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045Y1 -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045Y1
KR0131045Y1 KR2019960008523U KR19960008523U KR0131045Y1 KR 0131045 Y1 KR0131045 Y1 KR 0131045Y1 KR 2019960008523 U KR2019960008523 U KR 2019960008523U KR 19960008523 U KR19960008523 U KR 19960008523U KR 0131045 Y1 KR0131045 Y1 KR 0131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beam
bracket
trunk
ca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211U (ko
Inventor
이광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08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045Y1/ko
Publication of KR970058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2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트렁크 룸이 구비된 공지의 자동차 트렁크 내부 구조에 있어서, 자동차 뒷좌석과 트렁크 룸의 경계지점에 임펙트 빔 구조물을 설치하되, 상기 임팩트 빔 구조물은 양쪽 휠 하우징 내측면 소정 위치에서 소정이 두께로서 ㄱ자 형상을 갖고 일측면 상하 소정 위치에는 소정 지름의 스크류 체결공이 각가 천공된 상태로 설치되는 브라켓트과, 상기 브라켓트의 스크류 체결공에 연결되는 연결공이 좌우 양단이 상하 소정 위치에 각각 천공되는 임팩트 빔과, 상기 스크류 체결공과 연결공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소정 크기의 스크류로 구성되어 있어서, 트렁크 룸에 적재된 화물이 자동차이 운전중 예기치 않은 급제동 및 충돌시, 화물의 중량에 따른 일정한 관상력으로 자동차의 뒷좌석쪽으로 일정한 힘이 발생하여 화물이 뒷좌석을 향해 진입하려고 할 때, 자동차의 양쪽 휠 하우징에 부착, 고정되어 있는 상기 브라켓트의 지지를 받는 임팩트 빔에 걸리게 되고 관성력은 충분한 강도와 탄성력을 지닌 상기 임팩트 빔에 흡수되므로, 자동차의 주행중 급제동 및 충돌로 인하여 화물이 뒷좌석으로 진입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자동차 소유자로 하여금 화물을 안심하고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
제1도는 종래 일반적인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평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4 : 브라켓트 54a : 체결공
55 : 보강부재 58 : 임팩트 빔
58a : 연결공 60 : 스크류
62 : 볼트 64 : 휠 하우징(Wheel housing)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트렁크 내부와 뒷좌석이 접하는 경계 지점에 임팩트 빔 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급제동 및 충돌시 트렁크 내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이 관성력에 의해 뒷좌석으로 진입, 승객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 일반적인 자동차이 트렁크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현재 자동차 뒷좌석(10)과 트렁크 룸(12)이 접하는 경계 지점에는 별도의 충격 흡수 구조물이 없는 상태이므로 트렁크 룸(12) 내에 중량물을 적제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급제동이나 전·후방 충돌시, 관성력으로 화물이 자동차 실내로 투입되거나 화물에 의한 충격에너지로 인해 승객에게 부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이 급제동이나 충돌시, 트렁크 룸(12)에 적재된 화물로 인한 상해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룸이 구비된 공지의 자동차 트렁크 내부 구조에 있어서, 자동차 뒷좌석과 트렁크 룸이 경제지점에 임팩트 빔 구조물을 설치하되, 상기 임팩트 빔 구조물은 양쪽 휠 하우징 내측면 소정 위치에서 소정의 두께로서 ㄱ자 형상을 갖고 일측면 상하 소정 위치에는 소정 지름의 스크류 체결공이 각각 천공된 상태로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스크류 체결공에 연결되는 연결공이 좌우 양단의 상하 소정 위치에 각각 천공되는 임팩트 빔과, 상기 스크류 체결공과 연결공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소정 크기의 스크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평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따른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트렁크 룸(52)과 뒷좌석(50)이 접하는 경계 지점의 양쪽 휠 하우징(64) 내측면 소정 위치에 소정의 두께로서 ㄱ자 형상을 갖고 일측면 상하 소정위치에는 소정 지름의 스크류 체결공(54a)이 각각 천공된 상태로 설치되는 브라켓트(54)와, 상기 브라켓트(54)의 스크류 체결공(54a)에 연결되는 연결공(58a)이 좌우 양단의 상하 소정 위치에 각각 천공된 임팩트 빔(58)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스크류 체결공(54a)과 연결공(58a)은 소정 크기의 스크류(60)로 체결, 고정시키고 상기 브라켓트(54)의 내측면에는 자동차의 급제동 및 충동로 인한 임팩트 빔(58)의 내충격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갖는 직각 삼각형 형상의 보강부재(55)를 용접에 의하여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트(54)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는 휠 하우징(64)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구멍(미도시)을 천공하고 상기 볼트 구멍과 대향되는 휠 하우징(64)의 소정 위치에도 각각 구멍(미도시)을 천공한 후, 소정 크기의 볼트(62)로 체결,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일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렁크 룸(52)내에 적재된 화물(66)은 자동차의 운전중 예기치 않은 급제동 및 충돌시, 화물(66)의 중량에 따른 일정한 관성력으로 자동차의 뒷좌석(50)쪽으로 일정한 힘이 발생하여 화물(66)이 뒷좌석을 향해 진입하려고 할 때, 자동차의 양쪽 휠 하우징(64)에 부착, 고정되어 있는 상기 브라켓트(54)의 지지를 받은 임팩트 빔(58)에 걸리게 되고 관성력을 충분한 강도와 탄성력을 지닌 상기 임팩트 빔(58)에 흡수되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에 의하면, 트렁크 룸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자동차이 주행중 급제동 및 충돌로 인하여 화물이 뒷좌석으로 진입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자동차 소유자로 하여금 화물을 안심하고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트렁크 룸(12)이 구비된 공지의 자동차 트렁크 내부 구조에 있어서, 자동차 뒷좌석(50)과 트렁크 룸(52)의 경계지점에 임팩트 빔 구조물을 설치하되, 상기 임팩트 빔 구조물을 양쪽 휠 하우징(64) 내측면 소정 위치에서 소정의 두께로 ㄱ자 형상을 갖고 일측면 상하 소정 위치에는 소정 지름의 스크류 체결공(54a)이 각가 천공된 상태로 설치되는 브라켓트(54)와; 상기 브라켓트(54)의 스크류 체결공(54a)에 연결되는 연결공(58a)이 좌우 양단의 상하 소정 위치에 각각 천공되는 임팩트 빔(58)과; 상기 스크류 체결공(54a)과 연결공(58a)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소정 크기의 스크류(60)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54)의 내측면에는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갖는 직각 삼각형 형상이 보강부재(55)를 용접에 이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
KR2019960008523U 1996-04-19 1996-04-19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 KR0131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523U KR0131045Y1 (ko) 1996-04-19 1996-04-19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523U KR0131045Y1 (ko) 1996-04-19 1996-04-19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211U KR970058211U (ko) 1997-11-10
KR0131045Y1 true KR0131045Y1 (ko) 1998-12-15

Family

ID=1945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523U KR0131045Y1 (ko) 1996-04-19 1996-04-19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0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968A (ko) * 2001-04-21 2002-10-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해치백 차량의 차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211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045Y1 (ko)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임팩트 빔 장치
JP2002052982A (ja) 自動車トランクル−ム荷物の車室内流入防止構造
KR19990019567A (ko) 자동차 프론트 프레임의 충격흡수구조
KR0177257B1 (ko) 차량의 론지튜디널 프레임과 휠하우스의 어셈블리 보강구조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JP2919020B2 (ja) 車室前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KR0175817B1 (ko) 리어 시트 보호용 고정구조
KR0139441Y1 (ko)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충격흡수장치
KR100199770B1 (ko) 자동차의 프론트필러와 도어 선단부 보강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100196150B1 (ko) 리어 시트 보호용 고정구조
KR017180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인너 패널 보강구조
KR100210142B1 (ko) 차량용 도어의 임팩트 빔 장착구조
KR200152951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KR0150902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0207Y1 (ko) 차량용 범퍼의 충격흡수구조
KR100232473B1 (ko) 자동차의 캥거루범퍼 취부구조
KR100257513B1 (ko) 자동차용 캥거루범퍼의 브라켓
KR0113269Y1 (ko) 차체측면의 타이 바 충격흡수구조
KR19980013787A (ko) 차량의 전방부 충격보강구조
KR19980021222U (ko) 승용차의 정면 충격 흡수구조
KR19990000837A (ko) 자동차도어의 임팩트바 보강구조
KR20010095408A (ko) 자동차용 파티션보드의 보강구조
KR19990010907A (ko) 보강 구조가 구비된 차량의 프론트 플로어 패널 구조
KR19980027172A (ko) 자동차의 측면충돌대비 도어가니시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