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50634A1 -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0634A1
WO2022050634A1 PCT/KR2021/011446 KR2021011446W WO2022050634A1 WO 2022050634 A1 WO2022050634 A1 WO 2022050634A1 KR 2021011446 W KR2021011446 W KR 2021011446W WO 2022050634 A1 WO2022050634 A1 WO 20220506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ptide
compound
dimethylformamide
fmoc
tb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14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진호
김은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EP21864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09500A4/en
Priority to US18/024,819 priority patent/US20230365643A1/en
Priority to JP2023514969A priority patent/JP2023541136A/ja
Priority to CN202180073850.2A priority patent/CN116457365A/zh
Publication of WO20220506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06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7Tetra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5759Products of obesity genes, e.g. leptin, obese (OB), tub, fa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02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1005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101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2 to 4 carbon atoms, e.g. Val, Ile, Leu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ptide and a cosmetic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Skin aging is often caused by external and internal processe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skin wrinkles, sagging and sagging. Because external aging is mainly caused by repeated exposure to ultraviolet (UV) rays, it is generally referred to as 'photoaging'. . Naturally aged skin is smooth, pale, and finely wrinkled, but photoaging skin has thick skin wrinkles and causes pigmentation and telangiectasia.
  • UV ultraviolet
  • Subcutaneous f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energy homeostasis by secreting hormones and adipokines that control the metabolism of other tissues.
  • the fat content of human subcutaneous adipose tissue is decreased by ultraviolet rays, which are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use various diseases such as photoaging, inflammation, immune suppression, and cancer, and adiponectin, a fat-derived product, is decreased in aged skin, and MMP-1 It is known to induce an increase in and a decrease in collagen.
  • Sensitive skin refers to skin that reacts more sensitively than normal skin to external irritants, allergens, environmental changes, or internal causes of the human body, causing irritation reactions or dermatitis. There is also an example of treating sensitive skin by treating lactic acid or DMSO, which is known to cause dermatitis.
  • Metabolic disease refers to a syndrome in which risk factors such as obesity, diabetes, high blood pressure, arteriosclerosis,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appear together due to excessive nutrient accumulation in the body and lack of exercise. was officially named metabolic syndrome or insulin resistance syndrome through the Adult Treatment Program III establish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of the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 adiponectin is a type of adipokine, a protein hormone specifically secreted from adipocytes, and regulates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hyperglycemia, hyperinsulinemia, obesity, and arteriosclerosis by enhancing the function of insulin and suppressing insulin resist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 adiponectin has a function of inhibiting cancer cell metastasis and inflammatory response.
  • Adiponectin not only proliferates keratinocytes but also promotes the expression of filaggrin, hyaluronic acid and extracellular matrix in the skin, thereby performing wound healing, fibrosis inhibition, skin wrinkle improvement, and moisturizing.
  • Adiponectin is composed of 244 amino acids and consists of a signal sequence, a collagen-like domain located at the N-terminal and a C1q-like globular domain located at the C-terminus.
  • a hexamer and a 400 kDa polymer complex are major oligomers, and the polymer complex is known to have higher activity than the low molecular complex (LMW complex).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ptide having excellent solubility and stabilit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ptid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improving sensitive skin, improving dermatitis, or promoting hair growth, including the peptid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improving dermatitis, or promoting hair growth, including the peptid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the peptide.
  • a 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 2 and having an amino group at the C-terminus.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ptide of any one of 1 to 5 above.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improving dermatiti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the peptide of any one of 1 to 5 above.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the peptide of any one of 1 to 5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ptide and a cosmetic composition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has excellent solubility and stability, so it is advantageous for formulation when manufacturing a cosmetic or drug containing the same, thereby improving skin wrinkles, sensitive skin and dermatitis, promoting hair growth and The drug efficacy for metabolic diseases can be improved.
  • 1 is a cell permeability test result of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confirms the in vitro AMPK-phosporylation activity of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 5 to 7 are results of experiments on the efficacy of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moting adiponectin production, procollagen and p-AMPK expression.
  • FIG. 8 is a view confirming the ability of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hibit hepatocellular fat accumulation.
  • 9 to 10 are results of experiments on the efficacy of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sensitive skin and dermatiti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ptide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 2 and having an amino group at the C-terminus.
  •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LYYF) or SEQ ID NO: 2 (GLYYF) and has an amino group at the C-terminus. Toxicity and stability are improved.
  • the peptide may be one in which at least one amino acid is D-form. At this tim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amino acid, if at least one amino acid is D-form, the above effect can be achieved.
  •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general chemical synthesis, for example, solid-phase peptide synthesis, and by culturing a microorganism transformed with a recombinant vector containing the nucleic acid encoding the peptide. After expressing the peptide, it may be prepared by purification by a conventional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unctional equivalents and variants of a peptide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 2 and having an amino group at the C-terminus.
  • the functional equivalent of the peptide includes a peptide that does not change the activity of the peptide as a whole, and a peptide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ally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ariant means, for example, one or several amino acids deleted, substituted or added in the amino acid sequence, and has 95% or more, preferably 98% or more, more preferably 99% or more identity to the amino acid sequence. say things, etc.
  • identity refers to the number of amino acid residues in one amino acid sequence, including the number of gaps, when aligning (alignment) to the highest degree of identity with or without introducing a gap into the two amino acid sequences.
  • “several” means an integer of 2 to 10, for example, an integer of 2 to 7, 2 to 5, 2 to 4, or 2 to 3.
  • Specific examples of the natural variant include variants based on polymorphisms such as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plice variants, and the like.
  • the substitution is a conservative amino acid substitution. This is because if it is a conservative amino acid substitution, it may have a structure or property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at of a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 Conservative amino acids are mutually non-polar amino acids (glycine, alanine, phenyl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methionine, proline, tryptophan) and polar amino acids (amino acids other than non-polar amino acids), charged amino acids (acidic amino acids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nd basic Amino acids (arginine, histidine, lysine) and uncharged amino acids (amino acids other than charged amino acids), aromatic amino acids (phenylalanine, tryptophan, tyrosine), branched amino acids (leucine, isoleucine, valine) and aliphatic amino acids (glycine, alanine, leucine) , isoleucine, valine) and the like are known.
  • it may include a peptide in which structural stability to heat, pH, etc. of the peptide is increased or peptide activity is increased due to mutation or modification in the amino acid sequen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ptide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 2, wherein at least one amino acid is D-form.
  •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LYYF) or SEQ ID NO: 2 (GLYYF), and at least one amino acid is D-form, solubility, cell permeability, and cell Toxicity and stability are improved.
  • the peptide may be one in which one amino acid is D-form. At this tim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amino acid, if one amino acid is D-form, the above effect can be achieved.
  •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general chemical synthesis, for example, solid-phase peptide synthesis, and by culturing a microorganism transformed with a recombinant vector containing the nucleic acid encoding the peptide. After expressing the peptide, it may be prepared by purification by a conventional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unctional equivalents and variants of a 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 2, wherein at least one amino acid is D-form.
  • the functional equivalent of the peptide includes a peptide that does not change the activity of the peptide as a whole, and a peptide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ally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ariant means, for example, one or several amino acids deleted, substituted or added in the amino acid sequence, and has 95% or more, preferably 98% or more, more preferably 99% or more identity to the amino acid sequence. say things, etc.
  • identity refers to the number of amino acid residues in one amino acid sequence, including the number of gaps, when aligning (alignment) to the highest degree of identity with or without introducing a gap into the two amino acid sequences.
  • “several” means an integer of 2 to 10, for example, an integer of 2 to 7, 2 to 5, 2 to 4, or 2 to 3.
  • Specific examples of the natural variant include variants based on polymorphisms such as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plice variants, and the like.
  • the substitution is a conservative amino acid substitution. This is because if it is a conservative amino acid substitution, it may have a structure or property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at of a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 Conservative amino acids are mutually non-polar amino acids (glycine, alanine, phenyl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methionine, proline, tryptophan) and polar amino acids (amino acids other than non-polar amino acids), charged amino acids (acidic amino acids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nd basic Amino acids (arginine, histidine, lysine) and uncharged amino acids (amino acids other than charged amino acids), aromatic amino acids (phenylalanine, tryptophan, tyrosine), branched amino acids (leucine, isoleucine, valine) and aliphatic amino acids (glycine, alanine, leucine) , isoleucine, valine) and the like are known.
  • it may include a peptide in which structural stability to heat, pH, etc. of the peptide is increased or peptide activity is increased due to mutation or modification in the amino acid sequen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ptide.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improving skin wrinkles, improving sensitive skin, improving dermatitis, or promoting hair growth.
  • the sensitive skin may refer to skin showing various hypersensitivity reactions due to deterioration or abnormality in skin physiological function due to external or internal factors. Specifically, it refers to skin that exhibits symptoms such as dry skin, rough skin, stinging, itching, allergic reactions, redness and erythema due to skin irritants that do not respond to non-sensitive skin, lack of sleep, overwork, changing seasons, or stress. can
  • the dermatitis may include a variety of inflammatory diseases appearing on the skin, for example, psoriatic dermatitis, dry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seborrheic dermatitis, contact dermatitis and molar dermatitis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improvement refers to any process in which the symptoms are improved to some extent due to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mean prevention, alleviation, and the like.
  • the hair growth promotion includes other terms used in the art, such as wool or hair growth promotion, and may mean preventing or alleviating hair loss.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example,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ragrances, and carriers.
  •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ragrances, and carriers.
  • Products to which the composition can be added include, for example, astringent lotion, softening lotion, nourishing lotion, various creams, essence, pack, foundation, etc. , but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e lotion, nourishing lotion, massage cream, nourishing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essence, nourishing essence, pack, It includes formulations such as soap, shampoo, cleansing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body lotion, body cleanser, emulsion, lipstick, makeup base, foundation, press powder, loose powder, eye shadow, conditioner, gel, wax, mist, etc. , but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by containing the peptide inside the nanoliposome and stabilizing it.
  • the peptide When the peptide is contained inside the nanoliposome, the components of the peptide are stabilized to solve problems such as precipitation and deformation during formulation, and the solubility and percutaneous absorption of the component can be increased, thereby maximizing the efficacy expected from the peptide. can be expres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ptid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improve skin wrinkles, improve dermatitis, promote hair growth, or treat metabolic diseases.
  • the dermatitis may include, for example, psoriatic dermatitis, dry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seborrheic dermatitis, contact dermatitis and molar dermatit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improvement refers to any process in which the symptoms are improved to some extent due to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mean prevention, alleviation, treatment, and the like.
  • the hair growth promotion includes other terms used in the art to promote hair growth or hair growth, and may mean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 Metabolic disease may be, for example, obesity, diabetes, complications of diabetes, fatty liver, dyslipidemia, insulin resistance, cardiovascular disease, arteriosclerosis, hyperglycemia, hyperlipidemia or abnormal carbohydrate metabolis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may be formulated together with the carrier.
  •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refers to a carrier or diluent that does not stimulate the organism and does not inhibit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roperties of the administered compound.
  • Acceptable pharmaceutical carriers for compositions formulated as liquid solutions include sterile and biocompatible, saline,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albumin injectio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and One or more of these components may be mixed and used, and other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buffers, and bacteriostats may be added as needed.
  • diluents such as an aqueous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etc., pills, capsules, granules or tablet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any dosage form containing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and can be prepared as an oral or parenteral dosage form.
  • Specific dosage forms include oral, rectal, nasal, topical (including buccal and sublingual), subcutaneous, vaginal or parenteral (intramuscular, subcutaneous and intravenous). It may include a suitable form for administration or a form suitable for administration by inhalation, injection or applica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effective dose level depends on the patient's disease type, severity, drug activity, drug sensitivity,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and excretion rate,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concomitant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can be decid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In consideration of all of the above factor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which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patient's weight, age, sex, health status,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method, excretion rate and severity of disease, etc., and the appropriate dosage is, for example,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drug accumulated in the patient's body and/or the specific efficacy of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used.
  • the composition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EC50 measured to be effective in an in vivo animal model and in vitro, for example, it can be 0.01 ⁇ g to 1 g per 1 kg of body weight, daily, weekly, In a monthly or annual unit period, it may be administered once to several times per unit period, or may be administered continuously for a long period of time using an infusion pump. The number of repeated administrations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the drug stays in the body, the concentration of the drug in the body,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course of disease treatment,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for relapse even after treatment has been complet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exhibit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the disease, or a compound that maintains/increases solubility and/or absorp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 a chemotherapeutic agent, an anti-inflammatory agent, an antiviral agent, and/or an immunomodulatory agent may be further included.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using methods known in the art to provide rapid, sustained or delayed release of the active ingredient after administration to a mammal.
  • Formulations may be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emulsions, syrups, aerosols, soft or hard gelatin capsules,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or sterile powders.
  • the peptid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ere synthesized by a solid phase method using Fmoc (9-fluorenylmethoxycarbonyl) as a protecting group of N ⁇ -amino acid (Fmoc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and HOBt-DIC (N-hydroxybenzotriazole-diisopropylcarbodiimide) method was used. Peptide extension was followed (Wang C. Chan, Perter D. white, "Fmoc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Oxford).
  • the synthesized peptide was purifi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rep-HPLC, column C18, 10um, 250mm X 22mm) and lyophilized to obtain a powder form,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LC/MS)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compounds of Table 1 were confirmed. A more detailed synthesis process is described below.
  • Rink Amide AM Resin (1mmol, 1.43g) and piperidine 20% containing 50ml of dimethylformamide (N,N-DimethylFormamide, DMF) were put into a 50ml reaction vessel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 The reaction solution was removed by filtration and washed sequentially with 50 ml of dichloromethane (DCM), methyl alcohol, dichloromethane, and dimethylformamide, respectively.
  • DCM dichloromethane
  • the reaction solution was removed by filtration, and the synthesized resin was sequentially washed with 50 ml of dichloromethane, methyl alcohol, dichloromethane, and dimethylformamide.
  • the compound 1d was quantitatively obtained in the form of a solid phase by vacuum drying.
  • Fmoc-Gly-OH (Fmoc-Glycine) (8 mmol, 2.38 g), HOBt (8 mmol, 1.081 g) and DIC (8 mmol, 1.24 mL) were added to the product from which Fmoc was removed in solid form by vacuum drying 50 ml of dimethyl It was added by dissolving in formamide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4 hours. The reaction solution was removed by filtration, and the synthesized resin was sequentially washed using 50 ml of dichloromethane, methyl alcohol, dichloromethane, and dimethylformamide, respectively. The compound 2a was quantitatively obtained in the form of a solid phase by vacuum drying.
  • Rink Amide AM Resin (1mmol, 1.43g) and piperidine (piperidine) containing 20% of dimethylformamide (N,N-Dimethylformamide, DMF) 50ml into a 50ml reaction vessel,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
  • the reaction solution was removed by filtration and washed sequentially with 50 ml of dichloromethane (DCM), methyl alcohol, dichloromethane, and dimethylformamide, respectively.
  • DCM dichloromethane
  • the solid product was collected using a centrifuge, washed twice with 500 ml of diethyl ether and dried.
  • the obtained solid product was purified using Prep-HPLC (column C18, 10 ⁇ m, 250mm X 22mm), and then lyophilized to obtain each peptide.
  • BG is butylene glycol and PG is propylene glycol.
  • each cell was seeded into 5 ⁇ 10 4 cells per well in a 24-well plate and cultured for 24 hours in each cell culture condition. The medium was discarded, washed with PBS, and then replaced with a new medium not containing 10% FBS, treated with peptides for each concentration, and incubated for 24 hours. After carefully removing the medium and washing with PBS, MTT reagent was add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method, and after reacting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to confirm that there was no toxicity by each peptide in all cell lines (FIG. 2).
  • the mouse adipocyte line 3T3-L1 was treated with each peptide at a concentration of 10 ⁇ M and cultured for 24 hours, then the cells were obtained, the protein was extracted, and the effect on AMPK phosphorylation,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main sub-signaling of adiponectin, was compared and confirmed by Western blot (Fig. 4). It was confirmed that the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 phosphorylation of AMPK (V: DMSO, p5: GLYYF)
  • a biopsy was performed 24 hours later, and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matrix protein procollagen and p-AMPK was observed using Western blot and immunochemical staining.
  • Adiponectin, procollagen and p-AMPK expression were increased in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vehicle) and the existing P5 peptide ( FIGS. 5 to 7 ).
  • the liver cancer cell line HepG2 cells were treated with 1 mM free fatty acid (FFA) and 10 ⁇ M of peptide to compare the triglyceride content.
  • FFA free fatty acid
  • the fat accumulation inhibitory ability of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uperior to that of rosiglitazone and P5, which are positive controls ( Fig. 8).
  • ACC acetyl-CoA carboxylase
  • AMPK a sub-signal regulator of adiponectin responsible for its regulation were increased (p-ACC is inactive and inhibits triglyceride synthesis).
  •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and P-AMPK increased after application, and the expression of TRPV1 was decreased.
  •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increase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more than 4 times compared to before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Zo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용해도 및 안정성이 우수하여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물 제조 시 제형화에 유리하여 피부 주름, 민감성 피부 및 피부염 개선 효과, 발모 촉진 효과 및 대사성 질환에의 약효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노화는 흔히 피부주름, 처짐 및 늘어짐의 증가와 관련된 외적 및 내적인 과정에 의한 것으로서, 외적 노화는 반복되는 자외선(ultraviolet rays, UV) 노출에 의해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일반적으로 '광노화'라고 한다. 자연적으로 노화된 피부는 매끄럽고 창백하며 잔주름이 있으나, 광노화된 피부는 굵은 피부주름이 생기고 색소침착 및 모세혈관 확장증을 야기하게 된다.
피하지방은 다른 조직들의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들과 아디포카인(adipokine)을 분비하여 에너지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최근 광노화와 염증, 면역 억제, 암 등의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는 환경 인자인 자외선에 의해 인간 피하지방 조직의 지방 함량이 감소하고, 지방 유래 산물인 아디포넥틴이 노화된 피부에서 감소되어 있으며, MMP-1의 증가와 콜라겐의 감소가 유도됨이 알려져 있다.
민감성 피부는 외부의 자극성 물질, 알레르기성 물질, 환경변화 또는 인체 내부 원인에 대해 정상인 피부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자극 반응이나 피부염을 잘 일으키는 피부를 말하는 것으로, 민감성 피부를 가려내는 검사법으로서, 자극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젖산이나 DMSO를 처리하여 민감성 피부를 구분하는 예도 있다. 대사성 질환(Metabolic Disease)은 체내의 과잉영양 축적 및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 당뇨, 고혈압 및 동맥경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함께 나타나는 증후군을 말하며, 최근에는 세계보건기구와 미국 국립보건연구원의 심, 폐, 혈액 연구소가 제정한 성인 치료프로그램 III을 통해 대사증후군 또는 인슐린저항성(Insulin resistance syndrome) 증후군이라고 공식 명명되었다. 또한, 2001년에 공표된 미국 NCEP(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의 ATP에 따르면, 허리둘레가 남자 40인치(102 cm), 여자 35인치(88 cm) 이상인 복부 비만, 중성지방(triglycerides) 150 mg/dL 이상, HDL 콜레스테롤이 남자 40 mg/dL, 여자 50 mg/dL 이하, 혈압 130/85 mmHg 이상, 공복혈당(fasting glucose)이 110 mg/dL 이상 등의 다섯 가지 위험인자 중 한 환자가 세 개 이상을 나타낼 경우 이를 대사성 질환으로 판정하게 되며, 동양인의 경우에 있어서는 허리둘레가 남자 90, 여자 80 이상일 때 복부비만으로 다소 조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규정을 적용할 경우 한국인은 전 인구의 25% 정도가 대사증후군 증상을 나타낸다는 최근의 연구 보고도 있다.
한편,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분비되는 단백질 호르몬인 아디포카인의 일종으로서, 인슐린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억제함으로써 고혈당, 고인슐린증, 비만,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 질환 등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아디포넥틴은 암세포의 전이와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아디포넥틴은 각질세포의 증식뿐만 아니라 피부에서 필라그린(filaggr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과 세포외 기질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상처치료, 섬유화 억제, 피부주름개선, 보습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디포넥틴은 24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호서열(signal sequence), N-말단(N-terminal)에 위치한 콜라겐-유사 도메인과 C-말단에 위치한 C1q-유사 구형 도메인(globular domain)으로 이루어져 있다. 육합체(hexamer)와 400 kDa의 고분자 복합체(HMW complex)가 주요한 소중합체(oligomer)로서, 상기 고분자 복합체는 저분자 복합체(LMW complex) 보다 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다양한 생리적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아디포넥틴 유래의 펩타이드 개발은 그간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과 제약회사들의 표적이 되어 왔으나 체내 중합체 형성의 어려움으로 최종 성공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에, 뛰어난 생리적 활성을 갖는 아디포넥틴 유래의 짧은 펩타이드의 개발, 화장료 및 약물로의 제형화에 유리한 아디포넥틴의 변형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용해도 및 안정성이 우수한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민감성 피부 개선, 피부염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염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서열번호 1 또는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C-말단에 아미노기를 갖는 펩타이드.
2. 위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펩타이드.
3. 위 1에 있어서,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펩타이드.
4. 서열번호 1 또는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펩타이드.
5. 위 4에 있어서,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펩타이드.
6. 위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위 6에 있어서, 피부주름 개선, 민감성 피부 개선, 피부염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인, 화장료 조성물.
8. 위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염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
9. 위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용해도 및 안정성이 우수하여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물 제조 시 제형화에 유리하여 피부 주름, 민감성 피부 및 피부염 개선 효과, 발모 촉진 효과 및 대사성 질환에의 약효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세포 투과도 실험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세포 독성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안정성 실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In vitro AMPK-phosporylation 활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아디포넥틴 생성, 프로콜라겐 및 p-AMPK 발현 촉진 효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간세포 지방 축적 억제능을 확인한 것이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민감성 피부 및 피부염 개선 효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발모 촉진 효능을 실험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또는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C-말단에 아미노기를 갖는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LYYF) 또는 서열번호 2(GLYYF)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C-말단에 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 C-말단에 -OH기를 가진 펩타이드에 비해 용해도, 세포투과도, 세포 독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것이다.
상기 펩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아미노산의 위치는 상관없이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이라면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일반적인 화학합성, 예를 들어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기술(solid-phase peptide synthesis)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핵산을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상기 펩타이드를 발현시킨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또는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C-말단에 아미노기를 갖는 펩타이드의 기능적 동등물 및 변이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의 기능적 동등물이란, 펩타이드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능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는 펩타이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변이체란, 예를 들면 상기 아미노산 서열에서 하나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또는 부가된 것,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95 %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것 등을 말한다. 여기서 "동일성"이란, 2개의 아미노산 서열에 갭을 도입하거나, 도입하지 않고 가장 높은 일치도가 되도록 정렬(얼라인먼트)시켰을 때에, 상기 갭의 수를 포함한, 한쪽 아미노산 서열의 전체 아미노산 잔기수에 대한 다른 쪽의 아미노산 서열의 동일한 아미노산 잔기수의 비율(%)을 말한다. 또한, "수개"란, 2 내지 10의 정수, 예를 들면 2 내지 7, 2 내지 5, 2 내지 4, 2 내지 3의 정수를 말한다. 천연 변이체의 구체예로는 SNP(일염기 다형) 등의 다형에 기초하는 변이체나 스플라이스 변이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치환은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이면,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구조 또는 성질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보존적 아미노산이란, 서로 비극성 아미노산(글리신, 알라닌, 페닐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프롤린, 트립토판) 및 극성 아미노산(비극성 아미노산 이외의 아미노산), 하전 아미노산(산성 아미노산(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및 염기성 아미노산(아르기닌, 히스티딘, 리신)) 및 비하전 아미노산(하전 아미노산 이외의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티로신), 분지상 아미노산(류신, 이소류신, 발린) 및 지방족 아미노산(글리신, 알라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아미노산 서열상의 변이 또는 수식에 의해서 펩타이드의 열, pH 등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증가하거나 펩타이드 활성이 증가한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또는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LYYF) 또는 서열번호 2(GLYYF)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이므로, 모든 아미노산이 L-형인 펩타이드에 비해 용해도, 세포투과도, 세포 독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것이다.
상기 펩타이드는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아미노산의 위치는 상관없이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이라면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일반적인 화학합성, 예를 들어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기술(solid-phase peptide synthesis)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핵산을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상기 펩타이드를 발현시킨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또는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펩타이드의 기능적 동등물 및 변이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의 기능적 동등물이란, 펩타이드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능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는 펩타이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변이체란, 예를 들면 상기 아미노산 서열에서 하나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또는 부가된 것,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95 %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것 등을 말한다. 여기서 "동일성"이란, 2개의 아미노산 서열에 갭을 도입하거나, 도입하지 않고 가장 높은 일치도가 되도록 정렬(얼라인먼트)시켰을 때에, 상기 갭의 수를 포함한, 한쪽 아미노산 서열의 전체 아미노산 잔기수에 대한 다른 쪽의 아미노산 서열의 동일한 아미노산 잔기수의 비율(%)을 말한다. 또한, "수개"란, 2 내지 10의 정수, 예를 들면 2 내지 7, 2 내지 5, 2 내지 4, 2 내지 3의 정수를 말한다. 천연 변이체의 구체예로는 SNP(일염기 다형) 등의 다형에 기초하는 변이체나 스플라이스 변이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치환은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이면,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구조 또는 성질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보존적 아미노산이란, 서로 비극성 아미노산(글리신, 알라닌, 페닐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프롤린, 트립토판) 및 극성 아미노산(비극성 아미노산 이외의 아미노산), 하전 아미노산(산성 아미노산(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및 염기성 아미노산(아르기닌, 히스티딘, 리신)) 및 비하전 아미노산(하전 아미노산 이외의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티로신), 분지상 아미노산(류신, 이소류신, 발린) 및 지방족 아미노산(글리신, 알라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아미노산 서열상의 변이 또는 수식에 의해서 펩타이드의 열, pH 등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증가하거나 펩타이드 활성이 증가한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민감성 피부 개선, 피부염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일 수 있다.
상기 민감성 피부는 외적, 내적 요인에 의해 피부 생리 기능의 저하 또는 이상이 발생하여 다양한 과민 반응을 나타내는 피부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민감성 피부에서는 반응하지 않는 피부 자극 물질, 수면부족, 과로, 환절기 또는 스트레스 등에 의해 피부 건조, 피부 거칠음, 따가움, 가려움, 알러지 반응, 홍조 및 홍반 등의 증상을 잘 나타내는 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염은 피부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염증질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건선 피부염, 건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화폐성 피부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 인해 그 증세가 어느 정도 나아지는 모든 과정을 나타내며, 예방, 완화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발모 촉진은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다른 용어인 양모 또는 육모 촉진을 포함하며, 탈모 예방 또는 완화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린스, 젤, 왁스, 미스트 등의 제형을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를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켜 안정화하여 제형화할 수도 있다. 상기 펩타이드를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키면, 펩타이드의 성분이 안정화되어 제형화시 침전형성, 변형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상기 펩타이드로부터 기대되는 효능을 최대로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염 개선, 발모 촉진 또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염은 예를 들어, 건선 피부염, 건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화폐성 피부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인해 그 증세가 어느 정도 나아지는 모든 과정을 나타내며, 예방, 완화, 치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발모 촉진은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다른 용어인 양모 또는 육모 촉진을 포함하며, 탈모 예방 또는 치료를 의미할 수 있다.
대사성 질환은 예를 들어, 비만, 당뇨, 당뇨합병증, 지방간, 이상지질혈증,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당증, 고지혈증 또는 탄수화물 대사이상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되는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가능하며, 경구용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할 수있다. 구체적인 제형으로서, 구강(oral), 직장(rectal), 비강(nasal), 국소(topical; 볼 및 혀 밑을 포함), 피하, 질(vaginal) 또는 비경구(parenteral; 근육내, 피하 및 정맥 내를 포함) 투여에 적당한 것 또는 흡입, 주입 또는 도포 등에 의한 투여에 적당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매우 다양하며, 적정한 투여량은 예를 들면 환자의 체내에 축적된 약물의 양 및/또는 사용되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구체적 효능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비보(in vivo) 동물모델 및 인비트로(in vitro)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측정된 EC50을 기초로 계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체중 1kg당 0.01 μg 내지 1 g일 수 있으며, 일별, 주별, 월별 또는 연별의 단위 기간으로, 단위 기간 당 일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며, 또는 인퓨전 펌프를 이용하여 장기간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반복투여 횟수는 약물이 체내 머무는 시간, 체내 약물 농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질환 치료 경과에 따라 치료가 된 후라도, 재발을 위해 조성물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질환 개선 및 치료와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또는 유효성분의 용해성 및/또는 흡수성을 유지/증가시키는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화학치료제, 항염증제, 항바이러스제 및/또는 면역조절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펩타이드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펩타이드들의 합성은 Fmoc(9-fluorenylmethoxycarbonyl)를 Nα-아미노산의 보호기로 사용하는 고상법에 의해 합성하였으며(Fmoc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HOBt-DIC (N-hydroxybenzotriazole-diisopropylcarbodiimide) 방법에 따라 펩타이드를 연장하였다(Wang C. Chan, Perter D. white, "Fmoc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Oxford). 합성된 펩타이드는 정제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Prep-HPLC, column C18, 10um, 250mm X 22mm)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수득하였으며,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LC/MS)를 이용하여 표 1의 화합물들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보다 상세한 합성과정은 아래에 기술하였다.
펩타이드 분자량
LYYF-NH2 603.71
GLYYF-NH2 660.76
lYYF 604.69
LyYF 604.69
LYyF 604.69
LYYf 604.69
GlYYF 661.74
GLyYF 661.74
GLYyF 661.74
GLYYf 661.74
lYYF-NH2 603.71
LyYF-NH2 603.71
LYyF-NH2 603.71
LYYf-NH2 603.71
GlYYF-NH2 660.76
GLyYF-NH2 660.76
GLYyF-NH2 660.76
GLYYf-NH2 660.76
1. 반응물질의 합성
(1) Fmoc-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a)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Rink Amide AM Resin(1mmol, 1.43g)과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Fmoc이 제거된 생성물에 Fmoc-Phe-OH(N-Fmoc-L-phenylalanine)(8mmol, 3.1g), HOBt(8mmol, 1.081g) 그리고 DIC(8mmol, 1.24㎖)를 50㎖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상 형태의 화합물 1a를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2) Fmoc-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b)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a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Fmoc이 제거된 생성물에 Fmoc-Tyr(tBu)-OH(N-Fmoc-O-tert-butyl-L-tyrosine)(8mmol, 3.68g), HOBt(8mmol, 1.081g) 그리고 DIC(8mmol, 1.24㎖)를 50㎖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0㎖의 디클로로메탄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상 형태의 화합물 1b를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3) Fmoc-Tyr(tBu)-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c)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b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4) Fmoc-Leu-Tyr(tBu)-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d)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c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Fmoc이 제거된 생성물에 Fmoc-Leu-OH(N-Fmoc-L-leucine)(8mmol, 3.68g), HOBt(8mmol, 1.081g) 그리고 DIC(8mmol, 1.24㎖)를 50㎖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상 형태의 화합물 1d를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5) Fmoc-Gly-Leu-Tyr(tBu)-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2a)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d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Fmoc이 제거된 생성물에 Fmoc-Gly-OH(Fmoc-Glycine)(8mmol, 2.38g), HOBt(8mmol, 1.081g) 그리고 DIC(8mmol, 1.24㎖)를 50㎖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0㎖의 디클로로메탄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상 형태의 화합물 2a를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6) Fmoc-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3a)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2-Chloro trityl chloride Resin(1mmol, 0.714g)과 Fmoc-Phe-OH(N-Fmoc-L-phenylalanine)(2mmol, 0.78g), 디이소프로필이틸아민(N,N-Diisopropylethylamine)(6mmol, 1.05㎖)을 50㎖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상 형태의 화합물 3a를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7) Fmoc-Tyr(tBu)-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3b)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3a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8) Fmoc-Tyr(tBu)-Tyr(tBu)-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3c)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3b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9) Fmoc-D-Leu-Tyr(tBu)-Tyr(tBu)-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3d)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3c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Fmoc이 제거된 생성물에 Fmoc-D-Leu-OH(N-Fmoc-D-leucine)(8mmol, 3.68g), HOBt(8mmol, 1.081g) 그리고 DIC(8mmol, 1.24㎖)를 50㎖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0㎖의 디클로로메탄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상 형태의 화합물 3d를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0) Fmoc-D-Tyr(tBu)-Tyr(tBu)-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4a)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3b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Fmoc이 제거된 생성물에 Fmoc-D-Tyr(tBu)-OH(N-Fmoc-O-tert-butyl-D-tyrosine)(8mmol, 3.68g), HOBt(8mmol, 1.081g) 그리고 DIC(8mmol, 1.24㎖)를 50㎖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0㎖의 디클로로메탄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상 형태의 화합물 4a를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1) Fmoc-Leu-D-Tyr(tBu)-Tyr(tBu)-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4b)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4a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4)와 같다.
(12) Fmoc-D-Tyr(tBu)-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5a)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3a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10)과 같다.
(13) Fmoc-Tyr(tBu)-D-Tyr(tBu)-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5b)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5a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이후 과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14) Fmoc-Leu-Tyr(tBu)-D-Tyr(tBu)-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5c)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5b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4)와 같다.
(15) Fmoc-D-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6a)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2-Chloro trityl chloride Resin(1mmol, 0.714g)과 Fmoc-D-Phe-OH(N-Fmoc-D-phenylalanine)(2mmol, 0.78g), 디이소프로필이틸아민(N,N-Diisopropylethylamine)(6mmol, 1.05㎖)을 50㎖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상 형태의 화합물 6a를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6) Fmoc-Tyr(tBu)-D-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6b)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6a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17) Fmoc-Tyr(tBu)-Tyr(tBu)-D-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6c)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6b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18) Fmoc-Leu-Tyr(tBu)-Tyr(tBu)-D-Phe-2-Chloro-Trityl Resin(화합물 6d)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6c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4)와 같다.
(19) Fmoc-Gly-D-Leu-Tyr(tBu)-Tyr(tBu)-Phe-2-Chloro-Trityl Resin (화합물 7a)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3d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20) Fmoc-Gly-Leu-D-Tyr(tBu)-Tyr(tBu)-Phe-2-Chloro-Trityl Resin (화합물 8a)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4b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21) Fmoc-Gly-Leu-Tyr(tBu)-D-Tyr(tBu)-Phe-2-Chloro-Trityl Resin (화합물 9a)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5c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22) Fmoc-Gly-Leu-Tyr(tBu)-Tyr(tBu)-D-Phe-2-Chloro-Trityl Resin (화합물 10a)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6d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23) Fmoc-D-Leu-Tyr(tBu)-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1a) 합성
Fmoc-D-Leu-Tyr(tBu)-Tyr(tBu)-Phe-Rink Amide AM Resin(11a)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1c와 피페리딘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 50㎖을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50㎖의 디클로로메탄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Fmoc이 제거된 생성물에 Fmoc-D-Leu-OH(N-Fmoc-D-leucine)(8mmol, 3.68g), HOBt(8mmol, 1.081g)그리고 DIC(8mmol, 1.24㎖)를 50㎖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 각 50㎖의 디클로로메탄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화합물 11a(Fmoc-D-Leu-Tyr(tBu)-Tyr(tBu)-Phe-Rink Amide AM Resin)을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24) Fmoc-D-Tyr(tBu)-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2a)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b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10)과 동일하다.
(25) Fmoc-Leu-D-Tyr(tBu)-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2b)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2a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4)와 같다.
(26) Fmoc-D-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3a)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a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10)과 같다.
(27) Fmoc-Tyr(tBu)-D-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3b)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3a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28) Fmoc-Leu-Tyr(tBu)-D-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3c)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3b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4)와 동일하다.
(29) Fmoc-D-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4a)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Rink Amide AM Resin(1mmol, 1.43g)과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 상 형태의 Fmoc이 제거된 생성물에 Fmoc-D-Phe-OH(N-Fmoc-D-phenylalanine)(8mmol, 3.1g), HOBt(8mmol, 1.081g) 그리고 DIC(8mmol, 1.24㎖)를 50㎖의 디메틸폼아마이드에 녹여서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합성된 레진을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과 메틸알콜,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폼아마이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상 형태의 화합물 14a를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30) Fmoc-Tyr(tBu)-D-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4b)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4a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31) Fmoc-Tyr(tBu)-Tyr(tBu)-D-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4c)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4b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32) Fmoc-Leu-Tyr(tBu)-Tyr(tBu)-D-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4d)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4c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4)와 동일하다.
(33) Fmoc-Gly-D-Leu-Tyr(tBu)-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5a)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1a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34) Fmoc-Gly-Leu-D-Tyr(tBu)-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6a)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2b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35) Fmoc-Gly-Leu-Tyr(tBu)-D-Tyr(tBu)-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7a)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3c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36) Fmoc-Gly-Leu-Tyr(tBu)-Tyr(tBu)-D-Phe-Rink Amide AM Resin(화합물 18a) 합성
50㎖의 반응 용기에 화합물 14d와 피페리딘(piperidine)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5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것 외에, 이후 과정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2. 펩타이드의 합성
50㎖ 의 반응 용기에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중 어느 하나(표 2)와 피페리딘이 20% 함유된 디메틸폼아마이드 50㎖을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필터하여 반응액을 제거하고 각각 50㎖의 디클로로메탄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였다. 진공 건조하여 고체상 형태의 Fmoc이 제거된 생성물에 50㎖의 수지 및 보호기 분리용 혼합액(trifluoro acetic acid(삼불소초산): triisopropylsilane(트리이소프로필실란): 물 = 95: 2.5: 2.5)을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여과하여 반응액을 모으고, 여기에 500㎖의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를 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고체 생성물을 모으고, 500㎖의 디에틸에테르로 2회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얻어진 고체 생성물을 Prep-HPLC (column C18, 10㎛, 250mm X 22mm) 이용하여 정제 후, 동결건조하여 각 펩타이드를 수득하였다.
펩타이드 반응물질
LYYF-NH2 화합물 1d
GLYYF-NH2 화합물 2a
lYYF 화합물 3d
LyYF 화합물4b
LYyF 화합물 5c
LYYf 화합물 6d
GlYYF 화합물 7a
GLyYF 화합물 8a
GLYyF 화합물 9a
GLYYf 화합물 10a
lYYF-NH2 화합물 11a
LyYF-NH2 화합물 12b
LYyF-NH2 화합물 13c
LYYf-NH2 화합물 14d
GlYYF-NH2 화합물 15a
GLyYF-NH2 화합물 16a
GLYyF-NH2 화합물 17a
GLYYf-NH2 화합물 18a
실험예
1. 용해도 측정
상기의 방법으로 합성한 각 펩타이드 5mg씩 물 또는 butylene glycol을 소량씩 가하여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Figure PCTKR2021011446-appb-img-000001
* 여기서, BG는 butylene glycol, PG는 propylene glycol이다.
2. 세포 투과도 측정
상기 방법으로 방법으로 합성한 각 펩타이드의 피부 투과도를 사람피부와 가장 유사하여 일반적으로 투과도 테스트에 사용되는 돼지피부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돼지 피부의 크기를 가로, 세로 2 ㎝로 자른 후 FITC 형광 부착된 해당 펩타이드 스톡(양성대조군 P5:GLYYF 펩타이드)과 DMSO를 농도 별로 준비한 후 돼지피부 위에 충분한 양을 도포하였다. 빛을 차단하여 37℃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동안 두었다. LN2를 이용해 급속냉동후에 동결절단(Cryosection)을 시행하였다. DAPI(핵염색)로 5분간 처리후 세척하였고,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펩타이드(P5N:GLYYF-NH2, P4d:LYyF)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P5:GLYYF 펩타이드와 비교하여 돼지피부에 대한 투과도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도 1).
3. 세포 독성 확인
3가지 세포주(3T3-L1 adipocytes, RD muscle cells, fibroblasts)를 사용하여 각 세포를 24-well plate에 well당 5×104 개로 분주한 후 각 세포 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10% FBS를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배지로 갈아주고 농도별의 펩타이드들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다시 배지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MTT 시약을 제조사 방법대로 넣고 실온에서 30분간 반응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모든 세포주에서 각 펩타이드에 의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2).
4. 안정성 확인
마우스 whole blood에 펩타이드(1mg/ml)를 처리하여 0, 15, 30, 60, 120분간 반응시킨 후 LC-QTOF_MS로 남아 있는 펩타이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펩타이드(P5N:GLYYF-NH2, P4d:LYyF)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P5:GLYYF 펩타이드와 비교하여 안정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도 3)
5. In vitro AMPK-phosporylation activity 확인
마우스 지방 세포주인 3T3-L1에 각 펩타이드를 10μM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획득, 단백질을 추출하여 아디포넥틴 주요 하위 시그널링을 담당하는 AMPK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Western blot으로 비교 확인하였다(도 4). 본 발명의 펩타이드들이 AMPK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V:DMSO, p5:GLYYF)
6. 내인성 노화된 노인 피부에 도포 시 아디포넥틴 생성, 기질단백질 콜라겐 및 p-AMPK 발현 촉진 효능 확인
아디포넥틴이 감소되어 있다고 보고된 노인 피부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도포하고 24시간 후에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아디포넥틴, 기질단백질 프로콜라겐 및 p-AMPK 발현을 Western blot 및 면역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음성 대조군(vehicle)과 기존 P5 펩타이드에 비해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서 아디포넥틴, 프로콜라겐 및 p-AMPK 발현이 증가하였다(도 5 내지 7).
7. 간세포 지방 축적 억제능 확인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 1mM free fatty acid(FFA) 및 10 μM농도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여 중성지방 함량을 비교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rosiglitazone과 P5에 비하여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지방 축적 억제능이 우수하였다(도 8). 또한 중성지방을 합성하는 주요 효소인 acetyl-CoA carboxylase(ACC) 및 이의 조절을 담당하는 아디포넥틴 하위 시그널 조절자인 AMPK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다(p-ACC는 비활성형으로 중성지방 합성 억제함).
8. 민감성 피부, 피부염 개선 효능 확인
민감성 피부 환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민감성 피부 진단에 가장 많이 쓰이며 신뢰도가 높은 검사로 알려져 있는 젖산자상검사(Contact Dermatitis 2010;62:137-49)를 시행하여 이중맹검으로 장기도포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54명, 본 발명의 펩타이드 P5N:GLYYF-NH2(APN5N) 0.01% vs 대조물질(placebo), 도포그룹 당 27명). 조직검사에 동의한 자원자(본 발명의 펩타이드 P5N:GLYYF-NH2(APN5N) 0.01% vs 대조물질(placebo), 도포그룹 당 8명)로부터 2mm punch로 얼굴 Baseline의 피부 조직 및 8주 도포 후 피부 조직을 각각 2곳씩 총 4곳에서 조직을 얻어 아디포넥틴을 포함한 민감성 피부 관련 유전자와 마커에 대한 정량 PCR 분석과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stry)을 수행하였다. 젖산자상검사 상 “10분 동안 한번이라도 2 이상의 자극감을 보인 사람을 양성”으로 분류하여 2차 방문(도포 후 4주), 3차 방문(도포 후 8주)시 젖산자상검사를 시행한 결과, APN5N을 도포한 시험군의 민감성 피부가 비민감성 피부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도 9). 2차 방문에서 시험군의 29.6%에서 민감성피부가 비민감성피부로 호전되었다. 대조군에서는 14.8%가 호전되었으며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327, fisher’s exact test). 3차 방문에서 시험군의 48.1%에서 초기의 민감성피부가 비민감성피부로 호전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2차 방문과 동일하게 14.8%만 비민감성피부로 호전되어,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8). 또한 민감성 환자의 피부에서는 아디포넥틴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기 때문에 APN5N 처리 후 아디포넥틴 유전자 발현 변화는 민감성 개선의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어 조직검사를 통해 아디포넥틴, 아디포넥틱의 하위 시그널 인자인 P-AMPK 및 민감성 유발 인자 TRPV1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도 10), APN5N가 포함된 시험군에서 아디포넥틴의 발현 및 P-AMPK 발현이 도포 후에 증가하였으며, TRPV1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시험군에서 8주 간 하루 2회씩 APN5N이 함유된 시험물질을 도포한 후에는 아디포넥틴 발현이 바르기 전보다 약 4배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대조군은 대조물질 도포 후에 아디포넥틴의 발현의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다.
9. 발모 촉진 효능 확인
마우스는 생후 7주 내지 8주령에 모든 털이 휴지기로 진입하였다가 이후 다시 털이 생장기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상기 생장기 유도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마우스의 아래쪽 등 피부에 종래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MNX) 3%, 기존 아디포넥틴 유래 펩타이드 P5(GLYYF, 0.05mm 및 0.1mM) 및 본 발명의 펩타이드 P5N(GLYYF-NH2) 0.1 mM 농도를 매일 1회씩 도포한 후 모발의 생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약 4주 후에 처음 털을 제거한 부위 중 생장기 모발이 자란 부위의 비율이 양성 대조군처럼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군에서 증가하였다(도11).

Claims (9)

  1. 서열번호 1 또는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C-말단에 아미노기를 갖는 펩타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펩타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펩타이드.
  4. 서열번호 1 또는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펩타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하나의 아미노산이 D-형인 펩타이드.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피부 주름 개선, 민감성 피부 개선, 피부염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염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21/011446 2020-09-04 2021-08-26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WO2022050634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64594.3A EP4209500A4 (en) 2020-09-04 2021-08-26 PEPTIDE, COSMETIC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T
US18/024,819 US20230365643A1 (en) 2020-09-04 2021-08-26 Peptide, and cosmetic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JP2023514969A JP2023541136A (ja) 2020-09-04 2021-08-26 ペプチド並びにそ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及び薬学組成物
CN202180073850.2A CN116457365A (zh) 2020-09-04 2021-08-26 肽以及包含所述肽的化妆品组合物和药物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278A KR102486996B1 (ko) 2020-09-04 2020-09-04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020-0113278 2020-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634A1 true WO2022050634A1 (ko) 2022-03-10

Family

ID=8049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1446 WO2022050634A1 (ko) 2020-09-04 2021-08-26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65643A1 (ko)
EP (1) EP4209500A4 (ko)
JP (1) JP2023541136A (ko)
KR (1) KR102486996B1 (ko)
CN (1) CN116457365A (ko)
WO (1) WO2022050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196B1 (ko) * 2022-05-04 2023-05-15 한도숙 주름개선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경피 흡수가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43B1 (ko) * 2005-02-09 2013-09-12 헬릭스 바이오메딕스, 인코포레이티드 항미생물성 헥사펩티드
JP2016540825A (ja) * 2013-09-17 2016-12-28 ケーエヌユー−インダストリ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アディポネクチンに由来するペプチドを含む組成物
WO2017213456A2 (ko) * 2016-06-09 2017-12-14 주식회사 루비크라운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67630B1 (ko) * 2017-03-03 2019-04-11 서울대학교병원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3965B2 (en) * 2011-04-12 2015-07-07 Temple University—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Adiponectin recepto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KR102611274B1 (ko) * 2017-05-11 2023-12-07 킹 압둘라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조직 가공 및 바이오프린팅 시 사용하기 위한 겔을 형성할 수 있는 펩타이드
WO2020050427A1 (ko) * 2018-09-03 2020-03-12 (주)정진호이펙트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43B1 (ko) * 2005-02-09 2013-09-12 헬릭스 바이오메딕스, 인코포레이티드 항미생물성 헥사펩티드
JP2016540825A (ja) * 2013-09-17 2016-12-28 ケーエヌユー−インダストリ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アディポネクチンに由来するペプチドを含む組成物
WO2017213456A2 (ko) * 2016-06-09 2017-12-14 주식회사 루비크라운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67630B1 (ko) * 2017-03-03 2019-04-11 서울대학교병원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NTACT DERMATITIS, vol. 62, 2010, pages 137 - 49
MANABE TAKAYUKI, KAWASAKI KIYOSHI: "D-form KLKLLLLLKLK-NH2 peptide exerts higher antimicrobial properties than its L-form counterpart via an association with bacterial cell wall components", SCIENTIFIC REPORTS, NATURE PUBLISHING GROUP, US, vol. 7, no. 1, 1 March 2017 (2017-03-01), US , pages 1 - 10, XP055907466, ISSN: 2045-2322, DOI: 10.1038/srep43384 *
See also references of EP4209500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65643A1 (en) 2023-11-16
KR20220031404A (ko) 2022-03-11
JP2023541136A (ja) 2023-09-28
CN116457365A (zh) 2023-07-18
EP4209500A4 (en) 2024-04-24
KR102486996B1 (ko) 2023-01-10
EP4209500A1 (en)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3203A1 (ko) 신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WO2016190660A1 (ko) 신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WO2017155232A2 (ko) 발모 촉진 활성 및/또는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1033829A1 (ko)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5156439A1 (ko) 천심련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20004745A1 (ko) 약물이 코팅된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50634A1 (ko)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WO2017200288A1 (ko)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7119756A1 (ko) 주름개선, 노화방지, 미백, 항염증 기능성 신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3129723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hordenine
WO2018074682A1 (ko)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1206328A1 (ko) 신규 재조합 엑소좀 및 그의 용도
WO2018034453A1 (ko)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WO2017116138A1 (ko) 멜라닌 억제 기능성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8066914A1 (ko) 지방산이 결합된 트리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251790A1 (ko)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디옥시콜산-펩타이드 결합체 및 이의 용도
WO2013042811A1 (ko)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
WO2023055007A1 (ko) 항노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2124776A1 (ko) 알로페론 판토텐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WO2022031044A1 (ko)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9031790A1 (ko)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82937B1 (ko) 신규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타이트닝 또는 윤곽 개선용 조성물
WO2020138674A1 (ko) 근육 이완용 조성물
WO2020050427A1 (ko)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7018847A1 (ko) 미리세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snare 복합체 형성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45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1496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645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404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73850.2

Country of ref document: 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