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284B1 - “석고화”구조를 갖는 입자로 구성된 폴리아미드 분말 및 폴리아미드 분말의 수득방법 - Google Patents

“석고화”구조를 갖는 입자로 구성된 폴리아미드 분말 및 폴리아미드 분말의 수득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284B1
KR0128284B1 KR1019880010244A KR880010244A KR0128284B1 KR 0128284 B1 KR0128284 B1 KR 0128284B1 KR 1019880010244 A KR1019880010244 A KR 1019880010244A KR 880010244 A KR880010244 A KR 880010244A KR 0128284 B1 KR0128284 B1 KR 0128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powder
particles
polymerization
lactam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835A (ko
Inventor
일레르 쟝-끌로드
귀렝 롤랑
Original Assignee
프아레 끌로드
소시에떼 아토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아레 끌로드, 소시에떼 아토샹 filed Critical 프아레 끌로드
Publication of KR89000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4Powdering or granulating by precipitation from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08G69/18Anionic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08G69/18Anionic polymerisation
    • C08G69/20Anionic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olyamid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석고화”구조를 갖는 입자로 구성된 폴리아미드 분말 및 폴리아미드 분말의 수득방법
제1도는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 분말의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제2도는 실시예 2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 분말의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석고화(石膏花 : gypsum flower) 구조를 갖는 다공성 원소입자로 구성된 폴리아미드 분말에 관한 것이다. 이들 입자의 특이한 형태는 그들이 다수의 공극 및 부피 때문에 고흡수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입자의 특성은 폴리아미드 분말이 넓은 비표면적 및 낮은 겉보기 상대 밀도를 갖도록 한다.
폴리아미드 분말은 하나 이상의 알킬렌 아미드의 존재하에 용매 매질 중에서 락탐을 음이온 중합시켜 수득한다. 입자 구조의 특이한 형태는 개시온도에서 락탐에 과포화된 용매 매질 중에서 중합을 개시함으로써 수득한다.
알킬렌비스아미드의 존재하에 용액중의 락탐을 음이온 중합함으로써 폴리아미드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576,602호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이 개시되기에 앞서 알킬렌비스아미드의 존재하에 용매중의 락탐을 모두 용해시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특허의 기법에 따라서, 조정된 입자 크기 및 분자량을 갖는 분말을 수득한다. 수득되는 입자는 9㎡/g 이하의 낮은 비표면적을 가지며, 극히 낮은 공극을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분말의 다공성 원소 입자는 실질적으로 석고화 형태인 타원체의 스폰지 구조를 나타낸다. 석고화 구조물은 석고화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사막석과 광물학적 유사물로서, 서로 결합된 박막이 무작위 증식한 박막 또는 박편 구조를 갖는 입자를 의미하며, 원추형 및 피라밋형 사이에 생기는 기하학적 형태의 공동을 형성하고, 그 기하학적 형태의 정점은 입자의 중심을 향해 집중된다. 윤곽이 뚜렷한 모서리를 갖는 공동의 벽은 통상적으로 0.2미크론 미만의 두께이며, 이들 벽을 형성하는 박막의 평균 두께는 통상적으로 0.1미크론 이하이다.
이들 타원체의 원소 입자는 1 내지 20미크론, 통상적으로는 2 내지 10미크론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그들은 높은 공극 부피를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입자내의 공극 부피는 0.02 내지 0.4미크론의 공극 평균 반경범위에서 통상적으로는 0.3㎤/g 이상이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1㎤/g 이상이다. 상기 정의된 공동이 원통형에 유사할 경우, 이들 입자의 공극의 평균 반경은 통상적으로 0.09 내지 0.16미크론이다. 이 공극 부피는 와시버언 법칙(Washburn's law)에 따라 여러가지 압력하에 수은 관입함으로써 측정한다.
Figure kpo00001
R=원통형 공극의 반경
γ=Hg/고체 계면장력
θ=Hg/고체 접촉의 각도
P=Hg 관입 압력
(Proc. Nat. Acad. Sci. USA 7, 115~1921).
분말을 구성하는 원소 입자내의 공극의 수 및 부피 때문에, 분말은 9㎡/g 이상, 극히 통상적으로는 9 이상 30㎡/g 사이의 비표면적을 갖는다. 이 비표면적은 통상의 BET 법에 따라 측정한다.
또한 그 구조 때문에 원소 입자는 매우 높은 흡수 용량을 갖는다. 이 신규의 성질은 이들 원소 입자로 구성된 분말이 자체 중량의 90% 이상, 통상적으로는 자체 중량의 120% 이상의 아마인유를 흡수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흡수치는 안료로써 오일 흡수를 시험하는 ASTM 표준 D 281-31에 따라 측정한다. 이 흡수 특성은 분말이 최대량의 보조제를 흡수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류, 페인트류, 약학, 마이크로캡슐화 및 기타의 분야에서 특히 유용하다. 이것은 예를들어 화장품학 산업에서 화장 분말의 경우 또는 페인트 산업의 경우인데, 최소량의 매질에 최대량의 활성 성분을 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매우 높은 흡수 용량에는 완만한 탈착이 수반된다. 완만한 탈착 현상의 발견은 언급된 적용에 있어서 이들 특정 입자를 함유하는 분말의 이점을 향상시킨다.
이들 입자로 구성되는 폴리아미드 분말은 상기 정의된 특성을 갖는 입자를 통상적으로 90중량% 이상, 대부분의 경우에 95중량%로 함유한다. 분말의 또 다른 특성은 한정된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입자 크기는 NF 표준 x 11-670 및 671에 따라 코울터(Coulter)계산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감소하는 직경 누적 돗수 곡선으로부터 평균 d50의 한면에서 하나의 표준 편차에 상응하는 d50 직경과 D84.13 및 d15.87 직경을 측정할 수 있다. 입자 크기 분포 또는 입자 크기 분산은 비율 σ2=d16/d84에 의해 측정한다.
분말의 입자 크기 분산은 통상적으로 1.2 내지 2.5이다.
입자의 높은 공극율 때문에, 폴리아미드 분말은 낮은 겉보기 상대 밀도를 갖는다. 통장적으로 ISO 표준 R787/11에 따르면, 조밀하지 않은 분말의 겉보기 상대 밀도는 0.12 내지 0.22이고, 조밀한 겉보기 상대 밀도는 0.22 내지 0.30이다.
폴리아미드 분말을 수득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통상적이다. 알칼리 금속, 또는 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화합물중 하나, 또는 수소화나트륨이나 메틸화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화합물중 하나를 촉매로서 주요 사용하는 락탐의 음이온적 중합을 기초로 한다. 예를들면, 락탐-N-카르복시아닐리드류, 이소시아네이트류, 카르보디이미드류, 시안이미드류, 아실 락탐류, 트리아진류, 우레아류 및 N-치환된 이미드류로부터 선택된 활성화제가 이러한 형태의 중합 반응에서 또한 사용된다.
산업적 규모에서의 본 분야의 상태에 있어서, 단량체로써 취해지는 락탐류로는 라우릴락탐, 카프롤락탐, 오엔안톨락탐, 및 카프릴락탐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유사한 공지의 방법에서, 락탐의 중합은 하나 이상의 아미드(이중 하나는 항상 N,N'-알킬렌비스아미드임)의 존재하에, 반응 성분 및 반응 기작에 대해 불활성인 용매 매질중에서 일어난다.
바람직하게 추천되는 N,N'-알킬렌비스아미드 중에는 지방산의 N,N'-알킬렌비스아미드가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식의 N,N'-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Figure kpo00002
N,N'-에틸렌비스팔미트아미드, 가돌레아미드, 세톨레아미드 및 에루크아미드, N,N'-디올레일아디프아미드 및 N,N'-디에루실아미드가 있다.
사용되는 N,N'-알킬렌비스아미드의 양은 락탐 100몰당 0.001 내지 4몰, 바람직하게는 0.075 내지 2몰이다.
반응 매질에 N,N'-알킬렌비스아미드를 가하는 목적은 반응의 속도를 저하시켜 반응기 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매우 한정된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분말을 생산하려는 것이다.
락탐용의 모든 용매는 그들이 반응물에 대해 불활성이고 중합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한 반응 매질로서 적합하다. 주로 경제적 이유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용매는 비등 범위가 140 내지 170℃인 파라핀 탄화수소 컷트, 이소파라핀, N-파라핀 및 시클로파라핀 혼합물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입자 및 분말을 수득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분자내에 탄소원자수 6 내지 12를 함유하는 이소파라핀을 바람직하게 추천한다. 이들 이소파라핀의 비등점은 통상적으로 120℃ 이상이다.
다른 방법과 비교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개시 온도에서 용매가 과포화상태인 양의 락탐 및 아미드로써 용매 매질에서의 중합이 개시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용 용매를 락탐으로써 과포화 할 수 있다. 한가지 방법은 촉매를 가하기에 앞서 개시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락탐 및 아미드로써 용매를 포화시키고난 다음 중합을 개시하기 위해 온도를 낮추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물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중합 개시 온도에서 용매를 락탐 및 아미드로 실질적으로 포화시키고, 락탐의 용해도를 낮추기 위해 개시용의 반응물에 일급 아미드를 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의 분자내에 탄소원자수 12 내지 22를 함유하는 일급 아미드는 올레아미드, N-스테아르아미드, 이소스테아르아미드 및 에루크아미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반응물과 혼합되어지는 일급 아미드의 양은 적절하게는 락탐 100몰당 약 0.5몰 미만이다.
용매의 과포화 한계가 정해지지는 않는다. 보다 낮은 한계는, 혼합물이 개시 온도에서 단상의 상태, 그러나 준안정인 상태에 있을 경우, 혼탁한 혼합물을 만들기 위하여 용매중에 용해된 반응 성분중 하나의 결정을 소량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중합은 과비율의 락탐이 혼합물중에 고체 상태로 있는 이상(二相)혼합물로 증발함으로써 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형성된 폴리아미드 입자의 첨전물이 반응을 진행하기 때문에 중합에 앞서 과량의 락탐이 매질중에 용해된다.
예를들어, 중합은 용매가 중합 개시의 후속 온도에서 과포화 상태에 있도록 하는 양의 락탐 및 아미드를 반응기 내의 용매와 접촉시킴으로써 종래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극히 소량의 수분도 중합을 중지시키므로, 철저하게 무수인 반응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중합이 개시되기전에 공지의 방법으로 반응물을 건조시킬 것을 추천한다.
혼합물을 개시온도로,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대기하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하고 난 다음, 음이온 촉매 및 활성화제를 동시 또는 분리해서, 한꺼번에 또는 서서히 가한다.
이입되는 촉매의 양은 락탐 100몰당 0.8 내지 3몰로 변할 것이다. 이입되는 활성제의 비율로 락탐 100몰당 2 내지 8몰로 변할 것이다.
락탐의 개시 및 중합 온도는 통상적으로 80 내지 130℃,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온도는 100℃에 가결정화 핵을 반응 혼합물에 이입할 수 있다. 이들 결정화 핵은 미세하게 분쇄된 첨가제의 형태이다. 이들 첨가제는 폴리아미드 분말과 같은 유가물이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전에 제조한 입자, 또는 실리카나 탈크와 같은 무기물일 것이다. 이 첨가제가 소량의 물을 제공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실리카가 사용될 경우, 실리카를 조심스럽게 탈수시켜야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없이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시험은 패들 교반기, 가열된 오일이 순환되는 자켓, 바닥 배수 장치 및 건조 질소로 정화된 가스 로크(gas lock)가 설치된 반응물 이입용의 5리터 용적의 반응기에서 행해진다.
공비 진공 증류 장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되어야 할 소량의 물을 허용한다.
사용되는 용매는 비등 범위가 130 내지 160℃인 파라핀 탄화수소 컷트이다.
입자 크기, 평균 입자 직경은 코울터 계산기로 측정한다.
편의상,
-N,N'-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는 약칭하여 EBS로,
-n-스테아르아미드는 약칭하여 nST로,
-이소스테아르아미드는 약칭하여 iST로 표기한다.
실시예 1
온화한 질소 기류하에 유지된 반응기에 용매 3040ml을 이입한 다음, 건조 라우릴락탐 1087g, EBS 37.4g, nST 0.55g 및 미세하게 분쇄된 탈수 실리카 4.3g을 연속적으로 이입한다. 교반을 720rev/분으로 시작한 후 혼합물을 100℃로 서서히 가열한 다음, 존재할 수 있는 소량의 물을 연행(entrain)공비할 수 있도록 26,660Pa의 진공하에서 용매 200ml을 유거한다.
대기압으로 전환한 후, 오일 중에서 음이온 촉매인 순도 80%의 수소화 나트륨 1.95g을 질소하에서 신속히 이입한 다음, 혼합물을 역시 질소 기류하에 교반하면서 60분간 방치한다.
이어서 온도를 100℃로 올리고, 선택된 활성제인 스테아릴 이소시아네이트를 소형 메터링 펌푸(meteringpump)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에 연속적으로 주입한다. 이소시아네이트의 양은 6시간에 걸쳐 33g 주입하고, 이어서 2시간에 걸쳐 21.8g 주입하는 방법으로 주입한다. 동시에, 온도는 처음 6시간 동안 100℃로 유지한다; 이어서 온도가 상승되고, 추가로 3시간 동안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이입이 완료된후 추가로 1시간동안 110℃로 방치한다.
이어서 중합이 종결된다. 반응기를 90℃로 냉각시키고, 분말의 슬러리 및 용매를 바닥을 통하여 빼낸다.
액체가 없도록 배수하여 건조시킨 후, 5.3 내지 10.5미크론의 입자 크기를 갖는 폴리아미드 12분말을 수득하는데, 평균 입자 직경은 8미크론이다. 조밀하지 않는 겉보기 상대 밀도는 0.20이고, 조밀한 겉보기 상대밀도는 0.27이며, BET 비표면적은 9.4㎡/g이다. 입자의 공극 부피는 2.04㎤/g이다. 분말은 자체 중량의 180%의 아마인유를 흡수한다.
수득된 생성물을 제1도에서 그의 사진으로 나타낸다.
실시예 2
조작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사용되는 용매는 파라핀 컷트가 아니라 라우릴락탐에 대한 용매 용량은 훨씬 더 낮은 C8내지 C10의 이소파라핀만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수득되는 분말은 4 내지 8.6미크론의 입자 크기와 석고화구조를 갖는다. BET 비표면적은 10.2㎡/g이며, 조밀하지 않은 겉보기 상대밀도는 0.18, 조밀한 겉보기 상대밀도는 0.26이다. 입자의 평균 직경은 5.8미크론이고, 공극 부피는 2.33㎤/g이다. 분말은 자체 중량의 220%의 아마인유를 흡수한다.
수득된 생성물을 제2도에서 그의 사진으로 나타낸다.
실시예 3
용매 2450ml을 반응기에 이입한 다음, 라우릴락탐 873g, iST 0.44g, EBS 30g 및 실리카 17.4g을 연속적으로 이입한다.
혼합물을 720rev/분에서 교반하면서 110℃로 가열하고 난 다음, 용매 200ml을 26,660Pa의 진공하에서 유거한다. 대기압으로 전환한 후, 순도 80%의 수소화나트륨 1.56g을 질소하에서 이입하고, 혼합물을 질소하, 110℃에서 30분간 방치한다. 온도를 95℃로 낮추고난 다음, 스테아릴 이소시아네이트를 소형 메터링 펌프를 사용하여 하기의 순서에 따라 서서히 이입한다.
-95℃에서 6시간에 걸쳐 이소시아네이트 20g을 이입하고,
-110℃에서 25시간에 걸쳐 이소시아네이트 30g을 이입한다.
일단 이입이 완료되면, 추가로 1시간동안 온도를 110℃로 유지시킨다. 이어서 반응이 종결된다. 90℃로 냉각, 경사분리 및 건조시킨 후, 수득되는 폴리아미드 12분말은 하기의 특성을 갖는다.
-입자크기 : 3.4 내지 7미크론
-평균 입자 직경 : 5.3미크론
-비표면적 : 17㎡/g
-조밀하지 않는 겉보기 상대 밀도 : 0.14
-조밀한 겉보기 상태밀도 : 0.25
-공극부피 : 2.52㎤/g
-아마인유 흡수도 : 200중량%
실시예 4
용매 2440ml, 도데카락탐 873g, 에루크아미드 0.4g, EBS 30g 및 실리카 17.5g을 이입한다. 상기의 시험에서와 같이, 용매 200ml을 110℃, 26,660Pa에서 공비 유거한다. 혼합물을 100℃로 냉각하고, 80% 수소화나트륨 1.71g을 질소하에서 가한다. 1시간후, 720rev/분으로 교반하고, 스테아릴 이소시아네이트를 하기의 순서에 따라 이입한다.
-95℃에서 6시간에 걸쳐 이소시아네이트 20g을 이입하고,
-110℃에서 2.5시간에 걸쳐 이소시아네이트 30g을 이입한다.
온도를 1시간동안 110℃로 유지한다. 냉각 및 건조후, 점도가 0.75, 입자크기가 3.6 내지 8미크론, 평균 입자 직경이 5.4미크론, 및 BET 비표면적이 15.6㎡/g인 분말이 수득된다.
조밀하지 않은 겉보기 상대밀도는 0.17이고, 조밀한 겉보기 상대밀도는 0.26이다. 분말의 입자는 석고화외형을 가지며, 공극 부피는 2.13㎤/g이다. 분말은 자체 중량의 220%의 아마인유를 흡수한다.
실시예 5
용매 3040ml을 반응기에 이입한 다음, 라우릴락탐 1304g, EBS 45g 및 실리카 5.2g을 연속적으로 이입한다.
혼합물을 720rev/분에서 교반하면서 110℃로 가열하고, 용매 200ml을 26,660Pa의 진공하에서 유거한다. 대기압으로 전환한 후, 80% 수소화나트륨 2.34g을 질소하에서 이입하고, 혼합물을 질소하, 110℃에서 30분간 방치한다. 이어서 온도를 100℃로 낮춘 다음, 스테아릴 이소시아네이트를 하기의 순서에 따라 서서히 이입한다.
-100℃에서 6시간에 걸쳐 이소시아네이트 30g을 이입하고,
-110℃에서 2시간에 결쳐 이소시아네이트 36g을 이입한다.
온도를 1시간동안 110℃로 유지한다.
90℃로 냉각, 경사분리 및 건조후, 하기의 특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12분말을 수득한다.
-입자크기 : 4.8 내지 9.3미크론
-입자직경 : 6.7미크론
-BET 비표면적 : 9.3㎡/g
-조밀하지 않은 겉보기 상대밀도 : 0.20
-조밀한 겉보기 상대밀도 : 0.29
-공극부피 : 2.07㎤/g
-아마인유 흡수도 : 180중량%
분말의 입자는 석고화외형을 갖는다.
실시예 6
용매 2240ml를 반응기에 이입하고, 카프로락탐 1087g, EBS 18.7g 및 실리카 21.9g을 연속적으로 이입한다. 혼합물을 720rev/분에서 교반하면서 110℃가 되기전까지 가열한 다음, 26,660Pa의 진공하에서 용매 300ml을 유거한다.
대기압으로 전환한 후, 80% 수소화나트륨 8.3g을 질소하에서 이입하고, 혼합물을 질소하, 110℃에서 30분간 방치한다. 이어서 온도를 80℃로 낮춘다. 스테아릴 이소시아네이트 41.6g을 80℃에서 4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이입한 다음, 온도를 2시간에 걸쳐 80℃에서 130℃로 올리고, 2시간동안 130℃로 유지한다. 90℃로냉각, 경사분리 및 건조후, 하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폴리아미드 6분말을 100% 수율로 수득한다.
-석고화 구조
-입자크기는 2.6 내지 7.2미크론
-평균 입자 직경은 5.0미크론
-BET 비표면적 : 9.9㎡/g
-공극 부피 : 1.21㎤/g
-아마인유 흡수도 : 170중량%

Claims (17)

  1. 다공성 원소 입자가 "석고화(石膏花 : gypsum flower)" 구조를 갖는 폴리아미드 분말.
  2. 제1항에 있어서, 박막이 서로 결합하여 원추형 및 피라밋형 사이에 생기는 기하학적 형태의 공동을 형성하고, 이러한 기하학적 형태의 정점이 입자의 중심을 향하여 집중된 박막 구조를 갖는 입자인 폴리아미드 분말.
  3. 제2항에 있어서, 공동의 벽을 형성하는 박막이 0.2미크론 미만의 두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분말.
  4.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소 입자내의 공극 부피가 0.02 내지 0.4미크론의 공극 평균 반경 범위에서 0.3㎤/g 이상임으로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분말.
  5.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분말이 자체 중량의 90% 이상의 아마인유를 흡수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분말.
  6.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소 입자가 1 내지 20미크론의 평균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분말.
  7.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크기 분산이 1.2 내지 2.5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분말.
  8.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분말의 비표면적이 9㎡/g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분말.
  9.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분말의 조밀하지 않은 겉보기 상대밀도가 0.12 내지 0.22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분말.
  10.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분말의 조밀한 겉보기 상대밀도가 0.22 내지 0.30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분말.
  11. 중합을 개시 온도에서 용매가 과포화 상태인 양의 락탐 및 아미드로 개시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락탐을 촉매, 활성화제 및 하나 이상의 아미드(이중 하나는 N,N'-알킬렌비스아미드임)의 존재하에 용매 매질중에서 음이온적 중합 시킴으로 이루어지는 제1항에 따른 폴리아미드 분말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용매가 이소파라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중합이 개시되기 전에 1급 아미드를 반응 매질에 가함에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1급 아미드가 탄소원자수 12 내지 2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N,N'-알킬렌비스아미드의 양이 락탐 100몰당 0.001 내지 4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1급 아미드의 양이 락탐 100몰당 0.5몰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방법.
  17.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중합 개시 온도가 80 내지 13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80010244A 1987-08-11 1988-08-11 “석고화”구조를 갖는 입자로 구성된 폴리아미드 분말 및 폴리아미드 분말의 수득방법 KR0128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11422 1987-08-11
FR8711422A FR2619385B1 (fr) 1987-08-11 1987-08-11 Poudre de polyamide constituee de particules a structure " rose des sables ". procede d'obtention de la poudre de polyam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835A KR890003835A (ko) 1989-04-18
KR0128284B1 true KR0128284B1 (ko) 1998-04-03

Family

ID=935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244A KR0128284B1 (ko) 1987-08-11 1988-08-11 “석고화”구조를 갖는 입자로 구성된 폴리아미드 분말 및 폴리아미드 분말의 수득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4831061A (ko)
EP (1) EP0303530B1 (ko)
JP (1) JP3065320B2 (ko)
KR (1) KR0128284B1 (ko)
AT (1) ATE129262T1 (ko)
AU (1) AU613388B2 (ko)
CA (1) CA1337451C (ko)
DE (1) DE3854592T2 (ko)
DK (1) DK174917B1 (ko)
ES (1) ES2013654A6 (ko)
FR (1) FR2619385B1 (ko)
GR (1) GR1000106B (ko)
PT (1) PT8823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978B1 (ko) * 2000-08-30 2007-02-15 신토-화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아미드 미립자의 제조 방법
KR100785672B1 (ko) 2004-11-30 2007-12-14 아르끄마 프랑스 미세 다공성 분말 함유 화장 조성물
KR101487034B1 (ko) * 2006-12-28 2015-01-28 아르끄마 프랑스 음이온성 중합에 의한 폴리아미드 분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9385B1 (fr) * 1987-08-11 1992-01-17 Atochem Poudre de polyamide constituee de particules a structure " rose des sables ". procede d'obtention de la poudre de polyamide
US5169710A (en) * 1988-07-15 1992-12-08 Amoco Corporation Fiber-reinforced composites toughened with porous resin particles
JP2905274B2 (ja) * 1989-11-08 1999-06-14 花王株式会社 新規ポリカチオン化合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漂白剤組成物
US5268223A (en) * 1991-05-31 1993-12-07 Amoco Corporation Toughened fiber-reinforced composites
FR2717685B1 (fr) * 1994-03-24 1996-06-07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pour masque de nettoyage de la peau contenant des particules de polyamide sphéroidales calibrées.
FR2734831B1 (fr) * 1995-05-29 1997-07-11 Oreal Composition solide expansee dont la matrice est constituee d'un reseau alveolaire amidonne et contenant des particules de polyamide spheroidales calibrees et utilisations en application topique
DE19641659C2 (de) * 1996-10-09 1999-03-11 Inventa Ag Polyamid-Masterbatch mit verbesserten Gleit- und Antiblock-Eigenschaften und dessen Verwendung
EP0842989B1 (en) * 1996-11-13 2002-04-24 Ciba SC Holding AG Pigment compositions and effect coatings
FR2762611B1 (fr) * 1997-04-29 1999-06-11 Atochem Elf Sa Silice poreuse modifie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es peintures et comme vecteur de pigments et colorants
FR2762504B1 (fr) 1997-04-29 1999-09-10 Cird Galderma Procede d'epilation
DE19749760A1 (de) 1997-11-11 1999-05-12 Henkel Kgaa Mehrphasen-Stiftpräparat
FR2799387B1 (fr) * 1999-10-11 2001-11-16 Eurochem Adjuvant de filtration de liquides et son utilisation pour la decontamination bacterienne
FR2811669A1 (fr) 2000-07-11 2002-01-18 Atofina Procede de preparation de pourdres poreuses de copolyesteramides et poudres ainsi obtenues
US20040138348A1 (en) * 2001-05-14 2004-07-15 Fridolin Babler Pigmentary compositions
DE10161038A1 (de) * 2001-12-12 2003-06-26 Degussa pH-Wert geregeltes Polyamidpulver für Kosmetikanwendungen
DE10251790A1 (de) * 2002-11-07 2004-05-19 Degussa Ag Polyamidpulver mit dauerhafter, gleichbleibend guter Rieselfähigkeit
WO2004043411A1 (ja) * 2002-11-14 2004-05-27 Ube Industries, Ltd. 化粧品組成物
FR2856594B1 (fr) * 2003-06-26 2006-03-03 Oreal Particules poreuses chargees en compose(s) actif(s) cosmetique(s) ou pharmaceutique(s)
US8124686B2 (en) * 2004-03-02 2012-02-28 Arkema Franc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olyamide-12 powder with a high melting point
FR2867190B1 (fr) * 2004-03-02 2007-08-17 Arkema Procede de fabrication de poudre de polyamide 12 a point de fusion eleve
FR2877948B1 (fr) * 2004-11-12 2007-01-05 Arkema Sa Procede de synthese de poudres de polyamide
US20070185003A1 (en) * 2006-01-18 2007-08-09 Invista North America S.A.R.L. Non-textil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FR2910907B1 (fr) * 2006-12-28 2009-02-20 Arkema France Poudre de polyamide coeur-ecorce
WO2009023765A1 (en) 2007-08-15 2009-02-19 Invista Technologies S.A.R.L. Non-textil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DE102008008754A1 (de) 2008-02-12 2009-08-13 Henkel Ag & Co. Kgaa Haar- und Körperreinigungsmittel mit verlängerter Duftwirkung
DE102008008780A1 (de) 2008-02-12 2009-08-13 Henkel Ag & Co. Kgaa Deodorantien und/oder Antitranspirantien mit verbesserter Duftwirkung und Geruchsabsorption
FR2927626B1 (fr) 2008-02-15 2011-02-25 Arkema France Poudre fine de polyamide issu de matieres renouvelabl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poudre.
FR2930555B1 (fr) 2008-04-29 2012-08-24 Arkema France Procede pour augmenter l'ecart entre la temperature de fusion et la temperature de cristallisation d'une poudre de polyamide
FR2952062B1 (fr) 2009-10-16 2012-08-24 Arkema France Procede de preparation de poudre recyclable a base de polyamide
WO2011074129A1 (en) 2009-12-16 2011-06-23 L'oreal Powdery cosmetic composition
WO2012060105A1 (ja) 2010-11-05 2012-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WO2012077241A1 (en) 2010-12-06 2012-06-14 L'oreal Powdery cosmetic composition
EP2706972A1 (en) 2011-05-13 2014-03-19 L'Oréal Powdery cosmetic composition
BR112014000149A2 (pt) * 2011-07-05 2019-08-06 Basf S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partículas sólidas
FR2998782B1 (fr) 2012-11-30 2015-04-17 Oreal Emulsion cosmetique eau-dans-huile notamment conditionnee sous forme d'aerosol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vinylique, au moins un copolymere d'olefine et au moins un actif anti-transpirant
JP6532646B2 (ja) 2013-12-06 2019-06-19 ロレアル パウダー状化粧用組成物
FR3030227B1 (fr) 2014-12-17 2018-01-26 L'oreal Emulsion stabilisees par des particules composites amphiphiles
FR3071840B1 (fr) 2017-10-04 2019-10-11 Arkema France Composition de poudre thermoplastique et objet tridimensionnel renforce fabrique par impression 3d d'une tell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761A (en) * 1973-05-15 1975-11-04 Du Pont Process of making a porous polyimide shaped article
JPS58201826A (ja) * 1982-05-19 1983-11-24 Teijin Ltd 気泡含有芳香族ポリアミド成型品及びその製造法
DE3472565D1 (en) * 1983-03-23 1988-08-11 Chuo Kagaku Co Production of resin foam by aqueous medium
US4599398A (en) * 1983-07-28 1986-07-08 Ppg Industries, Inc. A method of molding polymerizable composition comprising lactam monomer, catalyst and initiator
JPS60221425A (ja) * 1984-04-18 1985-11-06 Nitto Electric Ind Co Ltd 球状多孔性ポリイミド粉体
US4595747A (en) * 1984-12-17 1986-06-17 Monsanto Company Viscosified lactam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s
US4595746A (en) * 1984-12-17 1986-06-17 Monsanto Company Promotion of ε-caprolactam polymerization with lactam magnesium halide catalyst and 2-oxo-1-pyrrolidinyl groups
FR2576602B1 (fr) * 1985-01-30 1987-02-13 Atochem Procede de fabrication de poudre de polyamide et poudre ainsi obtenue
US4716215A (en) * 1985-02-15 1987-12-29 Teijin Limited Compression moldable aromatic polyamide powder
NL8502038A (nl) * 1985-07-16 1987-02-16 Stamicarbon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een polyamide.
FR2619385B1 (fr) * 1987-08-11 1992-01-17 Atochem Poudre de polyamide constituee de particules a structure " rose des sables ". procede d'obtention de la poudre de polyami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978B1 (ko) * 2000-08-30 2007-02-15 신토-화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아미드 미립자의 제조 방법
KR100785672B1 (ko) 2004-11-30 2007-12-14 아르끄마 프랑스 미세 다공성 분말 함유 화장 조성물
KR101487034B1 (ko) * 2006-12-28 2015-01-28 아르끄마 프랑스 음이온성 중합에 의한 폴리아미드 분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3530B1 (fr) 1995-10-18
DK445888D0 (da) 1988-08-10
PT88237B (pt) 1995-03-01
KR890003835A (ko) 1989-04-18
JP3065320B2 (ja) 2000-07-17
ATE129262T1 (de) 1995-11-15
ES2013654A6 (es) 1990-05-16
CA1337451C (fr) 1995-10-24
DE3854592T2 (de) 1996-05-23
PT88237A (pt) 1989-06-30
EP0303530A1 (fr) 1989-02-15
GR880100521A (en) 1989-05-25
AU2058988A (en) 1989-02-16
DK445888A (da) 1989-03-30
FR2619385A1 (fr) 1989-02-17
GR1000106B (el) 1991-06-07
DE3854592D1 (de) 1995-11-23
FR2619385B1 (fr) 1992-01-17
US4927860A (en) 1990-05-22
DK174917B1 (da) 2004-02-23
AU613388B2 (en) 1991-08-01
JPH01230630A (ja) 1989-09-14
US4831061A (en) 198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8284B1 (ko) “석고화”구조를 갖는 입자로 구성된 폴리아미드 분말 및 폴리아미드 분말의 수득방법
Dai et al. Preparation of silica aerogel using ionic liquids as solvents
Scartazzini et al. Organogels from lecithins
Höpken et al. Melting, crystallization, and solution behavior of chain molecules with hydrocarbon and fluorocarbon segments
US5317064A (en) Manufacture of polylactide stereocomplexes
WO2007027493A2 (en) Stabilization of organogels and hydrogels by azide-alkyne[2+3] cycloaddition
US4068024A (en) Process for preparing finely divided hydrophobic oxide particles
EP0066074A1 (de) Polymere tertiäre und sekundäre Organosiloxanamin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20090176095A1 (en) Novel triphenylmethane derivative, organic gellant containing the same, organic gel, and organic fiber
EP0255702A2 (en) Process for preparing fine particles of metal oxides
De et al. Characterization of new gemini surfactant micelles with phosphate headgroups by SANS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US6398888B2 (en) Hardened porous ammonium nitrate
Matsumoto et al. Acid-free synthesis of poly-organo-siloxane spherical particles using a W/O emulsion
Koyama et al. Fluorinated polymer surfactants bearing an alternating peptide skeleton prepared by three-component polycondensation
Baglioni et al. On the mechanism of collapse of monolayers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II. Cellulose acetate
Andersson et al. Calorimetric study of binary systems of tetraethyleneglycol octylether and polyethyleneglycol with water
US3436172A (en) Method of making hydrazinium diperchlorate
CN115466154B (zh) 掺杂型自燃离子液体及其制备方法
US3168498A (en) Amino alcohol modified polyamides
Fuhrhop et al. Stereochemistry of Lipid Aggregates and Their Growth and Separation Processes
Välinen Master’s Programme in Materials Research Polymer materials chemistry
Liu et al. Phase behavior of novel fluorinated surfactant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ang et al. Studies on syntheses and properties of novel polyamides containing phosphatidylcholine analogous moieties by interfacial polycondensation
SU1754203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катализатора анионной полимеризации лактамов
Meyer et al. Condensation Polymers with Controlle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