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031Y1 - 바이폴라 통신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폴라 통신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031Y1
KR0120031Y1 KR2019930010587U KR930010587U KR0120031Y1 KR 0120031 Y1 KR0120031 Y1 KR 0120031Y1 KR 2019930010587 U KR2019930010587 U KR 2019930010587U KR 930010587 U KR930010587 U KR 930010587U KR 0120031 Y1 KR0120031 Y1 KR 01200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polar
signal
decoder
lin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390U (ko
Inventor
정우경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30010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031Y1/ko
Publication of KR950002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0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이폴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선로의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를 검출하여 잡음레벨이 심한지역에서도 정확성 있게 회선절체를 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수신선로가 한선만 단선되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회선절체를 하고자함을 목적으로 한 회선절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특성 열화를 보상하여 출력하는 수신신호등화수단과, 상기 수신신호등화수단에서 출력된 클럭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디코딩 및 모니터하여 출력하는 디코더 및 모니터수단과, 상기 수신신호등화수단에서 출력된 클럭을 기준으로 데이터의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를 검출하는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디코더 및 모니터수단에서 출력된 회선절체신호와 상기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 검출수단에서 얻어진 회선절체신호를 논리하고 그 결과값을 출력하는 논리수단과, 상기 디코더 및 모니터수단에서 얻어진 디코딩된 데이터를 인가받고 상기 논리수단에서 얻어진 값에 따라 회선을 절체하는 데이터 단말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바이폴라 통신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제 1 도는 종래 수신선로의 신호 검출 시스템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 바이폴라 통신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신신호 등화부 2 : 디코더 및 모니터부
3 :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 검출부 4 : 논리부
5 : 데이터 단말장치
본 고안은 바이폴라 통신 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선로의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Bipolar violation error)를 검출하여 잡음 레벨이 심한 지역에서도 정확성 있게 회선절체를 하며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수신선로가 한선만 절단되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회선절체를 하고자한 바이폴라 통신 시스템의 회선절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절체 기능은 수신선로의 수신신호 유, 무 즉, 수신선로신호 검출기(Received line signal Detector : 이하 RLSD라 약칭함)신호에 의해서 RLSD 신호가 오프(OFF)되면 회선을 절체한다.
한편, 회선이 절단되었거나 실패시 RLSD 신호가 오프되면 회선을 절체하나 수신선로의 한선만 끊어졌거나 두선이 끊어져도 잡음이 심할경우 잡음에 의해 RLSD 신호를 구분할 수 없어 오프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경우에는 회선절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회선절체 기능을 갖는 종래 수신선로 신호검출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특성 열화를 보상하는 수신신호등화부(100)와, 상기 수신신호등화부(100)에서 보상된 신호를 디코딩 및 모니터하여 데이터 단말장치(102)에 인가하는 디코더 및 모니터부(101)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수신선로의 신호검출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자(R, T)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신호등화부(100)에서 주파수 특성열화를 보상하고 데이터(RPOS, RNEG) 및 클럭(RCLK)을 재생하여 디코더 및 모니터부(101)에 입력한다.
여기서 클럭(RCLK)은 상기 데이터(RPOS, RNEG)를 처리할 수 있는 기준신호이다.
따라서 디코더 및 모니터부(101)는 입력되는 데이타(RPOS, RNEG)를 클럭(RCLK)을 기준으로 디코딩하여 원래신호로 복원한 후 데이터 단말장치(102)로 전송(RXD, RXC)한다.
아울러 데이터(RPOS, RNEG)를 모니터하여 회선절체 신호인 RLSD신호를 상기 데이터 단말장치(102)로 전송한다.
여기서 RPOS, RNEG를 모니터하는 이유는 통신중 또는 사용중의 회선이나 송신기, 그밖의 장치에 있어서 통신, 그밖에 지장이 없도록 그 어느 부분에서 일부분의 전력을 꺼내서 양부(+,-)를 조사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에서 수신선로가 절단되었을 경우 RPOS와 RNEG의 신호가 없기 때문에 RLSD 출력은 오프가 되고 이 오프신호를 전송받은 데이터 단말장치(102)는 회선을 절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수신선로의 신호검출 시스템은 수신신호 등화부에서 잡음레벨이 클 경우 잡음을 증폭하여 RPOS, RNEG 신호와 함께 전송하기에 정확히 회선절체 신호인 RLSD 신호를 구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에서 회선절체 신호인 RLSD 신호를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면 정확성 있게 회선절체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인해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신선로의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를 검출하여 잡음레벨이 심한 지역에서도 정확성있게 회선절체를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수신선로가 한 선만 절단되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회선절체를 하도록 바이폴라 통신 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신된 데이터 및 클럭을 검색하여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를 검출하는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검출부와, 디코더 및 모니터부에서 출력된 RLSD신호와 상기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 검출부에서 출력된 RLSD신호를 논리하고 그 결과 값을 출력하는 논리부를 추가 구비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바이폴라 통신 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자(R, T)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특성 열화를 보상하는 수신신호등화부(1)와, 상기 수신신호등화부(1)에서 출력된 클럭(RCLK)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디코딩 및 모니터하여 출력하는 디코더 및 모니터부(2)와, 상기 수신신호등화부(1)에서 얻어진 클럭을 기준으로 데이터의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를 검출하는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 검출부(3)와, 상기 디코더 및 모니터부(2)에서 출력된 RLSD 신호와 상기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 검출부(3)에서 얻어진 RLSD 신호를 논리하고 그 결과값을 출력하는 논리부(4)와 , 상기 디코더 및 모니터부(2)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인가받고 상기 논리부(4)에서 얻어진 신호에 따라 회선절체를 하는 데이터 단말장치(5)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 바이폴라 통신 시스템의 회선절체장치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자(R, T)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수신신호등화부(1)에서 주파수 특성의 열화를 보상하고 데이타(RPOS, RNEG) 및 클럭(RCLK)을 재생하여 디코더 및 모니터부(2) 및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 검출부(3)에 각각 입력한다.
여기서 바이어레이션이란 수신된 신호가 정상적인 AMI(Aternate Mark Inversion)의 규칙을 위배한 파형을 이야기하며, 이와같이 바이어레이션 규칙을 위배한 파형을 바이어레이션 오류라고 말한다.
한편, 디코더 및 모니터부(2)는 입력되는 데이타(RPOS, RNEG)를 기준클럭(RCLK)에 따라 디코딩하여 출력하게 되고, 상기 데이타(ROPS, RNEG)를 모니터하여 회선절체 신호인 RLSD신호를 출력한다.
아울러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 검출부(3)는 입력되는 클럭(RCLK)에 따라 데이타(RPOS, RNEG)를 검색하여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를 검출한다.
만약, 입력되는 데이타(RPOS, RNEG)가 높은 잡음레벨에서 재생되었다면 정상적인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이 아니다.
따라서 이와같은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의 오류를 검출하면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 검출부(3)에서 출력된 회선절체 신호는 논리부(4)내의 오아게이트(4a)의 한 단자에 입력되며 상기 오아게이트(4a)의 타단자에는 상기 디코더 및 모니터부(2)에서 출력된 회선절체 신호인 RLSD 신호가 입력된다.
이에따라 논리부(4)는 이 두 입력을 오아링하고 그 결과값을 데이터 단말장치(5)에 입력한다.
따라서 데이터 단말장치(5)는 상기 디코더 및 모니터부(2)에서 디코딩된 데이터(RXD) 및 클럭(RXC)을 입력받고 상기 논리부(4)에서 얻어진 회선 절체 신호에 따라 회선을 정확히 절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잡음 레벨이 심한 지역에서도 회선절체를 정확히 할 수 있기에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수신 선로가 한선만 단선되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수신선로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기에 회선절체를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특성 열화를 보상하여 데이터 및 클럭을 출력하는 수신신호등화수단과, 상기 수신신호등화수단에서 출력된 클럭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디코딩 및 모니터하여 출력하는 디코더 및 모니터수단과, 상기 수신신호등화수단에서 출력된 클럭을 기준으로 데이터의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를 검출하는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디코더 및 모니터수단에서 출력된 회선절체 신호와 상기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 검출수단에서 얻어진 회선절체 신호를 논리하고 그 결과값을 출력하는 논리수단과, 상기 디코더 및 모니터수단에서 얻어진 디코딩된 데이터를 인가받고 상기 논리수단에서 얻어진 값에 따라 회선을 절체하는 데이터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된것을 특징으로한 바이폴라 통신 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논리수단은 상기 디코더 및 모니터수단에서 출력된 회선절체신호와 상기 바이폴라 바이어레이션 오류 검출수단에서 얻어진 회선절체신호를 논리합 함을 특징으로 한 바이폴라 통신 시스템의 회선절체장치.
KR2019930010587U 1993-06-16 1993-06-16 바이폴라 통신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KR01200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587U KR0120031Y1 (ko) 1993-06-16 1993-06-16 바이폴라 통신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587U KR0120031Y1 (ko) 1993-06-16 1993-06-16 바이폴라 통신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90U KR950002390U (ko) 1995-01-04
KR0120031Y1 true KR0120031Y1 (ko) 1998-07-01

Family

ID=1935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587U KR0120031Y1 (ko) 1993-06-16 1993-06-16 바이폴라 통신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0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90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2963A (ko) 디지탈 이선 버스 자료 통신시스템 고장-허용 출력 스테이지
KR960020502A (ko) 고화질 텔레비젼 지에이 시스템의 180°위상 에러 보정 장치
KR960706731A (ko) 폴트 허용 디지탈 전송 시스템(Fault tolerant digital transmission system)
KR0120031Y1 (ko) 바이폴라 통신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US5063357A (en) Stable, reliable oscillator system using automatic oscillator substitution
KR970011740B1 (ko) Hdlc nrzi 통신시스템에서의 선로이중화장치
JPS5840383B2 (ja) デ−タ伝送装置の回線制御方式
JPH01164150A (ja) データ伝送装置
KR100195966B1 (ko) 파워 콤바이너를 이용한 송신기 보호 절체회로
KR970009673B1 (ko) 데이타 재생중계기
KR920000388B1 (ko) 송·수신 데이타 충돌 감지회로
KR940006094Y1 (ko)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감시회로
JPH08163153A (ja) バス型二重化伝送装置
SU1059672A1 (ru) Комму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S61198823A (ja) 入力信号線の未接続検出方式
JPH07154302A (ja) 伝送路切替装置
KR960006163Y1 (ko) Pcm 신호 접속회로의 감지장치
RU2025902C1 (ru) Телеграфный аппарат
JP2591455B2 (ja) 通信装置
JPH0923216A (ja) 回線監視システム
JPH0746290A (ja) 状態検出回路
JPS60217747A (ja) 回線切換回路
JPH06197149A (ja) 搬送波断信号による制御データの伝送方法及び装置
JPS6481540A (en) Reception signal switching device
JPH0595306A (ja) 平衡信号伝送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