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912Y1 - 자동검사기의 단일부품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검사기의 단일부품 검사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18912Y1 KR0118912Y1 KR2019950006140U KR19950006140U KR0118912Y1 KR 0118912 Y1 KR0118912 Y1 KR 0118912Y1 KR 2019950006140 U KR2019950006140 U KR 2019950006140U KR 19950006140 U KR19950006140 U KR 19950006140U KR 0118912 Y1 KR0118912 Y1 KR 01189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surement
- relay
- signal
- unit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1—Specific types of tests or tests for a specific type of fault, e.g. thermal mapping, shorts testing
- G01R31/2815—Functional tests, e.g. boundary scans, using the normal I/O contac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8—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electrical inspection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쇄회로(PCB) 기판의 자동검사(I.C.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검사기의 몸체 어디에나 장착하여 사용가능한 리이드봉을 이용하여 실장 PCB의 전자 부품에 대한 개별적인 측정, 검사를 행함으로써 스위칭부와 릴레이 보드를 이용한 종래의 측정검사시 발생하는 접촉 저항이나 시간적인 문제를 해결한 자동검사기의 단일 부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검사장치에 대한 개략 블록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검사기의 단일 부품 검사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검사의 개략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1:컴퓨터 212:릴레이 선택부
213:축정신호 공급부 214:신호 공급릴레이부
215:측정릴레이부 216:(-)신호 리이드 봉
217:(+)신호 리이드봉 218:측정단
219:프레스바
본 고안은 인쇄회로(PCB)기판의 자동 검사조정기(I.C.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검사 조정기의 몸체 어디에나 장착하여 사용가능한 리이드봉을 이용하여 실장 PCB의 전자부품에 대한 개별적인 측정 검사를 행하므로써, 스위칭부를 이용한 종래의 측정검사시 발생하는 접촉 저항이나 시간적인 문제를 해결한 자동 검사기의 단일 부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검사조정기에는 전자부품(코일, 콘덴서, 저항)등에 대한 개별적인 측정시 종래의 기술은 픽춰에 장착된 해당 피측정 부품에 대한 테스트핀에 계측전원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는 해당 테스트핀에 대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해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대표적인 기술이 제1도에 도시된다.
실장 PCB 기판이 자동검사기에 세팅(Setting)되면, 프레스바(Press Bar)(111)를 조금씩 아래로 다운(Down)하여 부품이 없는 포인터에 고정후 주제어부인 컴퓨터(116)는 PCB 기판(117)의 테스트핀(112)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해서 구동신호를 릴레이보드(114)에 출력한다. 구동신호의 입력으로 내부접점이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도시생략)에서 계측전원이 스위칭부(113)를 경유하여 픽춰의 해당 테스트핀(112)에 공급된다.
테스트핀(112)과 접촉된 피측정 부품(118)은 계측 전원을 인가받은 후 용량값을 다시 릴레이 보드(114)를 거쳐 측정보드(115)로 출력하고, 측정보드(115)는 다시 주제어부인 컴퓨터(116)에 전송하여 측정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검사기의 단일 부품 검사장치는 단품을 측정하기 위해 픽춰의 테스트핀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해 컴퓨터에서 릴레이보드를 통해 릴레이 구동신호를 보내야 하고, 단품을 측정한 값이 다시 스위칭부를 통해 측정보드로 입력되기 때문에 측정시간이나 접촉저항 발생등으로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다.
또한, 픽춰에 장착된 핀을 이용하여 측정을 하므로 픽춰가 없을 때는 측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는 PCB 자동검사기에서 개별적인 전자부품을 측정검사 할 수 있는 자동검사기의 단일 부품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위칭부와 픽춰를 이용하지 않고 정밀도가 높은 자동검사기의 단일부품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인 컴퓨터(211)와, 상기 장치에 계측전원을 공급하는 측정 신호 공급부(213)와, 상기 측정신호 공급부(213)의 계측 전원을 내부 접점을 통해 온, 오프하는 다수의 릴레이로 구성된 신호 공급 릴레이부(214)와, 상기 신호 공급 릴레이부(214)의 내부접점을 온,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한 여자전류를 출력하는 릴레이 선택부(212)와, 상기 릴레이 선택부(212)의 제어신호에 의해 코일이 여자되고, 상기 신호 공급릴레이부(214)의 해당 릴레이의 코일과 직렬로 연결되어 동시에 온, 오프 상태로 되는 다수의 릴레이로 구성된 측정 릴레이부(215)와, 상기 측정 릴레이부(215)에서 출력되는 피측정부품의 측정값을 입력받는 측정단(218)과, 상기 신호공급 릴레이부(214)의 내부접점의 한쪽 단자는 측정신호 공급부(213)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공급 릴레이부(214)의 내부 접점의 다른 단자에는 피측정부품의 한쪽 측정 포인터에 접촉하는 연장 케이블로 이루어진(+) 신호의 리이드봉(217)과, 상기 측정 릴레이부(215)의 내부접점의 한쪽 단자는 측정단(218)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릴레이부(215)의 내부접점의 다른 단자에는 피측정 부품의 다른쪽 측정 포인터에 접촉하는 연장 케이블로 이루어진 (-)신호의 리이드봉(216)과, 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검사기의 단일 부품검사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211는 주제어부인 컴퓨터이고 상기 장치를 총괄 제어한다.
212는 릴레이 선택부이고 컴퓨터(211)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해당부품의 측정하고자 하는 값에 대한 릴레이를 선택한다.
213는 측정신호 공급부이고, 컴퓨터의 제어를 받아 상기 장치에 계측 전원을 공급한다.
214는 신호 공급 릴레이부이고 다수의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고 릴레이 선택부(212)의 구동신호를 받아 측정하고자 하는 값에 대한 해당 릴레이가 온오프 상태로 된다.
215는 측정 릴레이부이고 다수의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고 릴에이 선택부(221)의 구동신호를 받아 측정하고자 하는 값에 대한 릴레이의 내부접점이 신호공급 릴에이부의 대응 릴레이와 동시에 온상태로 된다.
216는 (+) 신호 리이드봉이고, 피측정부품의 측정 포인터에 접촉시킨다.
217는 (-) 신호의 리이드봉이고, 피측정부품(221)의 측정포인터에 접촉시킨다.
218는 측정단이고, 피측정 부품에서 측정된 값을 입력받는다.
219는 프레스바이고, 실장 PCB 기판(220)을 눌러서 픽춰(222)의 테스트 포인터와 부품을 접촉시킨다.
제2도,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장 PCB 기판의 전자부품(221)에 대한 자동검사기의 검사, 조정 기능을 수행중, 컴퓨터상에 설정된 용량과 PCB 기판에 삽입된 부품의 용량이 다르게 나타나든지, 의심나는 부품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작업자는 주제부인 컴퓨터(211)의 환경 설정의 스텝검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값(예 직류정전압, 직류정전류, 교류정전압)을 선택한다.
또한 작업자는 자동검사의 검사 조정중 이상이 발생한 피측정 부품의 한쪽 부분에는 (+)신호 리이드봉을 접촉시키고, 피측정 부품의 다른쪽 부분에는 (-)신호 리이드봉을 접촉시킨다.
측정하고자 하는 값을 입력받은 컴퓨터는 릴레이 선택부(21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릴레이를 구동시킨다.
즉 제1 릴레이(RL1)가 직류정전압 측정 릴레이이고, 피측정 부품에 대한 직류 정전압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컴퓨터는 데코더인 릴레이 선택부(212)의 A, B단자에 제1 릴레이(RL1)와 제2 릴레이(RL2)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G단자에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면, 릴레이 선택부(212)는 Yo 단자로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가 제1 릴레이(RL1)와 제2 릴레이(RL2)의 코일을 여자시키면 제1 릴레이(RL1)의 내부접점이 연결되어 측정신호 공급부(213)에서의 계측 전원이 (+)신호 리이드봉(217)에 공급되고, 또한 제1 릴레이(RL1)와 직렬로 연결된 제2 릴레이(RL2)에도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코일이 여자되면 제2 릴레이(RL2)의 내부접점이 온상태로 되어 측정단(218)과 (-)신호 리이드 봉(216)에 연결된다.
피측정부품(221)에 계측전원이 (+)신호 리이드봉(217)의 끝부분을 통해서 인가되면, 피측정부품(221)의 측정값은 (-)신호 리이드봉(216)을 경유하여 측정단(218)에 입력된다.
이때 컴퓨터는 제1 릴레이(RL1)와 대응하는 측정 릴레이부(215)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였으므로, 제3 릴레이(RL3)와 대응하는 측정 릴레이부(215)와 제4 릴레이(RL4) 및 제5 릴레이(RL5)와 대응하는 측정 릴레이부(215)의 제6 릴레이(RL6)는 선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신호 공급 릴레이부(214)와 측정 릴레이부(215)는 각각 (+) 신호 리이드봉(217)과 (-) 신호 리이드봉(216)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지만 계측 전원은 제1 릴레이(RL1)를 통해서만 공급되고, 또한 측정값도 제2 릴레이(RL2)로만 출력된다.
그리고 직류 정전류, 교류 정전압 측정등에도 릴레이 선택부(212)의 Y1, Y2 단자에 각각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와 같은 피측정부품(221)의 용량을 측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신호 리이드봉(217)과 (-) 신호 리이드봉(216)을 사용하여 픽춰의 테스트핀이 없이도 자유롭게 피측정 부품을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시간적인 절약과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
- 자동검사기의 단일 부품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의 컴퓨터와, 상기 장치에 계측전원을 공급하는 측정 신호 공급부와, 상기 측정신호 공급부의 계측전원을 내부 접점을 통해 온, 오프하는 다수의 릴레이로 구성된 신호 공급 릴레이부와, 상기 신호 공급 릴레이부의 내부 접점을 온,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한 여자 전류를 코일에 인가하는 릴레이 선택부와, 상기 릴레이 선택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코일이 여자되고, 상기 신호 공급 릴레이부의 해당 릴레이이 코일과 직렬로 연결되어 동시에 온, 오프 상태로 되는 다수의 릴레이로 구성된 측정 릴레이부와, 상기 측정 릴레이부에서 출력되는 피측정 부품의 측정값을 입력받는 측정단과, 상기 신호 공급 릴레이부의 내부 집점의 한쪽 단자는 측정신호 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 공급 릴레이부의 내부 접점의 다른 단자에는 피측정 부품의 한쪽 측정 포인터에 접촉하는 연장 케이블로 이루어진 (+)신호의 리이드봉과, 상기 측정 릴레이부의 내부 접점의 한쪽 단자는 측정단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릴레이부의 접점의 다른 단자에는 피측정 부품의 다른쪽 측정 포인터에 접촉하는 연장 케이블로 이루어진 (-) 신호의 리이드봉과, 를 구비하여 피측정 부품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검사기의 단일 부품검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06140U KR0118912Y1 (ko) | 1995-03-30 | 1995-03-30 | 자동검사기의 단일부품 검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06140U KR0118912Y1 (ko) | 1995-03-30 | 1995-03-30 | 자동검사기의 단일부품 검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3143U KR960033143U (ko) | 1996-10-24 |
KR0118912Y1 true KR0118912Y1 (ko) | 1998-08-17 |
Family
ID=1941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06140U KR0118912Y1 (ko) | 1995-03-30 | 1995-03-30 | 자동검사기의 단일부품 검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18912Y1 (ko) |
-
1995
- 1995-03-30 KR KR2019950006140U patent/KR011891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3143U (ko) | 1996-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157799B (zh) | 激光修阻方法及系统 | |
JPH065261B2 (ja) | 電子デバイス又は回路テスト方法及び装置 | |
KR0118912Y1 (ko) | 자동검사기의 단일부품 검사장치 | |
US6794859B2 (en) | Automatic multimeter | |
JP2001091562A (ja) | 回路基板検査装置 | |
KR100355716B1 (ko) | 인서키트테스터에서의 저저항 측정방법 | |
JP2002228567A (ja) | 寿命試験機 | |
KR100889029B1 (ko) | 전원공급장치 | |
KR0158422B1 (ko) | 실장형 회로소자 자동검사장치 | |
KR100483327B1 (ko) | 전자 부품 및 모듈의 신뢰성 테스트에 이용되는 리니어테스트 장치 | |
JP2001194407A (ja) | パターン配線基板用電気検査方法及び装置 | |
KR0184891B1 (ko) | 직류 정전압을 이용한 저항측정회로 | |
KR870000137B1 (ko) | 부품자동측정기의 측정전압 발생회로 | |
JPH05312899A (ja) | 液晶駆動ドライバic試験装置 | |
JP3703042B2 (ja) | Icのインサーキットテスタによる足浮き検出方法並びにその足押え具 | |
KR100441089B1 (ko) | 집적회로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 |
JP3209753B2 (ja) | 半導体素子の検査方法 | |
KR950014751B1 (ko) | 디지탈 아이씨 출력특성 측정장치 | |
KR20000042722A (ko) | 다기능 검사기의 저항특성검사장치 및 방법 | |
JP2002261134A (ja) | マーキング装置 | |
JPH1019958A (ja) | Icのインサーキットテスタによる足浮き検出方法並びに接触式ヒータープローブ | |
JPH11118872A (ja) | 電圧測定用モジュール及び動作電圧測定方法 | |
JPH07146322A (ja) | 実装部品のリードの半田付け不良検出方法 | |
KR200141489Y1 (ko) | 전자부품의 핀 접촉검사장치 | |
KR101044257B1 (ko) | 전압/전류 발생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