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25291A1 -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 및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 및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25291A1
WO2022225291A1 PCT/KR2022/005574 KR2022005574W WO2022225291A1 WO 2022225291 A1 WO2022225291 A1 WO 2022225291A1 KR 2022005574 W KR2022005574 W KR 2022005574W WO 2022225291 A1 WO2022225291 A1 WO 20222252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icroneedle particles
microneedle
pair
film
fil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55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준
김권우
장주현
김성수
최예람
이부용
박현우
배정현
나숙희
정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5030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0231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파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파스
Publication of WO20222252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252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 및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 및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품
본 발명은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 및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대한 것이다.
약물 및 생리활성물질은 일반적으로 정제제형 또는 캡슐제형으로 경구투여 되지만, 수많은 약물들이 위장관에서 소화 또는 흡수되거나 간의 기전에 의하여 소실되는 등의 이유로 상기와 같은 투여 방법만으로는 유효하게 전달될 수 없다. 게다가, 몇몇 약물들은 장의 점막을 통과하여 유효하게 확산될 수 없다. 또한 환자의 순응도 역시 문제가 된다.
약물 및 생리활성물질의 전달에 있어서 또 다른 일반적인 기술은 종래의 주사바늘(needle)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경구 투여에 비하여 효과적인 반면에, 주사부위에서의 통증 수반 및 피부의 국부적 손상, 출혈 및 주사부위에서의 질병 감염 등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경구 투여 및 피하 주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패취제를 통한 경피 투여 방법이 이용된다. 패취제를 사용한 경피 투여는 부작용이 적고 환자의 순응도가 높으며 약물의 혈중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피 투여 방식의 하나로서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마이크로구조체들이 개발되었다. 마이크로니들의 재질로는 금속 및 다양한 고분자 물질이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니들의 재질로서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니들은 점착시트를 구비한 패치 형태로 제작되어 인체의 원하는 부위에 점착시트를 이용하여 부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마이크로니들 제품은 패치 형태로 제작되어 인체의 한정된 영역에만 사용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점착시트의 점착력이 약한 경우 효과가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의 넓은 영역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화장품 등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점착력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지지층 위에 복수개의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이 형성된 파티클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파티클 조립체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티클 조립체는 소수성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지지층과, 상기 필름지지층 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생분해성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티클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한 쌍의 소수성 필름을 제공하여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생분해성 점성물질을 스팟팅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대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과 상기 점성물질을 접촉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이격시켜 상기 점성물질을 인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점성물질을 응고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이격시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 중에 적어도 하나에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클 조립체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지지층 상에 형성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에 대하여 횡방향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파티클 조립체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는 진공흡입기를 사용하여 상기 필름지지층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름지지층은 상기 소수성 필름 상에 형성되는 수용성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생분해성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은 상기 수용성 필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성 필름과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과의 접착력은 상기 소수성 필름과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과의 접착력에 비해 더 높고, 상기 수용성 필름은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용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티클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한 쌍의 소수성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 상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과의 접착력을 높이는 수용성 필름을 제공하여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의 수용성 필름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생분해성 점성물질을 스팟팅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대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의 수용성 필름 사이에서 상기 점성물질과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의 수용성 필름을 접촉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이격시켜 상기 점성물질을 인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점성물질을 응고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이격시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의 수용성 필름 상에 각각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성 필름은 용해시키며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은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로 상기 파티클 조립체를 처리하여 상기 필름지지층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용매에서 상기 소수성 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필터링하여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매는 증류수(Di water), 에탄올(Ethanol), 아세톤(Acetone).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 이소파라핀(Isoparaffin),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소수성 필름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폴리스티렌(Polystyrene : P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및 풀리에틸렌 나프타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 PEN)로으로 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 폴리머(cellulose polymer), 덱스트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소르베이트, 프로필렌글리콜, 포비돈, 카보머(carbomer), 가티검(gum ghatti), 구아검, 글루코만난, 글루코사민, 담마검(dammer resin), 렌넷카제인(rennet casein), 로커 스트콩검(locust bean gum), 미소섬유상셀룰로오스(microfibrillatedcellulose), 사일리움씨드검(psyllium seed gum), 잔탄검, 아라비노갈락탄(arabino galactan), 아라비아검, 알긴산, 젤라틴, 젤란검(gellan gum), 카라기난, 카라야검(karaya gum), 커드란(curdlan), 키토산, 키틴, 타라검(tara gum), 타마린드검(tamarind gum), 트라가칸스검(tragacanth gum), 퍼셀레란(furcelleran), 펙틴(pectin) 또는 풀루란(pullulan),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HPMC),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및 글루텐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또는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화장품 등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인체의 넓은 영역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점착력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를 제작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를 제작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파티클 조립체에서 마이크로니들파티클을 떼어내어 수집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에서 수집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실제 촬영한 사진,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를 제작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9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에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12는 용매 속에 남아 있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촬영한 사진,
도 13은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이 함유된 화장품을 인체에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용 제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은 필름지지층(20) 위에 복수개의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이 형성된 파티클 조립체(100)를 제공하는 단계(S110)와, 상기 파티클 조립체(100)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을 분리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티클 조립체(100)는 본 발명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이 필름 형태의 필름지지층(20) 상에 부착된 구조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티클 조립체(100)는 소수성 필름(10)과, 상기 소수성 필름(10)을 포함하는 필름지지층(20) 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생분해성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필름(10)은 상기 파티클 조립체(100)의 지지시트 또는 지지필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수성 필름(10)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폴리스티렌(Polystyrene : P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및 풀리에틸렌 나프타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 PEN)로으로 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은 상하부의 직경 또는 면적이 넓으며 중앙부의 직경 또는 면적이 작은 소위 모래시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의 형상은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도 4 또는 도 9a에 도시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314)과 같이 하부의 직경 또는 면적이 상부의 직경 또는 면적에 비해 더 넓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4 또는 도 9a에 도시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314)은 상단부가 뾰족한 원뿔, 또는 각뿔의 형태를 가지거나, 상부에 첨단부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314)이 상부에 첨단부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장품 등에 함께 섞여 사용되는 경우에 인체의 피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은 피부로 삽입되어 용해되는 것으로,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예로서, 히알루론산과 그의 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 폴리머(cellulose polymer), 덱스트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소르베이트, 프로필렌글리콜, 포비돈, 카보머(carbomer), 가티검(gum ghatti), 구아검, 글루코만난, 글루코사민, 담마검(dammer resin), 렌넷카제인(rennet casein), 로커 스트콩검(locust bean gum), 미소섬유상셀룰로오스(microfibrillatedcellulose), 사일리움씨드검(psyllium seed gum), 잔탄검, 아라비노갈락탄(arabino galactan), 아라비아검, 알긴산, 젤라틴, 젤란검(gellan gum), 카라기난, 카라야검(karaya gum), 커드란(curdlan), 키토산, 키틴, 타라검(tara gum), 타마린드검(tamarind gum), 트라가칸스검(tragacanth gum), 퍼셀레란(furcelleran), 펙틴(pectin) 또는 풀루란(pullulan), 하이드록 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파티클 조립체(100)를 제작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파티클 조립체(100)를 제공하는 단계는 먼저 한 쌍의 상기 소수성 필름(10, 10')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10, 10')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생분해성 점성물질(13, 13')을 스팟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분해성 점성물질(13, 13')은 전술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10, 10')은 상기 파티클 조립체(100)의 필름지지층(20, 20')의 지지필름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소수성 필름(10, 10')은 예를 들어 한 쌍의 기판(미도시)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소수성 필름(10, 10')은 상기 기판 상에 도포 및 건조되어 제공되거나, 시트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의 (A)에서는 한 쌍의 소수성 필름(10, 10') 상에 모두 점성물질(13, 13')을 스팟팅한 걸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소수성 필름(10, 10')의 어느 하나에만 점성물질(13, 13')을 스팟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20, 20')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대이동(도 3의 (A))시켜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10, 10') 사이에서 상기 점성물질(13, 13')과 상기 소수성 필름(10, 10')을 접촉시키고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10, 10')을 이격시켜 상기 점성물질(13, 13')을 인장(도 3의 (B))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점성물질(13, 13')을 응고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20, 20')을 이격시켜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10, 10')의 어느 한쪽에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점성물질(13, 13')은 송풍 등의 방식으로 응고될 수 있다. 상기 점성물질(13, 13')이 충분히 응고된 후에 상기 소수성 필름(10, 10')을 더 이격시키게 되면 상기 점성물질(13, 13')이 연결된 중간부분이 절단되는 대신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10, 10')의 어느 한쪽에 절단되지 않은 모래시계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의 하부의 직경 또는 면적이 상부의 직경 또는 면적에 비해 더 넓은 형태를 가지며, 상단부가 뾰족한 원뿔, 또는 각뿔의 형태를 가지거나, 상부에 첨단부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200, 200')를 제작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비교하여 인장단계, 즉 도 5의 (C) 단계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점성물질(13, 13')을 응고시키고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10, 10')을 이격시켜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10, 10') 상에 각각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14')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점성물질(13, 13')은 송풍 등의 방식으로 응고될 수 있다. 상기 점성물질(13, 13')이 충분히 응고된 후에 상기 필름지지층(20, 20')을 더 이격시키게 되면 서로 연결되어 있던 점성물질(13, 13')이 분리되면서 첨단부를 가지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14')이 형성된다(도 5의 (C)).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 또는 도 4와 같은 파티클 조립체(100, 200)를 제작한 다음, 상기 파티클 조립체(100, 200)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15)을 분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수성 필름(10, 10') 상에 형성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15)에 대하여 횡방향 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진공흡입기를 사용하여 상기 소수성 필름(10, 10')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15)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전술한 파티클 조립체(100, 200)에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15)을 분리하여 수집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의 사진에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소수성 필름에 대해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15)의 추출 및 수집 단계가 이미 완료되었으며, 제3 영역에 대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15)의 추출 및 수집 단계가 진행된다.
도 6 및 도 7의 사진에서는 면도칼을 제3 영역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동시키며 소수성 필름에 부착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소수성 필름으로부터 추출, 즉 분리시킨다. 소수성 필름과 친수성 재질의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접착력은 약하기 때문에 소수성 필름으로부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은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과 동시에 음압이 형성된 스포이드 등으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빨아들여 스포이드 내 공간에 마이크로니들-파티클을 수집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실험실 수준에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추출 및 수집 단계를 수동으로 수행한 것으로, 이 단계는 본 발명의 출원 당시에 이미 알려진 다양한 기술수단들을 활용하여 얼마든지 자동화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6 및 도 7의 면도칼을 대체하는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 수단과 음압이 걸린 스포이드를 대체하는 진공 흡입 수단이 자동화 장비에 채용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조 방법 중 하나의 단계인 추출 및 수집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진공 흡입 수단 외에도 추출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손실 없는 수집을 가능케 하는 그 어떤 수단을 활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8은 도 2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100)에서 분리되어 추출된 소위 모래시계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을 실제 촬영한 사진이다. 하지만, 이러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5)의 형상은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도 4 또는 도 9a에 도시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 314)과 같이 하부의 직경 또는 면적이 상부의 직경 또는 면적에 비해 더 넓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조립체(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파티클 조립체(3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파티클 조립체(300)를 실제로 촬영한 사진에 해당한다.
도 1,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은 필름지지층(320) 위에 복수개의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이 형성된 파티클 조립체(300)를 제공하는 단계(S110)와,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을 분리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는 본 발명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이 필름 형태의 필름지지층(320) 상에 부착된 구조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는 소수성 필름(310)과, 상기 소수성 필름(310) 상에 형성되는 수용성 필름(312)을 포함하는 상기 필름지지층(320)과, 상기 필름지지층(320) 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생분해성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필름(310)은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의 지지시트 또는 지지필름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수용성 필름(312)은 상기 소수성 필름(310)의 상부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필름(31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을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 미리 정해진 용매에 의해 용해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성 필름(312)과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과의 접착력은 상기 소수성 필름(310)과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과의 접착력에 비해 더 높도록 상기 수용성 필름(312)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필름(312)과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과의 접착력은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전술한 수용성 필름(312)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 폴리머(cellulose polymer), 덱스트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소르베이트, 프로필렌글리콜, 포비돈, 카보머(carbomer), 가티검(gum ghatti), 구아검, 글루코만난, 글루코사민, 담마검(dammer resin), 렌넷카제인(rennet casein), 로커 스트콩검(locust bean gum), 미소섬유상셀룰로오스(microfibrillatedcellulose), 사일리움씨드검(psyllium seed gum), 잔탄검, 아라비노갈락탄(arabino galactan), 아라비아검, 알긴산, 젤라틴, 젤란검(gellan gum), 카라기난, 카라야검(karaya gum), 커드란(curdlan), 키토산, 키틴, 타라검(tara gum), 타마린드검(tamarind gum), 트라가칸스검(tragacanth gum), 퍼셀레란(furcelleran), 펙틴(pectin) 또는 풀루란(pullulan),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HPMC),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및 글루텐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하부의 직경 또는 면적이 상부의 직경 또는 면적에 비해 더 넓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상단부가 뾰족한 원뿔, 또는 각뿔의 형태를 가지거나, 상부에 첨단부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이 상부에 첨단부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장품 등에 함께 섞여 사용되는 경우에 인체의 피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의 재질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0은 전술한 파티클 조립체(300, 300')를 제작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 300')를 제공하는 단계는 먼저 한 쌍의 상기 소수성 필름(310, 310')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310, 310') 상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 314')과의 접착력을 높이는 수용성 필름(312, 312')을 제공하여 한 쌍의 필름지지층(320, 32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320, 320')의 수용성 필름(312, 312')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생분해성 점성물질(313, 313')을 스팟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분해성 점성물질(313, 313')은 전술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310, 310')은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 300')의 지지필름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소수성 필름(310, 310')은 예를 들어 한 쌍의 기판(미도시)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소수성 필름(310, 310')은 상기 기판 상에 도포 및 건조되어 제공되거나, 시트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310, 310')의 상부에 수용성 필름(312, 3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용성 필름(312, 312')은 상기 소수성 필름(310, 310') 상에 도포되어 필름층을 형성하게 된다.
만약, 상기 수용성 필름(312, 312')이 생략된다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 314')을 형성하는 점성물질(313, 313')이 상기 소수성 필름(310, 310') 상에 직접 스팟팅된다. 이 경우, 상기 점성물질(313, 313')과 소수성 필름(310, 310') 사이의 접착력이 약해서 후술하는 인장단계에서 상기 점성물질(313, 313')이 첨단부를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인장단계에서 상기 점성물질(313, 313')이 상기 소수성 필름(310)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름지지층(320)을 충분히 인장시키지 못하게 되어 상하부의 점성물질(313, 313')이 서로 부착된 상태의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은 소위 모래시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첨단부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 침투 효과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소수성 필름(310, 310') 상에 수용성 필름(312, 312')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수용성 필름(312, 312')과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 314')과의 접착력은 상기 소수성 필름(310, 310')과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 314')과의 접착력에 비해 더 높도록 상기 수용성 필름(312, 312')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필름(312, 312')과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 314')과의 접착력은 후술하는 인장단계에서 한 쌍의 필름지지층(320, 320')을 서로 이격시켜 점성물질(313, 313')을 인장시키는 경우에 상기 점성물질(313, 313')이 첨단부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A)에서는 한 쌍의 필름지지층(320, 320')의 수용성 필름(312, 312') 상에 모두 점성물질(313, 313')을 스팟팅한 걸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필름지지층(320, 320')의 수용성 필름(312, 312')의 어느 하나에만 점성물질(313, 313')을 스팟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320, 320')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대이동(도 10의 (A))시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320, 320')의 수용성 필름(312, 312') 사이에서 상기 점성물질(313, 313')과 상기 수용성 필름(312, 312')을 접촉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320, 320')을 이격시켜 상기 점성물질(313, 313')을 인장(도 10의 (B))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점성물질(313, 313')을 응고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320, 320')을 이격시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320, 320')의 수용성 필름(312, 312') 상에 각각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 314')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성물질(313, 313')과 상기 수용성 필름(312, 312') 사이의 접착력은 한 쌍의 필름지지층(320, 320')을 서로 이격시켜 상기 점성물질(313, 313')을 인장시켜 분리시키는 경우에 상기 점성물질(313, 313')이 첨단부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점성물질(313, 313')은 송풍 등의 방식으로 응고될 수 있다. 상기 점성물질(313, 313')이 충분히 응고된 후에 상기 필름지지층(320, 320')을 더 이격시키게 되면 서로 연결되어 있던 점성물질(313, 313')이 분리되면서 첨단부를 가지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 314')이 형성된다(도 10의 (C)).
한편,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9a에 따른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에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을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성 필름(312)을 용해시키며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32)로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를 처리하여 상기 필름지지층(320)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을 분리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용성 필름(312)을 미리 정해진 용매(32)에 의해 용해시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을 상기 필름지지지층(320)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용매(32)는 상기 수용성 필름(312)만 용해시키고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용해시키지 않는 물질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32)는 증류수(Di water), 에탄올(Ethanol), 아세톤(Acetone).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 이소파라핀(Isoparaffin),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용매는 상기 수용성 필름(312)을 잘 용해시키는 반면에 전술한 성분 또는 물질로 구성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용해시키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다만, 상기 용매(32)가 에탄올 수용액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에탄올 수용액에서 에탄올의 농도가 대략 70%보다 작게 되면(즉, 물의 농도가 대략 30%보다 크게 되면)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이 상기 용매(32)에 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에서 에탄올의 농도는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를 살펴보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매(32)가 수용된 하우징(30) 또는 탱크 등에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는 상기 용매(32) 속으로 잠기게 되어 상기 용매(32)에 의해 처리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매(32)에 의해 상기 파티클 조립체(300)의 수용성 필름(312)이 용해되어 도 11b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과 상기 소수성 필름(310)이 분리되어 상기 용매(32) 속에 남게 된다.
도 11c는 발명자의 실험을 촬영한 사진에 해당하며, 용매(32)가 담긴 하우징(30)의 내측에서 파티클 조립체(300)에 대한 처리가 진행되어 소수성 필름(310)과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매우 미세하여 사진 상으로는 뿌옇게 보일 수 있다.
도 12는 실제로 용매 속에 남아 있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12의 (A)는 용매 속에 남아 있는 복수개의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도시하며, 도 12의 (B)는 용매 속에 남아 있는 한 개의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확대해서 보여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은 첨단부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1b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과 상기 소수성 필름(310)이 분리된 후, 상기 용매(32)에서 상기 소수성 필름(310)을 제거하고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을 필터링하여 추출하게 된다.
상기 소수성 필름(310)은 상기 용매(32)속에 남아 있게 되므로 쉽게 꺼내어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상기 용매(32) 속에 남아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용매(32)를 필터링하여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을 추출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건조시키게 된다.
결국,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작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을 로션, 크림 등을 포함하는 화장품 등에 포함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전술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이 함유된 화장품을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생체적합성이고 생분해성인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생체적합성 물질"이란 인체에 독성 이 없고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물질을 의미한다. 그리고, "생분해성 물질"은 생체 내에서 체액, 효소 또는 미생물등에 의해서 분해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도 13의 (A)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피부 유용성분을 포함하는 예컨대 크림 제형의 화장품과 함께 피부(400)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화장품을 피부(400)에 대고 문질러서 가압하게 되면 화장품 내에 포함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이 도 13의 (B)와 같이 피부(400)속으로 침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첨단부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되므로 피부 침투 효과가 탁월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생적합성 및 생분해성을 가지는 물질로 제작되므로 피부 속으로 침투하는 경우에도 인체에 해롭지 않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니들 파티클(14)이 피부에 침투하게 되면 도 13의 (C)와 같이 화장품 성분도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과 함께 또는 따라서 침투할 수 있다. 즉,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은 피부(400)에 침투한 상태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녹게 되고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이 피부(400)에 침투하여 형성하는 미세한 구멍으로 화장품이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 자체에 기능성 물질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파티클 조립체(300)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314)을 형성하는 점성물질에 기능성 물질을 함께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물질은 예를 들어 주름 개선 물질, 수분 제공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정물질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용 제품(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실시예에 도시된 화장용 제품(500)은 두 개의 서로 분리된 저장용기(510, 530)를 포함한다.
제1 저장용기(510)에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이 오일에 섞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은 생분해성 재질로서 친수성이기 때문에 오일에 섞여 저장된 상태에서 그 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장용기(530)에는 물을 기반으로 하는 크림 제형의 화장품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용기(510)와 제2 저장용기(530)에는 가압에 의하여 저장된 물질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마개(512, 532)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화장품 용도로의 사용 시 사용자는 제1 저장용기(510)의 제1 마개(512)와 제2 저장용기의 제2 마개(532)를 동시에 가압하여 오일에 섞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과 물을 기반으로 하는 크림-제형의 화장품을 동시에 피부 상에 도포할 수 있고, 그 이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14)

  1. 필름지지층 위에 복수개의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이 형성된 파티클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파티클 조립체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티클 조립체는
    소수성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지지층과, 상기 필름지지층 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생분해성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클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한 쌍의 소수성 필름을 제공하여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생분해성 점성물질을 스팟팅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대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과 상기 점성물질을 접촉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이격시켜 상기 점성물질을 인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점성물질을 응고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이격시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 중에 적어도 하나에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클 조립체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지지층 상에 형성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에 대하여 횡방향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클 조립체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는
    진공흡입기를 사용하여 상기 필름지지층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지지층은
    상기 소수성 필름 상에 형성되는 수용성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생분해성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은 상기 수용성 필름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필름과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과의 접착력은 상기 소수성 필름과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과의 접착력에 비해 더 높고,
    상기 수용성 필름은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클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한 쌍의 소수성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소수성 필름 상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과의 접착력을 높이는 수용성 필름을 제공하여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의 수용성 필름 중에 적어도 하나에 생분해성 점성물질을 스팟팅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대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의 수용성 필름 사이에서 상기 점성물질과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의 수용성 필름을 접촉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이격시켜 상기 점성물질을 인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점성물질을 응고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을 이격시켜 상기 한 쌍의 필름지지층의 수용성 필름 상에 각각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성 필름은 용해시키며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은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로 상기 파티클 조립체를 처리하여 상기 필름지지층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용매에서 상기 소수성 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필터링하여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증류수(Di water), 에탄올(Ethanol), 아세톤(Acetone).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 이소파라핀(Isoparaffin),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필름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폴리스티렌(Polystyrene : P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및 풀리에틸렌 나프타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 PEN)로으로 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 폴리머(cellulose polymer), 덱스트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소르베이트, 프로필렌글리콜, 포비돈, 카보머(carbomer), 가티검(gum ghatti), 구아검, 글루코만난, 글루코사민, 담마검(dammer resin), 렌넷카제인(rennet casein), 로커 스트콩검(locust bean gum), 미소섬유상셀룰로오스(microfibrillatedcellulose), 사일리움씨드검(psyllium seed gum), 잔탄검, 아라비노갈락탄(arabino galactan), 아라비아검, 알긴산, 젤라틴, 젤란검(gellan gum), 카라기난, 카라야검(karaya gum), 커드란(curdlan), 키토산, 키틴, 타라검(tara gum), 타마린드검(tamarind gum), 트라가칸스검(tragacanth gum), 퍼셀레란(furcelleran), 펙틴(pectin) 또는 풀루란(pullulan),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HPMC),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및 글루텐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제작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에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에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품.
PCT/KR2022/005574 2021-04-19 2022-04-19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 및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품 WO202222529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08A KR102302311B1 (ko) 2021-04-19 2021-04-19 마이크로니들-파티클의 제조방법,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니들-파티클 및 이러한 마이크로니들-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용 제품
KR10-2021-0050308 2021-04-19
KR10-2022-0037940 2022-03-28
KR20220037940 2022-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5291A1 true WO2022225291A1 (ko) 2022-10-27

Family

ID=8372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5574 WO2022225291A1 (ko) 2021-04-19 2022-04-19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 및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22529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237A (ko) * 2009-06-15 2010-12-23 주식회사 누리엠웰니스 다기능 하이브리드 마이크로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10665A (ko) * 2010-04-01 2011-10-07 연세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송풍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솔리드 마이크로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51648A (ko) * 2012-10-23 2014-05-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생분해성 마이크로니들 제조방법
JP2018510204A (ja) * 2015-03-27 2018-04-12 ジュビ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薬物の生分解性ポリマー内における均質化システム:スマートポリマーシステム
KR20210003799A (ko) * 2018-04-13 2021-01-12 노쓰 캐롤라이나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사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237A (ko) * 2009-06-15 2010-12-23 주식회사 누리엠웰니스 다기능 하이브리드 마이크로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10665A (ko) * 2010-04-01 2011-10-07 연세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송풍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솔리드 마이크로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51648A (ko) * 2012-10-23 2014-05-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생분해성 마이크로니들 제조방법
JP2018510204A (ja) * 2015-03-27 2018-04-12 ジュビ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薬物の生分解性ポリマー内における均質化システム:スマートポリマーシステム
KR20210003799A (ko) * 2018-04-13 2021-01-12 노쓰 캐롤라이나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사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16076A1 (ko) 경피 흡수용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81933A2 (ko)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WO2017138682A1 (ko)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WO2018026151A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10152792A1 (en) Microneedle array using porous substr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11801371B2 (en) Microneedle device
CN107398008B (zh) 微针贴片的制作方法
RU2735835C1 (ru) Чрескожный пластырь с микроиглами, содержащий донепезил
WO2014035206A2 (ko) 색전용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방법 및 약물 함유 나노수송체가 결합된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방법
CN107343984B (zh) 医美微针贴片的制作方法
WO2017200213A1 (ko) 마이크로니들 제조방법
WO2017200214A1 (ko) 마이크로니들 제조용 점성물질 공급장치
JP6290988B2 (ja) マイクロ構造体製造方法
KR102622397B1 (ko) 마이크로니들-파티클의 제조방법,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니들-파티클 및 이러한 마이크로니들-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용 제품
WO2017176045A2 (ko) 효율적인 피부 천공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구조
WO2019103268A1 (ko) 니들 팁에 코팅부를 보유하는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225291A1 (ko)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 및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품
WO2017204418A1 (ko) 사마귀 치료를 위한 블레오마이신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패치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504373B1 (ko)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및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
WO2020256323A1 (ko) 최소 침습적 바이오 센싱을 위한 생체적합성이고 전기전도성인 고분자 마이크로니들 바이오 센서
WO2023106639A1 (ko) 마이크로니들 조립체
WO2023191426A1 (ko) 마이크로니들 파티클 및 마이크로니들 파티클의 제작방법
WO2019146884A1 (ko)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15973A1 (ko) 미세구조체 패치의 미세구조체 분리방법
KR20220141235A (ko)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919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919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