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457Y1 - 듀얼아암 로보트 - Google Patents

듀얼아암 로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457Y1
KR0129457Y1 KR2019940037050U KR19940037050U KR0129457Y1 KR 0129457 Y1 KR0129457 Y1 KR 0129457Y1 KR 2019940037050 U KR2019940037050 U KR 2019940037050U KR 19940037050 U KR19940037050 U KR 19940037050U KR 0129457 Y1 KR0129457 Y1 KR 0129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s
fixed
arm
arm robot
dua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7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595U (ko
Inventor
김희진
권정욱
김원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37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457Y1/ko
Priority to JP7249855A priority patent/JP2771134B2/ja
Publication of KR960020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5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4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8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manipulators
    • B25J9/0087Dual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B25J9/043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double selective compliance articulated robot arms [SCA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베이스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두개의 아암을 갖는 듀얼아암 로보트(dual arm robot)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듀얼아암 로보트는, 지반에 고정된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양측에 상호 나란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축을 구비하며, 각 고정축에는 아암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아암들의 지지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공간이 작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아암들의 협동범위를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아암들의 회동중심간의 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아암 로보트(dual arm robot)
제1도는 종래 듀얼아암 로보트의 개략적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듀얼아암 로보트의 개략적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듀얼아암 로보트의 개략적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듀얼아암 로보트의 개략적 정면도.
제5도는 제3도에서 고정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듀얼아암 로브트 10 : 제1아암
20 : 제2아암 11,21 : 회동축
12,22 : 모터 30 : 베이스
40 : 고정판
본 고안은 하나의 베이스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두개의 아암을 갖는 듀얼아암 로보트(dual arm robo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아암의 지지 구조가 단순화되어 설치에 따르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개선된 듀얼아암 로보트에 관한 것이다.
각종 자동화공정에 사용되는 로보트 중에서, 작업헤드 간의 협동 작업이 필요하거나 또는 협소한 공간 내에 복수의 로보트가 설치되어야 하는 등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듀얼아암 로보트가 사용된다. 이 듀얼아암 로보트는, 지반에 고정된 하나의 베이스에 두개의 아암이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1도 및 제2도에 그 일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반(90)에 고정된 베이스(91)에 제1지지부재(3)와 제2지지부재(4)가 상하로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91)에 고정되는 제1지지부재(3)에는 회동축(5)이 모터(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동축(5)에는 제1아암(1)이 고정되어 있다. 제2지지부재(4)도 상술한 제1지지부재(3)와 마찬가지로, 모터(8)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축(6)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회동축(6)에는 제2아암(2)이 고정되어 있다. 이 제2지지부재(4)는 제1지지부재(3)의 상부에, 회동축(5)과 회동축(6)이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볼트(99) 등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아암(1)과 제2아암(2)의 자유단부에는 소정 작업을 행하는 작업헤드들(1a,2a)이 그 제1아암(1)과 제2아암(2)에 대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로보트(9)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1)과 제2아암(2)은 모터(7)와 모터(8)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되며, 상호 협동하는 영역(A) 즉 제1아암(1)의 작업헤드(1a)와 제2아암(2)의 작업헤드(2a)가 공통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을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협동영역(A)의 범위는 작동전 상태의 제1아암(1)과 제2아암(2)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술한 구조의 종래 듀얼아암 로보트(9)는, 제1아암(1)과 제2아암(2)의 지지를 위하여 별도의 지지부재(3,4)를 구비하여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하며, 제1아암(1)과 제2아암(2)이 베이스(91) 상에서 상하로 배치되므로 협동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협동영역의 범위를 조정하기 위하여 아암들(1,2)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에, 제1지지부재(3)에 고정된 제2지지부재(2)를 제1지지부재(1)에 대해 원하는 범위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에 따르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각 아암(1,2)의 회동중심 즉 회동축(5,6)이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아암의 길이방향으로의 작업범위가 변경되는 경우에 대응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아암들의 지지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공간이 작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아암들의 협동범위를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아암들의 회동중심 간의 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개선된 듀얼아암 로보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듀얼아암 로보트는, 하나의 베이스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개의 아암과, 이 아암들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갖춘 것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 상호 나란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축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들은 상기 한 쌍의 고정축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각 아암은 동일 평면상에서 회동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듀얼아암 로보트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듀얼아암 로보트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제5도는 제3도에 나타내 보인 고정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반(90)에 베이스(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30)의 상부에 고정판(40)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판(40)의 양측에는 한 쌍의 고정축(11,21)이 상호 나란한 상태로 볼트(45) 등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 고정판(40)의 양측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볼트체결공군(41,42)이 마련되어 있다. 각 볼트체결공군(41,42)은 가상의 원주상에 소정의 각도로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형성된 볼트체결공(411)을 구비하고 있어, 고정축(11,21)을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고정축(11,21)에는 아암(10,2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아암들(10,20)은 지반(90)에 대해 나란한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하며 그 평면상에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각 아암(10,20)의 상부에는 그 아암(10,20)을 회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모터(12,2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아암(10)과 제2아암(20)의 자유단부에는 소정작업을 행하는 작업헤드들(13,23)이 그 제1아암(10)과 제2아암(20)에 대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듀얼아암 로보트(100)에 있어서, 제1모터(12)의 회전에 의해 제1아암(10)이 회동하고, 제2모터(22)의 회전에 의해 제2아암(20)이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아암(10)과 제2아암(20)은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 협동 가능한 영역(B)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협동영역(B)의 범위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고정판(30)에 고정되어 있는 제1아암(10) 또는 제2아암(20)을 소정각도 회전시킨 후 다시 고정판(30)에 고정하면 되므로, 협동영역(B)의 범위를 변경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암(10,20)의 길이방향으로의 작업범위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체결공군(41,42)의 중심간의 거리가 변경된 고정판을 베이스(30)에 고정하고, 이 고정판의 볼트체결공 볼트(45)를 체결하여 고정축(11,12)을 고정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아암(10,20)은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협동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듀얼아암 로보트(9)에 마련되어야 하였던 아암 지지부재(3,4) 등이 생략되므로,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로보트(100)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축소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듀얼아암 로보트는, 아암들의 지지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공간이 작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아암들의 협동범위를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아암들의 회동중심간의 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Claims (2)

  1. 하나의 베이스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개의 아암과, 이 아암들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갖춘 듀얼아암 로보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 상호 나란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축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들은 상기 한 쌍의 고정축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아암 로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아암은 동일평면상에서 회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아암 로보트.
KR2019940037050U 1994-12-28 1994-12-28 듀얼아암 로보트 KR0129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050U KR0129457Y1 (ko) 1994-12-28 1994-12-28 듀얼아암 로보트
JP7249855A JP2771134B2 (ja) 1994-12-28 1995-09-27 デュアルアームロボ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050U KR0129457Y1 (ko) 1994-12-28 1994-12-28 듀얼아암 로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595U KR960020595U (ko) 1996-07-18
KR0129457Y1 true KR0129457Y1 (ko) 1998-12-15

Family

ID=1940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7050U KR0129457Y1 (ko) 1994-12-28 1994-12-28 듀얼아암 로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71134B2 (ko)
KR (1) KR01294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4718C (zh) * 2006-04-26 2008-12-24 中国农业大学 一种双臂嫁接机中使用的固定块
EP3238884B8 (en) * 2014-12-26 2023-10-25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Articulated robot and module therefor
CN106041896A (zh) * 2016-07-28 2016-10-26 佛山市三水区诺尔贝机器人研究院有限公司 机电一体化的双臂机器人安装座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190A (ja) * 1984-10-03 1986-05-01 日東精工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ツ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97464A (ja) 1996-08-06
JP2771134B2 (ja) 1998-07-02
KR960020595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733B1 (en) Worker piece positioner for use with industrial robot
EP4328045A1 (en) Caster having smooth 180° reverse rotation
KR0129457Y1 (ko) 듀얼아암 로보트
CA2233648A1 (en) Swing lock mechanism
JPS6186145A (ja) 立横両用型マシニングセンタ
JPH02311285A (ja) 工業用ロボット
JPH07148679A (ja) パラレルロボット
JPH0454588U (ko)
JPH08174469A (ja) 産業用ロボット
JP2002283256A (ja) プレス作業のハンドワーク用作業台
KR19990027702U (ko) 부품 조립용 턴 테이블
JPS63295189A (ja) 産業用ロボット
JPS62102927A (ja) 圧入装置
KR200220901Y1 (ko) 공작기계 인텍스테이블용 웜축의 베어링 받침대구조
JPH0445777Y2 (ko)
JPH07240890A (ja) 回転式キャビネット及びキャビネット回転装置
CN210189698U (zh) 一种多维加工机台
JPH0111401Y2 (ko)
SU124086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уемой установки поворотной панели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880003536Y1 (ko) 에어콘의 모우터 지지판
KR960000424A (ko) 듀얼암 스카라 로보트
JPH01264739A (ja) パレット格納装置
JP2552333Y2 (ja) 多関節形産業用ロボット
JP2705508B2 (ja) アンテナ駆動範囲設定機構
KR0176455B1 (ko) 직교좌표형 로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