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166B1 - 도어 임펙트 빔 - Google Patents

도어 임펙트 빔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166B1
KR0130166B1 KR1019940018229A KR19940018229A KR0130166B1 KR 0130166 B1 KR0130166 B1 KR 0130166B1 KR 1019940018229 A KR1019940018229 A KR 1019940018229A KR 19940018229 A KR19940018229 A KR 19940018229A KR 0130166 B1 KR0130166 B1 KR 0130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mpact beam
circular rod
rod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022A (ko
Inventor
박종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40018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166B1/ko
Publication of KR96000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2Reinforcement elements including foams or expand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임펙트 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중공의 원형봉으로된 도어 임펙트 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봉 내경에 보강부를 형성한 것으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측면충돌에 대한 승객의 안전성을 높이며, 가벼운 재료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경량화시킬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도어 임펙트 빔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임펙트 빔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임펙트 빔의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형봉, 20 : 보강부,
21 : 발포 수지개, 22 : 심봉,
23 : 지지편.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임펙트 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 임펙트 빔의 내경에,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편이 끼워지고 강재(鋼材)로 형성되며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심봉을 삽입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측방향 충돌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도어 임펙트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임펙트 빔은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측면충돌시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승객이나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임펙트 빔은 중공의 원형봉을 사용하는데, 이는 충격전달시 구조적으로 가장 안전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도어 임펙트 빔은 강재로 형성된 관계로 도어 내부에 장착할 경우에 도어의 내측패널에 그 양단을 용접하거나 나사체결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임펙트 빔은 일정수준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강재(鋼材)를 사용하는데 직경과 두께를 크게할수록 강도가 좋아지는 반면에 무게가 많아 나갈 뿐만 아니라, 도어 내부의 구조적인 제약으로 인해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는 있었다.
이와 같은 불리한 여건 때문에 종래의 임펙트 빔은 비교적 그 직경 및 두께가 작게 제작·설치되므로 차량의 측면충돌시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해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도어 임펙트 밤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봉 만을 사용하는 종래의 임펙트 빔에 비해 동일 무게 또는 동일 직경 및 두께인 조건을 기준으로 볼때 강성을 증대시켜 도어에 가해지는 측방향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도어가 측방 충돌에 의해 내부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공의 원형봉으로 형성되어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 임펙트 빔에 있어서, 상기 원형봉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이원형봉의 내경에 삽입되는 보강부는 상기 원형봉의 길이보다 길고 직경이 작도록 강재로 형성되어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심봉과, 이 심봉의 외경에 끼워져 상기 원형봉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임펙트 빔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임펙트 빔의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임펙트 빔의 설치상태 다면도이다.
이하, 미설명 부호(1)은 도어이고, (24)는 고무와셔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가 측방 충돌에 의해 내부로 밀려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공의 원형봉(10)으로 형성되어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 임펙트 빔에 있어서, 상기 원형봉(10)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이 원형봉(10)의 내경에 삽입되는 보강부(20)는 상기 원형봉(10)의 길이보다 길고 직경이 작도록 강재로 형성되어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심봉(22)과, 이 심봉(22)의 외경에 끼워져 상기 원형봉(10)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편(23)을 구비하며, 상기 원형봉(10)의 양 끝단면과 도어(1)의 내측 패널 사이에 고무와셔(24)가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임펙트 빔을 도어(1)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공의 원형봉(10)을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상기 중공의 원형봉(10)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면, 이 원형봉(10) 내부에 삽입되는 부강부(20)를 다음과 같이 형성한다.
상기 보강부(20)를 구성하는 심봉(22)를 강재로 형성하되, 그 길이를 상기 원형봉(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고, 그 양단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직경을 작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심봉(22)이 형성되면, 이 심봉(22)에 끼워지는 지지편(23)을 합성수지재로 다수개 형성하되, 이 지지편(23)의 외경은 상기 원형봉(10)의 내경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원형봉(10)과 다수개의 지지편(23)을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심봉(22)을 강재로 형성한 것은 임펙트 빔을 경량화함과 동시에, 같은 무게 같은 직경 및 두께로 제작된 종래의 임펙트 빔보다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임펙트 빔의 원형봉(10)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이 원형봉(10) 내경에 삽입되는 보강부(20)의 심봉(22)이 길고 직경이 작은 강재로 형성되고, 이 심봉(22)에 끼워ㅈ는 지지편(23)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상태에서, 이를 도어(1)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심봉(22)에 상기 다수개의 지지편(23)을 일정간격으로 끼운다.
상기 심봉(22)에 다수개의 지지편(23)이 일정간격으로 끼워지면, 이 지지편(23)이 끼워진 심봉(22)을 원형봉(10)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심봉(22)의 양끝단에 형성된 나사산은 원형봉(10)의 양끝단으로 돌출된다.
상기 심봉(22)이 원형봉(10)의 내경에 삽입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봉(10)의 양단이 도어(1)의 내측패널 양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원형봉(10)의 양끝단부로 돌출된 심봉(22)의 나사산이 내측패널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심봉(22)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도어(1)의 내측패널 양측면을 관통하면, 관통되어 돌출된 심봉(22)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너트를 체결하여 심봉(22)을 도어(1)의 내측패널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로써, 원형봉(10)은 심봉(22)의 양단의 내측패널이 너트로 체결됨으로써, 도어(1)의 내측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형봉(10)의 양 끝단면과 내측패널의 내측면 사이에 고무와셔(24)를 끼운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하게 되면,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도어 임펙트 빔이 도어(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측면 충돌로 인하여 도어(1)에 충격이 가해지면,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원형봉(10)과 심봉(22)에 끼워진 다수개의 지지편(23)이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고, 잔류 충격에너지는 심봉(22)을 통해 도어(1)의 내측패널로 분산되어 승객이나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는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임펙트 빔은 강재로 형성되고 원형봉(10)의 길이보다 길며 직경은 작은 심봉(22)에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편(23)이 끼워진 보강부(20)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원형봉(10)의 내경에 삽입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임펙트 빔에 의하면, 같은 무게 같은 직경 및 두께로 제작된 종래의 임펙트 빔보다 가성이 증대되어 자동차의 측면 충돌로 인하여 도어(1)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승객과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형봉(10)과 지지편(23)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도어 임펙트 빔을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원형봉(10)과 도어(1)의 내측패널 사이에 고무와셔(24)가 끼워짐으로써,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어가 측방 충돌에 의해 내부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공의 원형봉(10)으로 형성되어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 임펙트 빔에 있어서, 상기 원형봉(10)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이 원형봉(10)의 내경에 삽입되는 보강부(10)는 상기 원형봉(10)의 길이보다 길고 직경이 작도록 강재로 형성되어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심봉(22)과, 이 심봉(22)의 외경에 끼워져 상기 원형봉(10)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편(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임펙트 빔.
KR1019940018229A 1994-07-27 1994-07-27 도어 임펙트 빔 KR0130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229A KR0130166B1 (ko) 1994-07-27 1994-07-27 도어 임펙트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229A KR0130166B1 (ko) 1994-07-27 1994-07-27 도어 임펙트 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022A KR960004022A (ko) 1996-02-23
KR0130166B1 true KR0130166B1 (ko) 1998-04-03

Family

ID=1938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229A KR0130166B1 (ko) 1994-07-27 1994-07-27 도어 임펙트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1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12A (ko) * 1999-08-11 1999-12-06 현승일 중온추출(中溫抽出)장치와 진공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식물성분의 분리·정제공법
KR102025153B1 (ko) * 2013-04-29 2019-09-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하이브리드 임팩트 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022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987B1 (ko)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 빔
KR0130166B1 (ko) 도어 임펙트 빔
US6033011A (en) Impact beam structure for automobile side doors
KR950001098Y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트 바(Impact bar)
KR100580504B1 (ko) 차량용 리어롤스톱퍼의 장착구조
KR0140206Y1 (ko) 차량용 범퍼의 충격흡수구조
KR100189027B1 (ko) 도어의 강성보강을 위한 임팩트 바
KR100216701B1 (ko) 범퍼 보강재
KR200154160Y1 (ko) 차량용 범퍼의 보강재
KR960001885B1 (ko)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프레임 타입 자동차의 보디 마운팅(Body Mounting) 시스템
KR102451898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960005090Y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재 설치구조
KR0139851Y1 (ko) 자동차의 범퍼 체결구조
KR200284822Y1 (ko) 차량의도어트림충격흡수구조
KR0140207Y1 (ko) 차량용 범퍼의 충격흡수구조
KR100200372B1 (ko) 범퍼 패이셔 고정구조
KR0115378Y1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바아의 보강구조
KR0117615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0121953B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용 임팩트빔의 취부 구조
KR20220163817A (ko) 카울 크로스바
KR200273605Y1 (ko) 자동차도어하단부의보강구조
KR0176032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장치
KR970005612Y1 (ko) 도어 임팩트 빔 장착구
KR19990007159U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33951A (ko) 사이드 도어 강도 보강 및 충격흡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