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48Y1 - 자동차용흡기장치의흡기소음감소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흡기장치의흡기소음감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48Y1
KR0138948Y1 KR2019960040435U KR19960040435U KR0138948Y1 KR 0138948 Y1 KR0138948 Y1 KR 0138948Y1 KR 2019960040435 U KR2019960040435 U KR 2019960040435U KR 19960040435 U KR19960040435 U KR 19960040435U KR 0138948 Y1 KR0138948 Y1 KR 0138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resonator
vibration
pipe
expans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494U (ko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40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94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4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4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F02M35/1266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comprising multiple chambers o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흡기 장치에서 발생하는 흡기 소음(intake noise)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흡기관(I)에 연결된 확장관(1)과, 상기 확장관(1)에 연결되어 제1공진 주파수(fr1)의 진동을 제거하는 제1레조네이터(2)와, 상기 흡기관(I)과 제1레조네이터(2) 사이의 확장관(1)에 연결되어 제2공진 주파수(f2)의 진동을 제거하는 제2레조네이터(3)로 구성된 자동차용 흡기 장치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를 제공하여, 같은 부피로도 두 공진 주파수의 진동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높고, 흡기 소음 제거 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흡기 장치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흡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흡기 장치에서 발생하는 흡기 소음(intake noise)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흡기 장치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흡기 장치는 자동차 엔진의 출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불순물을 걸러내는 에어 클리너(A)와, 상기한 에어 클리너(A)에 연결되어 엔진(E)에 균일하게 공기를 분배하게 되는 흡기 매니폴드(M)와, 상기한 흡기 매니폴드(M)와 에어 클리너(A)를 연결함과 아울러 일 측에 흡기 소음 감소 장치가 설치된 흡기관(I)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 소음 감소 장치는 레조네이터(50)와, 상기 흡기관(I)과 레조네이터(50) 사이를 연결하는 확장관(5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흡기 매니폴드(M)와 에어 클리너(A)의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드로틀 밸브와 서지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차용 흡기 장치는 에어 클리너(A)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이를 정화시키고 드로틀 밸브와 서지 탱크를 통해 다수의 연소실에 균일한 흡기를 분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흡기관(I)으로는 엔진(E)의 흡, 배기 밸브(미도시) 및 피스톤(미도시)의 왕복 운동에 따른 진동 및 상기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역류하게 되는 바, 상기 레조네이터(50)는 상기 소음 중 특정 주파수를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공진되는 특정 주파수, 즉 공진 주파수(fr)는 확장관(51)의 길이와 직경에 따라 결정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진 주파수(fr)에서의 소음 감소량이 최대가 되고, 상기 공진 주파수(fr)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에서는 상기 소음 감소량이 감소된다.
즉,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 중 공진 주파수(fr)의 진동은 상기 레조네이터(50)에서 공진되어 제거된 후 외부로 출력되기 때문에 외부로 출력되는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레조네이터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 중 하나의 공진 주파수의 진동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흡기 소음 제거 효과가 미약하게 됨과 아울러 여러 주파수대의 진동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레조네이터와 확장관을 흡기관에 부착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엔진 룸이 복잡하게 되고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같은 부피로 여러 주파수의 진동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용 흡기 장치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흡기 장치 및 흡기 소음 감소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흡기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흡기 장치의 흡기 소음 방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흡기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확장관 2 : 제1레조네이터
2 : 제2레조네이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흡기 장치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는 흡기관에 연결된 확장관과, 상기 확장관에 연결되어 제1공진 주파수의 진동을 제거하는 제1레조네이터와, 상기 흡기관과 제1레조네이터 사이의 확장관에 연결되어 제2공진 주파수의 진동을 제거하는 제2레조네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흡기장치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바, 흡기관(I)에 연결된 확장관(1)과, 상기 확장관(1)에 연결되어 제1공진 주파수(fr1)의 진동을 제거하는 제1레조네이터(2)와, 상기 흡기관(I)과 제1레조네이터(2) 사이의 확장관(1)에 연결되어 제2공진 주파수(fr2)의 진동을 제거하는 제2레조네이터(3)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기관(I)을 통해 엔진으로부터 역류되는 진동은 확장관(1)을 통해 제1레조네이터(2)와 제2레조네이터(3)로 흡입되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기관(I)에서 제1레조네이터(2) 사이의 확장관(1)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 제1공진 주파수(fr1)의 진동이 상기 제1레조네이터(2)에 의해 공진되어 제거된다.
또한, 상기 흡기관(I)에서 제2레조네이터(3) 사이의 확장관(1)의 길이에 의해 제2공진 주파수(fr2)가 결정되어 상기 제2레조네이터(3)에서 제2공진 주파수(fr2)의 진동이 공진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확장관에 두 개의 레조네이터를 연결하여 상기 두 레조네이터에 연결된 확장관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다르게 함으로 같은 부피로도 두 공진 주파수의 진동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높고, 흡기 소음 제거 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흡기관에 연결된 확장관과, 상기 확장관에 연결되어 제1공진 주파수의 진동을 제거하는 제1레조네이터와, 상기 흡기관과 제1레조네이터 사이의 확장관에 연결되어 제2공진 주파수의 진동을 제거하는 제2레조네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기 장치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
KR2019960040435U 1996-11-16 1996-11-16 자동차용흡기장치의흡기소음감소장치 KR0138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435U KR0138948Y1 (ko) 1996-11-16 1996-11-16 자동차용흡기장치의흡기소음감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435U KR0138948Y1 (ko) 1996-11-16 1996-11-16 자동차용흡기장치의흡기소음감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494U KR19980027494U (ko) 1998-08-05
KR0138948Y1 true KR0138948Y1 (ko) 1999-10-01

Family

ID=1947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435U KR0138948Y1 (ko) 1996-11-16 1996-11-16 자동차용흡기장치의흡기소음감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9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494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966B1 (ko) 엔진의 흡기소음 제거장치
KR0138948Y1 (ko) 자동차용흡기장치의흡기소음감소장치
KR100835709B1 (ko)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JP3560283B2 (ja) エンジン用吸気チューブ
EP0152153A2 (en) Resonance device for the exhaust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0184223B1 (ko) 자동차용 흡기 장치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
KR19980034483U (ko) 흡, 배기 장치의 소음 감소 구조
KR20050121808A (ko) 흡기 소음 저감 장치
KR100245870B1 (ko) 자동차용 흡배기 소음 실험장치
KR20000015252U (ko) 자동차의 흡기 소음 저감장치
KR19980016717A (ko) 가변 레조네이터
KR19980036187A (ko) 자동차용 흡기 장치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
KR0184222B1 (ko) 자동차용 흡기 장치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
KR100261416B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251175B1 (ko) 엔진의 에어 클리너 구조
JP2586485Y2 (ja) 消音器
KR19980034472U (ko) 레조네이터
JPH0649760U (ja) エアクリーナ
KR19980035041U (ko) 자동차의 흡기소음 감소장치
KR0139756Y1 (ko) 자동차의 흡기소음 감소장치
JPH0121124Y2 (ko)
KR200153738Y1 (ko) 엔진의 에어 덕트 구조
KR19980040555U (ko) 자동차의 공명기
Schuchardt et al. An Air Induction System for a Four-Cylinder Engine: Design, Noise Control and Engine Efficiency
KR19990009318U (ko) 자동차 레조네이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