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392B1 -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392B1
KR0123392B1 KR1019950005539A KR19950005539A KR0123392B1 KR 0123392 B1 KR0123392 B1 KR 0123392B1 KR 1019950005539 A KR1019950005539 A KR 1019950005539A KR 19950005539 A KR19950005539 A KR 19950005539A KR 0123392 B1 KR0123392 B1 KR 0123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d
spiral spring
link
trun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642A (ko
Inventor
김세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0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392B1/ko
Publication of KR960034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상부 패널(2)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탄성수단인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100)와, 제1 및 제2링크부(210,220)로 구성되어 상호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100)의 스파이어럴 스프링(110) 외측단에 제1링크부(210)의 일단이 고정되고 제2링크부(220)의 타단은 트렁크 리드(1)의 힌지 바우(20)에 힌지결합된 연결수단인 링크조립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 차량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토오크 로드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렁크 리드, 2 : 상부 패널,
3 : 힌지결합부, 10 : 브라켓,
20 : 힌지 바우, 30 : 토오크 로드,
100 :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 110 : 스파이어럴 스프링,
120 : 브라켓, 200 : 링크 조립체,
210 : 제1링크부, 220 : 제2링크부.
본 발명은 스파이어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링크가 회전되어 트렁크 리드를 열 수 있도록 구성시킨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 내측의 지지 브라켓(10)과 트렁크 리드(1)의 양측에 부착된 힌지 바우(20) 사이에 2개의 토오크 로드(30)가 일정량 이상 비틀린 상태로 설치되어, 트렁크 리드(1)를 걸고 있는 미도시된 로킹장치가 해제되게 되면 상기 토오크 로드(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트렁크 리드(1)가 열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오크 로드(30)의 일단을 힌지 바우(20)에 끼운 후, 토오크 로드(30)의 타단을 트렁크 내측의 지지브라켓(10)에 비틀어 끼우기 위한 별도의 특수공구를 필요로 했었고, 토오크 로드(30)를 비트는 작업에 힘을 많이 필요로 했었으며, 토오크 로드(30)를 비틀어 끼울때, 토오크 로드(30)가 공구로부터 이탈되어 튕기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될 염려가 없지 않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트렁크 리드의 개폐작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의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렁크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트렁크 리드의 힌지 바우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트렁크 리드의 힌지 바우에 전달하도록 중간부가 힌지결합된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상부 패널(2)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탄성수단인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100)와, 제1 및 제2링크부(210,220)로 구성되어 상호 힌지결합되고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100)의 스파이어럴 스프링(110) 외측단에 제1링크부(210)의 일단이 고정되고 제2링크부(220)의 타단은 트렁크 리드(1)의 힌지바우(20)에 힌지결합된 연결수단인 링크조립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트렁크 리드(1)의 양측 힌지 바우(20)에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100) 및 링크조립체(200)를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한 것이다.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100)의 스파이어럴 스프링(110)은 그 내측단이 트렁크 내부의 상부 패널(2)에 부착된 브라켓(120)에 고정된 상태이며, 스파이어럴 스프링(110)의 외측단은 자유상태로 링크조립체(200)의 제1링크부(210) 일단에 부착된다.
상기 링크조립체(200)의 제1링크부(210)는 스파이어럴 스프링(110)의 외측단에 부착된 상태로 브라켓(120)에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링크조립체(200)의 제2링크부(220) 일단은 트렁크 리드(1)의 힌지 바우(20)에 힌지결합시키되 트렁크 내부의 상부 패널(2) 외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스파이어럴 스프링(110)의 회전력을 최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힌지결합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스파이어럴 스프링(110)은 트렁크 리드(1)가 열린 상태에서는 변형된 상태가 아닌 풀린 상태 즉, 회전력이 인가되지 않은 풀려진 상태가 되도록 하고, 트렁크 리드(1)를 닫게 되면 스파이어럴 스프링(110)이 감겨지도록 하여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트렁크 리드(1)가 열린 상태부터 설명하면, 트렁크 리드(1)가 열린 상태에서는 전기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1)의 힌지 바우(20)에 연결된 링크조립체(200)의 제2링크부(220)는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100)의 스파이어럴 스프링(110) 외측단에 고정부착된 상태이며, 이때에는 스파이어럴 스프링(110)이 풀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트렁크 리드(1)를 닫게 되면 트렁크 리드(1)의 힌지 바우(20)는 트렁크의 내부 상부 패널(2)의 힌지결합부(3)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힌지 바우(20)에 힌지결합된 링크조립체(200)의 제2링크부(220)도 따라서 회전하게 되면서 링크조립체(200)의 제1링크부(210)도 스파이어럴 스프링(110)의 외측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스파이어럴 스프링(110)이 감겨지게 되면서 트렁크 리드(1)가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트렁크 리드(1)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스파이어럴 스프링(110)이 풀리려 하는 탄성복원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며, 본 발명과는 별도로 구비된 록킹장치를 해제시켜 트렁크 리드(1)를 열게 되면,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110)이 시계방향으로 풀리게 되면서 링크조립체(200)의 제1링크부(21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서 링크조립체(200)의 제2링크부(220)도 회전하게 되면서 트렁크 리드(1)의 힌지 바우(20)를 밀게 됨으로써 힌지 바우(20)가 힌지결합부(3)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트렁크 리드(1)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는, 트렁크 내부의 상부 패널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 외측단에 링크조립체의 제1링크부 일단이 고정되고 제2링크부의 타단은 트렁크 리드의 힌지 바우에 힌지결합되어 스파이어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링크조립체가 회전되어 트렁크 리드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를 트렁크 내부의 상부 패널에 부착하고 링크조립체를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와 트렁크 리드의 힌지 바우 사이에 연결시키면 되기 때문에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장착작업이 단순하고 힘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특수공구가 필요없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트렁크 리드는 스파이어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개폐되게 됨으로써 개폐작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상부 패널(2)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수단인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110)와, 제1 및 제2링크부(210,220)로 구성되어 상호 힌지결합되고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 조립체(100)의 스파이어럴 스프링(110) 외측단에 제1링크부(210)의 일단이 고정되고 제2링크부(220)의 타단은 트렁크 리드(1)의 힌지 바우(20)에 힌지결합된 연결수단인 링크조립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1019950005539A 1995-03-17 1995-03-17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012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5539A KR0123392B1 (ko) 1995-03-17 1995-03-17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5539A KR0123392B1 (ko) 1995-03-17 1995-03-17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642A KR960034642A (ko) 1996-10-24
KR0123392B1 true KR0123392B1 (ko) 1997-12-05

Family

ID=1940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539A KR0123392B1 (ko) 1995-03-17 1995-03-17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836B1 (ko) * 2017-10-25 2022-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642A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8667B1 (en) Tailgate folding device of automotive vehicle
KR0123392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101198624B1 (ko) 단일화된 트렁크 리드 힌지 토션바
JP3254536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リッド用蝶番装置
KR0115642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200146728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힌지구조
KR100482678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0115641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19980034155A (ko)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트렁크 리드의 개폐구조
KR20230144292A (ko) 차량의 도어 연결 장치
KR960005217Y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손잡이 겸용 도어핸들
KR0131137Y1 (ko) 승용차용 박스의 힌지장치
KR200146226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KR20020050342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카고스크린 연동구조
JP3251139B2 (ja) リッドの開閉装置
KR100199494B1 (ko) 버스 폴딩 도어의 가이드 롤러 지지구조
KR0149291B1 (ko) 트렁크 리드 힌지의 소음 저감구조
KR940006293Y1 (ko) 오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KR0120271Y1 (ko) 힌지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 체커
KR0130615Y1 (ko) 버스에 장착된 사이드 도어의 개폐구조
JP2507444Y2 (ja) 蝶番装置
KR100783947B1 (ko) 리어 플랩 도어 마운팅장치
JP3655261B2 (ja) 車両用チルト窓開閉装置
KR0131113Y1 (ko) 자동차 사물함박스내의 컵홀더장치
JPS5865883A (ja) 二軸式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