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67351A1 -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67351A1
WO2021167351A1 PCT/KR2021/002035 KR2021002035W WO2021167351A1 WO 2021167351 A1 WO2021167351 A1 WO 2021167351A1 KR 2021002035 W KR2021002035 W KR 2021002035W WO 2021167351 A1 WO2021167351 A1 WO 20211673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let pipe
inner diameter
coupling assembly
pip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20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상헌
한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1909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5564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4389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7788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Priority to US17/760,44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90054A1/en
Priority to CN202180011620.3A priority patent/CN115003946A/zh
Priority to JP2022548709A priority patent/JP7433678B2/ja
Publication of WO20211673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673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16L41/06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making use of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9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fixed to each other with fastening members on each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assembly for a pipe branch,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ssembly man-hours,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and to increase the flow rate inside the branch pipe that supplies the fluid to the sprinkler. It relates to a coupling assembly for branching a pip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a branching fluid even when the diameter of a branch hole formed in an inlet pipe increases.
  • sprinklers equipped with sensors for early extinguishing of fires by automatically spraying high-pressure fluid by detecting a fire when a fire occurs around its ceiling are installed on each floor of a building or apartment building.
  • a main pipe for supplying a fluid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an inlet pipe in which a plurality of sprinklers are installed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pipe, and a branch pipe for supplying the fluid to the sprinkler is installed in the inlet pipe.
  • the branch pipe in order to connect the inlet pipe and the branch pipe in communication, the branch pipe is welded to the branch hole formed in the inlet pipe, or the inlet pipe and the branch pipe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branched T-type pipe.
  • this method requires a lot of assembly man-hours and has a problem in that construction costs are wast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part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pling assembly for branching pipes that can reduce assembly man-hours, and can reduce construction costs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pling assembly for branching a pipe,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a branching fluid even when the diameter of a branch hole formed in an inlet pipe increases in order to increase the flow rate inside the branch pipe that supplies the fluid to the sprinkler. do it with
  •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n inlet pipe having a branch hole for branching of an inlet fluid, and a branch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 so that the branched fluid flows through the branch hole, and a coupler for interconnecting the inlet pipe and the branch pipe, wherein the coupler has an extension that penetrates the branch hole and is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extension is the inlet. It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or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pipe.
  • a support surface support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nch hole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 the outer diameter of the extension portion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pip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hol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extension portion.
  • an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branch hole.
  • the support surface may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 the coupler may be formed with a reinforcing bar for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 the reinforcing bar may be formed with a pressing surface for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and support walls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surface.
  • an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branch hole.
  • the support surface may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 the support surface is disposed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and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support surface is disposed opposite to the inlet pipe in the axial direction and closely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hole. It may include cotton.
  • first support surface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may extend integrally.
  • first support surface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coupler may be formed with a reinforcing bar for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 the reinforcing bar may be formed with a pressing surface for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and support walls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surface.
  • the coupling assembly for pipe branc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constructed by fastening the coupler to the inlet pipe, assembling man-hours and construction costs are reduced as well as an extension part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is formed.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branch hole formed in the inlet pipe increas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branching fluid from leaking.
  • the inner diameter at the part branching from the inlet pipe must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inlet pipe. As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in the coupler.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extension is formed to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pipe, a branch pip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let pipe can be us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let pipe to which the coupling assembly is fast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cut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 FIG. 6 is an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It is a diagram showing a cut state.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bar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let pipe to which a coupling assembly is fast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ront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a radial direction of an inlet pipe.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 FIG. 13 is a front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and 1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a radial direction of an inlet pipe.
  •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 FIG. 18 is a front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and 21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a radial direction of an inlet pipe.
  •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 FIG. 23 is a front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5 and 2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a radial direction of an inlet pipe.
  •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 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bar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let pipe to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cut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 Figure 7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bar of the coupling assembly.
  •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so that the branched fluid flows through the inlet pipe 10 having a branch hole 11 for branching of the inflow fluid, and the branch hole 11.
  • the coupler 100 has a branch hole ( 11) through the inlet pipe 10 to be inserted into the extension portion 110 is formed, the inner diameter (CID) of the extension portion 110 is formed to be the same siz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do.
  • the inner diameter at the part branching from the inlet pipe 10 is the same as the inlet pipe 10 .
  • the inner diameter (CID) of the extension part 110 formed in the coupler 100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the same as the inlet pipe 10 . It becomes possible to use a branch pipe 20 having an inner diameter.
  • the coupler 100 has a first part disposed on the inlet pipe 10 with the inlet pipe 10 as a center and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20, and a first part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let pipe 10 .
  • a second portion is provided to be engaged with.
  • the flange 130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passes is formed so tha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fix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disposed 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inlet pipe 10 .
  • the fixing member may be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or a nut, but any configuration may be used as long as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can be mutually fixed.
  • the support protrusion 140 for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art, and the support protrusion 140 is the coupler 100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fter the coupler 100 is mounted. is supported so as not to rot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
  • the support protrusion 14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40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o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
  • a gasket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let pipe 10 and the coupler 100 , and the gasket is pressed by the fastening force through the fixing member when the coupler 100 is mounted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 the support surface 111 support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110 . That is, when the coupler 100 is mounted, the extension part 110 penetrates the branch hole 11 and is disposed inside the inlet pipe 10 . When the support surface 1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10 , the inflow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110 are closely supported to each other.
  • the fluid flow flow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and the fluid flow flow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to branch into the branch pipe 20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ort surface 1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11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110 are closely supported to each other and do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fluid. fluid can flow smoothly.
  •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part 1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the inner diameter (CID) of the extension part 11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and this extension part 110 is form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upler 100 . Since it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effectively support it,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part 11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 the inner diameter HID of the branch hole 1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part 110 .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1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nch hole 11 are closely supported to each other, and fluid leakage between them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the operator can simply install these extensions 110 in the correct position by inserting them into the branch holes 11, easy and quick installation is possible.
  • the operator uses a tool having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110 so that the inner diameter HID of the branch hole 11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110 .
  • the branch hole 11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is perforated by using it.
  • an insertion groove 12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branch hole 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110 .
  • the operator drill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using a tool having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part 110 to form the branch hole 11 ,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 Even if the branch hole 11 is formed, the drilling is continued until the insertion groove 12 into which the extension part 110 is inserted is finally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inlet pipe 10 .
  •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and the inner diameter (CID) of the extension part 11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so that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inlet pipe 10 is separated from the branch pipe. Since the instantaneous flow rate in the extension part 110, which is the part branching to 2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instantaneous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10, the branch pipe 20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let pipe 10. ),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conditions required by the UL standard.
  • the extension 110 since the extension 110 having an inner diameter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is inserted, the extension 110 is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10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and secure a stable support structure. It is configured to be sea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in a state that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 That is, the support surface 111 formed on the extension 110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 .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xtension part 11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is removed from a shape having a circular circumference such as the inlet pipe 10 . That is, the extension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that does not act as a resistance to the fluid flow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10, as shown in FIG. As shown, the remaining portion is removed except for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 of the inlet pipe 10 .
  • the coupler 100 may be formed with a reinforcing bar 120 for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 An extension rib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is formed in the gasket described above so as to increase an area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and the reinforcing bar 120 formed in the coupler 100 includes these extension ribs. Pressurized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 the reinforcing bar 120 is formed with a pressing surface 121 for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and is configured to press the above-described extended rib.
  • support walls 121a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surface 121 formed on the reinforcing bar 120 . That is, as shown in FIG. 7 , since such a support wall 121a is not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surface 121 ,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surface 121 i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when the coupler 100 is mounted. Since the gasket can be pressed until contact, fluid leakag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even if the size of the branch hole 11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 Support walls 121a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surface 121 . That is, when the coupler 100 is mounted,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wall 121a is formed presses the gasket only until the support wall 121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 At this time, the support wall 121a supports the extension rib of the gasket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due to the fluid flow to prevent the gasket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s well as preventing the extension rib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o effectively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urability of the gasket. do.
  • the gasket is sufficiently pressurized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around the branch hole 11 , and the support walls 121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surface 121 .
  •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of the gasket may be partially reduced, but since it is a part spaced apart from the branch hole 11 by a certain distan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even when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is reduced in this way, as well a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gasket and the outside of the gasket. exposur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let pipe to which the coupling assembly is fast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front view of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noth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 Figure 12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 the coupling assembly includes an inlet pipe 10 through which a fluid flows, a branch pipe 20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 10 so that the branched fluid flows, and an inlet pipe (10) and a coupler (100) interconnecting the branch pipe (20). As shown in FIG. 8 , a branch hole 11 for branching the inflow fluid is formed in the inflow pipe 10 .
  •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10 flows to the branch pipe 20 through the coupler 100 through the branch hole 11 .
  • the coupler 100 has an extension 110 that penetrates the branch hole 11 and is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10 .
  • the inner diameter (CID) of the extension part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or, as shown in FIG. 11 ,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 the inner diameter at the part branching from the inlet pipe 10 is the same as the inlet pipe 10 .
  • the inner diameter (CID) of the extension part 110 formed in the coupler 100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the same as the inlet pipe 10 . It becomes possible to use a branch pipe 20 having an inner diameter.
  • the flange 130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passes is formed so tha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fix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disposed 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inlet pipe 10 .
  • the fixing member may be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or a nut, but any configuration may be used as long as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can be mutually fixed.
  • the first part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let pipe 10 as shown in FIG. 9 , and the first part may be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let pipe 10 using a fixing member such as a U bolt.
  • a support protrusion for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and the support protrusion is the coupler 100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fter the coupler 100 is mounted to the inlet pipe 10. It is supported so that it does not rot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 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o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
  • a gasket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let pipe 10 and the coupler 100 , and the gasket is pressed by the fastening force through the fixing member when the coupler 100 is mounted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 the support surface 111 support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nch hole 11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10 . That is, in the part where the coupler 100 is mounted, the fluid flow flow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and the fluid flow flow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to branch into the branch pipe 20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ort surface 1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10, the support surface 11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hole 11 are closely supported to each other,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leakage of the branching fluid. there will be
  •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part 1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the inner diameter (CID) of the extension part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or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and this extension part 110 )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effectively support the coupler 100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part 11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will be.
  • the inner diameter HID of the branch hole 1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part 110 .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1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nch hole 11 are closely supported to each other, and fluid leakage between them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the operator can simply install these extensions 110 in the correct position by inserting them into the branch holes 11, easy and quick installation is possible.
  • the operator uses a tool having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110 so that the inner diameter HID of the branch hole 11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110 .
  • the branch hole 11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is perforated by using it.
  • an insertion groove 12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branch hole 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110 .
  • the operator drill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using a tool having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part 110 to form the branch hole 11 ,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 Even if the branch hole 11 is formed, the drilling continues, and finally, when the insertion groove 12 into which the extension 11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disposed on the radial side of the inflow pipe 10 .
  • Drilling will proceed until At this time, the drill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tool for punching intersects the central axis of the inlet pipe 10, and the inlet pipe 10 so that this arrangement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firmly fastened, the inlet pipe 10 is punched.
  • the inner diameter (CID) of the extension part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or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as shown in FIG. 11 .
  • the instantaneous flow rate in the extension 110 which is a part where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inlet pipe 10 branches into the branch pipe 20 , is the same as the instantaneous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10 , or in some cases more Since it is formed to be large,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conditions required by the UL standard in order to use the branch pipe 20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let pipe 10 .
  • extension part 110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 in a state that penetrates the branch hole 11 formed in the inlet pipe 1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and secure a stable support structure. .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xtension part 11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is removed from a shape having a circular circumference such as the inlet pipe 10 . That is, the extension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that does not act as a resistance to the fluid flow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10, as shown in FIG. As shown, the remaining portion is removed except for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 of the inlet pipe 10 .
  • the support surface 111 is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 and the inlet pipe ( ) is disposed opposit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hole 11 .
  • )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surface that is closely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ranch pipe 20 in th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support surface that is disposed opposite to the inlet pipe 10 in the radial direction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 is formed, the inlet pipe ( 10), stable support is possible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ranch pipe 20 in a tangenti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20, and is disposed oppositely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 to closely suppor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hole 11
  • the second support surface is formed, stable support is possible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ranch pipe 2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
  • the first support surface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may be integrally formed to extend, and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first support surface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nch hole 11 and the insertion groove 12 . Since it is closely attach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during branching.
  • the coupler 100 may be formed with a reinforcing bar 120 for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 An extension rib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is formed in the gasket described above so as to increase an area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and the reinforcing bar 120 formed in the coupler 100 includes these extension ribs. Pressurized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 This reinforcing ba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13 is a front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5 and 16 are another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 the coupler 100 has an extension 110 that penetrates the branch hole 11 and is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10 .
  • the inner diameter CID of the extension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or as shown in FIG. 16 , the inlet pipe 10 .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 the inlet pipe In order to use the branch pipe 20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10), the inner diameter at the part branching from the inlet pipe 10 must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inlet pipe 10, and the extension formed in the coupler 100 Since the inner diameter (CID) of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or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a branch pip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let pipe 10 ( 20), not only can the UL standard be satisfied, but also the branched fluid can flow more smoothly, so that a sufficient flow rate can be secured inside the branch pipe 20 .
  • the inner diameter (CID) of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or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a branch pip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let pipe 10 ( 20) not only can the UL standard be satisfied, but also the branched fluid can flow more smoothly, so that a sufficient flow rate can
  •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1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the inner diameter HID of the branch hole 11 is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110 and
  • a configuration formed in the same size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an insertion groove 12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branch hole 11 is form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110 , and is extended. Since the part 110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 while penetrating the branch hole 11 formed in the inflow pipe 10 , fluid leakage is effectively prevented and a stable support structure can be secured.
  • the support surface 111 is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 and the inlet pipe ( ) is disposed opposit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hole 11 .
  • the coupler 1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120 for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let pipe 10 is formed.
  • Figure 18 is a front view of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20 and 21 are another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 the coupler 100 has an extension 110 that penetrates the branch hole 11 and is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10 .
  • the inner diameter CID of the extension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or as shown in FIG. 21 , the inlet pipe 10 .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 the inlet pipe In order to use the branch pipe 20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10), the inner diameter at the part branching from the inlet pipe 10 must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inlet pipe 10, and the extension formed in the coupler 100 Since the inner diameter (CID) of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or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a branch pip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let pipe 10 ( 20), not only can the UL standard be satisfied, but also the branched fluid can flow more smoothly, so that a sufficient flow rate can be secured inside the branch pipe 20 .
  • the inner diameter (CID) of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or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a branch pip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let pipe 10 ( 20) not only can the UL standard be satisfied, but also the branched fluid can flow more smoothly, so that a sufficient flow rate can
  •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1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the inner diameter HID of the branch hole 11 is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110 and
  • a configuration formed in the same size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an insertion groove 12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branch hole 11 is form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110 , and is extended. Since the part 110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 while penetrating the branch hole 11 formed in the inflow pipe 10 , fluid leakage is effectively prevented and a stable support structure can be secured.
  • the support surface 111 is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 and the inlet pipe ( ) is disposed opposit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hole 11 .
  • the coupler 1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120 for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let pipe 10 is formed.
  • FIG. 23 is a front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5 and 26 are another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7 is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 the coupler 100 has an extension 110 that penetrates the branch hole 11 and is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10 .
  • the inner diameter (CID) of the extension part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or as shown in FIG. 26, the inlet pipe 10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 the inlet pipe In order to use the branch pipe 20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10), the inner diameter at the part branching from the inlet pipe 10 must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inlet pipe 10, and the extension formed in the coupler 100 Since the inner diameter (CID) of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or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a branch pip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let pipe 10 ( 20), not only can the UL standard be satisfied, but also the branched fluid can flow more smoothly, so that a sufficient flow rate can be secured inside the branch pipe 20 .
  • the inner diameter (CID) of 11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or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a branch pip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let pipe 10 ( 20) not only can the UL standard be satisfied, but also the branched fluid can flow more smoothly, so that a sufficient flow rate can
  •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1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the inner diameter HID of the branch hole 11 is the outer diameter COD of the extension 110 and
  • a configuration formed in the same size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an insertion groove 12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branch hole 11 is forme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nsion 110 , and is extended. Since the part 110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 while penetrating the branch hole 11 formed in the inflow pipe 10 , fluid leakage is effectively prevented and a stable support structure can be secured.
  • the support surface 111 is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2, and the inlet pipe ( ) is disposed opposit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hole 11 .
  • ) including a second support surface closely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first support surface is formed to a minimum size to prevent leakage of a branching fluid and to support an external force,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is of sufficient size to be formed with
  • the first support surface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may be integrally formed to extend, and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first support surface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nch hole 11 and the insertion groove 12 . Since it is closely attach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during branching, as well a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xtension 110 to reduce weight.
  • the coupler 1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120 for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let pipe 10 is formed.
  • 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bar of a coupl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forementioned reinforcing bar 120 is formed with a pressing surface 121 that presses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and is configured to press the above-described extended rib.
  • support walls 121a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surface 121 formed on the reinforcing bar 120 . That is, as shown in FIG. 28 , since such a support wall 121a is not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surface 121 ,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surface 121 i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when the coupler 100 is mounted. Since the gasket can be pressed until it comes into contac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even if the size of the branch hole 1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PID of the inlet pipe 10 .
  • support walls 121a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let pipe 1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surface 121 . That is, when the coupler 100 is mounted,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wall 121a is formed presses the gasket only until the support wall 121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10 . At this time, the support wall 121a supports the extension rib of the gasket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due to the flow of the fluid to prevent the gasket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s well as preventing the extension rib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o effectively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urability of the gasket. do.
  • the gasket is sufficiently pressurized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around the branch hole 11 , and the support walls 121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surface 121 .
  •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of the gasket may be partially reduced, but since it is a part spaced apart from the branch hole 11 by a certain distan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luid leakage even when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is reduced in this way, as well a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gasket and the outside of the gasket. exposur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성이 단순화되어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로 유체를 공급하는 분기 파이프 내부의 유량 증가를 위해 유입 파이프에 형성된 분기홀의 직경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는 유입 유체의 분기를 위한 분기홀이 형성된 유입 파이프와, 상기 분기홀을 통해 분기된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유입 파이프와 연통된 분기 파이프, 및 상기 유입 파이프와 상기 분기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에는 상기 분기홀을 관통해서 상기 유입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내경은 상기 유입 파이프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Description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본 발명은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성이 단순화되어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로 유체를 공급하는 분기 파이프 내부의 유량 증가를 위해 유입 파이프에 형성된 분기홀의 직경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 각층에는 그 천정 주위에 화재 발생 시 화재를 감지하여 고압의 유체를 자동 살수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 스프링클러가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하는 메인 파이프가 설치되고, 이러한 메인 파이프에 다수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되는 유입 파이프가 연통 설치되며, 유입 파이프에는 스프링클러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분기 파이프가 설치된다.
다만, 종래의 경우 유입 파이프와 분기 파이프를 연통 설치하기 위해 유입 파이프에 형성된 분기홀에 분기 파이프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분기가 형성된 T형 파이프에 유입 파이프와 분기 파이프를 각각 설치하는 방식으로 상호 유체 연통시켰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조립 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부품수가 많아 시공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프링클러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 증가를 위해 유입 파이프에 형성된 분기홀의 직경을 증가시킬 경우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립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성이 단순화되어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프링클러로 유체를 공급하는 분기 파이프 내부의 유량 증가를 위해 유입 파이프에 형성된 분기홀의 직경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는 유입 유체의 분기를 위한 분기홀이 형성된 유입 파이프와, 상기 분기홀을 통해 분기된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유입 파이프와 연통된 분기 파이프, 및 상기 유입 파이프와 상기 분기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에는 상기 분기홀을 관통해서 상기 유입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내경은 상기 유입 파이프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분기홀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의 외경은 상기 유입 파이프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분기홀의 내경은 상기 연장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장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분기홀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지지면이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러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보강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대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면이 형성되되, 상기 가압면의 양측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장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분기홀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지지면이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면은 상기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 지지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상기 분기홀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은 상호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커플러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보강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대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면이 형성되되, 상기 가압면의 양측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는 유입 파이프에 커플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조립 공수 감소 및 시공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유입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므로 유입 파이프에 형성되는 분기홀의 직경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UL(Underwriters Laboratories) 기준에 따르면 유입 파이프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입 파이프에서 분기되는 부분에서의 내경이 유입 파이프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에 형성되는 연장부의 내경이 유입 파이프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입 파이프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유입 파이프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유입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단면도로서, 도 5는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보강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유입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보강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유입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단면도로서, 도 5는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보강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는 유입 유체의 분기를 위한 분기홀(11)이 형성된 유입 파이프(10)와, 분기홀(11)을 통해 분기된 유체가 흐르도록 유입 파이프(10)와 연통된 분기 파이프(20), 및 유입 파이프(10)와 분기 파이프(20)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100)를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커플러(100)에는 분기홀(11)을 관통해서 유입 파이프(10) 내부로 삽입되는 연장부(110)가 형성되되, 이러한 연장부(110)의 내경(CI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즉, 유입 파이프(10)에 단순히 커플러(10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조립 공수 감소 및 시공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기준에 따라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입 파이프(10)에서 분기되는 부분에서의 내경이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100)에 형성되는 연장부(110)의 내경(CID)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플러(100)에는 유입 파이프(10)를 중심으로 유입 파이프(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분기 파이프(20)가 연결되는 제1 부분과, 유입 파이프(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부분과 체결되는 제2 부분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유입 파이프(1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고정되도록 고정 부재가 관통하는 플랜지(130)가 형성된다. 고정 부재는 볼트, 너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상호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제2 부분에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지지 돌기(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 돌기(140)는 커플러(100) 장착 이후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커플러(100)가 유입 파이프(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지지 돌기(140)는 유입 파이프(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또는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된 복수 개의 지지 돌기(140)로 구성될 수 있다.
유입 파이프(10)와 커플러(100)의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스켓은 커플러(100) 장착 시 고정 부재를 통한 체결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때, 연장부(110)의 외주면에는 유입 파이프(10)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면(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플러(100) 장착 시 연장부(110)는 분기홀(11)의 관통하여 유입 파이프(1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연장부(110)의 외주면에 지지면(111)이 형성되면 유입 파이프(10)의 내주면과 연장부(110)의 외주면이 상호 밀착 지지되는 것이다.
즉, 커플러(100)가 장착된 부분에서는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을 따라 흐르는 유체 흐름과 분기 파이프(20)로 분기되도록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흐르는 유체 흐름이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110)의 외주면에 지지면(111)이 형성되면 유입 파이프(10)의 내주면과 연장부(110)의 외주면이 상호 밀착 지지되면서 이와 같은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때, 연장부(110)의 외경(CO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110)의 내경(CI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이러한 연장부(110)는 커플러(10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게 되므로 연장부(110)의 외경(CO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분기홀(11)의 내경(HID)은 연장부(110)의 외경(COD)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연장부(110)를 분기홀(11)에 삽입 시 연장부(110)의 외주면과 분기홀(11)의 내주면이 상호 밀착 지지되면서 이들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는 이러한 연장부(110)를 분기홀(11)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이들을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쉽고 빠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기홀(11)의 내경(HID)이 연장부(110)의 외경(COD)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도록 작업자는 연장부(110)의 외경(COD)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공구를 이용해서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을 타공하는 방식으로 분기홀(11)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유입 파이프(10)의 내주면에는 연장부(11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분기홀(11)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삽입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분기홀(11)을 형성하기 위해서 연장부(110)의 외경(COD)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공구를 이용해서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을 타공하게 되며, 유입 파이프(10)의 상면에 분기홀(11)이 형성되더라도 계속해서 타공을 진행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유입 파이프(10)의 측면에 배치된 내주면 부분에 연장부(110)가 삽입되는 삽입홈(12)이 형성될 때까지 타공을 진행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연장부(110)의 내경(CID)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유입 파이프(1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분기 파이프(20)로 분기되는 부분인 연장부(110)에서의 순간 유량이 유입 파이프(10)를 흐르는 유체의 순간 유량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하기 위해서 UL 기준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큰 내경을 갖는 연장부(110)가 삽입되므로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하기 위해서 연장부(110)가 유입 파이프(10)의 상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유입 파이프(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12)에 안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삽입홈(12)에는 연장부(110)에 형성된 지지면(111)이 삽입 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연장부(110)의 단면 형상은 유입 파이프(10)와 같은 원형 둘레를 갖는 형상에서 일부분이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연장부(110)가 유입 파이프(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을 따라 흐르는 유체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삽입홈(12)에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입 파이프(10) 내부의 유체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장부(110)가 유입 파이프(10)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의해 지지되므로 커플러(10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커플러(100)에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보강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가스켓에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리브가 형성되며, 커플러(100)에 형성된 보강대(120)는 이러한 연장 리브를 가압하여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보강대(120)에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면(121)이 형성되어 전술한 연장 리브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보강대(120)에 형성된 가압면(121)의 양측에는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벽(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면(121)의 상부에는 이러한 지지벽(121a)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커플러(100) 장착 시 가압면(121)의 상부가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에 접촉할 때까지 가스켓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분기홀(11)의 크기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더라도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압면(121)의 양측에는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벽(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플러(100) 장착 시 지지벽(121a)이 형성된 부분은 이러한 지지벽(121a)이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에 접촉할 때까지만 가스켓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지지벽(121a)은 유체 흐름으로 인한 압력 인가 시에도 가스켓의 연장 리브를 지지하여 가스켓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연장 리브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가스켓의 내구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즉, 가압면(121)의 상부에는 지지벽(121a)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가스켓을 충분히 가압하여 분기홀(11) 주변의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가압면(121)의 양측에는 지지벽(121a)이 형성되어서 가스켓의 가압 정도는 일부 감소할 수 있으나 분기홀(11)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이므로 이와 같이 가압 정도가 감소한 상태에서도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켓 이탈 방지 및 가스켓 외부 노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유입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파이프(10)와, 분기된 유체가 흐르도록 유입 파이프(10)와 연통된 분기 파이프(20), 및 유입 파이프(10)와 분기 파이프(20)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입 파이프(1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유체의 분기를 위한 분기홀(11)이 형성된다.
즉, 유입 파이프(10)로 유입된 유체는 분기홀(11)을 통해 커플러(100)를 경유하여 분기 파이프(20)로 흐르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0)에는 분기홀(11)을 관통해서 유입 파이프(10) 내부로 삽입되는 연장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이러한 연장부(110)의 내경(CI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하거나,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 파이프(10)에 단순히 커플러(10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조립 공수 감소 및 시공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기준에 따라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입 파이프(10)에서 분기되는 부분에서의 내경이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100)에 형성되는 연장부(110)의 내경(CID)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0)의 내경(CID)을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UL 기준을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되는 유체가 더욱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되어 분기 파이프(20) 내부에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유입 파이프(1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고정되도록 고정 부재가 관통하는 플랜지(130)가 형성된다. 고정 부재는 볼트, 너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상호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또는 유입 파이프(10)의 상부에는 도 9와 같이 제1 부분을 배치하고, 유입 파이프(10)의 하부에는 U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이용해서 제1 부분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2 부분에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지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 돌기는 커플러(100) 장착 이후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커플러(100)가 유입 파이프(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지지 돌기는 유입 파이프(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또는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된 복수 개의 지지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유입 파이프(10)와 커플러(100)의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스켓은 커플러(100) 장착 시 고정 부재를 통한 체결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0)의 외주면에는 분기홀(11)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면(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플러(100)가 장착된 부분에서는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을 따라 흐르는 유체 흐름과 분기 파이프(20)로 분기되도록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흐르는 유체 흐름이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110)의 외주면에 지지면(111)이 형성되면 이러한 지지면(111)과 분기홀(11)의 내주면이 상호 밀착 지지되면서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장부(110)의 외경(CO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110)의 내경(CI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입 파이프(10)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러한 연장부(110)는 커플러(10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게 되므로 연장부(110)의 외경(CO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분기홀(11)의 내경(HID)은 연장부(110)의 외경(COD)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연장부(110)를 분기홀(11)에 삽입 시 연장부(110)의 외주면과 분기홀(11)의 내주면이 상호 밀착 지지되면서 이들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는 이러한 연장부(110)를 분기홀(11)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이들을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쉽고 빠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기홀(11)의 내경(HID)이 연장부(110)의 외경(COD)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도록 작업자는 연장부(110)의 외경(COD)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공구를 이용해서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을 타공하는 방식으로 분기홀(11)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유입 파이프(10)의 내주면에는 연장부(11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분기홀(11)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삽입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분기홀(11)을 형성하기 위해서 연장부(110)의 외경(COD)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공구를 이용해서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을 타공하게 되며, 유입 파이프(10)의 상면에 분기홀(11)이 형성되더라도 계속해서 타공을 진행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 측면에 배치된 내주면 부분에 연장부(110)가 삽입되는 삽입홈(12)이 형성될 때까지 타공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타공을 위한 공구의 중심축이 유입 파이프(10)의 중심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타공을 진행하게 되며, 타공 과정에서 이러한 배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유입 파이프(10)의 양단을 견고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유입 파이프(10)를 타공하게 된다.
즉, 연장부(110)의 내경(CID)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하거나,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유입 파이프(1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분기 파이프(20)로 분기되는 부분인 연장부(110)에서의 순간 유량이 유입 파이프(10)를 흐르는 유체의 순간 유량과 동일하거나, 경우에 따라 더 크게 형성되므로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하기 위해서 UL 기준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장부(110)가 유입 파이프(10)에 형성된 분기홀(11)을 관통한 상태에서 삽입홈(12)에 삽입 지지되므로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장부(110)의 단면 형상은 유입 파이프(10)와 같은 원형 둘레를 갖는 형상에서 일부분이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연장부(110)가 유입 파이프(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을 따라 흐르는 유체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삽입홈(12)에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입 파이프(10) 내부의 유체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장부(110)가 유입 파이프(10)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의해 지지되므로 커플러(10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지지면(111)은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삽입홈(12)에 삽입 지지되는 제1 지지면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분기홀(11)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입 파이프(10)와 분기 파이프(20)가 커플러(100)를 통해 상호 고정된 이후에 분기 파이프(20)에는 다양한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된다. 특히, UL 인증 과정에서는 분기 파이프(20)에 외력을 인가하되,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분기 파이프(20)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과 접하는 접선 방향으로 분기 파이프(20)에 외력을 인가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삽입홈(12)에 삽입 지지되는 제1 지지면이 형성되면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과 접하는 접선 방향으로 분기 파이프(2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되고,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분기홀(11)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 지지면이 형성되면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분기 파이프(2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러한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이 분기홀(11)의 내주면과 삽입홈(12)에 연속적으로 밀착하게 되므로 분기 시에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0)에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보강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가스켓에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유입 파이프(1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리브가 형성되며, 커플러(100)에 형성된 보강대(120)는 이러한 연장 리브를 가압하여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대(12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0)에는 분기홀(11)을 관통해서 유입 파이프(10) 내부로 삽입되는 연장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장부(110)의 내경(CI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하거나,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에 단순히 커플러(10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조립 공수 감소 및 시공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기준에 따라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입 파이프(10)에서 분기되는 부분에서의 내경이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커플러(100)에 형성되는 연장부(110)의 내경(CID)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하거나,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해도 UL 기준을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되는 유체가 더욱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되어 분기 파이프(20) 내부에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장부(110)의 외경(CO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고, 분기홀(11)의 내경(HID)은 연장부(110)의 외경(COD)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내주면에는 연장부(11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분기홀(11)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연장부(110)가 유입 파이프(10)에 형성된 분기홀(11)을 관통한 상태에서 삽입홈(12)에 삽입 지지되므로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면(111)은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삽입홈(12)에 삽입 지지되는 제1 지지면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분기홀(11)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되, 이러한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은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분기 파이프(20)에 다양한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장부(110)의 무게가 감소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0)에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보강대(120)가 형성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0)에는 분기홀(11)을 관통해서 유입 파이프(10) 내부로 삽입되는 연장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장부(110)의 내경(CI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하거나, 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에 단순히 커플러(10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조립 공수 감소 및 시공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기준에 따라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입 파이프(10)에서 분기되는 부분에서의 내경이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커플러(100)에 형성되는 연장부(110)의 내경(CID)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하거나,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해도 UL 기준을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되는 유체가 더욱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되어 분기 파이프(20) 내부에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장부(110)의 외경(CO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고, 분기홀(11)의 내경(HID)은 연장부(110)의 외경(COD)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내주면에는 연장부(11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분기홀(11)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연장부(110)가 유입 파이프(10)에 형성된 분기홀(11)을 관통한 상태에서 삽입홈(12)에 삽입 지지되므로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면(111)은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삽입홈(12)에 삽입 지지되는 제1 지지면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분기홀(11)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되, 이러한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러한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이 분기홀(11)의 내주면과 삽입홈(12)에 연속적으로 밀착하게 되므로 분기 시에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0)에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보강대(120)가 형성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0)에는 분기홀(11)을 관통해서 유입 파이프(10) 내부로 삽입되는 연장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장부(110)의 내경(CI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하거나, 또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에 단순히 커플러(10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조립 공수 감소 및 시공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기준에 따라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입 파이프(10)에서 분기되는 부분에서의 내경이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커플러(100)에 형성되는 연장부(110)의 내경(CID)이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과 동일하거나,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유입 파이프(10)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분기 파이프(20)를 사용해도 UL 기준을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되는 유체가 더욱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되어 분기 파이프(20) 내부에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장부(110)의 외경(COD)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고, 분기홀(11)의 내경(HID)은 연장부(110)의 외경(COD)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 파이프(10)의 내주면에는 연장부(11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분기홀(11)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연장부(110)가 유입 파이프(10)에 형성된 분기홀(11)을 관통한 상태에서 삽입홈(12)에 삽입 지지되므로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면(111)은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삽입홈(12)에 삽입 지지되는 제1 지지면과,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분기홀(11)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되, 제1 지지면은 분기되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외력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하고, 제2 지지면은 충분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러한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이 분기홀(11)의 내주면과 삽입홈(12)에 연속적으로 밀착하게 되므로 분기 시에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장부(110)의 무게가 감소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0)에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보강대(120)가 형성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의 보강대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보강대(120)에는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면(121)이 형성되어 전술한 연장 리브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보강대(120)에 형성된 가압면(121)의 양측에는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벽(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면(121)의 상부에는 이러한 지지벽(121a)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커플러(100) 장착 시 가압면(121)의 상부가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에 접촉할 때까지 가스켓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분기홀(11)의 크기가 유입 파이프(10)의 내경(PID)보다 크게 형성되더라도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가압면(121)의 양측에는 유입 파이프(1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벽(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플러(100) 장착 시 지지벽(121a)이 형성된 부분은 이러한 지지벽(121a)이 유입 파이프(10)의 외주면에 접촉할 때까지만 가스켓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지지벽(121a)은 유체 흐름으로 인한 압력 인가 시에도 가스켓의 연장 리브를 지지하여 가스켓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연장 리브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가스켓의 내구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즉, 가압면(121)의 상부에는 지지벽(121a)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가스켓을 충분히 가압하여 분기홀(11) 주변의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가압면(121)의 양측에는 지지벽(121a)이 형성되어서 가스켓의 가압 정도는 일부 감소할 수 있으나 분기홀(11)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이므로 이와 같이 가압 정도가 감소한 상태에서도 유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켓 이탈 방지 및 가스켓 외부 노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유입 유체의 분기를 위한 분기홀이 형성된 유입 파이프와, 상기 분기홀을 통해 분기된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유입 파이프와 연통된 분기 파이프, 및 상기 유입 파이프와 상기 분기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에는 상기 분기홀을 관통해서 상기 유입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내경은 상기 유입 파이프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분기홀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경은 상기 유입 파이프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분기홀의 내경은 상기 연장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장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분기홀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지지면이 삽입 지지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보강대가 형성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가압면이 형성되되,
    상기 가압면의 양측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벽이 형성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유입 파이프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 지지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유입 파이프의 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상기 분기홀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커플링 어셈블리.
PCT/KR2021/002035 2020-02-17 2021-02-17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WO20211673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60,444 US20220390054A1 (en) 2020-02-17 2021-02-17 Coupling assembly for branching pipe
CN202180011620.3A CN115003946A (zh) 2020-02-17 2021-02-17 管道分支用接头组件
JP2022548709A JP7433678B2 (ja) 2020-02-17 2021-02-17 パイプ分岐用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92 2020-02-17
KR1020200019092A KR102155643B1 (ko) 2020-02-17 2020-02-17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KR10-2020-0043890 2020-04-10
KR1020200043890A KR102177888B1 (ko) 2020-04-10 2020-04-10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351A1 true WO2021167351A1 (ko) 2021-08-26

Family

ID=7739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2035 WO2021167351A1 (ko) 2020-02-17 2021-02-17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90054A1 (ko)
JP (1) JP7433678B2 (ko)
CN (1) CN115003946A (ko)
WO (1) WO2021167351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589U (ko) * 1996-08-27 1998-06-05 정화석 가요성 호스용 클램프 부재
JP2001050461A (ja) * 1999-08-05 2001-02-23 Sekisui Chem Co Ltd 不断水分岐継手
KR200220053Y1 (ko) * 2000-11-08 2001-04-16 주식회사아세아조인트 관 연결구
KR100740590B1 (ko) * 2006-03-30 2007-07-18 김주홍 배관의 이음구
KR20070000842U (ko) * 2007-07-03 2007-07-25 문미나 파이프 분기용 조인트
KR102155643B1 (ko) * 2020-02-17 2020-09-14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KR102177888B1 (ko) * 2020-04-10 2020-11-12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6518A (en) * 1957-10-29 1960-07-26 Spraying Systems Co Pipe side spray nozzle and clamp
US4073513A (en) * 1976-09-24 1978-02-14 Blakeley Engineering Limited Pipe branch fitting
US4613171A (en) * 1984-10-18 1986-09-23 Corcoran Daniel P Junction coupling with unitary locking gasket and methods for their use
JPH0483991A (ja) * 1990-07-23 1992-03-17 Oshima Kensetsu Kk 管継手
US6412824B2 (en) * 1999-01-22 2002-07-02 Victaulic Company Of America Pipe branch fitting
KR100954524B1 (ko) * 2008-06-03 2010-04-27 정우통신 주식회사 배관용 분기관 연결 커플링
US8944474B2 (en) * 2008-12-25 2015-02-03 Yazaki Corporation Holder
CN102418827A (zh) * 2010-09-24 2012-04-18 仓敷化工株式会社 连接器以及管与连接器的焊接结构
EP2492563B1 (en) * 2011-02-25 2013-12-18 Raywal Holding SAS Clamp for a pipe or cable.
KR200470571Y1 (ko) * 2012-02-13 2013-12-30 박선영 무용접 방식의 t자형 분기배관을 위한 분기구
US20150300549A1 (en) * 2013-03-15 2015-10-22 Tyco Fire Products Lp Mechanical Pipe Fitting
CN106151742A (zh) * 2015-03-31 2016-11-23 池州恒生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三通分支装置
GB201516237D0 (en) * 2015-09-14 2015-10-28 Ellis Patents Holdings Ltd A clamp
US10309568B2 (en) * 2015-10-29 2019-06-04 Anvil International, Llc Mechanical branch outlet
DE202015007620U1 (de) * 2015-11-04 2015-12-15 Fkb Gmbh Führungs- oder Haltevorrichtung zur Aufnahme von Rohren, Kabeln oder Schläuchen
WO2020235870A1 (ko) * 2019-05-17 2020-11-26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KR102098328B1 (ko) * 2019-05-17 2020-04-07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40703B1 (ko) * 2019-11-15 2020-08-03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US11719368B2 (en) * 2020-04-16 2023-08-08 New Asiajoint Co., Ltd Coupling assembly for pipe conn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589U (ko) * 1996-08-27 1998-06-05 정화석 가요성 호스용 클램프 부재
JP2001050461A (ja) * 1999-08-05 2001-02-23 Sekisui Chem Co Ltd 不断水分岐継手
KR200220053Y1 (ko) * 2000-11-08 2001-04-16 주식회사아세아조인트 관 연결구
KR100740590B1 (ko) * 2006-03-30 2007-07-18 김주홍 배관의 이음구
KR20070000842U (ko) * 2007-07-03 2007-07-25 문미나 파이프 분기용 조인트
KR102155643B1 (ko) * 2020-02-17 2020-09-14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KR102177888B1 (ko) * 2020-04-10 2020-11-12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03946A (zh) 2022-09-02
US20220390054A1 (en) 2022-12-08
JP2023513589A (ja) 2023-03-31
JP7433678B2 (ja)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48039A2 (ko)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방법
WO2014081111A1 (ko) 배관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러
WO2021096101A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WO2011102637A2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WO2018105877A1 (ko)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EP1105670A1 (en) Clamshell coupling system and method
WO2021010610A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8012681A1 (ko) 내진용 무홈 커플링
WO2020235867A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3058413A1 (ko) 건설기계의 유압배관 고정장치
WO2016159626A1 (ko) 유로관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WO2019027082A1 (ko) 유니언
KR102061496B1 (ko)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WO2021167351A1 (ko)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WO2020235870A1 (ko)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WO2018225915A1 (ko) 파이프 커버 기능을 갖는 배관 커플러
WO2021125766A1 (ko) 입상 배관 고정 장치
WO2017003023A1 (ko) 파이프 연결장치
WO2018012777A1 (ko) 탄성력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KR102177888B1 (ko)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WO2014030829A1 (ko)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WO2014003461A1 (ko) 다단 밀봉구조를 갖는 밸브장치
WO2020242001A1 (ko) 원터치 결합 구조 및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이음관
WO2018194295A1 (ko)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WO2015156536A1 (ko) 진공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567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4870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567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