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094Y1 -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감시회로 - Google Patents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감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094Y1
KR940006094Y1 KR2019880013552U KR880013552U KR940006094Y1 KR 940006094 Y1 KR940006094 Y1 KR 940006094Y1 KR 2019880013552 U KR2019880013552 U KR 2019880013552U KR 880013552 U KR880013552 U KR 880013552U KR 940006094 Y1 KR940006094 Y1 KR 940006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unipolar
clk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848U (ko
Inventor
윤찬근
Original Assignee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이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이만용 filed Critical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3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094Y1/ko
Publication of KR9000058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8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09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감시회로
제1도는 본 고안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 감시회로의 전체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수신부채널1의 상세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 송신부채널1의 상세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 감시부의 상세회로도.
제5a도 내지 제5d도는 본 고안 수신부채널1의 각부 파형도.
제6a도 내지 제6d도는 본 고안 송신부채널1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신채널1 20 : 송신부채널1
30 : 수신부채널N 40 : 송신부채널N
50 : 감시부 60 : 비교부
1, 4 : 데이타재생 및 클럭재생부 2 : 라인드라이브
3 : 수신아날로그스위치 5 : 송신아날로그스위치
COMP1~COMP3:비교기 AND1, AND2: 앤드게이트
Q1, Q2: 트랜지스터 OR1: 오아게이트
Vcc : 전원 C1, C2: 콘덴서
L1: 코일 I1: 인버터
T1, T2: 트랜스포머
본 고안은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 : PCM)신호 전송회로의 성능 감시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극성/복극성신호 처리에 사용되는 아날로그회로의 성능감시에 적당하게 한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 감시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펄스부호변조신호 전송회로에 있어서,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가 고장나게 되어도 오신호로 수신 및 송신되어 단극성/복극성 신호가 검출되지 못하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단극성/복극성신호 처리에 사용되는 아날로그회로의 성능을 감지함으로써 수신 및 송신되는 단극성/복극성신호의 오신호 유무를 검출하도록 한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 감시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 감시회로의 전체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극성신호(BP)가 트랜스포머(T1)를 통과한 후 데이타재생 및 클럭재생부(1)를 통해 단극성신호(UP+, UP-, CLK)로 채널을 수신하게 한 수신부채널1(10)과, 상기한 수신부채널(10)의 형태를 채널N을 수신하게 한 부신부채널N(10)과, 단극성신호(UP+, UP-, CLK)가 라인드라이브(2)를 통과한 후 트랜스포머(T2)를 통해 복극성신호(BP)로 채널1을 송신하게 한 송신부채널1(20)과, 상기한 송신부채널1(20)과 같은 형태로 채널N을 송신하게 한 송신부채널 N(40)과, 상기한 수신부채널1(10) 내지 수신부채널N(30)에 입력되는 복극성신호(BP)가 선택신호에 따라 수신아날로그스위치(3)를 통과하게 하고, 상기한 송신부채널1(20) 내지 송신부채널N(40)로부터 송신되는 복극성신호(BP)가 선택신호에 따라 송신아날로그스위치(5)를 통과하게 한 후 데이타재생 및 클럭재생부(4)를 통해 단극성신호((UP+, UP-, CLK)로 검출되어 감시되게 한 감시부(50)와, 상기한 수신부채널1(10) 내지 수신주채널N(30), 송신부채널1(20) 내지 송신부채널N(40)의 단극성신호(UP+, UP-, CLK) 및 상기한 감시부(50)의 출력 단극성신호(UP+) (UP-)(CLK)를 분석비교하여 아날로그회로의 고장유무를 검출하게 한 비교부(60)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고안 수신부채널1(10)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극성신호(BP)가 트랜스포머(T1)를 통과한 후 비교기(COMP1)(COMP2)를 통해 단극성신호(UP+) (UP-)로 수신되게 하며, 이의 신호가 오아게이트(OR1)를 통과한 후 콘덴서(C1)(C2), 코일(L2) 및 비교기(COMP3)를 통해 단극성클럭신호(CLK)로 수신되게 한 데이타 재생 및 클럭재생부(1)를 구성한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 송신부채널1(20)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극성신호(UP+) (UP-)가 단극성 클럭신호(CLK)와 앤드게이트(AND1)(AND2)를 통해 각기 앤드된 후 전원(Vcc)와 함께 트랜지스터(Q1)(Q2)를 구동하게 라인드라이브(2)를 구성한 후 트랜지스포머(T2)를 통해 복극성신호(BP)로 송신되게 구성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 감시부(50)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수신부채널1(10) 내지 수신부채널N(30)의 트랜스포머(T1)를 통과한 각 채널(CH1~CHN)의 복극성신호(BP)가 수신아날로그스위치(3)에 인가되게 하고, 상기한 송신부채널1(20) 내지 송신부채널N(40)의 트랜스포머(T2)를 통해 송신되는 각 채널(CH1~CHN)의 복극성신호(BP)가 송신아날로그(5)에 인가되게 한 후 선택신호(SS)에 따라 그 채널(CH1~CHN)을 선택출력하게 하되, 제어신호(CS)가 송신아날로그(5)에 인가됨과 아울러 인버터(I1)를 통해 수신아날로그스위치(3)에 인가되게 하여, 그 제어신호(CS)에 따라 수신아날로그스위치(3) 및 송신아날로그스위치(5)를 선택적으로 동작제어하게 구성한다.
제5a도 내지 제5d도는 상기 수신채널1(10)의 각부 파형도이고, 제6a도 내지 제6d도는 상기 송신부채 1(20)의 각부 파형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및 송신되는 단극성신호(UP+) (UP-)(CLK) 및 복극성신호(BP)의 파형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현재 운용중인 수신채널1(10)의 성능을 감시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국성신호(BP)가 트랜스포머(T1)를 통해 승압된 후 비교기(COMP1)(COMP2)를 각기 통해 제5c도, 제5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극성신호(UP+) (UP-)로 수신되며, 이때 비교기(COMP1)(COMP2)의 출력이 오아게이트(OP1), 콘덴서(C1)(C2), 코일(L1)을 통과한 후 비교기(COMP3)를 통해 제5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럭신호(CLK)로 수신된다.
한편, 트랜스포머(T1)의 별도의 권선을 통과한 복극성신호(BP)가 제1채널(CH1)의 신호로 수신아날로그스위치(3)에 인가되며, 이때 제어신호(CS)에 따라 그 수신아날로그스위치(3)가 인에이블상태로 된다.
일예로, 제어신호(CS)가 저전위로 인가되면 송신아날로그스위치(5)는 디스에이블되어 동작하지 않고, 그 저전위의 제어신호(CS)가 인버터(I1)에서 고전위로 반전되어 수신아날로그스위치(3)에 인가되므로 그 수신아날로그스위치(3)가 인에이블되어 동작된다. 따라서, 그 수신아날로그스위치(3)는 선택신호(SS)에 따라 채널(CCH1~CH4)중 한 채널의 복극성신호(BP)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그 선택신호(SS)가 제1채널(CH1)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면,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제1채널(CH1)의 복극성신호(BP)가 그 수신아날로그스위치(3)에서 선택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수신아날로그스위치(3)에서 출력되는 복극성신호(BP)는 재생 및 클럭재생부(4)를 통해 단극성신호(UP+) (UP-)(CLK)로 출력되며, 이 신호가 비교부(60)에 인가된 후 상기 수신부채널(10)의 데이타재생 및 클럭재생부(1)에서 출력되는 단극성신호(UP+) (UP-)(CLK)와 분석되어, 그 특성이 같은지 비교된다.
즉, 상기 감시부(50)의 데이타재생 및 클럭재생부(4)에서 출력되는 단극성신호(UP+, UP-, CLK)를 비교부 (60)에서 입력받아 코드에러검출부를 통해 에러가 존재하는지 그의 특성을 분석하고, 또한 수신부채널1(10)의 데이타재생 및 클럭재생부(1)에서 출력되는 단극성신호(UP+, UP-, CLK)를 그 비교부(60)에서 입력받아 코드에러검출부를 통해 에러가 존재하는지 그의 특성을 분석하며, 이와 같이 특성을 분석한 두 신호를 비교하여, 그 두 신호가 서로 동일하면 접속회로에 이상이 없는 양호신호를 출력하고, 두 신호가 서로 상이하면 접속회로에 이상이 있는 불량신호로 출력한다.
그리고, 다른 수신채널의 성능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선택신호(SS)에 따라 수신아날로그스위치(3)에서 다른 채널(CH2~CHN)의 복극성신호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송신부채널1을 감시하는 경우에는 제6a도,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극성신호(UP+) (UP-)가 제6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럭신호 (CLK)와 앤드게이트(AND1)(AND2)에 앤드조합되어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전원(Vcc)과 함께 트랜지스터(Q1)(Q2)를 턴온시킨 후 트랜스포머(T2)를 통해 제6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극성신호(BP)로 송신된다.
한편, 트랜스포머(T2)의 별도 권선을 통과한 복극성신호(BP)가 송신아날로그스위치(5)에 입력되며, 이때 제어신호(CS)가 고전위이어서 그 송신아날로그스위치(5)가 인에이블되어 동작되나, 그 고전위의 제어신호(CS)가 인버터(I1)에서 저전위신호로 반전되므로 수신아날로그스위치(3)는 디스에이블되어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때 제1채널(CH1)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SS)에 따라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제1채널의 복극성신호(BP)가 그 송신아날로그스위치(5)에서 선택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송신아날로그스위치(5)에서 출력되는 복극성신호(BP)는 데이타 재생 및 클럭재생부(4)를 통해 단극성신호(UP+, UP-, CLK)로 출력되며, 이 단극성신호(UP+, UP-, CLK)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비교부(60)에 입력되어 그의 특성이 분석되고, 상기 송신부채널1(20)의 라인드라이브(2)에 입력되는 단극성신호(UP+, UP-, CLK)도 비교부(60)에 입력되어 그의 특성이 분석된후,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그 두신호가 비교되어 그 두신호가 서로 동일하며 접속회로에 이상이 없는 양호신호를 출력하고, 두 신호가 서로 상이하면 접속회로에 이상이 있는 불량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송신채널의 성능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선택신호(SS)에 따라 송신아날로그스위치(5)에서 다른 채널(CH2~CHN)의 복극성신호를 선택하여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면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로부터 출발하는 단극성/북극성회로의 모든 고장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이 감시는 라인과 절연된 상태로 행해지므로 운용중인 장치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행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감시경로를 이용하여 형재 운용중인 장치의 고장을 검출하면, 이를 스위칭 정보로 이용하여 장치의 가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극성신호(BP)가 트랜스포머(T1)를 통과한 후 비교기(COMP1)(COMP2)를 통해 단극성신호(UP+) (UP-)로 수신되게 하고, 오아게이트(OR1) 및 비교기(COMP3)를 다시 통해 클럭 단극성신호(CLK)로 수신되게 한 수신부채널1(10)과, 상기한 수신채널1(10)의 형태로 구비한 수신채널N(30)과, 단극성신호(UP+) (UP-)(CLK)가 앤드게이트(AND1)(AND2)를 통해 트랜지스터(Q1)(Q2)를 구동한 후 트랜스포머(T2)를 통해 복극성신호(BP)로 송신되게 한 송신부채널1(20)과, 상기한 송신부채널1(20)의 형태로 구비한 송신부채널N(40)과, 상기 수신부채널1(10) 내지 수신부채널N(30)에 수신된 복극성신호(BP)가 인버터(I1)를 통하는 제어신호(CS) 및 선택신호(SS)에 따라 수신아날로그스위치(3)에서 선택출력되고, 상기 송신부채널1(20) 내지 송신부채널N(40)로 부터 송신되는 복극성신호(BP)가 상기 제어신호(CS) 및 선택신호(SS)에 따라 송신아날로그스위치(5)에서 선택출력된 후 데이타재생 및 클럭재생부(4)를 통해 단극성신호(UP+) (UP-)(CLK)로 검출되어 감시되게한 감시부(50)와, 상기 수신부 및 송신부의 단극성신호(UP+) (UP-)(CLK)와 상기 감시부(50)의 단극성신호(UP+) (UP-)(CLK)를 입력받아 그의 특성을 분석하여 서로 비교하는 비교부(60)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 감시회로.
KR2019880013552U 1988-08-19 1988-08-19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감시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940006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552U KR940006094Y1 (ko) 1988-08-19 1988-08-19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감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552U KR940006094Y1 (ko) 1988-08-19 1988-08-19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감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848U KR900005848U (ko) 1990-03-09
KR940006094Y1 true KR940006094Y1 (ko) 1994-09-08

Family

ID=1927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552U Expired - Fee Related KR940006094Y1 (ko) 1988-08-19 1988-08-19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감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0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848U (ko) 199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479B1 (ko) 전기/전자스위치의기능감시장치
US4782300A (en) Differential transceiver with line integrity detection
GB2294371A (en) Fault detecting power switch driver
KR940006094Y1 (ko) 단극성/복극성 접속회로의 성능감시회로
JPH0644854A (ja) スイッチの監視方法及び装置
JP2006223036A (ja) 電力変換制御システム
US4309768A (en) Mismatch detection circuit for duplicated logic units
JPH11196564A (ja) 電力変換器の制御装置
JPH11150461A (ja) 高電圧スイッチ回路
JP4088967B2 (ja) 出力接点装置の診断回路
JPS5932319A (ja) サイリスタスイツチ故障監視方式
US7522037B2 (en) Method for forming and transmitting signals
KR0120031Y1 (ko) 바이폴라 통신시스템의 회선절체 장치
JP3012561B2 (ja) 信号保持回路および方法
JPS5880574A (ja) 超音波障害物検出装置
KR200146210Y1 (ko) 화재감지회로
JPH02132930A (ja) 光出力切替方式
SU403100A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цифровой ииформации
SU1540022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ереключени телеграфных каналов св зи
JP2006209618A (ja) デジタル出力装置およびデジタル出力装置を用いた診断方法
JPS62271547A (ja) 識別回路
JPH0341842A (ja) 伝送システム
SU145360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бипол рных телеграфных сигналов
JP3212369B2 (ja) インバータの駆動信号検出回路
JPS63222550A (ja) 出力異常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081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1020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819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40428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11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11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411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13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