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091Y1 -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091Y1
KR0131091Y1 KR2019950033247U KR19950033247U KR0131091Y1 KR 0131091 Y1 KR0131091 Y1 KR 0131091Y1 KR 2019950033247 U KR2019950033247 U KR 2019950033247U KR 19950033247 U KR19950033247 U KR 19950033247U KR 0131091 Y1 KR0131091 Y1 KR 0131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um
developing
reaction force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119U (ko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33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091Y1/ko
Publication of KR970025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1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 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에 있어 감광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와 드럼기어의 회전에 따른 접선력에 의해 구동부측의 선측 방향으로 이동되므로서 초래되는 여러 가지의 이상 현상을 미연에 방지되게 하므로서 화상 농도 균일성을 도모하게 하고 제품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안출된 현상부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감광드럼(1)의 구동부에 있는 드럼기어(2) 반대측에 반력 드럼기어(20)를 설치하는 동시에 반력드럼기어(20)와 맞물려 회전되는 반력아이들기어(21)를 현상 및 공급로울러기어(13)(14)의 중심각도(θ)범위내에 설치하여 회전되도록 하므로서 구동부측의 반력에 따른 이동을 반력드럼기어(20)와 아이들기어(20)(21)가 막도록하여 이상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제1도는 전자 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 시스템을 보인 일측면 개략도.
제2도의 (A)(B)도는 종래 기술의 현상부 구동을 보인 평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종래 기술의 구동부 반력 관계를 나타낸 평면 및 일측면 개략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현상부 구동을 보인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 반력 관계를 보인 일측면 개략도.
본 고안은 복사기나 팩스밀리와 같은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에 있어 현상부의 구동 장치부에서 이상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안된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에 있어서 상 현상을 실현시키는 현상부는 상의 잠상을 형성시키는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에 균일한 전하를 대전시키는 대전부, 그리고 각 인자에 따라 빛을 드럼부에 노광시키는 광원부 및 드럼위에 노광된 부위에 미세한 분말이나 액을 맺히게 하는 현상부로 이루어지게 되며, 구동에 있어서는 본체에서 드럼을 구동시켜 드럼의 기어가 대전부 및 현상부의 현상로울러와 미세분말을 공급하는 토너 공급부를 구동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드럼과 현상부를 각각 구동하게 하는 방식이 있다.
제1도는 상기한 전자 현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 장치를 보인것으로서, 1성분 비자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감광드럼(1)은 대전 로울러(2) 및 현상로울러(3)와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어느정도의 물림량(0.05∼0.2mm 정도)을 유지하고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현상로울러(3)와 접촉 및 압착하면서 미세토너를 초기 저장 상태에서 공급로울러(4)로 공급시켜 주는 토너 교반기(5)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된 각부의 로울러 사이에 요구되는 화상의 농도를 유지하고 공급량을 유지하면서 마찰 대전량을 유지하기 위해 각기의 로울러 선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대개, 로울러 선속도는 감각 드럼 선속도 공급로울러 현상로울러의 순으로 되어 있으며, 회전 방향을 감광드럼(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면에 현상 및 공급로울러(3)(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감광드럼(1)과 현상로울러(3)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되고 상기 현상로울러(3)가 재질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인하여 상호 압착과 속도차에 의한 마찰 저항이 상당히 크고, 현상로울러(3)와 공급로울러(4) 역시 회전 방향이 동일한 관계로 상호적인 마찰 토르크(torque)역시 매우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구동에 있어서는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0)에 의해 드럼기어(11)로 동력전달되어 감광드럼(1)이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아울러 아이들기어(15)에 의해 현상 및 공급로울러기어(13)(14)로 동력 전달 되므로서 현상 및 공급로울러(3)(4)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스템 가동에 따라 각부의 로울러가 회전하게 되는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1)과 현상로울러(3) 간의 큰 마찰 저항과 높은 마찰 토르크 작용에 따른 높은 부하에 의해서 국부적으로 받는 토르크가 다르기 때문에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므로서 감광드럼(1)의 드럼기어(11) 측이 선측으로 (A방향)이동되는 이상 현상이 발생된다. 제4도는 이러한 구동부 반력 관계를 나타내며, 여기서 반경 방향으로 구동기어부 및 현상부 반력(Fa)(Fb)이 발생되므로서 이를 합한 크기의 접선력(F)에 의해 선측방향(A방향)으로 이동이 발생되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각기의 로울러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6)이나 로울러축 자체의 비틀림에 의해서 각기의 기어들간의 물림이 비틀려지게 되는 문제가 초래되는 한편 그로 인해 토르크의 국부적인 증대 현상에 의해 구동 정지나 또는 모터 탈조 현상이 야기되고 감광드럼(1)과 현상로울러(3) 사이에 틈새 발생과 더불어 압축 물림이 좌우 변형됨에 따라 화상 농도 변화나 질트(jitter)현상 및 각각의 로울러간의 스프링(spring back)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로 야기 되었다.
특히, 구동부 반대쪽은 제3도에서 화살표 도시와 같이 감광드럼(1)과 현상로울러(3)간의 압착량이 크고, 구동부쪽은 적게 되므로서 상호 마찰력의 차이에 의해 스프링 백이 더욱 두드러지게 발생되어 구동 정지를 초래하게 하는 문제점을 야기 시켰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 하려는 것으로서, 감광드럼의 구동력에 따른 접선력에 의해 구동부측의 이동이 발생되면 반대측에서 반경방향으로의 반력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구동부측의 이동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구동부측의 비틀림 현상에 의한 이상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드럼기어 반대쪽의 감광드럼축부에 반력 드럼기어를 구비하게 하고, 상기 반력 드럼기어는 현상로울러기어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반력 아이들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하므로서 접선력에 대항하는 반력이 반경 방향으로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드럼기어쪽의 이동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5도 및 제6도와 같이 감광드럼(1)이 구비하고 있는 드럼기어(11)의 반대측부에 반력드럼기어(20)을 동일축상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반력드럼기어(20)에는 반력아이들 기어(21)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 된다.
상기 반력 아이들기어(21)는 현상로울러기어(13)의 반대측 축상에 설치되어 상호 다른 속도록 회전되도록 하는 한편, 제7도의 도시와 같이 현상로울러기어(13)의 구동기어(10)의 중심각도(θ)범위내에서 반력드럼기어(20)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7은 트랜스퍼로울러, 15,15'는 아이들 및 동력전달 기어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구동기어(10)가 구동되어 드럼기어(11)가 회전되므로서 제7도 같이 접선력(F)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하여 감광드럼(1)의 구동부측이 선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구동부 반대쪽의 반력드럼기어(20)와 현상로울러(3)축상에 설치되는 반력 아이들기어(2)가 상호 맞물려 회전되므로서 반경 방향으로 반력(F')(F'')이 발생되기 때문에 구동부측의 드럼기어(11)가 선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게 된다.
그러므로 감광드럼(1)의 구동부측의 비틀림이 방지되므로서 그에 따른 기존의 감광드럼(1)과 현상로울러(3) 사이의 스프링 백이나 틈새 발생 및 접착력 변화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화상의 농도 불균일이나 기어의 얼라이먼트가 맞지 않으므로서 발생되는 기어 이빨의 마모 및 국부적인 토르크 증가와 같은 이상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반력 아이들기어(21)는 현상로울러(3)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상호 다른 회전수를 가지고 반력드럼기어(20)와 맞물려 회전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회전수가 현상로울러(3)보다 더 큼으로 접속력에 의해 발생되는 감광드럼(1)의 뒤틀림이나 부하를 반력에 의해 감소 시킴과 동시에 전위량에 의한 닙(NIP) 조정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감광드럼(1)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부 반대측에 반력드럼기어(20)와 아이들기어(21)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제 8 도의 예시와 같이 반력드럼기어(20) 및 아이들기어(21) 대신에 베어링을 가진 칼라(20)(21')가 설치되도록하여 동일한 작용과 효과를 도모하게 실시 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현상부의 감광드럼 구동부측의 이동 현상에 따른 여러 가지의 이상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화상의 농도를 균일하게 얻을 수 있게 되고 제품 신뢰성 향상을 크게 도모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감광드럼(1)의 일측의 구동부에 구비하는 드럼기어(11)가 구동기어(10)에 의해 동력전달되어 회전되고 현상 및 공급로울러기어(13)(14)를 가지는 현상로울러(3)와 공급로울러(4)가 감광드럼(1) 반대 방향으로 회전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드럼기어(11) 반대측의 감광드럼(1) 측부에 반력드럼기어(20)를 설치하고 상기 드럼기어(20)와 맞물려 회전되는 반력 아이들 기어(21)를 현상 및 공급로울러기어(13)(14)의 중심각도(B) 범위내에 설치시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아이들기어(21)를 현상로울러기어(13)의 반대측 축상에 공회전되게 설치하여 상호 다른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전자 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드럼기어(20) 및 반력 아이들기어(21) 대신에 베어링을 가지는 칼라(20')(21')가 설치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전자 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KR2019950033247U 1995-11-13 1995-11-13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KR0131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247U KR0131091Y1 (ko) 1995-11-13 1995-11-13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247U KR0131091Y1 (ko) 1995-11-13 1995-11-13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119U KR970025119U (ko) 1997-06-20
KR0131091Y1 true KR0131091Y1 (ko) 1999-03-20

Family

ID=1942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247U KR0131091Y1 (ko) 1995-11-13 1995-11-13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0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119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119B1 (ko)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KR0131091Y1 (ko)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JPH1184794A (ja) 画像記録装置
JP2005092223A (ja) 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の現像ユニット
US595004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200124B2 (en) Belt unit and image forming device
JP2731406B2 (ja) 画像形成装置
JP2803822B2 (ja) 現像装置
JP2837862B2 (ja) 像担持体駆動装置
JP278003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23128A (ja) 駆動伝達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0545949A (ja) 画像形成装置
JPH0755561Y2 (ja) 現像装置
JP2001165149A (ja) 回転力伝達装置および前記回転力伝達装置を使用した画像形成装置
JP2002258672A (ja) 画像形成装置
KR200345583Y1 (ko) 전자사진프로세서의현상부구동장치
JP407473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271187A (ja) 画像形成装置
JP3276759B2 (ja) 現像装置
JPH1165306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95644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シャーシ構造
JP2732620B2 (ja) 感光体の駆動装置
JPH0511637A (ja) ローラ転写装置
JPH0449141A (ja) 動力伝達装置
JPH0435817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