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07525A1 -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07525A1
WO2021107525A1 PCT/KR2020/016561 KR2020016561W WO2021107525A1 WO 2021107525 A1 WO2021107525 A1 WO 2021107525A1 KR 2020016561 W KR2020016561 W KR 2020016561W WO 2021107525 A1 WO2021107525 A1 WO 202110752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otrusion
hole
coil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5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영배
김찬중
박정욱
이성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5700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67419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6984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78104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756,70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71475A1/en
Priority to CN202080082974.2A priority patent/CN114761870B/zh
Priority to EP20894383.7A priority patent/EP4067990A4/en
Publication of WO202110752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075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6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with a variable apex pr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무버;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무버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돌기; 상기 제1 돌기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상기 제2 돌기보다 더 큰 제3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면과 대응하는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가 안착하는 홈; 상기 제2 돌기가 관통하는 제1 홀; 및 상기 제3 돌기가 관통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의 측면은 상기 제1 홀과 이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홀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돌기를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본 발명은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장치이며, 휴대용 디바이스, 드론,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영상 안정화(Image Stabilization, IS) 기능,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싱(Auto Focusing, AF) 기능,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주밍(zooming)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미지센서는 고화소로 갈수록 해상도가 높아져 화소(Pixel)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데, 화소가 작아질수록 동일한 시간 동안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어두운 환경에서 셔터속도가 느려지면서 나타나는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영상 안정화(IS) 기술 중 대표적인 것으로 빛의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인 광학식 영상 안정화(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술이 있다.
일반적인 OIS 기술에 따르면, 자이로 센서(gyrosensor) 등을 통해 카메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을 바탕으로 렌즈를 틸팅 또는 이동시키거나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틸팅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또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OIS를 위하여 틸팅 또는 이동할 경우, 렌즈 또는 카메라 모듈 주변에 틸팅 또는 이동을 위한 공간이 추가적으로 확보될 필요가 있다.
한편,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는 렌즈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는 광축 Z에 대하여 수직하는 두 축, 즉 X축 틸팅을 담당하는 엑추에이터와 Y축 틸팅을 담당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초슬림 및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니즈에 따라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 상의 제약이 크며, 렌즈 또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자체가 OIS를 위하여 틸팅 또는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보장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수광되는 빛의 양을 늘리기 위해 렌즈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렌즈의 사이즈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슬림, 초소형 및 고해상 카메라에 적용 가능한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무버;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무버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돌기; 상기 제1 돌기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상기 제2 돌기보다 더 큰 제3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면과 대응하는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가 안착하는 홈; 상기 제2 돌기가 관통하는 제1 홀; 및 상기 제3 돌기가 관통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의 측면은 상기 제1 홀과 이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홀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돌기를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홀의 측면에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돌기와 접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곡률을 갖고 상기 제2 홀의 중심을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상기 무버는 상기 제2 돌기의 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돌기가 안착하는 홈을 포함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제1 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홀의 측면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은 측면이 상기 제1 홀의 중심으로부터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1 내측면, 상기 제1 내측면과 접하고 상기 제1 홀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면, 상기 제2 내측면과 접하고 상기 무버를 향해 경사진 제3 내측면; 및 상기 제2 돌기와 가장 인접한 제4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내측면은 상기 제2 홀의 측면보다 상기 무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은 반경이 상기 제2 홀의 반경보다 크고, 상기 제2 돌기는 직경이 상기 제3 돌기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 마그넷 및 구동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마그넷은 제1 마그넷, 제2 마그넷, 및 제3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코일은 제1 코일, 제2 코일 및 제3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2 마그넷은 상기 무버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무버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마그넷은 상기 무버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코일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무버;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무버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돌기; 상기 제1 돌기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상기 제2 돌기보다 더 큰 제3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면과 대응하는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가 안착하는 홈; 상기 제2 돌기가 관통하는 제1 홀; 및 상기 제3 돌기가 관통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의 측면은 상기 제1 홀과 이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홀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돌기와 맞닿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무버; 상기 하우징과 상기 무버 사이에 배치되는 틸트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과 상기 틸트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볼과 상기 틸트 플레이트와 상기 무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볼을 포함하는 볼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무버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틸트 플레이트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무버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마주보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상기 무버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 홈을 가압하는 상기 제1 볼을 기준으로 제1 축으로 틸트되고, 상기 무버는 상기 무버에 형성된 제2 홈을 가압하는 상기 제2 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축과 수직한 제2 축으로 틸트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무버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볼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제1-1 볼 및 제1-2 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볼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는 제2-1 볼 및 제2-2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볼 및 상기 제1-2 볼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1 볼은 상기 제1 연장부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2 볼은 상기 제2 연장부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1 볼이 안착하는 제2-1 홈 및 상기 제2-2 볼이 안착하는 제2-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볼은 상기 제2-1 홈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제2-2 볼은 상기 제2-2 홈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 마그넷 및 구동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마그넷은 제1 마그넷, 제2 마그넷, 및 제3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코일은 제1 코일, 제2 코일 및 제3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2 마그넷은 상기 무버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무버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마그넷은 상기 무버의 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코일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홈은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2 홈은 상기 제2 마그넷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와 마주보는 하우징 측부에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및 상기 틸트 플레이트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서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내에 배치되는 윤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슬림, 초소형 및 고해상 카메라에 적용 가능한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OIS용 엑추에이터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X축 방향의 틸팅 및 Y축 방향의 틸팅이 서로 자계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안정적인 구조로 X축 방향의 틸팅 및 Y축 방향의 틸팅이 구현될 수 있고, AF용 또는 주밍용 엑추에이터와도 서로 자계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정밀한 OIS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의 사이즈 제한을 해소하여 충분한 광량 확보가 가능하며, 조립이 용이하고, 저소비 전력의 OIS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에서 쉴드 캔이 제거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카메라의 평면도이고,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제1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1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이고,
도 4a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는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에서 AA'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5d는 도 5a에서 BB'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5e는 도 5a에서 CC'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6a는 실시예에 따른 무버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무버의 저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에서 DD'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6d는 도 6a에서 EE'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6e는 도 6a에서 FF'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8a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GG'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8a에서 HH'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d는 도 8a에서 II'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e는 도 8a에서 JJ'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f는 도 8a에서 KK'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Y축 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X축 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상면도이고,
도 12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12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13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버의 사시도이고,
도 1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버의 저면도이고,
도 1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홀더의 저면도이고,
도 14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홀더의 일 측면도이고,
도 14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홀더의 다른 측면도이고,
도 1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트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1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16b는 도 16a에서 LL'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6c는 도 16a에서 MM'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18b는 도 18a에서 NN’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8c는 도 18b에서 PP'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8d 및 도 18e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1축 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a에서 OO’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2축 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F또는 Zoom용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4a는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4b는 도 24a에 도시된 제1 렌즈 어셈블리에서 일부 구성이 제거된 사시도이고,
도 15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에서 제3 렌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6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서 쉴드 캔이 제거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0)은 단일 또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제1 카메라 모듈(1000A)과 제2 카메라 모듈(10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00A)과 제2 카메라 모듈(1000B)은 소정의 쉴드 캔(15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카메라 모듈(1000A)은 단일 또는 복수의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000A)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는 제1 군의 회로기판(1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제2 군의 회로기판(1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군의 회로기판(1420)은 제1 군의 회로기판(1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카메라 모듈(1000B)은 제3 군의 회로기판(1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는 줌(Zoom) 엑추에이터 또는 AF(Auto Focus) 엑추에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를 지지하며 소정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렌즈를 움직여 오토포커싱 기능 또는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 엑추에이터일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1000B)은 소정의 경통(미도시)에 배치된 고정 초점거리 렌즈(fixed focal length les)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초점거리 렌즈(fixed focal length les)는“단일 초점거리 렌즈” 또는 “단(單) 렌즈”로 칭해질 수도 있다.
제2 카메라 모듈(1000B)은 소정의 하우징(미도시)에 배치되고, 렌즈부를 구동할 수 있는 엑추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엑추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 마이크로 엑추에이터, 실리콘 엑추에이터 등일 수 있고, 정전방식, 써멀 방식, 바이 모프 방식, 정전기력방식 등 여러 가지로 응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제1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1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 모듈(1000A)은 주밍(zooming) 기능 및 AF 기능을 하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 및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OIS 기능을 하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는 광학계와 렌즈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엑추에이터(1100)는 제1 렌즈 어셈블리(1110), 제2 렌즈 어셈블리(1120), 제3 렌즈 어셈블리(1130), 및 가이드 핀(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100)는 구동 코일(1140)과 구동 마그넷(1160)을 구비하여 고배율 주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어셈블리(11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1120)는 구동 코일(1140), 구동 마그넷(1160)과 가이드 핀(50)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 렌즈(moving lens)일 수 있으며, 제3 렌즈 어셈블리(1130)는 고정 렌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렌즈 어셈블리(1130)는 광을 특정 위치에 결상하는 집광자(focato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렌즈 어셈블리(1110)는 집광자인 제3 렌즈 어셈블리(1130)에서 결상된 상을 다른 곳에 재결상시키는 변배자(vari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 어셈블리(1110)에서는 피사체와의 거리 또는 상거리가 많이 바뀌어서 배율변화가 큰 상태일 수 있으며,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1110)는 광학계의 초점거리 또는 배율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1110)에서 결상되는 상점은 위치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제2 렌즈 어셈블리(1120)는 변배자에 의해 결상된 상에 대한 위치 보상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 어셈블리(1120)는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1110)에서 결상된 상점을 실제 이미지 센서(1190) 위치에 정확히 결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보상자(compens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어셈블리(11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1120)는 구동 코일(1140)과 구동 마그넷(1160)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이미지 센서(1190)가 평행 광의 광축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이하에서 후술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통해 광경로의 제어를 통해 OIS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이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의도로 작성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세부적인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OIS용 엑추에이터와 AF 또는 Zoom용 엑추에이터가 배치될 경우, OIS 구동 시 AF 또는 Zoom용 마그넷과의 자계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구동 마그넷이 제1 엑추에이터(1100)와 분리되어 배치되므로, 제1 엑추에이터(1100)와 제2 엑추에이터(1200) 간 자계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OIS는 손떨림 보정,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 광학식 이미지 보정, 떨림 보정 등의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엑추에이터의 제어 방법 및 세부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하우징(1210), 무버(1220) 및 구동부(1230)를 포함한다.
하우징(1210)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에는 후술하는 무버(1220)가 안착할 수 있다. 하우징(1210)은 복수 개의 하우징 측부로 이루어지며, 하우징 측부는 적어도 일부가 홀을 포함하여 후술하는 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도면 상 X축 방향이고 제2 축 방향과 혼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저면은 제1 방향에서 일측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 방향은 도면 상 Y축 방향이며 제1 축 방향과 혼용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제3 방향은 도면 상 Z축 방향이고, 제3 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방향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모두 수직한 방향이다. 여기서, 제3 방향(Z축 방향)은 광축의 방향에 대응(예로, 광축에 나란한 방향)하며,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이며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무버(1220)는 홀더(1221), 캡(CP) 및 광학부재(122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21)는 복수 개의 홀더 외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홀더(1221)는 외측면 중 일면에 하우징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210)은 복수 개의 돌기에 대응하는 면에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돌기는 일부가 단부에서 캡(CP)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캡(CP)은 홀더(1221)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210)과 무버(1220)(또는 홀더(1221))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캡(CP)은 하우징(1210)의 홀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CP)은 무버(1220)의 X축 틸트 또는 Y축 틸트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며, 틸트 반경을 제한하여 무버(1220)와 하우징(12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광학부재(1222)는 홀더(1221)에 안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1221)는 안착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광학부재(1222)는 내부에 배치되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학부재(1222)는 프리즘 또는 반사부재(예로, 거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광학부재(1222)는 외부(예컨대,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카메라 모듈 내부로 반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학부재(1222)는 반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공간적 한계를 개선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 모듈은 두께가 최소화하면서 광 경로를 확장하여 높은 범위의 배율을 제공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동부(1230)는 구동 마그넷(1231), 구동 코일(1232), 홀 센서부(1233), 요크부(1234) 및 기판부(1235)를 포함한다.
구동 마그넷(1231)은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구동 마그넷(1231)은 제1 마그넷(1231a), 제2 마그넷(1231b) 및 제3 마그넷(123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1231a), 제2 마그넷(1231b) 및 제3 마그넷(1231c)은 각각 홀더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그넷(1231a)과 제2 마그넷(1231b)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마그넷(1231c)은 홀더의 외측면 중 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구동 코일(1232)은 복수 개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구동 코일(1232)은 제1 코일(1232a), 제2 코일(1232b) 및 제3 코일(123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232a)은 제1 마그넷(1231a)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 코일(1232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측부의 제1 하우징 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1232b)은 제2 마그넷(1231b)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2 코일(1232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측부의 제2 하우징 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일(1232a)은 제2 코일(1232b)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코일(1232a)은 제2 코일(1232b)과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1 마그넷(1231a)과 제2 마그넷(1231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마그넷(1231a)과 제2 마그넷(1231b)은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1232a), 제2 코일(1232b), 제1 마그넷(1231a) 및 제2 마그넷(1231b)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코일(1232a)과 제1 마그넷(1231a) 간의 전자기력과 제2 코일(1232b)과 제2 마그넷(1231b) 간의 전자기력으로 X축 틸팅이 일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코일(1232c)은 제3 마그넷(1231c)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3 코일(1232c)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 측부(1213)의 제3 하우징 홀(1223a)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코일(1232c)은 제3 마그넷(1231c)과 전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무버(1220)를 하우징(1210)을 기준으로 Y축 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X축 틸팅은 X축을 기준으로 틸트되는 것을 의미하며, Y축 틸팅은 Y축을 기준으로 틸트되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X축 틸팅은 2축 틸트로, Y축 틸팅은 1축 틸트와 혼용된다.
홀 센서부(1233)는 복수 개의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홀 센서부(1233)는 제1 홀 센서(1233a), 제2 홀 센서(1233b) 및 제3 홀 센서(123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 센서(1233a)는 제1 코일(1232a)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 센서(1233a)는 제1 코일(1232a) 내측에서 자속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홀 센서(1233b)는 제2 코일(1232b)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홀 센서(1233b)는 제2 코일(1232b) 내측에서 자속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2 마그넷(1231a, 1231b)과 제1,2 홀 센서(1233a, 1233b) 간의 위치 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이를 통해 X축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홀 센서(1233c)는 제3 코일(1232c)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홀 센서(1233c)는 제3 코일(1232c) 내측에서 자속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3 마그넷(1231c)과 제3 홀 센서(1233c) 간의 위치 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이를 통해 Y축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요크부(1234)는 제1 요크(1234a), 제2 요크(1234b) 및 제3 요크(123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크(1234a)는 제1 마그넷(123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요크(1234b)는 제2 마그넷(1231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요크(1234c)는 제3 마그넷(1231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요크(1234a), 제2 요크(1234b) 및 제3 요크(1234c)는 각각 홀더(1221)의 외측면에 형성된 안착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요크(1234a), 제2 요크(1234b) 및 제3 요크(1234c)는 각각이 상술한 제1 마그넷(1231a), 제2 마그넷(1231b) 및 제3 마그넷(1231c) 각각과 홀더(1221)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에폭시 등의 접합 부재에 의해 제1 요크(1234a), 제2 요크(1234b) 및 제3 요크(1234c)는 각각이 홀더(1221)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에 안착할 수 있다.
이에, 제1 요크(1234a), 제2 요크(1234b) 및 제3 요크(1234c)는 홀더 와 제1 내지 제3 마그넷(1231a 내지 1231c)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기판부(1235)는 구동부(12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부(1235)는 구동 코일(1232), 홀 센서부(12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부(1235)는 구동 코일(1232), 홀 센서부(1233)와 SMT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부(1235)는 하우징(1210)의 외측에 위치하여, 하우징(1210)과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을 통해 구동 코일(1232)과 홀 센서부(1233)가 하우징(1210) 측부에 형성된 하우징 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기판부(1235)는 경성 인쇄 회로 기판(Rigid PCB),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CB), 경연성 인쇄 회로 기판(Rigid Flexible PCB) 등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선 패턴이 있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는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에서 AA’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5d는 도 5a에서 BB’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5e는 도 5a에서 CC’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210)은 제1 하우징 측부(1211), 제2 하우징 측부(1212), 제3 하우징 측부(1213), 제4 하우징 측부(1214) 및 제5 하우징 측부(1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측부(1211)와 제2 하우징 측부(121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하우징 측부(1213)와 제4 하우징 측부(1214)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하우징 측부(1211)는 하우징(1210)에서 좌(또는 우)측에 위치하고, 제2 하우징 측부(1212)는 하우징(1210)에서 우(또는 좌)측에 위치하고, 제3 하우징 측부(1213)는 하우징(1210)에서 하부에 위치하고, 제4 하우징 측부(1214)는 하우징(1210)에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 측부(1211)와 제2 하우징 측부(1212)는 제3 하우징 측부(1213)와 제4 하우징 측부(1214) 사이에 위치하고, 제3 하우징 측부(1213) 및 제4 하우징 측부(1214)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측부(1211)와 제2 하우징 측부(121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측부(1213)와 제4 하우징 측부(1214)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5 하우징 측부(1215)는 제1 하우징 측부(1211)와 제2 하우징 측부(121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하우징 측부(1211) 및 제2 하우징 측부(1212)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제5 하우징 측부(1215)는 제3 하우징 측부(1213)와 제4 하우징 측부(1214) 사이에 위치하고, 제3 하우징 측부(1213) 및 제4 하우징 측부(1214)와 접할 수 있다.
하우징(1210)은 개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210)은 제5 하우징 측부(1215)와 마주보는 영역이 개구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10)은 무버 수용부(1219)를 포함할 수 있다. 무버 수용부(1219)는 제1 하우징 측부(1211) 내지 제5 하우징 측부(121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무버 수용부(1219)는 제1 하우징 측부(1211) 내지 제5 하우징 측부(121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그리고 무버 수용부(1219)에는 무버가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개구 영역을 통해 무버가 이동하여 하우징(1210)의 무버 수용부(1219)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버 등의 신뢰성이 개선되고 하우징(1210) 내로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무버는 제5 하우징 측부(1215)를 제외한 다른 하우징 측부(예컨대, 제1 하우징 측부 내지 제3 하우징 측부(1211 내지 1213))와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을 통해, 무버는 하우징(1210) 내에서 X축 또는 Y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 측부(1211)는 제1 하우징 홀(12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홀(1211a)에는 제1 코일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홀(1211a)에는 제1 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측부(1212)는 제2 하우징 홀(12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홀(1212a)에는 제2 코일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홀(1212a)에는 제2 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홀(1212a)은 제1 하우징 홀(1211a)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홀(1212a)은 제1 하우징 홀(1211a)과 크기, 위치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 홀(1211a) 내의 제1 코일과 제2 하우징 홀(1212a) 내의 제2 코일이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해 X축 틸트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3 하우징 측부(1213)는 제3 하우징 홀(12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홀(1213a)에는 제3 코일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하우징 홀(1213a)에는 제3 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제3 홀 센서는 제3 하우징 홀(1213a) 내에서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측부(1211) 내지 제3 하우징 측부(1213)는 추가적으로 돌기 및 홈(또는 홀)(sh)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기판부와의 결합력을 개선하거나,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 측부(1211) 내지 제3 하우징 측부(1213)는 돌기를 통해 기판부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 측부(1211) 내지 제3 하우징 측부(1213)에 배치된 각 코일과 기판부 간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유지하여,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측부(1211) 내지 제3 하우징 측부(1213)는 홈(또는 홀)에 의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 하우징 측부(1211) 내지 제3 하우징 측부(1213)는 상술함 홈(또는 홀)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 측부(1211)에 형성된 홈과 제2 하우징 측부(1212)에 형성된 홈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하우징 측부 간의 무게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 측부 간의 상이한 무게로 X축 틸트 또는 Y축 틸트가 일측 또는 일방향으로 집중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하우징 측부(1214)는 제4 하우징 홀(121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하우징 홀(1214a)은 후술하는 광학부재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4 하우징 홀(1214a)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광학부재로 전달되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4 하우징 홀(1214a)은 후술하는 무버 스토퍼와 제2 방향(Y축 방향) 또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로써, 무버 스토퍼를 통해 무버의 틸트의 제한을 두어 틸트 시 무버 내의 광학부재가 다른 하우징 측부와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각 구성요소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5 하우징 측부(1215)는 제1 홀(1215h1), 제2 홀(1215h2) 및 홈(OH, 도 5c)을 포함할 수 있다.
홈(OH, 도 5c)은 제5 하우징 측부(1215) 내측면에서 제5 하우징 측부(1215)의 제1 중심(C1)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5 하우징 측부(1215)의 제1 중심(C1)은 제5 하우징 측부(1215)의 무게 중심일 수 있다.
그리고 제5 하우징 측부(1215)의 제1 중심(C1)은 제5 하우징 측부(1215)의 외측면(1215a)을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각각 이등분하는 제1 가상선(VL1) 및 제2 가상선(VL2)의 교점일 수 있다.
제1 가상선(VL1)은 제5 하우징 측부(1215)에서 외측면(1215a)의 제3 모서리(M3)와 제4 모서리(M4)를 이등분하는 선일 수 있다. 제1 가상선(VL1)은 제2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2 가상선(VL2)은 제5 하우징 측부(1215)에서 외측면(12151a)의 제1 모서리(M1)와 제2 모서리(M2)를 이등분하는 선일 수 있다. 제2 가상선(VL2)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서리(M1)와 제2 모서리(M2)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모서리(M3)와 제4 모서리(M4)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홀(1215h1)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제2 홀(1215h2)은 복수 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홀(1215h1)과 제2 홀(1215h2)은 평면 상 형상이 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홀(1215h1)과 제2 홀(1215h2)은 형상이 원형일 수 있다.
제1 홀(1215h1)은 제2 홀(1215h2)보다 제1 중심(C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홀(1215h1)은 제2 홀(1215h2)보다 제1 중심(C1)과의 이격 거리가 클 수 있다. 예로, 제1 홀(1215h1)과 제1 중심(C1) 간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 거리(d1)는 제2 홀(1215h2)과 제1 중심(C1) 간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홀(1215h1)과 제1 중심(C1) 간의 이격 거리(d3)는 제2 홀(1215h1)과 제1 중심(C1) 간의 이격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이격 거리는 제1 홀(1215h1)과 제2 홀(1215h2)의 중심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격 거리가 최소 거리 또는 최소 거리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제1 홀(1215h1)은 반경(r1)이 제2 홀(1215h2)의 반경(r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틸트 시 제1 중심(C1)에 보다 인접한 제1 홀(1215h1)을 통해 하우징(1210)과 무버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한다. 이에, 무버에 대한 하우징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홀(1215h2)의 측면에는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마주보게 배치되는 돌출부(1215pr)가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1215pr)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5pr)는 제2 홀의 중심(HC2) 또는 제3 돌기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돌출부(1215pr)는 적어도 일부가 제3 돌기와 맞닿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연장부는 무버가 X축 틸트를 수행하면서 Y축 틸트가 발생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정확한 X축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5pr)는 제2 홀(1215h2)의 측면에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하우징 측부(1215)에서 제2 홀(1215h2)의 측면은 제2 홀(1215h2)에 의해 노출되는 노출면일 수 있다. 또한, 제2 홀(1215h2)의 측면은 제5 하우징 측부(1215)에서 평면(XY) 상으로 내측면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5pr)는 제2 홀(1215h2)의 측면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홀(1215h2)의 측면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가 돌출부(1215pr)를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 홀(1215h2)을 관통하는 제3 돌기가 Y축 틸트를 수행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1 홀(1215h1)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 홀(1215h1)의 측면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반경이 감소할 수 있다.
제1 홀(1215h1)의 측면은 제1 내측면(F1), 제2 내측면(F2), 제3 내측면(F3) 및 제4 내측면(F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면(F1)은 제1 홀(1215h1)의 중심(HC1)을 기준으로 최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측면(F1)은 제1 홀(1215h1)의 중심(HC1)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큰 측면일 수 있다. 이하에서, 홀의 중심은 원의 중심일 수 있으며, 홀의 형상에 따라 무게 중심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제2 내측면(F2)은 제1 내측면(F1)과 접하는 평탄면으로 제1 홀(1215h1)의 중심(HC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내측면(F2)은 후술하는 캡(CP)이 안착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3 내측면(F3)은 제2 내측면(F2) 및 제4 내측면(F4)과 접하는 면으로, 경사면일 수 있다. 실시예로, 제3 내측면(F3)은 하우징 내의 무버를 향해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제4 내측면(F4)은 제1 홀(1215h1)의 측면 중 제1 홀(1215h1)의 중심(HC1)으로부터 거리가 가장 작은 측면일 수 있다. 제4 내측면(F4)은 후술하는 제2 돌기와 가장 인접한 면일 수 있다.
또한, 제4 내측면(F4)은 제2 돌기와 적어도 일부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4 내측면(F4)과 제2 돌기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위치하고, 이격 공간에 의해 제2 돌기가 회전하여 무버가 X축 틸트 또는 Y축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4 내측면(F4)은 후술하는 제2 홀(1215h2)의 측면보다 무버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4 내측면(F4)은 제2 홀(1215h2)과 제3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내측면(F4)과 제2 돌기 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제2 돌기의 회전 반경을 증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캡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홈(OH)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5 하우징 측부(1215)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제1 돌기가 안착할 수 있다. 제1 돌기는 홈(OH)과 접하여 X축 틸트 및 Y축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제2 홀(1215h2)의 측면에는 돌출부(1215pr)가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1210) 또는 제5 하우징 측부(1215)는 돌출부(1215p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5pr)는 제2 홀(1215h2)의 측면에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하우징 측부(1215)에서 제2 홀(1215h2)의 측면은 제2 홀(1215h2)에 의해 노출되는 노출면일 수 있다. 또한, 제2 홀(1215h2)의 측면은 제5 하우징 측부(1215)에서 평면(XY) 상으로 내측면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5pr)는 제2 홀(1215h2)의 측면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3 돌기가 Y축 틸트 시 제2 홀(1215h)의 저면(F5)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돌출부(1215pr)와 접하는 제3 돌기가 Y축 틸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돌출부(1215pr)는 제3 돌기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5pr)는 제2 홀(1215h2)의 중심(HC2)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215pr)는 제2 홀(1215h2) 내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돌출부(1215pr)는 무버가 X축 틸트를 수행하면서 Y축 틸트가 수행되어 부정확한 틸트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정확한 X축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홀(1215h2)의 측면은 돌출부(1215pr)에 의해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홀(1215h2)의 저면(F5)과 돌출부(1215pr)의 측면(F6) 간의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15pra)의 단부면(F7)은 제3 돌기와 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단부면(F7)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15pra)는 제3 돌기를 향해 또는 제2 홀(1215h2)의 중심(HC2)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1215pra)와 접하는 제3 돌기가 Y축 틸트를 용이하게 수행하고, 틸트에 의해 돌출부(1215pr)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215pr)는 제2 홀(1215h2)의 측면에서 중앙에 위치하므로, 연장부(1215pra)의 단부면(F7)을 기준으로 돌출부(1215pr)의 측면과 제2 홀(1215h2)의 저면(F5)은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홀(1215h2)의 측면에서 돌출부(1215pr)를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은 제3 돌기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돌기는 X축 틸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제1 홀(1215h1)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홀(1215h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홀(1215h1)의 중심(HC1)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홀(1215h2)의 중심(HC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홀(1215h1)의 최대 직경은 제2 홀(1215h2)의 최대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홀(1215h1) 및 캡을 통한 틸트 반경을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제2 홀(1215h2) 및 제3 돌기와의 결합을 통해 하우징과 무버의 결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a는 실시예에 따른 무버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저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에서 DD’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6d는 도 6a에서 EE’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6e는 도 6a에서 FF’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e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무버는 홀더(1221), 캡(CP) 및 광학부재(1222)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재(1222)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홀더(1221)는 복수 개의 외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홀더(1221)는 제1 홀더 외측면(1221S1), 제2 홀더 외측면(1221S2), 제3 홀더 외측면(1221S3) 및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 외측면(1221S1)은 제2 홀더 외측면(1221S2)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더 외측면(1221S1)은 제2 홀더 외측면(1221S2)과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더 외측면(1221S1)은 상술한 제1 하우징 측부와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홀더 외측면(1221S2)은 상술한 제2 하우징 측부와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홀더 외측면(1221S1)은 제1 안착홈(1221S1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홀더 외측면(1221S2)은 제2 안착홈(1221S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홈(1221S1a)과 제2 안착홈(1221S2a)은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홈(1221S1a)에는 제1 요크 및 제1 마그넷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안착홈(1221S2a)에는 제2 요크 및 제2 마그넷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홀더 외측면(1221S3)은 제1 홀더 외측면(1221S1) 및 제2 홀더 외측면(1221S2)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홀더 외측면(1221S1) 및 제2 홀더 외측면(1221S2)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홀더 외측면(1221S3)은 제1 홀더 외측면(1221S1) 및 제2 홀더 외측면(1221S2)의 일측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면일 수 있다. 제3 홀더 외측면(1221S3)은 홀더(1221)에서 저면일 수 있다.
또한, 제3 홀더 외측면(1221S3)은 제3 안착홈(1221S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안착홈(1221S3a)에는 제3 요크, 제3 마그넷이 위치할 수 있다.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은 제1 홀더 외측면(1221S1)과 제2 홀더 외측면(1221S2)과 접하고, 제1 홀더 외측면(1221S1)과 제2 홀더 외측면(1221S2)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면일 수 있다. 또한,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은 제1 홀더 외측면(1221S1)과 제2 홀더 외측면(1221S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은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은 제1 돌기(PR1), 제2 돌기(PR2) 및 제3 돌기(PR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PR1), 제2 돌기(PR2) 및 제3 돌기(PR3)는 하우징 특히 제4 하우징 측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홀더(1221)는 광학부재(1222)가 안착하는 안착면(1221k)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1221k)은 경사면으로 홀더(122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홀더(1221)는 안착면(1221k) 상부에 턱부(미도시됨) 등을 포함하고, 광학부재(1222)의 돌기부(미도시됨)와 결합할 수도 있다.
제1 돌기(PR1)는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의 제2 중심(C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중심(C2)은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의 무게 중심일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PR1)는 상술한 홈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의 제2 중심(C2)은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을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각각 이등분하는 제3 가상선(VL3) 및 제4 가상선(VL4)의 교점일 수 있다.
제3 가상선(VL3)은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의 제7 모서리(M7)와 제8 모서리(M8)를 이등분하는 선일 수 있다. 제3 가상선(VL1)은 제2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4 가상선(VL4)은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의 제5 모서리(M5)와 제6 모서리(M6)를 이등분하는 선일 수 있다. 제4 가상선(VL4)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모서리(M5)와 제6 모서리(M6)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7 모서리(M7)와 제8 모서리(M8)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돌기(PR1)는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의 중심에 위치하여, 무버가 X축 틸트 또는 Y축 틸트를 수행하는 경우에 무게가 일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돌기(PR2)는 상술한 제1 홀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돌기(PR2)는 제1 돌기(PR1)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돌기(PR2)는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의 중심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PR2)는 복수 개로, 제1 돌기(PR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같이 제2 돌기(PR2)가 4개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복수 개의 제2 돌기(PR2)는 제3 가상선(LV3) 또는 제4 가상선(LV4)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돌기(PR1)를 기준으로 무버가 2축으로 틸트 시에 구조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캡(CP)은 제2 돌기(PR2)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캡(CP)은 홈을 포함하고, 홈을 통해 제2 돌기(PR2)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돌기(PR2)는 캡(CP)의 홈에 안착할 수 있다. 캡(CP)과 제2 돌기(PR2) 사이에 결합을 위한 접착부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PR2)는 제1 홀을 관통하여 캡(CP)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1221)와 하우징 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PR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홀과 이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캡(CP)은 제1 홀과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은 무버가 X축 틸트 또는 Y축 틸트를 용이하게 수행하게 한다.
또한, 제1 돌기(PR1) 및 제2 돌기(PR2)는 안착면(1221k)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돌기(PR1) 및 제2 돌기(PR2)는 광학부재(1222)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3 돌기(PR3)는 상술한 제2 홀에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3 돌기(PR3)는 복수 개일 수 있으나 도면과 같이 4개인 경우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3 돌기(PR3)는 제1 돌기(PR1) 및 제2 돌기(PR2)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기(PR3)는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의 중심(C2)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기(PR3)는 제2 돌기(PR2) 대비 제1 돌기(PR1)로부터 큰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3 돌기(PR3)와 제1 돌기(PR1) 간의 최소 거리(dd2)가 제2 돌기(PR2)와 제1 돌기(PR1) 간의 최소 거리(dd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3 돌기(PR3)는 안착면(1221k)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돌기(PR3)는 광학부재(1222)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돌기(PR3)는 광학부재(1222) 외측에서 제3 홀과 접하므로, 홀더(1221)의 진동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돌기(PR1)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L1)가 제2 돌기(PR2)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L2) 및 제3 돌기(PR3)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L3)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PR2)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L2)는 제3 돌기(PR3)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L3)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3 돌기(PR3)는 X축 틸트 또는 Y축 틸트 시에 제2 홀 내에서 이동하더라도 제2 홀에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즉,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PR2)의 직경(r3)은 제3 돌기(PR3)의 직경(r4)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돌기(PR2)는 캡(CP)과 용이하게 결합하여 홀더(1221)와 하우징 간의 분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PR2)는 인접한 제1 홀을 통해 하우징(1210)과 무버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여 무버에 대한 하우징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1221)는 상부에 제1 홀더 외측면(1221S1), 제2 홀더 외측면(1221S2) 및 제4 홀더 외측면(1221S4)을 따라 연장 배치되는 무버 스토퍼(1221p)를 포함할 수 있다. 무버 스토퍼(1221p)는 상술한 제4 하우징 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버 스토퍼(1221p)는 무버(1220)가 X축 틸트 또는 Y축 틸트 수행하는 경우 스토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광학부재 등의 소자가 틸트에 의해 다른 소자와 충돌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230)는 구동 마그넷(1231), 구동 코일(1232), 홀 센서부(1233), 요크부(1234) 및 기판부(1235)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구동 마그넷(1231)과 구동 코일(1232) 간의 전자기력에 의해 무버를 제1 축(X축 방향) 또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회전 제어함으로써 OIS 구현 시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 마그넷(1231)은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구동 마그넷(1231)은 제1 마그넷(1231a), 제2 마그넷(1231b) 및 제3 마그넷(123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1231a), 제2 마그넷(1231b) 및 제3 마그넷(1231c)은 각각 홀더(1221)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마그넷(1231a)은 제1 안착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마그넷(1231b)은 제2 안착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마그넷(1231c)은 제3 안착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코일(1232)은 복수 개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구동 코일(1232)은 제1 코일(1232a), 제2 코일(1232b) 및 제3 코일(123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232a)은 제1 마그넷(1231a)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일(1232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측부의 제1 하우징 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코일(1232a)에 전류가 흐르면 제1 마그넷(1231a)은 제1 코일(1232a)에서 생성된 자기장이 반영된 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1232b)은 제2 마그넷(1231b)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코일(1232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측부의 제2 하우징 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코일(1232b)에 전류가 흐르면 제2 마그넷(1231b)은 제2 코일(1232b)에서 생성된 자기장이 반영된 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1232a)은 제2 코일(1232b)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코일(1232a)은 제2 코일(1232b)과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마그넷(1231a)과 제2 마그넷(1231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마그넷(1231a)과 제2 마그넷(1231b)은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코일(1232a), 제2 코일(1232b), 제1 마그넷(1231a) 및 제2 마그넷(1231b)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코일(1232a)과 제1 마그넷(1231a) 간의 전자기력과 제2 코일(1232b)과 제2 마그넷(1231b) 간의 전자기력으로 X축 틸팅이 일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코일(1232c)은 제3 마그넷(1231c)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3 코일(1232c)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 측부의 제3 하우징 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코일(1232c)은 제3 마그넷(1231c)과 전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무버(1220) 를 하우징(1210)을 기준으로 Y축 틸팅을 수행할 수 있다.
홀 센서부(1233)는 복수 개의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로 제1 홀 센서(1233a)는 제1 코일(1232a)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 센서(1233a)는 제1 코일(1232a) 내측에서 자속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홀 센서(1233b)는 제2 코일(1232b)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홀 센서(1233b)는 제2 코일(1232b) 내측에서 자속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2 마그넷(1231a, 1231b)과 제1,2 홀 센서(1233a, 1233b) 간의 위치 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이를 통해 X축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홀 센서(1233c)는 제3 코일(1232c)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홀 센서(1233c)는 제3 코일(1232c) 내측에서 자속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3 마그넷(1231c)과 제3 홀 센서(1233c) 간의 위치 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이를 통해 Y축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요크부(1234)는 제1 요크(1234a), 제2 요크(1234b) 및 제3 요크(123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도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기판부(1235)는 제1 기판 측부(1235a), 제2 기판 측부(1235b) 및 제3 기판 측부(123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 측부(1235a)와 제2 기판 측부(1235b)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기판 측부(1235c)는 제1 기판 측부(1235a)와 제2 기판 측부(1235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판 측부(1235a)는 제1 코일(1232a)과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 측부(1235a)는 제1 홀 센서(1233a)와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 측부(1235b)는 제2 코일(1232b)과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 측부(1235b)는 제21 홀 센서(1233b)와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3 기판 측부(1235c)는 제3 코일(1232c)과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판 측부(1235c)는 제3 홀 센서(1233c)와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 측부(1235a), 제2 기판 측부(1235b) 및 제3 기판 측부(1235c)는 일체 또는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분만 아니라, 제1 기판 측부(1235a), 제2 기판 측부(1235b) 및 제3 기판 측부(1235c)에 제1 회로 소자(CE1), 제2 회로 소자(CE2)가 배치되고, 제1 기판 측부(1235a), 제2 기판 측부(1235b) 및 제3 기판 측부(1235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 소자(CE1) 및 제2 회로 소자(CE2)는 드라이버 IC, 센서(예컨대,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GG’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8a에서 HH’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d는 도 8a에서 II’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e는 도 8a에서 JJ’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f는 도 8a에서 KK’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제1 코일(1232a)은 제1 하우징 측부(1211)에 위치하고, 제1 마그넷(1231a) 및 제1 요크(1234a)는 제1 홀더 외측면의 제1 안착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코일(1232a)과 제1 마그넷(1231a)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마그넷(1231a)은 제1 코일(1232a)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제2 코일(1232b)은 제2 하우징 측부(1212)에 위치하고, 제2 마그넷(1231b) 및 제2 요크(1234b)는 제2 홀더 외측면(1221S2)의 제2 안착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2 코일(1232b)과 제2 마그넷(1231b)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마그넷(1231b)은 제2 코일(1232b)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1232a)과 제2 코일(1232b)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되고, 제1 마그넷(1231a)과 제2 마그넷(1231b)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홀더(1221)의 외측면(예컨대, 제1 홀더 외측면과 제2 홀더 외측면)으로 가해지는 전자기력이 제1, 2 안착홈과 제1, 2 마그넷의 위치에 의하여, 제1 홀더 외측면(S1221S1)과 제2 홀더 외측면(1221S2)으로 동일 축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더 외측면(S1221S1) 상에 가해지는 영역(예컨대, 전자기력이 가장 강한 부분)과 제2 홀더 외측면(S1221S1) 상에 가해지는 영역(예컨대, 전자기력이 가장 강한 부분)은 제2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한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X축 틸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홀 센서(1233a)와 제2 홀 센서(1233b)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부(1235)와 전기적 연결 및 결합을 위해 하우징(12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 홀더 외측면(1221S3)은 제3 하우징 측부(1213)와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코일(1232c)은 제3 하우징 측부(1213)의 제3 하우징 홀(1213a) 내에 위치하고, 제3 마그넷(1231c) 및 제3 요크(1234c)는 제3 홀더 외측면(1221S3)의 제3 안착홈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안착홈은 제3 하우징 홀(1213a)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안착홈 내의 제3 마그넷(1231c)과 제3 하우징 홀(1213a) 내의 제3 코일(1232c)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코일(1232c)과 제3 마그넷(1231c)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코일(1232c)과 제3 마그넷(1231c) 간의 전자기력의 세기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제3 마그넷과 제3 코일은 전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가 Y축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X축 틸트가 복수의 마그넷(제1, 2 마그넷(1231a, 1231b))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Y축 틸트는 제3 마그넷(1231c)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3 안착홈은 제1 안착홈 또는 제2 안착홈보다 넓이가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Y축 틸트를 X축 틸트와 유사한 전류 제어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제2 돌기(PR2)는 제1 홀(1215h1)을 관통하고, 단부에서 캡(CP)과 결합할 수 있다. 캡(CP)은 제2 돌기(PR2)의 단부를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캡(CP)은 제1 홀(1215h1)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캡(CP)은 홀더(1221)와 하우징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PR2)는 제1 홀(1215h1)의 측면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돌기(PR2)는 제4 내측면(F4)과 최소 이격 거리(dr1)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최소 이격 거리(dr1)를 통해 무버는 X축 틸트 및 Y축 틸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 하우징 측부는 각 홀더 외측면과 이격 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하우징 측부(1213)와 제3 홀더 외측면(1221S3)과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X축 틸트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캡(CP)은 제1 홀(1215h1)의 측면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캡(CP)과 제1 홀(1215h1)의 측면 사이에 이격 공간(da)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버는 X축 틸트 및 Y축 틸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격 공간(da)만큼 X축 틸트 및 Y축 틸트의 틸트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캡(CP)은 스토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e 및 도 8f를 참조하면, 제3 돌기(PR3)는 제2 홀(1215h2)을 관통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215pr)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홀(1215h2)의 측면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2 홀(1215h2)의 측면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가 돌출부(1215pr)를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홀(1215h2)의 측면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가 돌출부(1215pr)를 기준으로 이등분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215pr)는 단부에 제3 돌기(PR3)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1215pr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215pra)는 제2 홀(1215h2) 내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15pra)는 제2 홀(1215h2)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15pra)는 제3 돌기(PR3)와 맞닿아 가 X축 틸트를 수행하면서 Y축 틸트가 수행되어 부정확한 틸트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정확한 X축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15pra)의 단부면(F7)은 제3 돌기와 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단부면(F7)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부면(F7)과 접하는 제3 돌기가 Y축 틸트를 용이하게 수행하고, 틸트에 의해 돌출부(1215pr)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로, 돌출부(1215pr)는 제3 돌기(PR3)와 이격 거리(dr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dr2)에 의해, 제3 돌기(PR3)는 제2 홀(1215h2)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무버는 X축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Y축 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Y축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무버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홀더(122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마그넷(1231c)은 제3 코일(1232c)과 전자기력을 형성하여 제2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돌기(PR1)(또는 무버)를 틸팅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안착홈에 배치된 제3 마그넷(1231c)과 제3 하우징 측부에 배치된 제3 코일(1232c) 간의 제1 전자기력(F1A, F1B)에 의해 무버(1220)를 X축 방향으로 제1 각도(θ1) 회전(X1->X1a 또는 X1->X1b)하면서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전자기력(F1A, F1B)의 세기를 조절하여 무버(1220)를 제1 각도(θ1)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각도(θ1)는 ±1° 내지 ±4°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Y축 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X축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즉, Y축 방향으로 무버가 틸팅 또는 회전하면서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홀더(1221)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1231a) 및 제2 마그넷(1231b)은 각각이 제1 코일(1232a) 및 제2 코일(1232b)과 전자기력을 형성하여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돌기(PR1)(또는 무버)를 틸팅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홈에 배치된 제1, 2 마그넷(1231a, 1231b)과 제1, 2 하우징 측부에 배치된 제1, 2 코일(1232a, 1232b) 간의 제2 전자기력(F2A, F2B)에 의해 제1 돌기(PR1)(또는 무버)를 Y축 방향으로 제2 각도(θ2) 회전(Y1->Y1a 또는 Y1->Y1b)하면서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전자기력(F2A, F2B)의 세기를 조절하여 무버(1220)를 제2 각도(θ2)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각도(θ2)는 ±1° 내지 ±4°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제2 엑추에이터는 홀더 내의 구동 마그넷과 하우징에 배치되는 구동 코일 간의 전자기력에 의해 무버를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 제어함으로써, OIS 구현 시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3200)는 쉴드 캔(3210), 하우징(3220), 무버(3230), 회전부(3240), 구동부(3250)를 포함한다.
무버(3230)는 프리즘 홀더(3231)와 프리즘 홀더(3231)에 안착하는 프리즘(32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3240)는 틸트 플레이트(3241), 볼부(3242)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부(3250)는 구동 마그넷(3251), 구동 코일(3252), 홀 센서부(3253) 및 기판부(3254)를 포함한다.
쉴드 캔(3210)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3200)의 최외측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회전부(3240)와 구동부(3250)를 둘러쌀 수 있다.
이러한 쉴드 캔(3210)은 외부에서 발생한 전자기파를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240) 또는 구동부(3250)에서 오작동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하우징(3220)은 쉴드 캔(32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220)은 후술하는 기판부(3254)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220)은 쉴드 캔(3210)과 서로 끼워지거나 맞춰져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3220)은 제1 하우징 측부(3221), 제2 하우징 측부(3222), 제3 하우징 측부(3223), 제4 하우징 측부(3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측부(3221)와 제2 하우징 측부(322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하우징 측부(3223)와 제4 하우징 측부(3224)는 제1 하우징 측부(3221)와 제2 하우징 측부(3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 측부(3223)는 제1 하우징 측부(3221), 제2 하우징 측부(3222) 및 제4 하우징 측부(3224)와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하우징 측부(3223)는 하우징(3220)에서 저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저면은 제1 방향에서 일측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방향은 도면 상 X축 방향이고 제2 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도면 상 Y축 방향이며 제1 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제3 방향은 도면 상 Z축 방향이고, 제3 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모두 수직한 방향이다. 여기서, 제3 방향(Z축 방향)은 광축의 방향에 대응하며,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이며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에 의해 틸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 측부(3221)는 제1 하우징 홀(32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홀(3221a)에는 후술하는 제1 코일(3252a)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측부(3222)는 제2 하우징 홀(3222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 홀(3222a)에는 후술하는 제2 코일(3252b)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일(3252a)과 제2 코일(3252b)은 기판부(3254)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코일(3252a)과 제2 코일(3252b)은 기판부(32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전류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가 X축을 기준으로 틸팅할 수 있는 전자기력의 요소이다. 그리고 기판부(3254)는 하우징(3220)의 측면을 둘러싸고 홀 등을 통해 하우징(3220)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3 하우징 측부(3223)는 제3 하우징 홀(322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홀(3223a)에는 후술하는 제3 코일(3252c)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코일(3252c)은 기판부(3254)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코일(3252c)은 기판부(32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전류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가 Y축을 기준으로 틸팅할 수 있는 전자기력의 요소이다.
제4 하우징 측부(3224)는 결합홈(3224h, 도 12d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3224h)은 제4 하우징 측부(3224)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3224h)에는 결합부재(ME)가 안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ME)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결합부재(ME)는 금속 및 탄성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후술하는 틸트 플레이트와 서로 간의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220)과 틸트 플레이트(3241)는 결합부재(ME)와 볼부(3242)의 인력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220)은 제1 하우징 측부(3221) 내지 제4 하우징 측부(3224)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322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3225)에는 무버(3230)가 위치할 수 있다.
무버(3230)는 프리즘 홀더(3231)와 프리즘 홀더(3231)에 안착하는 프리즘(3232)을 포함한다.
프리즘 홀더(3231)는 프리즘(3232)과 함께 하우징(3220)의 수용부(3225)에 안착할 수 있다. 프리즘 홀더(3231)는 제1 하우징 측부(3221), 제2 하우징 측부(3222), 제3 하우징 측부(3223), 제4 하우징 측부(3224)에 각각 대응하는 제1 프리즘 외측면 내지 제4 프리즘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프리즘(3232)은 프리즘 홀더(3231)에 안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리즘 홀더(3231)는 안착면을 가질 수 있으며, 안착면은 수용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프리즘(3232)은 내부에 배치되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프리즘(3232)은 외부(예컨대,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카메라 모듈 내부로 반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리즘(3232)은 반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공간적 한계를 개선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 모듈은 두께가 최소화하면서 광 경로를 확장하여 높은 범위의 배율을 제공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나아가, 프리즘(3232)은 광학부재, 광학소자, 광학모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즘(3232)은 거울(mirror), 렌즈(lens)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회전부(3240)는 틸트 플레이트(3241) 및 볼부(3242)를 포함할 수 있다.
틸트 플레이트(3241)는 상술한 무버(3230) 및 하우징(3220)과 볼부(3242)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틸트 플레이트(3241)는 볼부(3242)를 통해 무버에 대한 제1,2 축 틸트를 수행하여, 광 경로의 변경(예로,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틸트 플레이트(3241)는 베이스, 베이스에서 무버를 향해 제1,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볼부(3242)는 제1 볼(3242a), 제2 볼(3242b)을 포함하고, 제1 볼(3242a)은 제1-1 볼(3242a1) 및 제1-2 볼(3242a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볼(3242b)은 제2-1 볼(3242b1) 및 제2-2 볼(3242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3242a)을 통해 틸트 플레이트(3241) 및 무버(3230)는 X축 틸트를 수행하고, 제2 볼(3242b)을 통해 무버(3230)는 Y축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3242a)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ME)와 인력을 형성하므로, 제1 볼(3242a)을 통해 회전부(3240) 및 무버(3230)는 제4 하우징 측부(3224)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무버(3230)는 하우징(3220) 내에서 각 하우징의 측벽과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이격을 통한 공간 내에서 무버(3230)가 2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볼(3242b)은 프리즘 홀더(3231)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 홈 내에 안착할 수 있다. 이에, 회전부(3240)와 무버(323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볼(3242a) 및 제2 볼(3242b)이 안착하는 홈(예컨대, 제1 홈, 제2 홈 등) 내에서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즉, 제1 볼(3242a) 및 제2 볼(3242b)과 홈 사이에 윤활제가 위치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동부(3250)는 구동 마그넷(3251), 구동 코일(3252), 홀 센서부(3253) 및 기판부(3254)를 포함한다.
구동 마그넷(3251)은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구동 마그넷(3251)은 제1 마그넷(3251a), 제2 마그넷(3251b) 및 제3 마그넷(325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3251a), 제2 마그넷(3251b) 및 제3 마그넷(3251c)은 각각 프리즘 홀더(3231)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그넷(3251a)과 제2 마그넷(3251b)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마그넷(3251c)은 프리즘 홀더(3231)의 외측면 중 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구동 코일(3252)은 복수 개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구동 코일(3252)은 제1 코일(3252a), 제2 코일(3252b) 및 제3 코일(325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3252a)은 제1 마그넷(3251a)과 대향할 수 있다. 이에, 제1 코일(3252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측부(3221)의 제1 하우징 홀(3221a)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3252b)은 제2 마그넷(3251b)과 대향할 수 있다. 이에, 제2 코일(3252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측부(3222)의 제2 하우징 홀(3222a)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일(3252a)은 제2 코일(3252b)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코일(3252a)은 제2 코일(3252b)과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1 마그넷(3251a)과 제2 마그넷(3251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마그넷(3251a)과 제2 마그넷(3251b)은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3252a), 제2 코일(3252b), 제1 마그넷(3251a) 및 제2 마그넷(3251b)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코일(3252a)과 제1 마그넷(3251a) 간의 전자기력과 제2 코일(3252b)과 제2 마그넷(3251b) 간의 전자기력으로 X축 틸팅이 일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코일(3252c)은 제3 마그넷(3251c)과 대향할 수 있다. 이에, 제3 코일(3252c)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 측부(3223)의 제3 하우징 홀(3223a)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코일(3252c)은 제3 마그넷(3251c)과 전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무버(3230) 및 회전부(3240)를 하우징(3220)을 기준으로 Y축 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X축 틸팅은 X축을 기준으로 틸트되는 것을 의미하며, Y축 틸팅은 Y축을 기준으로 틸트되는 것을 의미한다.
홀 센서부(3253)는 복수 개의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홀 센서부(3253)는 제1 홀 센서(3253a) 및 제2 홀 센서(325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 센서(3253a)는 제1 코일(3252a) 또는 제2 코일(3252b)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 센서(3253a)는 제1 코일(3252a) 또는 제2 코일(3252b) 내측에서 자속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2 마그넷(3251a, 3251b)과 제1 홀 센서(3253a) 간의 위치 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이를 통해 X축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홀 센서(3253b)는 제3 코일(3252c)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홀 센서(3253b)는 제3 코일(3252c) 내측에서 자속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3 마그넷(3251c)과 제2 홀 센서(3253b) 간의 위치 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이를 통해 Y축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기판부(3254)는 구동부(325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부(3254)는 구동 코일(3252), 홀 센서부(32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부(3254)는 구동 코일(3252), 홀 센서부(3253)와 SMT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부(3254)는 쉴드 캔(3210)과 하우징(3220) 사이에 위치하여, 쉴드 캔(3201) 및 하우징(3220)과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을 통해 구동 코일(3252)과 홀 센서부(3253)가 하우징(3220)의 외측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부(3254)는 경성 인쇄 회로 기판(Rigid PCB),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CB), 경연성 인쇄 회로 기판(RigidFlexible PCB) 등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선 패턴이 있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상면도이고, 도 12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12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220)은 제1 하우징 측부(3221), 제2 하우징 측부(3222), 제3 하우징 측부(3223) 및 제4 하우징 측부(3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측부(3221)와 제2 하우징 측부(322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하우징 측부(3223)와 제4 하우징 측부(3224)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하우징 측부(3221)는 하우징(3220)에서 좌(또는 우)측에 위치하고, 제2 하우징 측부(3222)는 하우징(3220)에서 우(또는 좌)측에 위치하고, 제3 하우징 측부(3223)는 하우징(3220)에서 하부에 위치하고, 제4 하우징 측부(3224)는 제1 하우징 측부(3221)와 제2 하우징 측부(3222) 사이 및 제3 하우징 측부(3223)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측부(3221)와 제2 하우징 측부(3222)는 제3 하우징 측부(3223)와 제4 하우징 측부(3224) 사이에 위치하고, 제3 하우징 측부(3223) 및 제4 하우징 측부(3224)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측부(3221)와 제2 하우징 측부(322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측부(3223)와 제4 하우징 측부(3224)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220)은 수용부(322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3225)는 제1 하우징 측부(3221) 내지 제4 하우징 측부(3224)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3225)는 제1 하우징 측부(3221) 내지 제5 하우징 측부(321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3225)에는 무버가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버 등의 신뢰성이 개선되고 하우징(3220) 내로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무버는 하우징 측부(예컨대, 제1 하우징 측부 내지 제3 하우징 측부(3211 내지 3213))와 이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격을 통해 무버는 하우징(3220) 내에서 X축 또는 Y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측부(3221)는 제1 하우징 홀(32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홀(3211a)에는 제1 코일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홀(3211a)에는 제1 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측부(3222)는 제2 하우징 홀(32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홀(3212a)에는 제2 코일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홀(3212a)에는 제2 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홀(3212a)은 제1 하우징 홀(3211a)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홀(3212a)은 제1 하우징 홀(3211a)과 크기, 위치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 홀(3211a) 내의 제1 코일과 제2 하우징 홀(3212a) 내의 제2 코일이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해 X축 틸트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3 하우징 측부(3223)는 제3 하우징 홀(32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홀(3213a)에는 제3 코일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하우징 홀(3213a)에는 제3 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제3 홀 센서는 제3 하우징 홀(3213a) 내에서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측부(3221) 내지 제3 하우징 측부(3223)는 추가적으로 돌기 및 홈(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기판부와의 결합력을 개선하거나,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무게를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경량화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 측부(3221) 내지 제3 하우징 측부(3223)는 돌기(미도시됨)를 통해 기판부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 측부(3221) 내지 제3 하우징 측부(3223)에 배치된 각 코일과 기판부 간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유지하여,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측부(3221) 내지 제3 하우징 측부(3223)는 상술함 홈(또는 홀)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 측부(3221)에 형성된 홈과 제2 하우징 측부(3222)에 형성된 홈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하우징 측부 간의 무게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 측부 간의 상이한 무게로 X축 틸트 또는 Y축 틸트가 일측 또는 일방향으로 집중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하우징 측부(3224)는 내측면(3224s)에 제1 홈(h1a, h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홈은 제1-1 홈(h1a), 제1-2 홈(h1b)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로,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은 제2 축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은 제2 축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은 제4 하우징 측부의 내측면(3224s)에 위치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은 각각의 중심(HC1', HC2')이 제1 방향(X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은 각각의 중심(HC1', HC2')이 제1 방향(X축 방향)과 동일 선(VL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1 홈(h1a)의 중심(HC1')과 제1-2 홈(h1b)의 중심(HC2')은 제1 축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제1-1 홈(h1a)의 중심(HC1')은 제1-2 홈(h1b)의 중심(HC2')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1 홈(h1a)의 중심(HC1')은 제4 하우징 측부(3224)의 내측면(3224IS)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 홈(h1b)의 중심(HC2')은 제4 하우징 측부(3224)의 내측면(3224IS)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1 홈(h1a) 내에는 제1-1 볼(3242a1)이 안착할 수 있다. 또한, 제1-2 홈(h1b) 내에는 제1-2 볼(3242a2)이 안착할 수 있다.
또한,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결합홈(3224h)과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부재(ME)와 제1-1 홈(h1a) 내의 제1-1 볼(3242a1)(또는 제1-2 홈(h1b) 내의 제1-2 볼(3242a2)) 간에 형성되는 인력이 증가하여 하우징(3220)과 회전부(또는 무버) 간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로,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결합홈(3224h)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은 결합홈(3224h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결합부재(ME)와 제1-1 홈(h1a) 내의 제1-1 볼(3242a1)(또는 제1-2 홈(h1b) 내의 제1-2 볼(3242a2)) 간에 형성되는 인력이 증가하여 하우징(3220)과 회전부(또는 무버) 간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3224h)은 제4 하우징 측부(3224)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나, 변형예로, 제4 하우징 측부(3224)의 내측에 결합홈이 위치할 수 있다. 즉, 결합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결합부재(ME)도 제4 하우징 측부(3224h)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변형예로, 결합홈이 제4 하우징 측부(3224)의 내측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측부(3221) 및 제2 하우징 측부(3222)는 제3 방향을 따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폭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측부(3221)는 제4 하우징 측부(3224)와 인접한 내측 영역에서의 폭(W2)이 제4 하우징 측부(3224)와 멀어지는 외측 영역에서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부(3240)의 틸트 플레이트(3241)가 수용부(3225)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회전부(3240)는 제2 볼을 통해 프리즘 홀더를 측면에서 가압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제2 하우징 측부(32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하우징 측부(3222)는 제4 하우징 측부(3224)와 인접한 내측 영역에서의 폭이 제4 하우징 측부(3224)와 멀어지는 외측 영역에서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예로, 틸트 플레이트의 베이스는 제3 하우징 홀(3223a)과 제4 하우징 측부(32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틸트 플레이트의 베이스는 제3 하우징 홀(3223a)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제3 하우징 홀(3223a) 내의 제3 코일과 제3 마그네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이 틸트 플레이트에 연결된 프리즘 홀더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측부(3222)는 제1 하우징 측부(3221)와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버의 사시도이고, 도 1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버의 저면도이고, 도 1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홀더의 저면도이고, 도 14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홀더의 일 측면도이고, 도 14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홀더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프리즘(3232)은 프리즘 홀더 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즘(3232)은 반사부로서 직각 프리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프리즘(3232)은 외측면 일부에 돌기부(3232a)를 가질 수 있다. 프리즘(3232)은 돌기부(3232a)를 통해 프리즘 홀더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3232)은 저면(3232b)에 프리즘 홀더의 안착면 상에 안착할 수 있다. 이에, 프리즘(3232)은 저면(3232b)이 프리즘 홀더의 안착면과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저면(3232b)은 프리즘 홀더의 안착과 동일하게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즘 홀더의 이동에 따라 프리즘이 이동함과 동시에 이동에 따라 프리즘(3232)이 프리즘 홀더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리즘 홀더(3231)는 프리즘(3232)이 안착하는 안착면(3231k)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3231k)은 경사면일 수 있다. 또한, 프리즘 홀더(3231)는 안착면(3231k) 상부에 턱부(323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즘 홀더(3231)에서 턱부(3231b)는 프리즘(3232)의 돌기부(3232a)와 결합할 수 있다.
프리즘 홀더(3231)는 복수 개의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리즘 홀더(3231)는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 제3 프리즘 외측면(3231S3), 제4 프리즘 외측면(3231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은 프리즘 홀더(3231)에서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은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과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은 외측의 제1 하우징 측부(3221)와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은 외측의 제2 하우징 측부(3222)와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은 제1 안착홈(3231S1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은 제2 안착홈(3231S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홈(3231S1a)과 제2 안착홈(3231S2a)은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홈(3231S1a)에는 제1 마그넷(3251a)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안착홈(3231S2a)에는 제2 마그넷(3251b)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넷(3251a)과 제2 마그넷(3251b)도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프리즘 외측면(S3231S1)과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2 안착홈과 제1, 2 마그넷의 위치에 의하여, 각 마그넷에 의해 유발된 전자기력이 제1 프리즘 외측면(S3231S1)과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으로 동일 축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프리즘 외측면(S3231S1) 상에 가해지는 영역(예컨대, 전자기력이 가장 강한 부분)과 제2 프리즘 외측면(S3231S1) 상에 가해지는 영역(예컨대, 전자기력이 가장 강한 부분)은 제2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한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X축 틸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안착홈(3231S1a)에는 제1 마그넷(3251a)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안착홈(3231S2a)에는 제2 마그넷(3251b)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은 제4 프리즘 외측면(3231S1)과 인접한 영역에서 제1 단차부(ST1)를 가질 수 있다.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에 대응하여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도 제4 프리즘 외측면(3231S1)과 인접한 영역에서 제2 단차부(ST2)를 가질 수 있다. 제1 단차부(ST1) 및 제2 단차부(ST2)에는 후술하는 틸트 플레이트의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가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리즘 홀더(3231)는 외측면에서 제2 홈(h2a, h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은 제2-1 홈(h2a) 및 제2-2 홈(h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은 제2-1 홈(h2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은 제2-2 홈(h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홈(h2a) 및 제2-2 홈(h2b)에는 제2-1 볼(3242b1) 및 제2-2 볼(3242b2)이 각각 안착할 수 있다. 또한, 제2-1 홈(h2a)은 제2-1 볼(3242b1)과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2 홈(h2b)은 제2-2 볼(3242b2)과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1 홈(h2a)의 중심(HC3')과 제2-2 홈(h2b)의 중심(HC4)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동일 선(VL2)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1 홈(h2a) 및 제2-2 홈(h2b)은 원형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1 볼(3242b1) 및 제2-2 볼(3242b2)이 제2-1 홈(h2a) 및 제2-2 홈(h2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1 홈(h2a) 및 제2-2 홈(h2b)은 제1 축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1 홈(h2a)은 제1 안착홈(3231S1a)(또는 제1 코일, 제1 마그넷)과 제4 하우징 측부(또는 베이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2 홈(h2b)은 제2 안착홈(3231S2a)(또는 제2 코일, 제2 마그넷)과 제4 하우징 측부(또는 베이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1 홈(h2a) 및 제2-2 홈(h2b)은 제1 안착홈(3231S1a) 및 제2 안착홈(3231S2a)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1 홈(h2a) 및 제2-2 홈(h2b)은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 및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 각각에서 틸트 플레이트의 베이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제3 마그넷 및 제3 코일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용이하게 무버를 틸트(예로, Y축 틸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틸트 플레이트의 제1,2 연장부가 제1 안착홈(3231S1a) 및 제2 안착홈(3231S2a)과 접할 정도로 제3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틸트 플레이트의 제1,2 연장부와 제1,2 코일(또는 제1,2 마그넷) 간의 인력(또는 척력)이 노이즈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1 홈(h2a) 및 제2-2 홈(h2b)은 상술한 제1-1 홈 및 제1-2 홈 각각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차부(ST1) 및 제2 단차부(ST2)에 의해 제2-1 홈(h2a) 및 제2-2 홈(h2b) 간의 거리(예컨대, 제2 방향으로 거리)가 감소하여 제2-1 볼 및 제2-2 볼을 통해 프리즘 홀더(3231)를 가압하는 힘이 증가할 수 있다. 이로써, 프리즘 홀더(3231)와 회전부(324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3 프리즘 외측면(3231S3)은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과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과 접하고,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과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의 일측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면일 수 있다. 또한, 제3 프리즘 외측면(3231S3)은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과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프리즘 외측면(3231S3)은 프리즘 홀더(3231)에서 저면일 수 있다.
제3 프리즘 외측면(3231S3)은 제3 안착홈(3231S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안착홈(3231S3a)에는 제3 마그넷(3251c)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프리즘 외측면(3231S3)은 제3 하우징 측부(3223)와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하우징 홀(3223a)은 제3 안착홈(3231S3a)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안착홈(3231S3a) 내의 제3 마그넷(3251c)과 제3 하우징 홀(3223a) 내의 제3 코일(3252c)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마그넷(3251c)과 제3 코일(3252c)은 전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가 Y축 틸팅할 수 있다.
또한, X축 틸트가 복수의 마그넷(제1, 2 마그넷(3251a, 3251b))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Y축 틸트는 제3 마그넷(3251c)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3 안착홈(3231S3a)은 제1 안착홀(3231S1a) 또는 제2 안착홀(3231S2a)보다 넓이가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Y축 틸트를 X축 틸트와 유사한 전류 제어로 수행할 수 있다.
프리즘 홀더(3231) 내측에는 상술한 바와 내측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리즘 홀더(3231)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최종적으로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무게를 감소하여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경량화 구현할 수 있다.
도 1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트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는 틸트 플레이트(3241) 및 볼부(324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볼부(32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볼(3242a) 및 제2 볼(3242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볼(3242a) 및 제2 볼(3242b)은 복수 개이며, 실시예에서 2개인 것으로 설명한다.
틸트 플레이트(3241)는 베이스(3241a), 제1 연장부(3241b), 제2 연장부(3241c)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241a)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3241a)는 제4 하우징 측부와 제4 프리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베이스(3241a)는 제4 하우징 측부 또는 제4 프리즘 외측면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241a)는 외측면(3241OS)에 배치되는 제1-1 플레이트홈(3241Osh1) 및 제1-2 플레이트홈(3241Os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플레이트홈(3241OSh1) 및 제1-2 플레이트홈(3241OSh2)은 제1 방향(또는 제2 축)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1 플레이트홈(3241OSh1) 및 제1-2 플레이트홈(3241OSh2)은 제1 방향(또는 제2 축)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플레이트홈(3241OSh1) 및 제1-2 플레이트홈(3241OSh2) 각각은 제1-1 볼(3242a1) 및 제1-2 볼(3242a2)이 안착할 수 있다. 또한, 제1-1 플레이트홈(3241OSh1) 및 제1-2 플레이트홈(3241OSh2)은 제1 방향(또는 제2 축)으로 제1-1 볼(3242a1) 및 제1-2 볼(3242a2)과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1 볼(3242a1) 및 제1-2 볼(3242a2)과 틸트 플레이트(3241) 간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1 플레이트홈(3241OSh1) 및 제1-2 플레이트홈(3241OSh2) 각각은 상술한 제1-1 홈 및 제1-2 홈과 대응하게 배치되며 제3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베이스(3241a)의 외측면(3241OS)은 제1 모서리(E1) 내지 제4 모서리(E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서리(E1)는 제2 모서리(E2)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모서리(E3)는 제4 모서리(E4)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서리(E1) 및 제2 모서리(E2)는 제3 모서리(E3)와 제4 모서리(E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모서리(E3) 및 제4 모서리(E4)는 제1 모서리(E1)와 제2 모서리(E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제2-1 플레이트홈(3241bh) 및 제2-2 플레이트홈(3241ch)은 제1 수직선(VL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1 플레이트홈(3241OSh1) 및 제1-2 플레이트홈(3241OSh2)은 제2 수직선(VL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볼(3242a) 및 제2 볼(3242b)을 통한 2축 틸트가 일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직선(VL3)은 제1 모서리(E1)와 제2 모서리(E2)를 이등분하고 제2 방향(또는 제1 축)과 평행한 선이다. 제2 수직선(VL4)은 제3 모서리(E3)와 제4 모서리(E4)를 이등분하고 제1 방향(또는 제2 축)과 평행한 선이다.
또한, 베이스는 금속 및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1,2 연장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로 인해 틸트 플레이트(3241)와 전술한 결합부재 간의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연장부(3241b)는 베이스(3241a)의 일측에서 무버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연장부(3241b)는 베이스(3241a)의 제1 모서리(E1)와 접하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241b)는 프리즘 홀더의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241b)는 프리즘 홀더의 제1 프리즘 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단차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 연장부(3241b)는 적어도 일부가 프리즘 홀더와 제2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241b)는 내측면(3241bIS)에 형성된 제2-1 플레이트홈(3241bh)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플레이트홈(3241bh)에는 제2-1 볼(3242b1)이 안착할 수 있다.
제2 연장부(3241c)는 베이스(3241a)의 타측에서 무버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연장부(3241c)는 베이스(3241a)의 제2 모서리(E2)와 접하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241c)는 프리즘 홀더의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241c)는 프리즘 홀더의 제2 프리즘 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2 단차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2 연장부(3241c)는 적어도 일부가 프리즘 홀더와 제2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241c)는 내측면(3241cIS)에 형성된 제2-2 플레이트홈(3241ch)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 플레이트홈(3241ch)에는 제2-2 볼(3242b2)이 안착할 수 있다.
제1 연장부(3241b) 및 제2 연장부(3241c)는 금속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장부(3241b)는 제2-1 플레이트홈(3241bh) 내의 제2-1 볼(3242b1)을 내측(예로, 무버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3241c)는 제2-2 플레이트홈(3241ch) 내의 제2-2 볼(3242b2)을 내측(예로, 무버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제1 연장부(3241b) 및 제2 연장부(3241c)는 제2-1 볼(3242b1) 및 제2-2 볼(3242b2)을 통해 무버를 가압하므로, 틸트 플레이트(3241)는 무버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241a)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길이(L1)가 제1 연장부(3241b) 또는 제2 연장부(3241c)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길이(L2)와 같거나 상이할 수 잇다.
또한, 제2-1 플레이트홈(3241bh) 및 제2-2 플레이트홈(3241ch)은 제2 방향(제1 축)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1 볼(3242b1) 및 제2-2 볼(3242b2)은 프리즘 홀더의 외측면 상에 동일한 축(예로, 제1 축) 상으로 힘을 가하여 프리즘 홀더의 신뢰성을 개선하고 무버의 틸트에 대한 저항력이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에서 동일하게 가해지게 한다.
도 1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16b는 도 16a에서 LL'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6c는 도 16a에서 MM'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제1 코일(3252a)은 제1 하우징 측부(3221)에 위치하고, 제1 마그넷(3251a)은 프리즘 홀더(3231)의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 코일(3252a)과 제1 마그넷(3251a)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1 마그넷(3251a)은 제1 코일(3252a)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3252b)은 제2 하우징 측부(3222)에 위치하고, 제2 마그넷(3251b)은 프리즘 홀더(3231)의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2 코일(3252b)과 제2 마그넷(3251b)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2 마그넷(3251b)은 제2 코일(3252b)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3252a)과 제2 코일(3252b)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되고, 제1 마그넷(3251a)과 제2 마그넷(3251b)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프리즘 홀더의 외측면(제1 프리즘 외측면 및 제2 프리즘 외측면)에 가해지는 전자기력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평행 축 상에 위치하여 X축 틸트가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1 볼(3242a1)(또는 제1-2 볼)은 제4 하우징 측부의 제1-1 홈(h1a)(또는 제1-2 홈)과 접하여, X축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제1-1 볼(3242a1)(또는 제1-2 볼)은 X축 틸트의 기준축(또는 회전 축)일 수 있다. 이 경우, 틸트 플레이트(3241) 및 무버(3230)가 좌우로 이동(X축 틸트)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측부(3221)는 제1 프리즘 외측면(3231S1)과 이격 거리(DW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 측부(3222)는 제2 프리즘 외측면(3231S2)과 이격 거리(DW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DW1, DW2)에 의해, 하우징은 내부에서 무버가 X축 틸트를 수행할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홀 센서(325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부(3254)와 전기적 연결 및 결합을 위해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 코일(3252c)은 제3 하우징 측부(3223)에 위치하고, 제3 마그넷(3251c)은 프리즘 홀더(3231)의 제3 프리즘 외측면(3231S3)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코일(3252c)과 제3 마그넷(3251c)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코일(3252c)과 제3 마그넷(3251c) 간의 전자기력의 세기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4 하우징 측부(3224)에서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 사이에 결합홈(3224h)이 위치할 수 있다. 결합홈(3224h)은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과 제3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결합홈(3224h)은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일부 중첩되어 결합부재(ME)와 틸트 플레이트(3241) 간의 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홈(3224h)은 제4 하우징 측부(3224)에서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과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홈(3224h)은 제4 하우징 측부(3224)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제1-1 홈(h1a) 및 제1-2 홈(h1b) 내의 제1-1 볼(3242a1) 및 제1-2 볼(3242a2)을 통한 X축 틸트를 방해하는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결합부재(ME)에 의한 자력 등이 제1 마그넷(3251a), 제2 마그넷(3251b) 및 제3 마그넷(3251c)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1 볼(3242a1)(또는 제1-2 볼)은 제4 하우징 측부의 제1-1 홈(h1a)(또는 제1-2 홈)과 접하여, X축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제1-1 볼(3242a1)(또는 제1-2 볼)은 X축 틸트의 기준축(또는 회전 축)일 수 있다. 이 경우, 틸트 플레이트(3241) 및 무버(3230)가 좌우로 이동(X축 틸트)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3250)는 구동 마그넷(3251), 구동 코일(3252), 홀 센서부(3253) 및 기판부(3254)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마그넷(3251)은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마그넷(3251a), 제2 마그넷(3251b) 및 제3 마그넷(325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3251a), 제2 마그넷(3251b) 및 제3 마그넷(3251c)은 각각 프리즘 홀더(3231)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코일(3252)은 복수 개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구동 코일(3252)은 제1 코일(3252a), 제2 코일(3252b) 및 제3 코일(325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3252a)은 제1 마그넷(3251a)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 코일(3252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측부(3221)의 제1 하우징 홀(3221a)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3252b)은 제2 마그넷(3251b)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2 코일(3252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측부(3222)의 제2 하우징 홀(3222a)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구동 마그넷(3251)과 구동 코일(3252) 간의 전자기력에 의해 무버(3230)를 제1 축(X축 방향) 또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회전 제어함으로써 OIS 구현 시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3220)과 무버(3230)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부(3240)의 틸트 플레이트(3241)를 통해, OIS 구현함으로써 엑추에이터의 사이즈 제한을 해소하여 초슬림, 초소형의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기판부(3254)는 제1 기판 측부(3254a), 제2 기판 측부(3254b) 및 제3 기판 측부(325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 측부(3254a)와 제2 기판 측부(3254b)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기판 측부(3254c)는 제1 기판 측부(3254a)와 제2 기판 측부(3254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 측부(3254a)는 제1 하우징 측부와 쉴드 캔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기판 측부(3254b)는 제2 하우징 측부와 쉴드 캔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기판 측부(3254c)는 제3 하우징 측부와 쉴드 캔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기판부(3254)의 저면일 수 있다.
제1 기판 측부(3254a)는 제1 코일(3252a)과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 측부(3254a)는 제1 홀 센서(3253a)와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판 측부(3254b)는 제2 코일(3252b)과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 측부(3254b)는 제1 홀 센서와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3 기판 측부(3254c)는 제3 코일(3252c)과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판 측부(3254c)는 제2 홀 센서(3253b)와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8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18b는 도 18a에서 NN’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8c는 도 18b에서 PP'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8d 및 도 18e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1축 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e를 참조하면, Y축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프리즘 홀더(323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마그넷(3251c)은 제3 코일(3252c)과 전자기력을 형성하여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무버(3230)를 틸팅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틸트 플레이트(3241)의 제2-1 볼(3242b1) 및 제2-2 볼(3242b2)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무버(3230)를 가압하므로, 틸트 플레이트(3241)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무버는 틸트 플레이트(3241)의 제2-1 볼(3242b1) 및 제2-2 볼(3242b2)을 기준축(또는 회전축)으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회전 또는 틸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안착홈에 배치된 제3 마그넷(3251c)과 제3 기판 측부 상에 배치된 제3 코일(3252c) 간의 제1 전자기력(F1A, F1B)에 의해 무버(3230)를 X축 방향으로 제1 각도(θ1) 회전(X1->X1a)하면서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 안착홈에 배치된 제3 마그넷(3251c)과 제3 기판 측부 상에 배치된 제3 코일(3252c) 간의 제1 전자기력(F1A, F1B)에 의해 무버(3230)를 X축 방향으로 제1 각도(θ1)로 회전(X1->X1b)하면서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각도(θ1)는 ±1° 내지 ±3°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는 도 18a에서 OO’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2축 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0b를 참조하면, Y축 방향으로 무버(3230)가 틸팅 또는 회전하면서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프리즘 홀더(3231)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3251a) 및 제2 마그넷(3251b)은 각각이 제1 코일(3252a)및 제2 코일(3252b)과 전자기력을 형성하여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틸트 플레이트(3241) 및 무버(3230)를 틸팅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틸트 플레이트(3241)의 제1-1 볼(3242a1) 및 제1-2 볼(3242a2)은 이격되고 하우징과 무버 사이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볼(3242a1) 및 제1-2 볼(3242a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틸트 플레이트(3241)는 무버와 함께 틸트 플레이트(3241) 제2-1 볼(3242b1) 및 제2-2 볼(3242b2)을 기준축(또는 회전축)으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 또는 틸팅할 수 있다.
제1 안착홈에 배치된 제1, 2 마그넷(3251a, 3251b)과 제1, 2 기판 측부 상에 배치된 제1, 2 코일(3252a, 3252b) 간의 제2 전자기력(F2A, F2B)에 의해 무버(3230) 및 틸트 플레이트(3241)를 Y축 방향으로 제2 각도(θ2) 회전(Y1->Y1a)하면서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홈에 배치된 제1, 2 마그넷(3251a, 3251b)과 제1, 2 기판 측부 상에 배치된 제1, 2 코일(3252a, 3252b) 간의 제2 전자기력(F2A, F2B)에 의해 무버(3230)를 Y축 방향으로 제2 각도(θ2) 회전(Y1->Y1b)하면서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각도(θ2)는 ±1° 내지 3°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프리즘 홀더 내의 구동 마그넷과 하우징에 배치되는 구동 코일 간의 전자기력에 의해 무버(3230)를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 제어함으로써, OIS 구현 시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Y축 틸트'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회전 또는 틸트하는 것을 의미하고, 'X축 틸트'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 또는 틸트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F또는 Zoom용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4a는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4b는 도 24a에 도시된 제1 렌즈 어셈블리에서 일부 구성이 제거된 사시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F또는 Zoom용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며,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는(2100)은 하우징(2020)과, 하우징(2020) 외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2040)과 구동부(2142) 및 제3 렌즈 어셈블리(2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도 21에서 하우징(2020)과 회로기판(2040)이 생략된 사시도이며, 도 2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2100)는 제1 가이드부(2210), 제2 가이드부(2220), 제1 렌즈 어셈블리(2110), 제2 렌즈 어셈블리(2120), 구동부(2141), 구동부(21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41)와 구동부(2142)는 코일 또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141)와 구동부(2142)가 코일을 포함하는 경우, 구동부(2141)는 제1 코일(2141b)와 제1 요크(2141a)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부(2142)는 제2 코일(2142b)와 제2 요크(214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구동부(2141)와 구동부(2142)가 마그넷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2100)는 하우징(2020), 제1 가이드부(2210), 제2 가이드부(2220), 제1 렌즈 어셈블리(2110), 제2 렌즈 어셈블리(2120), 제3 렌즈 어셈블리(2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2100)는 하우징(2020)과, 하우징(202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2210)와, 하우징(202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부(2220)와, 제1 가이드부(2210)와 대응되는 제1 렌즈 어셈블리(2110)와, 제2 가이드부(2220)와 대응되는 제2 렌즈 어셈블리(2120)와, 제1 가이드부(2210)와 제1 렌즈 어셈블리(211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볼(2117)(도 24a 참조) 및 제2 가이드부(2220)와 제2 렌즈 어셈블리(2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광축 방향으로 제1 렌즈 어셈블리(2110) 앞에 배치되는 제3 렌즈 어셈블리(2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와 도 23을 참조하면, 실시예는 하우징(2020)의 제1 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2210)와, 하우징(2020)의 제2 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가이드부(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10)는 제1 렌즈 어셈블리(2110)와 하우징(2020)의 제1 측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20)는 제2 렌즈 어셈블리(2120)와 하우징(2020)의 제2 측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20)의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2020) 내에 정밀하게 수치 제어된 제1 가이드부(2210)와 제2 가이드부(2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렌즈 어셈블리가 구동됨에 따라 마찰 토크를 감소시켜 마찰 저항을 저감함으로써 주밍(zooming) 시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주밍(zooming) 시, 마찰 토크를 최소화하면서도 렌즈의 디센터(decent)나 렌즈 틸트(tilt), 렌즈군과 이미지센서의 중심축이 얼라인 되지 않는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적 기술적 효과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자체에 가이드레일을 배치하지 않고, 하우징(2020)과 별도 형성되어 조립되는 제1 가이드부(2210), 제2 가이드부(2220)를 별도로 채용함에 따라 사출 방향에 따라 구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특별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2210), 제2 가이드부(2220)는 X축으로 사출되어 사출되는 길이가 하우징(2020)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가이드부(2210), 제2 가이드부(2220)에 레일이 배치된 경우 사출 시 구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레일의 직선이 틀어질 가능성이 낮은 기술적 효과가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4a는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2110)의 사시도이며, 도 24b는 도 24a에 도시된 제1 렌즈 어셈블리(2110)에서 일부 구성이 제거된 사시도이다.
잠시 도 23을 참조하면, 실시예는 제1 가이드부(2210)를 따라 이동하는 제1 렌즈 어셈블리(2110)와, 제2 가이드부(2220)를 따라 이동하는 제2 렌즈 어셈블리(2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4a를 참조하면, 제1 렌즈 어셈블리(2110)는 제1 렌즈(2113)가 배치되는 제1 렌즈 배럴(2112a)과 구동부(2116)가 배치되는 제1 구동부 하우징(2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배럴(2112a)과 제1 구동부 하우징(2112b)은 제1 하우징일 수 있고, 제1 하우징은 배럴 또는 경통 형상일 수 있다. 구동부(2116)는 구동 마그넷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코일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렌즈 어셈블리(2120)는 제2 렌즈(미도시)가 배치되는 제2 렌즈 배럴(미도시)과 구동부(미도시)가 배치되는 제2 구동부 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배럴(미도시)과 제2 구동부 하우징(미도시)은 제2 하우징일 수 있고, 제2 하우징은 배럴 또는 경통 형상일 수 있다. 구동부는 구동 마그넷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코일이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부(2116)는 두 개의 제1 레일(2212)과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는 단일 또는 복수의 볼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제1 가이드부(2210)와 제1 렌즈 어셈블리(211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볼(2117) 및 제2 가이드부(2220)와 제2 렌즈 어셈블리(2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제1 볼(2117)은 제1 구동부 하우징(2112b)의 상측에 배치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제1-1 볼(2117a)과 제1 구동부 하우징(2112b)의 하측에 배치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제1-2 볼(2117b)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볼(2117) 중 제1-1 볼(2117a)은 제1 레일(2212) 중 하나인 제1-1 레일(2212a)을 따라 이동하고, 제1 볼(2117) 중 제1-2 볼(2117b)은 제1 레일(2212) 중 다른 하나인 제1-2 레일(221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가이드부가 제1-1 레일과 제1-2 레일을 구비함으로써, 제1-1 레일과 제1-2 레일이 제1 렌즈 어셈블리(2110)를 가이드함으로써 제1 렌즈 어셈블리(2110)가 이동 시 제2 렌즈 어셈블리(2110)와 광축 얼라인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24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2110)는 제1볼(2117)이 배치되는 제1 어셈블리 홈(2112b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2120)는 제2 볼이 배치되는 제2 어셈블리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어셈블리(2110)의 제1 어셈블리 홈(2112b1)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이때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제1 어셈블리 홈(2112b1) 중 두 개의 제1 어셈블리 홈(2112b1) 사이의 거리는 제1 렌즈 배럴(2112a)의 두께보다 길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2110)의 제1 어셈블리 홈(2112b1)은V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어셈블리(2120)의 제2 어셈블리 홈(미도시)은 V형상일 수 있다. 제1 렌즈 어셈블리(2110)의 제1 어셈블리 홈(2112b1)은 V형상 외에 U형상 또는 제1 볼(2117)과 2점 또는 3점에서 접촉하는 형상 일 수 있다. 제2 렌즈 어셈블리(2120)의 제2 어셈블리 홈(미도시)은 V형상 외에 U형상 또는 제2 볼과 2점 또는 3점에서 접촉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23과 도 24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2210), 제1볼(2117) 및 제1 어셈블리 홈(2112b1)은 제1 측벽에서 제2 측벽을 향하는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10), 제1 볼(2117) 및 제1 어셈블리 홈(2112b1)은 제1 측벽에서 제2 측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에서 제3 렌즈 어셈블리(2130)의 사시도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3 렌즈 어셈블리(2130)는 제3 하우징(2021), 제3 배럴 및 제3 렌즈(213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렌즈 어셈블리(2130)는 제3 배럴 상단에 배럴부 리세스(2021r)를 구비됨으로써 제3 렌즈 어셈블리(2130)의 제3 배럴의 두께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으며, 사출물의 량을 줄여서 수치관리의 정확도를 높임일 수 있는 복합적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3 렌즈 어셈블리(2130)는 제3 하우징(2021)에 하우징 리브(2021a)와 하우징 리세스(2021b)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렌즈 어셈블리(2130)는 제3 하우징(2021)에 하우징 리세스(2021b)를 구비함으로써 사출물의 량을 줄여서 수치관리의 정확도를 높임과 동시에 제3 하우징(2021)에 하우징 리브(2021a)를 구비하여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복합적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26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이동단말기(1500)는 후면에 제공된 카메라 모듈(1000), 플래쉬모듈(1530), 자동초점장치(15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이미지 촬영 기능 및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1000)은 이미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촬영 모드 또는 화상 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소정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도 카메라(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AF 또는 줌 기능과 함께 OIS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 모듈에 의해 AF, 줌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플래쉬모듈(1530)은 내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쉬모듈(1530)은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작동 또는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발광부로서 표면 광 방출 레이저 소자의 패키지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카메라 모듈(1000)의 이미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이 저하되는 조건, 예컨대 10m 이하의 근접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VCSEL)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포토 다이오드와 같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예를들어, 도 27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이 적용된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7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FR), 소정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는 카메라센서(20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2000)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이 적용된 카메라 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의 차량(700)은, 전방 영상 또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센서(2000)를 통해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 미식별 상황을 판단하고 미식별시 가상 차선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센서(2000)는 차량(700)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프로세서(미도시)는 이러한 전방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분석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센서(2000)가 촬영한 영상에 차선, 인접차량, 주행방해물, 및 간접 도로 표시물에 해당하는 중앙 분리대, 연석, 가로수 등의 오브젝트가 촬영된 경우, 프로세서는 이러한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영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카메라센서(2000)를 통해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 정보를 더 보완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영상에 촬영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센서(200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센서(200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센서(2000)는 오브젝트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차량(70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등의 정보를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무버;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무버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돌기; 상기 제1 돌기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상기 제2 돌기보다 더 큰 제3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면과 대응하는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가 안착하는 홈; 상기 제2 돌기가 관통하는 제1 홀; 및 상기 제3 돌기가 관통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의 측면은 상기 제1 홀과 이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홀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돌기를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홀의 측면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돌기와 접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중첩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곡률을 갖고 상기 제2 홀의 중심을 향해 볼록한 카메라 엑추에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버는 상기 제2 돌기의 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돌기가 안착하는 홈을 포함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제1 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홀의 측면과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측면이 상기 제1 홀의 중심으로부터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1 내측면, 상기 제1 내측면과 접하고 상기 제1 홀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면, 상기 제2 내측면과 접하고 상기 무버를 향해 경사진 제3 내측면; 및 상기 제2 돌기와 가장 인접한 제4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내측면은 상기 제2 홀의 측면보다 상기 무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반경이 상기 제2 홀의 반경보다 크고,
    상기 제2 돌기는 직경이 상기 제3 돌기의 직경보다 큰 카메라 엑추에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 마그넷 및 구동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마그넷은 제1 마그넷, 제2 마그넷, 및 제3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코일은 제1 코일, 제2 코일 및 제3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2 마그넷은 상기 무버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무버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마그넷은 상기 무버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코일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무버;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무버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돌기; 상기 제1 돌기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상기 제2 돌기보다 더 큰 제3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면과 대응하는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가 안착하는 홈; 상기 제2 돌기가 관통하는 제1 홀; 및 상기 제3 돌기가 관통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의 측면은 상기 제1 홀과 이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홀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돌기와 맞닿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엑추에이터.
PCT/KR2020/016561 2019-11-29 2020-11-23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1107525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56,704 US20230171475A1 (en) 2019-11-29 2020-11-23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CN202080082974.2A CN114761870B (zh) 2019-11-29 2020-11-23 相机致动器和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
EP20894383.7A EP4067990A4 (en) 2019-11-29 2020-11-23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WITH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000 2019-11-29
KR1020190157000A KR20210067419A (ko) 2019-11-29 2019-11-29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9-0169845 2019-12-18
KR1020190169845A KR20210078104A (ko) 2019-12-18 2019-12-18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525A1 true WO2021107525A1 (ko) 2021-06-03

Family

ID=7612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561 WO2021107525A1 (ko) 2019-11-29 2020-11-23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71475A1 (ko)
EP (1) EP4067990A4 (ko)
CN (1) CN114761870B (ko)
WO (1) WO202110752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857B1 (ko) * 2017-06-12 2018-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901705B1 (ko) * 2016-10-13 2018-09-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20180137278A (ko) * 2017-06-16 2018-1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90004121A (ko) * 2017-07-03 2019-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90119832A (ko) * 2018-04-13 2019-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4261A (ja) * 1993-03-15 1994-11-25 Nikon Corp 焦点検出装置のレンズ固定構造
JP2006133281A (ja) * 2004-11-02 2006-05-25 Sharp Corp 反射面揺動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
CN116389865A (zh) * 2014-12-17 2023-07-04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模块、相机模块和光学装置
KR102067069B1 (ko) * 2017-06-16 2020-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7021434B2 (ja) * 2018-02-05 2022-02-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20243855A1 (zh) * 2019-06-01 2020-12-1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组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05B1 (ko) * 2016-10-13 2018-09-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1892857B1 (ko) * 2017-06-12 2018-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137278A (ko) * 2017-06-16 2018-1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90004121A (ko) * 2017-07-03 2019-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90119832A (ko) * 2018-04-13 2019-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67990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7990A4 (en) 2024-01-10
US20230171475A1 (en) 2023-06-01
CN114761870B (zh) 2023-10-24
CN114761870A (zh) 2022-07-15
EP4067990A1 (en)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07524A1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1020862A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WO2020213994A1 (ko) 카메라 모듈
WO2020076112A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0218884A1 (en) Camera module and camera apparatus including same
WO2021015545A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WO2021015482A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장치
WO2020071852A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0209598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WO2020231143A1 (en) Camera module and camera apparatus including same
WO2020096257A1 (ko) 카메라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0076111A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0101232A1 (ko) 카메라 모듈
WO2021025518A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장치
WO2022086158A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1230557A1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WO2021015481A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WO2021071277A1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1221410A1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1187773A1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WO2020231110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WO2021107525A1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1221427A1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WO2022234958A1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2039463A1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43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943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