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436Y1 -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436Y1
KR0121436Y1 KR2019950027336U KR19950027336U KR0121436Y1 KR 0121436 Y1 KR0121436 Y1 KR 0121436Y1 KR 2019950027336 U KR2019950027336 U KR 2019950027336U KR 19950027336 U KR19950027336 U KR 19950027336U KR 0121436 Y1 KR0121436 Y1 KR 0121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per arm
windshield glass
safety device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7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241U (ko
Inventor
김정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27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436Y1/ko
Publication of KR9700132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2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88Wiper arrangement for crash protection or impact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윈드 쉴드 글래스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시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와이퍼 아암이 초기위치로 복원될 때 윈드 쉴드 글래스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시킬 수 있도록 와이퍼 아암 일끝에 충격흡수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윈드 쉴드 글래스에 충돌되는 와이퍼 아암의 충격력을 흡수하여 윈드 쉴드 글래스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인체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와이퍼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와이퍼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루프 트림 11:카울 탑 커버
12:원드 쉴드 글래스 13:와이퍼 링케이지
14:와이퍼 모터 15:프레임
16:브라켓트 17:회전축
18:실링 캡 19:와이퍼 아암
20:와이퍼 블레이드 21:스프링
30, 40:충격흡수부재 30a, 40a:절곡부
41:고정보울트 42:너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시 와이퍼 아암에 의한 윈드 쉴드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와이퍼는 우천시 또는 먼지 등의 경미한 이물질이 윈드 쉴드 글래스면에 묻어 있을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기능 스위치를 온시키면, 온 신호를 입력받아 와이퍼 어셈블리가 작동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계를 확보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트럼(roof trim)(10)과 카울 탑 커버(11) 사이에 윈드 쉴드 글래스(12)가 어퍼(upper) 및 사이드(side) 몰딩(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카울 탑 커버(11) 상면에는 좌, 우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이 가능한 와이퍼 링케이지(13)가 위치되며, 와이퍼 링케이지(13) 일끝단에는 다기능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와이퍼 링케이지(13)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와이퍼 모터(14)가 장착된다.
또한, 와이퍼 링케이지(13)에는 직선운동을 회동운동으로 변경시키는 프레임(15)이 결합되며, 이 프레임(15) 일끝은 다수개의 고정부재로 고정된 브라켓트(16)에 체결되고, 프레임(15)의 다른 일끝에는 회전축(17)이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17)에는 실링 캡(18)에 의해 고정된 와이퍼 아암(19)이 끼워져 프레임(15)의 회전에 따라 소정각도로 회전되고, 와이퍼 아암(19) 일단부에는 고무재질로 제작된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장착되며, 와이퍼 아암(19) 내에는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윈드 쉴드 글래스(12)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스프링(21)이 내설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와이퍼 어셈블리는, 윈드 쉴드 글래스(12)면에 묻어 있는 빗방울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다기능 스위치를 온시키면 와이퍼 모터(14)가 회전되면서 카울 탑커버(11) 상면에 위치된 와이퍼 링케이지(13)가 직선왕복이동을 개시한다.
그후, 브라켓트(16)에 체결된 프레임(15)이 와이퍼 링케이지(13)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경시키면서 회전축(17)을 회전시키고, 회전축(17)에 끼워진 와이퍼 아암(19) 및 이에 장착된 와이퍼 블레이드(20)가 회전되면서 윈드 쉴드 글래스(12)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와이퍼 아암(19)에 내설된 스프링(21)에 의해 윈드 쉴드 글래스(12)면에 밀착된 와이퍼 블레이드(20)의 밀착력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마모가 생겨 이를 교환시 와이퍼 아암을 세운 다음 와이퍼 블레이드를 분리하였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와이퍼 아암을 건드리면 인장된 스프링이 수축됨과 동시에 와이퍼 아암이 초기위치로 복원되면서 윈드 쉴드 글래스에 충돌하여 그 윈드 쉴드 글래스의 파손이 자주 발생됨은 물론 이에 따라 수리비가 추가로 책정되며, 특히 파손된 윈드 쉴드 글래스의 파편에 의해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퍼 아암 일끝에 충격흡수부재를 결합하여 마모 등이 생긴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시 윈드 쉴드 글래스에 충돌되는 와이퍼 아암의 충격력을 흡수하여 윈드 쉴드 글래스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인체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카울 탑 커버 상면에 직선왕복이동하는 와이퍼 링케이지가 위치되고 와이퍼 링케이지에는 윈드 쉴드 글래스면에 대해 상, 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와이퍼 아암이 실링 캡으로 고정되며 와이어 아암 일끝에 장착되어 윈드 쉴드 글래스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와이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시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와이퍼 아암이 초기위치로 복원될 때 윈드 쉴드 글래스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시킬 수 있도록 와이퍼 아암 일끝에 충격흡수부재가 클립이나 억지 끼워맞춤 내지는 걸림턱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도 충격흡수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와이퍼 어셈블리의 구성은 제1도와 동일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카울 탑 커버(11) 상면에는 와이퍼 모터(14)의 구동력에 의해 직선왕복이동 가능한 와이퍼 링케이지(13)가 장착되고, 와이퍼 링케이지(13) 일끝에는 회전축(17)이 고정된 프레임(15)이 체결되어 있으며, 회전축(17)에는 실링 캡(18)에 의해 고정된 와이퍼 아암(19)이 끼워진다.
상기 와이퍼 아암(19)에는 윈드 쉴드 글래스(12)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장착되고, 와이퍼 아암(19) 일끝에는 와이퍼 블레이드(20) 교환시 윈드 쉴드 글래스(12)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및 스폰지 등으로 제작된 충격흡수부재(30)가 감싸져 있으며, 충격흡수부재(30)는 충격력 흡수를 증대시키고 블레이드(20)가 장착되도록 U자 형상으로 절곡부(30a)가 절곡형성된다.
제3도의 원으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될 수도 있고 걸림턱(19')을 와이퍼 아암(19)의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그 충격흡수부재(30)가 더욱 견고하게 와이퍼 아암(19)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시가 생략된 클립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장착되는 와이퍼 아암(19) 일끝에 고무 또는 스폰지 재질로 된 충격흡수부재(40)가 고정보울트(41) 및 너트(42)로 고정되고, 충격흡수부재(40)는 윈드 쉴드 글래스(12)면에 충돌될 때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하여 윈드 쉴드 글래스(12)의 파손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절곡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안전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윈드 쉴드 글래스(12)면에 밀착되면서 상,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블레이드(20)의 마모 및 손상 발생시 이를 교환하기 위하여 와이퍼 아암(19)을 잡아당기면, 스프링(21)이 인장되면서 와이퍼 아암(19)이 윈드 쉴드 글래스(12)에 대해 직각을 이루면서 정지된다.
그후, 와이퍼 아암(19)에 장착된 와이퍼 블레이드(20)를 분리한 후 새로운 와이퍼 블레이드(20)로 교환한다. 이때, 와이퍼 블레이드(20) 교환작업도중 작업자의 부주의로 와이퍼 아암(19)을 건드리면 와이퍼 아암(19)은 스프링(21)의 압축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원되고, 이와 동시에 와이퍼 아암(19) 일끝에 고정된 충격흡수부재(30)(40)의 절곡부(30a)(40a)가 윈드 쉴드 글래스(12)면에 맞닿게 되므로 와이퍼 아암(19)의 회전에 따른 충격력을 충분하게 흡수하여 윈드 쉴드 글래스를 보호하게 된다.
비록, 본 고안에서는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를 와이퍼 아암 일끝에 클립이나 억지 끼워맞춤 내지는 걸림턱(19')에 의해 고정시켰지만, 와이퍼 아암이 끼워지는 회전축에 근접되록 고무재질로 된 스톱퍼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와이퍼 아암 일단부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에 의하면, 마모 등이 생긴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시 윈드 쉴드 글래스에 충돌되는 와이퍼 아암이 충격력을 흡수하여 윈드 쉴드 글래스의 판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인체상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충격흡수부재를 와이퍼 아암 일끝에 클립이나 억지 끼워맞춤 내지는 걸림턱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도 충격흡수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윈드 쉴드 글래스면에 대해 상, 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와이퍼 아암의 단부에 장착되어 윈드 쉴드 글래스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와이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시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와이퍼 아암이 초기위치로 복원될 때 윈드 쉴드 글래스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시킬 수 있도록 충격흡수부재(30)가 클립에 의해 와이퍼 아암(19)이 일단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2. 윈드 쉴드 글래스면에 대해 상, 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와이퍼 아암의 단부에 장착되어 윈드 쉴드 글래스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와이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시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와이퍼 아암이 초기위치로 복원될 때 윈드 쉴드 글래스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시킬 수 있도록 와이퍼 충격흡수부재(30)가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퍼 아암에 억지 끼워맞춤 내지는 걸림턱(19')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KR2019950027336U 1995-09-30 1995-09-30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KR0121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336U KR0121436Y1 (ko) 1995-09-30 1995-09-30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336U KR0121436Y1 (ko) 1995-09-30 1995-09-30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241U KR970013241U (ko) 1997-04-25
KR0121436Y1 true KR0121436Y1 (ko) 1998-08-01

Family

ID=1942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7336U KR0121436Y1 (ko) 1995-09-30 1995-09-30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4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965A (ko) * 2014-08-27 2015-04-23 이승민 차량의 전면 유리 파손 방지용 완충부재 및 이를 위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965A (ko) * 2014-08-27 2015-04-23 이승민 차량의 전면 유리 파손 방지용 완충부재 및 이를 위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241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0375B2 (ja) 自動車のワイパー装置
KR0121436Y1 (ko)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CN202923577U (zh) 车辆雨刮器系统
US8510896B2 (en) Wiper device for vehicle
KR0115957Y1 (ko) 와이퍼 아암의 스토퍼 장치
EP0958976A2 (en) Wiper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KR20160103433A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JP4425222B2 (ja) ワイパピボットおよびワイパ装置
KR100372786B1 (ko) 차량용 와이퍼의 피봇홀더
KR100260284B1 (ko) 윈드시일드와이퍼의구동시스템
KR100293790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410933B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도난 방지 장치
KR100397001B1 (ko) 차량용 와이퍼 아암 조립체
KR100580028B1 (ko) 차량용 와이퍼의 탄력지지장치
KR19990021356U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CN205498896U (zh) 一种汽车防尘雨刷
KR19980051938U (ko) 자동차용 와이퍼 구조
KR100405444B1 (ko) 차량의 길이 가변형 와이퍼
KR200172282Y1 (ko) 자동차용와이퍼
KR10036798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장치
KR19980024608U (ko) 자동차의 와이퍼 블레이드
KR20150110274A (ko) 보행자 충돌에 대비한 완충 구조가 구비된 차량용 와이퍼 모터 장치
KR20040037950A (ko) 차량용 와이퍼의 충격완화장치
KR19990017950A (ko) 차량의 가변형 와이퍼 아암
KR19980077068A (ko) 차량용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