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349Y1 -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 Google Patents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349Y1
KR0128349Y1 KR2019930027371U KR930027371U KR0128349Y1 KR 0128349 Y1 KR0128349 Y1 KR 0128349Y1 KR 2019930027371 U KR2019930027371 U KR 2019930027371U KR 930027371 U KR930027371 U KR 930027371U KR 0128349 Y1 KR0128349 Y1 KR 0128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cover
noise
spring
vehicl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7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483U (ko
Inventor
오영호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7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349Y1/ko
Publication of KR950017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3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60G15/063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pring on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스트럿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트럿의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공기 배출구를 마감하고 대신에 커버의 저부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에서부터 러버범퍼와 피스톤 로드간의 밀착부위까지 이어지는 소음배출구를 다수 형성하여, 스트럿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소음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방음효과를 얻을 수 있는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제1도는 종래 스트럿의 일부 확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럿의 일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트럿 11 : 스트럿 본체
12 : 스프링 13 : 더스트커버
14 : 러버범퍼 15 : 스프링패드
16 : 스프링시트 17 : 인슐레이터
18 : 잠금너트 19 : 커버
20 : 소음배출구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스트럿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트럿의 작동시 캡 안쪽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한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현가장치의 구성요소인 스트럿(STRUT)은 주행중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바, 이러한 스트럿(10)의 구조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측에 장착되는 스트럿 본체(11)의 외측으로 스프링(12) 더스트커버(13), 러버범퍼(14), 스프링패드(15), 스프링시트(16) 및 차체측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17)가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되고 그 위로 잠금너트(18) 및 커버(19)가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커버(19)에는 다수의 공기 배출구(19-1)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트럿(10) 작동시 커버(19)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의 스트럿(10)에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차륜을 통하여 전달되면 상기 스트럿 본체(11)와 스프링(12) 및 러버범퍼(14)의 압축작용으로 이때의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트럿(10)의 충격완화 과정에서는 상기 요소들의 압축작용으로 인한 소음이 커버(19)의 내측에서 발생되어 그 위쪽의 공기배출구(19-1)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배출되는 소음은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갖게 하고 더 나아가서 운전자의 신경을 건드리게 되므로 안정된 운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왔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은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스트럿의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공기 배출구를 마감하고 대신에 커버의 지부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에서부터 러버범퍼와 피스톤 로드간의 밀착부위까지 이어지는 소음배출구를 다수 형성하여, 스트럿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소음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방음효과를 얻을 수 있는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차륜측에 장착되는 스트럿 본체(11)의 외측으로 스프링(12), 더스트커버(13), 러버범퍼(14), 스프링패드(15), 스프링시트(16) 및 차체측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17)가 순차적으로 적층결합되고 그 위로 잠금너트(18) 및 커버(19)가 체결되는 구조의 스트럿(10)에서, 상기 커버(19)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배출구(19-1)를 마감하고, 상기 인슐레이터(17)의 고무체(17-1)를 상하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러버범퍼(14)의 상단 내주부와 피스톤 로드(11-1)의 외주부 사이를 관통하여, 커버(19)의 내측에서부터 더스트커버(13)의 안쪽으로까지 연통되는 소음배출구(20)를 형성하여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슐레이터(17)의 고무체(17-1)에 형성되는 소음배출구(20)는 커버(19) 안쪽의 공간부와 스프링시트(16)의 내측바닥면과 고무체(17-1)의 저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수직 형성되며, 이러한 소음배출구(20)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를 따라 다수 예컨대,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무범퍼(14)의 상단내주면과 피스톤로드(11-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소음배출구(20)는 고무범퍼(14)의 상단부 내경을 피스톤 로드(11-1)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하여 피스톤 로드(11-1)의 주위에 연속으로 간격이 이루어지게 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스트럿(10)에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흡수를 위한 스트럿 본체(11), 스프링(12) 및 고무범퍼(14) 상호간의 상대적인 압축작동으로 피스톤 로드(11-1)의 상단부 예컨대, 잠금너트(18) 체결부와 그 상부 커버(19) 사이의 체적이 수시로 변화하게 되고 그 내부의 공기는 이러한 변화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고 또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피스톤 로드(11-1)가 압축되었다가 최대로 팽창되어 커버(19) 내측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면 그 내부의 공기는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무체(17-1)의 소음배출구(20)를 빠져나와 스프링시트(16)의 로드관통홀(16-1)을 거쳐서 그 저부의 고무패드(14) 안쪽을 통하여 배출되어 이때 발생되는 소음도 함께 배출되어지므로 차실내로는 소음이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소음배출구(20)에 의한 방음작용에 따라 기존 스트럿(10)의 커버(19)와 같이 공기 배출구(19-1)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는데 또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스트럿의 현가작동시 발생되던 소음을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쾌적한 실내상태에서 안정된 운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륜측에 장착되는 스트럿 본체(11)의 외측으로 스프링(12), 더스트커버(13), 러버범퍼(14), 스프링패드(15), 스프링시트(16) 및 차체측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17)가 순차적으로 적층결합되고 그 위로 잠금너트(18) 및 커버(19)가 체결되는 구조의 스트럿(10)에서, 상기 커버(19)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배출구(19-1)를 마감하고, 상기 인슐레이터(17)의 고무체(17-1)를 상하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러버범퍼(14)의 상단 내주부와 피스톤 로드(11-1)의 외주부 사이를 관통하여, 커버(19)의 내측에서부터 더스트커버(13)의 안쪽으로까지 연통되는 소음배출구(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KR2019930027371U 1993-12-11 1993-12-11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KR0128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371U KR0128349Y1 (ko) 1993-12-11 1993-12-11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371U KR0128349Y1 (ko) 1993-12-11 1993-12-11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83U KR950017483U (ko) 1995-07-20
KR0128349Y1 true KR0128349Y1 (ko) 1998-10-15

Family

ID=1937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7371U KR0128349Y1 (ko) 1993-12-11 1993-12-11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3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57B1 (ko) * 2008-08-19 2009-09-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 현가 장치의 에어 스프링 장치
KR102363420B1 (ko) * 2015-02-27 2022-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83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4977A (en) Strut type suspension for a vehicle
JPH06109061A (ja) 弾性ゴムマウント
KR0128349Y1 (ko)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JPS6145124A (ja) 防振装置
KR100295838B1 (ko) 차량용 오픈형 쇽 업소버
JP2002031181A (ja) 油圧緩衝器のダストカバー取付構造
KR100339223B1 (ko)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JPH0437302B2 (ko)
JPH03244844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
KR0126145Y1 (ko) 공기배출 통로를 갖는 자동차의 쇽업소버 캡
KR0130622Y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EP3511591B1 (en) Dust cover assembled bumper stopper
KR100596930B1 (ko)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
JPH04297375A (ja) 車両のフレ−ム構造
KR200161609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KR100296602B1 (ko) 소음방지구조를갖는차량의루프
KR20010046595A (ko) 쇽업소버용 오리피스구조
KR100358599B1 (ko) 자동차의 머플러 행거장치
KR0135190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구조
KR200176592Y1 (ko) 자동차의 측면 충돌 보강구조
KR19980027169A (ko) 차량의 거주성 및 쾌적성 향상을 위한 펜더 에이프런어퍼 보강 구조
KR19990059230A (ko) 쇼크업소버
KR200178195Y1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
KR19980062517U (ko) 자동차용 사일렌서 행거 브라켓의 행거러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