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11198A1 - 신규 염증해소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염증해소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11198A1
WO2023211198A1 PCT/KR2023/005779 KR2023005779W WO2023211198A1 WO 2023211198 A1 WO2023211198 A1 WO 2023211198A1 KR 2023005779 W KR2023005779 W KR 2023005779W WO 2023211198 A1 WO2023211198 A1 WO 20232111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ptide
amino acid
lysine
tyrosine
argin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57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태훈
김재왕
김영은
정민규
장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바셀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바셀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바셀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WO20232111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111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ovel peptid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for prevent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s or cancer, and anti-inflammatory cosmetic compositions.
  • inflammation resolution is a biological mechanism that terminates the innate immune response, restores tissue homeostasis, and induces an appropriate adaptive immune response.
  • inflammation resolution was understood as a passive phenomenon that occurs after an inflammatory response, but recently, as mediating factors for inflammation resolution have been identified, it has been revealed that it is an active biological mechanism that involves complex factors and progresses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inflammatory response.
  • an acute inflammatory response of the innate immune system triggers a protective action, and then an anti-inflammatory action is activated to control the inflammatory response to an appropriate level and induce healing and recovery of the damaged tissue.
  • the inflammation-relieving action limits further neutrophil infiltration into inflamed tissues, induces cell death, and mediates a reduction in lipid inflammatory substances, cytokines, and chemokines that cause inflammatory reactions. Afterwards, it promotes the removal of damaged tissue or dead cells by inducing efferocytosis of macrophages. To this end, it reduces inflammatory macrophages and induces an increase in macrophages with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ppropriate inflammation resolution mediates a normal adaptive immune response and strengthens the ability to respond to repeated inflammatory situations in the future. However, insufficient inflammation resolution causes excessive/continuous inflammatory reactions, causing various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and abnormal adaptive immune responses can cause autoimmune diseases.
  • the inflammation-resolving response is induced through pro-resolving factors, which are cell secreted substances called SPMs (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s).
  • SPMs 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s
  • various types of inflammation-relieving factors such as lipids, peptides, and proteins control the inflammatory response, including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through specific receptors such as GPCRs.
  • the inflammation-resolution induction strategy is an innovative immunotherapy strategy that controls transient/sustained inflammatory responses using agonists that strengthen the inflammation-resolution mechanism.
  • the targets of inflammation-resolving induction treatment strategies not only include inflammatory diseases that occur due to immune dysfunction in various tissues such as the skin, respiratory system, digestive system, eyes, musculoskeletal system, and circulatory system, but also the inflammatory response that occurs upon onset plays a major role in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Diseases that affect it are also included. In particular,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Parkinson's disease and Alzheimer's disease, which are neurological diseases in which neuroinflammation is well kn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worsening symptoms. In addition, as the importance of the impact of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on cancer progression has been confirmed, especially in solid cancer, anticancer treatment through immune regulation through induction of inflammation is being evaluated as a new strategy.
  • Receptors of the Formyl-Peptide Receptor (FPR) family are G Protein-Coupled Receptors (GPCRs) that mainly exist in immune cells and mediate various cellular functions through lower-level signaling systems.
  • GPCRs G Protein-Coupled Receptors
  • FPR1 mainly binds to bacterial-derived peptides to induce an acute inflammatory response and mediates a defense function
  • FPR2 binds to various types of endogenous ligands (peptides, proteins, lipids) to control inflammatory responses, and has been shown to be used as a treatment for inflammatory diseases.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target.
  • FPR2 is a receptor for representative anti-inflammatory factors (LXA4, AnxA1, Ac2-26, RvD1, etc.) that are expressed on innate immune cells and mediate the induction of an anti-inflammatory respons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PR2, which has complex ligands, peptides, lipids, proteins, Attempts are being made to develop various types of substances, such as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s FPR2-targeted inflammation-relieving therapeutic substances.
  • Atopic dermatitis, psoriasis, asthma, and lung injury are inflammatory diseases that occur in various tissues such as the skin, respiratory system, digestive system, eyes, musculoskeletal system, and circulatory system due to abnormal local or systemic immune responses.
  • Patent Document 1 a peptide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nd secured a patent
  • Patent Document 2 a peptide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and immune function regulating abilities and secured a patent
  • Patent Document 1 KR Registration Patent No. 10-1855170
  • Patent Document 2 KR Registration Patent No. 10-217023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peptide that has an immunomodulatory function and efficacy in treating immune diseases by inducing an inflammation-resolving response.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various uses of the peptide, such a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anti-inflammatory cosmetic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or canc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ptide consisting of an amino acid sequence described as X1-X2-X3-X4-X5-X6-m,
  • X1 is absent or is arginine (R), lysine (K), histidine (H), or proline (P);
  • X2 is methionine (M) or tryptophan (W);
  • X3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X4 is tyrosine (Y);
  • the X5 is arginine (R) or lysine (K) as a basic amino acid, or tryptophan (W) or tyrosine (Y) as an aromatic amino acid;
  • X6 is proline (P), tyrosine (Y), or valine (V); Provides a peptide wherein m is D-type methionin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ptide consisting of an amino acid sequence described as X2-X3-X4-X5-X6-m,
  • X2 is isoleucine (I), proline (P), or histidine (H);
  • X3 is lysine (K);
  • X4 is tyrosine (Y) or phenylalanine (F);
  • X5 is lysine (K) or tryptophan (W);
  • X6 is valine (V), proline (P), tyrosine (Y), or methionine (M); Provides a peptide wherein m is D-type methionin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ptide consisting of an amino acid sequence described as X1-X2-X3-X4-X5-X6-m,
  • X1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the X2 is an aromatic amino acid and is tryptophan (W);
  • X3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X4 is tyrosine (Y);
  • X5 is arginine (R), lysine (K), leucine (L), asparagine (N), phenylalanine (F), or threonine (T);
  • X6 is isoleucine (I), threonine (T), tyrosine (Y), or valine (V); Provides a peptide wherein m is D-type methionine.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s comprising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is provided.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is provided.
  • an anti-inflammatory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is provided.
  • the novel pep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unction of regulating the activity of immune cells and has the function of treating immune diseases or cancer by inducing an inflammatory response, so it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nti-inflammatory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e diseases or cancer containing it. .
  • Figure 1 analyzes the ability of peptides to inhibit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t the individual level.
  • Figure 2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peptides in improving severity scores for collagen-induced arthritis.
  • Figure 3 analyzes corneal damage (A) and corneal opacity (B) following peptide administration in a BAC-induced dry eye model.
  • Figure 4 analyzes body weight (A) and colon length (B) according to peptide administration in the DSS-induced colitis model.
  • Figure 5 analyzes the ability of the peptide to inhibit cytokine expression in SK-N-MC neuron cell line (A) and rat DRG neuron (B).
  • Figure 6 analyzes the improvement in dopaminergic neuron nerve terminal density (A) and neuron number (B) in the MPTP-induced Parkinson's disease model of the peptide.
  • Figure 7 analyzes the tumor growth inhibition efficacy of the peptid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vel peptide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functions to control inflammatory responses.
  • a peptide consisting of an amino acid sequence described as X1-X2-X3-X4-X5-X6-m,
  • X1 is absent or is arginine (R), lysine (K), histidine (H), or proline (P);
  • X2 is methionine (M) or tryptophan (W);
  • X3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X4 is tyrosine (Y);
  • the X5 is arginine (R) or lysine (K) as a basic amino acid, or tryptophan (W) or tyrosine (Y) as an aromatic amino acid;
  • X6 is proline (P), tyrosine (Y), or valine (V); Provides a peptide wherein m is D-type methionine.
  • peptide refers to a polymer composed of one or more amino acids linked by amide bonds (or peptide bonds), and includes not only peptides but also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peptides.
  • the amino terminus (or N-terminus) of a peptide appears at the left end of the recit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peptide, and the carboxy terminus (or C-terminus) appears at the right end of the recited amino acid sequence.
  • the amino acid sequence of a peptide may be written with a single letter symbol to indicate which amino acids are covalently linked by peptide bonds. If the D-conformation is not specifically indicated, the L-conformation can be assumed, and the amino acid residues constituting the peptide may be natural or non-natural amino acid residues.
  •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various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 proteins in the living body can be extracted and treated with proteolytic enzymes to reduce the molecular weight, or biologically manufactured using genetic recombination and protein expression systems, or synthesized in vitro through chemical synthesis such as peptide synthesis. It can be produced by a method or a cell-free protein synthesis method.
  • X1 is absent or is arginine (R), lysine (K), histidine (H), or proline (P);
  • X2 is methionine (M) or tryptophan (W);
  • X3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X4 is tyrosine (Y);
  • X5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X6 is proline (P), tyrosine (Y), or valine (V);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1 is absent or is arginine (R) or lysine (K);
  • X2 is methionine (M) or tryptophan (W);
  • X3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X4 is tyrosine (Y);
  • the X5 is an aromatic amino acid and is tryptophan (W);
  • X6 is proline (P), tyrosine (Y), or valine (V);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1 is absent or is arginine (R) or lysine (K);
  • X2 is methionine (M) or tryptophan (W);
  • the X3 is arginine (R) as a basic amino acid;
  • X4 is tyrosine (Y);
  • the X5 is an aromatic amino acid and is tyrosine (Y);
  • X6 is proline (P), tyrosine (Y), or valine (V);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1 is absent or is arginine (R), lysine (K), histidine (H), or proline (P);
  • X2 is methionine (M) or tryptophan (W);
  • X3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X4 is tyrosine (Y);
  • the X5 is a basic amino acid and is lysine (K);
  • X6 is proline (P), tyrosine (Y), or valine (V);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1 is absent or is arginine (R);
  • X2 is methionine (M) or tryptophan (W);
  • X3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X4 is tyrosine (Y);
  • the X5 is an aromatic amino acid and is tryptophan (W);
  • X6 is proline (P), tyrosine (Y), or valine (V);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1 is absent or is arginine (R);
  • X2 is methionine (M) or tryptophan (W);
  • the X3 is arginine (R) as a basic amino acid;
  • X4 is tyrosine (Y);
  • the X5 is an aromatic amino acid and is tyrosine (Y);
  • X6 is proline (P), tyrosine (Y), or valine (V);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one of the above peptides is used to obtain better chemical stability, enhanced pharmacological properties (half-life, absorption, potency, potency, etc.), altered specificity (e.g., broad spectrum of biological activity), and reduced antigenicity.
  • more amino acids can be chemically modified.
  • the term 'stability' is used to include not only in vivo stability, which protects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ttack by protein-cleaving enzymes in vivo, but also storage stability (e.g., storage stability at room temperature).
  • a protecting group may be added to the N-terminus or C-terminus of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tecting group is acetyl group, butanoyl group, hexanoyl group, octanoyl group, fluorenylmethoxycarbonyl group, palmitoyl group, myristoyl group, stearyl group, butoxycarbonyl group, aryloxycarbonyl group, or polyethylene glycol (PEG) group.
  • PEG polyethylene glycol
  • the N-terminal amino acid of the peptide may have the N-terminal amino group (H2N-) alkylated or acylated.
  • the N-terminal amino group of the peptide can be acylated to contain an aliphatic acyl group (i.e., including an acetyl group, myristoyl group, butanoyl group, etc.), a carboxylic acid, benzoic acid, trifluoroacetic acid, or a sulfonic acid. there is.
  • the N-terminal amino group of the peptide may be alkylated with an aliphatic alkyl, halide, or aliphatic alkynesulfonic acid ester.
  • the C-terminal carboxyl group (-COOH) of the peptide may be amidated or esterified.
  • the C-terminal carboxyl group can be chemically modified to form amines and amides.
  • the C-terminal carboxyl group can be chemically modified to form an ester with an alcohol.
  • the side chains of the amino acids of the peptide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emically modified.
  • the phenyl group in tyrosine may be substituted with an aliphatic alkyl group, an aliphatic carboxyl group, or an alkoxy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psilon amino group in lysine can be chemically modified, for example, by amide formation with an aliphatic carboxylic acid group, a benzoic acid group, or an amino acid group.
  • the epsilon amino group in lysine may be chemically modified by alkylation of one or two C1 to C4 aliphatic alkyl group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etyl group, butanoyl group, hexanoyl group, and octanoyl group may be added to the N-terminus of the peptide.
  • the C-terminus of the peptide may be amidated.
  • the peptide may be composed of any on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s: 1 to 127.
  • a peptide consisting of an amino acid sequence described as X2-X3-X4-X5-X6-m,
  • X2 is isoleucine (I), proline (P), or histidine (H);
  • X3 is lysine (K);
  • X4 is tyrosine (Y) or phenylalanine (F);
  • X5 is lysine (K) or tryptophan (W);
  • X6 is valine (V), proline (P), tyrosine (Y), or methionine (M); Provides a peptide wherein m is D-type methionine.
  • X2 is isoleucine (I), proline (P), or histidine (H);
  • X3 is lysine (K);
  • X4 is tyrosine (Y) or phenylalanine (F);
  • X5 is lysine (K) or tryptophan (W);
  • X6 is valine (V) or proline (P);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2 is isoleucine (I) or histidine (H);
  • X3 is lysine (K);
  • X4 is tyrosine (Y) or phenylalanine (F);
  • X5 is lysine (K) or tryptophan (W);
  • X6 is tyrosine (Y) or methionine (M);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2 is isoleucine (I) or proline (P);
  • X3 is lysine (K);
  • X4 is tyrosine (Y) or phenylalanine (F);
  • X5 is lysine (K) or tryptophan (W);
  • X6 is valine (V);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2 is isoleucine (I) or histidine (H);
  • X3 is lysine (K);
  • X4 is tyrosine (Y) or phenylalanine (F);
  • X5 is lysine (K) or tryptophan (W);
  • X6 is proline (P);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2 is isoleucine (I); X3 is lysine (K); X4 is phenylalanine (F); X5 is lysine (K) or tryptophan (W); X6 is tyrosine (Y) or methionine (M);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2 is isoleucine (I) or proline (P);
  • X3 is lysine (K);
  • X4 is tyrosine (Y) or phenylalanine (F);
  • X5 is lysine (K);
  • X6 is valine (V);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2 is isoleucine (I) or histidine (H);
  • X3 is lysine (K);
  • X4 is tyrosine (Y) or phenylalanine (F);
  • X5 is lysine (K) or tryptophan (W);
  • X6 is proline (P);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2 is isoleucine (I); X3 is lysine (K); X4 is phenylalanine (F); X5 is lysine (K) or tryptophan (W); X6 is tyrosine (Y) or methionine (M);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etyl group, butanoyl group, hexanoyl group, and octanoyl group may be added to the N-terminus of the peptide.
  • the C-terminus of the peptide may be amidated.
  • the peptide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the amino acid sequences of SEQ ID NOs: 128 to 151.
  • a peptide consisting of an amino acid sequence described as X1-X2-X3-X4-X5-X6-m,
  • X1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the X2 is an aromatic amino acid and is tryptophan (W);
  • X3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X4 is tyrosine (Y);
  • X5 is arginine (R), lysine (K), leucine (L), asparagine (N), phenylalanine (F), or threonine (T);
  • X6 is isoleucine (I), threonine (T), tyrosine (Y), or valine (V); Provides a peptide wherein m is D-type methionine.
  • X1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the X2 is an aromatic amino acid and is tryptophan (W);
  • X3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X4 is tyrosine (Y);
  • X5 is arginine (R) or lysine (K);
  • X6 is isoleucine (I) or threonine (T);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1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the X2 is an aromatic amino acid and is tryptophan (W);
  • X3 is a basic amino acid that is arginine (R) or lysine (K);
  • X4 is tyrosine (Y);
  • X5 is leucine (L), asparagine (N), phenylalanine (F), or threonine (T);
  • X6 is tyrosine (Y) or valine (V);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1 is arginine (R) as a basic amino acid
  • the X2 is an aromatic amino acid and is tryptophan (W);
  • the X3 is arginine (R) as a basic amino acid;
  • X4 is tyrosine (Y);
  • X5 is arginine (R) or lysine (K);
  • X6 is isoleucine (I) or threonine (T);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X1 is arginine (R) as a basic amino acid
  • the X2 is an aromatic amino acid and is tryptophan (W);
  • the X3 is arginine (R) as a basic amino acid;
  • X4 is tyrosine (Y);
  • X5 is leucine (L), asparagine (N), phenylalanine (F), or threonine (T);
  • X6 is tyrosine (Y) or valine (V);
  • the m may be D-type methionine.
  •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etyl group, butanoyl group, hexanoyl group, and octanoyl group may be added to the N-terminus of the peptide.
  • the C-terminus of the peptide may be amidated.
  • the peptide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the amino acid sequences of SEQ ID NOs: 152 to 160.
  • the peptide may directly or indirectly act as an immunomodulatory peptide that plays an immunomodulatory role, such as regulat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immune cells, migration of immune cells, and regulating inflammatory responses of epidermal or endothelial cells.
  • the immunomodulatory peptide is used in phagocytic cells such as neutrophils and monocytes, antigen presenting cells such as dendritic cells, eosinophils, and basophils.
  • immune regulatory function by inducing an inflammatory response through activation of formyl peptide receptor 2 (FPR2) expressed in immune cells such as mast cells, microglia, nerve cells, epidermal cells, and endothelial cells. It can be expressed.
  • FPR2 formyl peptide receptor 2
  • the pep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high FPR2 activation efficacy even at low concentrations, and selectivity was also confirmed to be high when compared to FPR1.
  • the present inventors measured changes in intracellular cytokine gene expression in inflammatory situations to determine whether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intracellular inflammatory responses. As a result, inflammatory cytokines (TNF ⁇ , IL-6, IL-1 ⁇ ) ) was confirmed to be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icacy of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hibit inflammatory response at the individual level was confirmed in an animal mode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containing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the use of the peptid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and the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eptide to a subject.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containing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the use of the peptid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and the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eptide to a subject.
  • the immune disease is atopic dermatitis, psoriasis, infantile eczema, sepsis, conjunctivitis, keratitis, dry eye. eye syndrome, asthma, lung injury, lung inflammation, rheumatoid arthritis, ankylosing spondylitis,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s disease), peritonitis, systemic sclerosis, neuroinflammation, Parkinson's disease, or Alzheimer's disea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 atopic dermatitis see Baxendell et al. J Immunol May 1, 2018, 200 (1 Supplement) 105.4;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soriasis.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soriasis.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antile eczema.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antile eczema.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epsis.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epsis.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njunctivitis.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njunctivitis.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keratitis.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keratitis.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eye syndrome.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eye syndrome.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sthma.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sthma.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damage.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damage.
  • the immunoregulatory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inflammation.
  • the immunoregulatory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inflammation.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nkylosing spondylitis.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nkylosing spondylitis.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ulcerative colitis or Crohn's disease.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ulcerative colitis or Crohn's disease.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cleroderma.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cleroderma.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inflammation.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inflammation.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 the peptide can act as an inflammation-relieving factor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tumor growth was inhibited when treating animal models with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eptide that induces the inflammation-relieving effect can inhibit tumor growth through immune regul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ntaining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a use of the peptide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and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eptide to a subject. do.
  • the cancer may be solid cancer or non-solid cancer, and may include gastric cancer, breast cancer, lung cancer, liver cancer, blood cancer, Bone cancer, pancreatic cancer, skin cancer, head or neck cancer, cutaneous or intraocular melanoma, uterine sarcoma, ovarian cancer ( ovarian cancer, rectal cancer, anal cancer, colon cancer, colorectal cancer, fallopian tube carcinoma, endometrial carcinoma, cervical cancer cancer, small intestine cancer, endocrine cancer, thyroid cancer, parathyroid cancer, adrenal cancer, soft tissue tumor, urethral cancer It may be cancer, prostate cancer, bronchogenic cancer, bone marrow tumor, or lymphoma.
  • the cancer is breast cancer, colon cancer, colorectal cancer, lung cancer, ovarian cancer, pancreatic cancer, melanoma. , or lymphom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eptide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FPR2 receptor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suppresses or delays immune disease or cancer by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reatment refers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eans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ts the symptoms of immune disease or cancer.
  • subject refers to a subject in need of prevention or treatment of a disease, and more specifically, any mammal, such as humans and primates, in need of prevention or treatment of an immune disease or cancer.
  • livestock such as cows, pigs, sheep, horses, dogs, and cats without limitation, but may preferably be humans.
  •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the drug can reach the target tissue, and may be administered to the subject orally or parenterally.
  •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arterial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topical administration (including dermal application, instillation, and inhala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intrathecal, and epidural.
  •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intraocular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intrarectal administration, intravaginal administration, etc. may be perform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in any convenient pharmaceutical product form, such as tablets, powders, granules, capsules, oral solutions, solutions, dispersions, suspensions, syrups, sprays, suppositories, and gels. , can be administered as an emulsion, patch, etc.
  • peptides are digested, so it is desirable for oral compositions to be coated with the active agent or formulated to protect them from decomposition in the stomach.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pharmaceutically or physiolog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and diluent refers to a carrier, excipient, and diluent that does not irritate living organisms and does not inhibit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roperties of the administered compound.
  •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such compositions include saline,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albumin injectable solution, glycerol, ethanol,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amorphous cellulose, hypromel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 the composition may additionally contain conventional dispersants, fillers, extenders, binders, disintegrants, surfactants, anti-coagula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fragrances, emulsifiers, preservatives, freeze-drying agents, etc.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n injection.
  • injectables may be formulated as intravenous or subcutaneous injections. In the case of parenteral injections, they may contain ingredients included in general injection compositions.
  • the injectable composition includes a liquid carrier such as sterile water, water for injection, or physiological saline. Additionally, it may further include amino acids, sugars, lipids, vitamins, electrolytes, pH adjusters, stabilizers, osmotic pressure adjusters, or solubilizer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n administered topically, it can be formulated into formulations such as ointment, gel, cream, and lotion.
  • the form of local administ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include, for example, application to the skin, instillation into the eye, transdermal penetration using a microneedle, intradermal injection, etc.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base, excipients, lubricants and preservativ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dministered in the form of eye drops, 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ing agent, thickening agent, isotonic agent, pH adjuster, and solv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dministered in ointment form for skin applic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gelling agent, stabilizing agent, emulsifying agent, and suspending ag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dministration and disease.
  • the amount of active ingredient actually administered depends on various related factors, such as the disease to be treate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whether or not it is co-administered with other drugs, the activity of the drug, sensitivity to the drug, the patient's age, gender, weight, food, and administration time.
  • administration route, and administration ratio of the composition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in divided doses 1-3 times, although the dosage and route of administration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administered at a dose of 0.001 mg/kg to 1 g/kg, more preferably 0.1 mg/kg to 100 mg/kg. You can. Meanwhile, the dosag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patient's age, gender, and cond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inflammatory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a use of the peptide for suppressing inflammation, and a method for suppressing inflammation comprising applying the peptide to a subject.
  • the anti-inflammatory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general emulsified formulation or solubilized formulation.
  • makeup base, foundation such as liquid type, solid type or spray type
  • makeup remover such as powder, cleansing cre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oil, cleansing agent such as cleansing foam, soap, body wash, etc., oil, patch, etc.
  • the cosmetic composition includes pearl agent, thickener, viscosity modifier, pH adjuster, fatty substance, organic solvent, solubilizer, thickener and gelling agent, softener, antioxidant, suspending agent, stabilizer, foaming agent, and fragrance. , surfactants, water, ionic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sequestering agents and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preservatives, vitamins, blocking agent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activators, lipophilic activators,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uxiliaries and carrier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cosmetics, such as lipid vesicles or any other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s.
  • the present inventors observed changes in calcium ion permeability of candidate immunomodulatory peptide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whether they activate the body's immune function. Specifically, to confirm whether the peptide activates FPR2, the concentr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ions was measured.
  • the present inventors used RBL cells that did not express FPR2 (RBL-WT) and cells that overexpressed FPR2 in RBL cells (RBL-FPR2), and used a method to sensitively measure the release of intracellular calcium ions.
  • Fura-2/AM a dye with strong binding force, was used.
  • the peptide dissolved in water or 50% DMSO at a concentration of 0.5mM was prepared by diluting it to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in HBSS (Sigma, #55037C) + 20mM HEPES buffer.
  • cells were cultured in DMEM (Lonza, #BE12-604F)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at 37°C and 5% CO2.
  • DMEM Nonza, #BE12-604F
  • FBS fetal bovine serum
  • Penicillin-Streptomycin 37°C and 5% CO2.
  • the immunomodulatory pep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have an EC 50 value for FPR2 of generally 100 nM or less, while the EC 50 value for FPR1 was 10000 nM or mor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munoregulatory peptide specifically binds to FPR2.
  • the present inventors observed the cytokine inhibition ability of candidate immunomodulatory peptide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o determine whether the peptide reduces intracellular inflammatory response, changes in intracellular cytokine gene expression in inflammatory situations were measured.
  • the present inventors used the RAW264.7 cell line, which is a mouse macrophage cell, and used Lipopolysaccharide (LPS; Sigma-Aldrich, #L2630), a major component of the cell wall of Gram-negative bacteria, as a substance to induce an inflammatory response.
  • Peptides were prepared dissolved in water at a concentration of 100 ⁇ M.
  • cells were cultured in DMEM (Lonza, #BE12-604F)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at 37°C and 5% CO 2 conditions.
  • DMEM Nonza, #BE12-604F
  • FBS fetal bovine serum
  • Penicillin-Streptomycin 37°C and 5% CO 2 conditions.
  • the present inventors observed the efficacy of suppressing inflammatory responses at the individual level for immunomodulatory peptide candidate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o confirm whether the peptide controls the inflammatory response at the individual level, changes in cytokines were observed in a lipopolysaccharide (LPS; Sigma-Aldrich, #L2630)-induced acute peritonitis model.
  • LPS lipopolysaccharide
  • the present inventors used C57BL/6 mice about 6 weeks old, and used LPS mixed with 5% mannitol (D-Mannitol; Sigma-Aldrich, #M8429) as a peritoneal inflammatory disease-inducing substance. Inflammatory substance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into mice to induce peritoneal inflammatory disease, and peptides were injected once intraperitoneally immediately after injection of the inflammatory substances.
  • Blood and abdominal lavage fluid were collected 6 or 24 hours after the end of peptide administration, and inflammatory factors such as cytokines were analyzed using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echnique.
  •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the present inventors observed the efficacy of improving rheumatoid arthritis using an immunomodulatory peptide candida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peptide reduces intracellular inflammatory response, changes in arthritis symptoms such as clinical score and sole swelling in a collagen-induced arthritis (CIA) model were measured.
  • CIA collagen-induced arthritis
  • the present inventors used DBA1/J mice about 8-12 weeks old, and used a mixture of CFA (complete fraud adjuvant), a substance that causes an inflammatory response, and bovine Type II collagen as an arthritis-inducing substance. Arthritis was induced by injecting the inflammatory substance into the mouse's tail for the first time ( 1st injection), and about 2-3 weeks later, the inflammatory substance was injected the second time ( 2nd boosting). Within a few days, the peptide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once every two days, a total of 10 times.
  • CFA complete fraud adjuvant
  • bovine Type II collagen bovine Type II collagen
  • Paw score Clinical observations 0 Normal feet. No obvious differences in appearance compared to healthy mice. One Inflammation and swelling of one or both toes. There is no noticeable swelling in the feet or ankles. 2 Three or more toes are inflamed and swollen, but there is no swelling of the foot or mild swelling of the entire foot. 3 Swelling of the entire foot. 4 Severe swelling of the entire foot and all toes, or stiffness of the ankles and toes, preventing the mouse from grasping the wire top of the cage.
  • the present inventors observed the efficacy of improving dry eye syndrome using an immunomodulatory peptide candida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o determine whether the peptide improves dry eye symptoms, changes in dry eye symptoms such as corneal damage and corneal opacity were measured in a benzalkonium chloride (BAC)-induced dry eye disease (DED) model. .
  • BAC benzalkonium chloride
  • DED dry eye disease
  • the present inventors treated BAC with a dry eye syndrome inducing agent in C57BL/6 mice of approximately 12-16 weeks of age.
  • BAC was administered topically by instillation into the right eye twice a day for a total of 16 days.
  • the present inventors observed the efficacy of improving colitis using immunomodulatory peptide candidate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eptide reduces the inflammatory response that occurs in the large intestine, changes in colitis symptoms such as change in weight and length of the intestine were measured in a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colitis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s) model. Measured.
  • DSS Dextran Sulfate Sodium
  • the present inventors used C57BL/6 mice of about 7-8 weeks of age, dissolved 2.5% DSS in water as a colitis-inducing substance, and allowed them to freely drink the water. After 3 days, the existing water was discarded and the subjects were made to drink newly prepared 2.5% DSS water for two more days. After a total of 5 days, the water was replaced with fresh water. Starting the day after providing 2.5% DSS, 100 ⁇ l of peptide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once a day.
  • the present inventors observed the ability to inhibit neuroinflammation of candidate immunomodulatory peptide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o determine whether the peptide reduces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nerve cells, changes in cytokine gene expression within nerve cells in an inflammatory situation were measured.
  • the present inventors used the SK-N-MC cell line, which is a human neuron, and the dorsal root ganglion neuron (DRG neuron), which is a rat neuron.
  • DRG neuron dorsal root ganglion neuron
  • cells were cultured in Neuronal cell culture medium at 37°C and 5% CO 2 conditions.
  • Lipopolysaccharide (LPS; Sigma-Aldrich, #L2630) a main component of the cell wall of Gram-negative bacteria, was used as a substance that would cause an inflammatory reaction.
  • Peptides dissolved in water at a concentration of 1mM were prepared.
  • the present inventors observed the efficacy of an immunomodulatory peptide candida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brain diseases involving neuroinflammation. Specifically,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peptide reduces Parkinson's disease based on its effectiveness in suppress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nerve cells, changes in the number of dopaminergic neurons and the density of terminal fibers in brain tissue were measured in an MPTP-induced Parkinson's disease animal model. Changes were analyzed.
  • the present inventors used C57BL/6 mice of about 7-8 weeks of age and used MPTP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hydrochloride), which causes a neuroinflammatory response, as a brain lesion-inducing substance. used. After inducing the disease by intraperitoneally administering 15 mg/kg MPTP 4 times, the peptide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a total of 7 times for 7 days.
  • the mouse was anesthetized and perfused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and fixative (4% paraformaldehyde) to remove blood, fix tissue, and remove the brain.
  • phosphate buffered saline and fixative 4% paraformaldehyde
  • a section slide was made and dopaminergic neurons were stained through TH staining. Afterwards, the stained tissue was photographed under a microscope and the recovery of the number of dopaminergic neurons and the density of nerve terminal fibers was analyzed.
  • the present inventors observed the tumor growth inhibition ability of the immunomodulatory peptide candida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o confirm whether the peptide inhibits tumor growth, changes in tumor size were measured in a tumor cell transplantation animal model.
  • the present inventors used C57BL/6 mice about 8 weeks old and used CT-26 cell line as colon cancer cells. 2.5 ⁇ 10 5 cells were implanted subcutaneously on the side of the mouse to induce tumor growth for about 2 weeks. Animals whose tumors grew to a uniform size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drug administration groups. For the next two weeks, peptide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five times a week, and the positive control drug, 5-FU (5-Fluorouracil),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wice a week.
  • 5-FU 5-FU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 반응 제어 기능을 가지는 새로운 면역조절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면역세포의 활성을 조절하여 염증이나 각종 면역질환 또는 암의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염증해소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본 발명은 신규 펩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항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해소(Resolution of inflammation)는 내재면역반응(innate immune response)을 종료하고 조직 항상성 회복과 적절한 적응면역반응(adaptive immune response)을 유도하는 생체 기전이다. 과거에는 염증해소 작용은 염증반응 이후 나타나는 수동적인 현상 정도로 이해되어 왔으나 최근 염증해소 매개 인자들이 확인되면서 복합적인 인자들이 관여하여 염증반응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능동적인 생체 기전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상처, 외부 물질 접촉, 감염 등이 발생하는 경우 내재면역체계의 급성 염증반응을 통해 방어 작용이 발생한 후 염증해소 작용이 작동하여 염증반응을 적절한 수준으로 제어하고 손상 조직의 치유와 회복을 유도한다. 염증해소 작용은 염증조직에 더 이상의 중성구 침투를 제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지질 염증물질과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등의 감소를 매개한다. 이후 대식세포의 efferocytosis 유도를 통해 손상 조직 또는 사멸세포의 제거를 촉진하며 이를 위해 염증성 대식세포를 감소시키고 항염증 특성을 가지는 대식세포의 증가를 유도한다. 적절한 염증해소 작용은 정상적인 적응면역반응을 매개하여 향후 반복되는 염증상황에서의 대응능력을 강화한다. 그러나 불충분한 염증해소 작용은 염증반응이 과도/지속적으로 발생해 다양한 만성 염증질환을 유발하며, 비정상적인 적응면역반응으로 자가면역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염증해소 반응은 SPMs (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s) 등으로 불리는 세포 분비물질인 염증해소 인자(pro-resolving factors)들을 통해 유도된다. 염증해소 반응이 시작되면 지질, 펩타이드, 단백질 등 다양한 형태의 염증해소 인자들이 GPCR 등의 특이적 수용체를 통해 면역세포의 활성 등 염증반응을 제어한다.
현재 염증치료제는 특정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특정 수용체 또는 그 리간드를 상쇄(antagonising)하여 염증반응의 발생 자체를 억제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항염증 전략은 급성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강력히 억제할 수 있으나, 정상적인 면역 반응도 함께 억제하여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하며 특히 장기 약물 투여가 필요한 만성염증/자가면역질환 환자의 면역력저하와 2차감염 위험성 등 안전성이 우려되므로, 새로운 접근법을 통한 안전한 염증반응 제어 효능과 안전성을 갖춘 치료제 개발 필요성 대두되고 있다. 염증해소 유도 전략은 염증해소 기전을 강화하는 작용제(agonist)를 이용하여 과도/지속적인 염증반응을 제어하는 방식의 혁신적인 면역치료 전략이다. 특히 정상 면역반응에 제한적인 영향으로 장기 약물 투여가 필요한 만성염증/자가면역질환 치료에서 부작용 우려가 높은 광범위 면역억제제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염증해소 유도 치료 전략의 대상으로는 피부, 호흡기, 소화기, 안구, 근골격계, 순환계 등 다양한 조직에서 면역작용이상으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들이 포함될 뿐만 아니라, 발병에 따라 발생하는 염증반응이 질병의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들도 포함된다. 특히 신경염증(neuroinflammation) 반응이 증상 악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신경계 질환인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가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고형암을 중심으로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에서의 염증반응이 암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이 확인되면서 염증해소 유도를 통한 면역조절을 통한 항암치료도 새로운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FPR(Formyl-Peptide Receptor) 계열의 수용체들은 주로 면역세포 등에 존재하여 하위 신호전달체계를 통해 다양한 세포 기능을 매개하는 G단백질결합수용체(GPCR, G Protein-Coupled Receptor)이다. FPR1은 주로 박테리아 유래 펩타이드에 결합하여 급성 염증반응을 유도하여 방어 작용을 매개하는 반면 FPR2는 다양한 형태(펩타이드, 단백질, 지질)의 내인성 리간드에 결합하여 염증반응을 제어하는 기능이 밝혀지며 염증질환 치료제 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FPR2는 내재면역세포 등에 발현하여 염증해소 반응 유도을 매개하는 대표적인 염증해소 인자(LXA4, AnxA1, Ac2-26, RvD1 등)들의 수용체로, 복합적 리간드를 가지는 FPR2의 특성을 바탕으로 펩타이드, 지질, 단백질, 저분자 화합물 등 다양한 형태의 물질을 FPR2-표적 염증해소 유도 치료제 물질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소 또는 전신의 면역반응 이상으로 피부, 호흡기, 소화기, 안구, 근골격계, 순환계 등 다양한 조직에서 나타나는 염증성 질환으로서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건선(psoriasis), 천식(asthma), 폐 손상(lung injury), 폐 염증(lung inflammation), 막염(conjunctivitis), 각막염(keratitis), 안구 건조증(dry eye syndrome),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피부경화증(Systemic sclerosis) 등 다양한 염증성질환 치료에서의 유효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치료제 개발이 주를 이룬다. 또한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등 퇴행성 뇌 질환에서 뇌에서 면역기능을 하는 미세아교세포(microglial cell)나 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신경염증의 중요성과, 암(cancer) 진행에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의 면역세포와 기저세포 등에서 발생하는 염증반응과의 암 세포 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확인되고 염증해소를 통한 신경계 질환 및 암 치료 전략의 유효성에 대한 다수의 연구개발 결과가 보고되면서 새로운 접근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 심부전(Heart failure),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혈전증(Cardiovascular thrombosis), 크론병(Cronh's disease) 등을 대상으로 FPR2-표적 펩타이드, 저분자 화합물들의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본 발명자는 선행 연구에서 항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개발하여 특허를 확보하였으며(특허문헌 1), 항균 및 면역기능 조절 능력이 우수한 펩타이드를 개발하여 특허를 확보한 바 있다(특허문헌 2).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KR 등록특허 제10-1855170호
특허문헌 2 : KR 등록특허 제10-2170236호
본 발명은 염증 해소 반응 유도로 면역조절 기능과 면역질환 치료 효능을 갖는 신규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면역질환 또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항염 화장료 조성물 등 상기 펩타이드의 다양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X1-X2-X3-X4-X5-X6-m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로서,
상기 X1은 없거나 아르기닌(R), 리신(K), 히스티딘(H)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거나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 또는 티로신(Y)이고; 상기 X6는 프롤린(P),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인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X2-X3-X4-X5-X6-m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로서,
상기 X2은 이소류신(I), 프롤린(P) 또는 히스티딘(H)이고; 상기 X3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 또는 페닐알라닌(F)이고; 상기 X5는 리신(K)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발린(V), 프롤린(P), 티로신(Y) 또는 메티오닌(M)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인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X1-X2-X3-X4-X5-X6-m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로서,
상기 X1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2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아르기닌(R), 리신(K), 류신(L), 아스파라긴(N), 페닐알라닌(F) 또는 트레오닌(T)이고; 상기 X6는 이소류신(I), 트레오닌(T),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인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펩타이드는 면역세포의 활성 조절 기능을 가지며 염증해소 반응 유도로 면역질환 또는 암 치료 기능을 가지므로, 이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나 항염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펩타이드의 개체 수준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능을 분석한 것이다.
도 2는 펩타이드의 콜라겐 유도 관절염에 대한 중증도 점수 개선 효능을 분석한 것이다.
도 3은 BAC 유도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각막손상(A)과 각막 혼탁도(B)를 분석한 것이다.
도 4는 DSS 유도 대장염 모델에서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몸무게(A)와 대장 길이(B)를 분석한 것이다.
도 5는 펩타이드의 SK-N-MC 신경세포주(A)와 랫드 DRG neuron(B)의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능을 분석한 것이다.
도 6은 펩타이드의 MPTP 유도 파킨슨병 모델의 도파민 신경세포 신경말단 밀도(A)와 신경세포 수(B) 개선을 분석한 것이다.
도 7은 펩타이드의 종양 성장 억제 효능을 분석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FPR2 수용체에 결합하여 염증반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규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X1-X2-X3-X4-X5-X6-m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로서,
상기 X1은 없거나 아르기닌(R), 리신(K), 히스티딘(H)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거나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 또는 티로신(Y)이고; 상기 X6는 프롤린(P),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인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펩타이드(petide)"는 아미드 결합(또는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폴리머를 의미하며, 펩타이드뿐만 아니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펩타이드의 염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펩타이드의 아미노 말단(또는 N-말단)은 펩타이드의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왼쪽 끝에 나타내고, 카복시 말단(또는 C-말단)은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오른쪽 끝에 나타낸다.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공유결합된 아미노산을 나타내기 위해 한 글자 기호로 기재될 수 있다. D-입체형태를 구체적으로 지시하지 않은 경우라면 L-입체형태로 가정할 수 있으며, 상기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잔기는 천연 또는 비-천연아미노산 잔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내의 단백질을 추출한 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저분자량화 하거나, 유전자 재조합 및 단백질 발현시스템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펩타이드 합성과 같은 화학적 합성을 통하여 시험관 내에서 합성하는 방법, 또는 무세포 단백질 합성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1은 없거나 아르기닌(R), 리신(K), 히스티딘(H)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6는 프롤린(P),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1은 없거나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프롤린(P),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1은 없거나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티로신(Y)이고; 상기 X6는 프롤린(P),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1은 없거나 아르기닌(R), 리신(K), 히스티딘(H)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리신(K)이고; 상기 X6는 프롤린(P),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1은 없거나 아르기닌(R)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프롤린(P),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1은 없거나 아르기닌(R)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티로신(Y)이고; 상기 X6는 프롤린(P),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다 나은 화학적 안정성, 강화된 약리 특성 (반감기, 흡수성, 역가, 효능 등), 변경된 특이성 (예를 들어,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성 스펙트럼), 감소된 항원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펩타이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은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안정성'은 생체 내 단백질 절단 효소의 공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보호하는 생체내(in vivo)에서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저장안정성(예컨대, 상온 저장 안정성)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보호기가 부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기는 아세틸기, 뷰타노일기, 헥사노일기, 옥타노일기,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토일기, 스테아릴기, 뷰톡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일 수 있으나, 펩타이드의 개질, 특히 펩타이드의 안정성 증진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펩타이드의 N-말단 아미노산은 N-말단 아미노기(H2N-)가 알킬화 또는 아실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펩타이드의 N-말단 아미노기는 지방족 아실기 (즉, 아세틸기, 미리스토일기, 뷰타노일기 등을 포함한다), 카복실산, 벤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술폰산을 포함하도록 아실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펩타이드의 N-말단 아미노기는 지방족 알킬, 할로겐화물 또는 지방족 알킨술폰산 에스테르에 의해 알킬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펩타이드의 C-말단 카복실기(-COOH)는 아미드화 또는 에스테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말단 카복실기가 아민과 아미드를 형성하여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C-말단 카복실기가 알코올과 에스테르를 형성하여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펩타이드의 아미노산에서의 측쇄는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로신에서의 페닐기는 지방족 알킬기, 지방족 카복실기, 또는 알콕시기 등으로 치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리신에서의 엡실론아미노기(epsilon amino group)는, 예를 들어, 지방족 카복실산 그룹, 벤조산 그룹, 또는 아미노산 그룹과의 아미드 형성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리신에서의 엡실론아미노기는 하나 또는 두 개의 C1 내지 C4 지방족 알킬기의 알킬화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에 아세틸기, 뷰타노일기, 헥사노일기 및 옥타노일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부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의 C-말단이 아미드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127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X2-X3-X4-X5-X6-m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로서,
상기 X2은 이소류신(I), 프롤린(P) 또는 히스티딘(H)이고; 상기 X3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 또는 페닐알라닌(F)이고; 상기 X5는 리신(K)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발린(V), 프롤린(P), 티로신(Y) 또는 메티오닌(M)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인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2은 이소류신(I), 프롤린(P) 또는 히스티딘(H)이고; 상기 X3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 또는 페닐알라닌(F)이고; 상기 X5는 리신(K)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발린(V)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2은 이소류신(I) 또는 히스티딘(H)이고; 상기 X3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 또는 페닐알라닌(F)이고; 상기 X5는 리신(K)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티로신(Y) 또는 메티오닌(M)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2은 이소류신(I)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X3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 또는 페닐알라닌(F)이고; 상기 X5는 리신(K)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2은 이소류신(I) 또는 히스티딘(H)이고; 상기 X3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 또는 페닐알라닌(F)이고; 상기 X5는 리신(K)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프롤린(P)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2은 이소류신(I)이고; 상기 X3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페닐알라닌(F)이고; 상기 X5는 리신(K)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티로신(Y) 또는 메티오닌(M)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2은 이소류신(I)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X3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 또는 페닐알라닌(F)이고; 상기 X5는 리신(K)이고; 상기 X6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2은 이소류신(I) 또는 히스티딘(H)이고; 상기 X3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 또는 페닐알라닌(F)이고; 상기 X5는 리신(K)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프롤린(P)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2은 이소류신(I)이고; 상기 X3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페닐알라닌(F)이고; 상기 X5는 리신(K)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티로신(Y) 또는 메티오닌(M)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에 아세틸기, 뷰타노일기, 헥사노일기, 및 옥타노일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부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의 C-말단이 아미드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28 내지 151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X1-X2-X3-X4-X5-X6-m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로서,
상기 X1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2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아르기닌(R), 리신(K), 류신(L), 아스파라긴(N), 페닐알라닌(F) 또는 트레오닌(T)이고; 상기 X6는 이소류신(I), 트레오닌(T),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인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1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2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6는 이소류신(I) 또는 트레오닌(T)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1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2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류신(L), 아스파라긴(N), 페닐알라닌(F) 또는 트레오닌(T)이고; 상기 X6는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1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이고; 상기 X2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6는 이소류신(I) 또는 트레오닌(T)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X1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이고; 상기 X2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류신(L), 아스파라긴(N), 페닐알라닌(F) 또는 트레오닌(T)이고; 상기 X6는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에 아세틸기, 뷰타노일기, 헥사노일기, 및 옥타노일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부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의 C-말단이 아미드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52 내지 160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면역세포의 염증반응 조절, 면역세포 이동, 표피 또는 내피 세포의 염증 반응 조절 등과 같은 면역조절 역할을 하는 면역조절 펩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면역조절 펩타이드는 호중구(neutrophil) 및 모노사이트와 같은 식세포(phagocytic cell),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와 같은 항원제시세포(antigen presenting cell), 호산구(eosinophil), 호염구(basophil), 비만세포(mast cell), 미세아교세포와 등의 면역세포와 신경세포, 표피세포, 내피세포 등에서 발현되는 포르밀 펩타이드 수용체 2(FPR2)의 활성화를 통해 염증해소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면역조절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하기 실험예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의 경우 FPR2 활성화 효능이 낮은 농도에서도 높게 나타났으며, FPR1과 비교하였을 때 선택성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세포내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상황에서의 세포 내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6, IL-1β)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 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 의한 개체 수준에서의 염증반응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펩타이드의 용도 및 상기 펩타이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면역질환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건선(psoriasis), 유아 습진(infantile eczema), 패혈증(sepsis), 결막염(conjunctivitis), 각막염(keratitis), 안구 건조증(dry eye syndrome), 천식(asthma), 폐 손상(lung injury), 폐 염증(lung inflammation),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복막염(peritonitis), 피부 경화증(Systemic sclerosis), 신경염증(neuroinflammation),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또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Baxendell et al. J Immunol May 1, 2018, 200 (1 Supplement) 105.4;에 개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Liu et al. Sci Rep. 2017 Aug 2;7(1):7100. doi: 10.1038/s41598-017-07485-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유아 습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Wu et al. Br J Dermatol. 2013 Jan;168(1):172-8. doi: 10.1111/j.1365-2133.2012.11177.x.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Walker et al. SHOCK, Vol. 36, No. 4, pp. 410Y416, 201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결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Hodges et al. Mucosal Immunol. 2017 Jan;10(1):46-57. doi: 10.1038/mi.2016.33. Epub 2016 Apr 13. 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각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Zhu et al. Int Immunopharmacol. 2021 Jul;96:107785. doi: 10.1016/j.intimp.2021.107785. Epub 2021 May 24. 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안구 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Gao et al. J Immunol. 2015 Oct 1;195(7):3086-99. doi: 10.4049/jimmunol.1500610. Epub 2015 Aug 31. 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Barnig et al. Eur Respir Rev. 2015 Mar;24(135):141-53. doi: 10.1183/09059180.0001251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폐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Ba et al. J Thorac Dis. 2019 Aug;11(8):3599-3608. doi: 10.21037/jtd.2019.08.86. 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면역조절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폐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Sekheri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2020 Apr 7;117(14):7971-7980. doi: 10.1073/pnas.1920193117. Epub 2020 Mar 2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Kao et al. Br J Pharmacol. 2014 Sep;171(17):4087-96. doi: 10.1111/bph.12768. 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강직성 척추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Kao et al. Br J Pharmacol. 2014 Sep;171(17):4087-96. doi: 10.1111/bph.12768.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참고문헌 Kim et al. Exp Mol Med. 2013 Sep 13;45(9):e40. doi: 10.1038/emm.2013.77.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피부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Park et al. Front Immunol. 2019 Sep 3;10:2095. doi: 10.3389/fimmu.2019.02095. eCollection 2019. 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신경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Ponce et al. Front Aging Neurosci. 2022 Feb 17;14:780811. doi: 10.3389/fnagi.2022.780811. eCollection 2022. 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Krashia et al. Nat Commun. 2019 Sep 2;10(1):3945. doi: 10.1038/s41467-019-11928-w. 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Pamplona et al. Transl Psychiatry. 2022 Oct 10;12(1):439. doi: 10.1038/s41398-022-02208-1. 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염증 해소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동물모델에 처리하는 경우, 종양의 성장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염증해소 작용을 유도하는 펩타이드가 면역조절을 통해 종양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펩타이드의 용도 및 상기 펩타이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암은 고형암 또는 비고형암일 수 있으며, 위암(gastric cancer), 유방암(breast cancer), 폐암(lung cancer), 간암(liver cancer), 혈액암(blood cancer), 뼈암(bone cancer), 췌장암(pancreatic cancer), 피부암(skin cancer), 머리 또는 목암(head or neck cancer), 피부 또는 안구 흑색종(cutaneous or intraocular melanoma), 자궁육종(uterine sarcoma), 난소암(ovarian cancer), 직장암(rectal cancer), 항문암(anal cancer), 대장암(colon cancer), 결장암(colorectal cancer), 난관암(fallopian tube carcinoma),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rcinoma),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소장암(small intestine cancer), 내분비암(endocrine cancer), 갑상선암(thyroid cancer), 부갑상선암(parathyroid cancer), 신장암(adrenal cancer), 연조직종양(soft tissue tumor), 요도암(urethral canc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기관지암(bronchogenic cancer), 골수암(bone marrow tumor), 또는 림프종(lymphoma)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유방암(breast cancer), 대장암(colon cancer), 결장암(colorectal cancer), 폐암(lung cancer), 난소암(ovarian cancer), 췌장암(pancreatic cancer), 흑색종(melanoma), 또는 림프종(lymphom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FPR2 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여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더 자세한 내용은 Kim et al. PLoS One. 2012;7(1):e30522. doi: 10.1371/journal.pone.0030522. Epub 2012 Jan 25; Wang et al. Antioxidants (Basel). 2021 Sep 14;10(9):1459. doi: 10.3390/antiox10091459.; Liu et al. Cancer Res. 2013 Jan 15;73(2):550-60. doi: 10.1158/0008-5472.CAN-12-2290. Epub 2012 Nov 8; Gilligan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2019 Mar 26;116(13):6292-6297. doi: 10.1073/pnas.1804000116. Epub 2019 Mar 12; Du et al. Ann Transl Med. 2021 May;9(9):802. doi: 10.21037/atm-21-1873. Erratum in: Ann Transl Med. 2022 Apr;10(7):428; Sulciner et al. J Exp Med. 2018 Jan 2;215(1):115-140. doi: 10.1084/jem.20170681. Epub 2017 Nov 30; Zhang et al. Front Immunol. 2017 Feb 2;8:71. doi: 10.3389/fimmu.2017.00071; Liotti et al. Cancers (Basel). 2022 Jul 8;14(14):3333. doi: 10.3390/cancers14143333. 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면역 질환 또는 암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여,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면역 질환 또는 암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대상체"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면역 질환 또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 가축을 제한 없이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약물이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를 통해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동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피부 도포, 점적 투여 및 흡입 포함), 경피 투여, 경막 내 및 경막 외 투여, 비강 내 투여, 안 내 투여, 폐 내 투여, 직장 내 투여, 질 내 투여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의의 편리한 약제학적 제품 형태, 예를 들어 정제, 분말, 과립, 캡슐, 경구용 액제, 용액, 분산액, 현탁액, 시럽, 스프레이, 좌약, 겔, 에멀젼, 패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경구 투여 시, 펩타이드는 소화가 되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말한다.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비정질 셀룰로즈, 하이프로멜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분산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동결 건조제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주사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주사제는 정맥 주사제 또는 피하 주사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비경구용 주사제의 경우, 일반적인 주사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제 조성물은 멸균수, 주사용수, 생리식염수와 같은 액상 담체를 포함한다. 추가로, 아미노산, 당, 지질, 비타민, 전해질, pH 조정제, 안정화제, 삼투압 조정제 또는 용해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국소투여 되는 경우, 예를 들어, 연고, 겔, 크림, 로션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국소투여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피부에의 도포, 안구에 점안,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경피 투과, 피내주사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치 제형을 피부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기제, 부형제, 윤활제 및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점안제 형태로 투여되는 경우, 완충제, 점조제, 등장화제, pH 조정제,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피부 도포를 위한 연고 형태로 투여되는 경우, 겔화제, 안정화제, 유화제, 현탁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목적 및 질병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투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다양한 관련 요소, 즉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질환의 중증도, 다른 약제와 공동투여여부,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음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및 조성물의 투여비율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투여량 및 투여경로가 질병의 형태 및 심각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기는 하지만 하루에 한번 또는 1-3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0.001 mg/kg 내지 1 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0.1 mg/kg 내지 100 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및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염증 억제를 위한 상기 펩타이드의 용도 및 상기 펩타이드를 대상체에게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또는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용액, 외용연고,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또는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또는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과 같은 세정제, 오일, 패취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펄제, 점증제,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 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 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보존 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와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1: 면역조절 펩타이드의 제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펩타이드에 비해 면역조절 기능이 우수한 신규 펩타이드를 합성하기 위해 통상의 아미노산 합성법(Umbarger, H E, Ann Rev Biochem., 47: 533-606, 1978)을 이용하여 합성하였으며, 이를 면역조절 후보 펩타이드로 사용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합성된 펩타이드들의 N-말단에 및/또는 C-말단에 화학적 변형을 가하였다. 상기 합성된 펩타이드 서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서열번호 서열
N-말단 X1 X2 X3 X4 X5 X6 m C-말단
1   R W R Y K V m NH2
2 Oct R W R Y K V m NH2
3     W R Y K V m NH2
4 Ac K W K Y K V m NH2
5   R M R Y K V m NH2
6 Ac R M R Y K V m NH2
7 But R M R Y K V m NH2
8 Oct R M R Y K V m NH2
9   K M K Y K V m NH2
10 Ac K M K Y K V m NH2
11 But K M K Y K V m NH2
12 Oct K M K Y K V m NH2
13     M R Y K V m NH2
14 Ac   M R Y K V m NH2
15 But   M R Y K V m NH2
16 Oct   M R Y K V m NH2
17     M K Y K V m NH2
18 Ac   M K Y K V m NH2
19 But   M K Y K V m NH2
20 Oct   M K Y K V m NH2
21   H M K Y K V m NH2
22 Ac H M K Y K V m NH2
23 But H M K Y K V m NH2
24 Oct H M K Y K V m NH2
25   P M K Y K V m NH2
26 Ac P M K Y K V m NH2
27 But P M K Y K V m NH2
28 Oct P M K Y K V m NH2
29   R W R Y R V m NH2
30   R M R Y R V m NH2
31   H M R Y R V m NH2
32   R W R Y K Y m NH2
33 Ac R W R Y K Y m NH2
34 Oct R W R Y K Y m NH2
35     W R Y K Y m NH2
36 Ac K W K Y K Y m NH2
37 But H W K Y K Y m NH2
38   R M R Y K Y m NH2
39 Ac R M R Y K Y m NH2
40 Oct R M R Y K Y m NH2
41     M R Y K Y m NH2
42 Ac   M R Y K Y m NH2
43 But   M R Y K Y m NH2
44   H M R Y K Y m NH2
45 But H M R Y K Y m NH2
46   P M R Y K Y m NH2
47 But P M R Y K Y m NH2
48   R W R Y R Y m NH2
49 Ac   M R Y R Y m NH2
50   R M R Y K P m NH2
51 Ac R M R Y K P m NH2
52 But R M R Y K P m NH2
53 Oct R M R Y K P m NH2
54     M R Y K P m NH2
55 Ac   M R Y K P m NH2
56 But   M R Y K P m NH2
57 Oct   M R Y K P m NH2
58   H M R Y K P m NH2
59 Ac H M R Y K P m NH2
60 But H M R Y K P m NH2
61 Oct H M R Y K P m NH2
62   P M R Y K P m NH2
63 Ac P M R Y K P m NH2
64 But P M R Y K P m NH2
65 Oct P M R Y K P m NH2
66   K M K Y K P m NH2
67 Ac K M K Y K P m NH2
68 But K M K Y K P m NH2
69 Oct K M K Y K P m NH2
70     M K Y K P m NH2
71 Ac   M K Y K P m NH2
72 But   M K Y K P m NH2
73 Oct   M K Y K P m NH2
74   R W R Y K P m NH2
75 But R W R Y K P m NH2
76 Ac   W R Y K P m NH2
77   R W R Y W Y m NH2
78 Ac R W R Y W Y m NH2
79     W R Y W Y m NH2
80 Ac K W K Y W Y m NH2
81   R M R Y W Y m NH2
82 Ac R M R Y W Y m NH2
83 But R M R Y W Y m NH2
84 Oct R M R Y W Y m NH2
85     M R Y W Y m NH2
86 Ac   M R Y W Y m NH2
87 But   M R Y W Y m NH2
88 Oct   M R Y W Y m NH2
89     M K Y W Y m NH2
90 Ac   M K Y W Y m NH2
91 But   M K Y W Y m NH2
92 Ac H M R Y W Y m NH2
93 But H M R Y W Y m NH2
94   R W R Y Y V m NH2
95 Ac   W R Y Y V m NH2
96   K W K Y Y V m NH2
97   R M R Y Y V m NH2
98 Ac R M R Y Y V m NH2
99 Oct R M R Y Y V m NH2
100     M R Y Y V m NH2
101   R W R Y W V m NH2
102 Ac   W R Y W V m NH2
103 Ac K W K Y W V m NH2
104 Ac R M R Y W V m NH2
105 Ac   M R Y W V m NH2
106   R M R Y W P m NH2
107 Ac R M R Y W P m NH2
108 But R M R Y W P m NH2
109 Oct R M R Y W P m NH2
110     M R Y W P m NH2
111 Ac   M R Y W P m NH2
112 But   M R Y W P m NH2
113     M K Y W P m NH2
114 Ac   M K Y W P m NH2
115 But   M K Y W P m NH2
116 Oct   M K Y W P m NH2
117 Ac R W R Y W P m NH2
118     W R Y W P m NH2
119 Ac R M R Y Y P m NH2
120     M R Y Y P m NH2
121 Ac R W R Y Y P m NH2
122 Ac   W R Y Y P m NH2
123   R W R Y Y Y m NH2
124 Ac   W R Y Y Y m NH2
125 Ac R M R Y Y Y m NH2
126 Ac    M R Y Y Y m NH2
127 But H M K Y Y Y m NH2
128     I K F W Y m NH2
129     I K F W M m NH2
130     I K K W M m NH2
131     I K F K Y m NH2
132     I K F K V m NH2
133     I K F K P m NH2
134     I K Y K V m NH2
135 Ac   I K Y K V m NH2
136 But   I K Y K V m NH2
137 Oct   I K Y K V m NH2
138     P K Y K V m NH2
139 Ac   P K Y K V m NH2
140 But   P K Y K V m NH2
141 Oct   P K Y K V m NH2
142     I K Y K P m NH2
143 Ac   I K Y K P m NH2
144 But   I K Y K P m NH2
145 Oct   I K Y K P m NH2
146     H K Y K P m NH2
147 Ac   H K Y K P m NH2
148 But   H K Y K P m NH2
149 Oct   H K Y K P m NH2
150 Ac   H K Y W P m NH2
151 But   H K Y W P m NH2
152   R W R Y R I m NH2
153   R W R Y R T m NH2
154   R W R Y L Y m NH2
155   R W R Y N Y m NH2
156   R W R Y F Y m NH2
157   R W R Y T Y m NH2
158   R W R Y L V m NH2
159   R W R Y N V m NH2
160   R W R Y F V m NH2
실험예 1: 펩타이드에 의한 칼슘 활성도 변화 측정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면역조절 펩타이드 후보를 대상으로 생체의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칼슘 이온 투과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타이드가 FPR2를 활성화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내 칼슘이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1) 세포 및 펩타이드 준비
본 발명자들은 FPR2를 발현하지 않은 RBL세포(RBL-WT)와 RBL세포에서 FPR2를 과발현시킨 세포(RBL-FPR2)를 사용하였고, 세포 내 칼슘 이온의 유리를 예민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칼슘에 결합력이 강한 염색물질인 Fura-2/AM을 이용하였다.
물 또는 50% DMSO에 0.5mM 농도로 용해되어진 펩타이드를 HBSS (Sigma, #55037C) + 20 mM HEPES 버퍼에 알맞은 농도로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2) 배양 조건
본 실험에서는 37℃, 5% CO2 조건에서 세포를 10% 소태아혈청(FBS) 및 1%의 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Lonza, #BE12-604F) 배지에 배양하였다.
3) 실험 방법
칼슘 활성을 측정하기 하루 전날, 96-well flat clear bottom black plate (costar, #3603)에 1 well 당 3 x 105 개의 세포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세포에 well 당 동일 용량의 Fura-2 QBT calcium kit (component A; Molecular Devices, #8197)을 처리하였다. 37℃에서 1시간동안 incubation 한 후, 실온의 암실에서 30분동안 incubation하였다. Fura-2 처리가 끝난 세포와 준비된 펩타이드, 전용 tip을 FlexStation 3 Multi-Mode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Flex3)의 각 구역에 위치시킨 다음, SoftMax Pro 7 Software (Molecular Devices, #FLEX3-INSTALL-OS)에서 펩타이드에 의한 칼슘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4) 실험결과
그 결과, 대부분의 펩타이드에서 FPR2 활성화 효력을 나타내었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FPR2에 결합 및 활성화를 통해 개체의 면역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상기 펩타이드의 FPR2 활성화 효력을 분석한 결과를 수치에 따라 등급화 하여 하기 [표 2]에 요약하였다. 각 등급의 기준은 [표 3]에 기재하였다.
펩타이드의 FPR2 및 FPR1 활성화 효력 분석
서열번호 EC50 for [Ca2+]
FPR2 (nM) FPR1 (μM)
1 A E
2 B D
3 A E
4 A E
5 A E
6 A E
7 A E
8 B E
9 B E
10 B E
11 A E
12 B E
13 A E
14 A D
15 A E
16 B E
17 A E
18 A E
19 A E
20 B E
21 A E
22 A E
23 A E
24 A E
25 A E
26 A E
27 A E
28 A E
29 A E
30 A E
31 A D
32 B E
33 A E
34 B E
35 A E
36 A E
37 A E
38 A E
39 B E
40 B E
41 A E
42 B E
43 B E
44 B E
45 A E
46 A E
47 A E
48 B E
49 B E
50 A E
51 A E
52 A E
53 A E
54 A E
55 A E
56 A E
57 A E
58 A E
59 A E
60 A E
61 A E
62 A E
63 A E
64 A E
65 A E
66 B E
67 A E
68 A E
69 B E
70 A E
71 B E
72 B E
73 B E
74 A E
75 A D
76 A D
77 B E
78 A E
79 B E
80 A E
81 A E
82 A E
83 A E
84 B E
85 A E
86 A E
87 A E
88 B E
89 A E
90 B E
91 B E
92 A E
93 A D
94 A D
95 B C
96 A D
97 A D
98 A D
99 B D
100 A D
101 A D
102 A C
103 B D
104 A D
105 A C
106 A C
107 A C
108 A C
109 A D
110 A C
111 A D
112 A D
113 A D
114 A D
115 A D
116 B D
117 A C
118 A C
119 A C
120 A C
121 A C
122 A C
123 A E
124 B D
125 A E
126 B E
127 A E
128 B E
129 B E
130 B E
131 B E
132 B E
133 A E
134 A E
135 A E
136 A E
137 A D
138 A E
139 A E
140 A E
141 A E
142 A E
143 A E
144 A E
145 B E
146 A E
147 A E
148 A E
149 A E
150 A D
151 A D
152 B E
153 B E
154 A E
155 B E
156 A E
157 A E
158 B D
159 B D
160 B D
등급표
A < 10nM
B 11~100nM
C 101~1,000nM
D 1,001~10,000nM
E 10,00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역조절 펩타이드는 FPR2에 대한 EC50값이 대체적으로 100nM 이하인데 비해, FPR1에 대한 EC50값은 10000nM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상기 면역조절 펩타이드가 FPR2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펩타이드에 의한 사이토카인 억제능 측정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면역조절 펩타이드 후보를 대상으로 사이토카인 억제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타이드가 세포내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상황에서의 세포 내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1) 세포 및 펩타이드 준비
본 발명자들은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주를 사용하였고, 염증반응을 일으킬 물질으로 그람음성균 세포벽의 주성분인 Lipopolysaccharide (LPS; Sigma-Aldrich, #L2630)를 이용하였다. 물에 100μM 농도로 용해되어진 펩타이드를 준비하였다.
2) 배양 조건
본 실험에서는 37℃, 5% CO2 조건에서 세포를 10% 소태아혈청(FBS) 및 1%의 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 (Lonza, #BE12-604F) 배지에 배양하였다.
3) 실험 방법
24-well plate (costar, #3603)의 1 well 당 2.5 x 105 개의 세포를 깔아 두었다. 24시간 후, 준비된 세포에 펩타이드를 100nM 농도로 처리하였다. 37℃에서 30분동안 incubation 한 후, 염증 유도를 위해 200ng/ml 농도의 LPS를 처리하였다. 37℃에서 6시간동안 incubation 한 후, 배지를 제거한 상태의 세포에 TRIzolTM (Invitrogen, #15596018)을 처리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주어진 실험 방법을 통해 RNA를 얻었고, reverse transcriptase (Promega, #M1705)를 이용하여 cDNA를 생성했다. 이후, SYBR Green (Enzynomics, RT530)과 각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TNFα, IL-6, IL-1β) 마우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사이토카인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4) 실험결과
그 결과, 대부분의 펩타이드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6, IL-1β)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 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개체의 염증성 면역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상기 펩타이드의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수치에 따라 등급화 하여 하기 [표 4]에 요약하였다. 각 등급의 기준은 [표 5]에 기재하였다.
펩타이드의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능 분석
  사이토카인 억제능
펩타이드 TNFα IL-6 IL-1β
6 A C A
17 B D B
18 A D A
19 B B A
20 B B B
38 B C A
39 B D B
40 B C A
55 B B A
69 B C A
70 C D A
71 C C A
72 B D B
73 B D B
81 A C A
82 A D B
84 A E B
113 D B D
114 A E B
115 C B B
116 B B B
감소율 (%) 등급
81% - 100% A
61% - 80% B
41% - 60% C
21% - 40% D
0% - 20% E
<0 % F
이하의 실험예에서는 상기 면역조절 펩타이드의 후보 중 우수한 효과를 갖는 펩타이드를 선택하여 동물 모델에서의 상기 펩타이드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펩타이드에 의한 개체 수준의 염증반응 억제 효능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면역조절 펩타이드 후보를 대상으로 개체수준에서 염증반응 억제 효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타이드가 개체수준의 염증반응을 제어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지질다당질(LPS; Sigma-Aldrich, #L2630) 유도 급성복막염 모델에서의 사이토카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1) 급성복막염 모델 유도와 펩타이드 투여 방법
본 발명자들은 약 6 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복막 염증성 질환 유도 물질로서 LPS를 5% mannitol (D-Mannitol; Sigma-Aldrich, #M8429)에 섞어 이용하였다. 염증 물질을 마우스 복강 주사하여 복막 염증성 질환을 유도하고 펩타이드는 염증 물질의 주사 직후 단회 복강 주사하였다.
2) 질환 평가 방법
펩타이드 투여 종료 후 6시간 또는 24시간에 혈액과 복강 세척액을 채취하여 사이토카인 등의 염증인자를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기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3) 실험결과
그 결과, 대부분의 개체에서 펩타이드 투여 시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6, IL-1β, IL-17a)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 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개체수준의 염증성 면역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상기 펩타이드 투여시 사이토카인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펩타이드에 의한 류마티스 관절염 개선 효능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면역조절 펩타이드 후보를 대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개선 효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타이드가 세포내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콜라겐 유도 관절염 (CIA, collagen-induced arthritis) 모델에서의 clinical score와 발바닥 부종 등의 관절염 증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1) 콜라겐 유도 관절염 모델 유도와 펩타이드 투여 방법
본 발명자들은 약 8-12 주령의 DBA1/J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인 CFA (complete fraud adjuvant)와 bovine Type II collagen을 섞어 관절염 유도 물질로서 이용하였다. 염증 물질을 마우스 꼬리에 1차 주사(1st injection)하고 약 2-3주 후 염증물질을 2차 주사(2nd boosting)하여 관절염을 유도하였다. 수일 내에 펩타이드를 2일에 1번씩 총 10회 정도 복강 주사하였다.
2) 류마티스 관절염 개선 평가 방법
실험기간 동안 몸무게와 육안상 변화를 관찰하여 전반적인 동물의 건강상태를 확인하였다. 관절염에 대해서 중증도 점수(severity score), 발바닥 및 발목 부종 등으로 인한 두께 변화를 실험기간 동안 추적 평가하였다. 최종 물질 투여 종료 후 혈액을 채취하여 사이토카인 등의 혈중 염증인자를 분석하며, 발목 부위의 조직을 적출하여 paraffin block을 제작하고 H&E (Hematoxylin and eosin) 염색이나 면역염색법(immunohistochemistry) 기법을 이용하여 조직분석을 실시하였다.
3) 실험결과
그 결과, 펩타이드 투여 시 콜라겐 유도 관절염(CIA, collagen-induced arthritis)의 중증도 점수(severity score)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개체 수준의 염증성 질환인 관절염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상기 펩타이드의 중증도 점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중증도 점수 부여 기준은 [표 6]에 기재하였다.
Paw score Clinical observations
0 정상 발. 건강한 생쥐에 비해 외관상 명백한 차이 없음.
1 하나 또는 두 개의 발가락에 염증이 생기고 부어오름. 발이나 발목에 눈에 띄는 부종은 없음.
2 3개 이상의 발가락에 염증이 생기고 부었지만, 발 부종이나 발 전체에서 경미한 부종은 없음.
3 발 전체적인 부종.
4 발 전체와 모든 발가락의 심한 부종, 또는 발목과 발가락이 강직되어 마우스가 케이지의 와이어 상단을 잡을 수 없음.
실험예 5: 펩타이드에 의한 안구건조증 개선 효능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면역조절 펩타이드 후보를 대상으로 안구건조증 개선 효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타이드가 안구건조증 증상을 개선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Benzalkonium chloride (BAC) 유도 안구건조증 (DED, Dry Eye Disease) 모델에서의 각막 손상정도와 각막 혼탁도 등의 안구건조증 증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1) BAC 유도 안구건조증 모델 유도와 펩타이드 투여 방법
본 발명자들은 약 12-16 주령의 C57BL/6 마우스에 안구건조증 유도 물질로 BAC를 처리하였다. BAC는 하루에 두 번 오른쪽 안구에 점안하여여 총 16일동안 국소 투여하였다. 4일 동안은 (총 8회) BAC만 투여하였고, 5일차부터는 BAC 투여 30분 후에 펩타이드도 같은 방식으로 점안하여 국소 투여하였다.
2) 안구건조증 평가 방법
실험기간 동안 매일 육안상 변화를 관찰하고 투여시작 4일, 8일, 11일, 16일에 형광지시약인 0.2% Fluorescein을 이용하여 각막손상을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Fluorescein으로 염색이 되는 부위가 각막손상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염색된 넓이를 계산하여 각막손상정도를 평가하였다. 동시에 현미경으로 안구를 관찰하여 각막 혼탁 정도를 scoring 하였다.
3) 실험결과
그 결과, 펩타이드 투여 시 BAC에 의한 각막손상 및 각막 혼탁도가 개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개체의 안구건조증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기 펩타이드의 각막 손상정도 와 각막 혼탁도를 분석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6: 펩타이드에 의한 대장염 개선 효능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면역조절 펩타이드 후보를 대상으로 대장염 개선 효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타이드가 대장에서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Dextran Sulfate Sodium (DSS) 유도 대장염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s) 모델에서의 개체의 무게변화와 장의 길이 등의 대장염 증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1) DSS 유도 대장염 모델 유도와 펩타이드 투여 방법
본 발명자들은 약 7-8 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대장염을 유도하는 물질로 2.5% DSS를 물에 녹여 그 물을 자유롭게 마시게 하였다. 3일 후에 기존에 마시던 물을 버리고 새롭게 만든 2.5% DSS 물을 이틀동안 더 마시게 하였다. 총 5일이 지난 후에 신선한 물로 교체해주었다. 2.5% DSS를 제공한 다음날부터 하루에 한 번 펩타이드를 100μl씩 복강투여 하였다.
2) 대장염 평가 방법
실험기간 동안 매일 몸무게를 측정하고 7일 후에 마우스를 CO2로 안락사 시켜 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그 결과, 펩타이드 투여 시 몸무게 감소가 개선되었고 염증에 의해 짧아지는 장 길이가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개체의 대장염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기 펩타이드의 대장염 마우스 무게 결과와 장 길이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7: 펩타이드에 의한 신경염증 억제 효능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면역조절 펩타이드 후보를 대상으로 신경염증 억제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타이드가 신경세포의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 상황에서의 신경세포 내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1) 세포 및 펩타이드 준비
본 발명자들은 인간 신경세포인 SK-N-MC 세포주와 랫드 신경세포인 배근 신경절 신경세포 (DRG neuron, Dorsal root ganglion neuron)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37℃, 5% CO2 조건에서 세포를 Neuronal cell culture 배지에 배양하였다. 염증반응을 일으킬 물질으로 그람음성균 세포벽의 주성분인 Lipopolysaccharide (LPS; Sigma-Aldrich, #L2630)를 이용하였다. 물에 1mM 농도로 용해되어진 펩타이드를 준비하였다.
2) 실험 방법
24-well plate (costar, #3603)의 1 well 당 2.5 x 105 개의 세포를 깔아 두었다. 24시간 후, 준비된 세포에 펩타이드를 1μM 농도로 처리하였다. 37℃에서 30분동안 incubation 한 후, 염증 유도를 위해 500ng/ml 농도의 LPS를 처리하였다. 37℃에서 24시간동안 incubation 한 후, 배지를 제거한 상태의 세포에 TRIzolTM (Invitrogen, #15596018)을 처리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주어진 실험 방법을 통해 RNA를 얻었고, reverse transcriptase (Promega, #M1705)를 이용하여 cDNA를 생성했다. 이후, SYBR Green (Enzynomics, RT530)과 각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IL-1β, IL-6) 마우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사이토카인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그 결과, 대부분의 펩타이드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IL-6)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 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개체의 신경염증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상기 펩타이드의 처리에 따른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8: 펩타이드에 의한 신경염증으로 인한 퇴행성 뇌 질환 개선 효능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면역조절 펩타이드 후보를 대상으로 신경염증이 관여하는 뇌 질환의 개선 효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타이드가 신경세포의 염증반응 억제 효능을 바탕으로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을 감소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MPTP 유도 파킨슨병 동물모델에서 뇌 조직에서 도파민 신경세포의 수와 말단 섬유의 밀도 변화를 변화를 분석하였다.
1) MPTP 유도 파킨슨병 모델 유도와 펩타이드 투여 방법
본 발명자들은 약 7-8 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신경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MPTP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hydrochloride )를 뇌 병변변 유도 물질로서 이용하였다. 15 mg/kg MPTP를 4회 복강투여 하여 질환을 유도한 후 7일 동안 펩타이드를 1일 1번씩 총 7회 복강투여 하였다.
2) 파킨슨병 개선 평가 방법
최종 투여일 다음날 마우스를 마취한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과 고정액(4% paraformaldehyde)을 관류하여 혈액 제거 및 조직 고정을 수행하고 뇌를 적출하였다. 적출한 뇌는 cryoblock을 제작한 후 section slide를 제작하고 TH staining을 통해 도파민 신경세포를 염색하였다. 이후 염색된 조직을 현미경으로 촬영 후 도파민 신경세포의 수나 신경말단 섬유의 밀도(density)의 회복을 분석하였다.
3) 실험결과
그 결과, 면역조절 펩타이드 투여 시 MPTP에 의해 감소된 도파민 신경세포의 신경말단 섬유의 밀도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염증해소를 통한 면역조절로 개체 수준의 신경염증에 의한 도파민 신경세포를 회복하여 파킨슨병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상기 펩타이드의 중증도 점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9: 펩타이드에 의한 종양 성장 억제능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면역조절 펩타이드 후보를 대상으로 종양 성장 억제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타이드가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종양세포 이식 (cancer cell implantation) 동물모델에서의 종양의 크기 변화를 측정하였다.
1) 종양세포 이식 모델과 펩타이드 투여 방법
본 발명자들은 약 8 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대장암 세포로서 CT-26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2.5ⅹ105 개의 세포를 마우스의 옆구리 피하에 이식하여 약 2주간 종양의 성장을 유도하였다. 종양이 균일한 크기로 성장한 동물을 선별하여 무작위로 약물투여군을 배분하고 이후 2주간 펩타이드는 1주 5회, 양성 대조약물인 5-FU (5-Fluorouracil)은 1주 2회의 주기로 복강주사 하였다.
2) 종양 성장 억제 평가 방법
실험기간 동안 몸무게와 육안상 변화를 관찰하여 전반적인 동물의 건강상태를 확인하였다. 약 3-4일을 주기로 종양의 가로, 세로 길이를 측정하여 종양을 타원체로 가정하여 타원체로서 종양의 부피를 산출하였다. 종양의 부피의 변화를 실험기간 동안 추적하여 종양 성장 억제 효능을 평가한다. 최종 물질 투여 종료 후 혈액을 채취하여 염증인자 또는 종양관련 인자의 분석과, 적출한 종양 조직으로 paraffin block을 제작하고 H&E (Hematoxylin and eosin) 염색이나 면역염색법(immunohistochemistry) 기법을 이용하여 조직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3) 실험결과
그 결과, 펩타이드 투여 시 CT-26 세포주 이식으로 형성된 종양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염증해소 기능을 바탕으로 면역조절을 통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상기 펩타이드의 중증도 점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 및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X1-X2-X3-X4-X5-X6-m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로서,
    상기 X1은 없거나 아르기닌(R), 리신(K), 히스티딘(H)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거나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 또는 티로신(Y)이고;
    상기 X6는 프롤린(P),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인, 펩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1은 없거나 아르기닌(R), 리신(K), 히스티딘(H)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6는 발린(V), 티로신(Y)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인, 펩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1은 없거나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이고;
    상기 X6는 발린(V), 티로신(Y)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인, 펩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1은 없거나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2는 메티오닌(M) 또는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티로신(Y)이고;
    상기 X6는 발린(V), 티로신(Y) 또는 프롤린(P)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인, 펩타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에 아세틸기, 뷰타노일기, 헥사노일기, 및 옥타노일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부가된 것인, 펩타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의 C-말단이 아미드화된 것인, 펩타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 내지 127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
  8. X1-X2-X3-X4-X5-X6-m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로서,
    상기 X1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2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서 트립토판(W)이고;
    상기 X3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상기 X4는 티로신(Y)이고;
    상기 X5는 아르기닌(R), 리신(K), 류신(L), 아스파라긴(N), 페닐알라닌(F) 또는 트레오닌(T)이고;
    상기 X6는 이소류신(I), 트레오닌(T), 티로신(Y) 또는 발린(V)이고;
    상기 m은 D-형 메티오닌인, 펩타이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건선(psoriasis), 유아 습진(infantile eczema), 패혈증(sepsis), 결막염(conjunctivitis), 각막염(keratitis), 안구 건조증(dry eye syndrome), 천식(asthma), 폐 손상(lung injury), 폐 염증(lung inflammation),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복막염(peritonitis), 피부 경화증(Systemic sclerosis), 신경염증(neuroinflammation),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또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PCT/KR2023/005779 2022-04-27 2023-04-27 신규 염증해소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WO20232111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2169 2022-04-27
KR10-2022-0052169 2022-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1198A1 true WO2023211198A1 (ko) 2023-11-02

Family

ID=8851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5779 WO2023211198A1 (ko) 2022-04-27 2023-04-27 신규 염증해소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3943A (ko)
WO (1) WO202321119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547A (ko) * 2015-04-27 2017-12-15 맥케이 메모리얼 호스피탈 자가 면역 및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짧은 합성 펩타이드
KR20180117259A (ko) * 2017-04-18 2018-10-2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70236B1 (ko) * 2019-03-19 2020-10-29 (주)노바셀테크놀로지 신규 다중 기능성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170B1 (ko) 2015-11-18 2018-05-08 (주)노바셀테크놀로지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547A (ko) * 2015-04-27 2017-12-15 맥케이 메모리얼 호스피탈 자가 면역 및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짧은 합성 펩타이드
KR20180117259A (ko) * 2017-04-18 2018-10-2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70236B1 (ko) * 2019-03-19 2020-10-29 (주)노바셀테크놀로지 신규 다중 기능성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ABIO CATTANEO, MELANIA PARISI, ROSARIO AMMENDOLA: "Distinct Signaling Cascades Elicited by Different Formyl Peptide Receptor 2 (FPR2) Agonist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vol. 14, no. 4, pages 7193 - 7230, XP055140337, DOI: 10.3390/ijms14047193 *
KIM YOUNG EUN, PARK WON SOON, AHN SO YOON, SUNG DONG KYUNG, SUNG SE IN, KIM JAE HO, CHANG YUN SIL: "WKYMVm hexapeptide, a strong formyl peptide receptor 2 agonist, attenuates hyperoxia-induced lung injuries in newborn mice", SCIENTIFIC REPORTS, vol. 9, no. 1, XP093102765, DOI: 10.1038/s41598-019-4332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943A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3203A1 (ko) 신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WO2015156649A1 (ko) 섬유증 억제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Gozes et al. Pharmaceutical VIP: prospects and problems
WO2015076621A1 (ko) 혈관 신생 억제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5080513A1 (en) A liquid formulation of a fusion protein comprising tnfr and fc region
WO2015093854A1 (ko) 전립선 암 치료용 조성물
WO2016190660A1 (ko) 신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WO2016105086A1 (ko) 안질환 치료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DD140142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yclopeptiden
WO2018155997A1 (ko) 에리스로포이에틴 유래 펩티드의 세포손상방지에 효과를 통한 활용
Zhang et al. Suppression of food intake induced by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family in neonatal chicks
WO2013137569A1 (ko) 테트라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항염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WO2023211198A1 (ko) 신규 염증해소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WO2020159191A1 (ko) Mls-stat3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16810A1 (ko)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티드를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7119756A1 (ko) 주름개선, 노화방지, 미백, 항염증 기능성 신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3090686A1 (en) Pentapeptide and use thereof
WO2022050634A1 (ko)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WO2019143145A1 (ko) 레졸빈 d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 치료용 조성물
WO2021251790A1 (ko)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디옥시콜산-펩타이드 결합체 및 이의 용도
WO2020138674A1 (ko) 근육 이완용 조성물
KR100820896B1 (ko) 유로텐신-ⅱ 작용제 및 길항제
WO2020241925A1 (ko) 세포투과성 물질이 융합된 앱타이드가 포집된 지질 나노 입자 복합체 및 이의 용도
WO2023234703A1 (ko) 신규의 d-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0085734A1 (ko) 히알루론산 말단의 알데하이드 그룹을 이용하여 제조한 약물 접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968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