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834Y1 - 차량 주차용 입.출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주차용 입.출고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834Y1
KR0120834Y1 KR2019950001250U KR19950001250U KR0120834Y1 KR 0120834 Y1 KR0120834 Y1 KR 0120834Y1 KR 2019950001250 U KR2019950001250 U KR 2019950001250U KR 19950001250 U KR19950001250 U KR 19950001250U KR 0120834 Y1 KR0120834 Y1 KR 0120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crew
parking
semi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1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302U (ko
Inventor
정수철
Original Assignee
정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철 filed Critical 정수철
Priority to KR2019950001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834Y1/ko
Publication of KR960027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8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driven by screw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주차용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선원고안에서는 프레임 사이에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가 형성된 이송스크류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 리드스크류가 치합되고 리드스크류는 상부에 받침대가 설치된 지지간이 축설되고 모터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켜서 리드스크류를 좌·우로 이동시켜 줌으로인해 그와 결합되어 함께 유동하는 차량 재치용 프레임을 상승 시킬수 있게 하였는바, 이는 장치가 복잡하고 제작공정이 많아 작업성이 저하되며 스크류회전 시간 즉, 차량재치용 프레임이 상승하여 하부에 닿는 시간과 들어올리는 시간이 동일하여 차량주차시간이 과다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타원형 안내간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그 외주를 따라 좌·우 이동하는 복수의 슬라이드구의 유동에 의해 그와 결합된 지지간 및 받침대가 신속히 이동, 차량의 재치할 수 있도록 하여 줌으로써 차량을 재치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주차시기민성을 극대화시키고 장치를 단순화시켜 제작시간을 단축시키며 차량의 중량을 반타원형 안내간이 분산, 흡수하여 기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 주차용 입·출고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략적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a)는 누여진상태의 일측면도, (b)는 차량을 들어올리는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제3도는 본 고안장치의 작동부에 대한 요부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구동장치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치대 2 : 받침대
3 : 프레임 4 : 유압실린더
5 : 반타원형안내간 6 : 지지간
7 : 슬라이드구 8 : 구동부
9 : 회동로울러 10 : 볼나사
11 : 레임 21 : 슬라이드봉
31 : 횡간 32 : 베어링로울러
41 : 로드 45 : 나사홈
51 : 안내요홈 71 : 지지로울러
72, 73 : 안내로울러 81 : 주동축
82, 83, 84 : 종동축 T1~T4 : 타이밍벨트
본 고안은 아파트형 주차장이나 엘리베이터형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시킬 때 자동으로 차량이입·출고 될 수 있도록 한 차량주차용 입ㆍ출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차량증가로 인한 주차공간의 부족현상이 크게 사회 문제화 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를 치유하기 위해 주차건물을 신축하여 자동으로 차량을 입ㆍ출고 시키기도 하며 또는 건물의 일측에 별도의 주차공간을 위해 엘리베이터형 주차장이 필수적으로 건설된다.
이러한 각종 주차건물에 운전자가 운전을 통하여 직접 빈공간을 찾아서 주차시키는 건물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주차공간의 확보를 위해 주차 장치가 자동으로 가동하여 자동으로 빈공간을 찾아 주차시키고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형 주차설비를 갖춘 건물에서는 차량운전자가 주차장에 입고 시키기 위하여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회전원판의 가동에 의해 주차장 입구와 차량을 일치시킨 후 하차하여 엘리베이터를 작동시켜 주는 것에 의해 주차시켰다.
또한 본 고안자에 의해 선등록된 국내특허 제45981호의 경우에는 아파트 형의 주차장에 전ㆍ후ㆍ좌ㆍ우 및 승ㆍ하강하는 케이지의 회전판에 팔레트가 별도로 구축되어서 제어시스템에 의해 일정거리 만큼 신장되어 주차대상 차량을 적재한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수단에 의해 차량을 주차공간까지 입ㆍ출고 시켰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단에서는 차량운전자가 엘리베이터 차고까지 차량을 운전하여 주차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차고는 건물의 공간에 현가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운전자에게 심적으로 주차 위험부담을 갖게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본 고안자의 선등록 특허의 경우에서는 위와같은 문제점을 배제하여 차량을 주차 시킬수 있으나 팔레트가 차량의 무게 때문에 신장된 채로 변형이 발생하여 복귀가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고안자의 선출원고안인 국내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92-11394호에서는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는 차량정지 팔레트의 내측으로 한쌍의 레일을 설치하되, 그 레일에는 다수의 회동로울러가 회동구동으로 인해 이동가능하게 재치 되어지고, 상기 회동로울러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상에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수 있도록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각각 다수의 가이드 로울러가 장착되어 상기 차량 전지팔레트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횡간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이송스크류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 이송스크류에 각각 형성된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각각 리드스크류가 치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에 지지간이 축설되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축설된 베어링로울러에 지지되어 지며 상기 지지간의 상부에는 각각 로울러가 축설되어서 상기 로울러는 각각 스프링에 탄지된 슬라이드봉의 양단에 삽입되어 있는 받침대의 장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지고 상기 받침대와 지지간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이루어진 차량 입ㆍ출고 장치를 제공하여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재치대상에 차량만 정지시켜 놓으면 모터구동에 의해 좌ㆍ우이송 스크류를 회전시켜 그와 결합된 리드스크류를 좌ㆍ우로 이동하게 하여줌으로써 리드스크류와 결합되어 함께 유동하는 차량재치용 프레임을 상승시켜 재치한채로 이동하여 필요한 주차공간에 주차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 고안은 장치가 복잡하고 비대하며 제작공정이 많아 작업성이 저하 됨은 물론 스크류 회전방식에 의해 차량을 재치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송스크류의 회전시간 즉, 차량재치용 프레임이 상승하여 하부에 닿는 시간과 들어 올려지는 시간이 동일하게 되므로 차량의 이동시간이 과다해져 주차시 기민성이 저하된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고안은 상기한 선원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재치 대상에 차량만 정치시켜 놓으면 자동으로 차량을 지채ㆍ지지하여 주차장내로 이동, 필요한 주차공간에 주차 시킬수 있게 함은 물론, 차량을 재치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결국 주차시의 기민성을 극대화 시키고, 장치를 단순화시켜 제작 시간을 단축 시킬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치대(1) 내측의 레일(11)에 받침대(2)가 상부에서 상ㆍ하작동하게 설치된 프레임(3)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을 재치ㆍ지지하여 주차장내로 이동, 필요한 주차공간에 주차 시킬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의 중앙부에는 복동 양쪽로드형 유압실린더(4)가 로드(41) 양단에 일측을 향하도록 복수의 반타원형 안내간(5)과 결합된 채로 설치되되, 상기 반타원형 안내간(5)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요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요홈(51)에는 상부에 받침대(2)가 각각 결합된 지지간(6)이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지지로울러(71)와 안내로울러(72)(73)가 설치된 복수의 슬라이드구(7)가 횡간(31)의 상부에 접동될수 있도록 재치된 채로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횡간(31)은 양단이 프레임(3)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간(6)은 프레임(3) 상부 양측에 다수개 각각 설치된 베어링로울러(32)로 하부가 각각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구(7)의 지지로울러(71)는 반타원형 안내간(5)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2)를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드봉(21)의 양단이 끼워지는 받침대(2)의 슬라이드봉 삽입공(22) 하부 일측에는 내부로 볼트(23)를 관통시켜 슬라이드봉(21) 양단 하부에 형성된 유동홈(21)에 각각 끼워져 상기 슬라이드봉(21)이 받침대(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였고, 또한 프레임(3)의 내부에는 장치를 전ㆍ후로 이동시켜주는 구동부(8)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구동부(8)는 통상으로 이용되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작동되게 하되 여기서는 본 고안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임을 일러두고, 이러한 것은 간단하게 변경되어질 정도의 기술에 불과한 것임을 함께 일러두며 이러한 구동장치를 본 고안의 장치에 적용시킨 상태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여 주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 될 것이다.
즉, 상기한 본 고안장치의 구동장치부는 프레임(3)의 내측에 모터(M)를 장착하여 양단에 회동로울러(9)가 설치된 주동축(81)과 타이밍벨트(T1)로 연결한 다음, 이를 구동시켜 주게 되면 주동축(81)의 외측에 타이밍벨트(T2)로 연결된 각각의 종동축(82)(83)(84)이 그 구동력을 전달받아 레일(11)상의 회동로울러(9)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이는 통상의 제어시스템(미도시)을 이용하여 그 전ㆍ후진의 거리를 미리 설정하여 주는 것에 의해 그 이동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제효과를 그 목적하는 바에 따라 사용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먼저, 주차시키고자 하는 차량을 차량정지 팔레트 즉, 재치대(1) 상부에 까지 운행하여 정지시킨 다음 운전자는 하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4)를 작동시켜 로드(41)가 일측으로 이동하면 그와 일체로된 양측의 반타원형 안내간(5)이 이동하고 상기 반타원형 안내간(5)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구(7)가 반타원형 안내간(5)의 외주연에 형성된 안내요홈(51)에 안내로울러(72)를 끼우고 지지로울러(71)에 의해 지지되며 하부측 안내로울러(73)가 횡간(31)에 접동되는채로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그와 힌지결합된 양측의 지지간(6)이 베어링로울러(32) 상부에 지지되는채로 높게되고 결국, 그 상부의 받침대(2) 높이가 낮아지면서 수축되어 지표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까지 낮아지게 된다.
이때, 구동부(8)의 모터(M)를 작동시켜 타이밍벨트(T1), (T2), (T3), (T4)로 그 구동력이 전달되게한 주동축(81) 및 종동축(82)(83)(84)을 회전시켜 프레임(3)을 차량의 하부측으로 이동ㆍ진입 시킨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유압실린더(4)를 작동시켜 로드(41)를 그 타측으로 이동시켜 주면 로드(41) 양끝단의 반타원형 안내간(5)이 함께 이동하여 횡간(31)과 그 외주연에 접동된 슬라이드구(7)를 밀어 상기 횡간(31)의 양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같은 상태가 되면 슬라이드구(7) 일측에 힌지결합된 지지간(6)이 상기 슬라이드구(7)의 이동에 따라 베어링로울러(32)에 재치되는채로 이동, 상승하여 결국 그 상부에 결합된 받침대(7)가 반타원형 안내간(5)의 양단측에 점차 위치하게 되면 그 상부에 지지간(6)으로 연결된 받침대(2)가 점차 상승하면서, 차량을 들어 올리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M)를 진행시킬때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프레임(3)이 그 상부에 차량을 재치한채로 레일(11)상에서 이동하여 필요한 주차공간에 주차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4)가 작동하여 실린더로드(41)를 작동시키면 반타원형 안내간(5)이 슬라이드구(7)를 일시적으로 밀어 지지간(6)과 받침대(2)를 차량하부측에 신속히 접할수 있게 하여주므로 선원고안인 스크류형 장치에비해 그 상승 이동 시간이 단축되고, 차량을 들어오리는 힘이 반타원형 안내간(5) 양측으로 분산흡수되는 효과가 있어 기계에 부하를 덜어주는 부수적인 효과도 아울러 거둘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이는 상기 반타원형 안내간(5)을 이동시키는 로드(41)에 나사홈(45)을 형성하고 볼나사(10)를 결합시켜 모터(M2)동력으로 구동케하여 주므로써, 본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재치대 상에 차량만 정지키셔 놓으면 자동으로 차량을 재치, 지지하여 주차장 내로 이동, 필요한 주차공간에 주차시킬수 있게 함은 물론, 차량을 재치이동 시키는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주차시 기민성을 극대화 시키고 장치를 단순화 시켜 제작시간을 단축시킬수 있게 하였으며, 차량의 중량을 반타원형 안내간이 분산ㆍ흡수시키는 작용을하여 결국 기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수 있게 하는 등의 여러 유익한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재치대(1) 내측의 레일(11)에 받침대(2)가 상부에서 상ㆍ하작동하게 설치된 프레임(3)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을 재치ㆍ지지하여 주차장내로 이동, 필요한 주차공간에 주차 시킬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의 중앙부에는 복동 양쪽로드형 유압실린더(4)가 로드(41)양단에 일측을 향하도록 복수의 반타원형 안내간(5)과 결합된 채로 설치되되, 상기 반타원형 안내간(5)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요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요홈(51)에는 상부에 받침대(2)가 각각 결합된 지지간(6)이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지지로울러(71)와 안내로울러(72)(73)가 설치된 복수의 슬라이드구(7)가 횡간(31)의 상부에 접동될수 있도록 재치된채로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차용 입ㆍ출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타원형 안내간(5)을 이동시키는 로드(41)에 나사홈(45)을 형성하고 볼나사(10)를 결합시켜 모터(M2)동력으로 구동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차용 입ㆍ출고장치.
KR2019950001250U 1995-01-26 1995-01-26 차량 주차용 입.출고장치 KR0120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250U KR0120834Y1 (ko) 1995-01-26 1995-01-26 차량 주차용 입.출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250U KR0120834Y1 (ko) 1995-01-26 1995-01-26 차량 주차용 입.출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302U KR960027302U (ko) 1996-08-17
KR0120834Y1 true KR0120834Y1 (ko) 1998-10-15

Family

ID=1940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1250U KR0120834Y1 (ko) 1995-01-26 1995-01-26 차량 주차용 입.출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8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302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8024A (ko) 입체형 주차시스템
KR0120834Y1 (ko) 차량 주차용 입.출고장치
CN110541591B (zh) 带升降转盘的十字进车提升装置
KR100257108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
CN213330237U (zh) 一种用于立体车库的流水线型滑轨系统
KR200208137Y1 (ko) 타워식 주차장치의 승강대 구동장치
KR0120830Y1 (ko) 차량주차용 입·출고장치
KR100372175B1 (ko) 유압구동식 주차설비
KR910001105Y1 (ko) 조립식 주차장의 차량이송장치
CN109403692A (zh) 一种立体停车库的升降机构
KR100186358B1 (ko) 중간승입방식 주차설비의 승입장치
CN215760770U (zh) 一种车辆提升装置及立体车库
CN219448203U (zh) 箱体提升转移工装
CN215859333U (zh) 一种防变形能力高的升降横移式停车设备提升传动机构
CN219548530U (zh) 水平循环纵横组合式自动停车库系统
CN215287708U (zh) 一种起重机加高装置
KR930005201Y1 (ko) 로터리(rotary)식 주차장치
KR950005901Y1 (ko) 원형 주차빌딩
KR100294472B1 (ko) 전진입고와전진출고를위한주차장치
KR950002131B1 (ko) 주차 빌딩 시스템
JPH03208970A (ja) 立体駐車装置
KR950001679Y1 (ko) 엘리베이터식 입체 주차설비의 팔렛트 횡행구동장치
KR920000596Y1 (ko) 입체주차장
KR100335987B1 (ko) 승강기식 주차설비
KR920003060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