회전수가 회전감기의 설정치에 달하면 그 가이드수단(G)은 거리 P× 회수감기 설정치=거리(Q)분 만큼 신속복귀하고, 즉, 스타트 위치로 신속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그 콘베이어 벨트(17)는 정경 세로밀도, 즉 정경폭/총가닥수(정경가닥수)의 거리(R)분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며, 정렬감기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정렬감기 정경을 행하는 수단으로서는, 그 도사로드(6)을 정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그 도사로드(6)의 1회전마다 그 실 굵기의 2배∼절반의 거리(P)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도사로드(6)의 회전수가 회수감기의 설정치에 도달하면 그 도사로드(6)은 거리 (P)×회수감기 설정치=거리(Q)분 만큼 신속복귀하고, 즉, 스타트 위치로 신속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그 콘베이어 벨트(17)는 정경 세로밀도, 즉 정경폭/총가닥수(정경가닥수)의 거리(R)분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며, 정렬감기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콘베이어 벨트(17)가 그 도사로드(6)의 1회전 마다 그 실 굵기의 2배∼절반의 거리(P)만큼 정경방향의 역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도사로드(6)의 회전수가 회수감기의 설정치에 도달하면 그 콘베이어 벨트(17)는 거리(P)×회수감기 설정치=거리(Q)와 정경 세로밀도, 즉 정경폭/총가닥수(정경가닥수)의 거리(R)를 가한 가한 거리(T)분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며, 정렬감기를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는, 정경동체에 최초의 실 열을 감는 것이 끝난 후, 다음 실열의 감기시작 실이 최초의 열의 실 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W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이며, 중공축(1)을 가지고 있다. 그 중공축(1)의 양단 중심에는 가동축(2)과 피동축(3)이 돌출되고 있다. 그 가동축(2)에는 풀리(4)에 고정된 작은기어(5)와 풀리(99)가 헐겁게 장착되고, 또 다른 일단의 그 피동축(3)에는 도사로드(6)를 고정한 작은 기어(7)가 헐겁게 장착되어 있다.
그 작은 기어(5) 및 (7)는, 그 중공축(1)내의 연동축(8) 양단에 설치된 작은 기어(9) 및 (10)의 맞물림에 의해서 연동되고 있다. 그 중공축(1)은 그 가동축(2)측에서 한쪽이 지지되고 있으며, 그 피동축(3)측의 그 중공축(1)에는 정경동체(A)가 헐겁게 장착되어 있다.
그 정경동체(A)는, 원호부(11)와 직선부(12)를 번갈아 교대시킨 같은 형의 바깥둘레를 가지는 동체틀(13),(14)의 원호부(11)에 양단의 롤러(15)에 걸쳐지고, 드럼스포크(16)면 위를 미끄러져서 이동되는 콘베이어 벨트(17)를 부설한 드럼스포크(16)를 건너질러서 형성된다.
그 콘베이어 벨트(17)는, 동체 밖으로부터 적절히 구동되는 주기어(18)와의 맞물림에 의해서 일제히 회전되는 유성기어(19)의 동체내 나선축(20)과 나사맞춤시킨 구동자(21)에 의해서 일제히 각각 같은 양씩 미세이동된다. 그 도사로드(6)의 선단은 내측으로 굽혀서 도사부(6')로 되고 있다. 그 도사부(6')는 그 정경동체(A)의 전단 원 둘레상을 향하고 있다.
(B)는 각각 색이 다른 실(22)을 감고 있는 여러개의 보빈을 세우는 고정식 크릴, (24)는 보빈으로부터 끌려나온 실(22)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25)는 실(22)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기, (26)은 드로퍼이다.
(27)은 프로그램 설정기(78)이 지시에 의하여 실(22)을 선별 가이드 하는 실 선별가이드이다. (28)은 슬리트판이며, 풀리(4)의 회전에 따라서 펄스를 발생시켜, n개 배열된 로터리 솔레노이드(29)를 작동시킨다. 그 실 선별가이드(27)는 각각의 로터리 솔레노이드(29)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로터리 솔레노이드(29)가 온이 되면 회전운동하여 작동위치로 진출하고, 로터리 솔레노이드(29)가 오프가 되면 반대로 회전운동하여 원래의 위치(제9도 실선)로 복귀하도록 동작한다.
(S)는 기초대(Y)상에 지지체(T)를 통해서 또한 실 선별 가이드(27)에 대응해서 설치된 스토퍼판이며, 그 실 선별가이드(27)의 선단부(27a)를 받음과 동시에 그 동작을 제한하는 것이다. 그 스토퍼판(S)의 그 실 선별가이드(27)의 선단부(27a)가 맞닿는 부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오목부를 형성하므로써 그 실 선별가이드(27)의 선단부(27a)의 그 스토퍼판에 대한 맞닿음 위치는 그 스토퍼판(S)의 통상적인 면보다도 안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 실 선별가이드(27)에 의한 실 교환시의 실의 잡기는 확실하고도 원활하게 행하여지는 것이다.
이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고 단순히 그 스토퍼판(S)을 설치한 것 만으로는 실의 잡기는 반드시 정확하게 되는 것은 아니며,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대단히 정확하게, 그리고, 원활하게 실의 잡기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이목부의 존재는 매우 큰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그 오목부의 형상으로서는 그 스토퍼판(S)의 그 실 선별 가이드(27)의 선단부(27a)와의 맞닿는 면이 속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면 되므로, 그 스토퍼판(S)의 그 실 선별가이드(27)와의 맞닿는 면상하에 돌출부 또는 돌출선을 형성하여도 좋고, 또 그 실 선별가이드(27)와의 맞닿는 부분만을 오목부로 하여도 좋으며, 또한 도시한 바와같이 긴 홈의 오목부로 하여도 좋을 것이다.
(59a)는 도사커버(59)의 하단부 내면에 도출설치된 가이드 로드이며, 실 체인지 시에 탈거된 실이 스토퍼판(S)아래측으로 이행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30) 및 (31)은 실(22)의 가이드로드이다. (32)는 프로그램 설정기(78)의 지시에 의하여 감는 중에 있는 실(22)을 탈거하는 실 탈거장치이다.
(33),(34) 및 (38)은 실(22)의 사침잡음을 하는 사침잡음 바이며, (33) 및 (38)은 사침잡음 상부바, (34)는 사침잡음 하부바이다.
(39)는 사침잡음을 한 실을 절단한 아래측의 실을 고정시키는 실 고정구이며, 상기 동체틀(13)에 설치되어 있다. 되감기기(C)는 스켈리턴(40), 롤러(41),(42), 지그재그 고문(43), 롤러(44) 및 직기 빔(45)을 가지고 있다.
(46)은 주전동기이며, 임버터모터를 사용하므로써, 운전중의 가감속도, 완충기동정기, 죠깅운정 및 실감기 속도의 고속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47)은 주변속풀리, (58)은 주변속풀리(47)와 종변속풀리(48)에 걸쳐진 V벨트, (49)는 종변속풀리(48)와 동축의 카운터 풀리, (50)은 브레이크 작동 피니온이며, 래크를 진퇴시키므로써 브레이크 드럼(D)의 제동구멍(도시하지 않음)과 걸어 맞춤 및 풀어짐을 하게하고, 수시로 정경동체(A)을 제어시키는 것이다.
(57)은 가동축(2)상의 풀리(4)사이의 V벨트, (51)은 벨트 이송모터(AC서보모터), (52)는 시프트레버, (53)은 피동기어, (54)는 스프로켓차, (55)는 체인, (56)은 주기어(18)를 구동시키는 체인휠, (57),(58)은 공히 V벨트, (59)는 도사커버, (D)는 브레이크 드럼이다.
(60)은 실 이완 방지장치이며, 실 선별가이드(27)에 근접하는 정경동체(A)의 아래측의 드럼스포크(16a) 또는 (16b)의 측벽에 장착되어 있다. 이 실이완 방지장치(60)의 장착위치는 정경동체(A)의 최하면에 위치하는 드럼스포크(16a) 의 측벽이 가장 바람직하나, 그 드럼스포크(16a)에 인접하는 드럼스포크(16b)의 측벽에 장착하여도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다.
(61)은 그 실이완 방지장치(60)를 그 드럼스포크(16a) 측벽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이다. (62)는 실이완 방지장치(60)를 구성하는 회전 원반체이며, 둘레면부에 원주의 약 1/4을 절결하여 형성된 실 누름 절결부(63)를 가지고 또한 소용돌이 형의 복귀 스프링 수단(64)에 의해서 항시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이 가하여지고 있다. (65)는 그 장착구(61)에 돌출 설치되고, 또한 그 실누름 절결부(63)의 끝면에 맞닿아서 그 회전 원반체(62)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이며, 그 실누름 절결부(63)의 끝면과 협동해서 탈거된 실(22)을 누르는 작용을 한다.
(66)은, 장착구(61)에 장착된 로터리 솔레노이드이며, 온 상태에서 그 회전 원반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한다. (67a),(67b) 및 (67c)는 센서이며, 슬리트판(28)의 슬리트(28a)가 통과하는 것을 검지하는 것이다.
그 슬리트(28a)는 도사로드(6)과 동기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슬리트(28a)의 회전을 검지하므로서 그 도사로드(6)의 회전도 그 센서(67a),(67b) 및 (67c)에 의해서 검지된다. 이 센서(67a),(67b) 및 (67c)는 3개가 약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중, 센서(67b)는 도사로드(6)이 실이완 방지장치(60)를 통과한 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아래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감기 작업중, 실 탈거장치(32)에 의해서 다음에 탈거될 예정인 실이 그 실이완 방지장치(60)를 통과하면, 프로그램 설정기(78)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그 로터리 솔레노이드(66)는 온 상태가 된다.
이 로터리 솔레노이드(66)는 그 도사로드 즉 슬리트(28a)가 그 센서(67b)로부터 회전방향으로 약 240도 떨어진 센서(67a)를 통과하면, 프로그램 설정기(78)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오프가 된다. 그리고, (68)은 그 드럼 스포크(16)의 측벽 하단부에 형성된 커버 장착홈이며, 정경동체(A)내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용 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제4도에서, (69)는 콘베이어 벨트(17)의 이동정치 전환레버, (70)은 정경동체(A)의 고정로크레버, (74)는 시침잡음바 조정레버, (75)는 사침잡음바 고정핸들 및 (78)은 프로그램 설정기이다. (79)는 콘트롤러이다. (80)은 그 정경동체(A)의 직선부(12)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실긴장 장치이다.
제1도에서, (87)은, 실(22)이 그 정경동체(A)에 한 번 감길 때마다 작동하는 상측 리미트 스위치이며, 고정식 크릴(B)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 상측 리미트 스위치(87)는, 실(22)이 정경동체(A)에 감겨져 있는 도사로드(6)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공급 실(22)에 의해서 온이 된다.
그러나, 실(22)이 정경동체(A)에 감겨져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도사로드(6)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 즉 미스 체인지 상태에서는 그 상측 리미트 스위치(87)는 오프 그대로이며 온이 되는 일은 없다.
이 상측 리미트 스위치(87)의 상기 동작을 이용하여, 실(22)이 한 번 정경동체(A)에 감길 대마다 그 상측 리미트 스위치(87)의 온/오프를 확인하고, 실(22)이 한 번 정경동체(A)에 감기는 과정에서 한 번도 상측 리미트 스위치(87)가 온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W)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켜서 미스체인지 발생에 의한 문제점을 회피하는 것이다.
(88)은 드로퍼(26) 하방에 설치된 하측 리미트 스위치이며, 실(22)이 끊어졌을 때, 그 드로퍼(26)이 낙하하므로써 온이 되고, 그 하측 리미트 스위치(88)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W)의 동작을 정지시켜 실 절단에 의한 문제점을 회피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그 도사로드(6)측의 그 드럼스포크(16) 끝부에, 상기 도사부(6')로부터의 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G)이 그 드럼스포크(16)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수단(G)은, 장착부재(100)에 고착되는 가이드 기초부(102)를 가지고 있다. 이 가이드 기초부(102)의 한 끝단 상부에는 실유도 오목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 유도 오목부(104) 상부에는 실 가이드 경사면(106)이 형성되어 있다. 도사부(6')로부터 유도된 실(22)은 그 실가이드 경사면(106)을 미끄러져 떨어져서 실 유도 오목부(104)에 유도되어, 그 콘베이어 벨트(17)상에 감긴다(제14도).
그 장착부재(100)는, 기초 저면판(108) 양단에 측판(110)이 세워서 설치된 채널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양측판(110)에 한 쌍의 가이드수단(G)이 서로 대면해서 장착된다.
(112)는 글 드럼 스포크(16)의 하면에 장착된 슬라이드 베이스이다. 슬라이드 베이스(112) 하면에는, 가이드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116)은, 그 장착부재(100)의 기초저면판(108)의 상면에 설치된 슬라이드 유니트이다. 이 슬라이드 유니트(116)의 상면에는, 가이드레일(118)이 설치되고, 그 가이드홈(114)에 그 가이드레일(118)이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그 장착부재(100)의 기초 저면판(110) 하면에는 래크(12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래크(120)에는, 클러치축(122)의 일단측에 장착된 클러치기어(124)가 맞물려 있다. 이 클러치기어(124)는, 전자클러치(126)의 온, 오프에 따라서 클러치축(122)과의 결합 및 이탈을 행한다.
즉, 전자클러치(126)가 온일 때에는, 클러치축(122)이 회전하면, 래크(120)를 통해서 장착부재(100)가 이동하며, 동시에 가이드수단(G)이 이동해서 그 피치 이송이 행하여진다. 한편, 전자클러치(126)가 오프일 때에는, 클러치축(122)의 회전은 래크(120)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그 가이드수단(G)의 피치이송은 없다.
(128)은, 그 클러치축(122)의 다른 일단측에 장착된 웜휠이다. 그 웜휠(128)은, 웜(130)이 맞물리고 있다. 그리고, (132)는 베어링, (134)는 베이링 케이스이다.
그 웜(130)의 웜핀(131)에는, 스프로켓 휠(129)이, 그 웜(130)과 같은 축에 장착되어 있다(제11도). 그 스프로켓 휠(129)에는, 스프로켓 체인(136)이 감겨 있다. 그 스프로켓 휠(129)에 대응해서 아이들 휠(138)이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그 스프로켓 체인(136)이 감겨 있다.
제11도에서 (140)은, 상기 래크(120)에 장착된 블록체이며, 그 블록체(140)에는, 연결핀(142)의 일단이 장착되어 있다. (144)는 상기 슬라이드베이스(112)0의 끝부 아래면에 장착된 받침부재이다. 그 받침부재(144)에는 끼움구멍(146)이 뚫려 있고, 그 끼움구멍(146)에 그 연결핀(142)의 다른 끝이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그 연결핀(142) 바깥 둘레면에는 스프링(148)이 감겨져 있으며, 그 래크(120)의 웜휠(128)에 의한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그 래크(120)에 항시 힘을 가하고 있다. (150)은 쿠션 부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클러치(126)가 온일 때에는, 클러치축(122)이 회전하며, 가이드수단(G)의 피치이송이 행하여지는데, 이 가이드수단(G)의 이송은, 이 스프링(148)의 힘에 저항해서 행하여 진다. 한편, 전자클러치(126)가 오프시에는, 클러치축(122)의 회전은 래크(120)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그 가이드수단(G)의 피치이송은 없으나, 그와 동시에 이 스프링(148)의 힘에 의해서 그 가이드수단(G)은 신속복귀되어, 원래의 스타트 위치로 돌아온다.
제12도에서, 정경동체(A)의 중공축(1)에는 센터기어(158)가 설치되어 있다. (160)은 구동기어로서, 그 센터기어(158)와 맞물리고 있다. 그 구동기어(160)는, 감속기(162)를 통해서 서보모터(164)에 의하여 구동된다.
(166)은 동체틀(13)에 장착된 전동축이며, 그 축(166)의 선단에는 전동기어(168)가 장착되고, 그 전동기어(168)는 그 센터기어(158)과 맞물리고 있다. (170)은 그 전동축(166)의 중앙부에 장착된 스프로켓 휠이며, 상기 스프로켓 체인(136)이 감겨져 있다.
제13도와 같이, 그 스프로켓 휠(129), 아이들 휠(138) 및 스프로켓 휠(170)을 감는 스프로켓 체인(136)은, 4개가 개별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즉, 4개의 스프로켓 휠(129)과 3개의 아이들 휠(138)과 1개의 스프로켓 휠(170)이 1개의 스프로켓 체인(136)에 의해서 감겨지고, 2개의 상부 구동계(M1,M2)와 2개의 하부 구동계(N1,N2)로서 이루어지는 합계 4개의 구동계가 구성되어 있다.
각 스프로켓 휠(129)이 창작되어 있는 각 클러치축(122)에 설치된 각 전자클러치(126)에 의해서 구성되는 전자 클러치군은, 상부의 2개의 구동계(M1,M2)를 구성하는 상부 전자 클러치군과, 하부의 2개의 구동계(N1,N2)를 구성하는 하부 전자 클러치군의 2개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나누어져 있다.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의 제어부분은,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프로그램 설정기(78)는, 0∼n의 여러개의 실 종류의 선택, 실 가닥수의 설정, 반복수의 설정, 가이드수단(G)으 이송량을, 설치된 0∼9의 10개의 키 스위치, ↑스위치, ↓스위치, 이행스위치, ( ) 스위치, 종료 스위치, CLR(클리어) 스위치, 종이 이송 스위치에 의해서 설정 가능한 프로그램 설정기이며, 설정한 프로그램은 소형 프린터에 보낼 수가 있으며, 또한 그 내용은 애드레스, ( )의 유무, 실의 종류, 실의 개수, 반복수를 LED로 표시할 수가 있다.
또한, 기입, 운전, 호출동작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운전시에는 사전에 설정된 내용을 표시할 수가 있고, 호출시에는 프로그램의 수정을 행할 수가 있다. 이 프로그램 설정기(78)는 콘트롤러(79)와, 실의 종류, 실체인지, 카운트업 신호를 통해서 접속되며, 이들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을 순차로 반복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4칙 연산공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예로서 실종류 1을 10개, 실종류 2를 5개, 실종류 3을 7개, 이들의 반복을 3회 실시한 후, 실종류 4를 6개, 실종류 5를 2개 감는 프로그램은 (10+2×5+3×7)3+4×6+5×2라는 공식에 적용된다. 물론 ( )를 몇번이고 사용하는 [ζ(1×2+2×3)3+1×4ζ5+2×6]7+3×5라는 프로그램도 제작 가능하다. 또, 한 번 설정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변경을 하지 않는 한 백업 전지에 의해서 보호되고 있다.
제17도에 도시하는 콘트롤러(79)는 정경기 본체를 제어하는 부분이며, 프로그램 설정기(78)로 설정된 프로그램 그대로, 콘트롤러(79)에 접속된 전자 개폐기용 릴레이(81), 실종류 0∼n 솔레노이드용 릴레이(82), 실 셀렉트, 실 누름, 실 탈거 솔레노이드용 릴레이(83), 사침잡음 상부, 사침잡음 하부, 커트 사침상부, 커트 사침하부 솔레노이드용 릴레이(84), 표시램프(85)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전자 개폐기용 릴레이(81)는 감기 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실종류 0∼n 솔레노이드용 릴레이는, 실 셀렉트 릴레이가 온 일대, 실 0∼n의 솔레노이드를 제어하고, 실 누름, 실 탈거용 릴레이는 실 누름, 실 탈거 솔레이노이드를 제어하며, 사침잡음 상부, 사침잡음 하부, 커트사침 상부, 커트사침 하부용 릴레이는, 각각 사침잡음 상부, 사침잡음 하부, 커트사침 상부, 커트사침 하부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는 것이다.
표시램프(85)는 정경기 본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이며, 전원 온, 벨트 우측이동, 벨트 좌측이동, 사침잡음 상부, 사침잡음 하부, 주전동기 온, 2개 감기, 총가닥수, 회수감기 표시 등의 램프가 있다. 조작 스위치(86)는, 정경기 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전원, 정경모터 자동정지, 회수감기 설정, 벨트 이동정지, 벨트 우측이동, 벨트좌측 이동, 사침잡음 상부, 사침잡음 하부, 주전동기 온, 주전동기 오프, 2개 감기 리세트 스위치 및 총가닥수 카운터 등이 있다.
광전 스위치(6)는 정경기 본체에 장착된 3개의 광전 스위치 또는 센서(67a,67b,67c)이며, 실 셀렉트, 실 누름, 실 탈거, 사침잡음, 커트사침, 카운트 업 등의 타이밍을 취하기 위하여 약 3등분된 원주상에 위치하는 것이다.
2가닥 감기 정지용 스위치(87)는 고정 급사용 크릴 스탠드(B)에 장착된 실이 2가닥 이상 동시에 감긴 것을 검출하고, 콘트롤(79)에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기타, 정경기 본체에 주전동기(46)를 정지시키는 실전달 검출 시위치, 상기 릴레이 군으로부터 제어되는 각종 솔레노이드, 전자 개폐기, 미스체인지 표시등이 장비되어 있다.
제16도는 프로그램 설정기 (78)의 판면을 나타내며, 제17도는 콘트롤러(79)의 판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6도에서, (PL1)은 벨트 신속이송 좌측이동 표시등, (PL2)는 벨트 신속이송 우측이동 표시등, (PL3)은 전원표시등, (PL4)는 주전동기 온 표시등, (PL5)는 사침 상부 표시등, (PL6)은 사침 하부 표시등, (PL7)은 2가닥감기 정지 표시등, (SS-0)은 전원 스위치, (SS-1)은 심야 전원스위치, (SS-2)는 주전동기 정전 역전 스위치, (SS-3)은 미스체인지회로 스위치, (PS1)은 벨트 신속이송 좌측이동 스위치, (PS2)는 벨트 신속이동 정지스위치, (PS3)은 벨트 신속이송 우측이동 스위치, (PS4)는 주전동기 온 스위치, (PS5)는 주전동기 오프스위치, (PS6)은 사침상부 스위치, (PS7)은 사침하부 스위치, (PS8)은 회수감기 수동카운터 스위치, (PS9)은 회수감기 카운트리세트 스위치, (PS10)은 2가닥감기 리세트 스위치, (PS11)은 주전동기 역전 순간 스위치, (RS1)은 회수감기 설정 스위치, (BU406D)는 감기 회수 설정기, (RS2)는 정경 가닥수 설정기 및 (DS)는 가이드수단(G)의 이송량을 결정하는 디지탈스위치이다.
(72)는 정경사 속도미터, (90)은 정경길이 설정기, (92)는 주전동기(46)의 최고 회전수 설정다이얼이다. 주전동기(46)의 최고 회전수는 인버터 내의 설정기로도 설정가능하다. (94) 및 (96)은 벨트 이송용의 우측 순간 스위치 및 좌측 순간 스위치이며, 메카니컬 스위치에 의하여 1피치분의 벨트 이송을 주전동기가 오프일 때, 가능하도록 한 보정용 스위치이다.
기타, 도면상에는 없으나, 콘트롤러(시퀀스 기판)(79)를 통해서 운전정지신호, 죠깅신호, 다단 변속신호, 정, 역전 신호를 입력하고, 주전동기(46)의 회전을 제어하는 인버터와, 마찬가지로 콘트롤러(시퀀스기판)(79)와, 감기회수 설정기(RS1), 정경길이 설정기(90)를 통해서 콘베이어 벨트 우측 이동신호, 콘베이어 벨트 좌측 이동신호, 운전정기 신호, 정경폭, 정경가닥수, 감기회수, 광전 신호 등을 입력하고, 콘베이어 벨트 모터(51)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AC서보모터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이하에 그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실(22)은 샘플의 무늬에 따라서 가닥 수가 다른데, 예로서 n색의 색이 다른 실 보빈을 고정식 크릴(B)에 세우고 소요 가닥수의 실(22)을 끌어내어, 가이드 플레이트(24), 장력 조정기(25), 드로퍼(26), 실 선별가이드(27)를 통하여, 기초대(Y)에 영구자석이 붙은 실 고정구(E)로 눌러서 세트한다.
이어서, 사전에 준비된 배열에 맞춘 프로그램 설정기(78)에 의해서, 본체 운전과 동시에, 도사부(6')가 정경동체(A)상에서 원운동하며, 콘베이어 벨트(17)상에 실(22)을 감는다. 콘베이어 벨트(17)도 동체 내 나선축(20)의 작용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풀리(4)의 회전에 따라 슬리트판(28)에 의해서 펄스를 발생시키고, n개 배열된 로터리 솔레노이드(29)를 작동시킨다.
로터리 솔레노이드(29)에 장착된 실 선별가이드(27)를 작동 위치로 진출시키고, 도사부(6')가 통과시, 가이드로드(30),(31) 사이에 당겨진 실(22)을 걸어, 콘베이어 벨트(17)상에 감는다. 프로그램 설정기(78)의 다음 지시에 의하여, 실 탈거장치(32)의 작동에 따라 감기 중에 있는 실(22)은 탈거되고, 다음의 프로그램 설정기(78)의 지시에 의하여 다른 실이 감겨진다.
실 체인지 시의 실(22)의 움직임을 제9도에 의거 설명하면, 처음에는 원위치에 있는 실 선별가이드(27)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는 실(22a)는 그 실 선별가이드(27)가 회전운동해서 작동위치로 진출하면 실(22b)의 상태가 되며, 이 상태로부터 도사부(6')에 의해서 정경동체(A)에 감기고, 한 번 감긴 상태가 실 (22c)이며, 두 번째 이후의 감김실 (22d)의 상태에서 행하여 진다.
실 탈거장치(32)에 의해서 감고 있는 (22d)가 탈거되면, 또 실(22b)의 상태가 된다. 탈거된 실을 잡기 위하여 회전운동하여 작용위치로 진출하여 온 실 선별가이드(27)는 그 선단부(27a)가 스토퍼판(S)의 오목부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탈거된 실 (22b)는 그 실 선별가이드(27)에 의해서 확실하게 또한 원활하게 잡아지며, 2가닥 감기 등의 사고가 생기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 때, 탈거될 예정인 실(22), 즉, 도사로드(6)이 실 이완방지장치(60)를 통과하면 센서(67b)에 의해서 즉시 검지되어 프로그램 설정기(78) 및 콘트롤러(79)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로터리 솔레노이드(66)가 온이 되어, 회전원반체(62)를 스프링수단((64)의 힘을 가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실누름 절결부에 위치하고 있던 실(22)을 그 실 누름절결부(63) 끝면과 스토퍼(65)에 의해서 누르도록 작동시킨다.
이 누르기의 상태는 단시간, 즉 도사로드(6)이 센서(67a)의 위치에 도달하면 해소하고, 다음의 실이 벗겨질 때에 대비해서 실 이완방지장치(60)는 대기하게 된다.
이 벗겨진 실은 회전 원반체(62)에 의한 누르기가 끝나면 계속하여 드로퍼(26)의 중량에 의하여 느슨함 없이 팽팽히 펴지면서 신선별가이드(27)를 원이치로 되돌리고 다음의 프로그램 설정기(78)의 지시를 기대하고 차례로 소정의 배열대로 감아 빼게 하는 것이다.
또한, 감아 빼기에 즈음하여 사침잡은 바(33),(34) 및 (38)는 사침잡음 작용을 하고, 커트사침 바(35) 및 (37)는 사침잡음 실을 아래쪽의 실 및 위쪽의 실에 구별하여 감아 빼진 사열은 이 커트사침 바(35),(37)의 작동에 의하여 사침 잡은 실을 절단부분에서 절단하고 아래쪽의 시른 동체틀(13)에 부착된 실 고정구(39)에 고정하고, 위쪽의 실은 되감기기(C)의 스켈리턴(40)의 천에 매고 롤러(41)를 거쳐 감아 빼게 한다. 다음에 롤러(41)로부터 롤러(42), 지그재그콤(43), 롤러(44)를 거쳐서 직기빔(49)에 감아 빼게 하여도 지장은 없는 특징이 있다.
그리하여, 제20도∼제34도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의 제어방법 및 동작을 설명한다. 프로그램은 a∼0까지를 약 0.5∼1밀리초 간격으로 차례로 되풀이하는 병렬처리를 하고 있는 것이다.
a. 2가닥 감기 정지회로
2가닥 감기 검출센서, 즉 상측 리미트 스위치(87)은 급사용 크릴스탠드에 부착되어 있고(제3도), 센서는 급사 1가닥에 1개 합계 n개 부착되어 있다. 이 센서(87)는 실(22)이 도사부(6')에 의하여 정경동체(A)에 감겨지면 출력을 내도록 되어 있어서 실 셀렉트 시의 사고로 도사부(6')가 동시에 실을 2가닥 이상 걸면, 2가닥 감기 표시등을 온으로 한다.
이 2가닥 감기 표시등의 온신호는 정경기 본체 정지 스위치와 회로 상에서 결합되고, 기계 본체도 정지한다. 해제는 2가닥 감기 리세트 스위치로 한다.
b. 사침 잡음 회로
사침잡음 바는 사침잡음 상부바(33),(38) 사침잡음 하부바(34), 커트사침 상부바(35), 커트사침 하부바(37)의 4종류의 바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바의 선단에는 솔레노이드가 부착되어 있고, 각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하여 정경동체(A)상에 감겨지는 실을 각 사침잡음 바의 상하로 선별하고 사침 및 커트 사침을 만들고 있다. 스타트시의 사침은 사침잡음 상부스위치 및 사침잡음 하부 스위치로 선별할 수 있다.
실 교환중이 아닌 사침잡음 방법은, 정경기가 운전 중이고, 카운트치 0(회수감기 표시0)인 것을 확인하면, 사침잡음 상부 솔레노이드, 커트사침 상하 솔레노이드 3종류가 온하고, 광전C(67C)에서 사침잡음 상부솔레노이드, 커트사침 상하 솔레노이드가 오프로 된다.
동시에 사침잡음 하부표시 등이 온하고, 사침잡음 하부표시등이 온하고 카운트0(회수감기표시 0)이 되면 사침잡음 하부 솔레노이드, 커트사침 상하 솔레노이드 3종류가 온하고, 광전C(76C)에서 사침잡음 하부솔레노이드, 커트사침 상하 솔레노이드가 오프로 된다. 동시에 사침잡음 상부 표시등이 온하고, 다음의 카운트0(회수감기표시 0)에서 이상을 되풀이 한다.
실 교환중의 사침잡음 방법은, 상기의 실 교환중이 아닌 사침 잡음 방법의 각 솔레노이드의 동작시간이 1회전분(실 체인지 중)여분으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c. 총 가닥수 카운터 카운트 회로
총 가닥수 카운트의 업신호를 온/오프시키기는 회로로서, 카운트치 0(회수감기표시 0)에 리세트되면 총 가닥수 카운터의 업신호가 온으로 되고 광전C(76C)에서 오프로 되고 총 가닥수 카운터를 진행한다.
d. 총 가닥수 완료정지회로
총 가닥수 카운터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총 가닥수 완료표시등이 온한다. 이 총 가닥수 완료표시등 온신호는 정경기 본체 정지스위치와 회로상에서 결합되어 있고, 정경기도 정지한다. 해제는 총 가닥수 카운터 자신의 리세트 스위치로 한다.
e. 콘베이어 벨트 좌측 이동회로 및
f. 콘베이어 벨트 우측 이동 회로
본 발명의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의 콘베이어 벨트(17)는 엔드레스가 아니고 구동자(21)의 움직임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하므로 콘베이어 벨트의 스타트 위치 맞춤, 되감기 위치 맞춤에 좌이동 스위치, 우이동 스위치에 의하여, 단독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안전을 위하여 우한, 좌한에 벨트 우한스위치, 벨트 좌한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다. 좌측방향 이동시 벨트 좌한 스위치가, 우측방향 이동시 벨트 우한 스위치가 동작하면 컨베이어 벨트(17)는 정지한다.
g. 운전·정지회로
주전동기(46)의 회전을 도사로드(6)에 전달시키는 회로이다. 운전스위치 온, 정지 스위치 온 후, 1초 타이머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것은 운전 또는 정지로 되어도 운전중을 판단하는 부위의 프로그램과 동기를 잡기 위한 것이다.
h. 실 셀렉트회로
이 회로는 실 셀렉트(실 선택), 실 탈거 솔레노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i. 실 누르기 솔레노이드 회로
실 누르기 솔레노이드를 온/오프 시키는 회로이며, 실누르기 솔레노이드는 실 셀렉트용의 체인지 신호 온 후의 광전B(67b)로부터 광전A(67a)의 사이만 온으로 된다.
j. 회수감기 카운트 회로
실이 정경동체(A)에 감긴 회수를 카운트하고 표시시키는 회로이며, 실 셀렉트 중 이외의 광전A의 출력에 의하여 회수감기 표시가 플러스 1 되고, 회수감기 설정치 이상이 되면 리세트되어 회수감기 표시가 0이 된다.
k. 인버터 변속회로
여기서 말하는 인버터란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W)내의 주전동기(46)을 구동하는 것이며, 회전식 크릴에 부착되는 인버터는 아니다. 프로그램 설정기(78)로부터, 실 교환시에 광전A(67a)와 동기하여 출력되는 체인지신호가 온으로 되는 것을 판단하고, 다단 변속신호(저속신호)를 온으로 하고, 주전동기(46)을 저속회전 시킨다. 다음에 광전C(67c)의 온/오프신호를 확인하면서 공전회수를 설정하고, 그 사이 다단변속신호(저속신호)를 계속 온하고, 공정시를 탈출하면 다단 변속신호를 오프로 하고, 주전동기(46)을 고속회전 시킨다. 그 후는 상기 동작을 되풀이하는 것이다. 플로우 챠트는, 공전을 2회 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l. AC 서보 제어회로
정경폭, 정경 가닥수, 감기 회수를 정경길이 설정기(90) 및 감기회수 설정기(RSI)로부터 판독입력하고 1회 감기시의 보내기 펄스 수(AC서보모터를 펄스수 입력으로 구동하는 것을 전제)를 산출하고 보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정수도 계산하여 둔다. 다음에 공전시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공전시인 경우는 스타트시로 되돌아가서, 다음으로 진행하지 않는다. 공전시가 아닌 경우는 광전A(76a)의 온/오프 신호를 판단하고, 계산된 펄스수를 송출하고 콘베이어 벨트 모터(51)를 계산된 펄스수에 알맞는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이하 이것을 되풀이한다.
m. 가이드수단 제어회로
디지탈 스위치(DS)(제17도)에 의하여 정경동체(A)의 1회전당 가이드수단(G)의 송량(예컨대, 0.5mm)을 설정하고, 서보모터(164)의 1회전의 감속송량(예컨대 0.5mm)에 대응하는 펄스량을 연산하여 송출한다. 이 보내진 펄스량에 근거하여, 서보 모터 앰프(모터 드라이브)를 개재하여 서보 모터(164)를 구동한다. 이 서보모터(164)의 구동을 상기한 구동계(M1),(M2),(N1),(N2)에 의하여 가이드수단(G)의 이동량으로 변환하고, 광전A(76a), 광전B(76b), 광전C(76c)의 각 신호의 타임으로, 가이드수단(G)의 보내기/복귀를 전자 클러치(126)의 온/오프에 의하여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클러치(126)가 온인 때는, 가이드수단(G)의 피치 보내기가 행하여지는데, 전자 클러치(126)가 오프인 때는, 스프링(148)의 힘에 의하여 이 가이드수단(G)는 신속복귀시켜지고, 원래의 스타트위치로 되돌아 간다. 이하 상기 동작을 되풀이 한다.
가이드수단(G)의 보내기는, 도사로드(6)의 1회전당 소정량(예컨대, 0.5mm)을 회수감기 설정에 대응하여 설정한다(이송량의 설정가능 범위는, 예컨대 0.1∼1.0mm로 설정하여 두면 통상은 충분하다). 예컨대, 가이드수단(G)의 송량을 0.5mm로 한 경우에는, 회수감기 설정이 20회 설정이면, 가이드수단(G)는 9.5mm 진행하고, 카운트업 신호로 복귀한다.
가이드수단(G)의 보내기는, 도사로드(6)의 기동 회전시에 광전B 통과마다, 송량 설정분의 펄스를 송출한다. 광전A 통과시인데도 펄스를 송출하지 않는 조건은, 기동신호 오프인 때(촌동회전) 또는 실 체인지 신호∼다음의 광전 A의 신호까지 이다.
n. 상부 전자 클러치군의 제어회로
상부 구동계(M1),(M2)의 8개의 전자 클러치군을 광전 A의 신호로 온으로 한다. 또, 기동신호 온인 때에, 광전 B의 신호로 카운트업신호(1가닥분의 카운트업)의 온이 끝난 때에, 상부구동계(M1),(M2)의 전자 클러치군은 오프로 된다.
o. 하부전자 클러치군의 제어회로
하부구동계(N1),(N2)의 8개의 전자 클러치군을 광전 B의 신호로 온으로 한다. 또, 기동신호 온인 때에, 광전 C의 신호로 카운트업 신호(1가닥분의 카운트업)의 온이 끝난 때(체인지신호 오프인 때)에, 하부전자 클러치군은 오프로 된다. 또는, 체인지신호 온이 끝난 때는, 광전 C의 신호의 2회째이고, 하부구동계(N1),(N2)의 전자 클러치군은 오프가 된다.
다음에 구체적인 예로서, 적색실과 백색실의 2가닥의 실을 사용하고, 적색실 2가닥, 백색실 2가닥의 되풀이로 총 가닥수 3,600가닥, 정경폭 100Cm, 정경길이(회수감기) 10회인 경우의 동작설명을 한다.
먼저, 크릴스탠드 B에 적색실, 백색실을 세트하고, 가이드 플레이트(24), 장력조정기(25), 드로퍼(26)을 통하고, 실 선별 가이드(27)의 No. 0의 가이드에 적색실을, No. 1의 가이드에 백색실을 통하고, 기대(Y)에 영구자석이 붙은 고정구(E)로 누름실을 세트한다.
이어서, 실 선별 가이드(27)의 실 세트대로 프로그램을 한다. 프로그램한 내용의 표시부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번지 000
1
사종 0
1
가닥수 002
2
되풀이수 000
0
동시에 회수감기설정(10을 설정함), 컨베이어 벨트의 송량을 세트하고(총 가닥수 3,600가닥 끝났을 때 100Cm 이동하도록 세트함) 총 가닥수 카운터에 3,600을 세트한다.
기구상은, 운전스위치가 들어가고 도사로드(6)이 회전하면 동 회전속도로 슬리트판(28)이 회전하고, 동시에 컨베이어 벨트(17)이 전면으로부터 후부(원동부쪽)로 설정량만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정경무터(주전동기)(46)을 회전시키고, 도사로드(6)을 광전 A(67a)와 광전 B(67b)의 사이의 스타트위치로 하고, 운전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No.0의 실 선별가이드(27)의 솔레노이드가 온하고, 사침잡음 상부솔레노이드 및 커트사침 상하 솔레노이드가 온하고, 1초후, 도사로드(6)은 회전한다. 이 때, 도사로드(6)은 No.0 실 선별가이드의 실, 즉 적색실을 잡아 회전을 시작하고 정경동체(A)에 감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커트사침 상부 솔레노이드 및 커트사침 하부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적색실의 커트사침이 만들어 진다. 이어서, 광전 C(67c)를 통과하면 각 솔레노이드는 오프로 된다.
기구상, 커트사침 바는 광전 B(67b)와 광전 C(67c)의 사이, 사침잡음 바는 광전 A와 광전 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타트시의 적색실은 커트사침만으로 된다. 도사로드(6)이 1바퀴째의 광전 A(67a)를 통과하면 회수감기표시가 1, 2바퀴째의 광전 A를 통과하면 회수감기표시가 2로 되고, 마찬가지로 10바퀴째의 광전 A를 통과하면 회수감기표시가 9로 되고, 10바퀴째의 광전 A를 통과하면 회수감기 표시가 0이 된다.
동시에, 사침잡음 상부 솔레노이드, 커트사침 상하부 솔레노이드가 온하고, 다음의 광전 C를 통과하여 각 솔레노이드는 오프하고, 사침, 커트사침이 만들어진다. 이와 동시에 총 본수 카운트 업 신호가 나서 총 본수 카운터에 1이 표시된다.
도사로드(6)이 11바퀴의 광전 A(67a)를 통과하면 회수감기 표시가 1이 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1회전 할 때마다 차례로 표시가 증가하고, 19바퀴째의 광전 A를 통과하면 회수감기표시가 9가 되고, 20바퀴째 광전 A를 통과하면 회수감기표시가 0가 된다.
동시에, No.0 실 선별 솔레노이드, 실 탈거 솔레노이드, 사침잡음 하부 솔레노이드, 커트사침 상하부 솔레노이드가 온하고, 적색실은 도사로드(6)으로부터 탈거되고, 드로퍼(26)의 무게로 No.0 실 선별가이드에 수납된다.
이 때, 도사로드(6)이 광전 B를 통하면 실 누름 솔레노이드가 온하고, 정경동체 A의 적색실을 누르고, 실교환에 따른 실이완이 정경동체 A상의 색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도사로드(6)이 다음의 광전 C를 통과하면 실탈거 솔레노이드가 오프한다. 동시에 총 본수 카운트업 신호가 나서 총 본수 카운터에 2가 표시된다.
도사로드(6)이 21바퀴째의 광전 A(67a)를 통과하면 No.0 실 선별 솔레노이드가 오프하고, No.1의 실 선별 솔레노이드가 온한다(이 때, 회수감기카운트는 카운트하지 않는다). 도사로드(6)은 No.1실 선별 솔레노이드의 백색실을 잡아 정경동체(A)상에 감는다. 동시에 실 누름 솔레노이드가 오프한다.
다음의 광전 C(67c)로 No.1의 실 선별 솔레노이드, 사침잡음 하부 솔레노이드, 커트사침 상부 솔레노이드 및 커트사침 하부 솔레노이드가 오프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사로드(6)이 1바퀴 돌때마다 차례로 표시가 증가하고, 29바퀴째의 광전 A를 통과하면 회수감기표시가 9가 되고, 30바퀴째 광전 A를 통과하면 회수감기표시가 0가 된다.
동시에, 사침잡음 상부 솔레노이드, 카트사침 상부 솔레노이드, 커트사침 하부 솔레노이드가 온하고, 다음의 광전 C(67c)를 통과하면 각 솔레노이드는 오프하고, 사침, 커트사침이 만들어진다. 이와 동시에, 총 본수 카운트업 신호가 나서, 총 본수 카운터에 3이 표시된다.
도사로드(6)이 31바퀴째의 광전 A(67a)를 통과하면 회수감기표시가 1가 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사로드(6)이 1바퀴 돌때마다 차례로 표시가 증가하고, 40바퀴째의 광전 A(67a)를 통과하면 회수감기표시가 0가 된다. 동시에 No.1 실 선별 솔레노이드, 실 탈거 솔레노이드, 사침잡음 하부 솔레노이드, 커트사침 상하부 솔레노이드가 온하고, 백색실은 도사로드(6)으로부터 벗겨지고, 드로퍼(26)의 무게로 No.1 실 선별가이드에 수납된다.
이 때, 도사로드(6)이 광전 B(67b)를 통과하면 실누름 솔레노이드가 온하고, 정경동체(A)의 실을 누른다. 도사로드(6)이 다음의 광전 C(67c)를 통과하면 솔레노이드는 오프한다. 동시에 총 본수 카운트업 신호가 나서 총 본수 카운터에 4가 표시된다.
도사로드(6)이 41바퀴째의 광전 A를 통과하면 No.0 실 선별 솔레노이드가 오프하고, No.0의 실 선별 솔레노이드가 온한다(이 때, 회수감기카운트는 카운트하지 않는다). 도사로드(6)은 적색실을 잡고 정경도체(A)에 감는다. 동시에 실 누름 솔레노이드가 오프한다. 다음의 광전 C(67c)로 No.0의 실 선별 솔레노이드, 사침잡음 하부 솔레노이드, 커트사침 상부 솔레노이드, 커트사침 하부 솔레노이드가 오프한다.
마찬가지로, 실끊김, 2가닥정지, 미스체인지, 우한(右限)스위치 등의 정지신호가 들어가지 않는 한, 총 본수 완료정지신호가 들어갈 때까지 도사로드(6)은 회전하고, 각 솔레노이드는 온/오프하고, 컨베이어 벨트는 실을 계속 보내고 정경작업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의 기본동작을 타임차트로 표시하면 제35도와 같다. 이 타임차트로 표시하는 예는 기본동작의 이해를 간단화하기 위하여, 사종 0의 2회 감기를 2가닥, 사종 1의 2회 감기를 2가닥 감고, 이후 이것을 되풀이 할 경우에 간단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2회 감기란, 0∼19호 감기까지 설정가능한 상기 회수감기 설정 스위치에 의하여 설정된 값이다. 회수감기의 설정장치가 증가하여도, 기본적인 타임차트의 원리는 같다.
상기 3개의 광전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는, 여기서 광전A, 광전B, 광전C로 이름 붙여지고, 동작개시 시는 광전 스위치 A와 광전 스위치 B의 사이에서 스타트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이하 광전B - 광전C - 광전A - 광전B - 광전C - 광전A를 차례로 발생시키고, 아래의 기재한 타이밍을 취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카운트 신호는 광전A가 슬리트(28a)의 통과를 검지할 때마다 발신되고, 프로그램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체인지 신호가 온 후의 1회 만을 도사로드(6)이 공회전하기 때문에 발신하지 않는다.
카운트 업 신호는 회수 감기 설정치에 달할 때마다, 광전 A∼광전 C의 사이 온이 되고, 상기 총 본수 카운터를 업시키고, 상기 프로그램 설정기에 카운트 업신호를 보낸다.
체인지(실교환)신호는 광전A에 동기하고 있고, 상기 프로그램 설정기로부터 보내 오는데, 사종을 바꿀 때에 사용되는 신호이다.
셀렉트 신호는 사종 0∼n 솔레노이드용 릴레이의 어느 하나가 온인 때, 그 신호를 사종 0∼n 솔레노이드에 전달하기 위한 신호이다. 스타트시는, 스타트시로부터 광전 C의 사이 온이 되어 있고, 그 이후는 체인지신호가 온인 것을 확인하고, 광전 A로부터 다음의 광전 A의 사이 온이되고, 적은 시간(10∼15ms) 호프로 되고, 즉시 온으로 되어 다음의 광전 C까지 온으로 된다.
사종 0, 사종 1솔레노이드용 릴레이는, 프로그램 설정기로부터 보내져오는 사종 설정신호에 근거하여 컨트롤러로 타이밍 조정되고, 실을 체인지하기 위한 셀렉트 신호가 발생하기 전까지 온이 된다. 실 탈거 솔레노이드 신호는, 체인지 신호가 온 것을 확인한 후, 광전 A∼광전 C의 사이 온이 되고, 실 누름 솔레노이드 신호는 실 탈거 솔레노이드 신호가 온이 된 후의 광전 B∼광전 A의 사이 온이 된다.
사침잡음 상부 솔레노이드 신호와 사침잡음 하부솔레노이드 신호는, 사침잡음 상부, 사침잡음 하부 스위치에 의하여, 어느쪽으로부터라도 스타트 할 수 있으나, 번갈아 온으로 되는 것을 조건으로, 스타트부터 광전 C의 사이, 체인지는 아닌 카운트 업 신호 온시 및 체인지 신호가 온 것을 확인하고, 광전 A로부터 광전 C를 한 번 통과한 후의 광전 C의 사이 온이 된다.
여기의 제35도의 타임차트에는 없으나, 사침잡음 상부, 사침잡음 하부 솔레노이드 신호의 어느 것이 온시, 커트사침 상부 솔레노이드, 커트사침 하부 솔레노이드 신호가 모두 온이 된다.
또, 사침잡음 상부, 사침잡음 하부 솔레노이드 신호의 타이밍을 바꿈으로써, 직접 직기빔(49)에 되감는 것이 가능한 다른 종류의 사침잡음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경기 본체는, 스타트 스위치에 의하여 동작을 개시하고, 정지 스위치에 의하여 동작을 정지하는데, 실 2가닥 이상 동시에 감긴 상태를 체크하는 2가닥 감기 정지용 스위치외에, 치인지 시에 시를 감지 않는 상태를 알리는 미스 체인지 신호, 총 가닥수가 감긴 것을 알리는 총 가닥수 카운터로부터도 보내지는 총 다각수 완료신호, 실끊김을 알리는 실끊김 검출신호 등에 의하여 정지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정렬감기 가능한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에 특유한 동작을 제36도의 타임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36도의 타임차트는 19회 감기(감기회수 19회), 사침잡음 상부사양(최초에 정경동체(A)에 감기는 실의 사침잡음이 사침잡음 상부로부터 시작됨)에서 행하여지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동작개시시는 슬리트(28a)와 위치적으로 맞는 도사부(6')에 최초로 정경동체(A)에 감겨질 실을 걸고, 이 도사부(6')가 광전 A와 광전 B의 사이로부터 스타트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기동 스위치가 온되고, 도사로드(6)이 회전을 개시한다. 이와 동시에 모든 가이드수단(G)의 전자클러치가 온이 되고, 서보모터(164)가 동작하면 모든 가이드수단(G)가 피치보내기될 상태가 된다.
회수감기 카운터신호는 광전A가 슬리트(28a)의 통과를 검지할 때마다 발신되고, 총 가닥수 카운트업 신호는 감기회수 설정치(제36도의 예에서는 19)에 달할 때마다, 광전A∼광전C의 사이 온이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총 가닥수 카운터를 업시킨다(제36도의 타임차트에서는 총 가닥수 카운터 표시는 생략하였다).
도사로드(6)이 2바퀴째의 광전 B로부터 2바퀴째의 광전 C의 사이에서, 서보모터 (164)가 온이 되고, 가이드수단(G)의 피치보내기가 행하여진다. 3바퀴째의 이후 19바퀴째까지 마찬가지로 광전 B와 광전 C와의 사이에서, 가이드수단(G)의 보내기가 행하여진다. 도사로드(6)이 19바퀴째의 광전 A에 도달하면, 회수감기표시는 0이 되고, 총 가닥수 카운터는 카운트 업 한다.
이 카운트 업 신호와 함께, 컨베이어 벨트(17)이 정경 종밀도 1가닥분 정경 진행 방향으로 이동한다.
실교환이 없는 경우에는, 카운트업 신호 후의 도사로드96)의 회전의 1바퀴째의 광전 B와 2바퀴째의 광전 A의 사이에서, 상부 전자 클러치군이 오프로 되고, 상부 전자 클러치 군에 속하는 가이드수단(G)는 스프링(148)이 누르는 힘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 카운트 업 신호 후의 도사로드(6)의 회전의 1바퀴째의 광전 C와 2바퀴째의 광전 B의 사이에서, 하부 전자 클러치군이 오프로 되고, 하부 전자 클러치군에 속하는 가이드수단(G)는 스프링(148)이 누르는 힘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부 전자 클러치군의 온/오프의 타이밍을 상부 전자 클러치군의 타이밍보다도 더디게 하는 이유는, 실이 정경동체(A)의 하부를 통과하고 나서 온/오프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실교환을 할 경우에는, 상부 전자 클러치군의 온/오프는 실교환이 없는 경우와 같으나, 하부 전자 클러치군에 대해서는, 카운트업 신호 후의 도사로드(6)의 회전의 2바퀴째의 광전 C와 2바퀴째의 광전 B의 사이에서, 하부 전자 클러치군이 오프로 되고, 하부 전자 클러치군에 속하는 가이드수단(G)는 스프링(148)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하부 전자 클러치군의 온/오프의 타이밍은 실교환시 특유의 것이다.
도사로드(6)이 카운트 업 후의 2바퀴째의 광전 B로부터 2바퀴째의 광전 C의 사이에서, 상기 마찬가지로 서보모터(164)가 온이 되고, 가이드수단(G)의 피치보내기가 행하여진다. 3바퀴째의 이후, 19바퀴째까지 마찬가지로 광전 B와 광전 C의 사이에서, 가이드수단(G)의 보내기가 행하여진다. 도사로드(6)이 19바퀴째의 광전 A에 도달하면, 회수감기표시는 0이 되고, 총 가닥수 카운터는 카운트 업 한다. 이 카운트 업 신호와 함께, 컨베이어 벨트(17)이 정경 종정밀도 1가닥분 정경 진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을 되풀이 함으로써, 정렬감기를 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도사로드(6)쪽의 이 드럼스포크(16)의 끝단부에 상기 도사부(6')로부터의 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G)를 이 드럼스포크(16)의 긴쪽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도사로드(6)의 1회전마다 이 가이드수단(G)을 이 실 굵기의 2배∼절반의 거리(P)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도사로드(6)의 회전수가 회수감기의 설정치에 도달하면 이 가이드수단(G)는 거리(P)×회수감기 설정치=거리(Q)분 만큼 신속복귀하고, 즉, 스타트 위치에 신속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이 컨베이어 벨트(17)는 정경 종밀도, 즉 정경폭/총가닥수(정경 가닥수)의 거리(R)분 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정렬감기를 하도록 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제37도).
상기 가이드수단(G)의 피치 보내기 거리(P)는 바람직한 범위로서, 실 굵기의 2배∼절반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렬 감기가 가능한 한, 상기 범위를 일탈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렬감기 정경을 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실시예 이외의 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사로드(6)을 정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이 도사로드(6)의 1회전마다 이 실 굵기의 2배∼절반의 거리(P)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도사로드(6)의 회전수가 회수감기의 설정치에 도달하면 이 도사로드(6)은 거리(P)×회수감기 설정치=거리(Q)분 만큼 신속복귀하고, 즉, 스타트 위치로 신속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이 컨베이어 벨트(17)는 정경 종밀도, 즉 정경폭/총가닥수(정경 가닥수)의 거리(R)분 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정렬감기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 컨베이어 벨트(17)이 이 도사로드(6)의 1회전마다 이 실 굵기의 2배∼절반의 거리(P)만큼 정경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도사로드(6)의 회전수가 회수감기의 설정치에 도달하면 이 컨베이어 벨트(17)는 거리(P)×회수감기 설정치=거리(Q)와 정경 종밀도, 즉 정경폭/총가닥수(정경 가닥수)의 거리(R)을 더한 거리(T)분 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정렬감기를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정렬감기 정경방향은, 정경동체에 최초의 사열을 다 감은 후, 다음의 사열을 감기 시작하는 실이 최초의 열의 실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감도록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사종을 0∼n으로 하였으나, n은 9까지가 통상인데, 그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수감기는 1∼19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솔레노이드의 드라이버부인 릴레이부는, 트랜지스터, 사일리스터 등의 반도체라도 좋다. 광전A, 광전B, 광전C의 각종 스위치는, 자기 감응 소자, 메카식리미트 스위치 등이라도 좋고, 컨트롤러는, 현 단계에서는, 마이컴, 메모리, TTL, CMOS, 포토커플러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범용의 시퀸스 컨트롤러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는, 정경동체에 최초의 사열을 다 감은 후, 다음의 사열을 감기 시작하는 실이 최초의 열의 실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감음으로써, 정경동체 상의 실의 하층으로부터 순서적으로 잘 정렬감기 정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경길이(감기회수가 많은 경우, 예컨대 4회 감기 이상)가 긴 경우라도 직기빔으로의 감아 빼기가 용이해 진다고 하는 현저하고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6)

  1. 중공축(1)의 양 끝단 중심에 가동축(2)과 피동축(3)을 돌출시키고, 가동축(2)에는 풀리(4)에 고정된 작은 기어(5)를, 다른 끝단의 피동축(3)에는 도사로드(6)을 고정한 작은 기어(7)를 각각 헐겁게 장착하고, 상기의 작은 기어(5),(7)를 중공축(1)내의 연동축(8) 양 끝단의 작은 기어(9),(10)의 맞물림에 의하여 연동시키고, 이 중공축은 가동축(2)쪽에서 한 편 지지로 하고, 피동축(3)쪽의 중공축에는 원호부(11)와 직선부(12)를 교호시킨 동형의 외주를 가지는 동체틀(13),(14)의 원호부(11)에 양 끝단의 롤러(15)에 걸려지고, 드럼스포크(16)면 위를 미끄러져서 이동되는 콘베이어 벨트(17)를 부설한 드럼스포크(16)를 건너 질러서 형성시킨 정경동체(A)를 헐겁게 장착하고, 상기의 컨베이어 벨트(17)는 동체 밖으로부터 구동되는 주기어(18)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일제히 회전하는 유성기어(19)의 동체 내 나선축(20)과 나사맞춤시킨 구동자(21)에 의하여 일제히 각각 같은 양의 미소 이동을 하게 하고, 도사로드(6)의 선단을 안으로 굽혀서 도사부(6')로서 정경동체(A)의 앞 끝단 원주상에 임하게 하여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지며, 정경동체(A)에 감겨지는 실을 사침잡음 바 및 커트사침 바의 상하에 선별함으로써 사침 및 커트사침을 만드는 사침잡음 수단과, 정경동체(A)에 감겨지는 실의 총 가닥수를 카운트하는 총 가닥수 카운터의 업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총 가닥수 카운터 카운트수단과, 정경동체(A)에 감기는 실의 총가닥수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정경기 본체를 정지시키는 총 가닥수 완료정지수단과, 컨베이어 벨트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좌측이동 수단과, 컨베이어 벨트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우측이동 수단과, 주 전동기(46)의 회전을 도사로드(6)에 전달시키는 운전·정지수단과, 실 선별 가이드(27) 및 실 탈거장치(32)를 제어하는 실 셀렉트 수단과, 실 이완방지(실누르)장치(60)의 솔레노이드를 온/오프시키는 실 누름 솔레노이드 수단과, 실이 정경동체(A)에 감긴 회수를 카운트 표시시키는 회수감기 카운트수단을 구비하고, 사종 0∼n의 선택, 실 가닥수의 설정, 되풀이수의 설정, 감기회수 m의 설정 및 컨베이어 벨트의 송량을 설정함으로써 소망하는 무늬정경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에 있어서, 이 도사로드(6)쪽의 이 드럼스포크(16)의 끝단부에 상기 도사부(6')로부터의 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G)을 이 드럼스포크(16)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도사로드(6)의 1회전마다 이 가이드수단(G)를 이 실 굵기의 2배∼절반의 거리(P)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도사로드(6)의 회전수가 회수감기의 설정치에 도달하면 이 가이드 수란(G)는 거리(P)×회수감기 설정치=거리(Q)분 만큼 신속복귀하고, 즉, 스타트 위치로 신속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이 컨베이어 벨트(17)는 정경 종밀도, 즉, 정밀경폭/총가닥수(정경 가닥수)의 거리(R)분 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정렬감기를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2. 중공축(1)의 양 끝단 중심에 가동축(2)와 피동축(3)을 돌출시키고, 가동축(2)에는 풀리(4)에 고정된 작은 기어(5)를, 다른 끝단의 피동축(3)에는 도사로드(6)을 고정한 작은 기어(7)을 각각 헐겁게 장착하고, 상기의 작은 기어(5),(7)을 중공축(1)내의 연동축(8) 양 끝단의 작은 기어(9),(10)의 맞물림에 의하여 연동시키고, 이 중공축은 가동축(2)쪽에서 한편 지지로 하고, 피동축(3)쪽의 중공축에는 원호부(11)와 직선부(12)를 교호시킨 동형의 외주를 가지는 동체틀(13),(14)의 원호부(11)에 양 끝단의 롤러(15)에 걸려지고, 드럼스포크(16) 면위를 미끄러져서 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17)을 부설한 드럼스포크(16)를 건너 질러서 형성시킨 정경동체(A)를 헐겁게 장착하고, 상기의 컨베이어 벨트(17)은 동체 밖으로부터 구동되는 주기어(18)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일제히 회전하는 유성기어(19)의 동체 내 나선축(20)과 나사맞춤시킨 구동자(21)에 의하여 일제히 각각 같은 양의 미소 이동을 하게 하고, 도사로드(6)의 선단을 안으로 굽혀서 도사부(6')로서 정경동체(A)의 앞 끝단 원주상에 임하게 하여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지며, 정경동체(A)에 감겨지는 실을 사침잡음 바 및 커트사침 바의 상하에 선별함으로써 사침 및 커트사침을 만드는 사침잡음 수단과, 정경동체(A)에 감겨지는 실의 총 가닥수를 카운트하는 총 가닥수 카운터의 업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총 가닥수 카운터 카운트수단과, 정경동체(A)에 감기는 실의 총가닥수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정경기 본체를 정지시키는 총 가닥수 완료정지수단과, 컨베이어 벨트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좌측이동 수단과, 컨베이어 벨트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우측이동 수단과, 주 전동기(46)의 회전을 도사로드(6)에 전달시키는 운전·정지수단과, 실 선별 가이드(27) 및 실 탈거장치(32)를 제어하는 실 셀렉트 수단과, 실 이완방지(실누르)장치(60)의 솔레노이드를 온/오프시키는 실 누름 솔레노이드 수단과, 실이 정경동체(A)에 감긴 회수를 카운트 표시시키는 회수감기 카운트수단을 구비하고, 사종 0∼n의 선택, 실 가닥수의 설정, 되풀이수의 설정, 감기회수 m의 설정 및 컨베이어 벨트의 송량을 설정함으로써 소망하는 무늬정경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에 있어서, 이 도사로드(6)을 정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이 도사로드(6)의 1회전마다 이 실 굵기의 2배∼절반의 거리(P)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도사로드(6)의 회전수가 회수감기의 설정치에 도달하면 이 도사로드(6)은 거리(P)×회수감기 설정치=거리(Q)분 만큼 신속복귀하고, 즉, 스타트 위치로 신속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이 컨베이어 벨트(17)는 정경 종밀도, 즉 정경폭/총가닥수(정경 가닥수)의 거리(R)분 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정렬감기를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3. 중공축(1)의 양 끝단 중심에 가동축(2)와 피동축(3)을 돌출시키고, 가동축(2)에는 풀리(4)에 고정된 작은 기어(5)를, 다른 끝단의 피동축(3)에는 도사로드(6)을 고정한 작은 기어(7)을 각각 헐겁게 장착하고, 상기의 작은 기어(5),(7)을 중공축(1)내의 연동축(8) 양 끝단의 작은 기어(9),(10)의 맞물림에 의하여 연동시키고, 이 중공축은 가동축(2)쪽에서 한편 지지로 하고, 피동축(3)쪽의 중공축에는 원호부(11)와 직선부(12)를 교호시킨 동형의 외주를 가지는 동체틀(13),(14)의 원호부(11)에 양 끝단의 롤러(15)에 걸려지고, 드럼스포크(16)면위를 미끄러져서 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17)을 부설한 드럼스포크(16)을 건너 질러서 형성시킨 정경동체(A)를 헐겁게 장착하고, 상기의 컨베이어 벨트(17)은 동체 밖으로부터 적당히 구동되는 주기어(18)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일제히 회전하는 유성기어(19)의 동체 내 나선축(20)과 나사맞춤시킨 구동자(21)에 의하여 일제히 각각 같은 양의 미소 이동을 하게 하고, 도사로드(6)의 선단을 안으로 굽혀서 도사부(6')로서 정경동체(A)의 앞 끝단 원주상에 임하게 하여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지며, 정경동체(A)에 감겨지는 실을 사침잡음 바 및 커트사침 바의 상하에 선별함으로써 사침 및 커트사침을 만드는 사침잡음 수단과, 정경동체(A)에 감겨지는 실의 총 가닥수를 카운트하는 총 가닥수 카운터의 업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총 가닥수 카운터 카운트수단과, 정경동체(A)에 감기는 실의 총가닥수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정경기 본체를 정지시키는 총 가닥수 완료정지수단과, 컨베이어 벨트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좌측이동 수단과, 컨베이어 벨트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우측이동 수단과, 주 전동기(46)의 회전을 도사로드(6)에 전달시키는 운전·정지수단과, 실 선별 가이드(27) 및 실 탈거장치(32)를 제어하는 실 셀렉트 수단과, 실 이완방지(실누름)장치(60)의 솔레노이드를 온/오프시키는 실 누름 솔레노이드 수단과, 실이 정경동체(A)에 감긴 회수를 카운트 표시시키는 회수감기 카운트수단을 구비하고, 사종 0∼n의 선택, 실 가닥수의 설정, 되풀이수의 설정, 감기회수 m의 설정 및 컨베이어 벨트의 송량을 설정함으로써 소망하는 무늬정경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에 있어서, 이 컨베이어 벨트(17)이 이 도사로드(6)의 1회전마다 이 실 굵기의 2배∼절반의 거리(P)만큼 정경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도사로드(6)의 회전수가 회수감기의 설정치에 도달하면 이 컨베이어 벨트(17)는 거리(P)×회수감기 설정치=거리(Q)와 정경 종밀도, 즉 정경폭/총가닥수(정경 가닥수)의 거리(R)을 더한 거리(T)분 만큼 정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정렬감기를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4. 제1항에 있어서, 정경동체에 최초의 사열를 다 감은 후, 다음의 사열을 감기 시작하는 실이 최초의 열의 실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다록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5. 제2항에 있어서, 정경동체에 최초의 사열를 다 감은후, 다음의 사열을 감기 시작하는 실이 최초의 열의 실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다록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6. 제3항에 있어서, 정경동체에 최초의 사열을 다 감은후, 다음의 사열을 감기 시작하는 실이 최초의 열의 실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다록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KR1019940019979A 1993-11-09 1994-08-13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KR0131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79886 1993-11-09
JP5279886A JP2854789B2 (ja) 1993-11-09 1993-11-09 整列巻き可能な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404A KR950014404A (ko) 1995-06-16
KR0131371B1 true KR0131371B1 (ko) 1998-04-16

Family

ID=1761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979A KR0131371B1 (ko) 1993-11-09 1994-08-13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30262A (ko)
EP (1) EP0652310B1 (ko)
JP (1) JP2854789B2 (ko)
KR (1) KR0131371B1 (ko)
DE (1) DE69403754T2 (ko)
ES (1) ES2102116T3 (ko)
TW (1) TW3033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101B1 (ko) * 2000-06-23 2005-01-26 유겐가이샤 스즈키 와퍼 샘플 정경기 및 정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6279C1 (de) * 1994-12-23 1996-06-27 Mayer Textilmaschf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urzketten
IT1286869B1 (it) * 1996-10-31 1998-07-17 Orditura Age S N C Di Vieri A Sistema per il rientro rapido del filo nei canali degli orditoi con sistema di orditura filo-filo
DE19717443C1 (de) * 1997-04-25 1999-01-14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urzkette und Einzelfaden-Kurzketten-Schär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3416463B2 (ja) * 1997-06-03 2003-06-16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糸交換機構付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
IT1298653B1 (it) * 1997-10-29 2000-01-12 Age S N C Di Vieri A & C Dispositivo per il recupero delle anse di filo negli orditoi
TW479079B (en) * 1998-02-03 2002-03-11 Suzuki Warper Ltd Electronically controlled sample warper, warping method and rotary creel
JP3073959B2 (ja) * 1998-04-10 2000-08-07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糸交換機構付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 及び高速整経方法
DE19910833C1 (de) * 1999-03-11 2000-05-31 Mayer Textilmaschf Kurzketten-Schärmaschine
JP3420526B2 (ja) * 1999-04-07 2003-06-23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
JP3503818B2 (ja) * 2000-03-17 2004-03-08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回転式クリールアセンブリ及び整経方法
JP3410433B2 (ja) * 2000-06-01 2003-05-26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サンプル整経機、整経方法及び整経された糸群
JP3409025B2 (ja) * 2000-08-22 2003-05-19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ヤーンガイドの糸検出装置付サンプル整経機
JP3410440B2 (ja) * 2000-09-11 2003-05-26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短尺送りベルト付サンプル整経機
JP3413402B2 (ja) * 2000-10-27 2003-06-03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直巻きサンプル整経機
DE60222077T2 (de) * 2001-11-06 2008-05-21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Schärmaschine und Schärverfahren
DE10157254B4 (de) * 2001-11-22 2005-12-15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urzketten-Schärmaschine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Kurzkette
DE10158760C1 (de) * 2001-11-29 2003-07-10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Musterkette und Musterkettenschärmaschine
JP3649286B2 (ja) * 2002-03-08 2005-05-18 村田機械株式会社 多品種小ロット織物の織成システム
JP3704332B2 (ja) * 2002-10-16 2005-10-12 株式会社ナーゲット 織物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954552B2 (ja) * 2003-09-18 2007-08-08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ヤーンガイドの空転防止機構付サンプル整経機
JP3954554B2 (ja) * 2003-10-02 2007-08-08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直列ヤーンガイド機構付サンプル整経機及び整経方法
JP4086793B2 (ja) * 2004-02-06 2008-05-14 有限会社スズキワーパー 直巻きサンプル整経機
DE502006005365D1 (de) * 2006-12-09 2009-12-24 Mayer Textilmaschf Musterkettenschärmaschine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Musterkette
ES2943152T3 (es) * 2020-10-20 2023-06-09 Karl Mayer Stoll R&D Gmbh Procedimiento para urdir una urdimbre y urdidora seccion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116816A (en) * 1971-12-07 1973-06-12 Glass fibre yarn package - special build on conical tube
DE2938902A1 (de) * 1979-09-26 1981-04-16 Hergeth KG Maschinenfabrik und Apparatebau, 4408 Dülmen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urzketten, insbesondere fuer gewebemuster in der buntweberei
JPS5950767A (ja) * 1982-09-16 1984-03-23 Hitachi Ltd 超電導界磁巻線
IT1198822B (it) * 1984-04-27 1988-12-21 Benninger Spa Apparecchio per la impostazione del passo di avanzamento del carrello portasezioni in orditoi sezionali a cono fisso
JPS6335846A (ja) * 1986-07-29 1988-02-16 有限会社スズキワ−パ− 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
JPH02169737A (ja) * 1988-12-22 1990-06-29 Suzuki Waapaa:Kk 複本数同時整経可能な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
EP0434610B1 (de) * 1989-12-18 1996-03-13 Benning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des Fadenverbands einer Schärmaschine
JP2939762B2 (ja) * 1990-06-13 1999-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収納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101B1 (ko) * 2000-06-23 2005-01-26 유겐가이샤 스즈키 와퍼 샘플 정경기 및 정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03754T2 (de) 1997-12-11
JPH07133538A (ja) 1995-05-23
EP0652310A1 (en) 1995-05-10
US5630262A (en) 1997-05-20
KR950014404A (ko) 1995-06-16
TW303397B (ko) 1997-04-21
JP2854789B2 (ja) 1999-02-03
DE69403754D1 (de) 1997-07-17
ES2102116T3 (es) 1997-07-16
EP0652310B1 (en) 199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371B1 (ko) 전자제어 샘플 정경기
KR940010462B1 (ko) 여러개 동시정경 가능한 전자 제어 샘플 정경기(整經機)
KR19990071437A (ko) 전자제어샘플정경기
KR100331976B1 (ko) 실교환기구가부착된전자제어샘플정경기
US3128956A (en) Winding machines for electrical coils
EP1197590B1 (en) Sample warper with detector for yarn on yarn guide
SU1109056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р дки прокладчиков уточной нитью на ткацком станке с волнообразно подвижным зевом
CN102995244A (zh) 用于卷绕和退绕织机中的织造织物的方法及设备
JPS6335846A (ja) 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
EP1197589B1 (en) Sample warper and warping method
GB1567418A (en) Mean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the reed carriage of a sectional warping machine during warping of a package
JPS648736B2 (ko)
DE9422071U1 (de) Musterschärmaschine
JPS6335845A (ja) 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
JPH01267270A (ja) ターレット型自動切替え糸条巻取機
US3432897A (en) Machine for inserting leases in warps
JPH02448Y2 (ko)
JPH017735Y2 (ko)
JP3675848B2 (ja) タレット型巻取機の糸切替装置
SE204662C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