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800Y1 -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800Y1
KR0120800Y1 KR2019950030793U KR19950030793U KR0120800Y1 KR 0120800 Y1 KR0120800 Y1 KR 0120800Y1 KR 2019950030793 U KR2019950030793 U KR 2019950030793U KR 19950030793 U KR19950030793 U KR 19950030793U KR 0120800 Y1 KR0120800 Y1 KR 0120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instrument panel
release lever
fastened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702U (ko
Inventor
최윤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0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800Y1/ko
Publication of KR970017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7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인스트루먼트판넬(1)에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취부단(la)이 형성됨과 더불어 끝부위의 양쪽면으로 파여진 안착부(1b)가 구비되어져 클램프(5b)와 스크류(5a)로 이루어진 고정부재(5)를 매개로 후드릴리이즈레버(3)가 체결되어지게 되어,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별도의 브라켓트가 사용되지 않아 조립공수와 조립시간이 줄어들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A mounting structure of a lever for releasing a hood of an automobile)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후드릴리이즈레버가 인스트루먼트판넬에 취부된 부분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1-1선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종래기술에 따라 브라켓트를 매개로 후드릴리이즈레버가 인스트루먼트판넬에 취부된 부분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II-II선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스트루먼트판넬 1a : 취부단,
1b : 안착부 3 : 후드릴리이즈레버
3a : 손잡이 3b : 고정단
3c : 고정플랜지 4 : 후드릴리이즈케이블
5 : 고정부재 5a : 스크류
5b : 클램프
본 고안은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브라켓트를 사용되지 않아 조립공정을 줄일 뿐만 아니라 인스트루먼트판넬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후드릴리이즈 레버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을 이루는 인스트루먼트 판넬부위에 엔진룸을 덮은 후드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게 되는 후드릴리이즈레버가 구비되는바,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판넬(101)에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트(102)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됨과 더불어, 이 브라켓트(102)의 안쪽으로 운전자가 잡고당겨 후드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도록 후드릴리이즈레버가 연결된 손잡이(103)가 체결되어 진다.
즉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잡고 당길수 있도록 된 손잡이(103a)와 이 손잡이(103a)의 중앙부위에 후드의 잠금장치에 연결된 후드릴리이즈케이블(104)가 고정된 고정단(103b) 및 상기 손잡이(103a)와 현지 결합된 고정플랜지(103c)로 이루어진 후드릴리이즈레버(103)가 스크류(105a)와 웰드너트(105b)로 이루어진 2개의 고정부재(105)를 매개로 브라켓트(102)의 안쪽에 고정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브라켓트(102)를 매개로 후드릴리이즈레버(103)가 체결되어지면, 상기 브라켓트(102)가 인스트루먼트판넬(101)에 고정된 다음, 후드릴리이즈레버(103)가 고정부재(105)를 매개로 상기 브라켓트(102)의 안쪽으로 고정시켜야만 하므로, 상기 고정부재(105)의 체결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에따라 조립공정과 조립시간이 적지않게 걸리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스트루먼트판넬에 간단히 끼워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매개로 후드릴리이즈레버를 체결하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조립공수와 조립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로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스트루먼트판넬에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취부단이 형성됨과 더불어 끝부위의 양쪽면으로 파여진 안착부가 구비되어져 클림프와 스크류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를 매개로 후드릴리이즈레버가 체결되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따라 별도의 브라켓트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공수가 줄여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후드릴리이즈레버가 인스트루먼트판넬에 취부된 부분사시도를 도시한 것인바, 인스트루먼트판넬(1)에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돌출시킨 취부단(1a)이 형성되고, 이 취부단(1a)의 안쪽으로 손잡이(3a)와 후드릴리이즈케이블(4)이 고정된 고정단(3b) 및 상기 손잡이(3a)와 힌지결합된 고정프랜지(3c)로 이루어진 후드릴리이즈레버(3)가 취부되되, 이 후드릴리이즈레버(3)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랜지(3c)와 인스트루먼트판넬(1)의 취부단(1a)을 고정시키는 스크류(5a)와 이 스크류(5a)의 체결력을 높이도록 상기 취부단(1a)의 끝이 양쪽면에서 소정구간 파여진 안착부(1b)에 삽입되는 U자형상의 클램프(5b)로 이루어진 고정부재(5)를 매개로 체결되어 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클램프(5b)에는 절곡된 평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 평판의 상하측판에는 상기 스크류(5a)가 체결되도록 스크류구멍(5c)이 서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스트루먼트판넬(1)의 취부단(1a)에 형성된 안착부(1b)는 후드릴리이즈레버(3)의 고정력을 높이도록 2개이상 형성됨으로써, 2개이상의 고정부재(5)가 체결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1b)에는 상기 스크류(5a)의 회전을 안내하는 관통구멍(1c)이 각각 형성되어 잇는 바, 이 관통구멍(1c)의 직경은 상기 스크류(5a)의 나사부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스크류(5)a가 상기 관통구멍(1c)를 회전하면서 통과할 때, 스크류(5a)의 나사부는 상기 관통구멍(1c)의 내주면을 깎으면서 상기 관통구멍(1c)을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관통구멍(1c) 내측에서 스크류(5a)의 체력은 보다 강화된다.
따라서, 후드릴리이즈레버(3)의 고정플랜지(3c)를 인스트루먼트판넬(1)에 형성된 ㄷ자 단면형상의 취부단(1a)의 안쪽으로 안착시킨 다음, 고정부재(5)의 클램프(5b)를 상기 취부단(1a)의 안착부(1b)에 삽입한후 스크류(5a)로 고정시키게 되어 간단히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3)의 취부구조에 의하면, 인스트루먼트판넬(1)에 ㄷ자형상으로 돌출된 취부단(1a)이 형성되어져 고정부재(5)를 매개로 후드릴리이즈레버(3)가 체결되어져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별도의 브라켓트의 취부에 따른 조립공정이 줄어들어 조립공수와 조립시간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손잡이와 후드릴리이즈케이블 고정용 고정단 및 고정플랜지로 이루어져 인스트루먼트판넬에 고정부재인 클램프와 스크류를 매개로 체결되어지는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루먼트판넬(1)에 고정부재(5)를 매개로 후드릴리이즈레버(3)가 체결되도록 ㄷ자 단면형상으로 조출된 취부단(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취부단(1a)의 끝부위에 상하 양쪽면에서 파여진 안착부(1b)가 형성되되, 이 안착부(1b)에는 상기 스크류(5a)의 회전을 안내하는 원형의 관통구멍(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부(1b)에 클램프(5b)가 끼워지되, 이 클램프(5b)에는 상기 스크류(5a)가 체결되도록 결곡된 평판의 상하방향으로 스크류구멍(5c)이 연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
KR2019950030793U 1995-10-27 1995-10-27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 KR0120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793U KR0120800Y1 (ko) 1995-10-27 1995-10-27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793U KR0120800Y1 (ko) 1995-10-27 1995-10-27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702U KR970017702U (ko) 1997-05-23
KR0120800Y1 true KR0120800Y1 (ko) 1998-07-15

Family

ID=1942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793U KR0120800Y1 (ko) 1995-10-27 1995-10-27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8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702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0423B2 (ja) 車両用ランプの取付け構造
KR0120800Y1 (ko) 차량용 후드릴리이즈레버의 취부구조
JPH08150883A (ja) 自動車のリヤドア用スプラッシュガードの取付構造
KR0136328B1 (ko) 자동차 도어록의 스트라이커
JPH059222Y2 (ko)
JP2000510074A (ja) 自動車ドアモジュール
JPH0921366A (ja) レゾネータの取付構造
JPS6316565Y2 (ko)
JP2708543B2 (ja) ラジエータ取付装置
JPH0576899U (ja) ピラートリムの取付構造
KR200146285Y1 (ko) 백 도어
KR0159471B1 (ko) 차량의 후드 장착구조
JPH081941Y2 (ja) リヤバイザー取付構造
KR0127073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200251524Y1 (ko) 자동차의 가속페달구조
KR0124510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크로스 어퍼멤버 어셈블리
KR0118624Y1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안전핀 설치구조
JPH066979Y2 (ja) ル−フリンホ−ス取付構造
JP4711555B2 (ja) ダッシュサイドトリムの取付け構造
KR19980051005A (ko) 자동차의 후드오픈용 레버 취부구조
KR0136350Y1 (ko) 후드 개방 레버 고정브라켓 설치구조
KR100192811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의 설치구조
KR100214201B1 (ko) 액셀러레이터 케이블의 체결장치
KR0139654Y1 (ko) 자동차용 후드 레버의 취부구조
KR0118735Y1 (ko) 자동차용 브라켓트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