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832A -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832A
KR20190119832A KR1020180043277A KR20180043277A KR20190119832A KR 20190119832 A KR20190119832 A KR 20190119832A KR 1020180043277 A KR1020180043277 A KR 1020180043277A KR 20180043277 A KR20180043277 A KR 20180043277A KR 20190119832 A KR20190119832 A KR 20190119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lens
disposed
suppor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681B1 (ko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681B1/ko
Priority to PCT/KR2019/003693 priority patent/WO2019198956A1/ko
Priority to US17/044,832 priority patent/US11496657B2/en
Publication of KR2019011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0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2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scanning movement of lens or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마주보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1 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선형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과, 외부 광이 입사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와 마주보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반사 부재와 그리고, 상기 반사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제1 회전 축과,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회전 축에 수직한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제1 이동부재가 연결되고 타측에 제2 이동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1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의 카메라에는 촬영 대상의 광학 정보가 렌즈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고,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이 때, 광학적인 설계 사양인 화각에 의하여 이미지의 가로/세로 사이즈가 결정된다.
화각 밖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 사용자는 첫 번째 촬영 후, 휴대폰 자체를 회전시켜 두 번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휴대폰을 회전 시킨 후 촬영하면, 이전에 촬영한 사진과 시간적, 공간적 차이 발생으로 첫 번째 촬영 이미지와 두 번째 촬영 이미지가 정합된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각 변화시킬 수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두 개의 회전 자유도로 회전하는 회전 광학부를 포함하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마주보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제1 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선형 구동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광축 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외부 광이 입사되고 입사된 상기 외부 광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향하도록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광축 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반사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제1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 또는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회전 축에 수직한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대응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제1 이동부재가 연결되고 타측에 제2 이동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반사 부재는 제1 회전 축 및/또는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카메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 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렌즈들, 상기 카메라 모듈 외부에서 입사된 빛을 반사 시켜 상기 하나 이상의 렌즈들로 전달할 수 있는 광 반사 부재, 상기 광 반사 부재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 돌출 영역이 곡면으로 형성된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지지구가 접촉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 제1 지정된 방향 또는 제2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된 제1 구동기(actuator), 상기 제1 지정된 방향 또는 상기 제2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된 제2 구동기(actuator), 및 상기 제1 구동기와 상기 제2 구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광 반사 부재가, 상기 제1 구동기가 상기 제1 부분에 인가하는 힘 및/또는 상기 제2 구동기가 상기 제2 부분에 인가하는 힘에 따라, 상기 지지구를 축으로 상기 곡면을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제1 구동기 또는 상기 제2 구동기를 상기 제1 지정된 방향 또는 상기 제2 지정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정된 카메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 및/또는 상기 후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 아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개구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의 빛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외부의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반사 부재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 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반사 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홀더,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서,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선형 구동기 및 제2 선형 구동기,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선형 구동기에 연결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선형 구동기에 연결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반사 부재가, 상기 제1 선형 구동기 및 상기 제2 선형 구동기의 상기 광축 방향 변위에 따라, 상기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1 회전축, 및/또는 상기 광축 방향과 상기 제1 회전축에 직교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는 렌즈의 광 축을 2자유도 회전시켜 넓은 화각을 가질 수 있다.
이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의 일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의 렌즈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의 측벽과 이동부재와, 렌즈 하우징과, 렌즈 플레이트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른 반사 부재의 틸팅 구동 및 패팅 구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어셈블리(100)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116)와, 프레임(110)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150)과,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반사 부재(130)와, 반사 부재(130)가 배치되는 홀더(140)와, 반사 부재(130)의 회전을 구동하는 선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기준으로, 제2 회로기판(156)이 배치된 방향을 후방으로 개구(1161)가 형성된 방향을 상부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커버(116)와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6)에는 개구(116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161)를 통해 외부 광이 커버(116)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개구(1161) 아래에는 반사 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개구(1161)를 통해 입사된 외부 광은 반사 부재(130)로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100)는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회로기판(128)과 후방에 배치되는 제2 회로기판(156)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회로기판(128)은 선형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제2 회로기판(156)은 이미지 센서(1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는 x, y, z 좌표 축이 도시된다. 본 문서에 기재된 제1 회전축은 y축과 나란한 축을 의미하며, 제2 회전축은 x축과 나란한 축을 의미할 수 있다. z축은 렌즈 모듈의 광 축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렌즈 모듈의 광 축은 각각 직교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0)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116)와, 개구(1161)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 광을 렌즈 모듈(150)로 변경시키는 반사 부재(130)와, 반사 부재(130)를 구비하고 프레임(110)에 배치되는 홀더(140)와, 렌즈 모듈(150)과, 이미지 센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116)에는 개구(1161)가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부재(130)는 개구(116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의 광은 개구(1161)를 통해 반사 부재(130)로 입사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커버(116)가 결합되고, 프레임(110)과 상부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1121)에 홀더(140), 반사 부재(130), 렌즈 모듈(150) 및 이미지 센서(154)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10)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까지 홀더(140), 렌즈 모듈(150) 및 이미지 센서(154)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베이스(112)와, 베이스(112)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은 베이스(112)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2)에는 홀더(140)와 렌즈 모듈(150)이 배치될 수 있다. 홀더(140)는 전방에 배치되고 렌즈 모듈(150)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40)는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2)에는 경사면(1122)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22)은 베이스(112)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22)은 베이스(112)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경사면(1122)에는 홀더(140)가 지지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1122) 아래의 공간(1121)에는 요크(1124)가 배치될 수 있다. 경사면(1122)에는 홀더(140)의 지지구(14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1123)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114)에는 이동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120)는 측벽(114)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측벽(114)과 결합될 수 있다. 측벽(114)에는 이동부재(120)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제1 가이드 홈(1143)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벽(114)과 마주보는 이동부재(120)의 일면에는 제1 가이드 홈(1143)에 대응되는 제1 대응 가이드 홈(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홈(1143)과 제1 대응 가이드 홈(121) 사이에는 구름부재(125)가 배치될 수 있다. 측벽(114)에는 금속 플레이트(1144)와 금속 플레이트(1144)에 감겨져 형성되는 코일(1142)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114)에는 개구(1141)가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144)는 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141)에는 요크와 코일(1142)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레임(110)과 상부 커버(116)는 하우징과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에는 외부 광이 반사 부재(130)로 입사되도록 상부면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120)는 측벽(114)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측벽(11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120)는 측벽(114)에 자성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122)는 측벽(114)에 배치되는 코일(1142)과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홀더(140)에는 반사 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140)는 반사 부재(130)와 함께 렌즈 모듈(150)의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홀더(140)는 홀더(14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112)에 형성되는 경사면(1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는 구 형상의 지지구(146)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50)은, 렌즈 플레이트(152)와, 렌즈 플레이트(152) 위에 배치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153)를 포함하는 렌즈 하우징(151)과, 렌즈 하우징(151) 후방에 배치되며 렌즈 플레이트(152)에 결합되는 이미지 센서(154)와 이미지 센서(154)와 연결되는 제2 회로기판(1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110)은 제1 측벽(114a)과 제1 측벽(114a)에 마주보는 제2 측벽(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 사이에는 베이스(112)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140), 반사 부재(130) 및 렌즈 모듈(150)은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11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베이스(112)에 형성된 경사면(1122)에는 지지홈(112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1123)은 지지구(146)와 대응되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1123)에는 홀더(140)의 지지구(146)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홈(1123)에는 지지구(14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구 형태의 지지구(146)에 의해 홀더(140)의 2자유도 회전이 지지될 수 있다.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서로 직교하며, 각각 렌즈 모듈(150)의 광축 방향(전후방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상의 회전축일 수 있다. 가상의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은 홀더(140)의 지지구(146)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22) 아래에 요크(1124)가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부재(130)는 홀더(140)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부재(130)는 외부의 광이 입사되는 제1 면(132)과 렌즈 모듈(150)과 마주보는 제2 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32)과 제2 면(134)은 각각 입사면과 출사면으로 참조될 수 있다. 제1 면(132)과 제2 면(134)은 서로 소정의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면(132)과 제2 면(134)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반사 부재(130)는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130)는 제1 면(132)과 제2 면(134)을 연결하는 제3 면(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136)은 홀더(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3 면(136)은 제1 면(132)과 제2 면(134)을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홀더(140)는 제1 자석(142)과 제2 자석(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석(142)은 지지구(146)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자석(144)은 지지구(146)를 중심으로 홀더(14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40)는 지지구(146)를 중심으로 양 측에 자석 장착 홈(143)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석 장착 홈(143)에는 제2 자석(144)이 배치될 수 있다.
홀더(140)의 제1 자석(142)은 경사면(1122) 아래에 배치된 요크(1124)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홀더(140)의 제1 자석(142)과 경사면(1122) 아래에 배치된 요크(1124) 사이에서 인력 및/또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힘에 의해 홀더의 회전이 지지될 수 있다.
홀더(140)의 지지구(146)는 경사면(1122)의 지지홈(1123)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지지홈(1123)과 지지구(146)에 의해 홀더(140)와 반사 부재(130)의 회전이 지지될 수 있다.
홀더(140) 및 반사 부재(130)의 후방에는 렌즈 모듈(150)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150)은 내부에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하우징(151)과 렌즈 하우징(151)이 배치되는 렌즈 플레이트(152)와 렌즈 하우징(151) 후방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15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하우징(151)은 렌즈 플레이트(152)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렌즈 플레이트(152)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플레이트(152)는 프레임(110)의 베이스(112)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렌즈 플레이트(152)는 프레임(110)의 베이스(112)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플레이트(152)는 카메라 어셈블리(100)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고 렌즈 하우징(151)과 렌즈 하우징(151) 내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153)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광축 방향은 도면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이미지 센서(154)와 제2 회로기판(156)은 렌즈 플레이트(15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154)와 제2 회로기판(156)은 고정되고 렌즈 하우징(151)과 렌즈(153)만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153)가 렌즈 플레이트(152)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에는 각각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이동부재(120b)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120)는 측벽(114)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120)의 구동력은 자석과 코일(114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에는 금속 플레이트(1144)와 금속 플레이트(1144)에 감겨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114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이동부재(120b)에는 코일(1142)과 마주보는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144)에는 센서(1146)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1146)는 이동부재(120)의 이동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146)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46)는 측벽(114)에 형성되어 위치 고정되며, 이동부재(120)는 센서(1146)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120)가 이동하면, 자성체(122)의 이동에 의한 자기력선의 밀도 변화가 발생될 수 있으며, 홀 센서는 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일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112)에는 경사면(1122)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121)에는 요크(1124)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140)에는 요크(1124)와 상호작용하는 제1 자석(142)이 배치될 수 있다. 경사면(1122)에는 홀더(140)의 지지구(146)가 배치되는 지지홈(1123)이 형성될 수 있다. 요크(1124)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반사 부재(130)는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130)는 외부 광이 입사되는 제1 면(132)과 제1 면(132)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 면(134)과 제1 면(132)과 제2 면(134)을 연결하는 제3 면(136)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130)의 제3 면(136)은 홀더(140)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면(132)은 입사면, 제2 면(134)은 출사면, 제3 면(136)은 반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 부재(130)의 제1 면(132)과 제2 면(134)이 반드시 수직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면(132)과 제2 면(134)은 다양한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반사 부재(130)는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거울은 커버(116)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1161)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의 광의 광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일례로, 외부의 광은 커버(116)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1161)를 통해 반사 부재(130)에 도달할 수 있고, 거울에 의해 반사된 광은 렌즈(153)에 도달할 수 있다.
반사 부재(130)는 렌즈(153)를 향하도록 외부의 광의 광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일례로, 반사 부재(130)는 입사광의 광 경로를 소정의 각도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예: 도 4의 제3 면(136))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면은 외부의 광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사면은 커버(116)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1161) 및 커버(116)의 내부에 배치된 렌즈(153)와 마주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반사 부재(130)는 제1 면(132) 및/또는 제2 면(134)을 포함하지 않고 제3 면(136)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반사 부재(130)는 거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면(136)은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이동부재(120b)는 각각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에는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이동부재(120b)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1 가이드 홈(1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이동부재(120b)는 제1 가이드 홈(1143)에 삽입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120a) 및 제2 이동부재(120b)는 홀더(140)의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140)의 연결부에는 연결홈(14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120a) 및 제2 이동부재(120b)의 전방 단부에는 구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4)는 연결홈(145)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120a) 및 제2 이동부재(120b)는 돌출부(124)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요크(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크(126)와 홀더(140)의 제2 자석(144)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제2 자석(144)은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이동부재(120b)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홀더(140)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요크(126)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40)의 지지구(146)는 경사면(1122)의 지지홈(1123)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지지홈(1123)과 지지구(146)에 의해 홀더(140)와 반사 부재(130)의 회전이 지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자석(144) 및 요크(126)는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이동부재(120a) 및 제2 이동부재(120b)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홀더(140)가 이동부재(1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홀더(140)와 이동부재(1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부재(120)의 이동 변위에 따라 홀더(140)가 함께 이동하므로 홀더(140)를 후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자석(144)과 요크(126)가 생략될 수 있다. 이동부재(12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홀더(140)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렌즈 모듈(1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렌즈 모듈(150)은 렌즈 플레이트(152)와, 렌즈 플레이트(152) 상에 배치되는 렌즈 하우징(151)과, 렌즈 하우징(151)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53)와, 렌즈 하우징(151) 후방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15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플레이트(152)에는 코일(1524)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523)가 형성될 수 있다. 코일(1524)은 요크(1526)에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플레이트(152)에는 구름부재(155)가 배치될 수 있는 제2 대응 가이드 홈(1521)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하우징(151)에는 제2 대응 가이드 홈(1521)과 대응되는 제2 가이드 홈(15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1513)과 제2 대응 가이드 홈(1521) 사이에는 구름부재(155)가 배치되어 렌즈 하우징(151)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렌즈 하우징(151)에는 렌즈 플레이트(152)의 코일(1524)에 대응되는 자성체(1522)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성체(1522)는 렌즈 플레이트(152)와 마주보는 렌즈 하우징(151)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하우징(151)의 자성체(1522)에 의해 렌즈 하우징(151)과 렌즈 플레이트(152)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렌즈 플레이트(152)의 코일(1524)에 전류가 흐르면, 렌즈 플레이트(152)의 코일(1524)에는 로렌츠의 힘이 작용될 수 있다. 렌즈 플레이트(152)는 베이스(112)에 연결되어 고정되므로, 렌즈 하우징(151)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하우징(151)의 측면(1512)에는 슬라이딩 홈(151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151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1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1511)에 의해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20)와 렌즈 하우징(151)이 서로 지지 또는 가이드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측벽(114)과 이동부재(120)와, 렌즈 하우징(151)과, 렌즈 플레이트(152)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제1 이동부재(120a)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선형 구동부와, 제2 이동부재(120b)를 구동하기 위한 제2 선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형 구동부와 제2 선형 구동부는 각각 측벽(114)에 형성되는 코일(1142)과, 측벽(114)과 마주보는 이동부재(120)에 형성되는 자성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일(1142)은 요크에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측벽(114)에는 제1 가이드 홈(1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120)에는 제1 가이드 홈(1143)에 대응되는 제1 대응 가이드 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143)과 제1 대응 가이드 홈(121)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143)과 제1 대응 가이드 홈(121) 사이에는 구름부재(125)가 배치될 수 있다. 구름부재(125)는 볼(bal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120)가 측벽(114)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구름부재(125)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렌즈 하우징(151)의 측면(1512)에는 슬라이딩 홈(151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1511)에는 이동부재(1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20)의 이동을 추가로 가이드할 수 있다.
렌즈 모듈(150)은 렌즈 플레이트(152)와 렌즈 플레이트(152) 상에 배치되는 렌즈 하우징(151)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하우징(151)의 하부면에는 제2 가이드 홈(1513)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플레이트(152)에는 제2 대응 가이드 홈(15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143) 및 제1 대응 가이드 홈과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 홈(1513)과 제2 대응 가이드 홈(1521)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홈(1513)과 제2 대응 가이드 홈(1521) 사이에는 구름부재(15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렌즈 하우징(151)이 렌즈 플레이트(152)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동부재(120)에 형성된 자성체(122)는 측벽(114)과 마주보는 N극 영역과 렌즈 하우징(151)과 마주보는 S극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N극 영역에 의해 측벽(114)을 향하는 자기장 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내에서 전류가 흐르는 코일(1142)에는 로렌츠의 힘이 작용될 수 있다. 일례로, 코일(1142)에 시계 방향의 전류(도면 상에서 상부측으로 흐르는 전류)가 흐르는 경우, 코일(1142)과 코일(1142)이 배치된 측벽(114)에는 후방으로 작용하는 로렌츠의 힘이 작용될 수 있다. 이 때, 측벽(114)은 베이스(112) 상에 고정되므로, 측벽(114)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이동부재(120)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1142)에 반 시계 방향의 전류를 흘려주는 경우, 이동부재(120)는 반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120)는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이동부재(120b)를 포함하고, 측벽(114)은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에 포함된 코일(1142)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전류를 흘려줄 수 있으며,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이동부재(120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하우징(151)의 측면(1512)에는 이동부재(120)가 슬라이딩 홈(151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1511)에는 이동부재(1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20) 및 렌즈 하우징(151)의 이동이 서로에 의해 가이드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도 8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과 후면이 도시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전면(201)과 후면(2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전면(201)과 후면(202)의 일부 영역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내부에는 카메라 어셈블리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201)에는 디스플레이 영역(203)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앞서 설명한 구성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렌즈의 광축은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의 렌즈 및 이미지 센서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렌즈의 광축 방향에 배치되는 홀더와 반사 부재(130)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에 노출되도록 개구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의 광은 전자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반사 부재에 입사될 수 있다. 반사 부재에 의해 외부 광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반사 부재에 의해 외부 광은 하우징 전면과 후면 사이를 통과하여 렌즈에 도달할 수 있다.
도 8을 기준으로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렌즈의 광축 방향도 전자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 부재와 홀더는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제1 회전축은 전자 장치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축은 전자 장치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양 측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서로 직교하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 모두 전자 장치의 상하 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카메라 어셈블리(100)는 2 이상의 회전 자유도를 가져 넓은 화각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렌즈 모듈의 광 축을 하우징의 길이 방향(도 8의 세로 방향)이나 폭 방향(도 8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시켜 전자 장치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일 실시 예에서, 제1 이동부재 및 제2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른 반사부재의 회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틸팅 구동을 도시하고, 도 9b는 패닝 구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에 있어서, 틸팅과 패닝을 규정하기 위해 도 9a에 도시된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좌측(반사 부재(130)가 위치한 방향)을 전방으로 우측을 후방으로 규정한다.
틸팅 동작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전방을 기준으로 반사 부재(130)가 상하로 회전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틸팅 동작시 반사 부재(130)는 제1 회전축(A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축은 반사 부재(130)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구(예: 도 3a의 지지구(146))에 형성되거나 지지구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패닝 동작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전방을 기준으로 반사 부재(130)가 좌우로 회전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패닝 동작시 반사 부재(130)는 제2 회전축(B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축은 반사 부재(130)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구(예: 도 3a의 지지구(146))에 형성되거나 지지구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틸팅 및 패닝은 카메라 어셈블리(100)가 배치된 방향에 따라 달리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적어도 2개의 회전 자유도를 가지는 것으로, 패닝, 틸팅 또는 스위빙과 같이 회전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이동부재(120b)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반사 부재(130)는 제1 회전축(예: A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회전축은 지지구(146)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회전은 지지구(14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이동부재(120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반사 부재(130)는 제2 회전축(예: B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이동부재(120b)는 각각의 코일(114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이동부재(120)의 변위에 따라 반사 부재(130)를 다양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12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홀더(140)의 연결홈(145)에는 이동부재(120)의 전방 단부의 돌출부(124)가 삽입되어, 홀더(14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이동부재(12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부재(120)의 돌출부(124)는 연결홈(145)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12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홀더(140)는 예압(pre-load)부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예압부(예: 홀더의 제2 자석(144) 및 이동부재의 요크(126))는 홀더(140)를 후방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0)(예: 도 8의 전자 장치(200))는 카메라 어셈블리(예: 도 9a 및 도 9b의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구동부(103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1010) 및 제어 회로(10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30)는 제1 구동기(1031) 및 제2 구동기(1032)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는 카메라 어셈블리(예: 도 9a 및 도 9b의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측벽(예: 도 2의 측벽(114))에 대해 렌즈(예: 도 1의 렌즈 모듈(150))의 광축 방향(전방 또는 후방)으로 선형 구동할 수 있다.
제1 구동기(1031)(예: 도 9a 및 도 9b의 제1 이동부재(120a)) 및 제2 구동기(1032)(예: 도 9a 및 도 9b의 제2 이동부재(120b))는 반사 부재(예: 도 9a 및 도 9b의 반사 부재(130)) 또는 반사 부재(130)가 배치된 홀더와 연결되어 반사 부재를 제1 회전축(예: 도 9a의 A축) 또는 제2 회전축(예: 도 9b의 B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 회로(1020)는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어 회로(1020)는 제1 구동기(103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2 구동기(103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 회로(1020)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일 구성 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어 회로(1020)는 카메라 어셈블리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회로 기판(예: 도 1의 제1 회로 기판(128))은 제1 구동기(1031) 및/또는 제2 구동기(103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프로세서(1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제어 회로(10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구동기(1031) 및 제2 구동기(1032)의 구동에 관련된 명령을 제어 회로(10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장치(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카메라(예: 도 9a 및 도 9b의 카메라 어셈블리(100))의 화각을 조정하는 조작을 한 경우, 프로세서(1010)는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요청을 제어 회로(10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0)의 동작 요청은 반사 부재(도 9a 및 도 9b의 반사 부재(130))의 제1 회전축(예: 도 9a의 A축)에 대한 제1 회전 각도와 제2 회전축(예: 도 9b의 B축)에 대한 제2 회전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010)는 사용자의 명령에 기반하여 반사 부재(130)의 회전 각도를 계산하고 이를 제어 회로(10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회로는 요청 받은 반사 부재(130)의 제1 회전 각도 및 제2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가 이동할 방향 및 거리를 연산하고, 이에 따라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0)의 동작 요청은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가 이동할 방향 및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0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한 제1 회전 각도와 제2 회전 각도와, 이를 기초로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가 이동할 방향 및 거리를 연산하고, 이를 제어 회로(10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20)는 연산된 방향 및 거리만큼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 회로(1020)는 프로세서(1010)로부터 동작 요청을 수신하고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 각각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동작은 틸팅 동작만 수행되거나, 또는 패닝 동작만 수행하는 경우에 대한 일 예시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는 틸팅 동작과 패닝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어 회로(1020)는 프로세서(1010)의 동작 요청이 패닝 동작인지 틸팅 동작인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의 동작 요청이 패닝 동작인 경우, 제어 회로(1020)는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제1 구동기(1031) 및 제2 구동기(1032)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의 동작 요청이 틸팅 동작인 경우, 제어 회로(1020)는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가 다른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제1 구동기(1031) 및 제2 구동기(1032)를 제어할 수 있다.
i)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예: 도 9a)
즉,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의 상대 변위가 0인 경우로서, 반사 부재(예: 도 9a의 반사 부재(130))는 틸팅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구동기(1031)(예: 도 9a의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구동기(1032)(예: 도 9a의 제2 이동부재(120b))가 모두 전방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 반사 부재(130)는 제1 회전축(예: 도 9a의 A축)에 대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구동기(1031) (예: 도 9a의 제1 이동부재(120a))와 제2 구동기(1032) (예: 도 9a의 제2 이동부재(120b))가 모두 후방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한 경우, 반사 부재(130)는 제1 회전축(예: 도 9a의 A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ii)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가 다른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예: 도 9b)
반사 부재(예: 도 9a의 반사 부재(130))는 패닝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구동기(1031)(예: 도 9b의 제1 이동부재(120a))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 구동기(1032)(예: 도 9b의 제2 이동부재(120b))가 후방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 반사 부재는 제2 회전축(예: 도 9b의 B축)에 대해 반 시계 방향(반사 부재를 위에서 볼 때)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구동기(1031)(예: 도 9b의 제1 이동부재(120a))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 구동기(1032)(예: 도 9b의 제2 이동부재(120b))가 후방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경우, 반사 부재는 제2 회전축(예: 도 9b의 B축)에 대해 시계 방향(반사 부재를 위에서 볼 때)으로 회전할 수 있다.
iii)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가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동한 경우
반사 부재(130)는 틸팅 동작과 패닝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구동기(1031)와 제2 구동기(1032)가 전방으로 이동하되, 제1 구동기(1031)가 제2 구동기(1032)보다 전방으로 더 이동하는 경우, 반사 부재(130)는 틸팅 동작으로서 A축에 대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패닝 동작으로서 B축에 대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200) 내의 전자 장치(1201)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200)에서 전자 장치(1201)(예: 도 9의 전자 장치(200), 도 10의 전자 장치(1000))는 제 1 네트워크(12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2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서버(12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프로세서(1220), 메모리(1230), 입력 장치(1250), 음향 출력 장치(1255), 표시 장치(1260), 오디오 모듈(1270), 센서 모듈(1276), 인터페이스(1277), 햅틱 모듈(1279), 카메라 모듈(1280), 전력 관리 모듈(1288), 배터리(1289), 통신 모듈(1290), 가입자 식별 모듈(1296), 또는 안테나 모듈(12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2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260) 또는 카메라 모듈(12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2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2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276) 또는 통신 모듈(12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2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2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2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0)는 메인 프로세서(12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23)은 메인 프로세서(12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23)는 메인 프로세서(12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21)와 함께, 전자 장치(12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260), 센서 모듈(1276), 또는 통신 모듈(12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280) 또는 통신 모듈(12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20) 또는 센서모듈(12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휘발성 메모리(12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2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240)은 메모리(12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242), 미들 웨어(1244) 또는 어플리케이션(12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250)는, 전자 장치(12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2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2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2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2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2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260)는 전자 장치(12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2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2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2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270)은, 입력 장치(12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255), 또는 전자 장치(12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276)은 전자 장치(12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2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77)는 전자 장치(12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2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2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2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2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2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2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2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288)은 전자 장치(12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289)는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2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90)은 전자 장치(1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90)은 프로세서(12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290)은 무선 통신 모듈(12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2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2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2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2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298) 또는 제 2 네트워크(12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2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2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2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0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0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2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2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299)에 연결된 서버(12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2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2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202, 1004) 각각은 전자 장치(12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202, 1004, or 10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2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2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2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1280)을 예시하는 블록도(1300)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280)(예: 도 1의 카메라 어셈블리(120))은 렌즈 어셈블리(1310)(예: 도 1의 렌즈 모듈(150)), 플래쉬(1320), 이미지 센서(1330)(예: 도 1의 이미지 센서(154)), 이미지 스태빌라이저(1340), 메모리(1350)(예: 버퍼 메모리), 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136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1310)는 이미지 촬영의 대상인 피사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집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13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280)은 복수의 렌즈 어셈블리(13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카메라 모듈(1280)은, 예를 들면, 듀얼 카메라, 360도 카메라, 또는 구형 카메라(spherical camera)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어셈블리(1310)들 중 일부는 동일한 렌즈 속성(예: 화각, 초점 거리, 자동 초점, f 넘버(f number), 또는 광학 줌)을 갖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어셈블리는 다른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속성들과 다른 하나 이상의 렌즈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1310)는, 예를 들면, 광각 렌즈 또는 망원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쉬(1320)는 피사체로부터 방출 또는 반사되는 빛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래쉬(1320)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들(예: RGB(red-green-blue) LED, white LED, infrared LED, 또는 ultraviolet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30)는 피사체로부터 방출 또는 반사되어 렌즈 어셈블리(1310)를 통해 전달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1330)는, 예를 들면, RGB 센서, BW(black and white) 센서, IR 센서, 또는 UV 센서와 같이 속성이 다른 이미지 센서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 센서, 동일한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또는 다른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30)에 포함된 각각의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면,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스태빌라이저(1340)는 카메라 모듈(1280)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201)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렌즈 어셈블리(13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1330)를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이미지 센서(1330)의 동작 특성을 제어(예: 리드 아웃(read-out) 타이밍을 조정 등)할 수 있다. 이는 촬영되는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움직임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의 적어도 일부를 보상하게 해 준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1340)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1340)은 카메라 모듈(128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자이로 센서(미도시) 또는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280) 또는 전자 장치(1201)의 그런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1340)는, 예를 들면, 광학식 이미지 스태빌라이저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50)는 이미지 센서(1330)을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다음 이미지 처리 작업을 위하여 적어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에 따른 이미지 획득이 지연되거나, 또는 복수의 이미지들이 고속으로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원본 이미지(예: Bayer-patterned 이미지 또는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메모리(1350)에 저장이 되고, 그에 대응하는 사본 이미지(예: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표시 장치(1260)을 통하여 프리뷰될 수 있다. 이후,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예: 사용자 입력 또는 시스템 명령) 메모리(1350)에 저장되었던 원본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1360)에 의해 획득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50)는 메모리(1230)의 적어도 일부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1360)는 이미지 센서(1330)을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 또는 메모리(1350)에 저장된 이미지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들은, 예를 들면, 깊이 지도(depth map) 생성, 3차원 모델링, 파노라마 생성, 특징점 추출, 이미지 합성, 또는 이미지 보상(예: 노이즈 감소, 해상도 조정, 밝기 조정, 블러링(blurring), 샤프닝(sharpening), 또는 소프트닝(softening)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1360)는 카메라 모듈(128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이미지 센서(1330))에 대한 제어(예: 노출 시간 제어, 또는 리드 아웃 타이밍 제어 등)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136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는 추가 처리를 위하여 메모리(1350)에 다시 저장 되거나 카메라 모듈(1280)의 외부 구성 요소(예: 메모리(1230), 표시 장치(1260), 전자 장치(1202),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1360)는 프로세서(1220)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거나, 프로세서(122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1360)이 프로세서(1220)과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경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1360)에 의해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는 프로세서(1220)에 의하여 그대로 또는 추가의 이미지 처리를 거친 후 표시 장치(126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각각 다른 속성 또는 기능을 가진 복수의 카메라 모듈(128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1280)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광각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망원 카메라일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128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면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2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236) 또는 외장 메모리(12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2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2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0: 카메라 어셈블리 110: 프레임
120: 이동부재 130: 반사부재
140: 홀더 146: 지지구
150: 렌즈 모듈 200: 전자 장치

Claims (20)

  1. 카메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마주보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제1 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선형 구동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광축 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외부 광이 입사되고 입사된 상기 외부 광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향하도록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광축 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반사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제1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 또는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회전 축에 수직한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대응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제1 이동부재가 연결되고 타측에 제2 이동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반사 부재는 제1 회전 축 및/또는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카메라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딩하기 위한 가이드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제1 대응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제2 대응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1 대응 가이드 홈 사이,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대응 가이드 홈 사이에 배치되는 구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에 형성되는 자성체와,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에 대응되는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 각각의 이동 방향이 제어되는 카메라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코일이 권취되는 금속 플레이트와, 상기 자성체와 마주보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력선의 밀도를 감지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외부 광이 입사되는 제1 면과,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향해 출사되는 제2 면을 더 포함하는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경사면에 대해 상기 홀더의 회전을 지지하는 구(ball) 형상의 지지구(support ball)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지지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구와 대응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축과 상기 제2 회전 축은 상기 지지구에 형성되는 카메라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 각각은, 상기 제1 이동부재의 광축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구 형상의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이동부재의 광축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연결 홈이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연결 홈이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는 제3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이동부재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카메라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은 상기 제3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베이스에는 형성되는 제3 가이드 홈, 상기 제3 이동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제3 가이드 홈과 대응되는 제3 대응 가이드 홈, 및 상기 제3 가이드 홈과 상기 제3 대응 가이드 홈 사이에 배치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은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부재와 마주보는 제1 측면과 상기 제2 이동부재와 마주보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에는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에는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어셈블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와 마주보되 개구가 형성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광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반사면으로 입사되는 카메라 어셈블리.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지지구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자성체와, 상기 경사면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지지구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자성체를 가압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3 자성체와 마주보는 제4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 및/또는 상기 제2 이동부재가 상기 반사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3 자성체는 상기 제4 자성체를 당겨 상기 홀더를 회전시키는 카메라 어셈블리.
  16.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 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렌즈들;
    상기 카메라 모듈 외부에서 입사된 빛을 반사 시켜 상기 하나 이상의 렌즈들로 전달할 수 있는 광 반사 부재;
    상기 광 반사 부재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 돌출 영역이 곡면으로 형성된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지지구가 접촉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
    제1 지정된 방향 또는 제2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된 제1 구동기(actuator);
    상기 제1 지정된 방향 또는 상기 제2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된 제2 구동기(actuator); 및
    상기 제1 구동기와 상기 제2 구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광 반사 부재가, 상기 제1 구동기가 상기 제1 부분에 인가하는 힘 및/또는 상기 제2 구동기가 상기 제2 부분에 인가하는 힘에 따라, 상기 지지구를 축으로 상기 곡면을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제1 구동기 또는 상기 제2 구동기를 상기 제1 지정된 방향 또는 상기 제2 지정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정된 카메라 모듈.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 사이에 수용되는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요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기 및 상기 제2 구동기는 제2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요크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배치된 제2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 및/또는 상기 후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 아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개구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의 빛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된 상기 외부의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반사 부재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 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반사 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홀더;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서,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선형 구동기 및 제2 선형 구동기;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선형 구동기에 연결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선형 구동기에 연결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반사 부재가, 상기 제1 선형 구동기 및 상기 제2 선형 구동기의 상기 광축 방향 변위에 따라, 상기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1 회전축, 및/또는 상기 광축 방향과 상기 제1 회전축에 직교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외부의 빛이 입사되는 제1 면과 상기 렌즈와 마주보는 제2 면과,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에는 상기 곡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곡면 홈이 형성되는 전자 장치.
KR1020180043277A 2018-04-13 2018-04-13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94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77A KR102494681B1 (ko) 2018-04-13 2018-04-13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19/003693 WO2019198956A1 (ko) 2018-04-13 2019-03-29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044,832 US11496657B2 (en) 2018-04-13 2019-03-29 Camera assembly having rotatable reflective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77A KR102494681B1 (ko) 2018-04-13 2018-04-13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832A true KR20190119832A (ko) 2019-10-23
KR102494681B1 KR102494681B1 (ko) 2023-02-02

Family

ID=6816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277A KR102494681B1 (ko) 2018-04-13 2018-04-13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96657B2 (ko)
KR (1) KR102494681B1 (ko)
WO (1) WO2019198956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525A1 (ko) * 2019-11-29 2021-06-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1215880A1 (ko) * 2020-04-24 2021-10-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동 단말기
WO2021251642A1 (ko) * 2020-06-08 2021-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에 배치된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089498A (zh) * 2020-05-22 2022-02-25 日本电产株式会社 光学单元
KR20220043815A (ko) * 2020-09-29 2022-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2270898A1 (ko) * 2021-06-22 2022-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82924B2 (en) 2020-09-29 2024-05-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08987A (zh) * 2017-05-12 2023-10-20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机构
US11539864B1 (en) * 2018-09-10 2022-12-27 Apple Inc. Folded optics camera and actuator assembly
CN109633854B (zh) * 2019-01-08 2020-09-29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图像采集器及移动电子设备
CN111308643B (zh) * 2019-12-25 2024-04-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KR20210090526A (ko) * 2020-01-10 202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730637B (zh) 2020-02-24 2021-06-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與電子裝置
KR102345118B1 (ko) * 2020-07-24 2021-12-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JP7187711B2 (ja) * 2020-07-29 2022-12-12 深▲せん▼市康冠商用科技有限公司 機能部品取付用の赤外線タッチパネルベゼル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端末
JP2022055837A (ja) * 2020-09-29 2022-04-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TWI793978B (zh) * 2021-12-02 2023-02-2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攝影模組與電子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341A (ko) * 1997-10-10 1999-05-06 윤종용 비디오 카메라의 손떨림 보정장치
KR20080101126A (ko) * 2007-05-16 2008-1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58450A (ko) * 2014-01-20 2014-05-14 (주)태극기전 카메라 모듈
KR20170126993A (ko) * 2015-06-24 2017-11-20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접이식 렌즈 카메라용 저-프로파일 3-축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5107B2 (en) * 2004-09-21 2008-12-16 Canon Kabushiki Kaish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2016709B (zh) 2008-04-30 2014-04-09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及摄影用光学装置
CN102016708B (zh) 2008-04-30 2013-07-31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JP5174908B2 (ja) 2008-06-30 2013-04-0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携帯型ゲーム装置及び携帯型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
KR101007324B1 (ko) * 2009-01-15 2011-01-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의 크기에 따라 초점과 촬영영역이 자동조절되는 부품인식장치 및 방법
US8358924B2 (en) 2009-12-22 2013-01-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automatic focus or the optical imaging stabilizing system
US8442392B2 (en) 2009-12-22 2013-05-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automatic focus or the optical imaging stabilizing system
US20130201571A1 (en) * 2012-02-03 2013-08-08 Raytheon Company Hinge mechanism for small optics and related methods
JP5948954B2 (ja) * 2012-02-28 2016-07-06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KR20150104326A (ko) * 2014-03-05 2015-09-15 (주)드림텍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모듈 구조
WO2016081567A1 (en) 2014-11-19 2016-05-26 Orlo James Fiske Thin optical system and camera
US9885851B2 (en) * 2016-05-19 2018-02-0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dvanced optical gimbal
US20180035031A1 (en) 2016-07-27 2018-02-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12688A (ko) * 2016-07-27 2018-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341A (ko) * 1997-10-10 1999-05-06 윤종용 비디오 카메라의 손떨림 보정장치
KR20080101126A (ko) * 2007-05-16 2008-1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58450A (ko) * 2014-01-20 2014-05-14 (주)태극기전 카메라 모듈
KR20170126993A (ko) * 2015-06-24 2017-11-20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접이식 렌즈 카메라용 저-프로파일 3-축 액추에이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525A1 (ko) * 2019-11-29 2021-06-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1215880A1 (ko) * 2020-04-24 2021-10-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동 단말기
CN114089498A (zh) * 2020-05-22 2022-02-25 日本电产株式会社 光学单元
CN114089498B (zh) * 2020-05-22 2024-04-12 日本电产株式会社 光学单元
WO2021251642A1 (ko) * 2020-06-08 2021-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에 배치된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43815A (ko) * 2020-09-29 2022-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982924B2 (en) 2020-09-29 2024-05-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O2022270898A1 (ko) * 2021-06-22 2022-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956A1 (ko) 2019-10-17
KR102494681B1 (ko) 2023-02-02
US11496657B2 (en) 2022-11-08
US20210136261A1 (en)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681B1 (ko)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70853B1 (ko) 카메라 모듈
KR102348504B1 (ko) 복수 개의 카메라들 간의 시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1133376B (zh) 包括具有不同磁场方向的多个驱动单元的相机模块
KR20190101706A (ko)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2661185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이미지 촬영 방법
US10983414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magnet fixing position of lens using magnetic forc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US1141214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tion
EP4242742A1 (en) Camera module for supporting optical zoom,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200067027A (ko) 복수의 카메라들 또는 깊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KR2019008721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카메라 자동 초점 제어 방법
US11609411B2 (en) Folded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35884B1 (ko)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142312A (ko)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210048725A (ko) 카메라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90110794A (ko) 표시 객체의 확산 정도에 기반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668233B1 (ko) 관심 영역을 통해 움직이는 외부 객체에 대해 프레임 레이트를 제어하여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822210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US20230156307A1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14407A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30037872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90525A (ko) 카메라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27276A (ko) 관심 영역을 통해 움직이는 외부 객체에 대해 프레임 레이트를 제어하여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