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198Y1 -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 - Google Patents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198Y1
KR0121198Y1 KR2019950025297U KR19950025297U KR0121198Y1 KR 0121198 Y1 KR0121198 Y1 KR 0121198Y1 KR 2019950025297 U KR2019950025297 U KR 2019950025297U KR 19950025297 U KR19950025297 U KR 19950025297U KR 0121198 Y1 KR0121198 Y1 KR 0121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resonator
noise
vehicl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5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026U (ko
Inventor
정판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50025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198Y1/ko
Publication of KR9700140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0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1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의 레저네이터(resonator)를 설치하지 않고도 차내소음 및 외부소음을 모두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10)에 부착되어 엔진(20)을 지지하는 환봉 중공체인 크로스멤버(30)의 일측을 캡(31)으로 밀폐시키되, 크로스멤버(30)의 타측 개구부는 벨로즈관(40)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하고, 상기 벨로즈관(40)의 타측부는 차체(50)에 설치된 에어클리너(60)에 연결하여, 상기 중공체인 크로스멤버(30)가 레저네이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레임 20:엔진
30:크로스멤버 31:캡
40:벨로즈관 50:차체
60:에어클리너
본 고안은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레저네이터(resonator)를 설치하지 않고도 차내소음 및 외부소음을 모두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레저네이터는 흡,배기 계통에 특정주파수의 공명을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흡,배기관의 소음을 저감하려는 주파수와 수식에서 계산된 치수와 형상으로 할때, 그와 같은 레저네이터를 차량의 흡기관 혹은 배기관에 연결하여 헬름홀츠의 공명이 원리에 의하여 음량을 작게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기관인 에어클리너(1)에 별도로 제작된 레저네이터(2)를 설치하여 소음을 저감시켰다. 그러나, 특히 트럭등의 디젤엔진 차량에서는 흡기(intake) 소음이 외부소음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제1도에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3은 덕트, 4는 엔진에 연결되는 흡기호스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에어클리너(1)에 별도로 제작된 레저네이터(2)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레저네이터(2)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제작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레저네이터(2)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소음흡수가 작고, 레저네이터(2)의 개발기간이 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별도의 레저네이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차내소음 및 외부소음을 모두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프레임의 저부에 부착되어 엔진을 지지해주는 환봉 중공체의 크로스멤버를 공명통으로 이용하여, 상기 크로스멤버를 에어클리너에 직접 벨로즈관으로 연결시켜, 크로스멤버가 엔진지지 및 레저네이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부착되어 엔진(20)을 지지하는 환봉 중공체인 크로스멤버(30)의 일측을 캡(31)으로 밀폐시키되, 크로스멤버(30)의 타측 개구부는 벨로즈관(40)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하고, 상기 벨로즈관(40)의 타측부는 차체(50)에 설치된 에어클리너(60)에 연결하여, 상기 중공체인 크로스멤버(30)가 레저네이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제2도의 도면중 미설명부호 61은 에어클리너(60)의 덕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도 제2도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의 저부에 부착된 크로스멤버(30)가 엔진(20)을 지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내부가 빈 환봉 중공체인 크로스멤버(30)의 일측을 캡(31)으로 밀폐시키고, 타측부는 벨로즈관(40)을 통해 에어클리너(60)에 연결되므로, 크로스멤버(30)는 공명기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크로스멤버(30) 자체가 소음을 저감시키는 레저네이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레저네이터를 제작하여 설치하지 않고도 차내소음 및 외부소음을 모두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은 종래 레저네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제작비가 소요되는 문제점과, 레저네이터의 크기가 작아 소음흡수가 작은 문제점 및 레저네이터의 개발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레저네이터를 설치하지 않고, 크로스멤버를 이용하여 차내소음 및 외부소음을 모두 저감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프레임(10)에 부착되어 엔진(20)을 지지하는 환봉 중공체인 크로스멤버(30)의 일측을 캡(31)으로 밀폐시키되, 크로스멤버(30)의 타측 개구부는 벨로즈관(40)의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하고, 상기 벨로즈관(40)의 타측부는 차체(50)에 설치된 에어클리너(60)에 연결하여, 상기 중공체인 크로스멤버(30)가 레저네이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
KR2019950025297U 1995-09-19 1995-09-19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 KR0121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297U KR0121198Y1 (ko) 1995-09-19 1995-09-19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297U KR0121198Y1 (ko) 1995-09-19 1995-09-19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026U KR970014026U (ko) 1997-04-28
KR0121198Y1 true KR0121198Y1 (ko) 1998-08-01

Family

ID=1942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5297U KR0121198Y1 (ko) 1995-09-19 1995-09-19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1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026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1198Y1 (ko) 크로스멤버를 이용한 차량의 소음저감장치
KR20080025250A (ko) 자동차 배기계의 전방 마운트 구조
US5478098A (en) Air intake device for automotive engine
CN206319974U (zh) 汽车及空气滤清器进气管
JPH04306183A (ja) 自動二輪車の吸気消音装置
JPH0755319Y2 (ja) 可変共鳴型消音器
JPH0893583A (ja) 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H0714322U (ja) 体積測定装置
CN218177347U (zh) 一种乘用车空气滤器结构及汽车
JPH0573259U (ja) レゾネータ装置
JPH07310614A (ja) 吸気レゾネータ取付構造
JPH0746769Y2 (ja) 車両用内燃機関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の取付装置
JPH0513933Y2 (ko)
JPH0710460U (ja) レゾネータ構造
JP2553556Y2 (ja) キャブ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吸気装置
JPH0351211Y2 (ko)
JPH0755317Y2 (ja) 自動車の吸気装置
KR0138948Y1 (ko) 자동차용흡기장치의흡기소음감소장치
JPH08158967A (ja) 車両の吸気装置
KR20020010237A (ko) 차량용 레조네이터 구조
JPH02262426A (ja) レゾネータの取付装置
JPH0432251U (ko)
JPH0687657U (ja) エンジン吸気系の脈動音低減装置
Schuchardt et al. An Air Induction System for a Four-Cylinder Engine: Design, Noise Control and Engine Efficiency
JPH0527273U (ja) 車両の騒音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