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35638A1 -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35638A1
WO2021235638A1 PCT/KR2020/017904 KR2020017904W WO2021235638A1 WO 2021235638 A1 WO2021235638 A1 WO 2021235638A1 KR 2020017904 W KR2020017904 W KR 2020017904W WO 2021235638 A1 WO2021235638 A1 WO 20212356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bamboo
antibacterial
cosmetic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9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영수
유선희
권세환
김선오
최준호
로자르데이지
최현창
Original Assignee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JP202351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28543A/ja
Publication of WO20212356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356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항균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죽순껍질 멀티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죽순껍질, 죽력, 느릅나무 뿌리, 어성초, 감초, 지실(애기 탱자), 애기똥풀, 꾸지뽕 뿌리, 꾸지뽕잎, 병풀, 삼백초, 발효녹차,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죽순껍질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느릅나무 뿌리, 약모밀, 감초, 지실(애기 탱자), 애기똥풀, 꾸지뽕 뿌리, 꾸지뽕 잎, 병풀, 삼백초, 발효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대나무 멀티콤플렉스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균 제품은 현재 많은 종류가 제품화되어 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항균제는 항균력에 따라 항진균제 및 항세균제로 나눌 수 있는데 항진균제는 곰팡이와 같은 진핵세포를 갖는 고등생물의 성장을 억제 또는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항세균제는 박테리아(세균류)등과 같은 원핵세포를 갖는 하등생물의 성장을 억제 또는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 항생제를 말한다. 현재까지는 주로 항균제(항진균, 항세균제)는 곰팡이 등에서 얻어내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얻어내고 있다.
이들 항진균제로는 예를 들어, 암포테리신 비 (Amphotericin B), 클로트리마졸 (Clotrimazole), 크리니판 에이디 (Crinipan AD), 플루코나졸 (Fluconazole), 그리세오풀빈 (Griseofulvin), 할로프로긴 (Haloprogin),헥사클로로펜 (Hexa chlorophene), 이크티올 (Ichthyol), 이트라코나졸 (Itraconazole), 케토코나졸 (Ketoconazole), 마이코나졸 (Miconazole), 나이스타틴 (Nystatin: 마이코스타틴(Mycostatin)), 피마리신 (Pimaricin : 나타마이신(Natamycin)), 테르비나파인(Terbinafine) 등이 있다.
또, 항세균제로는 예를 들어, 아다팔렌 겔 (Adapalene gel), 벤조일 퍼옥사이드 (Benzoyl peroxide), 후시딘산 (Fusidic acid), 레조키놀 (Resorcinol), 레티논산 (Retinoic acid), 살리실산 (Salicylic acid), 설폰아미드 (Sulfonamide), 테트라싸이클린 (Tetracycline), 트리클로산 (Trichlosan), 페니실린 (Penicillin)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 항진균 및 항세균제는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정제과정 등이 까다롭고 제품화되어 사용 시 미생물의 내성이 증가하는 부작용이 있었다. 또한 미용기능에 대한 부분이 검토되지 않아 외용제(연고제) 등으로 도포하는 경우 원하지 않는 피부 트러블(접촉피부염) 및 부작용이 수반되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부작용이 없으면서 목적하는 항진균 및 항세균 기능을 갖는 항생제 개발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KR10-0465831 B
(특허문헌 2) KR10-2009-0004295 A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항균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죽순껍질 멀티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죽순껍질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느릅나무 뿌리, 약모밀, 감초, 지실(애기 탱자), 애기똥풀, 꾸지뽕 뿌리, 꾸지뽕 잎, 병풀, 삼백초, 발효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은 대나무 열분해 과정에서 가열로 온도 90℃ ~ 280℃이내의 발생 가스를 냉각하여 얻어지는 초액을 증류하여, 3년 이상 정치한 대나무 추출액 제조단계와, 죽순 껍질을 80 내지 120℃에서 증숙처리 후 15 내지 80℃ 온도에서 20 내지 80시간 동안 저온 건조 후 저온 발효된 원물을 이용하여 열수 추출하여 죽순껍질 추출물 제조단계와, 설탕과 원물을 0.5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3개월 이상 숙성된 후 추출한 당화 지실 추출물 제조단계; 및 감압 추출 후 농축하여 감압 농축한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대나무 추출액, 죽순껍질 추출물, 당화 지실 추출물, 감압 농축한 식물 추출물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압 농축한 식물 추출물은 대나무 추출물, 느릅나무 뿌리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애기똥풀 추출물, 꾸지뽕 뿌리 추출물, 꾸지뽕 잎 추출물, 병풀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발효녹차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죽순껍질 추출물은 저온 건조 후 물 또는 3 내지 50%(v/v) 농도의 주정을 용매로 가해 80 내지 100℃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처리한 주정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는 대나무 추출액, 죽순껍질 추출물, 당화 지실 추출물, 감압 농축한 식물 추출물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 크림, 수분 미스트,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 크림, 수분 미스트,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디 전용 세정제, 두피 전용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으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디 전용 항균제, 바디 전용 항염제, 두피 전용 항균제, 두피 전용 항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으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죽순껍질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느릅나무 뿌리, 약모밀, 감초, 지실(애기 탱자), 애기똥풀, 꾸지뽕 뿌리, 꾸지뽕 잎, 병풀, 삼백초, 발효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를 제조하여 항균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나무 추출물, 특히 죽순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항진균용 미용향장제품에 적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죽순 껍질 5% 주정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한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죽순"이란 그것이 얻어지는 대나무의 종류를 불문하고 분류학상 대나무로 분류되는 식물 즉 벼목 화본과에 속하는 대나무로부터 얻어진 모든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대나무의 종류를 불문하므로, 왕대속(Phyllostachys)에 속하는 대나무에서 얻어진 죽순이든, 해장죽속(Arundinaria)에 속하는 대나무에서 얻어진 죽순이든, 조릿대속(Sasa)에 속하는 대나무에서 얻어진 죽순이든 또는 이대속(Pseudosasa)에 속하는 대나무에서 얻어진 죽순이든 상관없이, 모두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에는 대나무 열분해 과정에서 가열로 온도 90℃ ~ 280℃이내의 발생 가스를 냉각하여 얻어지는 초액을 증류하여, 3년 이상 정치한 대나무 추출액과, 죽순껍질 추출물, 당화 지실 추출물, 감압 농축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에는 죽순껍질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느릅나무 뿌리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지실(애기 탱자) 추출물, 애기똥풀 추출물, 꾸지뽕 뿌리 추출물, 꾸지뽕 잎 추출물, 병풀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발효녹차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대나무 추출물액 제조방법은 대나무 건조단계(S110), 가열 추출 단계(S120), 죽력 숙성 단계(S130) 및 죽력 여과 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대나무 건조단계(S110)는 대나무를 건조 및 가열에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열 추출 단계(S120)는 대나무를 가열하고, 가열된 대나무로부터 분출되는 진액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대나무 가열은 간접 가열 방식으로 하고, 가열로의 온도가 90 내지 280℃일 때 발생된 가스를 냉각하여 얻어지는 초액을 저장한다. 상기 죽력 숙성 단계(S130)는 제조된 초액을 적어도 3년이상 자연숙성 및 산화시킨다. 상기 죽력 여과 단계(S140)는 카본 필터(carbon filter), 의료용 필터(medical filter)를 사용하여 정밀 여과하는 단계이다.
상기 죽순껍질 추출물 제조방법은 저온 발효된 원물을 이용하여 열수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죽순껍질 추출물 제조방법은 죽순 원료에서 겉껍질을 벗겨낸 것이다. 상기 죽순껍질 추출물 제조방법은 재료준비단계(S210), 건조단계(S220) 및 추출물 분리단계(S230)를 포함한다.
상기 재료준비단계(S210)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세척하여 절단, 건조 또는 분쇄하여 준비한다. 세척, 절단, 건조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절단 후 건조단계(S220) 전에 멸균 또는 살균하는 동시에 원료의 기능성을 조절하기 위해 80 내지 120℃에서 증숙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증숙처리는 증숙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죽순의 아린 맛을 내는 자극성 물질인 옥살산(oxalic acid)에 의한 효과를 중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숙처리는 증숙기에서 5 내지 10분간 처리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단계(S220)는 자연건조, 열풍건조, 저온건조 또는 동결건조 중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증숙처리된 재료인 경우, 15 내지 80℃ 온도에서 20 내지 80시간 동안 저온 건조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 분리단계(S230)는 죽순 껍질 추출물의 분리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수 추출, 주정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임계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초음파추출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하는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원료에 추출용매를 처리하고 가열하여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극성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 아세트산, DMFO(dimethyl-formamide) 및 DMSO(dimethyl sulf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및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대한 안정성과 피부에 적용되는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극성용매로 물 또는 주정이 이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주정은 물에 혼합된 희석 주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의 피부에서의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극성용매로 3 내지 50%(v/v)농도의 주정이 이용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되는 죽순 껍질 추출물의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3 내지 10%(v/v) 농도의 주정이 이용되는 것이 좋다. 죽순의 껍질을 추출원료로 이용하는 경우, 추출 수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상기 극성용매로 3 내지 30%(v/v) 농도의 주정을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추출 수율과 피부에 대한 적용 효과를 모두 고려하면 3 내지 10%(v/v) 농도의 주정이 이용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정은 프로에탄올(proethanol)인 것이 좋다.
상기 당화 지실 추출물은 설탕과 원물을 0.5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3개월 이상 숙성된 후 추출한 당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압 농축한 식물 추출물은 감압 추출 후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시험1(세포독성시험) - 죽순 껍질의 5% 주정 추출물
추출용매로 5%(v/v) 발효 주정을 이용하였다. 죽순 세절 건조 껍질 원료에 대하여, 원료 무게 기준 20배수로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100℃ 온도에서 4시간 추출한 후 농축기로 30Brix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수율 22%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었다.
도 1은 죽순 껍질 5% 주정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한 것이다.
또한, 아래 표1은 죽순 껍질 5% 주정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CCD-986SK(Fibroblast)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시험(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시험군 물질명 투여농도
G1 음성대조군 - -
G2 실시예1 죽순 껍질의 5% 주정 추출물 0.1%
G3 실시예2 0.2%
G4 실시예3 0.5%
G5 실시예4 1.0%
G6 실시예5 2.0%
세포 분주는 96 well plate에 세포를 3×104 (100 μL/well)로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시험물질처리는 시험물질이 농도별로 희석된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MTT assay는 PBS로 2회 세척하고 MTT용액(0.5mg/mL, 무혈청 배지)을 200μL/well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3시간 배양하였다.
흡광도 측정은 배양이 끝나면 배지를 제거해주고 DMSO용액을 200μL/well 넣고 plate shaker에서 20~30분 추출 후, 570nm 파장에서 ELISA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처리는 세포 생존율이 시료 무첨가군의 70%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에 잠재적으로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하며 세포 생존율은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하였다.
Figure PCTKR2020017904-appb-M000001
실험 결과는 SPSS(Ver. 19)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paired t-test, 양측검증)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시험군 물질명(농도) OD Value % of control
G1 대조군 - Mean 0.985 100.00
S.D. 0.053 5.42
N 9 9
G2 실시예1 죽순 껍질의 5% 주정 추출물 0.1% Mean 1.152 116.98*
S.D. 0.072 7.27
N 9 9
G3 실시예2 0.2% Mean 1.259 127.81*
S.D. 0.071 7.25
N 9 9
G4 실시예3 0.5% Mean 1.587 161.08*
S.D. 0.153 15.56
N 9 9
G5 실시예4 1.0% Mean 1.822 83.47*
S.D. 0.087 8.85
N 9 9
G6 실시예5 2.0% Mean 0.448 45.47*
S.D. 0.064 6.46
N 9 9
N:Number of wellS.D.: Standard deviation
*: Significant differences as compared with treatment control - p<0.05
세포독성시험결과, 죽순껍질 5% 주정 추출물의 경우 0.1%, 0.2%, 0.5%, 1.0%, 2.0% 농도에서 116.98±7.27%, 127.81±7.25%, 161.08±15.56%, 83.47±8.85%, 45.47±6.46%의 세포 생존율이 관찰되었다.
죽순껍질 5% 주정 추출물은 1.0% 이하 농도에서 7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이 관찰되었다. 세포 생존율이 시료 무첨가군의 70%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에 잠재적으로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므로, 죽순껍질 추출물 5% 주정 추출물은 1.0% 이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항균제(항진균, 항세균)와는 달리, 상기 복합 추출물을 추출, 정제한 후 피부트러블 유발균(여드름, 무좀, 피부상재균)에 적용 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시험은 시험공인기관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의 시험을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대나무 열분해 과정에서 가열로 온도 90℃ ~ 280℃이내의 발생 가스를 냉각하여 얻어지는 초액을 증류하여, 3년 이상 정치한 대나무 추출액을 시료로 시험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병원성 미생물(피부트러블 유발균)은 다음과 같다.
① 여드름 유발균(1종) : Propionibacterium acnes(그램양성)
② 무좀(백선)유발균 (1종) : Trichophyton rubrum
③ 피부상재균 (2종) : Staphylococous aureus, Staphylococous epidermidis
시험2(항균 및 항진균 효과)
시험균의 전배양에는 Trichophyton rubrum 균주를 Sabouraud dextrose agar에 접종하여 (25±1)℃에서 10~14일 동안 배양하였다. 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는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RCM) broth에 접종하여 (35±1)℃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액을 새로운 RCM broth에 접종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한 후, 이 과정을 1회 추가로 반복하였다. 균주의 모든 과정에서 멸균 액체 파라핀을 이용하여 혐기적 조건을 유지시켜 주었다.
시험균액의 조제는 Trichophyton rubrum이 자란 고체 배지 위에 0.05% polysorbate 80 solution을 분주하고 spreader를 이용하여 포자를 떼어낸 후 거즈를 통과시켜 균사를 제거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조제된 spore solution을 (1.0 ~ 9.9) × 107 spores/mL 가 되도록 멸균생리식명수로 조정하여 시험균액으로 사용하였다. 배양된 Propionibacterium acnes 균액을 생균수가 (1.0 ~ 9.9) × 107 CFU/mL 가 되도록 멸균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시험균액으로 사용하였다.
시료(농도: 원액) 20mL에 시험균액 0.2mL 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온에서 Trichophyton rubrum 은 24시간, Propionibacterium acnes는 2시간 방지하였다. 이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각 대조군에 대한 감소율을 알아보았다. 최초 희석은 D/E neutralizing broth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중화된 시험액은 단계별로 희석하여 각 농도당 Petri dish 2매에 1mL식 분주하였다. Trichophyton rubrum 는 미리 준비된 Sabouraud dextrose agar를 Petri dish에 15 ~ 25 mL 분주하고, Propionibacterium acnes는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agar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응고시켰다. 응고된 Trichophyton rubrum dish는 (25±1)℃에서 10 ~14일 동안 배양하였고, Propionibacterium acnes Petri dish는 (35±1)℃에서 3일 동안 혐기배양하였다. 초기 및 대조 생균수의 측정은 멸균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표3은 Trichophyton rubrum 항진균시험 결과이고, 표4는 Propionibacterium acnes 항균시험 결과이다.
구분 생균수(CFU/carrier) Log value LR*
대조군(24시간 후) 5.5 × 105 5.74 > 4.74
시험군(24시간 후) < 10 < 1.00
초기 접종균수는 6.0×105 CFU/mL, 24시간 후 대조군 균수는 5.5×105 CFU/mL, 24시간 후 시험군 균수는 < 10 CFU/mL로 관찰되었다.
구분 생균수(CFU/carrier) Log value LR*
대조군(2시간 후) 5.0 ×105 5.70 > 4.70
시험군(2시간 후) < 10 < 1.00
초기 접종균수는 5.7×105 CFU/mL, 2시간 후 대조군 균수는 5.0×105 CFU/mL, 2시간 후 시험군 균수는 < 10 CFU/mL로 관찰되었다.
배양 후, 진균의 관찰은 (8~80)개, 세균은 (30~300)개를 나타내는 Petri dish를 선택하여 실시하였다. 최저 희석단계에서만 생균수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관찰 범위에 상관없이 계수하였다. 균이 증식하는 경우, 배지상의 균수에 희석 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배지에서 균이 증식하지 않은 경우는 중화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곱하여 "10미만" ( <10 )으로 표시하였다.
생균수 계산은 N(생균수) = C(집락수, 2매의 집락 수 평균치) × D(희석배수)로 측정하였다.
감소율(%)은 Log reduction (LR) = log(A) - log(B) 로 측정하였다.
(A : 대조군의 일정시간 후 생균수의 로그값, B : 시험군의 일정시간 후 생균수의 로그값)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항진균시험(Trichophyton rubrum : 24시간 후) Log reduction > 4.74
항균시험(Propionibacterium acnes : 2시간 후) Log reduction > 4.70
시험결과 항진균시험 Trichophyton rubrum에 대하여 > 4.74이고, 항균시험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하여 > 4.70으로 나타났다. Log reduction이 3이상이면, 99.9%이고, 4이상이면 99.99%이상을 의미한다.
시험3(항균 효과)
시험균의 전배양은 시험균주를 사면배지로부터 취하여 Tryptic soy broth 에 접종하여 35±1℃ 에서 18 ~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험균액의 조제는 생균수가 (1~9.9)×108CFU/mL 가 되도록 멸균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시험균액으로 사용하였다.
시료(원액) 20mL에 시험균액 0.2mL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2±2)℃에서 60분 및 90분간 방치하였다.
시험균주 Staphylococous aureus, Staphylococou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은 최초 희석은 D/E neutralizing broth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중화된 시험액은 단계별로 희석하여 각 농도당 Petri dish 2매에 1mL씩 분주하였다. 미리 준비된 (45~50)℃ Tryptic soyagar를 Petri dish에 (15~25)mL 분주하고, 상온에서 응고시켰다. 응고된 Petri dish는 거꾸로 하여 (35±1)℃에서 (24~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험은 각 균주당 2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으며, 초기 및 대조생균수의 측정은 멸균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배양 후, 생균수의 관찰은 (30~300)개를 나타내는 Petri dish를 선택하여 실시하였다. 최저 희석단계에서만 생균수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관찰의 범위 상관없이 계수하였다. 세균이 증식한 경우, 배지상의 균수에 희석 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하지 않은 경우는 중화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곱하여 "10미만"( <10 )으로 표시하였다.
아래 표6은 Staphylococous aureus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이다.
구분 생균수(CFU/mL) Log value mean log
대조군(초기) 3.1 ×106 6.49 6.49
시험군(60분 후) < 10 < 1.00 < 1.00
< 10 < 1.00
시험군(90분 후) < 10 < 1.00 < 1.00
< 10 < 1.00
초기 접종균수는 3.1×106 CFU/mL, 60분 및 90분 후 대조균수는 각각 3.2 ×106 CFU/mL 및 4.5 ×106 CFU/mL로 관찰되었다. 60분 및 90분 후 시험균수는 2회 반복 시험에서 모두 < 10 CFU/mL로 관찰되었다.
표7은 Staphylococou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시험 결과이다.
구분 생균수(CFU/mL) Log value mean log
대조군(초기) 3.2 × 106 6.51 6.51
시험군(60분 후) < 10 < 1.00 < 1.00
< 10 < 1.00
시험군(90분 후) < 10 < 1.00 < 1.00
< 10 < 1.00
초기 접종균수는 3.2×106 CFU/mL, 60분 및 90분 후 대조균수는 각각 3.5 ×106 CFU/mL 및 3.7 ×106 CFU/mL로 관찰되었다. 60분 및 90분 후 시험균수는 2회 반복 시험에서 모두 < 10 CFU/mL로 관찰되었다.
표8은 표6 및 표7의 항균시험 결과 종합을 나타낸 것이다. (단위: meam log)
균주 초기 생균수 평균 LR*
Staphylococous aureus 6.49 60분 후 < 1.00 > 5.49
90분 후 < 1.00 > 5.49
Staphylococous epidermidis 6.51 60분 후 < 1.00 > 5.51
90분 후 < 1.00 > 5.51
LR* = Log reduction시험결과 Staphylococous aureus에 대한 항균시험 값은 60분, 90분 각각 > 5.49, > 5.49이고, Staphylococou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시험 값은 60분, 90분 각각 > 5.51, > 5.51으로 나타났다. Log reduction이 4이상이면 99.99%이상, 5이상이면 99.999%을 의미한다.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표9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바디워시 제품을 제조하였다.
NO 구 분 투 입 량 비 율(%)
1 시어버터 20 2.0
2 올리브 포머스 75 7.5
3 코코넛 오일 187 18.7
4 오일팜오일 187 18.7
5 포도씨 종자유 75 7.5
6 피마자 오일 30 3.0
7 죽순껍질 추출물 12 1.2
8 녹차 추출물 12 1.2
9 약모밀 추출물 25 2.5
10 청태전발효녹차 파우더 12 1.2
11 약모밀 파우더 12 1.2
12 차조기 파우더 5 0.5
13 죽력(대나무 추출물) 7 0.7
14 죽순식초 4 0.4
15 산자나무 열매 추출물 12 1.2
16 맥주효모 파우더 12 1.2
17 죽순수 25 2.5
18 정제수 111 11.1
19 대나무 복합추출물 22 2.2
20 가성가리 155 15.5
1,000 100
또한, 대나무 추출물 2.0%, 복합 추출물 2.5%를 포함하고, 표10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샴푸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10에서 첨가비율은 첨가율 총 중량 100wt%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 성분이 포함되는 wt%를 의미한다.
전성분 %
정제수 16.885 (To 100)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25.0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15.50
라우릴베타인 8.50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5.00
맥주효모 3.00
유카추출물 2.20
산자나무열매추출물 2.10
녹차추출물 2.00
카퍼트리펩타이드-1 2.00
대나무추출물 2.00
해조추출물 1.00
로즈마리 오일 1.00
어성초추출물 1.00
쐐기풀추출물 1.00
글리세린 1.00
로즈마리추출물 0.34
하수오추출물 0.34
창포추출물 0.70
황금추출물 0.34
헨나추출물 0.05
판테놀 0.75
베타인 0.80
멘톨 0.60
실크아미노산 0.70
엘라스틴 0.34
진세노사이드 (진세노 R/X) 0.20
복합추출물 어성초추출물 0.80
자소엽추출물 0.40
한련초추출물 0.20
삼백초추출물 0.10
지실추출물 0.10
병풀추출물 0.20
녹차추출물 (청태전추출물) 0.40
뱀딸기추출물 0.10
탱자추출물 0.10
뱀딸기추출물 0.10
글루카민 0.52
케라틴 0.68
폴리쿼터늄-10 1.00
1,2-헥산디올 0.95
카프릴릴글라이콜 0.005
   
합계 100
또한, 표11의 성분 구성으로 페이셜 크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11에서 RM or ingredient %infla는 원료함량을, ingredients %inRM는 원료 중의 성분함량을 의미한다.
No 국문전성분 ICID RM or ingredient %infla ingredients %inRM
1 정제수 Water 67.560 100.000
2 밤부사 불가리스추출물 Bambusa Vulgaris Extract 6.000 1.000
정제수 Water 94.000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3.000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2.000
3 병풀추출물 Centella Asiatica Extract 5.000 95.000
글리세린 Bees wax 3.000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2.000
4 글리세린 Glycerin 3.500 99.950
정제수 Water 0.050
5 비즈왁스 Bees wax 3.000 100.000
6 비닐다이메티콘 Vinyl Dimethicone 2.500 100.000
7 병풀추출물 Centella Asiatica Extract 2.000 13.000
호장근뿌리추출물 Polygonum Cuspidatum Root Extract 13.000
황금추출물 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13.000
녹차추출물 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12.000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 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 12.000
마트리카리아꽃추출물 Chamomilla Recutita (Matricaria) Flower Extract 12.000
로즈마리잎추출물 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Extract 12.000
글리세린 Glycerin 10.000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1.000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2.000
8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Hydroxyacetophenone 1.500 20.000
펜틸렌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25.000
카프릴릴글라이콜 Caprylyl Glycol 30.000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25.000
9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1.200 100.000
10 마카다미아씨오일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1.000 100.000
11 세테아릴올리베이트 Cetearyl Olivate 1.000 60.000
솔비탄올리베이트 Sorbitan Olivate 40.000
12 라우릴알코올 Lauryl Alcohol 0.800 2.200
미리스틸알코올 Myristyl Alcohol 6.400
세틸알코올 Cetyl Alcohol 72.900
스테아릴알코올 Stearyl Alcohol 18.500
13 베타-글루칸 Beta-Glucan 0.700 0.400
글리세린 Bees wax 20.000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2.000
정제수 Water 77.600
14 메틸프로판다이올 Methylpropanediol 0.600 99.700
정제수 Water 0.300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Glyceryl Stearate 0.700 100.000
16 시어버터 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0.500 100.000
17 잇꽃씨오일 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Seed Oil 0.500 100.000
18 정제수 Water 0.800 97.460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Sodium Hyaluronate 1.000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1.500
에틸헥실글리세린 Ethylhexylglycerin 0.040
19 카보머 Carbomer 0.300 100.000
20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0.200 93.000
t-부틸알코올 t-Butyl Alcohol 3.000
정제수 Water 4.000
21 알지닌 Arginine 0.250 100.000
22 병풀추출물 Centella Asiatica Extract 0.100 100.000
23 베타인 Betaine 0.050 100.000
24 자일리톨 Xylitol 0.050 100.000
25 트레할로오스 Trehalose 0.050 100.000
26 다이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50 100.000
27 베르가모트오일 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Fruit Oil 0.030 100.000
28 당귤껍질오일 Citrus Sinensis Peel Oil Expressed 0.030 100.000
29 라벤더오일 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Oil 0.030 100.000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도면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대나무 열분해 과정에서 가열로 온도 90℃ ~ 280℃이내의 발생 가스를 냉각하여 얻어지는 초액을 증류하여, 3년 이상 정치한 대나무 추출액 제조단계와,
    죽순 껍질을 80 내지 120℃에서 증숙처리 후 15 내지 80℃ 온도에서 20 내지 80시간 동안 저온 건조 후 저온 발효된 원물을 이용하여 열수 추출하여 죽순껍질 추출물 제조단계와,
    설탕과 원물을 0.5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3개월 이상 숙성된 후 추출한 당화 지실 추출물 제조단계; 및
    감압 추출 후 농축하여 감압 농축한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추출액, 죽순껍질 추출물, 당화 지실 추출물, 감압 농축한 식물 추출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농축한 식물 추출물은 대나무 추출물, 느릅나무 뿌리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애기똥풀 추출물, 꾸지뽕 뿌리 추출물, 꾸지뽕 잎 추출물, 병풀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발효녹차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죽순껍질 추출물은 저온 건조 후 물 또는 3 내지 50%(v/v) 농도의 주정을 용매로 가해 80 내지 100℃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처리한 주정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
  5. 제 1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는 대나무 추출액, 죽순껍질 추출물, 당화 지실 추출물, 감압 농축한 식물 추출물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 크림, 수분 미스트,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디 전용 세정제, 두피 전용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으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디 전용 항균제, 바디 전용 항염제, 두피 전용 항균제, 두피 전용 항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으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20/017904 2020-05-22 2020-12-09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WO202123563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15547A JP2023528543A (ja) 2020-05-22 2020-12-09 抗菌及び美容機能を有する竹マルチコンプレックスの製造方法とそれを含有した化粧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03 2020-05-22
KR1020200061403A KR102437598B1 (ko) 2020-05-22 2020-05-22 항균 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638A1 true WO2021235638A1 (ko) 2021-11-25

Family

ID=7870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904 WO2021235638A1 (ko) 2020-05-22 2020-12-09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528543A (ko)
KR (1) KR102437598B1 (ko)
WO (1) WO20212356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079A1 (ko) * 2022-02-18 2023-08-24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제주조릿대 발효 추출물 및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다양한 용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433A (ja) * 2004-10-21 2006-05-11 Food Techs Co Ltd 竹の抽出方法、および抗菌剤、抗酸化剤
KR20070080437A (ko) * 2006-02-07 2007-08-10 담양군 목(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목(죽)초액 조성물
KR20100089533A (ko) * 2009-02-04 2010-08-12 담양군 항균성 대나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항균성 대나무
JP2015113291A (ja) * 2013-12-10 2015-06-22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膚化粧料
KR20170136969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831B1 (ko) 2001-08-31 2005-01-13 학교법인 영광학원 과채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식물유래의 천연항균제 및그 제조방법
KR100663080B1 (ko) * 2004-08-17 2007-01-02 나명순 여드름개선용죽력수제조방법
KR20090004295A (ko) 2007-07-07 2009-01-12 (주) 바이오스킨테크 천연 항균 세정제 조성
KR101412500B1 (ko) * 2012-03-16 2014-06-26 (주)제로투세븐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8083B1 (ko) * 2013-10-21 2016-02-26 김경자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433A (ja) * 2004-10-21 2006-05-11 Food Techs Co Ltd 竹の抽出方法、および抗菌剤、抗酸化剤
KR20070080437A (ko) * 2006-02-07 2007-08-10 담양군 목(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목(죽)초액 조성물
KR20100089533A (ko) * 2009-02-04 2010-08-12 담양군 항균성 대나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항균성 대나무
JP2015113291A (ja) * 2013-12-10 2015-06-22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膚化粧料
KR20170136969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079A1 (ko) * 2022-02-18 2023-08-24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제주조릿대 발효 추출물 및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다양한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598B1 (ko) 2022-08-29
KR20210144279A (ko) 2021-11-30
JP2023528543A (ja)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94219B (zh) 包含甘蔗提取物的多酚在预防、改善或治疗皮肤问题的用途
KR101041403B1 (ko)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043920A1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835486B1 (ko) 식물세포 발효 나노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20140052576A (ko) 식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 화장료 조성물
WO2018139898A1 (ko) 인삼열매 다당체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US9993510B2 (en) Acne-remov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8080139A1 (ko) 흑효모균 및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인삼열매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4027742A1 (ko)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288931A (zh) 一种治疗婴幼儿湿疹的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WO2021235638A1 (ko)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대나무 멀티 콤플렉스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2003089658A (ja) 抗痒み効果に優れる皮膚外用剤並びに食品
KR100973221B1 (ko) 판두라틴 에이 또는 그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
Li et al. Effect of different derivatives of shikonin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against the pathogenic dental bacteria
WO2019225786A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WO2013115456A1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CN107118089B (zh) 一种从植物中制备牡丹酚的方法及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WO2020032296A1 (ko) 기능성 조성물
JP2011195537A (ja) 抗酸化剤、美白剤、抗老化剤、育毛剤、保湿剤、皮膚外用剤及び機能性経口組成物
WO2022010035A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066606A1 (ko) 알로에 추출물 및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2016006821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4415089B (zh) 到手香萃取物在制备具有抗微生物功效的组合物中的用途
WO2020091192A1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및 오메가-6 지방산이 증진된 산양삼 숙성 복합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365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1554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365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