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448B1 - 자기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재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48B1
KR0126448B1 KR1019930023359A KR930023359A KR0126448B1 KR 0126448 B1 KR0126448 B1 KR 0126448B1 KR 1019930023359 A KR1019930023359 A KR 1019930023359A KR 930023359 A KR930023359 A KR 930023359A KR 0126448 B1 KR0126448 B1 KR 012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tude
signal
reproduction
frequency
equa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239A (ko
Inventor
도미시게 야쯔기
가쯔유끼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또무
Publication of KR94001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6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non self-clocking codes, i.e. the clock signals are either recorded in a separate clocking track or in a combination of several information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VTR등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성의 자유도의 개선, 이퀼라이저 특성의 최적화 및 반전여유도와 S/N비를 균형있게 확보하기 위해,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사용되는 이퀼라이저에 사용되는 지연선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이퀼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를 재생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또 이퀄라이저에 귀환회로 및 아래측 대역성분가산회로를 마련하고, 이들 양회로의 계수를 재생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또 이 제어감도를 모드별에 따라서 변환시키도록 구성하고,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를 재생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제어하는 것에 의해 재생신호레벨이 표준값보다 낮은 감자테이프를 재생한 경우에도 충분한 반전여유도를 확보할 수 있고, 이퀄라이저에 귀환회로를 마련하는것에 의해 주파수대역의 가변을 할 후 있어 자기테이프에 따라서 최적한 이퀄라이저 특성을 실현 할 수 있으며, 아래측 대역성분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아래측 대역성분만 제어할 수 있어 고출력테이프에 있어서 충분한 해상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VTR의 주요부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회로중의 HPF의 특성의 1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3도A∼제3도D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의 제어범위를 도시한 설명도.
제5도A∼제5도B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이퀄라이저 특성의 대역폭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하측 대역파 레벨의 제어를 실행했을 때의 이퀄라이저 특성의 1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7도A∼제7도B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이퀄라이저 특성의 하측 대역파 레벨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하측 대역파 레벨의 제어에 있어서의 FM재생신호의 엔벌로프검파전압과 하측 대역파성분 가산계수 K2의 관계의 1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한 표준모드만 조정을 실행하는 경우의 주요부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고출력 테이프에 있어서의 복조 비디오신호의 주파수특성의 개선효과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은 VTR(비디오 테아프 레코더) 등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생화질의 향상에 크게 공헌할 수 있는 VTR의 이퀄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VTR에 있어서 FM신호의 진폭 등화 등에 사용되는 이퀄라이저의 종래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부 평성 2-18755호를 들 수 있다. 이 선원의 공보중에는 RF이퀄라이저의 특성의 저역강조도를 재생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제어하는 것에 의해 자기테이프 및 비디오헤드에 반전현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지만, 개시되어 있는 회로는 단순한 코사인 이퀄라이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선원에 의한 종래기술에서는 이퀄라이저특성의 저역강조도를 재생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제어하는 것은 개시되어 있지만,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를 재생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제어하면서 반전여유도를 확보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가 되어 있지 않다. 또, 상기 선원공보의 실시예중에 개시되어 있는 회로는 단순한 코사인 이퀄라이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재생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는 특성의 자유도가 낮고 그 때문에 자유자재로 제어를 할 수 없고, 그 결과 원하는 특성이 얻어지지 않으며, 예를 들면 출력이 매우 작은 감자(感磁)테이프 등을 재생한 경우에 충분히 반전여유도를 확보할 수 없거나 또는 고출력 테이프에 있어서의 해상도의 개선량이 작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VTR의 이퀄라이저 특성의 자유도가 낮은 것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VTR의 이퀄라이저에 필요한 피크주파수의 가변, 주파수대역의 가변, 하측대역과 레벨의 가변을 실현하여 재생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더욱 정밀도좋게 이퀄라이저 특성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전여유도와 S/N비를 균형있게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퀄라이저에 사용되는 지연선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특성의 피크주파수를 재생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또, 코사인 이퀄라이저에 귀환회로와 하측 대역파성분 가산회로를 마련하고, 이 양회로의 계수를 재생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또, 이 제어감도를 모드별에 따라서 변화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를 재생신호의 진폭에 따라서 제어하는 것에 의해 재생신호레벨이 표준값보다 낮은 감자테이프를 재생한 경우에도 충분한 반전여유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코사인 이퀄라이저에 귀환회로를 마련한 것에 의해서, 주파수대역의 가변이 가능하여 자기테이프에 따라 최적한 이퀄라이저 특성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하측 대역파성분 가산회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하측 대역파성분만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져, 고출력 테이프에 있어서 충분한 해상도의 개선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1도∼제10도에 도시한 각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사용해서 VTR의 휘도신호 FM 이퀄라이저를 구성한 경우의 제1의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 회로블럭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자기테이프, (2)는 자기기록 재생헤드, (3)은 프리앰프(전치증폭기), (4)는 자기기록 재생헤드의 주파수특성을 소거하는 특성을 갖는 HPF(고역필터), (5)는 재생 FM신호의 엔벌로프레벨을 검출하는 엔벌로프검파회로, (6A), (6B),(6C)는 DC앰프, (7)은 이퀄라이저 특성의 주파수대역의 예리함 Q의 제어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이득조정용의 가변저항, (8)은 이퀄라이저 특성의 하측 대역파레벨의 제어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이득조정용의 가변저항, (9)는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의 제어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이득조정용의 가변저항, (10)은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의 제어범위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제한하기위한 리미터회로, (11)은 이퀄라이저 특성의 하측 대역파레벨의 제어범위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터회로, (12)는 가변 이퀄라이저를 구성하는 코사인 이퀄라이저(파형등화회로)이다. (13)은 코사인 이퀄라이저(12)의 입력단자, (14)는 코사인 이퀄라이저(12)의 출력단자, (15)는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의 제어단자, (16)은 이퀄라이저 특성의 하측 대역파레벨의 제어단자, (17)은 이퀄라이저 특성의 주파수대역의 예리함 Q의 제어단자, (18)은 FM신호의 진폭을 제한하여 위상정보만을 추출하는 FM리미터, (19)는 FM복조회로, (20)은 디엠퍼시스회로, 노이즈제거회로 등을 포함하는 VTR의 베이스밴드신호 처리회로계인 비디오신호 처리회로, (21)은 VTR의 비디오 출력단자이다. 또, 코사인 이퀄라이저(12)의 내부에 있어서(22),(27)은 아날로그신호의 감산기,(25),(28),(31)은 아날로그신호의 가산기, (23),(24)는 지연시간이 T인(f0=1/2(2T): f0은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 지연선, (26)은 1/2의 계수기, (30)은 값이 K2인 계수기, (32)는 값이 K1인 계수기, (29)는 FM신호의 하측 대역파성분을 추출하는 LPF(저역필터)이다.
다음에, 제1도의 회로의 신호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자기테이프(1) 및 자기기록 재생헤드(2)에서 얻어진 재생 FM신호는 프리앰프(3)에 의해 신호처리가능한 레벨까지 증폭된다. 이 재생 FM신호는 2개로 분리되고, 우선 한쪽의 자기기록 재생헤드(2)의 주파수특성을 소거하는 특성을 갖는 HPF(4)로 입력되어 재생 FM신호 진폭의 FM캐리어 주파수에 대한 의존성이 없어진다. 다음에, 이 신호의 진폭에 비례한 DC전압이 엔벌로프 검파회로(5)에 의해서 추출되고,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의 제어를 실행하는 계(계A), 하측 대역파레벨의 제어를 실행하는 계(계B), 주파수대역의 예리함 Q의 제어를 실행하는 계(계C)로 분리된다.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 제어를 실행하는 계(계A)에 있어서는 FM신호진폭에 비례한 DC전압이 DC앰프(6A)에 의해 증폭되고, 또 자기기록 재생헤드(2) 및 프리앰프(3)의 이득의 편차가 이득조정용 가변저항(9)에 의해 소거된 후 피크주파수의 제어단자(15)에 부가된다. 마찬가지로, 하측 대역파레벨의 제어를 실행하는 계(계B)에 있어서는 DC앰프(6B), 이득조정용 가변저항(8), 이퀄라이저 특성의 하측 대역파레벨의 제어단자(16)에 DC전압이 부가된다. 또, 주파수대역의 예리함 Q의 제어를 실행하는 계(계C)에 있어서는 DC앰프(6C), 이득조정용 가변저항(7)을 거쳐서 이퀄라이저 특성의 주파수대역의 예리함 Q의 제어단자(17)에 DC전압이 부가된다. 여기에서, DC앰프(6A),(6B),(6C)는 회로정수가 각각 다르다.
한편, 프리앰프(3)에서 얻어진 재생 FM신호는 AGC회로(33)에 의해 FM신호의 재생레벨의 편차가 억압되어 코사인 이퀄라이저(12)의 입력단자(13)에 부가된다. 다음에, 코사인 이퀄라이저(12)에 의해 자기기록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영역에 있어서의 진폭저하나 위상왜곡이 제거되어 출력단자(14)에서 추출된다. 출력단자(14)로부터의 동화된 FM신호는 FM리미터(18), FM복조회로(19)에 의해 비디오신호가 얻어지고, 비디오신호 처리회로(20)에 의해 디엠퍼시스, 노이즈제거 등의 신호처리를 실행한 후 비디오 출력단자(21)에서 재생 비디오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코사인 이퀄라이저(12) 내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코사인 이퀄라이저(12)내의 지연선(23),(24), 가산기(25) 및 1/2계수기(26), 그리고 감산기(27)로 구성되는 회로는 코사인 이퀄라이저 또는 트랜스버셜필터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사인 이퀄라이저(12)의 회로는 상기의 코사인 이퀄라이저 또는 트랜스버셜필터에 값이 K1인 계수기(32) 및 감산기(22)로 구성되는 귀환회로(계C), 가산기(28),(31) 및 값이 K2인 계수기(30) 및 LPF(29)로 구성되는 하측 대역파성분 가산회로(계B)를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귀환회로(계C)는 계수기(32)의 K1의 값을 가변하는 것에 의해서 이퀄라이저 특성의 주파수대역의 예리함 Q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고, 또 상기 하측 대역파 성분 가산회로(계B)는 계수기(30)의 K2의 값을 가변하는 것에 의해서 이퀄라이저 특성의 하측대역파레벨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의 코사인 이퀄라이저(12)는 제어단자(15)(계A)의 단자전압에 의해 지연선(23),(24)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이 특성의 피크주파수의 제어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단자전압과 이퀄라이저 특성의 관계는 제어단자(17)(계C)의 전압을 증가시키면 귀환회로의 계수기(32)의 K1의 값이 작아지고, 귀환량이 감소해서 이퀄라이저 특성의 주파수대역의 예리함Q가 떨어지고, 그 결과 주파수대역이 넓어지게 된다. 또, 제어단자(16)(계B)이 전압을 증가시키면 하측 대역파성분 가산회로에 있어서의 계수기(30)의 K2의 값이 증가하고, 이퀄라이저 특성의 하측 대역파영역의 이득이 상승하게 된다. 또, 제어단자(15)(계A)의 전압을 증가하면, 지연선(23),(24)의 길이가 늘어나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가 작아진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프리앰프(3)에서 얻어진 재생 FM신호의 엔벌로 프레벨이 증가하면 그것에 비례해서 (15),(16),(17)의 각 제어단자의 전압이 증가하도록 설정하고 있으므로 재생 FM신호 진폭이 비교적 큰 자기기록테이프를 재생했을 때에는 (15),(16),(17)의 각 제어단자의 전압이 증가해서 이퀄라이저 특성의 주파수대역이 넓어져 하측 대역파영역의 이득이 상승하고 그 결과 피크주파수가 작아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3개의 제어단자(15)(계A), 단자(16)(계B), 단자(17)(계C)에 대해서 재생 FM신호의 엔벌로프레벨의 검출신호를 사용해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이 경우, 계B-계A-계C 의 순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계A, 계B, 계C를 동시에 제어할 수가 있다. 그러나, 3개의 제어단자(15)(16)(17)중의 2개를 고정단자로 해서 엔벌로프레벨의 검출을 실행하지 않고 단자에 부여하고, 나머지 1개의 단자만을 단독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리미터회로(10), (11)은 DC앰프(6A),(6B),(6C)에 그 특성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DC앰프(6A),(6B),(6C)는 엔벌로프 검파회로(5)의 이득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득조정용의 가변저항(7),(8),(9)는 일괄해서 엔벌로프 검파회로(5)와 DC앰프(6A),(6B),(6C) 사이에 마련해도 좋다. 또, 엔벌로프 검파회로(5)와 HPF(4)사이에 마련해도 좋다.
다음에, 제2도에 있어거 제1도중의 HPF(4)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가정용 VTR의 VHS(NTSC)규격에 적용한 경우의 재생 FM신호의 주파수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규격에 있어서 비디오신호는 싱크선단이 3.4MHz, 백(白)피크가 4.4MHz로 규정되어 있고, 입력 비디오 신호가 흑(黑)신호인 경우 3.7MHz로 되므로 이 사이의 700kHz를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자기테이프(1), 자기기록 재생헤드(2), 프리앰프(3)에서 얻어지는 재생 FM신호의 주파수특성(34)를 통과했을 때 비디오신호에 의존해서 재생 FM신호의 진폭이 변화하므로, 그의 엔벌로프 검파전압도 변화해서 상기 이퀄라이저 특성의 제어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특성선(35)와 같은 HPF특성을 갖는 필터(HPF(4))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는 특성선(36)과 같은 평탄한 특성을 실현할 수 있어 이퀄라이저 특성의 제어를 안정하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특징인 상기 3개의 제어단자(15),(16),(17)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3도A∼제3도D는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의 제어방법(계A)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으로서, 특히 제3도A에는 자기테이프(1), 자기기록 재생헤드(2), 프리앰프(3)에서 얻어지는 재생FM신호의 스펙트럼, 제3도B에는 이퀄라이저 특성, 제3도C에는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값보다 높은 경우의 등화후의 스펙트럼, 제3도D에는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값보다 낮은 경우의 등화후의 스펙트럼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표준값이라는 것은 시장에 출회하고 있는 자기테이프(1)의 기록재생출력의 중심값을 의미한다.
또,(37)은 FM신호의 캐리어성분, (38)은 제1의 하측 대역파성분,(39)는 제1의 상측 대역파성분, (40)은 재생 FM신호 진폭이 비교적 큰 자기기록테이프를 재생했을 때의 이퀼라이저 특성, (41)은 재생 FM신호진폭이 비교적 작은 자기기록테이프를 재생했을 때의 이퀄라이저 특성이다. 또, 제3도B중에서 f1,f2는 각각 특성선(40)(표준값보다 높은 경우), (41)(표준값보다 낮은 경우)의 피크주파수이다.
제3도A에 도시한 자기기록 재생계에서 얻어지는 재생 FM신호를 정확하게 복조하기 위해서는 제3도B와 같은 FM신호의 캐리어신호 주파수보다 조금 높은 주파수에 피크를 갖는 이퀄라이저 특성에 의해 고역의 진폭저하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코사인 이퀄라이저(12)의 피크주파수 f1,f2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먼저, 피크주파수를 FM신호의 백피크주파수(VHS에서는 4.4MHz)에 근접하도록 비교적 낮게 설정하면 FM신호의 중심캐리어(37)을 강조하고, 중심캐이어(37)의 주변의 노이즈는 억압되므로 FM복조후의 비디오 신호 S/N은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중심캐리어(37)상의 주파수에 위치하는 상측 대역파(39)의 진폭되 증심캐이어(37)에 대해서 저하하므로, 하측 대역파(38)과 중심캐리어(37) 및 상측 대역파(39)의 균형이 무너져 반전형상에 대한 여유도가 감소해 버린다. 또, 반대로 피크주파수를 FM신호의 백클립(VHS에서는 5.4MHz)에 근접하도록 높게 설정하면, 상기와는 반대로 상측 대역파(39)의 진폭이 증가하여 반전현상에 대한 여유도를 취할 수는 있지만, 반면 중심캐이어(37)이 주변의 노이즈에 대해서 억제되기 때문에 복조 비디오 신호의 S/N이 나빠진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상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즉, 먼저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FM캐이어 C/N이 높아 반전현상에 대한 여유도가 있으므로, 피크주파수를 f1과 같이 저하시키고, 제3도C의 스펙트럼과 같이 캐리어성분(37)을 중심으로 피킹해서 복조 비디오신호의 S/N을 우선시킨다. 반대로,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FM캐리어의 C/N이 낮아 반전현항에 대한 여유도가 적어지므로, 제3도D의 스펙트럼과 같이 백클립부근의 주파수를 피킹해서 반전현상에 대한 여유도를 우선시키도록 한다.
다음에, 피크주파수의 최소값 f1, 피크주파수의 최대값 f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의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의 제어범위는 최소값 f1 백피크주파수이며, 또한 최대값 f2 백피크주파수로 할 필요가 있다. 이 이유로서는 최소값 f1백피크주파수(4.4MHz)로 된 경우는 자기기록 재생계의 주파수특성에서 극단적으로 백클립주파수 부근의 재생레벨이 저하하여 용이하게 반전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또, 최대값 f3백피크주파수로 된 경우에는 재생신호의 대역 밖의 주파수를 피킹하게 되므로, 극단적으로 복조 비디오신호의 S/N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엔벌로프 검파전압-이퀄라이저 피크주파수의 특성을 갖는 리미터회로(10)을 제1도의 시스템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제5도A, 제5도B는 이퀄라이저 특성의 주파수대역의 예리함 Q의 제어방법(계C)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3도C 및 제3도D와 마찬가지로 등화후의 FM신호의 스펙트럼이다.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술한 반전형상에 대한 여유도는 충분히 있으므로, 제5도A와 같이 이퀄라이저의 주파수대역의 예리함 Q를 떨어뜨려 대역을 넓게 하고 FM캐리어(37)에 대해서 제1의 하측 대역파성분(38)을 상승시켜 복조 비디오신호의 해상도를 개선하고 있다. 또,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반대로 제5도B와 같이 이퀄라이저의 주파수대역이 예리함 Q를 상승시켜 대역을 좁게 하고 FM캐리어(37)에 대해서 제1의 하측 대역파성분(38)을 저하시켜 반전현상에 대한 여유도를 확보하고 있다.
제6도, 제7도A 및 제7도B는 이퀄라이저 특성의 하측 대역파레벨의 제어방법(계B)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제6도에 있어서 (42)는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값보다 높은 경우의 이퀄라이저 특성, (43)은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값보다 낮은 경우의 이퀄라이저 특성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제1도의 회로중의 코사인 이퀄라이저(12)에 있어서는 제어단자(16)의 전압을 가변하는 것에 의해서, (42)에서 (43)의 특성 사이의 공간영역 D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다. 이때, (43)의 특성을 실현하는 계수기 K2의 값은 0으로서, 일반적인 코사인 이퀼라이저와 동일하다. 또, (42)의 특성을 실현하는 계수기 K2의 값은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0이다. 제7도A 및 제7도B는 제5도A 및 제5도B와 마찬가지로, 등화후의 FM신호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작으로서는 제5도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7도A에 있어서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술한 반전현상에 대한 여유도는 충분히 있으므로, 특성 (42)와 같이 저역측의 이득을 상승시켜 제1의 하측 대역파성분(38)의 캐리어에 대한 레벨을 상승시켜 복조 비디오신호의 해상도를 개선하고 있다. 또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5도B와 마찬가지로 제7도B에 있어서 이퀄라이저의 주파수대역을 좁게 하고 FM캐리어(37)에 대해 제1의 하측 대역파성분(38)을 저하시켜 반전현상에 대한 여유도를 확보하고 있다.
제8도는 이퀄라이저 특성의 하측 대역파레벨의 제어(계B)에 있어서의 FM재생진호의 엔벌로프 검파전압과 하측 대역파성분 가산계수 K2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44)는 테이프속도가 표준인 경우의 특성, (45)는 테이프속도가 3배인 경우의 특성이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자기테이프의 품질에 따라서 감자한 일반(normal)테이프, 통상기록재생을 실행한 일반테이프, HG(하이그레이드)테이프, S-VHS(단, VHS기록)테이프의 순으로 다른 엔벌로프 검파전압이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기록재생을 실행한 일반테이프를 표준출력의 테이프로 하고 있으므로, 감자한 일반 테이프를 재생한 경우에는 하측 대역파 성분 가산계수 K2의 값이 저하하고, 제7도B와 같이 이퀄라이저의 주파수대역을 좁게 하고 반전현상에 대한 여유도를 확보하여 노이즈가 적은 안정된 비디오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 HG테이프에 있어서는 계수 K2의 값이 증가하고, 제7도A와 같이 이퀄라이저 주파수대역을 넓게 하고, 하측 대역파성분의 캐리어에 대한 레벨을 상승시켜 복조 비디오신호의 해상도를 통상 기록재생을 실행한 일반테이프보다 개선하고 있다.
또,S(super)-VHS(단, VHS기록)테이프를 재생한 경우에는 그의 고출력 특성에 의해 더욱 높은 엔벌로프 검파전압이 얻어지지만, 제8도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계수 K2의 값을 예를 들면 2.0값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것은 계수 K2의 값이 너무 증가해서 하측 대역파성분의 캐리어에 대한 레벨이 너무 상승해서 복조 비디오신호의 주파수특성의 균형이 무너져 화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계수 K2의 값을 제한하는 특성은 제1도의 회로와 같이 리미터회로(11)에 의해서 실현해도 좋지만, DC앰프회로의 전원전압에 의한 제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특성(45)쪽이 (44)보다 FM재생신호의 엔벌로프 검파 전압의 변화에 대한 하측 대역파성분 가산계수 K2의 변화를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 이유로서는 3배 모드쪽이 표준모드보다 계수 K2의 값이 증가해서 하측 대역파성분의 캐리어에 대한 레벨을 증가시켰을 때 FM신호의 저역에 발생하는 인접트랙으로부터의 방해를 받기 쉽기 때문이다. 또, 이와같이, 3배 모드의 제어감도를 표준모드보다 낮게 설정해 두면, 비교적 복조 비디오신호의 주파수특성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표준모드에 있어서 제어감도 편차의 조정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3배 모드의 조정은 실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제9도에 상기의 표준모드만 조정을 실행한 경우의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한다. 제9의 회로는 제1도와 회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동일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46)은 감쇄기, (47)은 표준모드와 3배 모드의 전환스위치이다. 제9도에 있어서 자기기록 재생헤드(2), 프리엠프(3)의 편차를 흡수하기 위해서 마련된 이득조정용의 가변저항(8)은 우선 표준모드로 조정된다. 한편 3배모드에 있어서는 감쇠기(46)에 의해 이득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3배 모드용의 자기기록 재생헤드, 프리엠프와 표준모드의 자기기록 재생헤드, 프리앰프 사이에 이득차가 있어도 가변 이퀄라이저(12)에 부가하는 제어전압에는 거의 영향이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조정개소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제9도에 있어서는 VHS규격의 NTSC방식에대해서 기술했지만, PAL방식에 있어서의 SP(표준모드), LP(2배모드)에도 응용할 수가 있다. 또, NTSC/PAL의 양방식에 대응한 멀티방식에 있어서 PAL모드에서는 조정을 실행하고, NTSC는 조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를 이용한 경우의 고출격 테이프에 있어서의 복조 비디오신호의 주파수특성을 개선한 효과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실선(48)은 통상기록재생을 실행한 일반테이프를 재생했을때의 주파수특성, 점선(49)는 HG테이프로 대표되는 고출력 테이프를(48)의 특성과 같은 이퀄라이저 특성으로 재생했을 때의 주파수특성, 1점쇄선(50)은 고출력 테이프를 제1도의 실시예를 사용해서 이퀄라이저 특성을 재생 FM신호의 엔벌로프에 따라서 최적화한 경우의 주파수특성이다. 일반적으로, 고출력 테이프에 있어서는 단파장영역의 출력특성이 우수하고, FM신호로서는 고주파성분이 강조된다. 이 때문에, 하측 대역파성분과 캐리어의 레벨비는 일반테이프보다 캐리어가 크게 출력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점선(49)의 특성과 같이 고출력 테이프의 재생출력이 일반테이프보다 주파수특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고출력 테이프의 재생출력이 일반테이프보다 커지는 것을 이용해서 이퀄라이저 특성을 가변하여 1점쇄선(50)의 특성과 같이 주파수특성을 고역으로 될수록 상승시켜 해상도를 개선하고 고출력 테이프가 갖는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 전부 FM신호치리계의 제어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이것을 비디오신호 처리계와 조합해서 재생영상에 대한 효과를 높이는 방법도 고려된다. 예를 들면 제1도의 엔벌로프 검파회로(5)의 출력을 또 추출해서, 비디오신호 처리회로(20)중의 노이즈 제거회로나 개구(aperture)보정회로에 사용하면 좋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VHS방식에 대해서 주로 기술했지만, 본 발명을 S-VHS방식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이 경우 VHS방식에 비해 보다 단파장의 기록을 실행하는 S-VHS방식에서는 자기테이프의 감자 등이 발생하기 쉬으므로 본 발명의 효과는 한층 높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퀄라이저 특성의 피크주파수를 재생출력에 따라서 가변할 수 있으므로, 재생출력이 표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반전여유도를 충분히 얻을 수 있고 또한 재생출력이 표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복조 비디오신호의 S/N을 우선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서 실현 할 수 없었던 반전여유도와 S/N을 양쪽 모두 균형있게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코사인 이퀄라이저에 귀환회로와 하측 대역파회로를 마련한 것에 의해서, 종래 기술에서는 실현할 수 없었던 이퀄라이저 특성의 자유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예를들면 HG테이프 등의 고출력 테이프를 사용했을 때 대폭으로 비디오신호의 해상도를 개선할 수가 있다. 또, 표준, 3배 등의 다른 테이프속도를 갖는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모드에 적합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어 해상도와 노이즈 균형이 취해진 양호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자기테이프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검파회로(5)와 상기 검파회로의 출력전압에 의해서 진폭주파수 특성의 피크점을 제어할 수 있는 파형등화회로(6A,9,10,23,24)를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신로의 진폭이 표준재생값보다 높을 때는 상기 진폭주파수툭성의 피크점 주파수를 낮게하고, 상기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재생값보다 낮을 때는 상기 진폭주파수특성의 피크점 주파수를 높게 하며, 또한 상기 파형등화회로(6A,9,10,23,24)를 FM신호의 진폭등화에 사용하고, 상기 진폭주파수특성의 피크점주파수의 최저값이 상기 FM신호의 백피크주파수보다 낮게 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수단 및 상기 진폭주파수특성의 피크점주파수의 최고값이 상기 FM신호의 백클립 주파수보다 높게 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수단을 마련한 자기기록 재생장치.
  2. 자기테이프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검파회로(5)와 종속접속된 제1의 지연수단(23)과 제2의 지연수단(24) 및 상기 제1의 지연수단의 출력에서 상기 제1의 지연수단의 입력으로 귀환하는 귀환경로(22,32)갖고, 상기 검파회로(5)의 출력전압에 의해서 상기 귀환경로(22,32)의 귀환계수 K1을 제어할 수있는 파형등화회로를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재생값보다 높을때는 상기 귀환경로의 귀환계수를 작게하고, 상기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재생값보다 낮을 때는 상기 귀환경로의 귀환계수를 크게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3. 자기테이프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검파회로(5), 종속접속된 제1의 지연수단(23)가 제2의 지연수단(24), 상기 제1의 지연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2의 지연수단의 출력을 가산하는 수단(25), 상기 제1의 지연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2의 지연수단의 출력을 감산하는 수단(27) 및 상기 가산, 감산출력을 가산계수 K2를 사용해서 가산하는 수단(30)을 갖고, 상기 검파회로(5)의 출력전압에 의해서 상기 가산계수 K2를 제어할 수 있는 파형등화회로(12)를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재생값보다 높을 때는 상기 가산계수 K2를 크게 하고,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재생값보다 낮을 때는 가산계수 K2를 작게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등화회로(12)를 FM신호의 진폭등화에 사용하고, 재생된 상기 FM신호의 진폭을 증폭하는 프리앰프(3)의 출력단자와 파형등화회로(12)의 입력단자 사이에 진폭주파수특성이 자기기록 재생헤드(2)의 진폭주파수특성을 소거하는 진폭주파수특성을 갖는 필터(4)를 마련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등화회로(12)를 FM신호의 진폭등화에 사용하고, 재생된 상기 FM신호의 진폭을 증폭하는 프리앰프(3)의 출력단자와 파형등화회로(12)의 입력단자 사이에 진폭주파수특성이 자기기록 재생헤드(2)의 진폭주파수특성을 소거하는 진폭주파수특성을 갖는 필터(4)를 마련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등화회로(12)를 FM신호의 진폭등화에 사용하고, 재생된 상기 FM신호의 진폭을 증폭하는 프리앰프(3)의 출력단자와 파형등화회로(12)의 입력단자 사이에 진폭주파수특성이 자기기록 재생헤드(2)의 진폭주파수특성을 소저하는 진폭주파수특성을 갖는 필터(4)를 마련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등화회로(12)를 FM신호의 진폭등화에 사용하고, 상기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재생값보다 높을 때만 상기 가산계수 K2의 최대값을 표준재생값의 2배로 제한하고,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재생값보다 낮을 때는 제한하는 일없이 상기 검파회로(5)의 출력전압에 비례해서 상기 가산계수 K2를 작게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등화회로(12)를 FM신호의 진폭등화에 사용하고, 상기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재생값이하의 자기테이프를 재생했을 때의 FM복조후의 주파수특성에 비해서 상기 재생신호의 진폭이 표준재생값 이상인 자기테이프를 재생했을 때는 FM복조후의 주파수특성이 비디오신호의 고역에서 상승하도록 상기 가산계수 K2를 제어하는 수단(6B,8,11)을 마련한 자기기록 재생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등화회로(12)를 FM신호의 진폭등화에 사용하고, 또 자기테이프(1)로부터의 출력이 큰 제1의 재생모드와 자기테이프(1)로부터의 출력이 작은 제2의 재생모드를 마련해서 상기 검파회로(5)의 출력전압의 변화에 대산 상기 가산계수 K2의 변화를 제1의 재생모드에 비해서 제2의 재생모드에세는 작게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1의 재생모드 또는 제2의 재생모드 중 어느 한쪽의 재생모드에 있어서 재생 FM신호의 진폭변화에 대한 진폭검파회로(5)의 출력전압의 변화를 조정하고, 나머지 한쪽의 재생모드에 있어서는 조정을 실행하지 않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KR1019930023359A 1992-11-12 1993-11-05 자기기록 재생장치 KR0126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02473 1992-11-12
JP4302473A JP2901114B2 (ja) 1992-11-12 1992-11-12 磁気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239A KR940012239A (ko) 1994-06-23
KR0126448B1 true KR0126448B1 (ko) 1997-12-26

Family

ID=1790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359A KR0126448B1 (ko) 1992-11-12 1993-11-05 자기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901114B2 (ko)
KR (1) KR0126448B1 (ko)
CN (1) CN108833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239A (ko) 1994-06-23
JPH06150538A (ja) 1994-05-31
JP2901114B2 (ja) 1999-06-07
CN1088339A (zh) 199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54734B1 (en) Non-linear amplifier and non-linear emphasis/deemphasis circuit using the same
JPS6151346B2 (ko)
JPH0241951B2 (ko)
JPH0498602A (ja) 再生装置
KR920010187B1 (ko) 자기 재생장치
US4556917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video and sound
KR0126448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H0341882B2 (ko)
US5067026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video signal
US5182520A (en) Non-linear de-emphasis circuit
JPS63133357A (ja) 信号処理回路
JPH0215464A (ja) 磁気録画再生装置
JP3139050B2 (ja) Fm等化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JP2833932B2 (ja) ノンリニアエンファシス回路
JP3125837B2 (ja) Fm等化回路を備えた磁気記録再生装置
JP2674401B2 (ja) 画像再生装置
JP2805628B2 (ja) 白ピーク反転現象補償回路
JPS63133358A (ja) 信号処理回路
JPS5946047B2 (ja) 反転現象補正回路
JP3013482B2 (ja) Fm等化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JP2533107B2 (ja) 再生fm信号のリミツタ処理回路
JPH077335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96868A (ja) 記録情報再生装置
JPH08205191A (ja) フィルタ回路
JPH05325406A (ja) 情報信号の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