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19411A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19411A1
WO2022019411A1 PCT/KR2020/018813 KR2020018813W WO2022019411A1 WO 2022019411 A1 WO2022019411 A1 WO 2022019411A1 KR 2020018813 W KR2020018813 W KR 2020018813W WO 2022019411 A1 WO2022019411 A1 WO 20220194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olyamide
weight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8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왕래
성다은
김태훈
박춘호
안용희
장정민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7840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1511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2080069394.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555698B/zh
Priority to US17/762,264 priority patent/US20220411623A1/en
Priority to EP20945782.9A priority patent/EP4011972A4/en
Priority to JP2022523225A priority patent/JP7386985B2/ja
Publication of WO20220194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194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kyl-substitu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 molded article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compared to conventional ASA resins are maintained at equal or higher levels, and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and in particular, artificial plastics by implementing a rough feeling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It relates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 molded article thereof having a luxurious appearance that is free from feeling.
  • the acrylate compound-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SA resin') has weather resistance, aging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rigidity, impac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It is widely used in the fiel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 styrene-based resin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a surface control agent, and having an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0.3 to 3 ⁇ m measured at 5 points using an optical profiler system can do.
  • 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definition, calculation method, and meaning of the degree of asymmetry R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possible to evaluate which of the peaks and valleys on the surface form the majority of the surface.
  • the upper figure of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and meaning of the root mean square deviation (Rq), where Z means the peak height, and l means the average section length (sampling length).
  • the lower figure of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asymmetry Rsk and its meaning.
  • the distrib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when the asymmetry Rsk is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 rough feeling away from the plastic feeling is realized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 molded article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asymmetry Rsk is preferably 0.7 to 1.3, more preferably 0.8 to 1.3, still more preferably 0.9 to 1.3, and most preferably 1.0 to 1.25. Therefore, it has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and, in particular, has the effect of having a luxurious appearance that is free from artificial plastic feeling by realizing a rough feeling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 the styrenic resin is preferably a) acrylate-aromatic vinyl compound-vinyl cyan compound graft copolymer, b) aromatic vinyl compound-vinyl cyan compound copolymer, c) heat-resistant styrene-based resin, d) methacrylate-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vinyl cyan compound copolymer and e) polyalkyl methacrylate.
  • the acrylate rubber of the i) graft copolymer preferably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to 0.5 ⁇ m, more preferably 0.35 to 0.5 ⁇ m, still more preferably 0.35 to 0.45 ⁇ m, even more preferably
  • the thickness is 0.40 to 0.45 ⁇ m, and within this range, the weather resistance is good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fluidity, tensile strength and impact strength are excellent.
  • the i) graft copolymer is, for example, 20 to 40% by weight, preferably 25 to 35% by weight, more preferably 30 to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tyrenic resin, within this range weather resistance, fluidity, It has an excellent effect on tensile strength and impact strength.
  • the emulsion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f the emulsion graft polymerization method is commonly carried out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the ii) graft copolymer is, for example, 10 to 30% by weight, preferably 15 to 25% by weight, more preferably 15 to 20% by weight, and has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fluidity, tensile strength and impact strength within this range. It works.
  • the aromatic vinyl compound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methylstyrene, p-methylstyrene, and p-tert-butylstyrene, and is preferably styrene.
  • the b) aromatic vinyl polymer may be prepared by, for example, suspens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or bulk polymerization, and in this case, heat resistance and fluidity are excellent.
  • the aromatic vinyl compound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 -methylstyrene, m-methylstyrene, p-methylstyrene, and p-tert-butylstyrene, and is preferably styrene.
  • the polyalkyl methacrylate may be, for example, 0 to 40% by weight, preferably 1 to 40% by weight, more preferably 10 to 40%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20 to 40% by weight, most Preferably, the content is 30 to 40 wt%, and within this range,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are maintained at the same or higher level compared to conventional ASA resins, and weather resistance is greatly improved.
  • the alkyl methacrylate may be, for example,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1 to 15 carbon atoms in the alkyl group, and specific examples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2-ethylbutyl methacrylate, 2 -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hexyl methacrylate and lauryl methacrylate, preferably alkyl methacrylate containing a chai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methyl methacrylate It may be a acrylate.
  • the e) polyalkyl methacrylate may have, for exampl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5,000 to 200,000 g/mol, and preferably 50,000 to 200,000 g/mol, and has better weather resistance within this range, and fluidity, There is an effect excellent in tensile strength and impact strength.
  • the high molecular weight PMMA resin and the low molecular weight PMMA resin may have, for example, a weight ratio (high molecular weight PMMA resin: low molecular weight PMMA resin) of 1: 0.1 to 2.0, preferably 1: 1.3 to 1.7, more preferably 1: 1.4 to It may be 1.6, and within this range, fluidity, tensile strength and impact strength are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is more excellent, and the surface roughness value is low, so there is an emotionally soft effect.
  • the relative viscosity can be measured with an Ubbelohde viscometer by the ISO 307 sulfuric acid method.
  • the shape of the particles of the vinyl cyanid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based surface control agent may not be constant, and th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is preferably 5 ⁇ m or more, more preferably 5 to 20 ⁇ m, even more preferably It may have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10 to 20 ⁇ m, and may have excellent impact properties with a rough surface within this range.
  • ester-based lubricant metal salt-based lubricant, carboxylic acid-based lubricant, hydrocarbon-based lubricant, and amide-based lubrican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f each of the materials is commonly used as a corresponding type of lubrican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the UV stabilizer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enzotriazole-based UV stabilizer and a HALS-based UV stabilizer, and more preferably, a mixture of a benzotriazole-based UV stabilizer and a HALS-based UV stabilizer is used.
  • It may further include 0.01 to 5 parts by weight, 0.05 to 3 parts by weight, 0.1 to 2 parts by weight, or 0.5 to 1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yrene-based res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within this range, the ASA-based resin
  • the molded article may be, for example, an extrusion-molded article or an injection-molded article, preferably a building exterior material, and more preferably a flooring material for decking or a building material for a roof.
  • AM808 (Manufacturer: Zeon Kasei, product name: AM808)
  • the prepared ASA resin composition pellets were injected under the conditions of injection temperature (inlet standard) 200, 210, 210, 220 °C, mold temperature 60 °C, holding pressure 3 bar, and injection speed 80 bar to obtain a specimen, the measurement method described below Melt index and Izod impact strength were measured.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refer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at is less than or exceeding the Rsk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mplement a rough feeling on the sample surface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and is smooth like a general plastic surface.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표면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비대칭도 Rsk가 0.65 내지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게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을 제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대표도] 도 1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0.07.23일자 한국특허출원 제 10-2020-0091652호 및 그를 토대로 2020.12.18일자로 재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 10-2020-0178406호를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게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이하, 'ASA 수지'라 함)는 내후성, 내노화성, 내화학성, 강성, 내충격성 및 가공성을 두루 갖추고 있으며, 용도가 다양하여 자동차, 잡화 및 건자재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최근 ASA 수지 제품에 대한 고급스러운 외관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거친 느낌의 표면을 갖는 ASA 수지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거친 느낌의 표면을 갖는 ASA 수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특히 ASA 수지 표면의 거친 느낌은 표면 광택과는 관련이 적어 기존의 광택 측정법 등을 활용한 저광택 ASA 수지에 대한 연구로는 거친 느낌의 표면 질감 등을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KR공개특허 2003-0003950 A (2003.01.14)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게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표면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비대칭도 Rsk가 0.65 내지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표면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옵티컬 프로파일러 시스템으로 5 포인트 측정한 산술평균 거칠기 Ra가 0.3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표면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a)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c) 내열 스티렌계 수지 및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표면조절제는 폴리스티렌계 표면조절제, 나일론계 표면조절제 및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계 표면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게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도 Rsk에 대한 정의, 계산법 및 의미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비대칭도 Rsk는 통계 집단의 도수 분포도(histogram)에서 평균값에 대한 비대칭 방향과 그 정도를 나타내는 특성 값으로 정의되고, 형상적으로 표면에 봉우리(peak)와 골(valley) 중 어느 것이 표면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도 1의 상측 그림은 평균 제곱근 편차(Rq)를 구하는 식과 그 의미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Z은 봉우리 높이를 의미하고, ℓ는 평균 구간 길이(Sampling length)를 의미한다. 또한 도 1의 하측 그림은 비대칭도 Rsk를 구하는 식과 그 의미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비대칭도 Rsk가 0 보다 커질수록 평균선을 기준으로 봉우리 분포가 많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0 보다 작아질수록 평균선 기준으로 골의 분포가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비대칭도 Rsk를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할 때 제품 표면에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거친 느낌이 구현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작한 0.15T 필름 시료의 비대칭도 Rsk에 대한 히스토그램으로, Y축은 높이이고, 평균선 기준 위쪽은 골의 깊이이며, 아래쪽은 봉우리 높이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봉우리 분포가 더 많으면 Rsk 값이 0 보다 커지고, 골 분포가 많으면 Rsk 값이 0 보다 작아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시예 2 내지 7은 Rsk 값이 본 발명에 따른 범위에 들어와 제품 표면에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거친 느낌이 잘 구현되나, 비교예 1은 봉우리의 개수와 분포 면적이 적어 표면 거칠기가 잘 나타나지 않고, 비교예 2는 봉우리의 개수와 분포 면적이 너무 커서 표면 거칠기가 잘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필름 압출기의 사진이다.
이하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도록 거친 느낌이 구현된 ASA 수지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스티렌계 수지와 소정의 표면조절제 등을 일정한 함량으로 혼합하여 비대칭도 Rsk 값을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경우, 제조된 ASA 수지 제품이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내후성이 우수하고,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부여받아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에 더욱 매진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표면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비대칭도 Rsk가 0.65 내지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경우 종래의 ASA계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제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비대칭도 Rsk는 하기 표 1의 결과로도 알 수 있듯이 종래의 광택(Gloss)이나 거칠기 Ra와 어떠한 연관성도 없는 독자적인 파라미터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들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한다.
상기 비대칭도 Rsk는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3,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3,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3,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5이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표면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옵티컬 프로파일러 시스템으로 5 포인트 측정한 산술평균 거칠기 Ra가 0.3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경우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제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a)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c) 내열 스티렌계 수지,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e)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ASA 수지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면서도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하고, 각 성분의 목적하는 효과가 잘 발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표면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a)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c) 내열 스티렌계 수지,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e)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표면조절제는 폴리스티렌계 표면조절제, 나일론계 표면조절제 및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계 표면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경우 종래의 ASA계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는 제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a)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30 내지 70 중량%,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30 중량%, 상기 c) 내열 스티렌계 수지 0 내지 30 중량%, 상기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30 내지 70 중량% 및 e)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 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 내후성 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가져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기 a)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5 중량%이고,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 유동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i) 평균입경 0.3 내지 0.5 ㎛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ii) 평균입경 0.05 ㎛ 이상 내지 0.3 ㎛ 미만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i)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상기 ii)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비(i:ii)는 바람직하게는 1 : 0.3 내지 0.9,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4 내지 0.8,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5 내지 0.7, 가장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7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ASA 수지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면서도 내후성, 유동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i )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기 i)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아크릴레이트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0.3 내지 0.5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5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45 ㎛,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내지 0.45 ㎛이고,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이 좋으면서도 유동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평균입경은 동적 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상세하게는 Nicomp 380 장비(제품명, 제조사: PSS)를 이용하여 가우시안(Gaussian) 모드로 인텐서티(intensity) 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재에서 평균입경은 동적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입도분포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입경, 구체적으로는 산란강도 평균입경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인 측정예로, 샘플은 Latex(TSC 35-50wt%) 0.1g을 증류수로 1,000-5,000배 희석하여 준비하고, 측정방법은 Auto-dilution하여 flow cell로 측정하며, 측정모드는 동적 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법/Intensity 300KHz/Intensity-weight Gaussian Analysis로 하고, setting 값은 온도 23℃, 측정 파장 632.8nm, channel width 10μsec으로 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i)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스티렌계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 25 내지 3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 중량%이며,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 유동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i)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평균입경 0.3 내지 0.5 ㎛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4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0.3 내지 0.5 ㎛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5 내지 4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0.3 내지 0.5 ㎛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45 내지 5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4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 유동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어떤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합체란 그 화합물을 포함하여 중합된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중합된 중합체 내 단위체가 그 화합물로부터 유래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는 일례로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8개인 알킬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8 개인 알킬 아크릴레이트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및 p-tert-부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니트롤로니트릴, 에틸아크릴로니트릴 및 이소프로필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다.
상기 i)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유화 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내후성, 유동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유화 중합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유화 그라프트 중합 방법에 의하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ii)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아크릴레이트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0.05 ㎛ 이상 내지 0.3 ㎛ 미만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5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5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12 ㎛인데, 이 범위 내에서 최종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내후성, 착색성, 충격강도, 내화학성 및 표면 광택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 15 내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이며,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 유동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평균입경 0.05 ㎛ 이상 내지 0.3 ㎛ 미만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4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0.05 ㎛ 이상 내지 0.3 ㎛ 미만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5 내지 4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0.05 ㎛ 이상 내지 0.3 ㎛ 미만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45 내지 5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5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0.05 ㎛ 이상 내지 0.3 ㎛ 미만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45 내지 5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4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 유동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ii)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유화 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내화학성, 내후성, 유동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유화 중합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유화 그라프트 중합 방법에 의하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150,000 g/mol인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0 g/mol 초과, 200,000 g/mol 이하인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이 경우 내열도, 가공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중량평균 분자량은 별도로 정의하지 않는 이상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aters breeze)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용출액으로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사용하여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aters breeze)를 통해 표준 PS(standard polystyrene) 시료에 대한 상대 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인 측정예로, 용매: THF, 컬럼온도: 40℃, 유속: 0.3ml/min, 시료 농도: 20mg/ml, 주입량: 5㎕, 컬럼 모델: 1xPLgel 10㎛ MiniMix-B(250x4.6mm) + 1xPLgel 10㎛ MiniMix-B(250x4.6mm) + 1xPLgel 10㎛ MiniMix-B Guard(50x4.6mm), 장비명: Agilent 1200 series system, Refractive index detector: Agilent G1362 RID, RI 온도: 35℃, 데이터 처리: Agilent ChemStation S/W, 시험방법(Mn, Mw 및 PDI): OECD TG 118 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고,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일례로 방향족 비닐 화합물 65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 내에서 내화학성과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및 p-tert-부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니트롤로니트릴, 에틸아크릴로니트릴 및 이소프로필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다.
상기 b) 방향족 비닐 중합체는 일례로 현탁 중합, 유화 중합, 용액 중합 또는 괴상 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내열성 및 유동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현탁 중합, 유화 중합, 용액 중합 및 괴상 중합은 각각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용액 중합 및 괴상 중합 방법에 의하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c) 내열 스티렌계 수지
상기 c) 내열 스티렌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5 내지 17 중량%,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상기 c) 내열 스티렌계 수지는 내열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수지로 바람직하게는 α-메틸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상기 α-메틸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α-메틸스티렌 65 내지 7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더 바람직한 예로, 상기 알파-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알파-메틸스티렌 70 내지 7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파-메틸스티렌 60 내지 75 중량%, 스티렌 0 내지 1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알파-메틸스티렌 60 내지 70 중량%, 스티렌 0 내지 1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파-메틸스티렌 60 내지 75 중량%, 스티렌 5 내지 1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알파-메틸스티렌 60 내지 70 중량%, 스티렌 5 내지 1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열도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및 p-tert-부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니트롤로니트릴, 에틸아크릴로니트릴 및 이소프로필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다.
상기 알파-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80,000 내지 120,0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0 내지 100,000 g/mol이고, 이 범위 내에서 내열도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c) 내열 스티렌계 수지는 일례로 현탁 중합, 유화 중합, 용액 중합 또는 괴상 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내열성 및 유동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현탁 중합, 유화 중합, 용액 중합 및 괴상 중합은 각각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용액 중합 및 괴상 중합 방법에 의하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상기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65 내지 8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 내지 3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이 크게 향상되고,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상기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이 향상되고, 내스크래치성 및 착색성 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상기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일례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5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개의 사슬 알킬기를 포함하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및 p-tert-부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니트롤로니트릴, 에틸아크릴로니트릴 및 이소프로필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다.
상기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 내지 200,000 g/mol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150,000 g/mol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00 내지 140,000 g/mol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이 보다 우수하고, 유동성, 인장 강도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하며, 표면 거칠기 값이 낮아 감성적으로 부드러운 효과가 있다.
상기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일례로 용액 중합, 괴상 중합, 유화 중합 또는 현탁 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용액 중합, 괴상 중합, 유화 중합 및 현탁 중합은 각각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유화 중합 및 현탁 중합 방법에 의하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e)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
상기 e)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일례로 0 내지 4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이며, 이 범위 내에서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e)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70 내지 100 중량%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75 내지 99 중량%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98 중량%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2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84 내지 98 중량%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2 내지 16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범위 내에서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일례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5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개의 사슬 알킬기를 포함하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일례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8개인 알킬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3 개인 알킬 아크릴레이트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e)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일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35,000 내지 200,000 g/mol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200,000 g/mol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이 보다 우수하고, 유동성, 인장 강도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e)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200,000 g/mol인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이하, '고분자량 PMMA 수지'라 함)와 중량평균분자량이 35,000 내지 45,000 g/mol인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이하, '저분자량 PMMA 수지'라 함)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 PMMA 수지와 저분자량 PMMA 수지는 일례로 중량비(고분자량 PMMA 수지:저분자량 PMMA 수지)가 1: 0.1 내지 2.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1:1.3 내지 1.7, 보다 바람직하게 1: 1.4 내지 1.6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유동성, 인장 강도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하며, 내후성이 보다 우수하고, 표면 거칠기 값이 낮아 감성적으로 부드러운 효과가 있다.
표면조절제
본 기재의 표면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나일론계 표면조절제, 폴리스티렌계 표면조절제 및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계 표면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이 경우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나일론계 표면조절제는 구체적인 예로 폴리아마이드 6, 폴리아마이드 66(PA 6.6), 폴리아마이드 46, 폴리아마이드 ll, 폴리아마이드 12, 폴리아마이드 610, 폴리아마이드 612, 폴리아마이드 6/66, 폴리아마이드 6/612, 폴리아마이드 MXD6, 폴리아마이드 6/MXD6, 폴리아마이드 66/MXD6, 폴리아마이드 6T, 폴리아마이드 6I, 폴리아마이드 6/6T, 폴리아마이드 6/6I, 폴리아마이드 66/6T, 폴리아마이드 66/6I, 폴리아마이드 6/6T/6I, 폴리아마이드 66/6T/6I, 폴리아마이드 9T, 폴리아마이드 9I, 폴리아마이드 6/9T, 폴리아마이드 6/9I, 폴리아마이드 66/9T, 폴리아마이드 6/12/9T, 폴리아마이드 66/12/9T, 폴리아마이드 6/12/9I 및 폴리아마이드 66/12/6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마이드 66(PA 6.6), 폴리아마이드 6(PA 6) 또는 이들의 혼합이고, 이 경우 종래의 ASA계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나일론계 표면조절제는 일례로 융점이 2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1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 이상, 구체적인 예로 210 내지 27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나일론계 표면조절제는 일례로 상대 점도(황산 96% 용액)가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2.7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기재에서 상대 점도는 ISO 307 황산법에 의해 Ubbelohde 점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계 표면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 강화 SPS, 난연 SPS, 나일론이 포함된 SPS, blended SPS, Copolymerized SPS 및 Homopolymer SP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Homopolymer SPS이며, 이러한 경우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Homopolymer SPS는 코폴리머가 포함되지 않은 syndiotatic polystyrene을 의미하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Homopolymer SPS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계 표면조절제는 입자의 모양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입자의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5 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μm의 입경분포를 가질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거친 표면과 함께 우수한 충격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경분포는 평균입경 300 내지 800 nm의 1차 입자들이 뭉쳐진 2차 입자에 대한 입경분포로, 필름 압출 온도의 영향을 받고, 값이 클수록 ASA 제품 표면에 더 거친 느낌을 발현시킬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입경분포는 TEM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표면조절제는 일례로 상기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ASA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는 효과가 매우 크고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상기 표면조절제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방법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표면조절제의 정의에 부합하는 경우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해도 무방하다.
추가 첨가제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3 내지 2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2 내지 1.7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면서도 충격강도 및 유동성이 모두 우수한 이점이 있다.
상기 활제는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계 활제, 금속염계 활제, 카르복실산계 활제, 탄화수소계 활제 및 아마이드계 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마이드계 활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테라미드계 활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킬렌의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킬렌 비스(스테라미드)이며, 이 경우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면서도 충격강도 및 유동성이 모두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기재에서 스테라미드계 활제는 스테라미드(stearamide) 및 이의 수소 중 1 이상이 다른 치환기로 치환된 스테라미드 치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활제, 금속염계 활제, 카르복실산계 활제, 탄화수소계 활제 및 아마이드계 활제는 각각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해당 종류의 활제로 사용되는 물질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바람직하게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인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인계 산화방지제의 혼합이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인계 산화방지제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각각 0.2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면서도 산화방지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키스[에틸렌-3-(3,5-다이-t-부틸-하이드록시 페닐)프로피오네이트](IR-1010), 옥타데실 3-(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IR-1076),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옥타데실 3-(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IR-1076)이며, 이 범위 내에서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면서도 산화방지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 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 phosphite; TNPP) 및 디-(2,4-디-터셔리-부틸페닐) 펜타에리스리톨 디포스파이드(Di-(2,4-di-t-butylphen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이며, 이 범위 내에서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면서도 산화방지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 및 HALS계 자외선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와 HALS계 자외선 안정제를 혼합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1.0 중량부 및 HALS계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 0.2 내지 0.7 중량부 및 HALS계 자외선 안정제 0.2 내지 0.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 0.3 내지 0.6 중량부 및 HALS계 자외선 안정제 0.3 내지 0.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면서도 내광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는 일례로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ter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부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sec-부틸-5'-ter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2-옥틸옥시-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2-옥틸옥시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및 2-[3'-tert-부틸-5'-(2-메톡시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 교환 생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면서도 내광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HALS 계 자외선 안정제는 바람직하게 1,1-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부틸-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2-하이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 디아민과 4-tert-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고리형 축합 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복실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진온),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 디아민과 4-모르포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고리형 축합 생성물, 및 7,7,9,9-테트라메틸-2-사이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드(Bis(2,2,6,6-tetramethyl-4-piperidyl) sebacate), 2-(2H-벤조트리아졸-2-yl)-4-(-(1,1,3,3-테트라메틸뷰틸)페놀(2-(2H-benzotriazol-2-yl)-4-(1,1,3,3-tetramethylbutyl)phenol)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면서도 내광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열안정제, 염료, 안료, 착색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난연제, 억연제, 적하방지제, 내마찰제 및 내마모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부, 0.05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2 중량부 또는 0.5 내지 1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ASA계 수지 조성물 본연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필요한 물성이 잘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옵티컬 프로파일러 시스템으로 5 포인트 측정하여 평균한 표면 거칠기 Ra가 0.3 내지 3 ㎛,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2.8 ㎛,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38 내지 2.4 ㎛,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4 ㎛,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4 ㎛이고, 이 범위 내에서 제품에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10㎏ 하에서 측정된 유동지수(MI: melt flow index)가 4 내지 15 g/10min,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g/10min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물성 밸런스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시편의 두께를 1/4in로 하여 ASTM 256cm/cm,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5 kgcm/cm이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가 우수하면서도 물성 밸런스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표면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220 내지 280 ℃ 조건 하에 압출 혼련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비대칭도 Rsk가 0.65 내지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경우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도 내후성이 우수하고, 광택이 낮으며, 표면 광택이 고르고 표면 거칠기 값이 낮아 감성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ASA 수지 제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표면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220 내지 280 ℃ 조건 하에 압출 혼련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옵티컬 프로파일러 시스템으로 5 포인트 측정한 산술평균 거칠기 Ra가 0.3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경우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도 내후성이 우수하고, 광택이 낮으며, 표면 광택이 고르고 표면 거칠기 값이 낮아 감성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표면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220 내지 280 ℃ 조건 하에 압출 혼련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a)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c) 내열 스티렌계 수지 및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표면조절제는 폴리스티렌계 표면조절제, 나일론계 표면조절제 및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계 표면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경우 종래의 ASA 수지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도 내후성이 우수하고, 광택이 낮으며, 표면 광택이 고르고 표면 거칠기 값이 낮아 감성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모든 기술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따라서 중첩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압출 혼련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280 ℃ 하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80 ℃ 하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고, 이때 온도는 실리더에 설정된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압출 혼련기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압출 혼련기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2축 압출 혼련기일 수 있다.
성형품
본 기재의 성형품은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종래의 ASA 수지 제품 대비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등이 동등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내후성이 우수하고, 특히 제품 표면에 거친 느낌을 구현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성형품은 일례로 압출성형품 또는 사출성형품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건축 외장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덱킹(Decking)용 바닥재 또는 지붕용 건축 자재 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바람직하게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온도 190 내지 250 ℃ 하에 압출 또는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우수한 무광 효과가 발현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압출 단계는 일례로 필름 압출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을 설명함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다른 조건이나 장비 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사용된 물질은 다음과 같다.
A-1)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평균입경 100nm인 소구경 ASA 수지
A-2)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평균입경 400nm인 대구경 ASA 수지
B-1) SAMMA 수지(엘지화학 社의 XT500, 중량평균분자량: 80,000 g/mol)
B-2) SAMMA 수지(엘지화학 社의 XT510, 중량평균분자량: 130,000 g/mol)
C-1) SPS 표면조절제(제조사: Idemitsu사, 상품명: 300ZC)
C-2) 나일론66(제조사: Invista사, 상품명: Poly amide N66 U4800)
C-3) 나일론6(제조사: 케이피켐텍 사, 상품명: Poly amide N6 EN300)
C-4) MA210(제조사: 엘지 화학, 상품명: MA210)
C-4) SL0100(제조사: 롯데 첨단 소재, 상품명: SL0100)
C -4) AM808(제조사: Zeon Kasei사, 상품명: AM808)
실시예 1
소구경 ASA 수지 21 중량부, 대구경 ASA 수지 32 중량부, SAMMA 수지 47 중량부, SPS 표면조절제 5 중량부, 활제로 EBS(선구 제조) 1.5 중량부, 산화방지제로 옥타데실 3-(3,5- 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octadecyl 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oate) 0.5 중량부 및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 0.5 중량부, 자외선 안정제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안정제인 Tinuvin P(BASF 제조) 0.5 중량부 및 HALS계 자외선 안정제인 Tinuvin770(BASF 제조) 0.5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를 220 ℃ 하에 28 파이, L/D: 36 규격으로 압출 혼련기를 사용하여 ASA 수지 조성물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ASA 수지 조성물 펠렛을 필름 압출기를 통해 두께 0.15T로 균일하게 필름으로 제작한 다음, 이를 시료(sample)로 하여 하기 측정방법에 의하여 측정한다. 이때 필름 압출기는 시트 성형용 싱글 스크류 압출기(Collin사 제조, E20T 제품, 20 파이, L/D: 25)를 사용하며, 온도 조건은 압출기 투입구부터 순서대로 배럴부 온도 50, 200, 210, 210 ℃ 및 다이부 온도 220, 220, 230 ℃로 세팅하였다. 펠렛은 필름 압출기 투입 전 80℃ 오븐에서 3시간 이상 충분히 건조하여 수분 영향을 제거한 후, 필름 압출기 투입구에 투입하여 두께 0.15T로 균일하게 필름을 제작하였다. 사용된 후단 Roller의 온도는 물을 매질로 사용하여 85℃로 세팅하였으며, Roller의 구성은 하기 도 3과 같이 T-Die를 통해 압출되어 나오는 수지의 한쪽 면만 Roll과 접촉되는 타입을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필름 압출기 Screw의 RPM은 100으로 고정하고 Roll의 선속도를 조절하여 필름의 두께가 0.15T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압출된 필름면 중 첫번째 Roll과 접촉된 면에 대하여 비대칭도 Rsk, 표면 거칠기 값 Ra 및 필름 광택을 측정하고, 또한 표면 거칠기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참고로, 첫번째 Roll과 접촉되지 않은 면으로 측정할 경우 표면 거칠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조된 ASA 수지 조성물 펠렛을 사출온도(투입구 기준) 200, 210, 210, 220℃, 금형온도 60℃, 보압 3bar 및 사출속도 80bar 조건 하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수득하였고, 하기에 기재된 측정방법으로 용융지수 및 아이조드 충격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
상기 실시예 1에서 SPS 표면조절제를 하기 표 1의 물질과 함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0.15T 필름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대칭도 Rsk: 하기 도 1을 참조하면, 사용 장비로는 Optical profiler system(Nano View NV-2700, 제조사: ㈜나노 시스템)가 사용되었으며, 분석 조건은 WSI Envelope 모드에서 Objective 렌즈 20배×접안렌즈 1배의 렌즈를 사용하여, ±40 ㎛ 범위에 대한 스캐닝을 진행하였다. 측정은 시료를 평평하게 Stage에 고정한 후 5포인트에 대한 측정을 진행하였다. 측정된 수치에 대하여 상측 그림에 표시된 평균 제곱근 편차(Rq)를 구하는 식과 하측 그림에 표시된 비대칭도 Rsk를 구하는 식을 이용하여 5point에 대한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 표면 거칠기 값(Ra): Optical profiler system(NV-2700, ㈜나노시스템)으로 5point 측정하여 평균을 내었다. 표면 거칠기 값이 낮으면 손으로 만졌을 때 부드러운 느낌이 나고, 광택이 고르다.
* 필름 광택(gloss): 글로스 미터(gloss meter) VG7000으로 60°에서 측정하였다.
* 표면 거칠기 관능 평가: 표면을 손으로 문질렀을 때 매우 거친 경우 ◎, 거친 경우 ○, 조금 거친 경우 △, 매끈한 경우 X로 평가하였다.
* 유동지수(MI: melt flow index):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10㎏ 하에서 측정하였다.
* 아이조드 충격강도(㎏/㎠): 시편의 두께를 1/4in로 하여 ASTM 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 2
표면조절제 SPS 나일론66 나일론66 나일론66 MA210 AM808 나일론66+나일론6 나일론6 SL0100
함량(중량부) 5 1 3 5 5 5 6(나일론66: 4중량부, 나일론6: 2중량부) 5 5
Rsk 0.8 1.01 1.25 1.02 1.05 0.86 1.07 0.49 1.67
Ra 1.51 0.53 1.93 2.35 0.38 0.59 2.12 0.14 0.66
필름 광택(gloss) 6.1 42.9 13.5 7.7 51.1 18 7 62.5 42.9
거칠기 관능평가 X
유동지수 10.4 15.0 14.3 13.1 10.8 11.5 13.5 14.2 11.8
충격강도 7.07 17.6 12.7 8.6 24.2 22.9 8.8 9.5 23.8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sk 값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 참조)은 관능평가 결과 시료 표면에 매우 거친 느낌이 구현되어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에서 벗어난 고급스러운 외관을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Rsk 값을 미달하거나 초과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비교예 1 및 2 참조)은 관능평가 결과 시료 표면에 거친 느낌이 구현되지 않고 일반 플라스틱 표면과 같이 매끈하여 인위적인 플라스틱 느낌의 외관을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4)

  1.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및 표면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비대칭도 Rsk가 0.65 내지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a)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c) 내열 스티렌계 수지,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e)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상기 a)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30 내지 70 중량%,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0 내지 30 중량%, 상기 c) 내열 스티렌계 수지 0 내지 30 중량%, 상기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30 내지 70 중량%, 및 e)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 0 내지 40 중량%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i) 평균입경 0.3 내지 0.5 ㎛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4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ii) 평균입경 0.05 ㎛ 이상 내지 0.3 ㎛ 미만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i)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상기 ii) 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비(i:ii)는 1 : 0.3 내지 0.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150,000 g/mol인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0 g/mol 초과, 200,000 g/mol 이하인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 내열 스티렌계 수지는 α-메틸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메타크릴레이트 65 내지 8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 내지 3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조절제는 폴리스티렌계 표면조절제, 나일론계 표면조절제 및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계 표면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계 표면조절제는 유리섬유 강화 SPS, 난연 SPS, 나일론이 포함된 SPS, 블렌드된 SPS, 공중합된 SPS 및 호모폴리머 SP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나일론계 표면조절제는 폴리아마이드 6, 폴리아마이드 66(PA 6.6), 폴리아마이드 46, 폴리아마이드 ll, 폴리아마이드 12, 폴리아마이드 610, 폴리아마이드 612, 폴리아마이드 6/66, 폴리아마이드 6/612, 폴리아마이드 MXD6, 폴리아마이드 6/MXD6, 폴리아마이드 66/MXD6, 폴리아마이드 6T, 폴리아마이드 6I, 폴리아마이드 6/6T, 폴리아마이드 6/6I, 폴리아마이드 66/6T, 폴리아마이드 66/6I, 폴리아마이드 6/6T/6I, 폴리아마이드 66/6T/6I, 폴리아마이드 9T, 폴리아마이드 9I, 폴리아마이드 6/9T, 폴리아마이드 6/9I, 폴리아마이드 66/9T, 폴리아마이드 6/12/9T, 폴리아마이드 66/12/9T, 폴리아마이드 6/12/9I 및 폴리아마이드 66/12/6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계 표면조절제는 5 내지 25 μm의 입경분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옵티컬 프로파일러 시스템으로 5 포인트 측정한 산술평균 거칠기 Ra가 0.3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활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덱킹(Decking)용 바닥재, 지붕용 자재 또는 건축용 외장 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PCT/KR2020/018813 2020-07-23 2020-12-2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2201941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69394.XA CN114555698B (zh) 2020-07-23 2020-12-21 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US17/762,264 US20220411623A1 (en) 2020-07-23 2020-12-21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EP20945782.9A EP4011972A4 (en) 2020-07-23 2020-12-21 COMPOSITION OF THERMOPLASTIC RESIN AND PRODUCT MOLDED THEREOF
JP2022523225A JP7386985B2 (ja) 2020-07-23 2020-12-21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1652 2020-07-23
KR10-2020-0091652 2020-07-23
KR10-2020-0178406 2020-12-18
KR1020200178406A KR102615118B1 (ko) 2020-07-23 2020-12-1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9411A1 true WO2022019411A1 (ko) 2022-01-27

Family

ID=7972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813 WO2022019411A1 (ko) 2020-07-23 2020-12-2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11623A1 (ko)
EP (1) EP4011972A4 (ko)
JP (1) JP7386985B2 (ko)
CN (1) CN114555698B (ko)
TW (1) TW202214772A (ko)
WO (1) WO20220194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1964A4 (en) * 2020-07-23 2022-11-23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EXTERIOR MATERIAL MADE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50A (ko) 2001-07-04 2003-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20090029539A (ko) * 2007-09-18 2009-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복합물
KR20150069888A (ko) * 2013-12-16 2015-06-2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내후성이 우수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저광택 시트 및 복합물
US20150291793A1 (en) * 2011-09-29 2015-10-15 Styrolution GmbH Stabilized moulding compounds consisting of polyamide and asa-copolymers
KR20190073323A (ko) * 2019-06-14 2019-06-26 롯데첨단소재(주) 착색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90114898A (ko) * 2018-03-30 2019-10-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00091652A (ko) 2019-01-23 2020-07-31 안병찬 보행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67467T3 (es) 2007-02-07 2014-06-12 Lg Chem, Ltd. Composición de resina de estireno de bajo brillo superficial y elemento laminar de bajo brillo superficial y artículo compuesto fabricado a base de la misma
EP2881408B1 (en) * 2013-12-04 2017-09-20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Styrene-based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KR20160057601A (ko) * 2014-11-14 2016-05-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70054644A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광 특성, 내후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출 물품
KR102080102B1 (ko) * 2016-11-04 2020-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50A (ko) 2001-07-04 2003-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20090029539A (ko) * 2007-09-18 2009-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복합물
US20150291793A1 (en) * 2011-09-29 2015-10-15 Styrolution GmbH Stabilized moulding compounds consisting of polyamide and asa-copolymers
KR20150069888A (ko) * 2013-12-16 2015-06-24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내후성이 우수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저광택 시트 및 복합물
KR20190114898A (ko) * 2018-03-30 2019-10-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00091652A (ko) 2019-01-23 2020-07-31 안병찬 보행 보조장치
KR20190073323A (ko) * 2019-06-14 2019-06-26 롯데첨단소재(주) 착색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11972A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1964A4 (en) * 2020-07-23 2022-11-23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EXTERIOR MATERIAL MAD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1972A4 (en) 2022-11-30
JP7386985B2 (ja) 2023-11-27
TW202214772A (zh) 2022-04-16
CN114555698B (zh) 2023-07-04
US20220411623A1 (en) 2022-12-29
EP4011972A1 (en) 2022-06-15
JP2022552719A (ja) 2022-12-19
CN114555698A (zh)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84558A2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158709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8084557A1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019411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17082649A1 (ko) 저광 특성, 내후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출 물품
WO2022065625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22158720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019410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22045574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3055099A1 (ko) 열가소성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2186484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외장재
WO2022019431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외장재
WO2022085998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158708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019407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외장재
WO2022158719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019408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21261703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61511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24085360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0149504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059896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0091371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2080631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3095963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457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457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457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31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2322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