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159U -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159U
KR19990007159U KR2019970020677U KR19970020677U KR19990007159U KR 19990007159 U KR19990007159 U KR 19990007159U KR 2019970020677 U KR2019970020677 U KR 2019970020677U KR 19970020677 U KR19970020677 U KR 19970020677U KR 19990007159 U KR19990007159 U KR 199900071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upper flange
bumper beam
flange por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배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20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159U/ko
Publication of KR19990007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159U/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에 보강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 결합되고, 상단 플랜지부를 갖는 범퍼 빔과, 상기 범퍼 빔의 상단 플랜지부와 맞대어질 수 있는 다른 상단 플랜지부를 갖추고, 범퍼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범퍼 커버와, 상기 범퍼 빔과 범퍼 커버 사이에 삽입 개재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은 자동차의 충돌에 따른 충격력이 상기 범퍼 커버 및 범퍼 빔의 상단 플랜지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긴 슬롯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범퍼 빔의 구조를 개조함으로써 자동차 충돌에 따른 충격력의 전달을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범퍼 커버의 윗 방향 변형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체결부의 전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시 범퍼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 후에 장착되는 범퍼(Bumper)는 장애물이나 자동차간에 충돌이 발생할 때 차체 및 탑승인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완충 작용을 하는 일종의 탄성체로서, 도 1 에서는 종래의 자동차 범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서, 종래의 자동차 범퍼는 차체 프레임(1)의 외측에 범퍼 빔(2)이 도시되지 않은 스테이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범퍼 빔(2)의 외측에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Foam) 또는 폴리 프로필렌 폼 등의 발포 합성 수지재로 된 완충 부재(3)를 사이에 두고 범퍼 커버(4)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범퍼 커버(4)의 상단 플랜지부(4a)에는 다수의 나사 체결공(4b)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4a)는 범퍼 빔(2)의 상단 플랜지부(2a)와 서로 맞대어져 나사 체결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범퍼는 자동차간의 충돌이나 장애물과의 충돌이 발생되면, 완충 부재(3)에 의하여 충격력을 어느 정도는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2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범퍼 커버(4)에 최초로 전달된 충격력(F)은 상기 범퍼 커버 및 범퍼 빔(4)(2)의 나사 체결된 플랜지부(4a)(2a)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체결 나사(5)가 전단되거나 체결공(4b) 주변이 인장 파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범퍼 커버 및 범퍼 빔(4)(2)이 밀려 올라가서 차체 프레임(1)이 손상되든지 또는 범퍼 커버(2)에 인접한 램프(도시 생략) 등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충돌에 따라 발생한 충격력이 범퍼 커버로부터 범퍼 빔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는, 차체 프레임에 보강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 결합되고, 상단 플랜지부를 갖는 범퍼 빔과, 상기 범퍼 빔의 상단 플랜지부와 맞대어질 수 있는 다른 상단 플랜지부를 갖추고, 범퍼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범퍼 커버와, 상기 범퍼 빔과 범퍼 커버 사이에 삽입 개재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은 자동차의 충돌에 따른 충격력이 상기 범퍼 커버 및 범퍼 빔의 상단 플랜지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긴 슬롯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 범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일부 결합 단면도로서, 충격시의 변형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일부 결합 단면도로서, 충격시의 변형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체 프레임, 20 : 범퍼 빔,
22, 42 : 상단 플랜지부, 24 : 슬롯,
30 : 완충 부재, 40 : 범퍼 커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면, 본 고안의 자동차 범퍼는 차체 프레임(10)의 외측에 범퍼 빔(20)이 보강 부재로서 범퍼 스테이(도시 안됨)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범퍼 빔(20)의 외측에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Foam) 또는 폴리 프로필렌 폼 등의 발포 합성 수지재로 된 완충 부재(30)가 충격 흡수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상기 완충 부재(30)의 외면에 범퍼 커버(40)가 범퍼의 전면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범퍼 커버(40)의 상단 플랜지부(42)에는 다수의 나사 체결공(42a)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42)는 범퍼 빔(20)의 상단 플랜지부(22)와 서로 맞대어져 나사 체결된다.
더욱이, 상기 범퍼 빔(20)에는 길이 방향으로 긴 슬롯(Slot)(24)이 복수개 형성되어, 충돌에 따른 충격력이 범퍼 커버(40)의 상단 플랜지부(42)로부터 상기 빔(20)의 상단 플랜지부(2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는, 도 4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충돌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력(F)이 범퍼 커버(40)에 최초로 전달되더라도 완충 부재(30)의 완충 작용과 더불어 범퍼 빔(20)에 형성된 긴 슬롯(24)으로 인하여 상단 플랜지부(22)로 충격력(F)이 전달되지 않고 상기 슬롯(24) 아래 부분만 밀려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범퍼 빔(20)에 형성된 슬롯(22)은 상단 플랜지부(42)(22)의 체결공(42a)(22a) 주변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체결 수단(미도시)의 전단 파괴도 발생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슬롯(22)은 차체 프레임(10) 및 그 주변의 램프류나 그릴부(미도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범퍼 빔의 구조를 개조함으로써 자동차 충돌에 따른 충격력의 전달을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범퍼 커버의 윗 방향 변형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체결부의 전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차체 프레임에 보강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 결합되고, 상단 플랜지부를 갖는 범퍼 빔과,
    상기 범퍼 빔의 상단 플랜지부와 맞대어질 수 있는 다른 상단 플랜지부를 갖추고, 범퍼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범퍼 커버와,
    상기 범퍼 빔과 범퍼 커버 사이에 삽입 개재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은 자동차의 충돌에 따른 충격력이 상기 범퍼 커버 및 범퍼 빔의 상단 플랜지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긴 슬롯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
KR2019970020677U 1997-07-31 1997-07-31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 KR199900071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677U KR19990007159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677U KR19990007159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159U true KR19990007159U (ko) 1999-02-25

Family

ID=6967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677U KR19990007159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15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4084A (zh) * 2020-05-29 2021-12-03 江苏瑞延理化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新型轻体汽车保险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4084A (zh) * 2020-05-29 2021-12-03 江苏瑞延理化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新型轻体汽车保险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7159U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 구조
KR200176262Y1 (ko) 자동차의 어퍼멤버
KR200211073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100199414B1 (ko) 자동차의 리어도어 하단부 보강구조
KR200197184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0151331B1 (ko) 충돌 에너지 흡수형 필러 트림 구조
KR100224262B1 (ko) 사이드 임팩트 장치
KR200157668Y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 구조
KR960005090Y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재 설치구조
KR200157406Y1 (ko) 차량용 범퍼
KR100195500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빔의 취부구조
KR200192402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강성증대 구조
KR19990021417U (ko) 자동차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0178926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바의 완충구조
KR100187361B1 (ko)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멤버 설치구조
KR0139619Y1 (ko) 범퍼 스테이의 충격완충구조
KR100231534B1 (ko) 범퍼 리인포스먼트구조
KR200158813Y1 (ko) 측면충돌대비 도어 하방 보강구조
KR19990035701A (ko)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바 조립체
KR19980022808A (ko) 자동차 도어용 충격 완충부재
KR19980036976U (ko) 차량용 프런트 필러 구조
KR19980016979U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구조
KR19990006340U (ko) 차량용 범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