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965A - 차량의 전면 유리 파손 방지용 완충부재 및 이를 위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면 유리 파손 방지용 완충부재 및 이를 위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965A
KR20150043965A KR20140112567A KR20140112567A KR20150043965A KR 20150043965 A KR20150043965 A KR 20150043965A KR 20140112567 A KR20140112567 A KR 20140112567A KR 20140112567 A KR20140112567 A KR 20140112567A KR 20150043965 A KR20150043965 A KR 20150043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per support
windshield
vehicle
fron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309B1 (ko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이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민 filed Critical 이승민
Priority to KR1020140112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3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88Wiper arrangement for crash protection or impact ab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도넛 봄베 냉각 시스템은 중공부를 갖는 도넛 형태를 가지며, 트렁크의 스페어 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에 장착되는 도넛 봄베 및 상기 도넛 봄베에 구비되며, 상기 도넛 봄베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도넛 봄베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전면 유리 파손 방지용 완충부재 및 이를 위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CUSHION MEMBER FOR PROTECTING FRONT GLASS OF VEHICLE AND WIPER SUPPORTING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의 전면 유리 파손 방지용 완충부재 및 이를 위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전면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부재 및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인류가 개발한 기계 중 가장 획기적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운송 수단 중 하나로써, 빗길에서도 안전하게 운전하기 위하여 전면 유리에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왕복 구동력을 제공하는 와이퍼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퍼 지지대에 장착된다.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고무의 탄성을 통해 상기 전면 유리에 밀착하여 빗물을 닦아내는 원리로, 일정 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고무가 마모되거나 부식되어 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함에 따라 교체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교체 작업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상기 와이퍼 지지대로부터 분리 및 장착함으로써, 간단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퍼 지지대는 상기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전면 유리와 대략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세워지도록 중간 부위에 힌지부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와이퍼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정지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퍼 지지대를 세울 경우, 작업자의 부주의한 동작에 의해서 상기 와이퍼 지지대가 상기 걸림부에 의한 정지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전면 유리로 떨어지게 되어 상기 전면 유리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전면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완충부재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면 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단부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장착되면서 차량의 전면 유리 하단에서 상기 차량의 본체에 장착되어 왕복 구동력을 제공하는 와이퍼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구동부를 통해 상기 전면 유리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전면 유리를 닦아내는 와이퍼 지지대에 체결 및 분리되는 완충부재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분리된 상태의 와이퍼 지지대가 상기 전면 유리에 부딪히려고 할 때 상기 와이퍼 지지대가 상기 전면 유리에 직접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와이퍼 지지대에 체결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부재는 발포성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는 와이퍼 구동부, 와이퍼 지지대,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구동부는 차량의 전면 유리 하단에서 상기 차량의 본체에 장착되어 왕복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와이퍼 지지대는 단부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장착되면서 상기 와이퍼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왕복 구동력을 전달 받으며, 중간 부위에 상기 전면 유리로부터 이격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를 갖는다.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힌지부에 상기 와이퍼 지지대가 상기 전면 유리로부터 수직한 방향에서 정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힌지부에 상기 와이퍼 지지대가 상기 전면 유리와 5 내지 20ㅀ의 각도에서도 일시 정지하도록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특징에 따른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는 와이퍼 구동부, 와이퍼 지지대 및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구동부는 차량의 전면 유리 하단에서 상기 차량의 본체에 장착되어 왕복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와이퍼 지지대는 단부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장착되면서 상기 와이퍼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왕복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와이퍼 지지대의 상기 전면 유리와 마주하는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분리하고자 상기 와이퍼 지지대의 안쪽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전면 유리 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부재는 발포성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와이퍼 지지대는 상기 전면 유리와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가 돌출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 및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에 따르면,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지지대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지지대가 차량의 전면 유리로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완충부재를 상기 와이퍼 지지대에 체결함으로써,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전면 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 지지대를 상기 전면 유리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우기 위하여 상기 와이퍼 지지대의 중간 부위에 형성된 힌지부에 상기 세워진 상태를 정지하는 제1 걸림부와 같이, 상기 전면 유리와 약 5 내지 20ㅀ의 각도 범위에서 일시 정지되도록 하는 제2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이퍼 지지대가 상기 전면 유리에 충돌하는 충격량을 현저하게 줄여 상기 전면 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 지지대로부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분리하고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상기 와이퍼 지지대의 안쪽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와이퍼 지지대로부터 완충부재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퍼 지지대가 상기 전면 유리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와 와이퍼 블레이드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의 와이퍼 지지대에 완충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에서 와이퍼 지지대의 힌지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에서 와이퍼 지지대로부터 돌출된 완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와이퍼 지지대로부터 일 실시예에 따라 돌출되는 완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와 와이퍼 블레이드를 분리한 도면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의 와이퍼 지지대에 완충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100)는 와이퍼 지지대(200)에 체결 및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는 단부에 와이퍼 블레이드(300)가 장착된다. 이에,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는 단부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는 차량(미도시)의 전면 유리(400) 하단에서 상기 차량의 본체(미도시)에 장착되어 왕복 구동력을 제공하는 와이퍼 구동부(500)에 연결된다. 이에,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는 상기 와이퍼 구동부(500)를 통해 상기 전면 유리(400)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에 의해 상기 전면 유리(400)에 묻어 있는 물기를 닦아낸다. 이때,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를 일정 기간 사용하면 교체해야 하는 소모품이므로, 이가 장착되는 와이퍼 지지대(200)는 작업자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그 중간 부위에 상기 전면 유리(40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힌지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재(100)는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의 단부와 상기 힌지부(210)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를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를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가 차량의 전면 유리(400)로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와이퍼 블레이가 분리된 와이퍼 지지대(200)가 상기 전면 유리(400)에 부딪히려고 할 때 상기 완충부재(100)가 이를 방지하여 상기 전면 유리(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부재(100)는 완충성이 우수하면서 가공성도 좋고 비교적 저렴한 발포성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완충부재(100)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중공이 형성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에서 와이퍼 지지대의 힌지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의 힌지부(210)는 두 개의 제1 및 제2 걸림부(220, 230)들을 갖는다.
상기 제1 걸림부(220)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를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로부터 분리하고자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를 상기 전면 유리(400)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울 때 정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걸림부(230)는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가 상기 전면 유리(400)와 인접한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일시 정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를 상기 전면 유리(400)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우기 위하여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의 중간 부위에 형성된 힌지부(210)에 상기 세워진 상태를 정지하는 상기 제1 걸림부(220)와 같이, 상기 전면 유리(400)와 인접한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일시 정지되도록 하는 상기 제2 걸림부(2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가 상기 전면 유리(400)에 충돌하는 충격량을 현저하게 줄여 상기 전면 유리(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걸림부(230)는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와 상기 전면 유리(400)의 사이 각도가 약 20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가 상기 제2 걸림부(230)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전면 유리(400)에 부딪히는 충격량이 상당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약 5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가 상기 제1 걸림부(220)로부터 정지가 해제되면서 상기 전면 유리(400)에 부딪힐 때 그 관성에 의해 실질적을 부딪힐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2 걸림부(230)는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가 상기 전면 유리(400)로부터 약 5 내지 20ㅀ의 각도 범위에서 일시 정지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에서 와이퍼 지지대로부터 돌출된 완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와이퍼 지지대로부터 일 실시예에 따라 돌출되는 완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지지대(200) 어셈블리의 와이퍼 지지대(200)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를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돌출되는 완충부재(100)가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재(100)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를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로부터 분리하고자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의 안쪽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로부터 상기 전면 유리(400)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는 상기 전면 유리(400)와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100)가 돌출되도록 도 5a 및 도 5b와 같이 경사진 슬라이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100)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를 새 것으로 다시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 장착할 경우, 원상 복귀되도록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도록 별도의 탄성부(미도시)로부터 그 탄성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완충부재(100)는 탄성체를 스위칭 방식 또는 후크 걸림 해제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로부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0)를 분리하고자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의 안쪽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로부터 완충부재(100)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퍼 지지대(200)가 상기 전면 유리(400)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완충부재 200 : 와이퍼 지지대
210 : 힌지부 220 : 제1 걸림부
230 : 제2 걸림부 250 : 슬라이딩부
300 : 와이퍼 블레이드 400 ; 전면 유리
500 : 와이퍼 구동부

Claims (7)

  1. 단부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장착되면서 차량의 전면 유리 하단에서 상기 차량의 본체에 장착되어 왕복 구동력을 제공하는 와이퍼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구동부를 통해 상기 전면 유리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전면 유리를 닦아내는 와이퍼 지지대에 체결 및 분리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분리된 상태의 와이퍼 지지대가 상기 전면 유리에 부딪히려고 할 때 상기 와이퍼 지지대가 상기 전면 유리에 직접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와이퍼 지지대에 체결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발포성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4. 차량의 전면 유리 하단에서 상기 차량의 본체에 장착되어 왕복 구동력을 제공하는 와이퍼 구동부;
    단부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장착되면서 상기 와이퍼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왕복 구동력을 전달 받으며, 중간 부위에 상기 전면 유리로부터 이격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를 갖는 와이퍼 지지대;
    상기 힌지부에 상기 와이퍼 지지대가 상기 전면 유리로부터 수직한 방향에서 정지하도록 형성된 제1 걸림부; 및
    상기 힌지부에 상기 와이퍼 지지대가 상기 전면 유리와 5 내지 20ㅀ의 각도에서도 일시 정지하도록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5. 차량의 전면 유리 하단에서 상기 차량의 본체에 장착되어 왕복 구동력을 제공하는 와이퍼 구동부;
    단부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장착되면서 상기 와이퍼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왕복 구동력을 전달 받는 와이퍼 지지대; 및
    상기 와이퍼 지지대의 상기 전면 유리와 마주하는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분리하고자 상기 와이퍼 지지대의 안쪽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전면 유리 방향으로 돌출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발포성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지지대는 상기 전면 유리와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가 돌출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KR1020140112567A 2014-08-27 2014-08-27 차량의 전면 유리 파손 방지용 완충부재 및 이를 위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KR101584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67A KR101584309B1 (ko) 2014-08-27 2014-08-27 차량의 전면 유리 파손 방지용 완충부재 및 이를 위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67A KR101584309B1 (ko) 2014-08-27 2014-08-27 차량의 전면 유리 파손 방지용 완충부재 및 이를 위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965A true KR20150043965A (ko) 2015-04-23
KR101584309B1 KR101584309B1 (ko) 2016-01-18

Family

ID=5303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567A KR101584309B1 (ko) 2014-08-27 2014-08-27 차량의 전면 유리 파손 방지용 완충부재 및 이를 위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3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436Y1 (ko) * 1995-09-30 1998-08-01 배순훈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KR19990021356U (ko) * 1997-11-29 1999-06-25 양재신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KR20020049578A (ko) * 2000-12-19 2002-06-26 류정열 블레이드 보호용 와이퍼 아암
KR20030016585A (ko) * 2001-08-21 2003-03-0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글래스 파손 방지용 와이퍼 암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436Y1 (ko) * 1995-09-30 1998-08-01 배순훈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안전장치
KR19990021356U (ko) * 1997-11-29 1999-06-25 양재신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KR20020049578A (ko) * 2000-12-19 2002-06-26 류정열 블레이드 보호용 와이퍼 아암
KR20030016585A (ko) * 2001-08-21 2003-03-0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글래스 파손 방지용 와이퍼 암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309B1 (ko)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500B2 (en) Wiper blade
US8935825B2 (en) Wiper blade assembly
EP1568559B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509791B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CN105487276B (zh) 显示模组结构
NO329579B1 (no) Overgangselement for a koble sammmen viskerarm og viskerblad
EP3452341A1 (en) Vehicle provided with at least two windscreen wiper devices of the flat blade type
US11452373B2 (en) Bracket device
US10005434B2 (en) Wiper apparatus
US8826485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40115810A1 (en) Flat-Blade Type Wiper Apparatus Having Improved End Cap Structure
US20140000056A1 (en) Wiper device, in particular motor vehicle windshield wiper device
US9421949B2 (en) Wiper for vehicle
KR101584309B1 (ko) 차량의 전면 유리 파손 방지용 완충부재 및 이를 위한 와이퍼 지지대 어셈블리
JP2008254697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US9358957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11603077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EP3416859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50080408A (ko) 봄베 고정 구조
CN108238008B (zh) 刮水器及其刮水臂
KR20100138583A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CN208036199U (zh) 一种汽车配件的固定装置
KR101608541B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US20200406863A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50068607A (ko) 브라켓 및 이를 갖는 범퍼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