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891A -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 Google Patents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0891A
KR20230050891A KR1020210134220A KR20210134220A KR20230050891A KR 20230050891 A KR20230050891 A KR 20230050891A KR 1020210134220 A KR1020210134220 A KR 1020210134220A KR 20210134220 A KR20210134220 A KR 20210134220A KR 20230050891 A KR20230050891 A KR 20230050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olyester copolymer
reactor
propanediol
di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다영
김상우
김하늘
이부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0891A/ko
Priority to CN202280067999.4A priority patent/CN118076664A/zh
Priority to PCT/KR2022/013303 priority patent/WO2023058916A1/ko
Priority to TW111134737A priority patent/TW202323365A/zh
Publication of KR20230050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89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05Polyesters prepared from ke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고, 또한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Polyester copolymer improved extrusion processability, comprising recycled monomers}
본 발명은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고, 또한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투명성 및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음료 충전용 용기나, 포장용 필름, 오디오, 비디오용 필름 등의 소재로서 가장 적합하여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의료용 섬유나 타이어코드 등의 산업 자재로서도 전세계적으로 널리 생산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시트(sheet)나 판재는 투명성이 양호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케이스, 박스, 파티션, 점포 선반, 보호패널, 블리스터 패키징, 건축자재, 인테리어 내외장재 등의 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해양오염의 약 70%를 차지하는 폐플라스틱은 최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이에 따라 각국은 일회용 플라스틱의 사용을 규제함과 동시에 폐플라스틱의 재사용을 도모하고 있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폐플라스틱을 수거, 분쇄 및 세정한 후 용융 압출하여 재펠렛화한 다음 이를 원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하나는 폐플라스틱을 해중합(depolymerization)하여 얻어진 물질을 플라스틱 합성을 위한 단량체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후자의 경우, 폐플라스틱 중에서 PET나 PETG로부터 해중합하면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단량체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폐플라스틱 내의 이물질 등으로 인해 양호한 물질을 얻기가 힘들며, 특히 폐플라스틱을 해중합하여 얻어진 물질로 제조된 플라스틱은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플라스틱의 품질이 저하된 경우에는, 압출 가공으로 제조되는 물품 또한 품질 저하를 피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단량체로 사용하되, 후술할 바와 같이 다른 단량체의 사용량을 조절하여, 폐플라스틱을 해중합하여 얻어진 물질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품질을 개선하고, 특히 압출 가공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고, 또한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1) 재사용(recycled)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2)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acid), 및
3) 에틸렌 글리콜 및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디올이 중합되어,
상기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산 부분, 및 상기 디올로부터 유도된 디올 부분이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하기 수학식 1의 압출성 계수가 1 이상의 값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의 함량(wt%)이고,
B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잔류 산(acid)의 함량(ppmw)이고,
C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잔류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ppmw)이고,
D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올리고머의 함량(area/g)이다.
용어의 정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및 디에틸렌 글리콜 및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디올이 공중합되어 제조되는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중합 과정에서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가 반응에 참여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유도'는 특정한 화합물이 화학 반응에 참여하였을 때, 그 화학 반응의 결과물에 포함되는 상기 특정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일정한 부분 또는 단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산 부분, 및 상기 디올로부터 유도된 디올 부분 각각은,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축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반복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은, 상기 공중합 반응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반복단위를 의미한다.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aci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는 디올 성분과 함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주요 단량체를 의미한다. 특히,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며, 테레프탈산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레프탈산 잔기는, 테레프탈산 알킬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테레프탈산으로부터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외에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8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4,4'-스틸벤디카르복실산, 2,5-퓨란디카르복실산, 2,5-티오펜디카르복실산 등이 있으나,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탄소수 4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프탈산, 세바식산, 숙신산, 이소데실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아디픽산, 글루타릭산, 아젤라이산 등의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등이 있으나,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은 테레프탈산 외에, 이소프탈산,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프탈산, 디메틸 프탈레이트, 프탈산 무수물,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디메틸 1,3-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세바식산, 숙신산, 이소데실숙신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아디프산, 글루타릭산 및 아젤라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올 성분은 상술한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와 함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주요 단량체를 의미한다. 특히, 상기 디올 성분은 에틸렌 글리콜 및 공단량체를 포함하며, 상기 공단량체는 디에틸렌 글리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도체, 또는 이의 조합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도체는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또는 4-(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톡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올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전체 디올 부분에 대하여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및 4-(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톡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올로부터 유도된 디올 부분을 0.1 내지 25 몰%로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단량체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메틸렌-1,3-프로판디올, 2-에틸-1,3-프로판디올, 2-이소프로필-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3-메틸-2,4-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사이클로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당량체 중 디에틸렌 글리콜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색상 특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5 내지 50 몰로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6 몰 이상, 7 몰 이상, 또는 8 몰 이상이고, 45 몰 이하, 40 몰 이하, 35 몰 이하, 30 몰 이하, 25 몰 이하, 또는 20 몰 이하로 포함된다.
상기 에틸렌 글리콜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투명성과 내충격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 글리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30 내지 80 몰로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 글리콜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35 몰 이상, 40몰 이상, 45몰 이상, 50 몰 이상, 또는 55 몰 이상이고, 75 몰 이하로 포함된다.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예를 들어, 1,2-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3-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투명성과 내충격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성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5 내지 40 몰로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잔기는 상기 전체 디올 성분 잔기 100 몰 대비 7 몰 내지 35 몰로 포함된다.
재사용(recycled)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는, 사용된 후 수거된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얻어진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는 얻을 수 있는 폐플라스틱으로는 PET 및 PETG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된 후 수거된 PEG로부터 glycolysis, hydrolysis, methanolysis 등의 방법으로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는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얻는 과정에서 여러 화학적인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이를 공중합체의 단량체로 사용할 경우 필연적으로 제품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단량체로 사용할 경우, 색상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고,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부산물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주요 단량체로 사용하되,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잔기를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도록 조절한다.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잔기가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디올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데, 이에 따라 디올 성분에서 유래하는 부산물, 특히 에틸렌 글리콜에서 유래하는 부산물이 많아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품질 저하의 한 요인이 된다. 또한,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잔기가 9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색상 품질 및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술한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에틸렌 글리콜 및 공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중합은 에스테르화 반응(단계 1)과 중축합 반응(단계 2)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하며, 아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연계 촉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연 아세테이트, 아연 아세테이트 디하이드레이트, 염화아연, 황산아연, 황화아연, 탄산아연, 아연 시트레이트, 글루콘산 아연, 또는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각 출발물질의 사용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0 내지 10.0 kg/㎠의 압력 및 150 내지 300℃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조건은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적인 특성, 각 성분의 비율, 또는 공정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조건의 바람직한 예로, 0 내지 5.0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kg/㎠의 압력; 200 내지 270℃,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60℃의 온도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배치(batch)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각각의 원료는 별도로 투입될 수 있으나, 디올 성분에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재사용(recycled)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혼합한 슬러리 형태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온에서 고형분인 아이소소바이드 등의 디올 성분은 물 또는 에틸렌 글리콜에 용해시킨 후,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혼합하여 슬러리로 만들 수 있다. 또는, 60℃ 이상에서 아이소소바이드가 용융된 후, 테테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기타 디올 성분을 혼합하여 슬러리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된 슬러리에 물을 추가로 투입하여 슬러리의 유동성 증대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150 내지 300℃ 온도 및 600 내지 0.01 mmHg의 감압 조건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중축합 반응은, 15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90℃,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280℃의 반응 온도; 및 600 내지 0.01mmHg,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0.05 mmH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0.1 mmHg의 감압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의 감압 조건을 적용함에 따라서 중축합 반응의 부산물인 글리콜을 계외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중축합 반응이 400 내지 0.01 mmHg감압 조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부산물의 제거가 불충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축합 반응이 150 내지 300℃ 온도 범위 밖에서 일어나는 경우, 축중합 반응이 150℃ 이하로 진행되면 중축합 반응의 부산물인 글리콜을 효과적으로 계외로 제거하지 못해 최종 반응 생성물의 고유 점도가 낮아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0℃ 이상으로 반응이 진행될 경우,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외관이 황변(yellow)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중축합 반응은 최종 반응 생성물의 고유 점도가 적절한 수준에 이를 때까지 필요한 시간 동안, 예를 들면, 평균 체류 시간 1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축합 반응은 티타늄계 화합물, 게르마늄계 화합물, 안티몬계 화합물, 알루미늄계 화합물, 주석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중축합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타늄계 화합물의 예로는, 테트라에틸 티타네이트, 아세틸트리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2-에틸헥실 티타네이트, 옥틸렌글리콜 티타네이트, 락테이트 티타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타네이트, 에틸아세토아세틱에스테르 티타네이트, 이소스테아릴 티타네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게르마늄계 화합물의 예로는 게르마늄 디옥사이드, 게르마늄 테트라클로라이드, 게르마늄 에틸렌글리콕시드, 게르마늄 아세테이트, 이들을 이용한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게르마늄 디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게르마늄 디옥사이드로는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 모두를 사용할 수 있고, 글리콜 가용성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 수학식 1의 압출성 계수가 1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술할 실시예와 같이, 압출성 계수가 1 이상인 경우 압출 가공시 roll의 plate-out 현상이 감소하고, outgas가 감소하여 압출성이 우수하며, 따라서 압출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압출성 계수가 1 미만인 경우, 압출 가공시 roll의 plate-out 현상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감소하고, outgas가 증가하여 제조된 sheet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 수학식 1의 압출성 계수가 1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5 이상, 6 이상, 7 이상, 8 이상, 9 이상, 또는 10 이상이다. 한편 상기 압출성 계수는 그 값이 높을수록 압출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하므로 그 상한에 이론적인 제한은 없으나, 일례로 200 이하, 190 이하, 180 이하, 170 이하, 160 이하, 150 이하, 140 이하, 130 이하, 120 이하, 110 이하, 또는 100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학식 1에서, 변수 A 내지 D의 값은 각 단위를 제외한 수치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변수 A와 관련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의 함량이 50 wt%인 경우, A는 50이 된다. 상기 변수 A 내지 D는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분석을 통하여 그 값을 얻을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할 실시예에서 구체화한다.
한편, 상기 변수 D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올리고머의 함량(area/g)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이하의 저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올리고머의 함량의 측정 방법은 후술할 실시예에서 구체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고유 점도가 0.50 내지 1.0 dl/g이고, 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0.85 dl/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 내지 0.80 dl/g, 또는 0.60 내지 0.80 dl/g이다. 상기 고유 점도의 측정 방법은 후술할 실시예에서 구체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성형 전의 칩, 펠렛 또는 분말 등의 상태를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압출 또는 사출 등의 별도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된 성형품, 예를 들어 필름 또는 시트 형태 등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필름, 열수축 필름, 시트, 프로파일, 또는 블로운 필름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고, 또한 압출 가공성이 우수하여 각종 물품, 특히 필름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689.8 g; 이하 'r-BHET'라 한다), TPA(terephthalic acid; 2554.5 g), EG(ethylene glycol; 755.4 g), CHDM(1,4-cyclohexanedimethanol; 826.4 g), DEG(diethylene glycol; 211.1 g)을 투입하고, 촉매로 TiO2(1.0 g), 안정제로 인산(phosphoric acid, 1.5 g), 블루토너로 Clarient사 (0.006 g), 및 레드토너로 Clarient사 (0.004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60℃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60℃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6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r-BHET(2248.9 g), TPA(1202.5 g), EG(182.6 g), CHDM(734.8 g)을 투입하고, 촉매로 Ti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 정색제로 코발트 아세테이트(cobalt acetate, 0.7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5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8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r-BHET(3291.8 g), TPA(717.1 g), EG(21.4 g), CHDM(522.5 g), DEG(311.4 g)을 투입하고, 촉매로 Ti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 블루토너로 Clarient사 (0.007 g), 및 레드토너로 Clarient사 (0.004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5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8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r-BHET(4388.5 g), TPA(151.0 g), EG(45.1 g), CHDM(261.9 g), DEG(239.0 g), CHDM 유도체 (341.2 g; i)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및 ii) 4-(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톡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올을 1:3의 몰비로 포함)을 투입하고, 촉매로 Ge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 블루토너로 Clarient사 (0.020 g), 및 레드토너로 Clarient사 (0.008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0.5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1127.8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60℃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60℃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7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8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r-BHET(1005.9 g), DMT(dimethyl terephthalate; 2304.9 g), EG(874.1 g), CHDM(707.2 g), DEG(231.3 g)을 투입하고, 촉매로 Mn(II) acetate tetrahydrate(1.5 g) 및 Sb2O3(1.8 g), 정색제로 코발트 아세테이트(cobalt acetate, 0.6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0.1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833.6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40℃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40℃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6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r-BHET(2283.5 g), TPA(1221.0 g), IPA(isophthalic acid; 1492.4 g), EG(185.5 g), CHDM(746.2 g)을 투입하고, 촉매로 GeO2(1.0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5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8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TPA(3005.3 g), EG(1088.8 g), CHDM(834.3 g), DEG(211.1 g)을 투입하고, 촉매로 Ti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5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8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TPA(2780.6 g), EG(1495.5 g), CHDM(241.2 g), DEG(159.8 g), CHDM 유도체 (341.2 g; i)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및 ii) 4-(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톡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올을 1:3의 몰비로 포함)을 투입하고, 촉매로 Ti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 정색제로 코발트 아세테이트(cobalt acetate, 0.7 g)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5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60℃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85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TPA(3631.3 g), EG(2780.3 g), DEG(159.7 g)을 투입하고, 촉매로 Ge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1.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1495.6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6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75℃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6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컬럼과,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10 L 용적의 반응기에, TPA(2300.2 g), NPG(neopentyl glycol; 158.0 g), DEG(202.3 g)을 투입하고, 촉매로 GeO2(1.0 g), 안정제로 인산(1.5 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하여 반응기의 압력이 상압 보다 2.0 kgf/cm2 만큼 높은 가압 상태로 만들었다(절대 압력: 2231.1 mmHg).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220℃까지 90분에 걸쳐 올리고, 220℃에서 2시간 유지한 후, 265℃까지 2 시간에 걸쳐 올렸다. 그 다음,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반응기의 온도를 255℃로 유지하며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컬럼과 콘덴서를 거쳐 부산물이 유출되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7 L 용적의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그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 (절대 압력: 5 mmHg)까지 30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반응기의 온도를 280℃까지 1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중축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나, 중축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 반응은 반응기 내의 혼합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0.70 dl/g이 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혼합물의 고유점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혼합물을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 하였으며, 이를 냉각액으로 고화 후 평균 무게가 12 내지 14 mg 정도가 되도록 입자화하여,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공중합체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물성을 평가하였다.
1) 잔기 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내의 r-BHET 유래 조성(wt%) 및 디올 유래의 잔기 조성(mol%)은 시료를 CDCl3 용매에 3 mg/mL의 농도로 용해한 후 핵자기 공명 장치(JEOL, 600MHz FT-NMR)를 이용하여 25℃에서 얻은 1H-NMR 스펙트럼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때 디올 유래의 잔기 조성은, 디올에서 유래한 모든 잔기의 총 조성 대비 각 구체적인 디올(DEG 및 CHDM)에서 유리한 잔기의 mol%로 분석하였다.
2) 고유 점도
150℃ 오르쏘클로로페놀(OCP)에 0.12% 농도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용해시킨 후, 35℃의 항온조에서 우벨로드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고유점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점도관의 온도를 35℃로 유지하고, 점도관의 특정 내부 구간 사이를 용매(solvent)가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efflux time) t0와 용액(solution)이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 t를 구하였다. 이후, t0 값과 t 값을 식 1에 대입하여 비점도(specific viscosity)를 산출하고, 산출된 비점도 값을 식 2에 대입하여 고유점도를 산출하였다.
[식 1]
Figure pat00002
[식 2]
Figure pat00003
3) HPLC / 잔류 acid, BHET 측정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Pellet 시료 내 미반응 및 잔류하는 acid 및 diol을 정량하기 위해 재침법에 의한 잔류 monomer (TPA, DMT, BHET, IPA 등) 추출을 진행하였다.
HPLC용 표준 용액은 정량하고자 하는 monomer(TPA, BHET, DMT, IPA 등) 0.01 g을 MeOH 20 mL에 녹인 후(500 μg/mL), MeOH로 계열 희석하여 검량선 시료 범위에 맞도록 희석하였다. 시료의 전처리는 pellet 시료 약 0.1 g 을 HFIP 1 mL에 용해하여(shaker 180 rpm 1시간 이상 교반), 완전 용해 확인 후 MeOH 3 ml을 넣어 재침하였다.
또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동상을 설정하여야 하는데, 이에 이동상 A는 증류수와 H3PO4를 혼합하여 pH 2로 제조하였고, 이동상 B는 acetonitrile를 사용하였다. HPLC 측정 조건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Maker: Mightysil C18 (4.0*250mm), (5 μm)
- Mobile phase: H2O & H3PO4 / acetonitrile (Gradient)
- Flow rate: 1.2 ml / min
- Wavelength for detection: 242 nm
- Retention time: about 30 min
- Injection volume: 10 um
표준 용액으로 검량선을 작성한 후 상관계수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를 구하였다. 직선성은 정확성/정밀도 시료 분석시 확인하였다. 허용기준은 최저 정량한계에서 이론치와 편차가 20% 이내이고 최저 정량한계 이외의 농도에서 이론치와 편차가 15% 이내여야 하며 r2(상관계수)가 0.98 이상이어야 한다.
4) GC total area/g
polymer의 열분해에 의한 Oligomer 및 단분자 정량 분석을 위해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활용하여 하기의 전처리 조건에서 발생되는 기체 물질을 포집하여, 그래프의 전체 area/g으로 환산하였다.
전처리 조건은 pellet 시료를 260℃, air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가열시 발생하는 물질을 GC head space에 포집하여, 포집되는 물질의 total area를 정량화 하였다(단위 area/g). Total area/g 수치가 높을수록, pellet 내부에 미반응된 물질 및 Oligomer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열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단분자량이 증가함을 나타낸다. GC에서 검출되는 Oligomer의 area/g은 통상 분자량 1000이하의 물질을 의미한다. GC측정 조건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GC 기기 조건
- Model: Triplus 500 (Thermo)
- Incubation temperature: 260℃
- Incubation time: 60 min
- Loop temperature: 260℃
- Loop volume: 1 mL
- Injection time: 0.5 min
- Injection mode: standard
5) 압출성 계수
상술한 데이터와 본 명세서의 수학식 1을 적용하여, 압출성 계수를 측정하였다.
6) 압출성
6-1) Plate-out 평가
하기 spec.을 지니는 Breyer 설비를 활용하여, 각각의 실시예, 비교예에 따른 시료를 압출 평가하였다.
- Supplier: Breyer GmbH (Germany, December, 2000)
- Main extruder: Single screw extruder with or without venting section
- Diameter: 45 mm
- L/D: 33:1
260℃에서 0.25 ~ 1 mm 두께를 지니는 sheet 샘플이 되도록 압출 평가하여, sheet 압출을 시작 1 시간 경과 후, 압출이 진행되는 roll의 plate-out 현상을 관능 평가하였다. 관능 평가는 sheet 압출 후 roll의 오염도로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 X: sheet 압출 후 roll 오염 없음
- △: sheet 압출 후 roll 오염 소폭 발생
- ○: sheet 압출 후 roll 오염 있음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작된 시료에서 미반응 monomer, 잔류 monomer 및 열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Oligomer(total area/g)이 많을수록 sheet 압출시 발생되는 단분자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roll의 오염도를 증가시켜 sheet 압출시 품질 및 생산성 저하를 유발한다.
5-2) Out-gas 발생 평가
동일한 설비를 활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작된 시료를 압출 평가하며, 각각의 Pellet이 압출기 통과 후, roll에 압착 시 발생되는 out-gas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 ◎: out gas 발생 없음 / 10분간격으로 6회 확인
- ○: out gas 발생 거의 없음
- △: out gas 소폭 발생
- X: out gas 지속적으로 발생
7) 연신성
압출된 sheet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0.25 um)을 10 cm x 10 cm의 정방형으로 재단하고, 연신비(DR)가 MD:TD=1:5, 연신 온도 75 내지 95℃로 재가열하면서 연신을 진행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품질이 저하될 경우, 필름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연신 필름에 fish eye가 발생할 경우, fish eye가 발생된 부분의 연신은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며, 이 경우 연신 필름의 품질에 영향을 미쳐 연신 필름의 원하는 수축률을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10 cm x 10 cm의 정방형으로 재단하고, 연신비(DR)가 MD:TD=1:5 를 지니도록 한 연신한 필름 내에서 육안으로 Fish eye 관능 평가하였다.
- ○: fish eye 거의 없음
- △: fish eye 소폭 발생
- X: 연신 불균일
상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단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r-BHET wt% 14 50 63 81 21 50 0 0 0 0
DEG mol% 8 0 13 11.5 8 13 8 11.5 0 15
CHDM mol% 31 31 20 14.5 31 20 31 14.5 0 0
고유점도 dg/l 0.7 0.7 0.7 0.8 0.7 0.7 0.7 0.85 0.6 0.7
HPLC 잔류
acid
ppmw 10.3 6.1 4.4 1.9 9.5 5.0 12 10 20 25
잔류
BHET
ppmw 75 70 86 50 90 99 100 120 107 110
GC 올리고머 Area/g 7.8.E+07 7.3.E+07 7.2.E+07 6.9.E+07 7.7.E+07 7.3.E+07 8.2.E+08 7.8.E+08 1.0.E+09 1.5.E+09
압출성 계수 - 3.92 19.13 27.11 134.89 4.72 16.72 0.10 0.11 0.05 0.02
압출성 Roll Plate-out - X X X X X X
압출 out-gas 감소 - X X
연신성 Fish eye 유무 - X X X X X X

Claims (11)

1) 재사용(recycled)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2)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acid), 및
3) 에틸렌 글리콜 및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디올이 중합되어,
상기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산 부분, 및 상기 디올로부터 유도된 디올 부분이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하기 수학식 1의 압출성 계수가 1 이상의 값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의 함량(wt%)이고,
B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잔류 산(acid)의 함량(ppmw)이고,
C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잔류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ppmw)이고,
D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내 올리고머의 함량(area/g)이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부분을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단량체는 디에틸렌 글리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도체, 또는 이의 조합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유도체는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또는 4-(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톡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올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단량체는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메틸렌-1,3-프로판디올, 2-에틸-1,3-프로판디올, 2-이소프로필-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3-메틸-2,4-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사이클로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은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산은 이소프탈산,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프탈산, 디메틸 프탈레이트, 프탈산 무수물,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디메틸 1,3-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세바식산, 숙신산, 이소데실숙신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아디프산, 글루타릭산 및 아젤라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 계수가 3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고유 점도가 0.50 내지 1.0 dl/g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물품.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필름, 열수축 필름, 시트, 프로파일, 또는 블로운 필름인,
물품.
KR1020210134220A 2021-10-08 2021-10-08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KR20230050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220A KR20230050891A (ko) 2021-10-08 2021-10-08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CN202280067999.4A CN118076664A (zh) 2021-10-08 2022-09-06 包含再循环的单体的具有改进的挤出加工性的聚酯共聚物
PCT/KR2022/013303 WO2023058916A1 (ko) 2021-10-08 2022-09-06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TW111134737A TW202323365A (zh) 2021-10-08 2022-09-14 包含回收單體之經改良擠壓加工性的聚酯共聚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220A KR20230050891A (ko) 2021-10-08 2021-10-08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891A true KR20230050891A (ko) 2023-04-17

Family

ID=8580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220A KR20230050891A (ko) 2021-10-08 2021-10-08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30050891A (ko)
CN (1) CN118076664A (ko)
TW (1) TW202323365A (ko)
WO (1) WO20230589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060B1 (ko) * 1999-08-04 2007-07-16 가부시키가이샤 펫 리버스 비스-β-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법 및 정제법
TWI239971B (en) * 1999-10-19 2005-09-21 Aies Co Ltd Method of polymerizing deionized bis-beta-hydroxyethyl terephthalate
WO2012032876A1 (ja) * 2010-09-08 2012-03-15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303819B1 (ko) * 2011-05-31 2013-09-0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항균성 재생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1948A (ko) * 2018-11-26 2020-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비스-2-하이드록시 에틸 테레프탈레이트 정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916A1 (ko) 2023-04-13
TW202323365A (zh) 2023-06-16
CN118076664A (zh)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8031B1 (en) Polyester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2671922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2583652B1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20190001551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6713B1 (ko) 압출 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US20220380595A1 (en) Polyest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184580A1 (en) Polyester-based thermal shrinkage film
EP3395855A1 (en) Polyester resi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resin molded product formed therefrom
EP4036168A1 (en) Polyester resin blend,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W201906893A (zh) 聚酯樹脂及其製備方法及其所製得的樹脂模造物件
EP3912815A1 (en)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1491571A1 (en) Copolyester resin and article using the same
KR20200039387A (ko)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EP3912814A1 (en)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583653B1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KR20230050891A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압출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KR20230004123A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KR20220001371A (ko) 재사용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KR102589382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3819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119602A1 (en)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30072045A (ko) 재사용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CN117304459B (zh) 一种生物基含硫高折光聚酯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40024742A (ko) 비스(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40158568A1 (en) Polyester resin comprising regenerated bis(2-hydroxyethyl)terephthalate and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