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58916A1 -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 Google Patents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58916A1
WO2023058916A1 PCT/KR2022/013303 KR2022013303W WO2023058916A1 WO 2023058916 A1 WO2023058916 A1 WO 2023058916A1 KR 2022013303 W KR2022013303 W KR 2022013303W WO 2023058916 A1 WO2023058916 A1 WO 20230589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id
polyester copolymer
reactor
propanediol
di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3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다영
김상우
김하늘
이부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80067999.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8076664A/zh
Publication of WO20230589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58916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05Polyesters prepared from ke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 copolymer comprising a reuse monomer and having improved extrusion processability,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n article including the same.
  • polyester Since polyester is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heat resistance, transparency, and gas barrier properties, it is most suitable as a material for beverage filling containers, packaging films, audio and video films, and the like, and is used in large quantities. In addition, it is widely produced worldwide as an industrial material such as medical textiles and tire cords. Polyester sheets or plates have good transparency and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are widely used as materials for cases, boxes, partitions, store shelves, protective panels, blister packaging, building material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nd the like.
  • waste plastic which accounts for about 70% of marine pollution, has recently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accordingly, countries are regulating the use of single-use plastics and at the same time promoting the reuse of waste plastics.
  •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can be obtained by depolymerization from PET or PETG among waste plastics,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use it as a monomer for polyester copolymers.
  • the present inventors use recycled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as a monomer of a polyester copolymer, but, as will be described later, by adjusting the amount of other monomers used, polyester produced from a material obtained by depolymerizing waste plastic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quality of the copolymer was improved and, in particular, the extrusion processability was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ester copolymer containing reused monomers and having improved extrusion processability,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n article includ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polyester copolymer:
  • polyester resi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moiety derived from the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the acid moiety derived from the di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the diol moiety derived from the diol are repeated,
  • the polyester copolymer has an extrudability coefficient of 1 or more in Equation 1 below,
  • A is the content (wt%) of the portion derived from recycled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in the polyester copolymer
  • B is the content (ppmw) of residual acid in the polyester copolymer
  • D is the oligomer content (area/g) in the polyester copolymer.
  • the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olymer prepared by copolymerization of a di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diethylene glycol and a diol containing a comonomer.
  • a copolymer prepared by copolymerization of a di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diethylene glycol and a diol containing a comonomer.
  • reused bis-2-hydroxyethyl It relates to a polyester copolymer prepared by participating in a reaction of terephthalate.
  • the term 'derived' refers to a specific part or unit derived from a specific compound included in a chemical reaction product when a specific compound participates in a chemical reaction.
  • each of the acid moiety derived from the di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the diol moiety derived from the diol refer to a repeating unit in a polyester copolymer formed through an esterification reaction or a condensation polymerization reaction.
  • the part derived from the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means a repeating unit in the polyester copolymer formed by esterification in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 Acids including dicarboxyl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the dicarboxylic acid or its derivati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main monomer constituting a polyester copolymer together with a diol component.
  • the dicarboxylic acid includes terephthalic acid,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by terephthalic acid.
  • the terephthalic acid moiety may also be formed from terephthalic acid alkyl esters, preferably dimethyl terephthalic acid.
  •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or a mixture thereof in addition to terephthalic acid.
  •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other than terephthalic acid are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3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ll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8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8 to 14 carbon atoms, or a mixture thereof.
  •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include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s such as isophthalic acid and 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diphenyl dicarboxylic acid, 4,4'-stilbendicarboxylic acid, 2, 5-furandicarboxylic acid, 2,5-thiophenedicarboxylic acid, etc., but specific examples of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having 4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4 to 12 carbon atoms, or a mixture thereof.
  • Examples of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include cyclohexanedicarboxylic acids such as 1,4-cyclohexanedicarboxylic acid and 1,3-cyclohexanedicarboxylic acid, phthalic acid, sebacic acid, succinic acid, isodecylsuccinic acid, Linear, branched, or cyclic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maleic acid, fumaric acid, adipic acid, glutaric acid, and azelaic acid may be included, but specific examples of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acid including the di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may be selected from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dimethyl isophthalate, phthalic acid, dimethyl phthalate, phthalic anhydride,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and dimethyl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 Reboxylate diphenyl dicarboxylic acid, 1,4-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1,3-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dimethyl 1,4-cyclohexane dicarboxylate, dimethyl 1,3-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hexane dicarboxylate, sebacic acid, succinic acid, isodecylsuccinic acid, maleic acid, maleic anhydride, fumaric acid, adipic acid, glutaric acid, and azelaic acid.
  • the diol compon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main monomer constituting the polyester copolymer together with the aforementioned dicarboxylic acid or its derivative.
  • the diol component includes ethylene glycol and a comonomer, and the comonomer is diethylene glycol, cyclohexanedimethanol, a cyclohexanedimethanol derivativ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cyclohexanedimethanol derivative is 4-(hydroxymethyl)cyclohexylmethyl 4-(hydroxymethyl)cyclohexanecarboxylate, or 4-(4-(hydroxymethyl)cyclohexylmethoxymethyl ) is cyclohexylmethanol.
  • the polyest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clohexanedimethanol derivative
  • the polyester resin is 4-(hydroxymethyl)cyclohexylmethyl 4-(hydroxymethyl)cyclo 0.1 to 25 mol% of a diol moiety derived from hexanecarboxylate and 4-(4-(hydroxymethyl)cyclohexylmethoxymethyl)cyclohexylmethanol.
  • diethylene glycol is a component that contributes to improving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polyester copolymer.
  • the diethylene glycol residu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50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total diol component residues. More preferably, the diethylene glycol residue is 6 moles or more, 7 moles or more, or 8 moles or more, and 45 moles or less, 40 moles or less, 35 moles or less, 30 moles or less, 25 moles or less, based on 100 moles of the total diol component residues. mol or less, or 20 mol or less.
  • the ethylene glycol is a component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of the polyester copolymer.
  • the ethylene glycol residu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30 to 80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total diol component residues. More preferably, the ethylene glycol residu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35 moles or more, 40 moles or more, 45 moles or more, 50 moles or more, or 55 moles or more, and 75 moles or less, based on 100 moles of the total diol component residues.
  • the cyclohexanedimethanol (for example, 1,2-cyclohexanedimethanol, 1,3-cyclohexanedimethanol or 1,4-cyclohexanedimethanol) is used to improve the transparency and impact resistance of the polyester copolymer produced. It is a component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Preferably, the cyclohexanedimethanol residu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40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total diol component residues. More preferably, the cyclohexanedimethanol residu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7 to 35 moles based on 100 moles of the total diol component residues.
  • the term 'reused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material obtained from waste plastic collected after being used. Waste plastics from which the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can be obtained include PET and PETG.
  • Waste plastics from which the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can be obtained include PET and PETG.
  •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can be obtained from PEG collected after use by methods such as glycolysis, hydrolysis, and methanolysis, and these methods are widely known in the art.
  • the reused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is used as a main monomer constituting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olyester copolymer is the reused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Residues of phthalate are adjusted to include 10 to 90% by weight. When the residue of the reused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is less than 1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above-mentioned diol is relatively high, and accordingly, there are many by-products derived from the diol component, in particular, from ethylene glycol. This becomes one of the factors in the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polyester copolymer. In addition, when the residue of the reused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exceeds 90%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lor quality and transparency of the polyester copolymer are deteriorated.
  •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copolymerizing the above-described recycled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di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ethylene glycol and a comonomer.
  • the copolymerization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by esterification reaction (step 1)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 (step 2).
  • the esterification reaction is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an esterification reaction catalyst, and an esterification reaction catalyst containing a zinc-based compound may be used.
  • an esterification reaction catalyst containing a zinc-based compound may be used.
  • zinc-based catalysts include zinc acetate, zinc acetate dihydrate, zinc chloride, zinc sulfate, zinc sulfide, zinc carbonate, zinc citrate, zinc gluconate, or mixtures thereof.
  • the amount of each starting material used is as described above.
  • the esterification reaction may be carried out at a pressure of 0 to 10.0 kg/cm 2 and a temperature of 150 to 300° C.
  • the esterification reaction conditions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polyester to be produced, the ratio of each component, or process conditions. Specifically,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conditions, a pressure of 0 to 5.0 kg/cm 2 , more preferably 0.1 to 3.0 kg/cm 2 ; A temperature of 200 to 270°C, more preferably 240 to 260°C is exemplified.
  • the esterification reaction may be carried out in a batch or continuous manner, and each raw material may be separately input, but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recycled bis-2-hydroxy in the diol component It is preferable to introduce it in the form of a slurry in which ethyl terephthalate is mixed.
  • a diol component such as isocarbide, which is a solid at room temperature, may be dissolved in water or ethylene glycol, and then mixed with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uch as terephthalic acid to form a slurry.
  • a slurry may be prepared by mixing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uch as tetephthalic acid and other diol components.
  • water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the mixed slurry to help increase the fluidity of the slurry.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by reacting the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at a temperature of 150 to 300° C. and a reduced pressure of 600 to 0.01 mmHg for 1 to 24 hours.
  • This polycondensation reaction is carried out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150 to 300°C, preferably 200 to 290°C, more preferably 260 to 280°C; and 600 to 0.01 mmHg, preferably 200 to 0.05 mmHg, and more preferably 100 to 0.1 mmHg.
  • a reaction temperature of 150 to 300°C, preferably 200 to 290°C, more preferably 260 to 280°C; and 600 to 0.01 mmHg, preferably 200 to 0.05 mmHg, and more preferably 100 to 0.1 mmHg.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occurs outside the temperature range of 150 to 300 ° C.
  • glycol a by-product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may proceed for a necessary time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final reaction product reaches an appropriate level, for example, an average residence time of 1 to 24 hours.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may use a polycondensation catalyst including a titanium-based compound, a germanium-based compound, an antimony-based compound, an aluminum-based compound, a tin-based compound, or a mixture thereof.
  • titanium compound examples include tetraethyl titanate, acetyl tripropyl titanate, tetrapropyl titanate, tetrabutyl titanate, 2-ethylhexyl titanate, octylene glycol titanate, lactate titanate, and triethanolamine titanate. nate, acetylacetonate titanate, ethyl acetoacetic ester titanate, isostearyl titanate, titanium dioxide and the like.
  • germanium-based compound examples include germanium dioxide, germanium tetrachloride, germanium ethylene glycol oxide, germanium acetate, copolymers using these, or mixtures thereof.
  • germanium dioxide can be used, and both crystalline and amorphous germanium dioxide can be used, and glycol-soluble ones can also be used.
  •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udability coefficient of Equation 1 has a value of 1 or more.
  • the extrudability coefficient is 1 or more, the plate-out phenomenon of the roll is reduced during extrusion processing, and the outgas is reduced, resulting in excellent extrudability, and thus excellent extrusion processability.
  • the extrudability coefficient is less than 1, the plate-out phenomenon of the roll increases during extrusion, reducing productivity, and increasing outgas, which adversely affects the quality of the manufactured sheet.
  •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rudability coefficient of Equation 1 or more, 1 or more, 2 or more, 3 or more, 4 or more, 5 or more, 6 or more, 7 or more, 8 or more, 9 or more, or 10 or more
  • the higher the value of the extrudability coefficient the higher the extrusion processability, so there is no theoretical limit on the upper limit, but, for example, 200 or less, 190 or less, 180 or less, 170 or less, 160 or less, 150 or less, 140 or less, 130 or less, 120 or less, 110 or less, or 100 or less.
  • the values of variables A to D apply numerical values excluding each unit.
  • A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of the portion derived from recycled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in the polyester copolymer is 50 wt%, A becomes 50.
  • the values of the variables A to D can be obtained through analysis of the prepared polyester copolymer, and specific methods are specified in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 variable D is an oligomer content (area/g) in the polyester copolymer, and specifically, the oligomer means a low molecul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or less.
  • a method for measuring the content of the oligomer in the polyester copolymer is specified in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 the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rinsic viscosity of 0.50 to 1.0 dl/g, preferably 0.50 to 0.85 dl/g, more preferably 0.55 to 0.80 dl/g, or 0.60 to 0.80 dl. /g.
  •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intrinsic viscosity is embodied in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cle comprising the polyester copolymer.
  • the polyester copolymer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have a state of chips, pellets, or powder before molding, and may be formed by a separate molding process such as extrusion or injection,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film or sheet. It may have, preferably a film, heat shrinkable film, sheet, profile, or blown film.
  • polyester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reusable monomer and has excellent extrusion processability,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various articles, particularly films.
  •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lowered from atmospheric pressure to 5 Torr (absolute pressure: 5 mmHg) over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265 ° C. over 1 hour, and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reduced to 1 Torr (absolute pressure: 1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below mmHg).
  • the stirring speed is set quickly, but a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gresses, the stirring speed is appropriately adjusted when the stirring power is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reactant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ants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ed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mixture (melt) in the reactor reached 0.70 dl/g.
  • IV intrinsic viscosity
  • the mix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to form strands, which are solidified with a cooling liquid and then granulated to have an average weight of about 12 to 14 mg, polyester copolymer was manufactured.
  • r-BHET 2248.9 g
  • TPA 1202.5 g
  • EG 182.6 g
  • CHDM 734.8 g
  • TiO 2 1.0 g
  • phosphoric acid 1.5 g
  • cobalt acetate 0.7 g
  •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lowered from normal pressure to 5 Torr (absolute pressure: 5 mmHg) over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285 ° C over 1 hour, and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reduced to 1 Torr (absolute pressure: 1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below mmHg).
  • the stirring speed is set quickly, but a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gresses, the stirring speed is appropriately adjusted when the stirring power is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reactant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ants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ed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mixture (melt) in the reactor reached 0.70 dl/g.
  • IV intrinsic viscosity
  • the mix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to form strands, which are solidified with a cooling liquid and then granulated to have an average weight of about 12 to 14 mg, polyester copolymer was manufactured.
  • r-BHET 3291.8 g
  • TPA 717.1 g
  • EG 21.4 g
  • CHDM 522.5 g
  • DEG 311.4 g
  • TiO 2 1.0 g
  • phosphoric acid 1.5 g
  • Clarient 0.007 g
  • Clarient 0.004 g
  •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lowered from normal pressure to 5 Torr (absolute pressure: 5 mmHg) over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285 ° C over 1 hour, and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reduced to 1 Torr (absolute pressure: 1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below mmHg).
  • the stirring speed is set quickly, but a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gresses, the stirring speed is appropriately adjusted when the stirring power is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reactant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ants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ed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mixture (melt) in the reactor reached 0.70 dl/g.
  • IV intrinsic viscosity
  • the mix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to form strands, which are solidified with a cooling liquid and then granulated to have an average weight of about 12 to 14 mg, polyester copolymer was manufactured.
  • r-BHET In a 10 L reactor connected to a column and a condenser capable of cooling by water, r-BHET (4388.5 g), TPA (151.0 g), EG (45.1 g), CHDM (261.9 g), DEG (239.0 g) g), CHDM derivative (341.2 g; i) 4-(hydroxymethyl)cyclohexylmethyl 4-(hydroxymethyl)cyclohexanecarboxylate, and ii) 4-(4-(hydroxymethyl)cyclohexylme Toxymethyl)cyclohexylmethanol in a molar ratio of 1:3) was added, GeO 2 (1.0 g) as a catalyst, phosphoric acid (1.5 g) as a stabilizer, Clarient (0.020 g) as a blue toner, and red toner Clarient company (0.008 g) was added.
  •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lowered from normal pressure to 5 Torr (absolute pressure: 5 mmHg) over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275 ° C. over 1 hour, and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reduced to 1 Torr (absolute pressure: 1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below mmHg).
  • the stirring speed is set quickly, but a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gresses, the stirring speed is appropriately adjusted when the stirring power is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reactant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ants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ed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mixture (melt) in the reactor reached 0.80 dl/g.
  • IV intrinsic viscosity
  • the mix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to form strands, which are solidified with a cooling liquid and then granulated to have an average weight of about 12 to 14 mg, polyester copolymer was manufactured.
  • r-BHET 1005.9 g
  • DMT dimethyl terephthalate
  • EG 874.1 g
  • CHDM 707.2 g
  • DEG 231.3 g
  • Mn(II) acetate tetrahydrate 1.5 g
  • Sb 2 O 3 1.8 g
  • cobalt acetate 0.6 g was added as a colorant.
  •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lowered from atmospheric pressure to 5 Torr (absolute pressure: 5 mmHg) over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265 ° C. over 1 hour, and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reduced to 1 Torr (absolute pressure: 1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below mmHg).
  • the stirring speed is set quickly, but a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gresses, the stirring speed is appropriately adjusted when the stirring power is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reactant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ants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ed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mixture (melt) in the reactor reached 0.70 dl/g.
  • IV intrinsic viscosity
  • the mix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to form strands, which are solidified with a cooling liquid and then granulated to have an average weight of about 12 to 14 mg, polyester copolymer was manufactured.
  •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lowered from normal pressure to 5 Torr (absolute pressure: 5 mmHg) over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285 ° C over 1 hour, and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reduced to 1 Torr (absolute pressure: 1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below mmHg).
  • the stirring speed is set quickly, but a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gresses, the stirring speed is appropriately adjusted when the stirring power is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reactant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ants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ed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mixture (melt) in the reactor reached 0.70 dl/g.
  • IV intrinsic viscosity
  • the mix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to form strands, which are solidified with a cooling liquid and then granulated to have an average weight of about 12 to 14 mg, polyester copolymer was manufactured.
  • TPA 3005.3 g
  • EG 1088.8 g
  • CHDM 834.3 g
  • DEG 211.1 g
  • TiO 2 1.0 g
  • phosphoric acid 1.5 g
  •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lowered from normal pressure to 5 Torr (absolute pressure: 5 mmHg) over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285 ° C over 1 hour, and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reduced to 1 Torr (absolute pressure: 1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below mmHg).
  • the stirring speed is set quickly, but a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gresses, the stirring speed is appropriately adjusted when the stirring power is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reactant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ants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ed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mixture (melt) in the reactor reached 0.70 dl/g.
  • IV intrinsic viscosity
  • the mix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to form strands, which are solidified with a cooling liquid and then granulated to have an average weight of about 12 to 14 mg, polyester copolymer was manufactured.
  • TPA (2780.6 g), EG (1495.5 g), CHDM (241.2 g), DEG (159.8 g), CHDM derivatives (341.2 g) i) 4-(hydroxymethyl)cyclohexylmethyl 4-(hydroxymethyl)cyclohexanecarboxylate, and ii) 4-(4-(hydroxymethyl)cyclohexylmethoxymethyl)cyclohexylmethanol to 1 : included in a molar ratio of 3), TiO 2 (1.0 g) as a catalyst, phosphoric acid (1.5 g) as a stabilizer, and cobalt acetate (0.7 g) as a colorant were added.
  •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lowered from atmospheric pressure to 5 Torr (absolute pressure: 5 mmHg) over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260 ° C. over 1 hour, and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reduced to 1 Torr (absolute pressure: 1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below mmHg).
  • the stirring speed is set quickly, but a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gresses, the stirring speed is appropriately adjusted when the stirring power is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reactant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ants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ed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mixture (melt) in the reactor reached 0.85 dl/g.
  • the mix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to form strands, which are solidified with a cooling liquid and then granulated to have an average weight of about 12 to 14 mg, polyester copolymer was manufactured.
  • TPA 3631.3 g
  • EG 2780.3 g
  • DEG 159.7 g
  • GeO 2 1.0 g
  • phosphoric acid 1.5 g was added as a stabilizer.
  •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lowered from normal pressure to 5 Torr (absolute pressure: 5 mmHg) over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275 ° C. over 1 hour, and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reduced to 1 Torr (absolute pressure: 1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below mmHg).
  • the stirring speed is set quickly, but a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gresses, the stirring speed is appropriately adjusted when the stirring power is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reactant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ants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ed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mixture (melt) in the reactor reached 0.60 dl/g.
  • the mix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to form strands, which are solidified with a cooling liquid and then granulated to have an average weight of about 12 to 14 mg, polyester copolymer was manufactured.
  • TPA 2300.2 g
  • NPG neopentyl glycol
  • DEG 202.3 g
  • GeO 2 1.0 g
  • phosphoric acid 1.5 g
  •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lowered from atmospheric pressure to 5 Torr (absolute pressure: 5 mmHg) over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280 ° C. over 1 hour, and the pressure of the reactor was reduced to 1 Torr (absolute pressure: 1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below mmHg).
  • the stirring speed is set quickly, but a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gresses, the stirring speed is appropriately adjusted when the stirring power is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reactant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ants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
  •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ceeded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mixture (melt) in the reactor reached 0.70 dl/g.
  • IV intrinsic viscosity
  • the mix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or to form strands, which are solidified with a cooling liquid and then granulated to have an average weight of about 12 to 14 mg, polyester copolymer was manufactured.
  • the r-BHET-derived composition (wt%) and the diol-derived residue composition (mol%) in the polyester resin were determined by dissolving the sample in CDCl 3 solvent at a concentration of 3 mg/mL and then using a nuclear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JEOL, 600 MHz FT-NMR). ) was confirmed through 1H-NMR spectrum obtained at 25 ° C.
  • the composition of residues derived from diols was analyzed by mol% of residues advantageous to each specific diol (DEG and CHDM) relative to the total composition of all residues derived from diols.
  • the intrinsic viscosity was measured in a thermostat at 35° C. using a Ubel rod-type viscometer.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viscous tube is maintained at 35 ° C., and the time it takes for the solvent to pass between the specific inner sections of the viscous tube (efflux time) t 0 and the time t for the solution to pass through did Thereafter, the specific viscosity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t 0 value and the t value into Equation 1, and the calculated specific viscosity value was substituted into Equation 2 to calculate the intrinsic viscosity.
  • OCP orthochlorophenol
  •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s measur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pecifically, residual monomers (TPA, DMT, BHET, IPA, etc.) were extracted by reprecipitation to quantify unreacted and remaining acid and diol in the pellet sample.
  • the mobile phase A was prepared by mixing distilled water and H 3 PO 4 to pH 2, and the mobile phase B was acetonitrile.
  • the HPLC measurement condi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r 2 ) was obtained. Linearity was checked during accuracy/precision sample analysis. The acceptance criteria should be within 20% of the deviation from the theoretical value at the lower limit of quantification, within 15% of the deviation from the theoretical value at concentrations other than the lower limit of quantification, and r 2 (correlation coefficient) should be 0.98 or more.
  • gaseous substances generated under the following pretreatment conditions were collected using gas chromatography and converted to the total area/g of the graph.
  • the material generated when heating the pellet sample at 260 ° C in an air atmosphere for 1 hour was collected in the GC head space, and the total area of the collected material was quantified (unit area / g).
  • a higher total area/g value means that there are more unreacted substances and oligomers inside the pellet, and also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single molecules generated by thermal decomposition increases.
  • Oligomer area/g detected by GC usually means a substance with a molecular weight of 1000 or less.
  • the extrudability coefficient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above data and Equation 1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Extrusion evaluation was performed at 260 ° C to form a sheet sample having a thickness of 0.25 to 1 mm, and after 1 hour of starting the sheet extrusion, the plate-out phenomenon of the roll in which the extrusion proceeds was sensory evaluated. Sensory evaluation was evaluated as follows for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roll after sheet extrusion.
  • the quality of the polyester film is degraded, the surface of the film is uneven, and if a fish eye occurs in the stretched film, the stretching of the area where the fish eye occurs is uneven, in which case the quality of the stretched film is affecte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desired shrinkage of the stretched fil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고, 또한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본 발명은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고, 또한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투명성 및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음료 충전용 용기나, 포장용 필름, 오디오, 비디오용 필름 등의 소재로서 가장 적합하여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의료용 섬유나 타이어코드 등의 산업 자재로서도 전세계적으로 널리 생산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시트(sheet)나 판재는 투명성이 양호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케이스, 박스, 파티션, 점포 선반, 보호패널, 블리스터 패키징, 건축자재, 인테리어 내외장재 등의 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해양오염의 약 70%를 차지하는 폐플라스틱은 최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이에 따라 각국은 일회용 플라스틱의 사용을 규제함과 동시에 폐플라스틱의 재사용을 도모하고 있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폐플라스틱을 수거, 분쇄 및 세정한 후 용융 압출하여 재펠렛화한 다음 이를 원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하나는 폐플라스틱을 해중합(depolymerization)하여 얻어진 물질을 플라스틱 합성을 위한 단량체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후자의 경우, 폐플라스틱 중에서 PET나 PETG로부터 해중합하면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단량체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폐플라스틱 내의 이물질 등으로 인해 양호한 물질을 얻기가 힘들며, 특히 폐플라스틱을 해중합하여 얻어진 물질로 제조된 플라스틱은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플라스틱의 품질이 저하된 경우에는, 압출 가공으로 제조되는 물품 또한 품질 저하를 피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단량체로 사용하되, 후술할 바와 같이 다른 단량체의 사용량을 조절하여, 폐플라스틱을 해중합하여 얻어진 물질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품질을 개선하고, 특히 압출 가공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고, 또한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1) 재사용(recycled)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2)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acid), 및
3) 에틸렌 글리콜 및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디올이 중합되어,
상기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산 부분, 및 상기 디올로부터 유도된 디올 부분이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하기 수학식 1의 압출성 계수가 1 이상의 값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학식 1]
Figure PCTKR2022013303-appb-img-0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의 함량(wt%)이고,
B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잔류 산(acid)의 함량(ppmw)이고,
C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잔류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ppmw)이고,
D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올리고머의 함량(area/g)이다.
용어의 정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및 디에틸렌 글리콜 및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디올이 공중합되어 제조되는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중합 과정에서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가 반응에 참여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유도'는 특정한 화합물이 화학 반응에 참여하였을 때, 그 화학 반응의 결과물에 포함되는 상기 특정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일정한 부분 또는 단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산 부분, 및 상기 디올로부터 유도된 디올 부분 각각은,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반복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은, 상기 공중합 반응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반복단위를 의미한다.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aci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는 디올 성분과 함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주요 단량체를 의미한다. 특히,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며, 테레프탈산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레프탈산 잔기는, 테레프탈산 알킬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테레프탈산으로부터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외에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8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4,4'-스틸벤디카르복실산, 2,5-퓨란디카르복실산, 2,5-티오펜디카르복실산 등이 있으나,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4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프탈산, 세바식산, 숙신산, 이소데실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아디픽산, 글루타릭산, 아젤라이산 등의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등이 있으나,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은 테레프탈산 외에, 이소프탈산,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프탈산, 디메틸 프탈레이트, 프탈산 무수물,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디메틸 1,3-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세바식산, 숙신산, 이소데실숙신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아디프산, 글루타릭산 및 아젤라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올 성분은 상술한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와 함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주요 단량체를 의미한다. 특히, 상기 디올 성분은 에틸렌 글리콜 및 공단량체를 포함하며, 상기 공단량체는 디에틸렌 글리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도체, 또는 이의 조합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도체는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또는 4-(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톡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올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전체 디올 부분에 대하여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및 4-(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톡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올로부터 유도된 디올 부분을 0.1 내지 25 몰%로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단량체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메틸렌-1,3-프로판디올, 2-에틸-1,3-프로판디올, 2-이소프로필-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3-메틸-2,4-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사이클로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당량체 중 디에틸렌 글리콜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색상 특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5 내지 50 몰로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6 몰 이상, 7 몰 이상, 또는 8 몰 이상이고, 45 몰 이하, 40 몰 이하, 35 몰 이하, 30 몰 이하, 25 몰 이하, 또는 20 몰 이하로 포함된다.
상기 에틸렌 글리콜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투명성과 내충격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 글리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30 내지 80 몰로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 글리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35 몰 이상, 40몰 이상, 45몰 이상, 50 몰 이상, 또는 55 몰 이상이고, 75 몰 이하로 포함된다.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예를 들어, 1,2-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3-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투명성과 내충격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5 내지 40 몰로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7 몰 내지 35 몰로 포함된다.
재사용(recycled)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는, 사용된 후 수거된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얻어진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는 얻을 수 있는 폐플라스틱으로는 PET 및 PETG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된 후 수거된 PEG로부터 glycolysis, hydrolysis, methanolysis 등의 방법으로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는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얻는 과정에서 여러 화학적인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이를 공중합체의 단량체로 사용할 경우 필연적으로 제품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단량체로 사용할 경우, 색상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고,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부산물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주요 단량체로 사용하되,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잔기를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도록 조절한다.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잔기가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디올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데, 이에 따라 디올 성분에서 유래하는 부산물, 특히 에틸렌 글리콜에서 유래하는 부산물이 많아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품질 저하의 한 요인이 된다. 또한,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잔기가 9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색상 품질 및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술한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에틸렌 글리콜 및 공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중합은 에스테르화 반응(단계 1)과 중축합 반응(단계 2)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하며, 아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연계 촉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연 아세테이트, 아연 아세테이트 디하이드레이트, 염화아연, 황산아연, 황화아연, 탄산아연, 아연 시트레이트, 글루콘산 아연, 또는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각 출발물질의 사용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0 내지 10.0 kg/㎠의 압력 및 150 내지 300℃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조건은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적인 특성, 각 성분의 비율, 또는 공정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조건의 바람직한 예로, 0 내지 5.0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kg/㎠의 압력; 200 내지 270℃,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60℃의 온도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배치(batch)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각각의 원료는 별도로 투입될 수 있으나, 디올 성분에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재사용(recycled)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혼합한 슬러리 형태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온에서 고형분인 아이소소바이드 등의 디올 성분은 물 또는 에틸렌 글리콜에 용해시킨 후,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혼합하여 슬러리로 만들 수 있다. 또는, 60℃ 이상에서 아이소소바이드가 용융된 후, 테테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기타 디올 성분을 혼합하여 슬러리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된 슬러리에 물을 추가로 투입하여 슬러리의 유동성 증대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150 내지 300℃ 온도 및 600 내지 0.01 mmHg의 감압 조건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중축합 반응은, 15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90℃,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280℃의 반응 온도; 및 600 내지 0.01mmHg,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0.05 mmH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0.1 mmHg의 감압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의 감압 조건을 적용함에 따라서 중축합 반응의 부산물인 글리콜을 계외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중축합 반응이 400 내지 0.01 mmHg감압 조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부산물의 제거가 불충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축합 반응이 150 내지 300℃ 온도 범위 밖에서 일어나는 경우, 축중합 반응이 150℃ 이하로 진행되면 중축합 반응의 부산물인 글리콜을 효과적으로 계외로 제거하지 못해 최종 반응 생성물의 고유 점도가 낮아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0℃ 이상으로 반응이 진행될 경우,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외관이 황변(yellow)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중축합 반응은 최종 반응 생성물의 고유 점도가 적절한 수준에 이를 때까지 필요한 시간 동안, 예를 들면, 평균 체류 시간 1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축합 반응은 티타늄계 화합물, 게르마늄계 화합물, 안티몬계 화합물, 알루미늄계 화합물, 주석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중축합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타늄계 화합물의 예로는, 테트라에틸 티타네이트, 아세틸트리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2-에틸헥실 티타네이트, 옥틸렌글리콜 티타네이트, 락테이트 티타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타네이트, 에틸아세토아세틱에스테르 티타네이트, 이소스테아릴 티타네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게르마늄계 화합물의 예로는 게르마늄 디옥사이드, 게르마늄 테트라클로라이드, 게르마늄 에틸렌글리콕시드, 게르마늄 아세테이트, 이들을 이용한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게르마늄 디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게르마늄 디옥사이드로는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 모두를 사용할 수 있고, 글리콜 가용성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 수학식 1의 압출성 계수가 1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술할 실시예와 같이, 압출성 계수가 1 이상인 경우 압출 가공시 roll의 plate-out 현상이 감소하고, outgas가 감소하여 압출성이 우수하며, 따라서 압출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압출성 계수가 1 미만인 경우, 압출 가공시 roll의 plate-out 현상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감소하고, outgas가 증가하여 제조된 sheet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 수학식 1의 압출성 계수가 1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5 이상, 6 이상, 7 이상, 8 이상, 9 이상, 또는 10 이상이다. 한편 상기 압출성 계수는 그 값이 높을수록 압출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하므로 그 상한에 이론적인 제한은 없으나, 일례로 200 이하, 190 이하, 180 이하, 170 이하, 160 이하, 150 이하, 140 이하, 130 이하, 120 이하, 110 이하, 또는 100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학식 1에서, 변수 A 내지 D의 값은 각 단위를 제외한 수치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변수 A와 관련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의 함량이 50 wt%인 경우, A는 50이 된다. 상기 변수 A 내지 D는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분석을 통하여 그 값을 얻을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할 실시예에서 구체화한다.
한편, 상기 변수 D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올리고머의 함량(area/g)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이하의 저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올리고머의 함량의 측정 방법은 후술할 실시예에서 구체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고유 점도가 0.50 내지 1.0 dl/g이고, 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0.85 dl/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 내지 0.80 dl/g, 또는 0.60 내지 0.80 dl/g이다. 상기 고유 점도의 측정 방법은 후술할 실시예에서 구체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성형 전의 칩, 펠렛 또는 분말 등의 상태를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압출 또는 사출 등의 별도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된 성형품, 예를 들어 필름 또는 시트 형태 등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필름, 열수축 필름, 시트, 프로파일, 또는 블로운 필름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고, 또한 압출 가공성이 우수하여 각종 물품, 특히 필름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689.8 g; 이하 'r-BHET'라 한다), TPA(terephthalic acid; 2554.5 g), EG(ethylene glycol; 755.4 g), CHDM(1,4-cyclohexanedimethanol; 826.4 g), DEG(diethylene glycol; 211.1 g)을 투입하고, 촉매로 TiO2(1.0 g), 안정제로 인산(phosphoric acid, 1.5 g), 블루토너로 Clarient사 (0.006 g), 및 레드토너로 Clarient사 (0.004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60℃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60℃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6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r-BHET(2248.9 g), TPA(1202.5 g), EG(182.6 g), CHDM(734.8 g)을 투입하고, 촉매로 Ti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 정색제로 코발트 아세테이트(cobalt acetate, 0.7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5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8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r-BHET(3291.8 g), TPA(717.1 g), EG(21.4 g), CHDM(522.5 g), DEG(311.4 g)을 투입하고, 촉매로 Ti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 블루토너로 Clarient사 (0.007 g), 및 레드토너로 Clarient사 (0.004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5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8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r-BHET(4388.5 g), TPA(151.0 g), EG(45.1 g), CHDM(261.9 g), DEG(239.0 g), CHDM 유도체 (341.2 g; i)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및 ii) 4-(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톡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올을 1:3의 몰비로 포함)을 투입하고, 촉매로 Ge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 블루토너로 Clarient사 (0.020 g), 및 레드토너로 Clarient사 (0.008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0.5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1127.8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60℃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60℃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7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8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r-BHET(1005.9 g), DMT(dimethyl terephthalate; 2304.9 g), EG(874.1 g), CHDM(707.2 g), DEG(231.3 g)을 투입하고, 촉매로 Mn(II) acetate tetrahydrate(1.5 g) 및 Sb2O3(1.8 g), 정색제로 코발트 아세테이트(cobalt acetate, 0.6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0.1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833.6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40℃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40℃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6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r-BHET(2283.5 g), TPA(1221.0 g), IPA(isophthalic acid; 1492.4 g), EG(185.5 g), CHDM(746.2 g)을 투입하고, 촉매로 GeO2(1.0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5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8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TPA(3005.3 g), EG(1088.8 g), CHDM(834.3 g), DEG(211.1 g)을 투입하고, 촉매로 Ti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5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8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TPA(2780.6 g), EG(1495.5 g), CHDM(241.2 g), DEG(159.8 g), CHDM 유도체 (341.2 g; i)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및 ii) 4-(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톡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올을 1:3의 몰비로 포함)을 투입하고, 촉매로 Ti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 정색제로 코발트 아세테이트(cobalt acetate, 0.7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5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60℃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85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TPA(3631.3 g), EG(2780.3 g), DEG(159.7 g)을 투입하고, 촉매로 Ge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1.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1495.6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6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7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6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TPA(2300.2 g), NPG(neopentyl glycol; 158.0 g), DEG(202.3 g)을 투입하고, 촉매로 Ge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6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80℃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공중합체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물성을 평가하였다.
1) 잔기 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내의 r-BHET 유래 조성(wt%) 및 디올 유래의 잔기 조성(mol%)은 시료를 CDCl3 용매에 3 mg/mL의 농도로 용해한 후 핵자기 공명 장치(JEOL, 600MHz FT-NMR)를 이용하여 25℃에서 얻은 1H-NMR 스펙트럼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때 디올 유래의 잔기 조성은, 디올에서 유래한 모든 잔기의 총 조성 대비 각 구체적인 디올(DEG 및 CHDM)에서 유리한 잔기의 mol%로 분석하였다.
2) 고유 점도
150℃ 오르쏘클로로페놀(OCP)에 0.12% 농도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용해시킨 후, 35℃의 항온조에서 우벨로드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고유점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점도관의 온도를 35℃로 유지하고, 점도관의 특정 내부 구간 사이를 용매(solvent)가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efflux time) t0와 용액(solution)이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 t를 구하였다. 이후, t0 값과 t 값을 식 1에 대입하여 비점도(specific viscosity)를 산출하고, 산출된 비점도 값을 식 2에 대입하여 고유점도를 산출하였다.
[식 1]
Figure PCTKR2022013303-appb-img-000002
[식 2]
Figure PCTKR2022013303-appb-img-000003
3) HPLC / 잔류 acid, BHET 측정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Pellet 시료 내 미반응 및 잔류하는 acid 및 diol을 정량하기 위해 재침법에 의한 잔류 monomer (TPA, DMT, BHET, IPA 등) 추출을 진행하였다.
HPLC용 표준 용액은 정량하고자 하는 monomer(TPA, BHET, DMT, IPA 등) 0.01 g을 MeOH 20 mL에 녹인 후(500 μg/mL), MeOH로 계열 희석하여 검량선 시료 범위에 맞도록 희석하였다. 시료의 전처리는 pellet 시료 약 0.1 g 을 HFIP 1 mL에 용해하여(shaker 180 rpm 1시간 이상 교반), 완전 용해 확인 후 MeOH 3 ml을 넣어 재침하였다.
또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동상을 설정하여야 하는데, 이에 이동상 A는 증류수와 H3PO4를 혼합하여 pH 2로 제조하였고, 이동상 B는 acetonitrile를 사용하였다. HPLC 측정 조건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Maker: Mightysil C18 (4.0*250mm), (5 μm)
- Mobile phase: H2O & H3PO4 / acetonitrile (Gradient)
- Flow rate: 1.2 ml / min
- Wavelength for detection: 242 nm
- Retention time: about 30 min
- Injection volume: 10 um
표준 용액으로 검량선을 작성한 후 상관계수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를 구하였다. 직선성은 정확성/정밀도 시료 분석시 확인하였다. 허용기준은 최저 정량한계에서 이론치와 편차가 20% 이내이고 최저 정량한계 이외의 농도에서 이론치와 편차가 15% 이내여야 하며 r2(상관계수)가 0.98 이상이어야 한다.
4) GC total area/g
polymer의 열분해에 의한 Oligomer 및 단분자 정량 분석을 위해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활용하여 하기의 전처리 조건에서 발생되는 기체 물질을 포집하여, 그래프의 전체 area/g으로 환산하였다.
전처리 조건은 pellet 시료를 260℃, air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가열시 발생하는 물질을 GC head space에 포집하여, 포집되는 물질의 total area를 정량화 하였다(단위 area/g). Total area/g 수치가 높을수록, pellet 내부에 미반응된 물질 및 Oligomer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열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단분자량이 증가함을 나타낸다. GC에서 검출되는 Oligomer의 area/g은 통상 분자량 1000이하의 물질을 의미한다. GC측정 조건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GC 기기 조건
- Model: Triplus 500 (Thermo)
- Incubation temperature: 260℃
- Incubation time: 60 min
- Loop temperature: 260℃
- Loop volume: 1 mL
- Injection time: 0.5 min
- Injection mode: standard
5) 압출성 계수
상술한 데이터와 본 명세서의 수학식 1을 적용하여, 압출성 계수를 측정하였다.
6) 압출성
6-1) Plate-out 평가
하기 spec.을 지니는 Breyer 설비를 활용하여, 각각의 실시예, 비교예에 따른 시료를 압출 평가하였다.
- Supplier: Breyer GmbH (Germany, December, 2000)
- Main extruder: Single screw extruder with or without venting section
- Diameter: 45 mm
- L/D: 33:1
260℃에서 0.25 ~ 1 mm 두께를 지니는 sheet 샘플이 되도록 압출 평가하여, sheet 압출을 시작 1 시간 경과 후, 압출이 진행되는 roll의 plate-out 현상을 관능 평가하였다. 관능 평가는 sheet 압출 후 roll의 오염도로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 X: sheet 압출 후 roll 오염 없음
- △: sheet 압출 후 roll 오염 소폭 발생
- ○: sheet 압출 후 roll 오염 있음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작된 시료에서 미반응 monomer, 잔류 monomer 및 열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Oligomer(total area/g)이 많을수록 sheet 압출시 발생되는 단분자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roll의 오염도를 증가시켜 sheet 압출시 품질 및 생산성 저하를 유발한다.
5-2) Out-gas 발생 평가
동일한 설비를 활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작된 시료를 압출 평가하며, 각각의 Pellet이 압출기 통과 후, roll에 압착 시 발생되는 out-gas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 ◎: out gas 발생 없음 / 10분 간격으로 6회 확인
- ○: out gas 발생 거의 없음
- △: out gas 소폭 발생
- X: out gas 지속적으로 발생
7) 연신성
압출된 sheet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0.25 um)을 10 cm x 10 cm의 정방형으로 재단하고, 연신비(DR)가 MD:TD=1:5, 연신 온도 75 내지 95℃로 재가열하면서 연신을 진행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품질이 저하될 경우, 필름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연신 필름에 fish eye가 발생할 경우, fish eye가 발생된 부분의 연신은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며, 이 경우 연신 필름의 품질에 영향을 미쳐 연신 필름의 원하는 수축률을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10 cm x 10 cm의 정방형으로 재단하고, 연신비(DR)가 MD:TD=1:5 를 지니도록 한 연신한 필름 내에서 육안으로 Fish eye 관능 평가하였다.
- X: fish eye 거의 없음
- △: fish eye 소폭 발생
- ○: 연신 불균일
상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단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r-BHET wt% 14 50 63 81 21 50 0 0 0 0
DEG mol% 8 0 13 11.5 8 13 8 11.5 0 15
CHDM mol% 31 31 20 14.5 31 20 31 14.5 0 0
고유점도 dg/l 0.7 0.7 0.7 0.8 0.7 0.7 0.7 0.85 0.6 0.7
HPLC 잔류
acid
ppmw 10.3 6.1 4.4 1.9 9.5 5.0 12 10 20 25
잔류
BHET
ppmw 75 70 86 50 90 99 100 120 107 110
GC 올리고머 Area/g 7.8.E+07 7.3.E+07 7.2.E+07 6.9.E+07 7.7.E+07 7.3.E+07 8.2.E+08 7.8.E+08 1.0.E+09 1.5.E+09
압출성 계수 - 3.92 19.13 27.11 134.89 4.72 16.72 0.10 0.11 0.05 0.02
압출성 Roll Plate-out - X X X X X X
압출 out-gas 감소 - X X
연신성 Fish eye 유무 - X X X X X X

Claims (11)

1) 재사용(recycled)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2)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acid), 및
3) 에틸렌 글리콜 및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디올이 중합되어,
상기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산 부분, 및 상기 디올로부터 유도된 디올 부분이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하기 수학식 1의 압출성 계수가 1 이상의 값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학식 1]
Figure PCTKR2022013303-appb-img-000004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의 함량(wt%)이고,
B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잔류 산(acid)의 함량(ppmw)이고,
C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잔류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ppmw)이고,
D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올리고머의 함량(area/g)이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을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단량체는 디에틸렌 글리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도체, 또는 이의 조합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도체는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또는 4-(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톡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올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단량체는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메틸렌-1,3-프로판디올, 2-에틸-1,3-프로판디올, 2-이소프로필-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3-메틸-2,4-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사이클로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은 이소프탈산,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프탈산, 디메틸 프탈레이트, 프탈산 무수물,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디메틸 1,3-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세바식산, 숙신산, 이소데실숙신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아디프산, 글루타릭산 및 아젤라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 계수가 3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고유 점도가 0.50 내지 1.0 dl/g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물품.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필름, 열수축 필름, 시트, 프로파일, 또는 블로운 필름인,
물품.
PCT/KR2022/013303 2021-10-08 2022-09-06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WO202305891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67999.4A CN118076664A (zh) 2021-10-08 2022-09-06 包含再循环的单体的具有改进的挤出加工性的聚酯共聚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220 2021-10-08
KR1020210134220A KR20230050891A (ko) 2021-10-08 2021-10-08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916A1 true WO2023058916A1 (ko) 2023-04-13

Family

ID=8580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303 WO2023058916A1 (ko) 2021-10-08 2022-09-06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30050891A (ko)
CN (1) CN118076664A (ko)
TW (1) TW202323365A (ko)
WO (1) WO202305891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9234A1 (en) * 1999-08-04 2004-01-29 Aies Co., Ltd. Bis-beta-hydroxyethyl terephthalate production process and purification process
KR100490000B1 (ko) * 1999-10-19 2005-05-17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스 탈이온된 비스-β-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중합방법
KR20120133548A (ko) * 2011-05-31 2012-12-1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항균성 재생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9117A (ko) * 2010-09-08 2014-01-2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00061948A (ko) * 2018-11-26 2020-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비스-2-하이드록시 에틸 테레프탈레이트 정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터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9234A1 (en) * 1999-08-04 2004-01-29 Aies Co., Ltd. Bis-beta-hydroxyethyl terephthalate production process and purification process
KR100490000B1 (ko) * 1999-10-19 2005-05-17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스 탈이온된 비스-β-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중합방법
KR20140009117A (ko) * 2010-09-08 2014-01-2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20133548A (ko) * 2011-05-31 2012-12-1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항균성 재생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1948A (ko) * 2018-11-26 2020-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비스-2-하이드록시 에틸 테레프탈레이트 정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23365A (zh) 2023-06-16
CN118076664A (zh) 2024-05-24
KR20230050891A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92558A1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WO2016117872A1 (ko) 고투명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에스테르의 신규 제조방법
WO2021060686A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4092275A1 (ko)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연속 제조방법
WO2021010591A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
WO2017164504A1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용품
WO2022102902A1 (ko) 생분해성 적층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102936A1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WO2024071915A1 (ko) 재생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중합 원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04995A1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WO2014092276A1 (ko)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연속 제조방법
WO2014092277A1 (ko)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연속 제조방법
WO2023058916A1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WO2021141236A1 (ko) 기계적 물성, 성형성 및 내후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3277349A1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WO2024039113A1 (ko) 비스(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WO2020149469A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112099A1 (ko) 재생 비스(4-히드록시부틸)테레프탈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WO2022097903A1 (ko) 비스-2-하이드록시에틸 테레프탈레이트의 고순도화 정제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WO2021086082A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용기의 재생 방법
WO2023195668A1 (ko) 비스(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WO2024080599A1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WO2024039112A1 (ko) 비스(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039116A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23214727A1 (ko) 재생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수용액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787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787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787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