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14664A1 - 부착능 강화를 통한 피부 흡수 및 효능 증강 리포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착능 강화를 통한 피부 흡수 및 효능 증강 리포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14664A1
WO2024014664A1 PCT/KR2023/005231 KR2023005231W WO2024014664A1 WO 2024014664 A1 WO2024014664 A1 WO 2024014664A1 KR 2023005231 W KR2023005231 W KR 2023005231W WO 2024014664 A1 WO2024014664 A1 WO 202401466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kin
liposome composition
weight
collage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52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수지
이준배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1466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146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iposomes, cosmetic compositions, etc.
  • the skin the body's outermost membrane composed of the epidermis, dermis, and fat layer, is directly exposed to various harmful environments such as ultraviolet rays, near-infrared rays, and pollution, and is vulnerable to oxidative stress.
  • This oxidative stress causes aging phenomena such as wrinkles and pigmentation in the skin.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duced by photoaging, which is considered the biggest cause of skin aging, cause skin aging. Accelerates aging.
  • ROS is highly reactive, it also oxidizes lipids, proteins, and DNA, which are components of cells present in the skin.
  • ROS promotes the expression of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 collagen hydrolyzing enzymes, thereby reducing collagen fibers in the skin. This causes skin wrinkles to increase. Additionally, because the amount of collagen produced in the skin decreases rapidly with age, additional collagen supplementation is essential to maintain elastic and healthy skin.
  • Collagen is a protein that makes up more than 70% of the dermal layer and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maintaining skin elasticity.
  • Various types of collagen-related raw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to prevent skin aging and improve wrinkles, but because collagen has a relatively large molecular weight and is water-soluble, it has low affinity with the intercellular lipids of the stratum corneum, so it is used in general emulsification or solubilization formulations. It is difficult to expect a high skin absorption effect.
  • liposomes are a representative biocompatible skin delivery vehicle, and have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carry bo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ubstances by solubilizing water-soluble components in the water core and fat-soluble components in the phospholipid membran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developed a liposome composed of collagen with an optimal content to enhance skin absorption of skin active substances including collagen, which have skin regeneration, anti-aging, wrinkle improvement and elasticity enhancement, and skin whitening activities. By evaluating the skin adhesion and penetration ability of this supported liposome composition and the change in protein expression level in the skin,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expression of actual efficacy due to increased absorption of skin active substances was confirmed.
  • One aspect provides a liposome composition with improved skin adhesion and absorption ability.
  • Another aspec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improving elasticity, comprising the liposome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aspect provides a 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improving elasticity, comprising the liposome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One aspect includes an oil phase comprising phospholipids, cholesterol, ceramides and polyols; and an aqueous phase, to provide a liposome composition with improved skin adhesion and absorption ability.
  • a skin a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oil phase portion and the water phase por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 skin a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in the water phase portion.
  • the liposom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preservatives, pH adjusters, surfactants, antioxidants, sunscreens, pigments, dyes, fragrances, stabilizers and thickeners, and purified water, which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You can.
  • the water phase may further include purified water and a preservative in addition to the skin active material.
  • the term 'liposome' as used herein refers to a spherical or oval-shaped structure surrounded by a fine lipid membrane and has the form of a lipid bilayer or multilayer vesicle.
  • the lipid may be an amphiphilic lipid, specifically a phospholipid, and the phospholipid may include lecithin,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ic acid,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inositol, phosphatidylethanolamine, diphosphatidylglycerol, cardiolipin, and plasma.
  • dicetyl phosphate distearoylphosphatidylcholine, dioleoylphosphatidylethanolamine, dipalmitoylphosphatidylcholine, dipalmitoylphosphatidylethanolamine, dipalmitoylphosphatidylserine, eleostearoylphosphatidylcholine, eleostearoylphosphatidylethanolamine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eleostearoylphosphatidylserine, and any combination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lecithin.
  • the ‘lecithin’ can be naturally produced as a diglyceride mixture of stearic acid,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ource.
  • hydrogenated lecithin produced through controlled hydrogenation (addition of hydrogen) of lecithin was used.
  • the phospholipid is 0.1 to 5 parts by weight, 0.3 to 5 parts by weight, 0.5 to 5 parts by weight, 0.1 to 3 parts by weight, 0.3 to 3 parts by weight, 0.5 to 3 parts by weight, 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posome composition. , 0.3 to 1 part by weight, 0.5 to 1 part by weight, 0.1 to 0.7 parts by weight, 0.3 to 0.7 parts by weight, and 0.5 to 0.7 parts by weight.
  • 'cholesterol'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 type of lipid and a steroid-based organic substance with hydrophobic properties, which plays a role in providing stability to the liposome structure.
  • the cholesterol is 0.1 to 3 parts by weight, 0.25 to 3 parts by weight, 0.1 to 1 part by weight, 0.25 to 1 part by weight, 0.1 to 0.7 parts by weight, 0.25 to 0.7 parts by weight, 0.1 to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posome composition. ,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0.25 to 0.5 parts by weight and 0.1 to 0.25 parts by weight.
  • 'ceramide' in this specification is a type of sphingolipid and refers to a molecule composed of sphingosine and fatty acids. It promotes the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and forms a protective layer of the stratum corneum of the skin. It plays a role in maintaining skin moisture.
  • the ceramid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5 to 0.1 parts by weight, 0.005 to 0.05 parts by weight, 0.005 to 0.03 parts by weight, 0.01 to 0.1 parts by weight, 0.01 to 0.05 parts by weight, and 0.01 to 0.03 parts by weight.
  • polyol'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n aliphatic compound having two or more hydroxyl groups (-OH), and the polyol includes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methylpropanediol, and isoprene glycol. , pentylene glycol, and any combination thereof,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ipropylene glycol was used.
  • the polyol is used in an amount of 1 to 20 parts by weight, 1 to 15 parts by weight, 1 to 10 parts by weight, 3 to 20 parts by weight, 3 to 15 parts by weight, 3 to 10 parts by weight, and 5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posome composition. , 5 to 15 parts by weight, 5 to 10 parts by weight, 7 to 20 parts by weight, 7 to 15 parts by weight, 7 to 10 parts by weight, 10 to 20 parts by weight, and 10 to 15 parts by weight.
  • the cholesterol, ceramide, and polyol together with phospholipid (lecithin) form the lipid portion of the liposome composition.
  • hydrogenated lecithin, cholesterol, ceramide, and dipropylene glycol are heated to 70-80°C depending on their respective contents. After dissolving by heating, it was added to the aqueous phase containing collagen at room temperature and stirred, and then subjected to high-pressure emulsification to finally prepare liposomes.
  • the term 'skin active substance' may refer to any substance that can provide useful activities to an individual, such as skin regeneration, anti-aging, wrinkle improvement and elasticity enhancement, skin whitening activity, etc.
  • the skin active material is one or more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llagen, hyaluronic acid, niacinamide, adenosine, vitamin C (ascorbic acid), retinol, tocopherol, coenzyme Q10, and any combination thereof. It may be,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the specific efficac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external skin preparation to which it is applied may vary, and the type and content of the skin active substance carrie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collagen'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 fibrous protein that makes up most of all connective tissues in the body, such as the skin and cartilage of mammals. Specifically, 'hydrolyzed collagen' is made by treating collagen with proteolytic enzymes to make it low molecule. (peptide)',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ydrolyzed collagen may be about 500 to 4000 Da.
  • the skin active material is 0.1 to 10 parts by weight, 0.3 to 10 parts by weight, 0.5 to 10 parts by weight, 1 to 10 parts by weight, 3 to 10 parts by weight,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posom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llagen is 0.1 to 5 parts by weight, 0.3 to 5 parts by weight, 0.5 to 5 parts by weight, 1 to 5 parts by weight, 0.1 to 3 parts by weight, 0.3 to 3 parts by weight, 0.5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posome composition.
  • parts by weight 1 to 3 parts by weight, 0.1 to 1 part by weight, 0.3 to 1 part by weight, 0.5 to 1 part by weight, 0.1 to 0.7 parts by weight, 0.3 to 0.7 parts by weight, and 0.5 to 0.7 parts by weight.
  • the term 'skin adhesion'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degree of residual collagen remaining on the skin after the liposome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skin and washed. The better the skin adhesion of the collagen carried in the liposome composition, the better it is on the skin. The degree of absorption can also be evaluated as excellent.
  • each liposome composition was applied on an artificial membrane (Strat-M, Merck) and the concentration of collagen remaining in the artificial membrane was calculated through BCA assay quantific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it was washed with purified water, using IVIS. It was also confirmed visually.
  • 'skin absorption capacity'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skin penetration amount', which means the degree to which skin active substances such as collagen are absorbed into the skin.
  • 'skin penetration amount' means the degree to which skin active substances such as collagen are absorbed into the skin.
  • 3D skin containing only the epidermal layer was treated with a liposome composition containing collagen combined with the fluorescent reagent FITC, and the amount of collagen transmitted was confirmed using a confocal scanning microscope.
  • the genes related to collagen synthesis, type 1 collagen, keratin 5, keratin 14, and involucrin, which are related to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the stratum corneum water-related gene, aquapori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was higher when treated with the liposome composition loaded with collagen compared to the aqueous solution (FIG. 6).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liposom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kin adhesion and absorption ability of collagen, and thus actually has the effect of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or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within the skin.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improving elasticity, comprising the liposome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aspect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anti-aging,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enhancement, or skin whitening, and the same parts as described above also apply to the cosmetic composition.
  • 'skin regeneration' refers to a series of reactions in which skin tissue is reorganized in response to skin aging or damage caused to the skin. Specifically, this refers to a series of reactions in which skin tissue is reorganized through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keratinocytes. It can be done.
  • 'anti-aging' refers to all actions that prevent functional degeneration of skin cells and tissues due to aging
  • 'skin whitening' refers to whitening the skin, specifically, excessive synthesis of melanin or It can mean alleviating or improving various pigmentation, including spots and freckles, caused by melanin deposition.
  • the term 'improvement of skin wrinkles' refers to any action that reduces or slows down wrinkles that occur due to a decrease in collagen fibers in the skin or a decrease in the amount of collagen production
  • 'promotion of elasticity' refers to the absorption of collagen in the skin.
  • it may refer to any act that increases the elasticity and resilience of the skin due to increased produc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lotion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e lotion, nutritional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al cream, and moisture.
  • lotion skin lotion
  • astringent astringent
  • lotion milk lotion
  • moisture lotion moisture lotion
  • nutritional lotion massage cream
  • nutritional cream and moisture.
  • soap cleansing foam
  •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 body lotion body cleanser
  • suspension gel
  • powder, paste, mask pack or sheet, and aerosol It can be prepared in any one selected formulation, and the composition of this formulation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n the art.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preservatives, stabilizers, surfactants, solubilizers, moisturizers, emollients, ultraviolet absorbers, preservatives, disinfectants, antioxidants, pH adjuster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fragrances, cooling agents or antiperspirants.
  • preservatives such as the moisturizer can be easi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ixing amount is 0.001 to 5% by weight, specifically 0.01 to 3%,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t may be weight percent.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improving elasticity, comprising the liposome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aspect may be a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anti-aging,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enhancement, or skin whitening, and the same parts as described above also apply to the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 the external skin preparation may be a cream, gel, ointment, skin emulsifier, skin suspension, transdermal delivery patch, drug-containing bandage, lo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skin external preparations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external skin preparations such as cosmetics and medicines, such as aqueous ingredients, oil-based ingredients, powder ingredients, alcohols, moisturizers, thickeners, ultraviolet absorbers, whitening agents, preservatives, antioxidants, surfactants, and fragrances. , colorants, various skin nutri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appropriately mixed according to need.
  • the skin external preparation contains metal sequestrants such as disodium edetate, trisodium edetate, sodium citrate, sodium polyphosphate, sodium metaphosphate, and gluconic acid, caffeine, tannin, belafamil, licorice extract, glablidin, and calin.
  • metal sequestrants such as disodium edetate, trisodium edetate, sodium citrate, sodium polyphosphate, sodium metaphosphate, and gluconic acid, caffeine, tannin, belafamil, licorice extract, glablidin, and calin.
  • hot water extract of fruits, various herbal medicines, drugs such as tocopherol acetate, glythylitic acid, tranexamic acid and its derivatives or salts, vitamin C, magnesium ascorbate phosphate, ascorbate glucoside, arbutin, kojic acid, glucose, fructose , trehalose, and other sugars can be appropriately mix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 the liposom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is safe and non-irritating to the human body, and when loaded with skin active substances such as collagen, skin adhesion and absorption ability are increased compared to aqueous solutions, there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efficacy of skin active substances.
  • This liposome composition is used as a cosmetic. It can be applied to the composition to prevent and improve skin aging.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l for one aspect of a liposome composition for 21 days.
  • Figure 2 shows an image confirming the structure of one aspect of liposome particles through Cryo-TEM.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skin adhesion test using an artificial membrane (Strat-M, Merck) and the amount of collagen remaining in the artificial membra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washings.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a skin adhesion test using an artificial membrane (Strat-M, Merck),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mount of collagen remaining in the artificial membra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washings using IVIS measurement images.
  •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skin penetration ability of one aspect of the liposome composition and aqueous solution through confocal scanning microscopy.
  • Figure 6 shows qRT-PCR results for various skin-related genes after applying an aspect of the liposome composition and aqueous solution.
  • Aqueous solutions and liposom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aving the compositions (unit: weight %) shown in Table 1 below were prepared. Specifically, except for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remaining ingredients were weighed according to the listed ingredients and contents, and phase A (oil phase) was dissolved by heating to 70-80°C and then added to phase B (water phase) containing collagen at room temperature. While adding it, it was stirred with an azimixer for 5 minutes. After primary stirring, liposomes were finally prepared by high-pressure emulsification at 1,000 bar and 3 cycles.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re aqueous solutions of collagen dissolved in purified water.
  • Example 2 A Hydrogenated Lecithin - -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cholesterol - - - 0.25 0.25 0.25 0.25 ceramide - - 0.01 0.01 0.01 0.01 0.01 0.01 0.01 Dipropylene glycol - - 10.00 10.00 10.00 10.00 10.00 B Purified water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hydrolyzed collagen 0.50 1.00 1.00 5.00 10.00 0.50 1.00 antiseptic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priate amount Appro
  • Example 1 To measure the particle size of the above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5, a Dynamic Light Scattering (SZ-100, HORIBA) device was used. Table 2 below shows the particle size average immediately after manufacturing, and as the collagen content increased, the particle size average also increase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separation occurred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which showed that cholestero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ability of liposomes. In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where the collagen content was 5% or more, a haze phenomenon was observed. On the other hand, Examples 1 and 2 showed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200 nm or less and also had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appearance, confirming that they can be used in a variety of solubilization and emulsification formulations. Meanwhil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l for Example 2 for 21 day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stable liposome with little change in both 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l ( Figure 1).
  • Example 1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4 Comparative Example 5 Hydrolyzed collagen content (%) 0.50 1.00 1.00 5.00 10.00 Particle size average (nm) 134.0 151.90 separation 307.4 559.2 transparency Transparency translucent separation Cloudiness Cloudiness
  • cryo-TEM Crystalogenic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cnai F20, FEI
  • FEI FEI
  • 5 ⁇ L of liposomes were loaded onto a 200 mesh carbon lacey film Cu-grid, and then liquefied using a vitrobot (approximately -170°C by immersing them in ethane to plunge freeze them.
  • the frozen samples created through this were observed under an acceleration voltage of 200 kV.
  • an acceleration voltage of 200 kV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liposome-specific bilayer and multilayer structures were formed, as shown in Figure 2.
  •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degree of skin adhesion was evaluated using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hich had the same collagen content of 0.5%.
  • the fluorescent reagent FITC Fluorescein-5-isothiocyanate
  •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To evaluate skin adhesion, each sample was applied on an artificial membrane (Strat-M, Merck), dried for 1 hour, and the concentration of collagen washed away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it was washed with 1 mL of purified water to confirm the residual amount remaining on the artificial membrane. At this time, the number of washings was fixed at 4 times, which showed a tendency for the adhesion rate to no longer decrease.
  • the concentration of remaining collagen was calculated through BCA assay quantification and visually confirmed using IVIS (In vivo optical imaging system).
  •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In order to check the degree of skin penetration using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the collagen content was increased by 1%, skin penetration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3D skin (Epi-200, Mattek). Specifically, 30 ⁇ L of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each containing collagen bound to the fluorescent reagent FITC, were added dropwise to 3D skin in which only the epidermal layer exists, and incubated at 37°C for 4 hours. Afterwards, the support on which the 3D skin was fixed was removed, and the separated 3D skin was placed in an OCT (Optimal Cutting Temperature) mold, stored at -80°C, and sectioned at a size of 20 ⁇ m using a frozen tissue slicer. The sectioned tissue was observed using a confocal scanning microscope (Confocal Laser Microscopy), and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observed image was quantified using the image J program.
  • OCT Optimal Cutting Temperature
  • Example 2 showed a higher fluorescence intensity than Comparative Example 2, confirming that skin penetration ability was improved when collagen was loaded into liposomes (FIG. 5).
  •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were added to the 3D skin (Epi-200, Mattek) used in Experimental Example 3 above. After application and washing for a period of time, it was cultured for 3 days and qRT-PCR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on various skin-related genes. As a control for the expression level of each gene,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 of the gene was compared based on GAPDH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which does not respond well to external conditions and is expressed evenly in most tissues.
  • GAPDH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 Example 2 The skin safety evaluation of Example 2 was performed. Specifically, the degree of irritation of Example 2 was evaluated as follows in 20 adult men and women without skin diseases. After applying 20 ⁇ l of the sample to the subject's forearm, the test area was sealed and applied for 24 hours. The reaction on the skin was examined 30 minutes and 24 hours after removal of the patch, respectively, based on the terminology presented in the CTFA guidelines. The average skin irritation index (PII) scores of the subjects obtained according to the judgment criteria were evaluated as mild irritation if less than 1, mild irritation if less than 2, moderate irritation if less than 3.5, and strong irritation if more than 3.5.
  • PII average skin irritation index
  • Example 3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3 above, it was evaluated as non-irritating in Example 2, confirming that it can be safely used in the produ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좀 및 화장료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은 인체에 대해 자극없이 안전하면서도 콜라겐 등 피부 활성물질을 담지하였을 때 수용액 대비 피부 부착성 및 흡수능이 증가되어 피부 활성물질의 효능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바, 이러한 리포좀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여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착능 강화를 통한 피부 흡수 및 효능 증강 리포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리포좀 및 화장료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표피, 진피 및 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신체 가장 외부의 막인 피부는 자외선, 근적외선, 공해 등 다양한 유해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산화적 스트레스에 취약하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피부에 주름이나 색소 침착과 같은 노화 현상을 유발시키는데, 그 중 피부 노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광노화(photoaging)로 인해 유도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이러한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킨다.
ROS는 반응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피부 내 존재하는 세포의 구성 성분인 지질, 단백질 및 DNA도 산화시키는데, 특히 ROS는 콜라겐 가수분해 효소인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을 촉진시켜 피부 내 콜라겐 섬유를 감소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피부 주름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피부 내 콜라겐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생성량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탄력있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콜라겐의 추가적인 보충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콜라겐(collagen)은 진피층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는 단백질로, 피부의 탄력 유지를 위한 필수 구성성분이다. 피부 노화 예방과 주름 개선 효과 등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콜라겐 관련 원료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콜라겐은 비교적 분자량이 크고 수용성이기 때문에 각질층 세포간지질(intercelluler lipid)과의 친화성이 낮아, 일반적인 유화나 가용화 제형으로는 높은 피부 흡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리포좀(liposome)은 대표적인 생친화성 피부전달체로, 수상 중심부에는 수용성 성분이, 인지질막에는 지용성 성분이 가용화되어 친수성과 소수성 물질 모두를 담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콜라겐을 비롯한 피부 활성물질로서, 피부 재생, 항노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피부 미백 활성 등을 갖는 물질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해 최적의 함량으로 구성된 리포좀을 개발하였고, 콜라겐이 담지된 리포좀 조성물의 피부 부착성 및 투과능, 피부 내 단백질 발현량의 변화 등을 평가함으로써 피부 활성물질의 흡수 증가에 따른 실질적인 효능의 발현 향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일 양상은 피부 부착성 및 흡수능이 향상된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인지질,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피부 부착성 및 흡수능이 향상된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상부 및 수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피부 활성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상부에 피부 활성물질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포좀 조성물은 방부제, pH 조절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안료, 염료, 향료, 안정화제 및 점증제 등의 첨가제와 정제수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상부는 피부 활성물질 외에 정제수 및 방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리포좀(liposome)'은 미세한 지질 막으로 둘러싸인 구형 또는 타원형의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질 이중층 또는 다중층의 베지클(vesicle) 형태를 갖는다. 상기 지질은 양쪽 친화성 지질로 구체적으로는 인지질일 수 있고, 상기 인지질은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딘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포스파티딜글리세롤, 카르디오리핀, 플라즈마로겐, 디세틸포스페이트,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세린, 엘레오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엘레오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엘레오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세린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시틴일 수 있다.
상기 '레시틴(lecithin)'은 스테아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및 올레익애씨드의 다이글리세라이드 혼합물로 자연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그 출처에 따라 지방산의 조성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레시틴의 수소화 제어(수소 첨가)를 통해 생성된 수첨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을 사용하였다.
상기 인지질은 리포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 0.3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 0.3 내지 3 중량부, 0.5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3 내지 1 중량부, 0.5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0.7 중량부, 0.3 내지 0.7 중량부, 0.5 내지 0.7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지질의 한 종류로 소수성 성질을 가진 스테로이드 계열의 유기물질을 의미하며, 이는 리포좀 구조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콜레스테롤을 포함하지 않는 리포좀의 경우 제조 직후 분리 현상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리포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 중량부, 0.25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25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0.7 중량부, 0.25 내지 0.7 중량부, 0.1 내지 0.5 중량부, 0.25 내지 0.5 중량부, 0.1 내지 0.25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세라마이드(ceramide)'는 스핑고지질(sphingolipid)의 한 종류로서 스핑고신(sphingosine)과 지방산으로 구성된 분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피부 각질층의 보호막을 만들고 피부 보습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리포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005 내지 0.1 중량부, 0.005 내지 0.05 중량부, 0.005 내지 0.03 중량부, 0.01 내지 0.1 중량부, 0.01 내지 0.05 중량부, 0.01 내지 0.0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폴리올'은 2개 이상의 수산화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로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을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올은 리포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5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3 내지 20 중량부, 3 내지 15 중량부, 3 내지 10 중량부, 5 내지 20 중량부, 5 내지 15 중량부, 5 내지 10 중량부, 7 내지 20 중량부, 7 내지 15 중량부, 7 내지 10 중량부, 10 내지 20 중량부, 10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및 폴리올은 인지질(레시틴)과 함께 리포좀 조성물의 지질부를 이루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첨 레시틴과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및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을 각 함량에 따라 70~80℃로 가온 용해시킨 후 콜라겐이 포함된 실온의 수상부에 첨가 및 교반하였고, 이후 이를 고압유화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활성물질'은 개체에 유용한 활성, 예를 들어 피부 재생, 항노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피부 미백 활성 등을 부여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활성물질은 콜라겐, 히알루론산,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비타민 C(ascorbic acid), 레티놀,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내 담지되는 피부 활성물질의 종류에 따라 이를 적용시킨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등의 구체적인 효능이 달라질 수 있으며, 담지되는 피부 활성물질의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콜라겐(collagen)'은 포유동물의 피부와 연골 등 체내의 모든 결합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섬유 단백질로, 구체적으로는 콜라겐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저분자화시킨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가수분해 콜라겐의 분자량은 약 500 내지 4000 Da일 수 있다.
상기 피부 활성물질은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10 중량부, 0.3 내지 10 중량부, 0.5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3 내지 10 중량부, 5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3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5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 0.3 내지 3 중량부, 0.5 내지 3 중량부, 1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3 내지 1 중량부, 0.5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0.7 중량부, 0.3 내지 0.7 중량부, 0.5 내지 0.7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피부 활성물질로서 리포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과량의 콜라겐이 포함되는 경우, 리포좀 조성물이 뿌옇게 보이는 연무(Haze) 현상이 나타나 가용화 및 유화 제형에 활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콜라겐은 리포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 0.3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5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 0.3 내지 3 중량부, 0.5 내지 3 중량부, 1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3 내지 1 중량부, 0.5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0.7 중량부, 0.3 내지 0.7 중량부, 0.5 내지 0.7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피부 부착성'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세척한 이후 피부에 남아있는 콜라겐 잔여량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리포좀 조성물에 담지되는 콜라겐의 피부 부착성이 우수할수록 피부에 흡수되는 정도 또한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공막(Strat-M, Merck) 위에 각각의 리포좀 조성물을 도포하여 정제수로 세척하는 횟수에 따라 인공막에 남아있는 콜라겐의 농도를 BCA assay 정량을 통해 계산하였으며, IVIS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피부 흡수능'은 '피부 투과량'과 혼용될 수 있으며, 이는 콜라겐 등 피부 활성물질이 피부에 흡수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피층만 존재하는 3D skin에 형광 시약 FITC와 결합시킨 콜라겐 함유 리포좀 조성물을 각각 처리하고, 공초점 주사 현미경을 이용하여 콜라겐의 투과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라겐의 피부 투과능이 향상된 만큼 피부 내에서 실제 발휘되는 효능 또한 향상되는지 평가한 결과, 콜라겐 합성 관련 유전자인 type 1 collagen, 각질세포 분화와 관련된 keratin 5, keratin 14, involucrin 및 각질층 수상 관련 유전자 aquaporin 모두 수용액 대비 콜라겐이 담지된 리포좀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더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도 6). 즉,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은 콜라겐의 피부 부착력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실제로 피부 내에서 콜라겐 합성이나 각질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른 양상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른 양상은 피부 재생, 항노화,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도 공히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피부 재생'은 피부의 노화 또는 피부에 유발된 손상 등에 대응하여 피부의 조직이 재구성되는 일련의 반응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이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증식 및 이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항노화'는 피부 세포 및 조직의 노화에 따른 기능 퇴행을 방지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피부 미백'은 피부를 하얗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멜라닌의 과도한 합성이나 멜라닌 침착으로 인한 기미, 주근깨를 포함한 다양한 색소 침착을 완화 또는 개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피부 주름 개선'은 피부 내 콜라겐 섬유의 감소 또는 콜라겐 생성량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주름을 감소시키거나 발생 속도를 늦추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탄력 증진'은 피부 내 콜라겐 흡수 또는 생성량 증가로 인해 피부의 탄력 및 복원력이 증가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현탁액, 겔, 분말, 페이스트, 마스크팩 또는 시트,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양상은 피부 재생, 항노화,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또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도 공히 적용된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등을 당업자가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은 인체에 대해 자극없이 안전하면서도 콜라겐 등 피부 활성물질을 담지하였을 때 수용액 대비 피부 부착성 및 흡수능이 증가되어 피부 활성물질의 효능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바, 이러한 리포좀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여 피부 노화의 예방 및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양상의 리포좀 조성물에 대해 21일 동안의 입도 및 제타 전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양상의 리포좀 입자의 구조를 Cryo-TEM을 통해 확인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인공막(Strat-M, Merck)을 이용한 피부 부착성 실험 결과로서, 세척 횟수에 따른 인공막에 남아있는 콜라겐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인공막(Strat-M, Merck)을 이용한 피부 부착성 실험 결과로서, 세척 횟수에 따른 인공막에 남아있는 콜라겐의 양을 IVIS 측정 이미지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양상의 리포좀 조성물 및 수용액에 대해, 공초점 주사 현미경을 통해 피부 투과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양상의 리포좀 조성물 및 수용액을 도포한 후 다양한 피부 관련 유전자에 대한 qRT-PCR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리포좀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단위: 중량%)을 갖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용액과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과 2를 제외한 나머지는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계량하고, A상(유상부)을 70~80℃로 가온 용해시킨 후 콜라겐이 포함된 실온의 B상(수상부)에 투입하면서 아지믹서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1차 교반 후, 1,000 bar, 3 cycle 조건으로 고압유화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2는 정제수에 콜라겐을 용해시킨 수용액이다.
성분 함량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실시예 2
A 수첨 레시틴 - - 0.50 0.50 0.50 0.50 0.50
콜레스테롤 - - - 0.25 0.25 0.25 0.25
세라마이드 - - 0.01 0.01 0.01 0.01 0.01
디프로필렌글라이콜 - - 10.00 10.00 10.00 10.00 10.00
B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가수분해 콜라겐 0.50 1.00 1.00 5.00 10.00 0.50 1.0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리포좀 입자의 물성 평가 및 안정도 확인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3 내지 5의 입자 크기 측정을 위해 동적광산란장치(Dynamic Light Scattering, SZ-100, HORIBA)를 이용하였다. 아래 표 2는 제조 직후의 입도 평균을 나타낸 것으로, 콜라겐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입도 평균 또한 증가하였다. 비교예 3의 경우 제조 직후 분리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통해 콜레스테롤이 리포좀의 안정도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콜라겐 함량이 5% 이상인 비교예 4와 5는 뿌옇게 보이는 연무(Haze)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과 2는 200 nm 이하의 입도 분포를 보이며 외관 또한 투명하거나 반투명하여 가용화 및 유화 제형에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실시예 2에 대해 21일 동안 입도 및 제타 전위를 측정한 결과, 입도와 제타 전위 모두 변화가 거의 없는 안정한 리포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가수분해 콜라겐함유량 (%) 0.50 1.00 1.00 5.00 10.00
입도 평균 (㎚) 134.0 151.90 분리 307.4 559.2
투명도 투명 반투명 분리 탁함 탁함
또한, 리포좀 입자의 구조 분석을 위해 cryo-TEM (Cryogenic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cnai F20, FEI)을 이용하였다. 먼저 리포좀 5 μL를 200 mesh carbon lacey film Cu-grid에 로딩한 뒤, vitrobot으로 액화된(약 -170℃ ethane에 담궈 plunge freeze 시켰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동결시료는 가속전압 200 kV 조건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리포좀 특유의 이중층 및 다중층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피부 부착성 평가
콜라겐 함량이 0.5%로 동일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사용하여 피부 부착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형광 시약 FITC(Fluorescein-5-isothiocyanate)를 콜라겐에 결합시키고 이를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적용하여 콜라겐 수용액과 콜라겐 리포좀을 각각 제조하였다. 피부 부착성 평가를 위해 인공막(Strat-M, Merck) 위에 각 샘플을 도포하고 1시간 건조 후, 정제수 1 mL로 씻어내는 횟수에 따라 씻겨져 나온 콜라겐의 농도를 계산하여 인공막에 남은 잔여량을 확인하였다. 이때 워싱 횟수는 부착률이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 경향을 보이는 4회까지로 고정하였다. 또한, 남아있는 콜라겐의 농도는 BCA assay 정량을 통해 계산하였으며, IVIS (In vivo optical imaging system)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도 확인하였다.
정제수로 4회까지 워싱 하였을 때 인공막, 즉 피부에 남아있다고 볼 수 있는 콜라겐 잔여량은 비교예 1이 49%, 실시예 1이 76%로, 수용액보다 리포좀에 담지하였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도 3). 또한, IVIS 측정 이미지로 확인한 결과, 붉은색에서 푸른 계열로 갈수록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실시예 1과 비교예 1 모두 워싱 횟수가 증가할수록 남아있는 콜라겐의 양이 줄어들지만 실시예 1은 비교예 1보다 남아있는 콜라겐 양이 훨씬 많음을 확인하였다(도 4).
실험예 3. 피부 투과량 평가
콜라겐 함량을 1% 높인 실시예 2와 비교예 2를 이용하여 피부 투과 정도를 확인하고자 3D skin (Epi-200, Mattek)을 이용하여 피부 투과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표피층만 존재하는 3D skin에 형광 시약 FITC와 결합시킨 콜라겐이 함유된 실시예 2와 비교예 2를 각각 30 μL 적하하고, 4시간 동안 37℃에서 incubation 시켰다. 그 후 3D skin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를 제거하고 분리된 3D skin을 OCT (Optimal Cutting Temperature) 몰드에 넣고 - 80℃에서 보관한 후 냉동 조직 절편기를 이용하여 20 μm 크기로 절편하였다. 절편된 조직은 공초점 주사 현미경(Confocal Laser Microscopy)으로 관찰하였으며, 관찰한 이미지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투과량을 정량 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2보다 실시예 2가 더 높은 fluorescence intensity를 보여 콜라겐을 리포좀에 담지하였을 때 피부 투과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실험예 4. 피부 유전자 발현량 비교 평가
콜라겐의 피부 투과능이 향상된 만큼 피부 내에서 실제 발휘되는 효능 또한 향상되는지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3에서 사용한 3D skin (Epi-200, Mattek)에 실시예 2와 비교예 2를 각 30 μL씩 4시간 동안 도포하고 워싱 후, 3일 동안 배양하여 다양한 피부 관련 유전자에 대한 qRT-PCR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진행하였다. 각 유전자 발현량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외부 조건에 잘 반응하지 않고 대부분의 조직에서 고르게 발현되는 GAPDH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를 기준으로 하여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콜라겐 합성 관련 유전자인 type 1 collagen, 각질세포 분화와 관련된 keratin 5, keratin 14, involucrin 및 각질층 수상 관련 유전자 aquaporin 모두 실시예 2를 처리하였을 때 더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도 6).
실험예 5. 피부 안전성 평가
상기 실시예 2의 피부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의 자극 정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팔 전박에 20 ㎕의 시료를 도포한 후, 시험 부위를 밀폐하고 24시간 동안 첩포하였다. 첩포 제거 후 각각 30분과 24시간 후에 피부에서의 반응을 CTFA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용어(terminology)에 의거하여 검사하였다. 판정기준에 의해 얻어진 피험자들의 피부자극지수(PII) 점수를 평균하여 1 미만이면 저자극, 2 미만이면 경자극, 3.5 미만이면 중자극, 3.5 이상이면 강자극으로 평가하였다.
실험항목 실시예 2
피부자극지수(PII) 무자극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무자극으로 평가되어 제품에 안전하게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인지질,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피부 부착성 및 피부 활성물질 흡수능이 향상된 리포좀 조성물로서,
    상기 유상부 및 수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피부 활성물질이 포함된 것인, 리포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에 피부 활성물질이 포함된 것인, 리포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레시틴인 것인, 리포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리포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활성물질은 콜라겐, 히알루론산,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비타민 C(ascorbic acid), 레티놀,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인 것인, 리포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은 가수분해 콜라겐인 것인, 리포좀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은 리포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리포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다중층 구조를 형성하는 것인, 리포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좀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CT/KR2023/005231 2022-07-13 2023-04-18 부착능 강화를 통한 피부 흡수 및 효능 증강 리포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401466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04A KR20240009259A (ko) 2022-07-13 2022-07-13 부착능 강화를 통한 피부 흡수 및 효능 증강 리포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2-0086504 2022-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664A1 true WO2024014664A1 (ko) 2024-01-18

Family

ID=8953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5231 WO2024014664A1 (ko) 2022-07-13 2023-04-18 부착능 강화를 통한 피부 흡수 및 효능 증강 리포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9259A (ko)
WO (1) WO2024014664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458B1 (ko) * 2004-08-06 2004-12-13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다중층 리포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26778A (ko) * 2003-09-09 2005-03-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세포간 지질 성분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54846B1 (ko) * 2004-12-02 2006-12-06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리포좀과 수중유상 에멀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345B1 (ko) * 2006-09-22 2008-04-17 한국콜마 주식회사 코엔자임 큐텐을 포함하는 나노크기의 리포좀 에멀젼을 담지한 실리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49020B1 (ko) * 2007-04-02 2008-07-29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6618A (ko) * 2007-06-04 2008-12-0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다중층 리포좀 및 단일막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다중-유화 베시클
KR20110078955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Mqc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5153B1 (ko) * 2008-10-15 2011-08-08 (주)더페이스샵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 안정화한 나노리포좀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778A (ko) * 2003-09-09 2005-03-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세포간 지질 성분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1458B1 (ko) * 2004-08-06 2004-12-13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다중층 리포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54846B1 (ko) * 2004-12-02 2006-12-06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리포좀과 수중유상 에멀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345B1 (ko) * 2006-09-22 2008-04-17 한국콜마 주식회사 코엔자임 큐텐을 포함하는 나노크기의 리포좀 에멀젼을 담지한 실리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49020B1 (ko) * 2007-04-02 2008-07-29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6618A (ko) * 2007-06-04 2008-12-0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다중층 리포좀 및 단일막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다중-유화 베시클
KR101055153B1 (ko) * 2008-10-15 2011-08-08 (주)더페이스샵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 안정화한 나노리포좀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8955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Mqc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259A (ko) 202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9166B2 (ja) 皮膚、粘膜、毛髪及び/又は爪の処置及び/又はケアのためのエキソ多糖
EP3848014A1 (en) Water-soluble fullerene topical composition
KR101537834B1 (ko) 미생물 매트로부터 유래된 엑소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674961B2 (ja) 皮膚の表層と深層との同時治療のための保護、滋養、引き締めの組成物と皮膚の保護、滋養、引き締め方法
US5614215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the surface and deep layers of the skin, its use
JP3652270B2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と組合せてアスコルビン酸を含有する組成物
WO2011122840A2 (ko)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891241A (zh) 一种靶向线粒体皮肤抗衰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1060797A1 (ko)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다중층 양이온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81192A (ko)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863230B2 (ja) オキサゾリジン−2−オン化合物をカプセル化するリポソーム
CN111228136A (zh) 抗衰老去皱复合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Allaw et al. From plants to phospholipid vesicles: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incorporation of phytochemicals into phospholipid vesicles designed for skin applications with special focus on scalability and in vitro and in vivo efficacy
KR101440383B1 (ko)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내포하는 오스모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4014664A1 (ko) 부착능 강화를 통한 피부 흡수 및 효능 증강 리포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9139214A1 (ko)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231927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vernix and an uv protectant and their use
KR102321532B1 (ko) 피부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08120B1 (ko)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873370A (ja) カプセル入りの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用もしくは皮膚科用組成物
KR20090028275A (ko) 에센셜 오일 조합을 주성분으로 하는피부 노화방지와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57274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1454A (ko) 인체골수줄기세포배양액이 포함된 폐쇄이중층의 지질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1309B1 (ko) 알부틴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6818927B2 (ja) 抗皮膚老化外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397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