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34703A1 - 신규의 d-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의 d-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34703A1
WO2023234703A1 PCT/KR2023/007448 KR2023007448W WO2023234703A1 WO 2023234703 A1 WO2023234703 A1 WO 2023234703A1 KR 2023007448 W KR2023007448 W KR 2023007448W WO 2023234703 A1 WO2023234703 A1 WO 20232347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ye
compound
corneal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ccepta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74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장희
김민서
주현미
김봉철
김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네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네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네릭스
Publication of WO20232347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347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104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acidic
    • C07K5/06113Asp- or Asn-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104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acidic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ovel D-amino aci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peptide derivative containing a specific D-amino acid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s.
  • Dry eye syndrome is one of the most common ophthalmic diseases and is a condition of dry eyes. Dry eye occurs when the eyes do not produce enough tears or the tear film is unstable and tears evaporate too quickly. Dry eyes ar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contact lens use, meibomian gland dysfunction, etc. Artificial tears are usually used to improve dry eye syndrome, and as a drug, cyclosporine-containing preparations (eg, Restasis ® ) are used to treat dry eye syndrome.
  • cyclosporine-containing preparations eg, Restasis ®
  • Ocular inflammation includes inflammation occurring in the eye, such as conjunctivitis, keratitis, keratoconjunctivitis, uveitis, scleritis, etc.
  • Eye inflammation is known to be caused by various causes. For example, dry eye is known to cause keratoconjunctivitis, etc., and cyclosporine-containing preparations (e.g., Restasis ® ) are also used for the treatment of ocular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keratoconjunctivitis.
  • Various treatments are used for eye inflammation depending on the symptoms and cause. For example, antibiotics are used to treat bacterial keratitis/conjunctivitis, antihistamines are used to treat allergic keratitis/conjunctivitis, and steroids are used to treat uveitis.
  • Conjunctival and/or corneal injuries refer to damages or injuries to the conjunctiva and/or cornea due to various causes, including heat, chemical burns, etc. This damage causes corneal ulcers (or ulcerative keratitis). As described above, various treatments are used for ocular inflammation resulting from conjunctival and/or corneal damage depending on the symptoms and causes. However, there is a need to develop drugs that have satisfactory improvement or therapeutic activity against conjunctival/corneal damage and corneal ulcers themselves.
  • Ocular diseases such as dry eye, ocular inflammation (e.g., keratitis, conjunctivitis, keratoconjunctivitis, uveitis, scleritis, etc.), conjunctival/corneal damage, and corneal ulcers require long-term treatment and have a high recurrence rate. Therefore, there is a need in the art to develop new drugs that can maintain ocular homeostasis with new mechanisms of action, such as effective stabilization of the tear film, inhibition of inflammation in the cornea and conjunctiva, and promotion of ocular wound recovery.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to develop peptide derivatives that can improve or treat ocular diseases including dry eye syndrome, ocular inflammation, conjunctival and/or corneal damage, etc.
  • 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various studies by selecting D-amino acid-containing peptide derivatives that showed excell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ests using cell lines.
  • peptide derivatives containing specific D-amino acids showed excellent improvement activity in dry eye syndrome and corneal damage models.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ptide derivative containing the specific D-amino acid.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s, including a peptide derivative containing the specific D-amino acid.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therapeutic use (for use in therapy) of a peptide derivative containing the specific D-amino acid.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the use of a peptide derivative containing the specific D-amino acid for use in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cular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ocular disease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peptide derivative containing the specific D-amino acid.
  • X may be -NH 2 .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cular diseases comprising th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 cosmetic composition or cosmetic additive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cular diseases containing the abov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provided.
  •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ocular disease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the subject.
  • the eye disease includes dry eye disease; eye inflammation; Conjunctival damage; Corneal damage; and corneal ulcers.
  • the eye disease may be dry eye.
  • the eye disease may be ophthalmitis.
  • the eye disease includes conjunctival damage; Corneal damage; Or it could be a corneal ulcer.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ye drop formulation.
  • the eye drops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or suspension.
  •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the peptide derivative containing the D-amino acid (i.e.,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exhibits excell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lso shows excellent improvement activity in dry eye syndrome and corneal damage models. revealed by Accordingly, th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an be used to treat various ophthalmic diseases, such as dry eye disease; eye inflammation; Conjunctival damage; Corneal damage; It can be usefully applied in the preven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corneal ulcers, etc.
  • various ophthalmic diseases such as dry eye disease; eye inflammation; Conjunctival damage; Corneal damage; It can be usefully applied in the preven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corneal ulcers, etc.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btained by evaluating the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a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 (TNF- ⁇ ).
  • Figure 1b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 (IL-1 ⁇ ).
  • 'Compound 1' represents the compound of Formula 1a prepared in Example 1
  • 'Compound 2' represents the acetate salt of the compound of Formula 1b prepared in Example 2. represents.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ear volume after instilling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eyes of a mouse causing dry eye syndrome.
  • *** significant difference of p ⁇ 0.001 for G1, ###/##/#: significant difference of p ⁇ 0.001/p ⁇ 0.01/p ⁇ 0.05 for G2, $$$/$$: Significant difference of p ⁇ 0.001/p ⁇ 0.01 for G3.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orneal fluorescent pigment staining score after instilling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eyes of a mouse inducing dry eye syndrome. **/*: significant difference of p ⁇ 0.01/p ⁇ 0.05 for G1, ###/##: significant difference of p ⁇ 0.001/p ⁇ 0.01 for G2, $$$/$$: G3 Significant difference of p ⁇ 0.001/p ⁇ 0.01.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vel of inflammation through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fter instilling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eyes of mice inducing dry eye syndrome.
  •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orneal fluorescent pigment staining score after instilling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eye of a rat that had caused corneal damage. **: significant difference of p ⁇ 0.01 for G1, ###/##/#: significant difference of p ⁇ 0.001/p ⁇ 0.01/p ⁇ 0.05 for G2, $$$/$$: G3 Significant difference of p ⁇ 0.001/p ⁇ 0.01.
  • 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vel of corneal stromal cells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the anterior chamber of the eye through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s after instilling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eye of a rat that caused corneal damage. **: significant difference of p ⁇ 0.01 for G1, ##: significant difference of p ⁇ 0.01 for G2, $$$/$$/$: p ⁇ 0.001/p ⁇ 0.01/p ⁇ for G3 Significant difference of 0.05.
  • Figure 7 shows the results of 1 H NMR analysis of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liquid peptide synthesis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pecific D-amino acid-containing peptide derivatives, that is, compounds of formula (1) below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in the form of a D-amino acid-containing peptide. That is, in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X may be -OH and may have the structure of Formula 1a below.
  •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preferably be in the form of a D-amino acid-containing peptide derivative. That is, in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X may preferably be -NH 2 and may have the structure of Formula 1b below.
  •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 the salts include the usual acid addition salts, for example, salts derived from inorganic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perchloric acid, bromic acid, and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oxalic acid, succinic acid, benzoic acid, citric acid, maleic acid, malonic acid, malic acid.
  • the salt includes salts of sulfonic acids such as methanesulfonic acid, ethane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and toluenesulfonic acid.
  •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various methods.
  •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mino protecting group [e.g. Boc(tert-butoxycarbonyl)] and a carboxylic acid protecting group [e.g. Bzl (benzyl)] using D-amino acids [e.g., D-aspartic acid (dASP), D-asparagine (dASN)], using solid-phase peptide synthesis or liquid-phase peptide synthesis (solution-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phase peptide synthesis.
  • an amino protecting group e.g. Boc(tert-butoxycarbonyl)
  • a carboxylic acid protecting group e.g. Bzl (benzyl)
  • D-amino acids e.g., D-aspartic acid (dASP), D-asparagine (dASN)
  • dASP D-aspartic acid
  •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exhibits excell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lso shows excellent improvement activity in dry eye and corneal damage models, making it useful in the preven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various ocular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cular diseases, which contains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herapeutic use of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therapeutic use is for use in a method of preventing or treating an eye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ocular disease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o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 the term “subject” refers to any mammalian subject to whom a compound described here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composition thereof is administered.
  • Non-limiting examples include humans, livestock (e.g. dogs, cats, etc.), farm animals (e.g. cattle, sheep, pigs, horses, etc.), and laboratory animals (e.g. monkeys, rats, etc.) in need of diagnosis, treatment or treatment. , mice, rabbits, guinea pigs, etc.), especially humans.
  •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are applicable to both huma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nd veterinary applications.
  • the phrase “subject in need” includes subjects such as mammalian subjects who would benefit from administration of a compound described here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composition thereof.
  • the term “eye disease” means a disease or condition affecting or relating to the eye or a part or area of the eye.
  • the eye disease may be a disease that causes dryness of the eye.
  • the eye disease may be a disease occurring in the cornea or conjunctiva.
  • the eye disease may be a disease caused by damage to the cornea or conjunctiva.
  • the eye disease may be a disease caused by defect or necrosis of the cornea or conjunctiva.
  • the eye disease may be a disease caused by inflammation of the eye.
  • the eye disease includes dry eye; eye inflammation; Conjunctival damage; Corneal damage; and corneal ulcers.
  • the eye disease may be dry eye.
  • the ocular disease may be an ophthalmic inflammation, for exampl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njunctivitis, keratitis (including neurotrophic keratitis), keratoconjunctivitis, uveitis, and scleritis.
  • the ocular condition includes conjunctival damage; Corneal damage; Or it could be a corneal ulcer.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into various dosage forms using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s or carrier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rmulation of an eye drop formulation, eye ointment, or spray, and the eye drop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or suspension.
  • eye drops in the form of a solution include, in addition to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salt thereof, a solubilizing agent such as polyethylene glycol 400, glycerin, etc. in sterile water; Stabilizers such as EDTA; Buffering agents such as boric acid; It may contain a pH adjuster such as hydrochloric acid or sodium hydroxide.
  • a solubilizing agent such as polyethylene glycol 400, glycerin, etc. in sterile water
  • Stabilizers such as EDTA
  • Buffering agents such as boric acid
  • It may contain a pH adjuster such as hydrochloric acid or sodium hydroxide.
  • eye drops in the form of a suspension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salt thereof, a viscosity modifier such as 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e.g., povidone K-25) in sterilized water; Isotonic agents such as sodium chloride and the like; Stabilizers such as EDTA; Buffering agents such as boric acid, Borax, etc.; It may contain a pH adjuster such as hydrochloric acid or sodium hydroxide.
  • a viscosity modifier such as 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e.g., povidone K-25) in sterilized water
  • Isotonic agents such as sodium chloride and the like
  • Stabilizers such as EDTA
  • Buffering agents such as boric acid, Borax, etc.
  • It may contain a pH adjuster such as hydrochloric acid or sodium hydroxid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the eye drop formulation may be steriliz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r may contain auxiliaries such as preservatives, hydrating agents, emulsifiers, solubilizers, salts for adjusting osmotic pressure, and/or buffering agents.
  • auxiliaries such as preservatives, hydrating agents, emulsifiers, solubilizers, salts for adjusting osmotic pressure, and/or buffering agents.
  •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 ophthalmic diseases, for example, in the form of eye drops having a concentration of about 0.01% to about 10%, 1 to 12 drops per eye per day. It can be administered in 6 divided doses. Of course, the dos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patient's age, gender, sensitivity, symptoms, or disease severity.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cular diseases containing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provided as a cosmetic additive.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in a mist or spray formulation.
  • the cosmetic additive may be included in eye cosmetic products such as eyebrow pencil, eye liner, eye shadow, mascara, or eye makeup remover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improving the eye disease.
  • FMOC solid phase was prepared using an automated synthesizer (PeptrEx-R48, Peptron, Daejeon, Korea) using D-aspartic acid (dASP) and D-asparagine (dASN) with Boc as the amino protecting group and Bzl as the carboxylic acid protecting group.
  • the compound of Formula 1a was prepared according to peptide synthesis (solid-phase peptide synthesis). The Fmoc protecting group was removed by reacting twice for 10 minutes in 20% piperidine in dimethylformamide.
  • Fmoc amino acid (6 equivalents), hydroxybenzotriazole (HOBt) (6 equivalents), Hexafluorophosphate Benzotriazole Tetramethyl Uronium (HBTU) (6 equivalents), N, N -Coupling was performed using N,N-Diisopropylethylamine (DIPEA) (12 equivalents).
  • DIPEA N,N-Diisopropylethylamine
  • the resin was washed twice using dimethylformamide and methanol.
  • the synthesized crude peptide was dissolved in trifluoroacetic acid (TFA)/1,2-ethanedithiol (EDT)/thioanisole/triisopropyl silane (TIS)/distilled water (DW) (90/2.5/2.5/2.5/2.5).
  • Acetate of the compound of formula 1b according to solution-phase peptide synthesis using D-aspartic acid (dASP) and D-asparagine (dASN) with Boc as amino protecting group and Bzl as carboxylic acid protecting group. was prepared as follows.
  •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was added to a solution of compound 4 (28.5 g, 122 mmol, 1.00 eq. ) in acetone (500 mL).
  • )carbodiimide, EDCI) 25.8 g, 135 mmol, 1.10 eq.
  • hydroxybenzotriazole (HOBt) (16.5 g, 122 mmol, 1.00 eq.
  • NMM N-methylmorpholine
  • Test Example 1 In vitro anti-inflammatory test
  • LPS Lipopolysaccharide
  • RAW 264.7 Lipopolysaccharide-treated macrophages
  • TNF- ⁇ , IL-1 ⁇ inflammatory cytokines
  • 1X10 macrophages (RAW 264.7) were placed in each well of a 96-well plate, along with 0.1 mL of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containing 10% FBS (Gibco)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It was busy. After culturing for 1 day in an incubator at 5% CO 2 and 37°C, when the confluency of the cells reached 80% or more, LPS (100 ng/ml) and test substances were added at 1 ⁇ M and 10 ⁇ M, respectively.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 M and incubated for 24 hours.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only LPS (100 ng/ml) and incubated for 24 hours.
  • DMEM Dynabecco's Modified Eagle medium
  • FBS Gibco
  • penicillin/streptomycin penicillin/streptomycin
  • RAW 264.7 5 ⁇ 10 6 macrophages (RAW 264.7) were dispensed into each well of a 6-well plate along with 0.1 mL of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containing 10% FBS (Gibco)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After culturing for 1 day in an incubator at 5% CO 2 and 37°C, when the confluency of the cells reached 80% or more, LPS (100 ng/ml) and test substances were added at 1 ⁇ M each.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10 ⁇ M and incubated for 30 minutes.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only LPS (100 ng/ml) and incubated for 30 minutes. Cells were lysed using NP40 cell lysis buffer, quantified using Bradford assay, and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was measured through Western blotting. The result is as shown in Figure 1b.
  • DMEM Dynabecco's Modified Eagle medium
  • FBS Gibco
  • the control group had increased secretion and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TNF- ⁇ and IL-1 ⁇ ) upon LPS treatment.
  • the secretion and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TNF- ⁇ and IL-1 ⁇ ) were suppres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test group treated with the test substance. Therefore, the compound of Formula 1a and the compound of Formula 1b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excell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can be usefully used to improve ocular inflammation such as conjunctivitis, keratitis, keratoconjunctivitis, uveitis, and scleritis. .
  • Test Example 2 Activity evaluation in dry eye model
  • Dry eye syndrome was induced in specific pathogen-free (SPF) mice, C57BL/6NHsd (male, 7 weeks old) [Coaretech Co., Ltd., Korea]. Specifically, during the dry eye syndrome induction period (Day -10 to Day 0), scopolamine hydrobromide was dissolved in physiological saline (PBS) at a dose of 0.5 mg/0.2 mL, 4 times a day, for 10 days. It was injected subcutaneously into the back skin of the mouse. The tear volume of mice induced with dry eye syndrome was measured, and the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G2 to G6 according to Table 1 below so that the average tear volume of each group was evenly distributed. Group G1 is a normal control group that did not cause dry eye syndrome.
  • PBS physiological saline
  • Example 2 From the day of dry eye syndrome (Day 0), the compound prepared in Example 2 (i.e., acetate of the compound of formula 1b, hereinafter 'compound 1b') as a test material was added to physiological saline (PBS) at 0.1% and 1%. It was dissolved in a concentration of 2 ⁇ L/eye and instilled in the center of the right eye cornea of G4 and G5 mice three times a day for 10 days.
  • the G2 group is a control group that induced dry eye syndrome.
  •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PBS) was instilled into the center of the cornea of the right eye of a mouse that induced dry eye syndrome.
  • the G6 group (positiv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Restasis ® eye drops (0.05%, containing cyclosporine) to the center of the cornea of the right eye of mice induced with dry eye syndrome. Eye drops were applied.
  • G1 Normal control
  • G2 Induced control
  • G6 Positive control
  • the amount of tears was measured using the phenol red thread test (PRT test). Specifically, on the 5th and 10th day after the start of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a phenol red thread was placed in the lateral canthus for 20 seconds and the amount of tears (mm) was measured.
  • PRT test phenol red thread test
  • the animal After measuring tear volume, the animal was anesthetized on the 5th and 10th day after the start of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and 1 ⁇ L of 1% sodium fluorescein was injected into the lower conjunctival sac on the cornea of the animal's right eye. After instillation, the degree of corneal fluorescent pigment penetration into 5 corneal zones (superior, nasal, central, inferior, temporal) is assessed by National Eye Institute (NEI) grading using cobalt blue light. The system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NAI National Eye Institute
  • the eyes were removed and fixed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solution.
  • the fixed tissue goes through the process of trimming, dehydration, paraffin embedding, and thin-sectioning to prepare a specimen for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then is treat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 Hematoxylin & Eosin (H&E) staining was performed,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the cornea, conjunctiva, and anterior chamber was evaluated using a light microscope (Olympus BX53, Japan). Inflammation of the cornea and conjunctiva was evaluat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and the scoring criteria were as follows: Score: 0 (normal), 1 (mild), 2 (moderate), 3 (severe).
  • the tear volume levels of G5 and G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G3 (p ⁇ 0.01), and on the 10th day after the start of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the tear volume levels of G4, G5, and G6 were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3 (p ⁇ 0.001).
  •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orneal fluorescent pigment staining score are shown in Figure 3. From the 5th to the 10th day after the start of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the corneal fluorochrome staining score levels of G2, G3, G4, G5, and G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1 (p ⁇ 0.01 or p ⁇ 0.05). The corneal fluorochrome staining score levels of G4, G5, and G6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2 (p ⁇ 0.001 or p ⁇ 0.01), and the corneal fluorochrome staining score levels of G4, G5, and G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3. was low (p ⁇ 0.001 or p ⁇ 0.01).
  •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s are shown in Figure 4.
  • the level of inflammation in G2 and G3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G1 (p ⁇ 0.01), and the level of inflammation and fibrosis in G4, G5, and G6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G2 and G3 (p ⁇ 0.001 or p ⁇ 0.05). .
  • test substance was evaluated on the C57BL/6NHsd mouse model in which dry eye syndrome was induced (G1: normal control group, G2: induced control group, G3: PBS administration group, G4: test substance 0.1% administration group, G5: test substance 1% administration group, G6: positive control group).
  • the tear volume levels of the 0.1%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1%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group from the 5th to the 10th day after the start of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were statistically lower than those of the induced control group.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tear volume level of the 1% test substance administered group was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BS administered group.
  • the level of the corneal fluorescent pigment staining score in the 0.1%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1%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induction control group and the PBS administration group. observed at low levels.
  • Test Example 3 Activity evaluation in corneal damage model
  • Corneal damage was induced in Sprague Dawley rats (male, 7 weeks old), specific pathogen-free (SPF) rats (Coaretech Co., Ltd., Korea). Specifically, after anesthetizing the rat, a filter paper soaked with 2 ⁇ L of 0.1 M NaOH solution wa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cornea of the right eye for about 10 seconds, and then washed with physiological saline. The body weight of the rats with induced corneal damage was measured and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G2 to G6 according to Table 2 below so that the average body weight of each group was evenly distributed. The G1 group is a normal control group that did not cause corneal damage.
  • Example 2 From the day of corneal damage (Day 0), the compound prepared in Example 2 as a test material (i.e., acetate of the compound of formula 1b, hereinafter 'compound 1b') was added to physiological saline (PBS) at 0.1% and 1%. It was dissolved to a certain concentration and administered to G4 and G5 mice three times a day at 10 ⁇ L/eye for 7 days.
  • the G2 group is an induced control group that induced corneal damage.
  • physiological saline (PBS) was instilled in rats that caused corneal damage.
  • the G6 group (positive control group) administered Restasis ® eye drops (0.05%, containing cyclosporine) to rats that had induced corneal damage. Eye drops were applied.
  • G1 Normal control
  • G2 Induced control
  • G6 Positive control
  • the animal was anesthetized, and 1 ⁇ L of 1% sodium fluorescein was injected into the lower conjunctival sac of the animal's right eye. After instillation into the conjunctival sac, the extent of corneal fluorescent pigment penetration into 5 corneal zones (superior, nasal, central, inferior, temporal) was measured using cobalt blue light at the National Eye Institute. (NEI) grading system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the eyes were removed and fixed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solution.
  • the fixed tissue goes through the processes of trimming, dehydration, paraffin embedding, and thin-sectioning to prepare a specimen for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then is treat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 Hematoxylin & Eosin (H&E) staining was performed,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the cornea, conjunctiva, and anterior chamber was evaluated using a light microscope (Olympus BX53, Japan).
  •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 the corneal stroma and the anterior chamber of the eye were evaluated, and the scoring criteria are as follows: Score: 0 (normal) ), 1 (mild), 2 (moderate), 3 (severe).
  • the corneal fluorescent pigment staining scor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Figure 5. From 6 hours to 5 days after the start of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the corneal fluorochrome staining score levels of all corneal damage groups (G2-G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control group (G1) (p ⁇ 0.01). On the 6th day after the start of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the corneal fluorochrome staining score levels of the challenge control group (G2) and the PBS administration group (G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1 (p ⁇ 0.01).
  • the corneal fluorescent pigment staining score levels of the 0.1%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group (G4), the 1%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group (G5),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G6)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2. It was low (p ⁇ 0.001, p ⁇ 0.01 or p ⁇ 0.05), and the corneal fluorochrome staining score levels of G4, G5 and G6 from the 3rd to 6th day after the start of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3 (p ⁇ 0.001 or p ⁇ 0.01).
  •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s are shown in Figure 6.
  • the level of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the corneal stromal cells and anterior chamber of the eye in G2 and G3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G1 (p ⁇ 0.01 or p ⁇ 0.05), and the inflammation in the corneal stromal cells and anterior chamber of the eye in G4, G5, and G6
  • the level of cell inva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G2 and G3 (p ⁇ 0.001, p ⁇ 0.01 or p ⁇ 0.01).
  • test substance was evaluated on the Sprague-Dawley rat model in which corneal damage was induced (G1: normal control group, G2: induced control group, G3: PBS administration group, G4: test substance 0.1% administration group, G5: test substance 1% administration group, G6: positive control group).
  • the corneal fluorescent pigment staining score level of the 0.1%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1%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group was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induced control group during all test periods except for the first day after the start of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 the corneal fluorescent pigment staining score levels of the 0.1%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1%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group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PBS administration group.
  • the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scores of the corneal stroma and anterior chamber of the test substance in the 0.1% test substanc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test substance 1% administration group were obser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induced control group and the PBS administration group.
  • the histopathological test results were observed to be similar to the corneal fluorochrome staining score results.
  • repeated eye drops of the test substance in the Sprague-Dawley rat model in which corneal damage is induced can be usefully applied to conjunctival damage, corneal damage, or corneal ulcers.
  • repeated eye drop administration of the test substance can be useful in improving ocular inflammation (e.g., conjunctivitis, keratitis, keratoconjunctivitis, neurotrophic keratitis, etc.) caused by the above dise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의 특정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유도체는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고, 또한 안구건조증 및 각막 손상 모델에서 우수한 개선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안과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의 D-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신규의 D-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신규의 특정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구건조증(dry eye syndrome. DES)은 대표적인 안과 질환(ophthalmic diseases) 중 하나로서, 건성 안(dry eye)의 상태이다. 안구건조증은 눈이 충분한 눈물을 생성하지 못하거나 눈물막이 불안정하여 눈물이 너무 빨리 증발할 때 발생한다. 안구건조증은 콘택트 렌즈 사용, 마이봄샘 기능 장애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안구건조증의 개선을 위해서는 통상 인공 눈물을 사용하며, 약물로서는 사이클로스포린-함유 제제(예를 들어, 레스타시스®)가 안구건조증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안염증(ocular inflammation)은 안구에 발생하는 염증, 예를 들어 결막염(conjunctivitis), 각막염(keratitis), 각결막염(keratoconjunctivitis), 포도막염(uveitis), 공막염(scleritis) 등을 포함한다. 안염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안구건조증은 각결막염(keratoconjunctivitis) 등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이클로스포린-함유 제제(예를 들어, 레스타시스®)가 각결막염(keratoconjunctivitis)과 관련된 안염증의 치료를 위해 또한 사용되고 있다. 안염증은 증상 및 이의 원인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균성 각막염/결막염 치료를 위해서는 항생제가 사용되며, 알레르기성 각막염/결막염의 치료를 위해서는 항히스타민제가 사용되고, 포도막염의 치료를 위해서는 스테로이드 제제가 사용된다.
결막 및/또는 각막 손상(conjunctival and/or corneal injuries)은 열, 화학물질 화상(chemical burns) 등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결막 및/또는 각막의 손상(damages or injuries)을 말한다. 이러한 손상은 각막 궤양(corneal ulcer 혹은 ulcerative keratitis)을 야기한다. 결막 및/또는 각막 손상에 따른 안염증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의 증상 및 이의 원인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결막/각막 손상 및 각막 궤양 자체에 대한 만족스러운 개선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약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안구건조증, 안염증(예를 들어, 각막염, 결막염, 각결막염, 포도막염, 공막염 등), 결막/각막 손상, 각막 궤양 등의 안과 질환은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고 재발율이 높다. 따라서, 안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새로운 작용기전, 예를 들면 효과적인 눈물막의 안정화, 각막과 결막의 염증 억제 및 안구 상처 회복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의 개발이 당업계에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안구건조증, 안염증, 결막 및/또는 각막 손상 등을 포함한 안과 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세포주를 이용한 시험에서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D-아미노산-함유 펩타이드 유도체를 선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특정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가 안구건조증 및 각막 손상 모델에서 우수한 개선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특정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정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안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정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의 치료적 용도(for use in therapy)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특정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안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에 상기 특정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01
식 중, X는 -OH 또는 -NH2 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X는 -NH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안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 첨가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적 용도(for use in therapy)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안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안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에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은 안구건조증; 안염증; 결막 손상; 각막 손상; 및 각막 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질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안구건조증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안염증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결막 손상; 각막 손상; 또는 각막 궤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점안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안제는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즉,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고, 또한 안구건조증 및 각막 손상 모델에서 우수한 개선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다양한 안과 질환, 예를 들어 안구건조증; 안염증; 결막 손상; 각막 손상; 각막 궤양 등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시험관내(in vitro)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다. 도 1a는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의 발현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b는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의 발현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서 '화합물 1(Compound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나타내고, '화합물 2(Compound 2)'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화학식 1b의 화합물의 아세트산염을 나타낸다.
도 2는 안구건조증을 유발시킨 마우스의 눈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점적한 후, 눈물량(tear volume)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 G1에 대하여 p<0.001의 유의성있는 차이, ###/##/#: G2에 대하여 p<0.001/p<0.01/p<0.05의 유의성있는 차이, $$$/$$: G3에 대하여 p<0.001/p<0.01의 유의성있는 차이.
도 3은 안구건조증을 유발시킨 마우스의 눈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점적한 후,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 G1에 대하여 p<0.01/p<0.05의 유의성있는 차이, ###/##: G2에 대하여 p<0.001/p<0.01의 유의성있는 차이, $$$/$$: G3에 대하여 p<0.001/p<0.01의 유의성있는 차이.
도 4는 안구건조증을 유발시킨 마우스의 눈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점적한 후,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하여 염증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각막 손상을 유발시킨 랫트의 눈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점적한 후,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 G1에 대하여 p<0.01의 유의성있는 차이, ###/##/#: G2에 대하여 p<0.001/p<0.01/p<0.05의 유의성있는 차이, $$$/$$: G3에 대하여 p<0.001/p<0.01의 유의성있는 차이.
도 6은 각막 손상을 유발시킨 랫트의 눈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점적한 후,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를 통하여 각막 실질세포 및 안구 앞방의 염증세포 침윤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 G1에 대하여 p<0.01의 유의성있는 차이, ##: G2에 대하여 p<0.01의 유의성있는 차이, $$$/$$/$: G3에 대하여 p<0.001/p<0.01/p<0.05의 유의성있는 차이.
도 7은 액상 펩타이드 합성법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1H 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특정 D-아미노산-함유 펩타이드 유도체, 즉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02
식 중, X는 -OH 또는 -NH2 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D-아미노산-함유 펩타이드 형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있어서, X는 -OH 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1a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03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바람직하게는 D-아미노산-함유 펩타이드 유도체의 형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X는 -NH2 일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1b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b>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04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염은 통상의 산부가염,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 브롬산과 같은 무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 및 개미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숙신산, 벤조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말론산, 말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락트산, 게스티스산, 푸마르산, 락토비온산, 살리실산, 프탈산, 엠본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세틸살리실산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염은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과 같은 설폰산류의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아미노 보호기[예를 들어, Boc(tert-부톡시카르보닐)] 및 카르복실산 보호기[예를 들어, Bzl(벤질)]를 갖는 D-아미노산[예를 들어, D-아스파르트산(dASP), D-아스파라긴(dASN)]을 사용하여,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phase peptide synthesis) 또는 액상 펩타이드 합성법(solution-phase peptide synthesis)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고, 또한 안구건조증 및 각막 손상 모델에서 우수한 개선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안과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적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치료적 용도는 안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안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에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나 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대상"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나 조성물이 투여되는 임의의 포유류 대상을 지칭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진단, 처치 또는 치료가 필요한 인간, 가축(예를 들어 개, 고양이 등), 농장 동물(예를 들어 소, 양, 돼지, 말 등) 및 실험실 동물(예를 들어 원숭이, 래트, 마우스, 토끼, 기니피그 등), 특히 인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은 인간의 예방 또는 치료 및 수의학적 용도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문구 "필요로 하는 대상"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나 조성물의 투여 이익이 있을 포유류 대상과 같은 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안과 질환"은 눈 또는 눈의 일부분 또는 한 영역에 영향을 주거나 관련된 질환 또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안구의 건조를 원인으로 하는 질환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각막 또는 결막에 발생하는 질환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각막 또는 결막의 손상을 원인으로 하는 질환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각막 또는 결막의 결손 또는 괴사를 원인으로 하는 질환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안구의 염증을 원인으로 하는 질환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안구건조증; 안염증; 결막 손상; 각막 손상; 및 각막 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질환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안구건조증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안염증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결막염, 각막염(신경영양성 각막염을 포함), 각결막염, 포도막염, 및 공막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안과 질환은 결막 손상; 각막 손상; 또는 각막 궤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또는 담체를 사용하여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점안제(eye drop formulation), 안연고, 스프레이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점안제는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형태의 점안제는 멸균수 중에,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에 추가하여, 폴리에틸렌글라이콜 400, 글리세린 등과 같은 용해보조제; EDTA 등과 같은 안정화제; 붕산 등과 같은 완충제;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등의 pH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는 멸균수 중에,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에 추가하여, 가교화된 폴리비닐피롤리돈(예를 들어, 포비돈 K-25) 등과 같은 점도조절제; 염화나트륨 등과 같은 등장화제; EDTA 등과 같은 안정화제; 붕산, Borax 등과 같은 완충제;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등의 pH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점안제 제형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멸균되거나, 방부제, 수화제(hydrating agent), 유화제, 가용화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안과 질환 환자에게 예를 들어, 약 0.01 % 내지 약 10 %의 농도를 갖는 점안제의 제형으로, 각 안구당 1 내지 12 방울을 하루에 1 내지 6회 분할해서 투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감수성, 증상 또는 질환의 정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안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화장품 첨가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스트 또는 스프레이 제형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화장품 첨가제는 아이브로 펜슬, 아이 라이너, 아이 섀도, 마스카라, 또는 아이 메이크업 리무버와 같은 눈 화장료 제품에 상기 안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의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학식 1a의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1a>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05
아미노 보호기로서 Boc 및 카르복실산 보호기로서 Bzl을 갖는 D-아스파르트산(dASP) 및 D-아스파라긴(dASN)을 사용하여, 자동화합성기(PeptrEx-R48, 펩트론사, 대전,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FMOC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phase peptide synthesis)에 따라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moc 보호기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20% 피페리딘에서 10분간 2회 반응시켜 제거하고. Fmoc 아미노산(6 당량),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hydroxybenzotriazole, HOBt)(6 당량),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벤조트리아졸 테트라메틸 우로니움(Hexafluorophosphate Benzotriazole Tetramethyl Uronium, HBTU)(6 당량),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N,N-Diisopropylethylamine, DIPEA)(12 당량)을 사용하여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각 단계에서 수지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2회 세척하였다. 합성된 조 펩타이드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1,2-에탄디티올(EDT)/티오아니솔/트리이소프로필 실란(TIS)/증류수(DW)(90/2.5/2.5/2.5/2.5 Volume)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켜 수지 및 아미노산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혼합 용액에 에테르를 넣어 원심분리하여 펩타이드를 회수하였다. 조 펩타이드를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C18 역상 컬럼을 사용하여 역상 HPLC로 정제하였다. 물-아세톤 선형 구배(Water-Acetonitrile linear gradient)(아세토니트릴 농도: 0~50 %(v/v))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정제된 분획물을 동결건조한 다음, 0.5% 아세트산이 포함된 물에 다시 녹인 후, 재동결건조하였다. 정제된 펩타이드의 분자량은 LC/MS (Shimadzu LC/MS-2020 series, Japan)를 사용하여 확인하였고, 동결건조는 FDT-12012 (Operon, Korea)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화학식 1b의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1b>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06
아미노 보호기로서 Boc 및 카르복실산 보호기로서 Bzl을 갖는 D-아스파르트산(dASP) 및 D-아스파라긴(dASN)을 사용하여, 액상 펩타이드 합성법(solution-phase peptide synthesis)에 따라 화학식 1b의 화합물의 아세트산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단계 1: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07
테트라히드로퓨란(500 mL) 중의 화합물 1(50.0 g, 154 mmol, 1.00 eq.)의 용액에,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Boc)2O)(43.8 g, 201 mmol, 46.1 mL, 1.30 eq.) 및 피리딘(Py)(12.2 g, 154 mmol, 12.4 mL, 1.00 eq.) 및 NH4HCO3(18.3 g, 231 mmol, 19.1 mL, 1.50 eq.)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3)는 화합물 1(Rf = 0.52)이 완전히 소모되었고 하나의 새로운 반점(Rf = 0.45)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H2O(500 mL)로 희석하고, 진공 여과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20℃에서 0.5시간 동안 H2O(300 mL)로 처리한(triturated) 다음, 여과하여 백색 고체를 얻었고, 이를 20℃에서 0.5시간 동안 석유 에테르(100 mL)로 처리하였다. 화합물 2(47.0 g, 143 mmol, 92.6% 수율, 98.3% 순도)를 백색 고체로 얻었으며, 이를 1H NMR 및 LCMS (Rt = 1.08 min, MS cal.: 322.1, MS observed: [M+H]+ = 323.0)로 확인하였다. 1H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37 - 7.31 (m, 5H), 7.25 (s, 1H), 7.09 - 7.01 (m, 2H), 5.12 - 5.05 (m, 2H), 4.32 - 4.27 (m, 1H), 2.79 - 2.74 (m, 1H), 2.61 - 2.57 (m, 1H), 1.37 (s, 9H)
단계 2: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08
에틸 아세테이트(EtOAc)(100 mL) 중의 화합물 2(47.0 g, 143 mmol, 98.3% 순도, 1.00 eq.)의 용액에 HCl/EtOAc(4 M, 196 mL, 5.49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3)는 화합물 2(Rf = 0.45)가 완전히 소모되었고 하나의 새로운 반점(Rf = 0.18)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잔류물을 얻었고, 이를 0.5시간 동안 20℃에서 EtOAc(100 mL)로 처리하였다. 화합물 3(37.0 g, 141 mmol, 98.4% 수율, 98.7% 순도, HCl 염)을 백색 고체로 얻었으며, 이를 1H NMR, LCMS (Rt = 0.14 min, MS cal.: 222.1, MS observed: [M+H]+ = 223.1), 및 HPLC (Rt = 1.63 min, 98.7% 순도)로 확인하였다. 1H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400 MHz, D2O) δ 7.41 (s, 5H), 5.20 (s, 2H), 4.37 -4.34 (m, 1H), 3.16 - 3.03 (m, 2H)
단계 3: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09
아세톤(500 mL) 중의 화합물 4(28.5 g, 122 mmol, 1.00 eq.))의 용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EDCI)(25.8 g, 135 mmol, 1.10 eq.),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hydroxybenzotriazole, HOBt)(16.5 g, 122 mmol, 1.00 eq.), 및 화합물 3(36.9 g, 141 mmol, 98.7% 순도, 1.15 eq, HCl 염)을 20℃에서 첨가한 다음, N-메틸몰포린(N-methylmorpholine, NMM)(37.2 g, 368 mmol, 40.4 mL, 3.00 eq.)을 20℃에서 적가하였다. 2시간 후, 고체가 침전되었다. 얻어진 혼합물을 20℃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디클로로메탄:메탄올 = 7:1)는 화합물 3(Rf = 0.24)이 완전히 소모되었고 4개의 새로운 반점(Rf = 0.11, 0.35, 0.41, 0.90)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H2O(1000 mL)로 희석하고, 여과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20℃에서 0.5시간 동안 H2O(400 mL*3)로 처리하고, 여과하여 백색 고체를 얻고, 이를 20℃에서 0.5시간 동안 석유 에테르(300 mL)로 처리하였다. 화합물 5(40.6 g, 92.0 mmol, 74.9% 수율, 98.9% 순도)를 백색 고체로 얻었으며, 이를 1H NMR, LCMS (Rt = 0.47 min, MS cal.: 436.2, MS observed: [M+H]+ = 437.0) 및 HPLC (Rt = 1.77 min, 98.9% 순도)로 확인하였다. 1H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9 (d, J = 8.4 Hz, 1H), 7.39 - 7.29 (m, 7H), 7.21 (s, 1H), 5.07 (s, 2H), 4.60 - 4.55 (m, 1H), 4.19 - 4.14 (m, 1H), 2.87 -2.81 (m, 1H), 2.68 - 2.62 (m, 1H), 2.55 - 2.53 (m, 1H), 2.42 - 2.36 (m, 1H), 1.36 (s, 9H)
단계 4: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10
HCl/디옥산(0.50 M, 552 mL, 3.00 eq.) 중의 화합물 5(40.6 g, 92.0 mmol, 98.9% 순도, 1.00 eq.)의 혼합물을 2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디클로로메탄:메탄올 = 7:1)는 화합물 5(Rf = 0.57)가 완전히 소모되었고 하나의 새로운 반점(Rf = 0.07)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메틸 tert-부틸 에테르(methyl tert-butyl ether, MTBE)(500 mL)로 희석한 다음, 고체를 침전시키고, 진공 여과하여 백색 고체를 얻었다. 화합물 6(35.4 g, 조생성물, HCl 염)을 백색 고체로 얻었으며, 이를 1H NMR 및 LCMS (Rt = 0.12 min, MS cal.: 336.1, MS observed: [M+H]+ = 337.1)로 확인하였다. 1H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32 - 7.25 (m, 5H), 5.04 (s, 2H), 4.59 - 4.55 (m, 1H), 4.04 -4.01 (t, J = 6.8 Hz, 1H), 2.80 -2.70 (m, 4H)
단계 5: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11
디메틸포름아미드(100 mL) 중의 화합물 7(21.0 g, 39.4 mmol, 98.2% 순도, 1.00 eq) 및 화합물 6(14.6 g, 39.4 mmol, 1.00 eq., HCl 염)의 용액에 N-메틸몰포린(N-methylmorpholine, NMM)(11.9 g, 118 mmol, 13.0 mL, 3.00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화합물 7이 완전히 소모되었으며 원하는 질량을 갖는 하나의 주요 피크(Rt = 0.34 min, MS cal.: 675.2, MS observed: [M+H]+ = 676.1)가 검출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반응 혼합물을 H2O(50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150 mL)로 희석한 다음, 고체를 침전시키고,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여과하여 황색 고체를 얻고, 이를 H2O(150 mL * 3)로 20℃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화합물 8(22.0 g, 조생성물)을 황색 고체로 얻었으며, 이를 LCMS(Rt = 0.58 min, MS cal.: 675.2, MS observed: [M+H]+ = 676.3)로 확인하였다.
단계 6: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12
메탄올(350 mL) 및 아세트산(350 mL) 중의 화합물 8(24.0 g, 35.5 mmol, 1.00 eq.)의 용액에 Pd/C (10.0% 순도, 4.80 g)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탈기하고 수소로 3회 퍼징하였다. 혼합물을 수소(50 Psi) 하에서 25℃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화합물 8이 완전히 소모되었으며 원하는 질량을 갖는 하나의 주요 피크(Rt = 0.07 min, MS cal.: 361.1, MS observed: [M+H]+ = 362.1)가 검출되었음을 나타내었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H2O(50.0 mL * 2)로 세척한 다음, 합한 여액을 농축 건조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20℃에서 0.6시간 동안 에탄올(50.0 mL)로 처리하고, 진공 여과하여 황색 고체를 얻고, 이를 20℃에서 0.6시간 동안 메탄올(30.0 mL)로 처리하였다. 생성물(10.0g, 조생성물)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으며, 이를 LCMS(Rt = 0.10 min, MS cal.: 361.1, MS observed: [M+H]+ = 361.9)로 확인하였다. 조 생성물을 prep-HPLC(0.5% HOAc)로 정제하여 생성물(5.00 g, 11.5 mmol, 97.4% 순도, HOAc 염)을 백색 고체로 얻었으며, 이를 Special LCMS(Rt = 2.87 min, MS cal.: 361.1, MS observed: [M+H]+ = 362.1) 및 1H NMR로 확인하였다. 1H NMR 분석 결과(도 7)는 다음과 같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69 (s, 1H), 8.32 (d, J = 8.4 Hz, 1H), 7.47 (s, 1H), 7.21 (s, 1H), 7.13 (s, 1H), 6.97 (s, 1H), 4.48 (s, 1H), 4.41 (dt, J 1 = 5.2 Hz, J 2 = 8.0 Hz, 1H), 3.81 (dd, J 1 = 5.2 Hz, J 2 =8.0 Hz, 1H), 2.69 - 2.52 (m, 4H), 2.46-2.37 (m, 2H)
시험예 1: 시험관 내(in vitro) 항염증 시험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를 처리한 대식세포(RAW 264.7)에 시험물질로서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각각 처리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생산량의 변화를 각각 ELISA와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을 통해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X104 개의 대식세포(RAW 264.7)를, 10% FBS (Gibco) 및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 0.1 mL와 함께, 분주하였다. 5% CO2, 37℃ 배양기내에서 1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의 콘플루언시(confluency)가 80% 이상이 되었을 때, LPS(100 ng/ml) 및 시험물질을 각각 1 μM, 10 μM 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대조군은 LPS(100 ng/ml) 만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각 시험군의 상등액을 ELISA 분석을 위한 시료로 준비하였다. ELISA 분석 키트(ELISA MAX Standard Set Human TNF-α; BioLegend, #430201)를 사용하여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450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TNF-α 생산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1a와 같다.
또한, 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X106 개의 대식세포(RAW 264.7)를, 10% FBS (Gibco) 및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 0.1 mL와 함께, 분주하였다 5% CO2, 37℃ 배양기내에서 1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의 콘플루언시(confluency)가 80% 이상이 되었을 때, LPS(100 ng/ml) 및 시험물질을 각각 1 μM, 10 μM 의 농도로 처리하고,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대조군은 LPS(100 ng/ml) 만을 처리하고,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NP40 cell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하여, 브래드포드 분석(Bradford assay)을 이용하여 정량한 후, 웨스턴 블롯팅을 통하여 IL-1β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b와 같다.
도 1a 및 도 1b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은 LPS 처리에 따라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및 IL-1β)의 분비 및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에 반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한 시험군은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및 IL-1β)의 분비 및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화학식 1a의 화합물 및 화학식 1b의 화합물은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예를 들어 결막염, 각막염, 각결막염, 포도막염, 공막염 등의 안염증의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시험예 2: 안구건조증 모델에서의 활성 평가
1. 시험방법
(1) 시험물질의 투여
특정병원체 부재(SPF) 마우스인 C57BL/6NHsd (수컷, 7주령)[(주)코아텍, 한국]에 안구건조증을 유발시켰다. 구체적으로, 안구건조증 유발기간(Day -10 ∼ Day 0) 동안, 스코폴라민 브롬산염(Scopolamine hydrobromide)을 생리식염수(PBS)에 용해시켜 0.5 mg/0.2 mL의 용량으로, 1일 4회, 10일 동안 마우스의 등 피부에 피하주사하였다. 안구건조증이 유발된 마우스의 눈물량을 측정하고, 각 군의 평균 눈물량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기 표 1에 따라 G2 내지 G6의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G1 그룹은 안구건조증을 유발시키지 않은 정상대조군이다.
안구건조증 유발일(Day 0)로부터, 시험물질로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화합물(즉, 화학식 1b의 화합물의 아세트산염, 이하 '화합물 1b')을 생리식염수(PBS)에 0.1% 및 1%의 농도로 용해시켜 2 μL/eye로 1일 3회, 10일 동안 G4 및 G5의 마우스의 우안 각막 중앙에 각각 점안하였다. G2 그룹은 안구건조증을 유발시킨 유발대조군이다. G3 그룹은 안구건조증을 유발시킨 마우스의 우안 각막 중앙에 생리식염수(PBS)를 점안하였다. G6 그룹(양성 대조군)은 안구건조증을 유발시킨 마우스의 우안 각막 중앙에 레스타시스® 점안액(0.05%, 사이클로스포린 함유)을 점안하였다.
성별 동물수
(마리)
동물번호 안구건조증
유발
시험물질 투여농도 도포량
(μL/eye)
G1 수컷 5 1-5 No - - -
G2 수컷 7 6-12 Yes - - -
G3 수컷 7 13-19 Yes PBS - 2
G4 수컷 7 20-26 Yes 화합물 1b 0.1 % 2
G5 수컷 7 27-33 Yes 화합물 1b 1 % 2
G6 수컷 7 34-40 Yes 레스타시스® 0.05 % 2
G1: 정상대조군, G2: 유발대조군, G6: 양성대조군
(2) 눈물량 및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측정
눈물량은 페놀레드 검사(Phenol red thread test, PRT test)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5 및 10 일째에 안구에 페놀 레드 실(phenol red thread)을 20초간 외안각(lateral canthus)에 위치시키고 눈물량(mm)을 측정하였다.
눈물량 측정 후,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5 및 10 일째에 동물을 마취하고, 동물의 우측 안구의 각막에 대하여 1% 소듐 플루오레신(sodium fluorescein) 1 μL를 하부 결막낭(lower conjunctival sac)에 점안한 뒤, 코발트 블루 광(cobalt blue light)을 이용하여 5개의 각막 부위(5 corneal zones: superior, nasal, central, inferior, temporal)에 각형광색소가 침투된 정도를 National Eye Institute (NEI) grading system의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Score: 0∼3 (0: normal, 1: mild, 2: moderate, 3: severe)
- Total score: 15
(3) 부검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
부검일(Day 10)에 동물을 안락사시킨 뒤, 안구를 결막이 포함되도록 적출하여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용액에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삭정(trimming), 탈수(dehydration), 파라핀 포매(paraffin embedding), 및 박절(thin-sectioning)의 과정을 거쳐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위한 검체를 제작한 뒤,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matoxylin & Eosin, H&E) 염색을 실시하고, 광학 현미경(Olympus BX53, Japan)을 이용하여 각막 및 결막 및 전안방의 염증세포 침윤을 평가하였다. 공지의 방법에 따라, 각막 및 결막의 염증(Inflammation)을 평가하였으며, 점수 기준은 다음과 같다: Score: 0 (normal), 1 (mild), 2 (moderate), 3 (severe).
(4) 통계학적 분석
통계학적 분석은 Prism 7.04 (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 USA)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2. 시험결과
(1) 눈물량 측정
눈물량 측정 결과는 도 2와 같다.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5일째 및 10일째에 유발 대조군(G2), PBS 투여군(G3), 시험물질 0.1% 투여군(G4), 시험물질 1% 투여군(G5) 및 양성대조군(G6)의 눈물량 수준은 정상대조군(G1)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G4, G5 및 G6의 눈물량 수준은 G2 대비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p<0.01 또는 p<0.05).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5일째에 G5 및 G6의 눈물량 수준은 G3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10일째에 G4, G5 및 G6의 눈물량 수준은 G3 대비 유의하게 높았다(p<0.001).
(2)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측정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측정 결과는 도 3과 같다.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5일째부터 10일째까지 G2, G3, G4, G5 및 G6의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수준은 G1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또는 p<0.05). G4, G5 및 G6의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수준은 G2 대비 유의하게 낮았으며(p<0.001 또는 p<0.01), G4, G5 및 G6의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수준은 G3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또는 p<0.01).
(3) 조직병리학적 검사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는 도 4와 같다. G2 및 G3의 염증 수준은 G1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G4, G5 및 G6의 염증 및 섬유화 수준은 G2 및 G3 대비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또는 p<0.05).
3. 고찰
안구건조증이 유도된 C57BL/6NHsd 마우스 모델에 대하여 시험물질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G1: 정상대조군, G2: 유발 대조군, G3: PBS 투여군, G4: 시험물질 0.1% 투여군, G5: 시험물질 1% 투여군, G6: 양성대조군).
페놀 레드 실(phenol red thread)을 이용하여 눈물량을 측정한 결과,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5일째부터 10일째까지 시험물질 0.1% 투여군 및 시험물질 1% 투여군의 눈물량 수준은 유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시험물질 1% 투여군의 눈물량 수준은 PBS 투여군 대비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측정 결과,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5일째부터 10일째까지 시험물질 0.1% 투여군 및 시험물질 1% 투여군의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수준은 유발 대조군 및 PBS 투여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시험물질 0.1% 투여군 및 시험물질 1% 투여군에서 각막 및 결막에서 염증(Inflammation)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안구건조증이 유도된 C57BL/6 mouse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시험물질의 반복 점안 투여는 안구건조증 및 안염증의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시험예 3: 각막 손상 모델에서의 활성 평가
1. 시험방법
(1) 시험물질의 투여
특정병원체 부재(SPF) 랫트인 스프라그 도울리(Sprague Dawley) 랫트(수컷, 7주령)[(주)코아텍, 한국]에 각막 손상을 유발시켰다. 구체적으로, 랫트를 마취한 다음, 우측 안구의 각막 정중부위에 2 μL의 0.1 M NaOH 용액을 적신 거름종이를 약 10초간 적용한 다음,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였다. 각막 손상이 유발된 랫트의 체중을 측정하고, 각 군의 평균 체중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기 표 2에 따라 G2 내지 G6의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G1 그룹은 각막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은 정상대조군이다.
각막 손상 유발일(Day 0)로부터, 시험물질로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화합물(즉, 화학식 1b의 화합물의 아세트산염, 이하 '화합물 1b')을 생리식염수(PBS)에 0.1% 및 1%의 농도로 용해시켜 10 μL/eye로 1일 3회, 7일 동안 G4 및 G5의 마우스에 각각 점안하였다. G2 그룹은 각막 손상을 유발시킨 유발대조군이다. G3 그룹은 각막 손상을 유발시킨 랫트에 생리식염수(PBS)를 점안하였다. G6 그룹(양성 대조군)은 각막 손상을 유발시킨 랫트에 레스타시스® 점안액(0.05%, 사이클로스포린 함유)을 점안하였다.
성별 동물수
(마리)
동물번호 각막 손상
유발
시험물질 투여농도 도포량
(μL/eye)
G1 수컷 5 1-5 No - - -
G2 수컷 7 6-12 Yes - - -
G3 수컷 7 13-19 Yes PBS - 10
G4 수컷 7 20-26 Yes 화합물 1b 0.1 % 10
G5 수컷 7 27-33 Yes 화합물 1b 1 % 10
G6 수컷 7 34-40 Yes 레스타시스® 0.05 % 10
G1: 정상대조군, G2: 유발대조군, G6: 양성대조군
(2)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측정
각막 손상 유발 후 6 시간째, 1, 2, 3, 5 및 7 일째에 동물을 마취하고, 동물의 우측 안구의 각막에 대하여 1% 소듐 플루오레신(sodium fluorescein) 1 μL를 하부 결막낭(lower conjunctival sac)에 점안한 뒤, 코발트 블루 광(cobalt blue light)을 이용하여 5개의 각막 부위(5 corneal zones: superior, nasal, central, inferior, temporal)에 각형광색소가 침투된 정도를 National Eye Institute (NEI) grading system의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Score: 0∼3 (0: normal, 1: mild, 2: moderate, 3: severe)
- Total score: 15
(3) 부검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
부검일(Day 7)에 동물을 안락사시킨 뒤, 안구를 결막이 포함되도록 적출하여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용액에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삭정(trimming), 탈수(dehydration), 파라핀 포매(paraffin embedding), 및 박절(thin-sectioning)의 과정을 거쳐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위한 검체를 제작한 뒤,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matoxylin & Eosin, H&E) 염색을 실시하고, 광학 현미경(Olympus BX53, Japan)을 이용하여 각막 및 결막 및 전안방의 염증세포 침윤을 평가하였다. 공지의 방법에 따라, 각막 실질(stroma)에서 염증세포의 침윤(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및 안구 앞방(anterior chamber)에서 염증세포의 침윤을 평가하였으며, 점수 기준은 다음과 같다: Score: 0 (normal), 1 (mild), 2 (moderate), 3 (severe).
(4) 통계학적 분석
통계학적 분석은 Prism 7.04 (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 USA)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2. 시험결과
(1)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측정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측정 결과는 도 5와 같다.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6 시간째부터 5일째까지 모든 각막 손상 그룹(G2-G6)의 각막 형광색소 염색 점수 수준은 정상대조군(G1)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6일째에 유발 대조군(G2) 및 PBS 투여군(G3)의 각막 형광색소 염색 점수 수준은 G1 대비 유의하게 높았다(p<0.01).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6시간째 및 2일째부터 6일째까지 시험물질 0.1 % 투여군 (G4), 시험물질 1 % 투여군 (G5) 및 양성 대조군(G6)의 각막 형광색소 염색 점수 수준은 G2 대비 유의하게 낮았으며 (p<0.001, p<0.01 또는 p<0.05),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3일째부터 6일째까지 G4, G5 및 G6의 각막 형광색소 염색 점수 수준은 G3 대비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또는 p<0.01).
(2) 조직병리학적 검사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는 도 6과 같다. G2 및 G3의 각막 실질세포 및 안구 앞방의 염증세포 침윤 수준은 G1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또는 p<0.05), G4, G5 및 G6의 각막 실질세포 및 안구 앞방의 염증세포 침윤 수준은 G2 및 G3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p<0.01 또는 p<0.01).
3. 고찰
각막 손상이 유도된 스프라그-도울리 랫트 모델에 대하여 시험물질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G1: 정상대조군, G2: 유발 대조군, G3: PBS 투여군, G4: 시험물질 0.1% 투여군, G5: 시험물질 1% 투여군, G6: 양성대조군).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측정 결과,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1일째를 제외하고 모든 시험기간 동안 시험물질 0.1% 투여군 및 시험물질 1% 투여군의 각막 형광색소 염색 점수 수준은 유발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관찰되었으며,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3일째부터 시험 종료일까지 시험물질 0.1% 투여군 및 시험물질 1% 투여군의 각막 형광색소 염색 점수 수준은 PBS 투여군 대비 유의하게 낮게 관찰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시험물질 0.1% 투여군 및 시험물질 1% 투여군의 각막 실질 및 안구 앞방의 염증세포 침윤(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점수는 유발 대조군 및 PBS 투여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는 각막 형광색소 염색점수 결과와 유사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각막 손상이 유도된 스프라그-도울리 랫트 모델에서 시험물질의 반복 점안 투여는 결막 손상, 각막 손상, 또는 각막 궤양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시험물질의 반복 점안 투여는 상기 질환에 따른 안염증(예를 들어, 결막염, 각막염, 각결막염, 신경영양성 각막염 등)의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07448-appb-img-000013
    식 중, X는 -OH 또는 -NH2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가 -NH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이 안구건조증; 안염증; 결막 손상; 각막 손상; 및 각막 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이 안구건조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이 안염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이 결막 손상; 각막 손상; 또는 각막 궤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점안제, 안연고 또는 스프레이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안제가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적 용도.
  12. 안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
  13.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안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PCT/KR2023/007448 2022-05-31 2023-05-31 신규의 d-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323470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477A KR102662922B1 (ko) 2022-05-31 2022-05-31 신규의 d-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22-0066477 2022-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703A1 true WO2023234703A1 (ko) 2023-12-07

Family

ID=8902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7448 WO2023234703A1 (ko) 2022-05-31 2023-05-31 신규의 d-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2922B1 (ko)
WO (1) WO202323470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6508A1 (en) * 2006-11-10 2009-06-18 Cara Therapeutics, Inc. Synthetic peptide amides and dimeric forms thereof
US8470784B2 (en) * 2009-08-24 2013-06-25 Stealth Peptides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ophthalmic conditions
WO2018071216A1 (en) * 2016-10-11 2018-04-19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genetic eye diseases
WO2020198074A1 (en) * 2019-03-22 2020-10-01 Reflexion Pharmaceuticals, Inc. D-peptidic compounds for vegf
KR20210087539A (ko) * 2018-11-14 2021-07-12 주식회사 유유제약 눈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펩타이드 및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6508A1 (en) * 2006-11-10 2009-06-18 Cara Therapeutics, Inc. Synthetic peptide amides and dimeric forms thereof
US8470784B2 (en) * 2009-08-24 2013-06-25 Stealth Peptides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ophthalmic conditions
WO2018071216A1 (en) * 2016-10-11 2018-04-19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genetic eye diseases
KR20210087539A (ko) * 2018-11-14 2021-07-12 주식회사 유유제약 눈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펩타이드 및 약학적 조성물
WO2020198074A1 (en) * 2019-03-22 2020-10-01 Reflexion Pharmaceuticals, Inc. D-peptidic compounds for veg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465A (ko) 2023-12-07
KR102662922B1 (ko)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1337B1 (en) Beta-turn peptidomimetic cyclic compounds for treating dry eye
WO2016105086A1 (ko) 안질환 치료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16137162A1 (ko) 청력 손상 방어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8155997A1 (ko) 에리스로포이에틴 유래 펩티드의 세포손상방지에 효과를 통한 활용
US7232881B2 (en) Peptide containing Ser-Ser-Ser-Arg
US7691807B2 (en) Hybrid oligomers, their preparation proces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WO2020197016A1 (ko) P s e u d i n -2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3234703A1 (ko) 신규의 d-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9059479A1 (ko) 레바미피드를 함유하는 새로운 안구건조증 치료용 점안 조성물 및 이의 가용화 및 안정화 방법
WO2017119756A1 (ko) 주름개선, 노화방지, 미백, 항염증 기능성 신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0138674A1 (ko) 근육 이완용 조성물
WO2023090686A1 (en) Pentapeptide and use thereof
WO2022050634A1 (ko)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WO2022131820A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항염증 펩타이드
WO2021085906A1 (ko) 미토콘드리아 표적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노화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WO2019004674A1 (ko) 아세틸콜린수용체 결합 펩타이드
WO2021242021A1 (ko)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 작용제 함유 제어방출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11198A1 (ko) 신규 염증해소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WO2023113300A1 (ko) 신규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치료용 조성물
WO2020222315A1 (ko) 피부 또는 세포 투과능이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31860A1 (ko) 보툴리눔 독소의 액상 제제를 장기 보관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US6211145B1 (en) Bicyclic depsipeptides
EP0934952A2 (en) Peptides containing an N-substituted glycine residue
WO2019132351A1 (ko) 피부 염증 억제용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39229A1 (ko) 보툴리눔 독소 안정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보툴리눔 독소 제제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펩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163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