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2169A - 차량용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169A
KR20120102169A KR1020127022505A KR20127022505A KR20120102169A KR 20120102169 A KR20120102169 A KR 20120102169A KR 1020127022505 A KR1020127022505 A KR 1020127022505A KR 20127022505 A KR20127022505 A KR 20127022505A KR 20120102169 A KR20120102169 A KR 20120102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atio
image
gradation
display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끼히데 시바따
미끼 가또
마꼬또 이노마따
도모유끼 미야가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2010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Indicating Measured Valu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10)과, 광원(40)과, 제어기(50)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패널은, 특정 표시 화소(72)와 통상 표시 화소(62)를 갖는다.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설정 계조값에 대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의 비율을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로서 제어하는 동시에, 특정 표시 화소의 설정 계조값에 대한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값의 비율을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로서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는,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1 모드와, 제1 모드보다도 낮은 휘도로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2 모드를, 제어 모드로서 설정한다.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 및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로 설정하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크게 하는 계조 처리를 실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표시 장치{DISPLAY DEVICE FOR VEHICLES}
본 출원은, 당해 개시 내용이 본 출원에 참조로 결합된, 2006년 11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318815호 및 2007년 10월 22일에 출원된 제2007-274295호를 기초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정 패널과 그것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을 구비한 차량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을 광원의 발광에 의해 조명하도록 한 차량용 표시 장치의 일종으로서, 광원의 휘도 또는 액정 패널의 화소의 계조값을 가변으로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6-258783호 참조). 이러한 종류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서는, 외광 조도가 낮은 야간 등에 광원 발광 휘도 또는 화소 계조값을 감소시켜 액정 패널의 표시 화상의 밝기를 억제함으로써, 당해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류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서는, 광원 발광 휘도 또는 화소 계조값을 감소시키면, 액정 패널의 전체 표시 화상에 대한 밝기가 억제되어 버린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의 표시 화상 중, 차량 이상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 화상 등의, 어느 정도의 밝기가 필요한 화상까지 어둡게 표시되어 버려, 화상 본래의 표시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전술한 문제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인성을 우선하는 화상과, 표시 목적의 달성을 우선하는 화상을, 모두 적절하게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차량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발광에 의해 액정 패널을 조명하는 광원과, 액정 패널 및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패널은, 특정시에 특정 화상을 표시하는 특정 표시 화소와, 특정 표시 화소에 의해 특정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통상시 및 특정시에 통상 화상을 표시하는 통상 표시 화소를 갖고,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설정 계조값에 대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의 비율을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로서 제어하는 동시에, 특정 표시 화소의 설정 계조값에 대한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값의 비율을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로서 제어하고, 또한 제어기는,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1 모드와, 제1 모드보다도 낮은 휘도로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2 모드를 제어 모드로서 설정하고,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 및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로 설정하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크게 하는 계조 처리를 실시한다.
전술한 태양에 따르면, 통상 표시 화소 및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각 계조 비율이 최대 비율로 설정되는 제1 모드에 대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이 커진다. 그러므로, 제1 모드보다도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통상시 및 특정시의 양쪽에 통상 표시 화소가 표시하는 통상 화상에 대해, 밝기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에서 계조 처리에 있어서 특정시에 특정 표시 화소가 표시하는 특정 화상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밝기를 확보하여 표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 따르면, 시인성을 우선하는 통상 화상과, 표시 목적의 달성을 우선하는 특정 화상을, 모두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기준이 되는 설정 계조값과,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기준이 되는 설정 계조값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차량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발광에 의해 액정 패널을 조명하는 광원과, 액정 패널 및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패널은, 특정시에 특정 화상을 표시하는 특정 표시 화소와, 특정 표시 화소에 의해 특정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통상시 및 특정시에 통상 화상을 표시하는 통상 표시 화소를 갖고, 제어기는,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1 모드와, 제1 모드보다도 낮은 휘도로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2 모드를 제어 모드로서 설정하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시 및 특정시의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을 가변으로 하는 한편,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태양에 따르면, 제1 모드보다도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에 있어서는, 통상시 및 특정시의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이 가변이 되므로, 그들 통상시 및 특정시의 양방에 통상 표시 화소로 표시되는 통상 화상의 밝기를 적절하게 억제하여, 통상 화상의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2 모드에 있어서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특정시에는, 특정 표시 화소로 표시되는 특정 화상의 밝기를 통상 화상의 밝기에 관계없이 확보하여, 특정 화상 본래의 표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시인성을 우선하는 통상 화상과, 표시 목적의 달성을 우선하는 특정 화상을, 모두 적절하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혹은 다른 태양, 구성, 이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전기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통상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통상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화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화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광원 발광 휘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1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4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제1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제1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의 광원 발광 휘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전기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계 화상의 표시가 허가된 경우의 통상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광원 발광 휘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계 화상의 표시가 허가된 경우의 통상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화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계 화상의 표시가 허가된 경우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계 화상의 표시가 금지된 경우의 통상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계 화상의 표시가 금지된 경우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특징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6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7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제1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8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표시 금지 제2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9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표시 허가 제2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7 실시 형태에 특유의 변형 형태에 의한 광원 발광 휘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7 실시 형태에 특유의 변형 형태에 의한 광원 발광 휘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2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7 실시 형태에 특유의 변형 형태에 의한 미터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3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7 실시 형태에 특유의 변형 형태에 의한 경고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4는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값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5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의 광원 발광 휘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6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값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7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의 제1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9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0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값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1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2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3은 본 발명의 제20 실시 형태의 화소 계조값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4는 본 발명의 제20 실시 형태의 화상 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5는 본 발명의 제20 실시 형태의 제1 모드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표시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은 당해 장치(1)의 전기 회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차량용 표시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1)는, 액정 패널(10), 광원(40), 제어 회로(50), 스위치(52, 53) 및 센서(54, 55, 5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10)은 예를 들어 TFT 투과 액정 패널이며, 화면(12)이 차량의 좌석측을 향하도록 하여 차량의 차실내 전방에 설치된다. 이 액정 패널(10)의 화면(12)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도트 매트릭스형으로, 그들의 화소가 화상 신호에 따라서 구동 제어됨으로써 화상 표시를 실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액정 패널(10)의 화소는, 적색, 녹색, 청색의 컬러 필터가 각각 배치된 삼색의 서브 화소 R, G, B로 이루어지고, 액정 패널(10)의 구동 회로(14)(도 3 참조)에는, 그들 서브 화소에 대한 계조값을 화소마다 선택하는 화상 신호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일 화소를 구성하여 특정 색조(색상)를 표현하는 서브 화소 중, 그 색조 표현에 농도가 필요해지는 서브 화소에 대해, 계조값이 0보다도 크고 또한 설정 계조값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당해 설정 계조값에 대한 계조값의 비율(이하, 단순히「계조 비율」이라 함)이 결정된다. 색조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들 각 서브 화소에 대한 계조 비율이 서로 동일 비율로 설정됨으로써, 색조가 바뀌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이는, 색조가 바뀌지 않음으로써, 차량의 승무원이 표시를 관측하는 것이 용이해져, 표시를 잘못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색조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한 계조 비율을 성립시키는 계조값을 선택하는 동시에, 나머지 서브 화소의 계조값으로서 0을 선택하는 화상 신호가 구동 회로(14)에 부여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화소 중, 색조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에 대한 계조 비율을「화소의 계조 비율」로 나타낸다.
여기서, 색조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의 계조값에 대해 계조 비율의 기준이 되는 설정 계조값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내는 0 내지 63의 64단계의 계조값을 갖는 컬러 팔레트 테이블이 제어 회로(50)의 후술하는 화상 메모리(58)에 기억되어 있고, 그들 64단계의 계조값 중에서 적절한 수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적색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 R의 경우는 63이 설정 계조값이 되고, 황색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 R, G의 경우는 각각 63, 31이 설정 계조값이 되고, 백색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 R, G, B의 경우는 각각 63, 63, 63이 설정 계조값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정 계조값은 선택되는 계조값 중 최대값으로 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 설정 계조값일 때의 계조 비율이 최대 비율로서의 100%가 된다. 여기서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40)을 감광(減光)하지 않는 후술하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설정 계조값의 선택에 의해 화상의 휘도가 최대가 될 때의 계조 비율이 최대 비율로 되어 있다.
또한, 설정 계조값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64단계의 계조값이 화상 메모리(58)에 기억되어 있다고 해도, 64 및 0 이외의 수치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예의 황색 표현에 있어서는, 최대 비율 100%일 때의 서브 화소 G의 설정 계조값을 31로 하고 있고, 그러므로 서브 화소 G의 계조 비율을 50%로 변경할 때에는, 서브 화소 G의 계조값으로서 15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에 준하여, 예를 들어 적색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 R의 설정 계조값을 31로 하고, 서브 화소 R의 계조값으로서 15를 선택함으로써, 서브 화소 R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100%로부터 50%로 변경하도록 해도, 물론 좋은 것이다.
광원(40)은 발광 다이오드(42) 및 확산판(44)을 구비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42)는 예를 들어 칩 타입이며, 액정 패널(10)의 경사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42)는, 그것의 전원 회로(48)(도 3 참조)에 부여되는 구동 신호에 따른 휘도의 광을 방사한다. 확산판(44)은 광 투과성의 수지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액정 패널(10)의 후방에 당해 패널(1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확산판(44)은 인접하여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42)의 방사광을 확산하여, 액정 패널(10)측의 발광면(46)으로부터 출사함으로써, 발광면(46)의 발광 휘도를 그 전역에 걸쳐서 대략 균일화한다. 이상의 구성의 광원(40)은, 발광면(46)에 있어서의 발광에 의해 액정 패널(10)을 후방으로부터 투과 조명하는 백라이트로서 기능하고, 액정 패널(10)의 화면(12)에 표시되는 화상을 발광시킨다.
「제어기」으로서의 제어 회로(5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이며, 발광 다이오드(4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50)는, 액정 패널(10)의 구동 회로(14)와 광원(40)의 발광 다이오드(42)의 전원 회로(48)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회로(50)는 차량에 탑재된 라이트 스위치(52), 액정 조정 스위치(53), 상태값 센서(54), 이상 센서(55), 조도 센서(56) 등에도 전기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접속 형태의 제어 회로(50)는 스위치(52, 53) 및 센서(54, 55, 56)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구동 회로(14)에 부여하는 화상 신호 및 전원 회로(48)에 부여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액정 패널(10)의 표시 작동 및 광원(40)의 발광 작동을 제어한다. 특히, 액정 패널(10)의 표시 작동의 제어에 대해서는, 화상 메모리(예를 들어 화상 ROM)(58)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제어 회로(50)가 화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실현된다.
여기서 라이트 스위치(52)는 차량의 소정의 램프를 온(ON) 오프(OFF)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위치로서, 테일 램프 온의 차폭등 온 위치 및 전조등 온 위치 및 테일 램프 오프의 전체 등 오프 위치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승무원(이하, 단순히「승무원」이라 함)은, 라이트 스위치(52)를 희망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당해 조작 위치에 대응한 온 오프 지령을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정 조정 스위치(53)는 액정 패널(10)의 화면(12)에 표시되는 화상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밝기에 대해 규정된 복수 단계(예를 들어 10단계)의 조정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위치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승무원은 액정 조정 스위치(53)를 희망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당해 조작 위치에 대응한 조정값을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의 각 스위치(52, 53)는 각각 조작 위치에 대응한 입력 내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회로(5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각 스위치(52, 53)는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을 받는「입력 장치」으로서 기능한다.
상태값 센서(54)는 액정 패널(10)의 화면(12)에 화상으로서 표시시키는 차량의 상태값,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속을 검출한다. 이상 센서(55)는 차량에 발생한 이상,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 냉각수의 수온 이상을 검출한다. 조도 센서(56)는 차량의 외광의 조도를 검출한다. 이들 각 센서(54, 55, 56)는 각각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회로(50)로 송신한다.
다음에, 액정 패널(10)의 표시 화상에 대해, 도 4,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통상시(normal time)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10)의 화면(12)의 표시를 나타내고, 도 5는「특정시(particular time)」로서의 차량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화면(12)의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의 화면(12)은 화상(60, 70, 80) 등을 표시함으로써 콤비네이션 미터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미터 화상(60)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상태값으로서 상태값 센서(54)가 검출한 차속을 승무원에게 지시하기 위한 화상이다. 따라서, 미터 화상(60)은, 도 4에 도시하는 통상시에 있어서도, 도 5에 도시하는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도,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미터 화상(60)은 눈금 화상(60a), 숫자 화상(60b) 및 지침 화상(6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눈금 화상(60a) 및 숫자 화상(60b)은 원주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복수개씩 고정 표시되고, 지침 화상(60c)은 차속에 따른 부위의 화상(60a, 60b)을 가리키도록 가동식으로 표시된다. 또한, 여기서 도 4, 도 5에서는, 시인성(viewability)을 중시하므로, 각각 복수개씩의 화상(60a, 60b, 60c) 중 일부에 대해서만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경고 화상(70)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이상으로서, 엔진 냉각수의 수온 이상을 이상 센서(55)가 검출하였을 때에, 당해 이상 발생의 취지를 승무원에게 경고하기 위한 화상이다. 따라서, 경고 화상(70)은, 도 5에 도시하는 이상 발생시에는 표시되지만, 도 4에 도시하는 통상시에는 배경 화상(80)과 동화되어, 외관상 표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배경 화상(80)은, 미터 화상(60) 및 경고 화상(70)의 주위에 배치되어, 그들 화상(60, 70)을 눈에 띄게 하기 위한 화상이다. 따라서, 배경 화상(80)은, 도 4에 도시하는 통상시에 있어서도, 도 5에 도시하는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도, 항상 일정한 밝기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미터 화상(60)이「통상 화상(normal image)」에 상당하는 것이며, 경고 화상(70)이 「특정 화상(particular image)」에 상당하는 것이다.
다음에, 액정 패널(10)의 화면(12)의 구성 화소에 의한 화상 표시에 대해, 도 6,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6은 통상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10)의 화면(1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7은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화면(12)의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6, 도 7에서는, 시인성을 중시하여, 각각 복수개씩의 화소(62, 72, 82) 중 일부에 대해서만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터 화상(60)은, 그 윤곽선을 나타내는 굵은 선 내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이 제어 회로(50)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따라서 제어됨으로써 표시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 화상(70)은, 그 윤곽선을 나타내는 굵은 선 내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값이 제어 회로(50)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따라서 제어됨으로써 표시된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경 화상(80)은, 다른 화상(60, 70)의 윤곽선을 나타내는 굵은 선 밖의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값이 제어 회로(50)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따라서 제어됨으로써 표시된다.
또한, 미터 표시 화소(62)가「통상 표시 화소」에 상당하는 것이며, 경고 표시 화소(72)가「특정 표시 화소」에 상당하는 것이다.
다음에,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에 대해, 도 1,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 도 10은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또한 도 8은 광원 발광 휘도에 대해, 또한 도 9는 화상 표시 상태(밝기 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제1 모드
제어 회로(50)는 전체 등 오프 위치를 나타내는 라이트 스위치(52)로부터의 신호와, 임계값 I를 초과하는 외광 조도를 나타내는 조도 센서(56)로부터의 신호 중 적어도 한쪽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 설정한다. 따라서, 제1 모드는, 통상 외광 조도가 높은 주간에 실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제1 모드의 제어 회로(50)는,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어느 때에 있어서도, 광원(40)을 제어하여 그 발광면(46)의 발광 휘도(이하, 단순히「발광 휘도」라 함)를 최고 휘도 Lmax(도 8)로 유지하는 동시에,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 비율을 고정 비율 RWfix로 제어하여 배경 화상(80)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제1 모드의 통상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액정 조정 스위치(53)의 조작 위치, 즉 승무원에 의해 입력되는 화상 밝기의 조정값(이하, 단순히「입력 조정값」이라 함)에 의하지 않고,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도 1)로, 또한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배경 표시 화소(82)와 동일한 고정 비율 RWfix(도 1)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1 모드의 통상시에 있어서는, 최고 휘도 Lmax의 광원(40)의 작용과 더불어 미터 화상(60)이 최대 허용의 밝기 BMmax(도 9)로 표시되는 동시에, 경고 화상(70)이 배경 화상(80)과 동화(도 9)되게 된다.
여기서 일례를 나타내면, 0 내지 63의 64단계의 계조값이 준비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미터 화상(60)의 색조로서 황색을 선택하는 동시에, 최대 비율 RMmax로서의 100%를 성립시키도록, 미터 표시 화소(62)의 서브 화소 R, G의 계조값으로서 각각 설정 계조값인 63, 31을 선택하고 또한 당해 화소(62)의 서브 화소 B의 계조값으로서 0을 선택한다. 또한, 경고 화상(70)의 색조로서 적색을 선택하는 동시에, 고정 비율 RWfix로서 25%를 성립시키도록, 경고 표시 화소(72)의 서브 화소 R, G, B의 계조값으로서 각각 15, 0, 0을 선택한다. 또한, 배경 화상(80)의 색조로서 청색을 선택하는 동시에, 고정 비율 RWfix로서 25%를 성립시키도록, 배경 표시 화소(82)의 서브 화소 R, G, B의 계조값으로서 각각 0, 0, 15를 선택한다. 이와 같은 색조 및 계조값의 선택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미터 화상(60)은 최대 허용의 밝기 BMmax로 표시되고, 또한 경고 화상(70) 및 배경 화상(80)은, 색조는 다르지만, 모두 암색(dark color)으로 되므로,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동화되게 된다.
한편, 제1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및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각각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의하지 않고, 서로 같은 최대 비율 RMmax, RWmax(도 1)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1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는, 최고 휘도 Lmax의 광원(40)의 작용과 더불어, 미터 화상(60) 및 경고 화상(70)이 각각 최대 허용의 밝기 BMmax, BWmax(도 9)로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일례에 비추면, 경고 화상(70)의 색조는 적색이므로, 최대 비율 RWmax로서의 100%를 성립시키도록, 경고 표시 화소(72)의 서브 화소 R의 계조값으로서 설정 계조값인 63을 선택하고 또한 당해 화소(72)의 서브 화소 G, B의 계조값으로서 함께 0을 선택한다. 이에 의해 경고 화상(70)은 미터 화상(6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최대 허용의 밝기 BWmax로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2) 제2 모드
제어 회로(50)는, 차폭등 온 위치 또는 전조등 온 위치를 나타내는 라이트 스위치(52)로부터의 신호와, 임계값 I 이하의 외광 조도를 나타내는 조도 센서(56)로부터의 신호의 양쪽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어 모드를 제2 모드로 설정한다. 따라서, 제2 모드는 통상 외광 조도가 낮은 야간이나 차량의 어두운 장소 통과시에 실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제2 모드의 제어 회로(50)는,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어느 때에 있어서도, 광원(40)의 발광 작동을 제어하여 그 발광 휘도를 최고 휘도 Lmax보다도 낮은 중간 휘도 Lmid(도 8)로 유지하는 동시에,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 비율을 상기 (1)과 같은 고정 비율 RWfix로 제어하여 배경 화상(80)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제2 모드의 통상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른 비율로 가변 제어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조정값의 증대 변화에 대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이 최대 비율 RMmax로부터 ΔRM(도 1)의 범위에서 선형 감소하도록 가변 제어된다. 또한 그 한편으로 제어 회로(50)는, 제2 모드의 통상시에 있어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의하지 않고, 배경 표시 화소(82)와 동일한 고정 비율 RWfix(도 1)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2 모드의 통상시에 있어서는, 중간 휘도 Lmid의 광원(40)의 작용과 더불어 미터 화상(60)의 밝기가 승무원 희망 밝기 ΔBM(도 9)으로 억제되는 동시에, 경고 화상(70)이 배경 화상(80)과 동화(도 9)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1)에서 설명한 일례에 비추면, 미터 화상(60)의 색조는 황색이므로, 미터 표시 화소(62)의 서브 화소 B의 선택 계조값을 0으로 고정하면서, 당해 화소(62)의 서브 화소 R, G의 선택 계조값을 각각 63 내지 1, 31 내지 1 사이에 있어서, 설정 계조값 63, 31에 대해 동일한 계조 비율(예를 들어 100% 내지 10% 정도)이 되도록 선형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50%로까지 감소시키는 것이면, 서브 화소 R, G, B의 계조값으로서 각각 31, 15, 0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계조 비율을 10%로까지 감소시키는 것이면, 서브 화소 R, G, B의 계조값으로서 6, 3, 0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상기 제2 모드의 통상시와 마찬가지로 가변 제어한다. 즉,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도, 입력 조정값의 증대 변화에 대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이 최대 비율 RMmax로부터 선형 감소하도록, 범위 ΔRM(도 1)에 있어서의 가변 제어가 실시되는 것이다. 또한 그 한편으로 제어 회로(50)는,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의하지 않고, 제1 모드의 이상 발생시와 동일한 최대 비율 RWmax(도 1)로 유지한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RMmax, RWmax의 값이 동일해지는 본 실시 형태의 제2 모드에서는, 당해 RMmax로부터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킨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커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유지하는 처리가 실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1)에서 설명한 일례에 비추면, 경고 화상(70)의 색조는 적색이므로, 경고 표시 화소(72)의 서브 화소 R, G, B의 선택 계조값을 각각 63, 0, 0으로 함으로써, 서브 화소 R의 설정 계조값에 대한 선택 계조값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Wmax(100%)로 하여, 미터 화상(62)의 계조 비율(예를 들어 100% 내지 10%) 이상으로 한다. 또한, 이상의 예시적인 설명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Wmax로 한다는 것은, 제1 모드의 이상 발생시의 설정 계조값과 다르지 않은 계조값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이상으로부터,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는, 중간 휘도 Lmid의 광원(40)의 작용과 더불어, 미터 화상(60)의 밝기가 승무원 희망 밝기 ΔBM(도 9)으로 억제되는 한편, 경고 화상(70)의 밝기가 당해 중간 휘도 Lmid 하에서의 최대의 밝기 BWh(도 9)로 유지된다. 또한, 밝기 BWh에 대해서는, 중간 휘도 Lmid 하에 있어서 경고 화상(70)의 시인이 용이해지도록 가급적 크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는, 광원(40)이 감광하는 동시에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이 최대 비율 RWmax로부터 선형 감소함으로써, 미터 화상(60)의 밝기가 승무원 희망 밝기 ΔBM으로 억제되어도, 경고 표시 화소(72)의 경고 화상(70)의 계조 비율이 최대 비율 RWmax로 유지됨으로써, 경고 화상(70)의 미터 화상(60)에 대한 상대적인 밝기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10에 있어서 종축을, 각 화소(62, 72)에 대응하는 화상(60, 70)의 휘도로 변경하여 생각하면, 경고 화상(70)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미터 화상(60)의 밝기보다도 밝아지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이다(후술하는 도 17, 도 26, 도 31, 도 35, 도 38, 도 40, 도 42, 도 44, 도 46, 도 48, 도 50, 도 52, 도 65에 대해서도, 같은 것이라 할 수 있음). 이러한 점으로부터, 광원(40)의 밝기가 반감되었다 해도, 승무원은 경고 화상(70)을 간과하는 경우가 없는 것이다.
(3) 모드 절환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50)는 모드 절환을 이상 발생과는 동시에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서, 당해 모드 절환시의 표시 작동을 설명한다.
(3-1)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
제어 회로(50)는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할 때에는, 광원(40)의 발광 작동을 제어하여 그 발광 휘도를 최고 휘도 Lmax로부터 상기 (2)의 중간 휘도 Lmid로 변화시킨다. 그와 함께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의 상태로, 또한 경고 표시 화소(72)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 비율을 상기 (1)의 고정 비율 RWfix의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는, 미터 화상(60)을 표시하는 화면(12) 전체의 밝기가,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저하분만큼 떨어지게 된다.
(3-2)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절환
제어 회로(50)는, 제어 모드를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 절환할 때에는, 광원(40)의 발광 작동을 제어하여 그 발광 휘도를 상기 (2)의 중간 휘도 Lmid로부터 최고 휘도 Lmax로 변화시킨다. 그와 함께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로 제어하고, 또한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 비율을 상기 (2)의 고정 비율 RWfix의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는, 미터 화상(60)을 표시하는 화면(12) 전체의 밝기가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상승분만큼 늘어나게 된다.
다음에, 제어 회로(50)에 의한 차량용 표시 장치(1)의 제어 흐름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제어 흐름은 차량의 점화 스위치가 온(ON)이 되면, 시작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흐름의 스텝 S101에서는, 라이트 스위치(52)로부터의 신호가 전체 등 오프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긍정 판정이 이루어지면, 스텝 S102로 이행하여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 설정하고, 제1 모드 루틴을 실행한다.
한편, 스텝 S101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즉 라이트 스위치(52)로부터의 신호가 차폭등 온 위치 또는 전조등 온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03에 있어서, 조도 센서(56)로부터의 신호가 임계값 I를 초과하는 외광 조도를 나타내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스텝 S102로 이행하여 제1 모드 루틴을 실행한다.
한편, 스텝 S103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즉 조도 센서(56)로부터의 신호가 임계값 I 이하의 외광 조도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이행하여 제어 모드를 제2 모드로 설정하고, 제2 모드 루틴을 실행한다.
이상, 어느 쪽의 모드 루틴 후에 있어서도, 스텝 S105에 의해 점화 스위치가 오프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본 제어 흐름을 종료하는 데 반해,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101로 복귀하여 본 제어 흐름을 계속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제어 흐름에 있어서, 상기 스텝 S102의 제1 모드 루틴의 상세한 것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즉, 제1 모드 루틴의 스텝 S201에서는, 광원(40)의 발광 휘도를 최고 휘도 Lmax로 제어한다. 계속해서 스텝 S202에서는, 이상 센서(55)로부터의 신호가 엔진 냉각수의 수온 이상을 나타내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2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즉 통상시에는 스텝 S203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로 제어하는 동시에,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 비율을 고정 비율 RWfix로 제어한다. 그 결과, 최대 허용의 밝기 BMmax의 미터 화상(60)이 배경 화상(80)으로 둘러싸임으로써 눈에 띄게 표시되는 동시에, 경고 화상(70)이 배경 화상(80)과 동화되어 시인될 수 없게 된다.
한편, 스텝 S202에 있어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즉 이상 발생시에는, 스텝 S204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 및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각각 최대 비율 RMmax, RWmax로 제어하는 동시에,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 비율을 고정 비율 RWfix로 제어한다. 그 결과, 각각의 최대 허용의 밝기 BMmax, BWmax의 미터 화상(60) 및 경고 화상(70)이 배경 화상(80)으로 둘러싸임으로써 눈에 띄게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제1 모드 루틴에 대해, 상기 스텝 S104의 제2 모드 루틴의 상세한 것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즉, 제2 모드 루틴의 스텝 S301에서는, 광원(40)의 발광 휘도를 중간 휘도 Lmid로 제어한다. 계속해서 스텝 S302에서는, 이상 센서(55)로부터의 신호가 엔진 냉각수의 수온 이상을 나타내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02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즉 통상시에는, 스텝 S303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액정 조정 스위치(53)로부터의 신호가 나타내는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최대 비율 RMmax 이하의 범위 ΔRM 내로 제어한다. 그와 함께 스텝 S303에서는,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 비율을 고정 비율 RWfix로 제어한다. 그 결과,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밝기가 억제된 미터 화상(60)이 배경 화상(80)으로 둘러싸여 표시되는 동시에, 경고 화상(70)이 배경 화상(80)과 동화되어 시인될 수 없게 된다.
단, 제1 모드 루틴 후에 상기 스텝 S101로 복귀하여 절환 실행되는 제2 모드 루틴(절환시 제2 모드 루틴)의 스텝 S303에 있어서는, 입력 조정값에 상관없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시에는, 미터 화상(60)을 표시하는 화면(12) 전체의 밝기가 상기 스텝 S301에 의한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저하분만큼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통상시와는 반대로 스텝 S302에 있어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즉 이상 발생시에는, 스텝 S304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 비율을 상기 스텝 S30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하는 한편,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Wmax로 제어한다. 그 결과,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밝기가 억제된 미터 화상(60)이 배경 화상(80)으로 둘러싸여 표시된다. 그와 함께 경고 화상(70)이 입력 조정값에 의하지 않고 중간 휘도 Lmid 하에서의 최대의 밝기 BWh가 되고, 게다가 배경 화상(80)으로 둘러싸임으로써 눈에 띄게 표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광 조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제2 모드를 실현하여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승무원 희망 밝기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승무원의 기호에 맞춘 시인성을 미터 화상(60)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에 있어서 미터 화상(60)을 표시하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은, 최대 비율 이하라는 넓은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억제하면서도, 그 조정 자유도를 가급적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미터 화상(60)의 밝기가 억제되는 제2 모드에 있어서도, 이상 발생시에 표시되는 경고 화상(70)에 대해서는, 시인 용이해지는 밝기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상의 발생을 경고하여 승무원에게 주의를 재촉하는 경고 화상(70) 본래의 목적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시인성을 우선하는 미터 화상(60)과, 표시 목적의 달성을 우선하는 경고 화상(70)을, 각각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광 조도가 높은 것에 의해 미터 화상(60) 및 경고 화상(70)이 비교적 시인이 용이한 상황에서는, 제1 모드를 실현하여 각 화상(60, 70)의 밝기를 최대 허용의 밝기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화상 표시에 필요한 제어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는,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저하분에 따라서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절환의 전후에 있어서 증감을 부여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그러한 광원(40)의 감광에 의해 제2 모드에서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의 선형 감소를 세심하게 제어하지 않아도, 미터 화상(60)의 밝기의 변화를 원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로부터 중간 비율 RMmid(도 15)까지 감소시킨다. 여기서 중간 비율 RMmid는, 미터 화상(60)의 밝기의 조정값의 예를 들어 1단계에 대응하는 분만큼, 최대 비율 RMmax보다도 낮은 계조 비율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절환시에 있어서는, 미터 화상(60)을 표시하는 화면(12) 전체의 밝기가,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저하분에 더하여,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의 감소분에 따라서 더욱 떨어지게 된다.
또한, 절환 후가 되는 제2 모드의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의 증대 변화에 대해 중간 비율 RMmid로부터 δRM(도 15)의 범위에서 선형 감소시키도록 가변 제어하여,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승무원 희망 밝기 δBM(도 16)으로 억제한다. 따라서, 도 17과 같이 RMmid의 값이 RWmax의 값보다도 작아지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모드의 동안은,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큰 비율로 유지하는 처리가 실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S303, 스텝 S304를 대신하는 스텝 S403, 스텝 S404에 의해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중간 비율 RMmid 이하의 범위 δRM 내로 제어한다. 단, 절환시 제2 모드 루틴의 스텝 S403에서는, 입력 조정값에 상관없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중간 비율 RMmid로 제어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는,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저하분으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의 감소분을 상승시킨 형태로,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절환 전후의 표시에 현저한 증감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미터 화상(60)의 표시에 대해서는, 최대 밝기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높이면서도, 승무원의 기호에 맞추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제3 실시 형태)
도 19,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제2 모드에 준하여 제어한다. 즉, 제1 모드의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는, 입력 조정값의 증대 변화에 대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이 제2 모드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과 동일해지는 최대 비율 RMmax로부터 제2 모드와 동일 범위 ΔRM(도 19)에서 선형 감소하도록 가변 제어된다. 따라서, 미터 화상(60)의 밝기가 승무원 희망 밝기 ΔBMh(도 20)로 억제되게 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 및 그 반대의 절환시에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로 제어하지만, 다른 제어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절환 직전의 비율로 유지 제어해도 좋고, 액정 조정 스위치(53) 등을 사용하여 승무원에 의해 사전 설정된 비율 또는 제품 출하 전에 미리 설정된 비율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제어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1 모드 루틴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S203, 스텝 S204를 대신하는 스텝 S503, 스텝 S504에 의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최대 비율 RMmax 이하의 범위 ΔRM 내로 제어한다. 단, 제2 모드 루틴 후에 상기 스텝 S101로 복귀하여 절환 실행되는 제1 모드 루틴(절환시 제1 모드 루틴)의 스텝 S503에 있어서는, 입력 조정값에 상관없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로 제어한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모드에 부가하여, 제1 모드에 있어서도,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이하라는 넓은 범위에서 변화시켜, 미터 표시 화소(62)로 표시되는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높은 자유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승무원의 기호에 맞춘 미터 화상(60)의 표시를, 임의의 시기에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제4 실시 형태)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3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보다도 작은 중간 비율 RMmid(도 22)로 제어한다. 여기서 중간 비율 RMmid는 미터 화상(60)의 밝기의 조정값의 예를 들어 1단계에 대응하는 분만큼, 최대 비율 RMmax보다도 낮은 계조 비율로 설정된다.
또한, 절환 후가 되는 제2 모드의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앞서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준하여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범위 δRM(도 22)으로 가변 제어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가변 범위 δRM은, 중간 비율 RMmid 이하 또한 제1 모드에서의 가변 범위 ΔRM보다 큰 폭이 된다. 즉, 제2 모드의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은, RMmid를 상한 비율로 하는 범위 δRM에 있어서 입력 조정값의 증대 변화에 대해 선형 감소하도록 가변 제어된다. 따라서, 제2 모드에 있어서 미터 화상(60)은, 최대 밝기가 제1 모드의 경우보다도 억제되도록 하여 승무원 희망 밝기 δBM(도 23)으로 조정되는 것이고, 게다가 그 조정 범위는 제1 모드의 경우보다도 큰 것이 되는 것이다.
이상, 도 17과 같이 RMmid의 값이 RWmax의 값보다도 작아지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모드의 동안은,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큰 비율로 유지하는 계조 처리가 실현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은, 앞서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도 18)의 내용과 동일해진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미터 화상(60)의 표시에 대해, 최대 밝기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높이면서도, 밝기의 조정 범위를 크게 하여 승무원의 기호에 대한 대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5 실시 형태)
도 24,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3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3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 및 제2 모드의 양쪽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가변 제어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조정값의 증대 변화에 대해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이 미터 표시 화소(62)의 최대 계조 비율 RMmax와 일치하는 최대 비율 RWmax로부터, 미터 표시 화소(62)의 가변 범위 ΔRM보다도 소폭의 범위 ΔRW(도 24)로 선형 감소하도록 가변 제어된다. 따라서, 각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은, 동일값 RWmax를 상한 비율로 하는 범위 ΔRW 내에 조정되게 되므로, 경고 화상(70)의 밝기를 각 광원 휘도 Lmax, Lmid 하에서의 최대 밝기를 포함한 승무원 희망 밝기 ΔBWh, ΔBW(도 25)로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도 26과 같이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킨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커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처리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걸쳐서 실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1 모드 루틴 및 제2 모드 루틴에서는, 각각 도 27,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스텝 S504, 스텝 S304를 대신하는 스텝 S604, 스텝 S704에 의해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최대 비율 RWmax 이하의 범위 ΔRW 내로 제어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터 화상(60)에 대한 경고 화상(70)의 상대적인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춘 형태로 높여, 경고 화상(70)의 표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고저에 따르지 않고 가능해지는 것이다.
(제6 실시 형태)
도 29,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5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5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5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Wmax보다도 작은 기준 비율 RWb 이하의 범위 δRW(도 29)로 가변 제어하여, 경고 화상(70)의 밝기를 승무원 희망 밝기 δBW(도 30)로 조정한다. 여기서 범위 δRW는, 제1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가변 범위 ΔRW와 같거나 또는 다른 폭이 되지만, 범위 δRW의 상한 비율이 되는 기준 비율 RWb는 당해 가변 범위 ΔRW의 최소 비율 RWl1과 동일 비율로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범위 δRW의 최소 비율 RWl2는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가변 범위 ΔRM의 최소 비율 RMl2보다도 큰 비율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6 실시 형태의 제2 모드에 있어서는, 도 31과 같이 RMmax, RWmax의 값이 동등한 것에 의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및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의 대소 관계가, 입력 조정값의 중간값 Amid를 경계로 하여 절환되게 된다.
즉, 입력 조정값이 중간값 Amid보다도 증대할 때에는, 당해 증대 변화에 대해 각 화소(62, 72)의 계조 비율이 범위 ΔRM, δRW 내의 공통의 중간 설정 비율 Rmid로부터 선형 감소된다. 그 결과, 입력 조정값에 따른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커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처리가 실현되는 것이다.
한편, 입력 조정값이 중간값 Amid보다도 감소할 때에는, 당해 감소 변화에 대해 각 화소(62, 72)의 계조 비율이 공통의 중간 설정 비율 Rmid로부터 선형 증대된다. 그 결과, 입력 조정값에 따른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작아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처리가 실현되는 것이다.
이상의 제6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에서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의 스텝 S704를 대신하는 스텝 S804에 의해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기준 비율 RWb 이하의 범위 δRW 내로 제어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6 실시 형태의 제2 모드에서는, 미터 표시 화소(62)보다도 경고 표시 화소(72)가 계조 비율 대(大)의 관계를 유지하여 양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가변 제어하는 처리와, 미터 표시 화소(62)보다도 경고 표시 화소(72)가 계조 비율 소(小)의 관계를 유지하여 양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가변 제어하는 처리가, 승무원의 입력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따라서,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에 있어서는, 경고 화상(70)의 밝기를 확보하여 상대적인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억제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확보하여 상대적인 경고 화상(70)의 밝기를 억제하는 경우에도 시기적절하게(just-in-time)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제7 실시 형태)
도 33,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제1 모드에서의 최대 비율 RWmax보다도 작은 중간 비율 RWmid(도 33)로 유지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도 억제한 밝기 BWmid(도 34)로 경고 화상(70)을 표시한다. 여기서 중간 비율 RWmid는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가변 범위 ΔRM의 최소 비율 RMl2(도 33)보다도 큰 비율로 설정되고, 그에 의해 경고 화상(70)의 밝기 BWmid가 차량 이상의 경고성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7 실시 형태의 제2 모드에 있어서는, 도 35와 같이 RMmax, RWmax의 값이 동일함으로써,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및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의 대소 관계가 입력 조정값의 중간값 Amid를 경계로 절환되는 것이다.
즉, 입력 조정값이 중간값 Amid보다도 증대할 때에는, 당해 증대 변화에 대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이,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 RWmid와 동일한 중간 설정 비율 RMmid로부터 선형 감소된다. 그 결과, 입력 조정값에 따른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커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유지하는 처리가 실현되는 것이다.
한편, 입력 조정값이 중간값 Amid보다도 감소할 때에는, 당해 감소 변화에 대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이 중간 설정 비율 RMmid로부터 선형 증대된다. 그 결과, 입력 조정값에 따른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작아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유지하는 처리가 실현되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제7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S304에 있어서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Wmax 대신에 중간 비율 RWmid로 일정하게 제어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7 실시 형태의 제2 모드에서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보다도 감소시키는 처리와,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보다도 증대시키는 처리가, 승무원의 입력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따라서,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에 있어서는,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억제하여 그 시인성을 확보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추어 미터 화상(60)을 밝게 표시하는 경우에도, 시기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제8 실시 형태)
도 36,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앞서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준하여,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로부터 중간 비율 RMmid(도 36)까지 감소시킴으로써,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극적으로 변화시킨다.
한편, 절환 후가 되는 제2 모드의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에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중간 비율 RMmid(도 36)의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제1 모드보다도 억제한 밝기 BMmid(도 37)로 미터 화상(60)을 표시한다. 이상, 도 38과 같이 RMmid의 값이 RWmax의 값보다도 작아지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모드의 동안은,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크게 유지하는 처리가 실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8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에서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S303, 스텝 S304를 대신하는 스텝 S903, 스텝 S904에 의해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상관없이 중간 비율 RMmid로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환시 제2 모드 루틴의 스텝 S903에 있어서도,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중간 비율 RMmid로 제어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8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라도, 미터 화상(60)에 대한 경고 화상(70)의 상대적인 밝기를 정상적으로 높여, 경고 화상(70)의 표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제9 실시 형태)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8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8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8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앞서 설명한 제7 실시 형태에 준하여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중간 비율 RWmid(도 40)로 유지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당해 유지 비율 RWmid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RMmid보다도 큰 비율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제2 모드의 동안은,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크게 유지하는 처리가 실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9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에서는, 도 39에 도시하는 제8 실시 형태의 스텝 S904에 있어서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Wmax 대신에 중간 비율 RWmid로 제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제9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에 있어서 미터 화상(60)에 대한 경고 화상(70)의 상대적인 밝기를 정상적으로 높여, 경고 화상(70)의 표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제10 실시 형태)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8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8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8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에 대해 제어 회로(50)는, 앞서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에 준한 가변 제어를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만 실시한다. 즉, 입력 조정값의 증대 변화에 대해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제1 모드의 이상 발생시의 계조 비율과 일치하는 최대 비율 RWmax 이하의 범위 ΔRW(도 41)에서 선형 감소시키도록 가변 제어한다.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범위 ΔRW의 최소 비율 RWl2는,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RMmid보다도 큰 비율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 있어서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항상 커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처리가 실현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10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에서는,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8 실시 형태의 스텝 S904를 대신하는 스텝 S1004에 의해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Wmax 이하의 범위 ΔRW 내로 제어하게 된다.
또한, 여기까지의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제2 모드 루틴의 스텝 S1004)에 있어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의 가변 범위에 대해, 최소 비율이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RMmid보다도 커지는 범위에 있어서, 최대 비율을 RWmax보다도 작은 비율로 설정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10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라도,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경고 화상(70)의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추어 표시 목적을 달성 가능할 정도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제11 실시 형태)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10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10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0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50)는 최대 비율 RWmax 이하가 되는 경고 표시 화소(72)의 가변 범위 ΔRW(도 44)에 대해, 그 최소 비율 RWl2를,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RMmid보다 작은 비율로 설정한다. 그러므로, 도 44와 같이 RMmid의 값이 RWmax의 값보다 작아지는 제11 실시 형태의 제2 모드에 있어서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및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의 대소 관계가 입력 조정값의 중간값 Amid를 경계로 절환되는 것이다.
즉, 입력 조정값이 중간값 Amid보다도 감소할 때에는, 당해 감소 변화에 대해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RMmid와 같은 중간 설정 비율 RWmid로부터 선형 증대된다. 그 결과,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커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 변화시키는 처리가 실현되는 것이다.
한편, 입력 조정값이 중간값 Amid보다도 증대할 때에는, 당해 증대 변화에 대해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이 중간 설정 비율 RWmid로부터 선형 감소된다. 그 결과,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작아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처리가 실현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제11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은, 도 43에 도시하는 제10 실시 형태의 내용과 동일해진다. 또한, 제1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제2 모드 루틴의 스텝 S1004)에 있어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의 가변 범위에 대해, 최소 비율이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RMmid보다도 작아지는 범위에 있어서, 최대 비율을 RWmax보다도 작고 또한 RMmid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11 실시 형태의 제2 모드에서는,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증대시키는 처리와,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감소시키는 처리가 승무원의 입력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따라서,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에 있어서는, 경고 화상(70)의 밝기를 확보하여 그 표시 목적의 달성을 도모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승무원의 기호에 맞게 경고 화상(70)의 밝기를 억제하는 경우에도, 시기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제12 실시 형태)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에 대해 제어 회로(50)는, 앞서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에 준한 가변 제어를,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만 실시한다. 즉, 입력 조정값의 증대 변화에 대해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제1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최대 계조 비율 RWmax 및 미터 표시 화소(62)의 최대 계조 비율 RMmax에 일치하는 상한 비율로부터, 미터 표시 화소(62)의 가변 범위 ΔRM보다도 소폭의 범위 ΔRW(도 45)로 선형 감소시키도록 가변 제어한다. 이에 의해,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 있어서는,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킨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커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처리가 실현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제12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은, 앞서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도 28)의 내용과 동일해진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2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라도 미터 화상(60)에 대한 경고 화상(70)의 상대적인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춘 형태로 높여, 경고 화상(70)의 표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제13 실시 형태)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6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6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6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앞서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준하여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보다도 작은 중간 비율 RMmid(도 47)로 제어한다.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간 비율 RMmid는,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가변 제어하는 범위 δRW에 대해, 그 상한 비율이 되는 기준 비율 RWb와 동일한 비율로 설정된다.
또한, 제2 모드의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앞서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준하여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중간 비율 RMmid를 상한 비율로 하는 동시에 제1 모드에서의 가변 범위 ΔRM보다도 큰 폭의 범위 δRM(도 47)으로 가변 제어한다. 따라서, 도 48과 같이 δRM의 폭이 δRW보다도 커지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킨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커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처리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걸쳐서 실현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제13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에서는, 도 32에 도시하는 제6 실시 형태의 스텝 S303, 스텝 S804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 이하의 범위 ΔRM 대신에 중간 비율 RMmid 이하의 범위 δRM 내로 제어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3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터 화상(60)에 대한 경고 화상(70)의 상대적인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춘 형태로 높여, 경고 화상(70)의 표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고저에 따르지 않고 가능해지는 것이다.
(제14 실시 형태)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5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5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5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앞서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준하여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보다도 작은 중간 비율 RMmid(도 49)로 제어한다.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간 비율 RMmid는,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가변 제어하는 범위 ΔRW에 대해, 그 상한 비율이 되는 경고 표시 화소(72)의 최대 계조 비율 RWmax보다도 작은 비율로 설정된다.
또한, 제2 모드의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앞서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준하여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중간 비율 RMmid를 상한 비율로 하는 동시에 제1 모드에서의 가변 범위 ΔRM보다도 큰 폭의 범위 δRM(도 49)으로 가변 제어한다. 따라서, 도 50과 같이 δRM의 폭이 ΔRW보다도 커지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킨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커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처리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걸쳐서 실현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제14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에서는, 도 28에 도시하는 제5 실시 형태의 스텝 S303, 스텝 S704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Mmax 이하의 범위 ΔRM 대신에 중간 비율 RMmid 이하의 범위 δRM 내로 제어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4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터 화상(60)에 대한 경고 화상(70)의 상대적인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춘 형태로 높여, 경고 화상(70)의 표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고저에 의하지 않고 가능해지는 것이다.
(제15 실시 형태)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앞서 설명한 제13 실시 형태에 준하여,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범위 δRW(도 51)로 가변 제어한다. 즉, 가변 범위 δRW의 상한 비율은, 제1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 RWmax보다도 작은 비율 RWb가 되고, 또한 가변 범위 δRW는,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가변 범위 δRM보다도 소폭이 된다. 또한, 제2 모드에 있어서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과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의 변화에 대해 동일 비율 RMmid, RWb로부터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도 52와 같이 RMmid, RWb의 값이 서로 동일한 제15 실시 형태의 제2 모드에 있어서는,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킨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커지도록,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처리가 실현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제15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에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의 스텝 S404에 있어서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Wmax대신에, 비율 RWb 이하의 범위 δRW 내로 제어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5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라도 미터 화상(60)에 대한 경고 화상(70)의 상대적인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춘 형태로 높여, 경고 화상(70)의 표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제16 실시 형태)
도 53,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의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양쪽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의 증대 변화에 대해 광원(40)의 발광 휘도를, 제1 모드에서의 유지 휘도 Lmax보다도 낮은 중간 휘도 Lmid 이하의 범위 ΔL(도 53)에서 선형 감소시키도록 가변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제2 모드의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는, 광원(40)의 가변 범위 ΔL 내의 발광 휘도와 미터 표시 화소(62)의 가변 범위 ΔRM 내의 계조 비율에 의해 정해지는 밝기 ΔBML(도 54)로 미터 화상(60)의 밝기가 억제된다. 또한,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는, 광원(40)의 가변 범위 ΔL 내의 발광 휘도와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 RWmax에 의해 정해지는 밝기 ΔBWL(도 54)이 경고 화상(70)의 밝기로서 확보된다.
이와 같은 제16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에서는,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S301을 대신하는 스텝 S1101에 의해 광원(40)의 발광 휘도를, 중간 휘도 Lmid 이하의 범위 ΔL 내로 제어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6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고 화상(70)의 표시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고, 게다가 미터 화상(60)의 시인을 높인다는 상반 요구에 대해, 그들 화상(70, 60)의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추면서 동시적으로 따를 수 있는 것이다.
(제17 실시 형태)
도 56 내지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의 구성의 점 및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4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4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4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우선, 차량용 표시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는 촬상부(120)가 추가되어 있다. 이 촬상부(120)는 외계 카메라(122) 및 화상 처리 회로(1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외계 카메라(122)는 예를 들어 차량의 프론트 범퍼 또는 프론트 그릴에 설치되어 적외광을 전용 투광기 또는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조사하여, 당해 조사광에 대한 반사광을 CCD 등의 촬상 소자에 의해 수광하여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 회로(124)는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차량에 설치되어 외계 카메라(122) 및「제어기」으로서의 제어 회로(150)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화상 처리 회로(124)는 외계 카메라(122)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처리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당해 화상 데이터를 제어 회로(150)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촬상부(12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제어 회로(150)는, 구동 회로(14)로 부여하는 화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도 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외계 화상(180)을 액정 패널(10)의 화면(12)에 표시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도 61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외계 화상(180)은, 그 윤곽선을 나타내는 굵은 선 내의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값이 제어 회로(150)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따라서 제어됨으로써 표시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계 화상(180)은 차량의 외계 상황에 대해 승무원에게 주의를 환기하기 위한 화상으로, 특히 야간 또는 차량의 어두운 장소 통과시 등에 있어서 전조 등의 가시광이 미치지 않는 차량 전방 영역의 화상, 즉 나이트 뷰 화상이 된다. 따라서, 야간 또는 차량의 어두운 장소 통과시 등에 있어서 외계 화상(180)의 표시가 허가된 경우에는, 경고 화상(70)을 외관상 표시하지 않은 도 57의 통상시와, 경고 화상(70)을 표시하는 도 62의 이상 발생시의 양쪽에 있어서, 외계 화상(180)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외계 화상(180)의 표시가 금지된 경우에는, 도 63의 통상시 및 도 64의 이상 발생시의 양쪽에 있어서 외계 화상(180)이 배경 화상(80)과 동화되어 외관상 표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는 표시 허가 여부 스위치(190)가 더 추가되어 있다. 이 표시 허가 여부 스위치(190)는 액정 패널(10)에 의한 외계 화상(180)의 표시 허가 여부를 위해 승무원에 의해 온 오프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승무원은 표시 허가 여부 스위치(190)를 온 위치 또는 오프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외계 화상(180)의 표시의 허가 여부 지령을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고, 표시 허가 여부 스위치(190)는 당해 입력 내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회로(150)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라이트 스위치(52) 및 액정 조정 스위치(53)에 부가하여, 표시 허가 여부 스위치(190)가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을 받는「입력 장치」으로 기능하게 된다.
다음에, 차량용 표시 장치(100)의 표시 작동에 대해, 도 58 내지 도 60, 도 6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차량용 표시 장치(100)의 표시 작동에서는, 1종류의 제1 모드와 2종류의 제2 모드가 제어 모드로서 준비되어 있다. 또한, 도 58은 광원 발광 휘도에 대해, 또한 도 59, 도 65는 화소 계조 비율에 대해, 또한 도 60은 화상 표시 상태(밝기 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제1 모드
제어 회로(150)는 전체 등 오프 위치를 나타내는 라이트 스위치(52)로부터의 신호와, 임계값 I를 초과하는 외광 조도를 나타내는 조도 센서(56)로부터의 신호 중 적어도 한쪽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표시 허가 여부 스위치(190)로부터의 신호에 상관없이 외계 화상(180)의 표시를 금지하여,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 설정한다.
이 제1 모드에 있어서, 광원(40)의 발광 휘도 및 화소(62, 72, 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 모두, 제4 실시 형태의 제1 모드와 마찬가지로(도 58, 도 59) 제어된다.
한편, 제1 모드에 있어서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어느 때라도 상관없이, 배경 표시 화소(82)와 동일한 고정 비율 RWfix(도 59)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1 모드에 있어서는, 외계 화상(180)이 배경 화상(80)과 동화(도 60)되게 된다.
(2) 제2 모드
(2-1) 표시 금지 제2 모드
제어 회로(150)는, 차폭등 온 위치 또는 전조등 온 위치를 나타내는 라이트 스위치(52)로부터의 신호와, 임계값 I 이하의 외광 조도를 나타내는 조도 센서(56)로부터의 신호와, 외계 화상(180)의 표시 금지 지령을 나타내는 표시 허가 여부 스위치(190)로부터의 신호의 모두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외계 화상(180)의 표시를 금지하는 표시 금지 제2 모드로 제어 모드를 설정한다.
이 표시 금지 제2 모드에 있어서, 광원(40)의 발광 휘도 및 화소(62, 72, 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 모두, 제4 실시 형태의 제2 모드와 마찬가지로(도 58, 도 59) 제어된다.
한편, 표시 금지 제2 모드에 있어서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어느 때라도 상관없이, 배경 표시 화소(82)와 동일한 고정 비율 RWfix(도 59)로 유지된다. 따라서, 표시 금지 제2 모드에 있어서는, 외계 화상(180)이 배경 화상(80)과 동화(도 60)되게 된다.
(2-2) 표시 허가 제2 모드
제어 회로(150)는 차폭등 온 위치 또는 전조등 온 위치를 나타내는 라이트 스위치(52)로부터의 신호와, 임계값 I 이하의 외광 조도를 나타내는 조도 센서(56)로부터의 신호와, 외계 화상(180)의 표시 허가 지령을 나타내는 표시 허가 여부 스위치(190)로부터의 신호의 모두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외계 화상(180)의 표시를 허가하는 표시 허가 제2 모드로 제어 모드를 설정한다.
이 표시 허가 제2 모드에 있어서, 광원(40)의 발광 휘도 및 화소(62, 72, 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 모두, 제4 실시 형태의 제2 모드와 마찬가지로(도 58, 도 59) 제어된다.
한편, 표시 허가 제2 모드에 있어서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어느 때라도 상관없이,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의 증대 변화에 대해 최대 비율 ROmax로부터 ΔRO의 범위(도 59)에서 감소 변화하도록 가변 제어된다. 여기서 최대 비율 ROmax는, 본 표시 허가 제2 모드에 있어서의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 RWmax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본 표시 허가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가변 범위 δRM의 상한 비율 RMmid보다도 큰 비율로 되어 있다. 또한, 가변 범위 ΔRO의 폭은, 본 표시 허가 제2 모드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가변 범위 δRM보다도 소폭으로 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허가 제2 모드의 동안은, 도 65와 같이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킨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보다도 커지도록,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처리가 실현되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 외계 화상(180)의 밝기가 승무원 희망 밝기 ΔBO(도 60)로 조정되는 것이다.
(3) 모드 절환
(3-1) 제1 모드로부터 표시 금지 제2 모드로의 절환
제1 모드로부터 표시 금지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광원(40)의 발광 휘도 및 화소(62, 72, 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와 마찬가지로 제어된다. 이에 대해,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경고 표시 화소(72)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 비율 RWfix의 상태로 유지한다.
(3-2) 표시 금지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절환
표시 금지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광원(40)의 발광 휘도 및 화소(62, 72, 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절환시와 마찬가지로 제어된다. 이에 대해,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화소(72, 8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 비율 RWfix의 상태로 유지한다.
(3-3) 제1 모드로부터 표시 허가 제2 모드로의 절환
제1 모드로부터 표시 허가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광원(40)의 발광 휘도 및 화소(62, 72, 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와 마찬가지로 제어된다. 이에 대해,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그 최대 비율 ROmax로 일단 제어한다.
(3-4) 표시 허가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절환
표시 허가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광원(40)의 발광 휘도 및 화소(62, 72, 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절환시와 마찬가지로 제어된다. 이에 대해,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화소(72, 82)와 동일 비율이 되는 고정 비율 RWfix로 제어한다.
(3-4) 표시 금지 제2 모드로부터 표시 허가 제2 모드로의 절환
표시 금지 제2 모드로부터 표시 허가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광원(40)의 발광 휘도 및 화소(62, 72, 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절환 직전의 비율로 유지한다. 이에 대해,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그 최대 비율 ROmax로 일단 제어한다.
(3-5) 표시 허가 제2 모드로부터 표시 금지 제2 모드로의 절환
표시 허가 제2 모드로부터 표시 금지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광원(40)의 발광 휘도 및 화소(62, 72, 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절환 직전의 비율로 유지한다. 이에 대해,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화소(72, 82)와 동일 비율이 되는 고정 비율 RWfix로 제어한다.
다음에, 제어 회로(150)에 의한 차량용 표시 장치(100)의 제어 흐름에 대해, 도 66 내지 도 6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흐름에서는, 스텝 S101, 스텝 S103의 어느 한쪽에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 S1202로 이행하여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 설정하고, 제1 모드 루틴을 실행한다.
도 67에 상세한 것을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1 모드 루틴은 제4 실시 형태의 제1 모드 루틴의 내용을 일부 변경한 것이다. 즉, 제4 실시 형태의 스텝 S503을 대신하는 스텝 S1303에서는,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을 경고 표시 화소(72) 및 배경 표시 화소(82)와 함께 고정 비율 RWfix로 제어한다. 한편, 제4 실시 형태의 스텝 S504를 대신하는 스텝 S1304에서는,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을 배경 표시 화소(82)와 함께 고정 비율 RWfix로 제어한다.
이상, 스텝 S101, 스텝 S103의 한쪽에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그들 스텝 S101, 스텝 S103의 양방에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203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 S1203에서는, 표시 허가 여부 스위치(190)로부터의 신호가 외계 화상(180)의 표시 금지 지령을 나타내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긍정 판정이 이루어지면, 스텝 S1204로 이행하여 제어 모드를 표시 금지 제2 모드로 설정하고, 표시 금지 제2 모드 루틴을 실행한다.
도 68에 상세한 것을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표시 금지 제2 모드 루틴은 제4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의 내용을 일부 변경한 것이다. 즉, 제4 실시 형태의 스텝 S403을 대신하는 스텝 S1403에서는,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을, 경고 표시 화소(72) 및 배경 표시 화소(82)와 함께 고정 비율 RWfix로 제어한다. 한편, 제4 실시 형태의 스텝 S404를 대신하는 스텝 S1404에서는,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을, 배경 표시 화소(82)와 함께 고정 비율 RWfix로 제어한다.
이상, 스텝 S1203에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스텝 S1203에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즉, 표시 허가 여부 스위치(190)로부터의 신호가 외계 화상(180)의 표시 허가 지령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205로 이행한다. 이 스텝 S1205에서는, 제어 모드를 표시 허가 제2 모드로 설정하여, 표시 허가 제2 모드 루틴을 실행한다.
도 69에 상세한 것을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표시 허가 제2 모드 루틴은 제4 실시 형태의 제2 모드 루틴의 내용을 상기 표시 금지 제2 모드 루틴과는 다르도록, 일부 변경한 것이다. 즉, 제4 실시 형태의 스텝 S403, 스텝 S404를 대신하는 스텝 S1503, 스텝 S1504에서는,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최대 비율 ROmax 이하의 범위 ΔRO 내로 제어한다. 단, 제1 모드 루틴 또는 표시 금지 제2 모드 루틴 후에 상기 스텝 S101로 복귀하여 절환 실행되는 표시 허가 제2 모드 루틴의 스텝 S1503에서는, 입력 조정값에 상관없이,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 ROmax로 제어한다.
이상, 어느 쪽의 루틴 후에 있어서도,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05가 실행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7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표시 허가 제2 모드에 있어서, 미터 화상(60)에 대한 외계 화상(180)의 상대적인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춘 형태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전방의 외계에 대해 주의 환기를 재촉하는 외계 화상(180)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7 실시 형태에서는,「특정시」로서의 표시 허가 제2 모드 설정시에「특정 표시 화소」로서의 외계 표시 화소(182)에 의해 표시되는 외계 화상(180)이「특정 화상」에 상당하고, 당해 표시 허가 제2 모드 설정시 및「통상시」로서의 표시 금지 제2 모드 설정시에「통상 표시 화소」로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에 의해 표시되는 미터 화상(60)이「통상 화상」에 상당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물론, 제17 실시 형태에서는,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특정시」로서의 이상 발생시에「특정 표시 화소」로서의 경고 표시 화소(72)에 의해 표시되는 경고 화상(70)이「특정 화상」에 상당하고, 당해 이상 발생시 및 통상시에「통상 표시 화소」로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에 의해 표시되는 미터 화상(60)이「통상 화상」에 상당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17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
이상 설명한 제1 내지 제17 실시 형태에 특유의 변형 형태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표시 작동의 각 모드에 있어서는, 광원(40)의 발광 휘도와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을 변수로 하는 스텝 함수(도 70), 선형 함수(도 71) 또는 그 밖의 연속 함수에 따라서, 광원(40)의 발광 휘도를 입력 조정값에 따른 휘도로 가변 제어해도 좋다. 또한, 표시 작동의 각 모드에 있어서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과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을 변수로 하는 스텝 함수(도 72) 또는 선형 함수 이외의 연속 함수에 따라서,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른 비율로 가변 제어해도 좋다. 또한, 표시 작동의 각 모드에 있어서는,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과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을 변수로 하는 스텝 함수(도 73) 또는 선형 함수 이외의 연속 함수에 따라서,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에 따른 비율로 가변 제어해도 좋다. 또한, 여기서 도 70 내지 도 73은, 제1 모드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표시 작동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른 가변 제어를 행하는 한편, 제2 모드(표시 금지 제2 모드, 표시 허가 제2 모드)에 있어서 유지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마찬가지로, 표시 작동에 있어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른 가변 제어를 행하는 한편, 제2 모드(표시 금지 제2 모드, 표시 허가 제2 모드)에 있어서 유지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표시 작동에 대해서는, 각 모드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을 유지 제어하는 한편, 각 모드에 있어서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라 가변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표시 작동에 대해서는, 그 전체 모드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 비율 및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을 각각 소정의 비율로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제17 실시 형태의 표시 작동에 있어서는, 가시광의 반사광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 후방, 측방 등의 외계 영역을 촬영함으로써 얻게 된 화상을, 외계 화상(180)으로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17 실시 형태의 표시 작동에 있어서, 표시 허가 제2 모드에서의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16 실시 형태 등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에 준하여 가변 제어 또는 유지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17 실시 형태의 표시 작동에 있어서의 각 모드에서는, 미터 및 경고 표시 화소(62, 72)의 계조 비율 및 광원(40)의 발광 휘도에 대해,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 제5 내지 제16 실시 형태 등에 준하여 가변 제어 또는 유지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17 실시 형태의 표시 작동의 제1 모드에 있어서는, 표시 허가 여부 스위치(190)로부터의 신호가 표시 허가 지령을 나타낼 때에,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가시광의 반사광을 이용하여 촬영한 화상을, 외계 화상(180)으로서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외계 표시 화소(182)의 계조 비율에 대해, 상술한 제1 내지 제17 실시 형태나 그것들의 변형 형태에 의한 이상 발생시의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 비율에 준하여 가변 제어 또는 유지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제18 실시 형태)
도 74 내지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상세하게는, 도 7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8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일 화소를 구성하여 특정 색조(색상)를 표현하는 서브 화소 중, 그 색조 표현에 농도가 필요해지는 서브 화소의 계조값에 대해, 0보다도 크고 또한 최대값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결정된다.
그리고, 제18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색조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한 계조값을 선택하는 동시에, 나머지 서브 화소의 계조값으로서 0을 선택하는 화상 신호가 구동 회로(14)에 부여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화소 중, 색조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에 대한 계조값을「화소의 계조값」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색조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에 대한 상기 최대값은, 예를 들어 도 74에 나타내는 적색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 R의 경우는 63이고, 도 74에 나타내는 황색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 R, G의 경우는 각각 63, 31이며, 도 74에 나타내는 백색 표현에 필요한 서브 화소 R, G, B의 경우는 각각 63, 63, 63이다.
다음에, 제1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작동에 대해, 도 75 내지 도 7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5는 광원 발광 휘도에 대해, 또한 도 76은 화소 계조값에 대해, 또한 도 77은 화상 표시 상태(밝기 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제1 모드
제1 모드의 제어 회로(50)는,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어느 때에 있어서도, 광원(40)을 제어하여 광원(40)의 발광 휘도를 최고 휘도 Lmax(도 75)로 유지하는 동시에,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값을 고정값 TWfix로 제어하여 배경 화상(80)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제1 모드의 통상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의하지 않고,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TMmax(도 76)로, 또한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값을 배경 표시 화소(82)와 동일한 고정값 TWfix(도 76)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1 모드의 통상시에 있어서는, 최고 휘도 Lmax의 광원(40)의 작용과 더불어 미터 화상(60)이 최대 허용의 밝기 BMmax(도 77)로 표시되는 동시에, 경고 화상(70)이 배경 화상(80)과 동화(도 77)되게 된다.
이에 대해, 제1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의하지 않고,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 및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값을 각각의 최대값 TMmax, TWmax(도 76)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1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는, 최고 휘도 Lmax의 광원(40)의 작용과 더불어, 미터 화상(60) 및 경고 화상(70)이 각각의 최대 허용의 밝기 BMmax, BWmax(도 77)로 표시되게 된다.
(2) 제2 모드
제2 모드의 제어 회로(50)는,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어느 때에 있어서도, 광원(40)의 발광 작동을 제어하여 그 발광 휘도를 최고 휘도 Lmax보다도 낮은 중간 휘도 Lmid(도 75)로 유지하는 동시에,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값을 상기 (1)과 같은 고정값 TWfix로 제어하여 배경 화상(80)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제2 모드의 통상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TMmax 이하의 범위 ΔTM(도 76)에서,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른 값으로 가변 제어하는 한편,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값을 당해 입력 조정값에 의하지 않고, 배경 표시 화소(82)와 동일한 고정값 TWfix(도 76)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2 모드의 통상시에 있어서는, 중간 휘도 Lmid의 광원(40)의 작용과 더불어 미터 화상(60)의 밝기가 승무원 희망 밝기ΔBM(도 77)으로 억제되는 동시에, 경고 화상(70)이 배경 화상(80)과 동화(도 77)되게 된다.
이에 대해,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TMmax 이하의 범위 ΔTM(도 76)에서, 승무원으로부터 의 입력 조정값에 따른 값으로 가변 제어하는 한편,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값을 당해 입력 조정값에 의하지 않고, 최대값 TWmax(도 76)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2 모드의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는, 중간 휘도 Lmid의 광원(40)의 작용과 더불어, 미터 화상(60)의 밝기가 승무원 희망 밝기 ΔBM(도 77)로 억제되는 한편, 경고 화상(70)의 밝기가 당해 중간 휘도 Lmid 하에서의 최대 밝기 BWh(도 77)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밝기 BWh에 대해서는, 중간 휘도 Lmid 하에 있어서 경고 화상(70)의 시인이 용이해지도록 가급적 크게 설정된다.
(3) 모드 절환
(3-1)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
제어 회로(50)는,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할 때에는, 광원(40)의 발광 작동을 제어하여 그 발광 휘도를 최고 휘도 Lmax로부터 상기 (2)의 중간 휘도 Lmid로 변화시킨다. 그와 함께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TMmax 상태로, 또한 경고 표시 화소(72)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값을 상기 (1)의 고정값 TWfix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는, 미터 화상(60)을 표시하는 화면(12) 전체의 밝기가,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저하분만큼 떨어지게 된다.
(3-2)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절환
제어 회로(50)는, 제어 모드를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 절환할 때에는, 광원(40)의 발광 작동을 제어하여 그 발광 휘도를 상기 (2)의 중간 휘도 Lmid로부터 최고 휘도 Lmax로 변화시킨다. 그와 함께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TMmax로 제어하고, 또한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값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값을 상기 (2)의 고정값 TWfix의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는, 미터 화상(60)을 표시하는 화면(12) 전체의 밝기가,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상승분만큼 증가하게 된다.
다음에, 제1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흐름에 대해, 도 78, 도 7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 흐름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텝 S101 내지 스텝 S105를 실행하는 것이지만, 스텝 S102의 제1 모드 루틴의 상세한 것은, 도 78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즉, 스텝 S202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인 통상시에는, 스텝 S1603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TMmax로 제어하는 동시에,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값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값을 고정값 TWfix로 제어한다. 그 결과, 최대 허용의 밝기 BMmax의 미터 화상(60)이 배경 화상(80)으로 둘러싸임으로써 눈에 띄게 표시되는 동시에, 경고 화상(70)이 배경 화상(80)과 동화되어 시인될 수 없게 된다.
한편, 스텝 S202에 있어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인 이상 발생시에는, 스텝 S1604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 및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값을 각각 최대값 TMmax, TWmax로 제어하는 동시에,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값을 고정값 TWfix로 제어한다. 그 결과, 각각 최대 허용의 밝기 BMmax, BWmax의 미터 화상(60) 및 경고 화상(70)이, 배경 화상(80)으로 둘러싸임으로써 눈에 띄게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텝 S104의 제2 모드 루틴의 상세한 것은, 도 79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즉, 스텝 S302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인 통상시에는, 스텝 S1703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액정 조정 스위치(53)로부터의 신호가 나타내는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최대값 TMmax 이하의 범위 ΔTM 내로 제어한다. 그와 함께 스텝 S1703에서는,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값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값을 고정값 TWfix로 제어한다. 그 결과,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밝기가 억제된 미터 화상(60)이 배경 화상(80)으로 둘러싸여 표시되는 동시에, 경고 화상(70)이 배경 화상(80)과 동화되어 시인될 수 없게 된다.
단, 절환시 제2 모드 루틴의 스텝 S1703에 있어서는, 입력 조정값에 상관없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TMmax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시에는, 미터 화상(60)을 표시하는 화면(12) 전체의 밝기가 스텝 S301에 의한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저하분만큼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통상시와는 반대로 스텝 S302에 있어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인 이상 발생시에는, 스텝 S1704에 있어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값을 상기 스텝 S170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하는 한편, 경고 표시 화소(72)의 계조값을 최대값 TWmax로 제어한다. 그 결과,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밝기가 억제된 미터 화상(60)이 배경 화상(80)으로 둘러싸여 표시된다. 그와 함께, 입력 조정값에 의하지 않고 중간 휘도 Lmid 하에서의 최대 밝기 BWh가 되는 경고 화상(70)이 배경 화상(80)으로 둘러싸임으로써 눈에 띄게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제18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원(40)의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에 있어서는, 미터 화상(60)을 표시하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이하라는 넓은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억제하면서도, 그 조정 자유도를 가급적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제19 실시 형태)
도 80,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9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18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18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8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광원(40)의 발광 휘도 및 화소(72, 82)의 계조값에 대해서는 제1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어하지만,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에 대해서는 최대값 TMmax로부터 중간값 TMmid(도 80)까지 감소시킨다. 여기서 중간값 TMmid는, 미터 화상(60)의 밝기의 조정값의 예를 들어 1단계에 대응하는 만큼만, 최대값 TMmax보다도 낮은 계조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절환시에 있어서는, 미터 화상(60)을 표시하는 화면(12) 전체의 밝기가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저하분에 더하여,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의 감소분에 따라 더욱 떨어지게 된다. 또한, 절환 후의 제2 모드의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중간값 TMmid 이하의 범위 δTM(도 80)에서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가변 제어함으로써, 미터 화상(6O)의 밝기를 승무원 희망 밝기 δBM(도 81)으로 억제한다.
이와 같은 제19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2 모드 루틴에서는, 도 82와 같이, 제18 실시 형태의 스텝 S1703, 스텝 S1704를 대신하는 스텝 S1803, 스텝 S1804에 의해,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중간값 TMmid 이하의 범위 δTM 내로 제어한다. 단, 절환시 제2 모드 루틴의 스텝 S1803에서는, 입력 조정값에 상관없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중간값 TMmid로 제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제19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 시에는, 광원(40)의 발광 휘도의 저하분에,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의 감소분을 상승시킨 형태로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절환 전후의 표시에 현저한 증감를 부여할 수 있다.
(제20 실시 형태)
도 83, 도 8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0 실시 형태는, 차량용 표시 장치(1)의 표시 작동의 점에 있어서의 제18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이다. 이하, 제18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8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 회로(50)는, 광원(40)의 발광 휘도 및 화소(72, 82)의 계조값에 대해서는 제1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어하지만,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에 대해서는 제2 모드에 준하여 제어한다. 즉 제1 모드의 제어 회로(50)는,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어느 때에 있어서도,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TMmax 이하의 범위 ΔTM(도 83)에서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가변 제어한다. 따라서, 미터 화상(60)의 밝기로서, 승무원 희망 밝기 ΔBMh(도 84)가 실현되게 된다.
또한, 제20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 및 그 반대의 절환시에는,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TMmax로 제어하지만, 다른 제어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절환 직전의 값으로 유지 제어해도 좋고, 액정 조정 스위치(53) 등을 사용하여 승무원에 의해 사전 설정된 값 또는 제품 출하 전에 미리 설정된 값으로,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제어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제20 실시 형태에 의한 제어 흐름의 제1 모드 루틴에서는, 도 85 같이, 제18 실시 형태의 스텝 S1603, 스텝 S1604를 대신하는 스텝 S1903, 스텝 S1904에 의해, 통상시 및 이상 발생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입력 조정값에 따라 최대값 TMmax 이하의 범위 ΔTM 내로 제어한다. 단, 절환시 제1 모드 루틴의 스텝 S1903에 있어서는, 입력 조정값에 상관없이,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TMmax로 제어한다.
이상 설명한 제20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모드에 부가하여, 제1 모드에 있어서도,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을 최대값 이하라는 넓은 범위에서 변화시켜, 미터 표시 화소(62)에서 표시되는 미터 화상(60)의 밝기를 높은 자유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승무원의 기호에 맞춘 미터 화상(60)의 표시를 임의의 시기에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제18 내지 제20 실시 형태의 변형 형태)
이상 설명한 제18 내지 제20 실시 형태에 특유의 변형 형태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경고 표시 화소(72)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값에 대해서는, 제1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에 준하여,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의 절환시에 감소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경고 표시 화소(72) 및 배경 표시 화소(82)의 계조값에 대해서는, 제2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터 표시 화소(62)의 계조값에 준하여,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른 가변 제어를 제1 모드로 실현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
여기까지,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그들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태값 센서(54)에 의해 차속 이외의 차량 상태값, 예를 들어 엔진 회전수나 연료 잔존량, 엔진 냉각수의 수온 등을 검출하여, 당해 차속 이외의 차량 상태값을 미터 화상(60)에 의해 지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상 센서(55)에 의해 수온 이상 이외의 이상, 예를 들어 잔량 연료량의 엠프티(empty) 이상이나 ABS 시스템이 작동하는 차륜의 로크 이상 등을 검출하여, 당해 수온 이상 이외의 이상을 경고 화상(70)에 의해 경고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화상(70)에 대해서는, 이상 발생시 이외에도, 예를 들어「특정시」로서의 점화 스위치의 온(ON)시 등에 표시되는「특정 화상」이라도 좋다.
표시 작동에 있어서는, 조도 센서(56)로부터의 신호와는 무관하게, 전체 등 오프 위치를 나타내는 라이트 스위치(52)로부터의 신호 수신의 경우에는 제1 모드, 차폭등 온 위치 또는 전조등 온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수신의 경우에는 제2 모드(표시 금지 제2 모드, 표시 허가 제2 모드)를 실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반대로, 라이트 스위치(52)로부터의 신호와는 무관하게, 임계값 I를 초과하는 외광 조도를 나타내는 조도 센서(56)로부터의 신호 수신의 경우에는 제1 모드, 임계값 I 이하의 외광 조도를 나타내는 신호 수신의 경우에는 제2 모드(표시 금지 제2 모드, 표시 허가 제2 모드)를 실현하도록 해도 좋다.
표시 작동에 있어서, 경고 화상(70) 또는 외계 화상(180)을 배경 화상(80)과 동화시키도록 계조 제어하는 경우, 통상 액정 패널(10)에 있어서 경고 표시 화소(72) 또는 외계 표시 화소(182)의 각 서브 화소의 전극에 대응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항상 통전시켜 해당 부분의 액정을 온 상태가 되게 한다. 이에 대해, 경고 표시 화소(72) 또는 외계 표시 화소(182)의 각 서브 화소의 전극에 대응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통전을 컷트하여 해당 부분의 액정을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경고 화상(70) 또는 외계 화상(180)을 배경 화상(80)과 동화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원(40)로서는, 발광 다이오드(42)와 확산판(44)을 조합한 것 이외에도, 발광 휘도를 조정 가능한 각종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20)로서는, 투과 액정 패널 이외에도, 반사 액정 패널을 사용해도 좋고, 이 경우, 광원(40)으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20)을 전방으로부터 반사 조명하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 조정 스위치(53)로서는, 밝기의 조정값을 단계적으로 입력 가능하게 한 것 이외에도, 연속적으로 입력 가능하게 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콤비네이션 미터로서 기능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이외에도, 예를 들어 액정 패널의 표시 화상을 컴바이너(combiner)로 허상 표시시키는 헤드 업(headup)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개시는, 이하의 각 형태를 갖는다.
제1 형태에 따르면, 차량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발광에 의해 액정 패널을 조명하는 광원과, 액정 패널 및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패널은, 특정시에 특정 화상을 표시하는 특정 표시 화소와, 특정 표시 화소에 의해 특정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통상시 및 특정시에 통상 화상을 표시하는 통상 표시 화소를 갖고,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설정 계조값에 대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의 비율을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로서 제어하는 동시에, 특정 표시 화소의 설정 계조값에 대한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값의 비율을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로서 제어하고, 또한 제어기는,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1 모드와, 제1 모드보다도 낮은 휘도로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2 모드를 제어 모드로서 설정하고,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 및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최대 비율로 설정하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크게 하는 계조 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따르면, 통상 표시 화소 및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각 계조 비율이 최대 비율로 설정되는 제1 모드에 대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이 커진다. 그러므로, 제1 모드보다도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통상시 및 특정시의 양쪽에 통상 표시 화소가 표시하는 통상 화상에 대해, 밝기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 중 계조 처리에 있어서 특정시에 특정 표시 화소가 표시하는 특정 화상에 대해서는, 밝기를 확보하여 표시 목적의 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 따르면, 시인성을 우선하는 통상 화상과, 표시 목적의 달성을 우선하는 특정 화상을, 각각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기준이 되는 설정 계조값과,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기준이 되는 설정 계조값은 상이해도 좋고, 동일해도 좋다.
대안으로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가변으로 하는 동시에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러므로,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변화시켜 통상 화상의 밝기를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특정 화상의 밝기를 통상 화상의 밝기에 상관없이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 화상에 대한 특정 화상의 상대적인 밝기를 높여, 당해 특정 화상 본래의 표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차량의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장치이며, 특정 화상 및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값을 입력으로서 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의 변화에 대해 설정 비율로부터 감소시키는 동시에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당해 설정 비율로 유지한다. 이에 따르면,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특정 화상의 표시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고, 통상 화상의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계조 처리로서의 메인 계조 처리와,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의 변화에 대해, 메인 계조 처리와 동일한 설정 비율로부터 증대시키는 동시에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당해 설정 비율로 유지함으로써,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작게 하는 서브 계조 처리를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실시한다. 이에 따르면,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감소시키는 것과,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증대시키는 것을, 승무원에 의해 선택 가능해진다. 따라서, 통상 화상의 밝기를 억제하여 그 시인의 용이함을 확보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추어 통상 화상을 밝게 표시하는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과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각각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러므로,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크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통상 화상에 대한 특정 화상의 상대적인 밝기를 정상적으로 높여, 당해 특정 화상 본래의 표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에 의해, 광원 발광 휘도가 높은 제1 모드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고정하여 액정 패널의 제어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하는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당해 절환시에 유지한 비율 이하의 범위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는, 광원 발광 휘도의 각 모드간의 고저차에 따른 변화를, 통상 화상의 밝기에 대해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통상 화상의 밝기를 비교적 크게 변화시켜 증감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가변으로 하는 경우,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가변 제어를 제2 모드에 한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그와 같은 경우에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가변 범위를 가급적 크게 확보하여, 통상 화상의 밝기의 조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하는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기는, 절환 전에 비해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감소시키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당해 절환시에 감소시킨 비율 이하의 범위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는, 통상 화상의 밝기에 대해 광원 발광 휘도의 각 모드간의 고저차에 따른 변화에 부가하여,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감소분에 따른 변화도 함께,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통상 화상의 밝기를 극적으로 변화시켜 증감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가변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뿐만 아니라, 제1 모드에 있어서도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변화시켜, 통상 화상의 밝기를 차량의 승무원의 기호에 적합한 밝기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가변 범위를 제1 모드에 있어서의 가변 범위보다도 크게 한다. 이에 따르면,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로 있어서의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가변 범위를 가급적 크게 확보하여, 통상 화상의 밝기의 조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비율보다도 작게 한다. 이에 의해,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통상 화상의 최대 밝기를 억제하여 그 시인성을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비율보다도 작게 하는 대신에,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비율과 동일하게 해도 좋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와 동일한 비율로 유지한다. 이에 따르면, 광원 발광 휘도가 높은 제1 모드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도, 특정시의 특정 화상을 가급적 밝게 표시하여, 특정 화상 본래의 표시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제1 모드에 있어서의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제2 모드에 있어서의 계조 처리와 동일한 비율로 유지하는 대신에, 계조 처리보다도 큰 비율로 유지해도 좋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가변으로 한다. 그러므로,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변화시켜, 특정 화상의 밝기를 그 표시 목적을 달성 가능할 정도로 확보할 수 있다. 그와 함께,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작게 유지하여, 통상 화상의 밝기를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차량의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장치이며, 특정 화상 및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값을 입력으로서 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설정 비율로 유지하는 동시에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의 변화에 대해 당해 설정 비율로부터 증대시킨다. 이에 따르면,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통상 화상에 대한 특정 화상의 상대적인 밝기를 높이면서, 당해 특정 화상의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계조 처리로서의 메인 계조 처리와,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메인 계조 처리와 동일한 설정 비율로 유지하는 동시에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의 변화에 대해 당해 설정 비율로부터 감소시킴으로써,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작게 하는 서브 계조 처리를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실시한다. 이에 따르면,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증대시키는 것과,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감소시키는 것을, 승무원에 의해 선택 가능해진다. 따라서, 특정 화상의 밝기를 확보하여 그 표시 목적의 달성을 도모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추어 특정 화상의 밝기를 억제하는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과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각각 가변으로 한다. 그러므로,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변화시켜, 통상 화상의 밝기를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도 변화시켜, 특정 화상의 밝기를 그 표시 목적을 달성가능한 정도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차량의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장치이며, 특정 화상 및 통상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값을 입력으로서 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과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입력 조정값의 변화에 대해 동일한 설정 비율로부터 감소시킨다. 이에 따르면,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이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커지도록 하여, 그들의 계조 비율을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계조 처리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 화상의 시인의 용이함과 특정 화상의 밝기를 함께 확보하면서, 그들 화상의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추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계조 처리로서의 메인 계조 처리와,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과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 조정값의 변화에 대해, 메인 계조 처리와 동일한 설정 비율로부터 증대시킴으로써,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작게 하는 서브 계조 처리를 입력 조정값에 따라서 실시한다. 이에 따르면,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이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큰 관계를 유지하여 그들 계조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과,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이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작은 관계를 유지하여 그들 계조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을, 승무원에 의해 선택 가능해진다. 따라서, 특정 화상의 밝기를 확보하여 상대적인 통상 화상의 밝기를 억제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통상 화상의 밝기를 확보하여 상대적인 특정 화상의 밝기를 억제하는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에 의해, 광원 발광 휘도가 높은 제1 모드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고정하여 액정 패널의 제어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하는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당해 절환시에 유지한 비율 이하의 범위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는, 광원 발광 휘도의 각 모드간의 고저차에 따른 변화를, 통상 화상의 밝기에 대해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통상 화상의 밝기를 비교적 크게 변화시켜 증감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가변으로 하는 경우,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가변 제어를 제2 모드에 한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그와 같은 경우에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가변 범위를 가급적 크게 확보하여, 통상 화상의 밝기의 조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하는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기는, 절환 전에 비해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감소시키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당해 절환시에 감소시킨 비율 이하의 범위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는, 통상 화상의 밝기에 대해 광원 발광 휘도의 각 모드간의 고저차에 따른 변화에 부가하여,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감소분에 따른 변화도 함께,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통상 화상의 밝기를 극적으로 변화시켜 증감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가변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뿐만 아니라, 제1 모드에 있어서도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변화시켜, 통상 화상의 밝기를 차량의 승무원의 기호에 적합한 밝기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가변 범위를 제1 모드에 있어서의 가변 범위보다도 크게 한다. 이에 따르면,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로 있어서의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의 가변 범위를 가급적 크게 확보하여, 통상 화상의 밝기의 조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비율보다도 작게 한다. 이에 의해,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통상 화상의 최대 밝기를 억제하여 그 시인성을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비율보다도 작게 하는 대신에,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비율과 동일하게 해도 좋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가변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뿐만 아니라, 제1 모드에 있어서도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변화시켜, 특정 화상의 밝기를 그 표시 목적을 달성 가능할 정도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기는,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비율과 동일하게 한다. 이에 따르면, 광원 발광 휘도가 높은 제1 모드뿐만 아니라,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도, 특정 화상의 최대 밝기를 가급적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특정 화상 본래의 표시 목적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여기서,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비율과 동일하게 하는 대신에,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비율보다도 작게 해도 좋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에 의해, 광원 발광 휘도가 높은 제1 모드에 있어서는,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고정하여 액정 패널의 제어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기는,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유지 비율과 동일하게 한다. 이에 따르면, 광원 발광 휘도가 높은 제1 모드뿐만 아니라,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도, 특정 화상의 최대 밝기를 가급적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특정 화상 본래의 표시 목적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여기서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유지 비율과 동일하게 하는 대신에,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의 상한 비율을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유지 비율보다도 작게 해도 좋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기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의 양쪽에 있어서 계조 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따르면,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 및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대해, 전자보다도 후자를 크게 하도록 변화시키는 계조 처리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의 양쪽에 있어서 실현되게 된다. 따라서, 통상 화상에 대한 특정 화상의 상대적인 밝기를 승무원의 기호에 맞춘 형태로 높여 특정 화상의 표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광원 발광 휘도의 고저에 의하지 않고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기는, 제2 모드의 동안, 계조 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따르면,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라도, 그 동안은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크게 하는 계조 처리를 실시하여, 특정 화상의 표시 목적을 계속적으로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차량의 승무원으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기는, 제2 모드에 있어서 입력 장치가 받는 입력에 따라서 계조 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따르면, 특정 화상의 밝기가 확보되어 상대적인 통상 화상의 밝기가 억제된 표시를 승무원이 희망할 때를 목표로 하여,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을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시기적절하게 승무원 지원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 제어기는, 광원의 발광 휘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에 의해 제2 모드에 있어서는, 광원 발광 휘도를 제1 모드보다도 낮은 범위에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특정 화상 및 통상 화상의 밝기를 각각 특정 표시 화소 및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에 의해 정확하게 설정 가능해진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 제어기는, 광원의 발광 휘도를 제1 모드보다도 낮은 범위에서 가변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광원의 발광 휘도를 제1 모드보다도 낮은 범위에서 변화시켜, 통상 화상의 밝기 및 특정 화상의 밝기를 차량의 승무원의 기호에 맞춘 형태로 동시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보다도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 비율이 커지므로, 특정 화상 본래의 표시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고, 통상 화상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라이트 스위치는, 외광 조도가 저하되면, 온이 된다. 그래서, 제어기는, 차량의 라이트 스위치가 온이 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한다. 그러므로, 라이트 스위치의 온에 의해 제1 모드로부터 절환된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저하된 외광 조도에 따라서 통상 화상의 밝기를 억제하는 한편, 특정 화상의 밝기에 대해서는 그 표시 목적을 달성 가능할 정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기는, 외광 조도가 임계값 이하로 저하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한다. 그러므로, 외광 조도의 저하에 의해 제1 모드로부터 절환된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는, 당해 저하된 외광 조도에 따라서 통상 화상의 밝기를 억제하는 한편, 특정 화상의 밝기에 대해서는 그 표시 목적을 달성 가능할 정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특정 화상은, 차량의 승무원에게 주의를 환기하기 위해 차량의 이상을 경고하는 경고 화상을 포함하고, 통상 화상은 차량의 상태값을 지시하기 위한 미터 화상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 미터 화상의 밝기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좋게 하는 한편, 경고 화상의 밝기를 확보하여, 주의 환기 대상인 차량 이상의 경고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특정 화상은, 차량의 승무원에게 주의를 환기하기 위해 차량의 외계를 촬상하여 이루어지는 외계 화상을 포함하고, 통상 화상은 차량의 상태값을 지시하기 위한 미터 화상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의 계조 처리에 있어서, 미터 화상의 밝기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좋게 하는 한편, 외계 화상의 밝기를 확보하여, 차량 외계에 대한 주의 환기를 재촉할 수 있다.
제1 형태에 따르면, 차량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발광에 의해 액정 패널을 조명하는 광원과, 액정 패널 및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패널은, 특정시에 특정 화상을 표시하는 특정 표시 화소와, 특정 표시 화소에 의해 특정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통상시 및 특정시에 통상 화상을 표시하는 통상 표시 화소를 갖고, 제어기는,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1 모드와, 제1 모드보다도 낮은 휘도로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2 모드를 제어 모드로서 설정하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시 및 특정시의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을 가변으로 하는 한편,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1 모드보다도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에 있어서는, 통상시 및 특정시의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이 가변이 되므로, 그들 통상시 및 특정시의 양쪽에 통상 표시 화소로 표시되는 통상 화상의 밝기를 적절하게 억제하여, 통상 화상의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값에 대해서는, 제2 모드에 있어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특정시에는, 특정 표시 화소로 표시되는 특정 화상의 밝기를 통상 화상의 밝기에 상관없이 확보하여, 특정 화상 본래의 표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시인성을 우선하는 통상 화상과, 표시 목적의 달성을 우선하는 특정 화상을 각각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의 양쪽에 있어서 제어기는, 특정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값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에 따르면, 제2 모드의 특정시에 있어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값은 제1 모드의 특정시에 있어서의 특정 표시 화소의 계조값과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제2 모드의 특정시에 있어서 특정 화상을 가급적 밝게 표시하여, 특정 화상 본래의 표시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시 및 특정시의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에 따르면, 광원 발광 휘도가 높은 제1 모드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 화소로 표시되는 통상 화상의 밝기를 고정하여, 액정 패널의 제어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하는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의 가변 범위를 당해 절환시에 유지한 값 이하의 범위로 제어한다. 이에 따르면, 통상 표시 화소로 표시되는 통상 화상의 밝기에 대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광원 발광 휘도의 각 모드간의 고저차에 따른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의 가변 제어에 대해, 제2 모드로 한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통상 화상의 밝기를 비교적 크게 변화시켜 증감를 부여하는 동시에, 절환 후의 제2 모드에 있어서,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의 가변 범위를 확대하여 표시 화상의 밝기의 조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하는 절환시에 있어서 제어기는, 절환 전에 비해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을 감소시키고,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의 가변 범위를 당해 절환시에 감소시킨 값 이하의 범위로 제어한다. 이에 따르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는, 통상 표시 화소로 표시되는 통상 화상의 밝기에 대해, 광원 발광 휘도의 각 모드간의 고저차에 따른 변화에 부가하여,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의 감소분에 따른 변화도 함께,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절환시에 있어서, 통상 화상의 밝기를 극적으로 변화시켜 증감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상시 및 특정시의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을 가변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제2 모드뿐만 아니라, 제1 모드에 있어서도 통상시 및 특정시의 통상 표시 화소의 계조값이 가변이 되므로, 통상 표시 화소로 표시되는 통상 화상의 밝기를 차량의 승무원의 기호에 적합한 밝기로 조정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라이트 스위치는, 외광 조도가 저하되면, 온이 된다. 제어기는 차량의 라이트 스위치가 온이 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한다. 그러므로, 라이트 스위치의 온에 의해 제1 모드로부터 절환된 제2 모드에 있어서는, 저하된 외광 조도에 따라서 통상 화상의 밝기를 억제하는 한편, 특정 화상의 밝기에 대해서는 그 표시 목적을 달성 가능할 정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제어기는, 외광 조도가 임계값 이하로 저하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어 모드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절환한다. 그러므로, 외광 조도의 저하에 의해 제1 모드로부터 절환된 제2 모드에 있어서는, 당해 저하된 외광 조도에 따라서 통상 화상의 밝기를 억제하는 한편, 특정 화상의 밝기에 대해서는 그 표시 목적을 달성 가능할 정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는, 특정 화상은, 차량의 이상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 화상을 포함하고, 통상 화상은, 차량의 상태값을 지시하기 위한 미터 화상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광원 발광 휘도가 낮은 제2 모드에 있어서, 미터 화상의 밝기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좋게 하는 한편, 경고 화상의 밝기를 확보하여 차량 이상의 경고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적합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해 적합한 실시예나 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예나 등가인 배열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게다가, 단순히 한 요소를 많게 혹은 적게 포함하는, 적합한, 혹은 다른 다양한 조합이나 형태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와 사정 내에 들어간다.

Claims (1)

  1.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10)과,
    발광에 의해 상기 액정 패널(10)을 조명하는 광원(40)과,
    상기 액정 패널(10) 및 상기 광원(40)을 제어하는 제어기(50)을 구비한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0127022505A 2006-11-27 2007-11-21 차량용 표시 장치 KR201201021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8815 2006-11-27
JPJP-P-2006-318815 2006-11-27
JPJP-P-2007-274295 2007-10-22
JP2007274295A JP5135990B2 (ja) 2006-11-27 2007-10-22 車両用表示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710A Division KR101203349B1 (ko) 2006-11-27 2007-11-21 차량용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169A true KR20120102169A (ko) 2012-09-17

Family

ID=39467741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154A KR101273726B1 (ko) 2006-11-27 2007-11-21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0127022505A KR20120102169A (ko) 2006-11-27 2007-11-21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0097010710A KR101203349B1 (ko) 2006-11-27 2007-11-21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0137020087A KR101408402B1 (ko) 2006-11-27 2007-11-21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0137002798A KR101344987B1 (ko) 2006-11-27 2007-11-21 차량용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154A KR101273726B1 (ko) 2006-11-27 2007-11-21 차량용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710A KR101203349B1 (ko) 2006-11-27 2007-11-21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0137020087A KR101408402B1 (ko) 2006-11-27 2007-11-21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0137002798A KR101344987B1 (ko) 2006-11-27 2007-11-21 차량용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743153B2 (ko)
EP (3) EP2098413B1 (ko)
JP (1) JP5135990B2 (ko)
KR (5) KR101273726B1 (ko)
CN (4) CN102592551B (ko)
WO (1) WO2008065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17787A1 (de) 2007-04-10 2008-10-16 Denso Corp., Kariya-shi Fahrzeuganzeigevorrichtung
JP4235237B1 (ja) 2007-08-31 2009-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及び車載表示用プログラム
US20110050738A1 (en) * 2008-02-27 2011-03-03 Kazuyoshi Fujiok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476687B2 (ja) * 2008-07-24 2014-04-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4626710B2 (ja) 2008-08-06 2011-02-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5228687B2 (ja) * 2008-08-07 2013-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5467763B2 (ja) * 2008-12-08 201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移動対象画像描画装置及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
JP4710980B2 (ja) 2009-01-16 2011-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5257378B2 (ja) 2010-02-24 2013-08-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調光システム
EP2420410A1 (en) * 2010-08-19 2012-02-2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for Presenting an Image in a Vehicle
JP5522186B2 (ja) * 2012-02-22 2014-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EP2779149B1 (en) * 2013-03-15 2019-05-08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and intensity adjustment system for intensity adjustment of a vehicle display
DE102014009985A1 (de) * 2014-07-04 2016-01-07 Daimler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in verschiedenen Fahrmodi sowie Kraftfahrzeug
JP6481273B2 (ja) 2014-07-11 2019-03-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KR102211133B1 (ko) * 2014-08-20 2021-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 구동 유닛,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20170158130A1 (en) * 2015-12-03 2017-06-08 Dura Operating, Llc System to detect vehicle lamp performance
DE102016003359B4 (de) * 2016-03-18 2023-07-20 Mercedes-Benz Group AG Anzeigevorrichtung
JP6481084B2 (ja) * 2016-06-27 2019-03-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映像表示機能付き眼鏡
JP2018077423A (ja) * 2016-11-11 2018-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916725B1 (ko) * 2016-12-27 2018-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6616340B2 (ja) 2017-01-31 2019-12-0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装置の表示方法
JP6617734B2 (ja) * 2017-02-22 2019-12-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6607910B2 (ja) * 2017-12-20 2019-1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メータ表示装置
CN108426902B (zh) * 2018-03-14 2020-11-10 中广核贝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的运动车辆位置检测方法
JP7067195B2 (ja) * 2018-03-29 2022-05-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照度検出方法、及び照度検出プログラム
CN109910610B (zh) * 2019-02-18 2020-09-29 武汉格瑞恩电子仪表有限公司 组合仪表
CN110388720B (zh) * 2019-07-19 2020-08-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净化器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气净化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3603A (en) 1988-11-01 1990-06-12 Audi Ag Circuit arrangement for indicator lights in motor vehicles
JPH0444626A (ja) 1990-06-11 1992-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媒体
JPH04250489A (ja) * 1991-01-10 1992-09-07 Pioneer Electron Corp 車載ナビゲ−ション装置
JP2801798B2 (ja) 1991-07-10 1998-09-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3475664B2 (ja) 1996-08-07 2003-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H11194736A (ja) 1998-01-07 1999-07-21 Nec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0010543A (ja) 1998-06-19 2000-01-14 Denso Corp 車両用画像表示装置
US6879326B1 (en) 2000-06-22 2005-04-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lighting selected portions of a display screen
US6606100B1 (en) 1999-12-02 2003-08-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window in a display and for enhancing an image in the window
US6762741B2 (en) 2000-12-22 2004-07-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play device using a logarithmic sensor
JP3988575B2 (ja) * 2002-08-09 2007-10-10 株式会社デンソー フルカラー表示装置
JP2004085682A (ja) 2002-08-23 2004-03-18 Nec Corp 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2004219939A (ja) 2003-01-17 2004-08-05 Yamaha Corp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591535B2 (ja) 2003-03-24 2004-11-24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KR100929673B1 (ko) 2003-03-25 200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4314860A (ja) * 2003-04-18 2004-11-11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
JP2005041355A (ja) * 2003-07-23 2005-02-17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2007522007A (ja) * 2004-02-20 2007-08-0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321294B2 (en) 2004-04-21 2008-01-2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instrument panel,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trument panel
JP4229923B2 (ja) 2004-04-21 2009-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自動車両およ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制御方法
JP4573242B2 (ja) 2004-11-09 2010-11-0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JP2007010978A (ja) 2005-06-30 2007-01-18 Yokogawa Electric Corp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8368823B2 (en) 2007-09-18 2013-02-05 Denso Corporation On-vehicl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98413B1 (en) 2012-09-26
EP2098413A4 (en) 2011-08-17
KR20130095323A (ko) 2013-08-27
US20100103204A1 (en) 2010-04-29
EP2527204B1 (en) 2017-03-01
KR101273726B1 (ko) 2013-06-12
CN102592551B (zh) 2015-04-22
KR101203349B1 (ko) 2012-11-20
CN101541593B (zh) 2013-01-30
US20140125709A1 (en) 2014-05-08
EP2527204A3 (en) 2013-01-02
EP2527204A2 (en) 2012-11-28
KR20120003983A (ko) 2012-01-11
CN101541593A (zh) 2009-09-23
EP2662244A1 (en) 2013-11-13
KR20130019032A (ko) 2013-02-25
CN103065590A (zh) 2013-04-24
JP2008158497A (ja) 2008-07-10
EP2098413A1 (en) 2009-09-09
EP2662244B1 (en) 2016-10-12
CN103065590B (zh) 2015-10-14
CN102592551A (zh) 2012-07-18
KR101344987B1 (ko) 2013-12-24
JP5135990B2 (ja) 2013-02-06
KR101408402B1 (ko) 2014-06-17
WO2008065948A1 (fr) 2008-06-05
CN102592550A (zh) 2012-07-18
US9064471B2 (en) 2015-06-23
US8743153B2 (en) 2014-06-03
KR20090074261A (ko) 2009-07-06
CN102592550B (zh)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349B1 (ko) 차량용 표시 장치
WO2009107277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JP5476687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8274459B2 (en) Vehicle display apparatus
JP4981833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070115673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JP5527387B2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20240421A1 (en) Projection system for vehicles and related projection method.
JP2014157320A (ja) 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